[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70252B1 - Control system for electronic device, control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and power control system - Google Patents

Control system for electronic device, control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and power control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252B1
KR101870252B1 KR1020160142203A KR20160142203A KR101870252B1 KR 101870252 B1 KR101870252 B1 KR 101870252B1 KR 1020160142203 A KR1020160142203 A KR 1020160142203A KR 20160142203 A KR20160142203 A KR 20160142203A KR 101870252 B1 KR101870252 B1 KR 101870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ensor
value
output
contro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22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53116A (en
Inventor
이경호
주문창
황혜미
백남춘
이순명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PCT/KR2016/01255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078416A1/en
Publication of KR20170053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31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25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20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sensing elements having variation of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with change of temperature
    • G05D23/24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sensing elements having variation of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with change of temperature the sensing element having a resistance varying with temperature, e.g. a thermist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센서값과 설정값과의 비교를 통해 피드백루프제어를 수행하는 외부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센서와 상기 전자장치를 연결하는 측정신호도선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센서로부터 제1센서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센서의 센서값을 측정하는 센서입력부; 원격제어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를 통해 상기 원격제어기로부터 상기 전자장치의 설정값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제어신호 및 상기 센서의 센서값에 따라 출력센서값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자장치의 센서입력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출력센서값을 상기 전자장치의 센서입력단자로 출력하되, 상기 제1센서신호와 동일한 종류의 제2센서신호로 상기 출력센서값을 출력하는 센서출력부를 포함하는 제어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at performs feedback loop control through comparison between a sensor value input to a sensor input terminal and a set value, the control device comprising: A sensor input unit positioned between the signal conductors and connected to the sensor and receiving a first sensor signal from the sensor and measuring a sensor value of the sensor;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a remote controller and receiving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 set value of the electronic device from the remote controller through the data;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an output sensor valu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nd the sensor value of the sensor; And a sensor connected to a sensor input terminal of the electronic device, for outputting the output sensor value to a sensor input terminal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outputting the output sensor value to a second sensor signal of the same type as the first sensor signal, And an output unit.

Figure R1020160142203
Figure R1020160142203

Description

전자장치 제어시스템, 전자장치에 대한 제어장치 및 전력제어시스템{CONTROL SYSTEM FOR ELECTRONIC DEVICE, CONTROL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AND POWER CONTROL SYSTEM}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control system, a control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a power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전자장치에 대한 제어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장치를 외부에서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ontrol techniques for electronic devices.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for externally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전기 혹은 전자신호를 이용하여 제어되는 전자장치를 외부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기술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일 예로서 이동통신 단말로 TV를 제어하거나 범용 리모컨을 이용하여 에어컨이나 보일러 장치를 제어하고자 하는 기술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다른 예로서 시스템의 결합 혹은 통합을 위하여 중앙 제어장치가 여러 개의 전자장치를 통합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기술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technologies for externally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controlled using electric or electronic signals. For example,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a technology for controlling a TV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or a boiler using a universal remote control. As another example,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a technology in which a central control unit integrates and controls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in order to integrate or integrate the system.

종래에는 제어 대상이 되는 전자장치와 이를 제어하는 외부 제어장치 사이에 일정한 규약이 정해져 있어서 이러한 규약에 따라 제어신호가 송수신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방식에는 몇 가지 문제가 있었다.Conventionally, a predetermined protocol has been established between an electronic device to be controlled and an external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signals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according to this protocol. However, this conventional method has some problems.

첫째로, 이러한 규약이 표준 규약이 아니거나 대외적으로 공개된 규약이 아닌 경우, 이러한 규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는 개발자들은 전자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장치를 제작할 수 없었다. 전자장치를 생산하는 일부 기업들은 외부에 공개되지 않는 자사만의 규약으로 이러한 제어신호를 정의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 해당 기업의 전자장치와 연계된 통합 시스템 혹은 해당 기업의 전자장치를 별도로 제어하는 외부 제어장치를 제작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First, developers who fail to obtain information on these protocols could not create a control device to control electronic devices, unless these protocols are not standard or publicly released protocols. Some companies that produce electronic devices often define these control signals with their own rules that are not disclosed to the outside world. In such cases, the integrated system associated with the company's electronic device or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company is separately controlled It has been difficult to manufacture an external control device.

둘째로, 이러한 규약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해당 전자장치에 외부 제어장치를 결합시킬 수 없었다. 구체적으로, 외부 제어장치와의 연계가 고려되지 않은 전자장치의 경우,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가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종래 개발자들은 외부 제어장치로 해당 전자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해당 전자장치에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추가하거나 해당 전자장치의 구성을 변경해야 하는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Secondly, if such a protocol is not set, the external control device can not be coupled to the electronic devic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an electronic device that is not considered to be linked to an external control device, an interfa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control signal is often not included. In this case, conventional developers have difficulty in adding a separate interface to the electronic device or chang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to control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external control device.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 측면에서, 별도의 제어신호 송수신 규약을 이용하지 않고 외부에서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장치에 대한 변형-예를 들어, 제어신호 인터페이스를 추가하거나 변경-없이 외부에서 해당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별도의 제어신호 송수신 규약을 이용하지 않고 외부에서 전자장치-예를 들어, 전력제어기 혹은 전력저장장치-를 제어하는 기술을 제고하는 것이다.In view of the foregoing,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one aspect, to provide a technique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from the outside without using a separate control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protocol. In another aspec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chnique for controlling a corresponding electronic device from outside without modification or modific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without adding or changing a control signal interface. In another aspec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ique for controlling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a power controller or a power storage device, without using a separate control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protocol for a system for controlling power will b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센서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센서값과 설정값과의 비교를 통해 피드백루프제어를 수행하는 외부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센서와 상기 전자장치를 연결하는 측정신호도선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센서로부터 제1센서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센서의 센서값을 측정하는 센서입력부; 원격제어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를 통해 상기 원격제어기로부터 상기 전자장치의 설정값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제어신호 및 상기 센서의 센서값에 따라 출력센서값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자장치의 센서입력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출력센서값을 상기 전자장치의 센서입력단자로 출력하되, 상기 제1센서신호와 동일한 종류의 제2센서신호로 상기 출력센서값을 출력하는 센서출력부를 포함하는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at performs feedback loop control through comparison between a sensor value input to a sensor input terminal and a set value, Wherein the control unit comprises: a sensor input unit located between the sensor and the measurement signal conductor connecting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sensor and receiving the first sensor signal from the sensor and measuring the sensor value of the sensor;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a remote controller and receiving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 set value of the electronic device from the remote controller through the data;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an output sensor valu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nd the sensor value of the sensor; And a sensor connected to a sensor input terminal of the electronic device, for outputting the output sensor value to a sensor input terminal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outputting the output sensor value to a second sensor signal of the same type as the first sensor signal, And an output unit.

이러한 제어장치에서, 제어부는, 센서의 센서값을 저장하고 특정 기간에 저장된 센서의 센서값을 이용하여 전자장치의 설정값을 추정할 수 있다.In this control device, the control unit may store the sensor value of the sensor and estimate the set value of th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ensor value of the sensor stored in the specific period.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센서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온도센서값과 온도설정값과의 비교를 통해 피드백루프제어를 수행하는 외부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온도센서와 상기 전자장치를 연결하는 측정신호도선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온도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온도센서의 온도센서값을 측정하는 센서입력부; 원격제어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를 통해 상기 원격제어기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전자장치에 대한 온도설정값의 변화값을 획득하고 상기 온도센서의 온도센서값에서 상기 변화값을 빼거나 더하여 출력온도값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자장치의 센서입력단자와 연결되고 제어가능한 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가능한 온도센서의 온도값을 상기 출력온도값으로 설정하는 센서출력부를 포함하는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at performs feedback loop control through comparison between a temperature sensor value input to a sensor input terminal and a temperature set value, A sensor input part positioned between the measurement signal conductor connecting the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sensor and measuring a temperature sensor value of the temperature sensor;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a remote controller and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ler through the data; A control unit for obtaining a change value of a temperature set value for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control signal and subtracting or adding the change value from the temperature sensor value of the temperature sensor to determine an output temperature value; And a sensor output connected to the sensor input terminal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including a controllable temperature sensor and for setting the temperature value of the controllable temperature sensor to the output temperature value.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전력생산장치의 발전전력 및 전력저장장치의 충방전전력을 처리하여 전력망으로 입출력시키고, 상기 전력망으로 입출력되는 전력을 측정하기 위해 센서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센서값에 따라 입출력전력센서값을 계산하며, 상기 입출력전력센서값이 입출력전력설정값을 추종하도록 상기 전력저장장치의 상기 충방전전력을 제어하는 전력제어기; 및 원격제어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를 통해 상기 원격제어기로부터 상기 입출력전력설정값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전력망을 센싱하여 상기 전력제어기에서 상기 전력망으로 입출력되는 입출력전력값을 계산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입출력전력값을 수정하여 입출력전력수정값을 생성하고, 상기 전력제어기가 상기 입출력전력수정값을 상기 입출력전력센서값으로 인식하도록 상기 입출력전력수정값에 대응되는 출력센서값을 상기 전력제어기의 상기 센서입력단자로 출력시키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전력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ic power generating apparatus, the method comprising: processing power generated by a power generation apparatus and charging / discharging power of the power storage apparatus to input and output the power to and from a power grid; A power controller for calculating an input / output power sensor value and controlling the charge / discharge power of the power storage device so that the input / output power sensor value tracks the input / output power set value; And receive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 output power setting value from the remote controller through the data, senses the power network, calculates an input / output power value input / output to / from the power network from the power controller, Output power value corresponding to the input / output power correction value so that the power controller recognizes the input / output power correction value as the input / output power sensor value, To the sensor input terminal of the power controller.

이러한 전력제어시스템에서, 제어장치는, 전력망으로 입출력되는 입출력전력값을 저장하고 특정 기간에 저장된 입출력전력값을 이용하여 전력제어기에 설정된 입출력전력설정값을 추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전력생산장치의 발전전력 및 전력저장장치의 충방전전력을 처리하여 전력망으로 출력시키고, 센서입력단자로 입력되는 값에 따라 출력전력센서값을 계산하며, 상기 출력전력센서값이 출력전력설정값을 추종하도록 상기 전력저장장치의 상기 충방전전력을 제어하는 전력제어기; 및 원격제어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를 통해 상기 원격제어기로부터 상기 출력전력설정값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전력망을 센싱하여 상기 전력제어기에서 상기 전력망으로 출력되는 출력전력값을 계산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전력값을 수정하여 출력전력수정값을 생성하고, 상기 전력제어기가 상기 출력전력수정값을 상기 출력전력센서값으로 인식하도록 상기 출력전력수정값에 대응되는 출력센서값을 상기 전력제어기의 상기 센서입력단자로 출력시키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생산장치는 상기 발전전력을 DC링크로 출력하고, 상기 전력저장장치는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상기 DC링크로 방전시키거나 상기 DC링크에 형성된 전력을 상기 배터리로 충전시키고, 상기 전력제어기는 상기 DC링크의 전력을 상기 전력망으로 출력시키고, 상기 전력제어기는, 상기 센서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상기 출력센서값에 따라 상기 출력전력센서값을 계산하고, 상기 출력전력센서값이 상기 출력전력설정값보다 작으면 상기 전력저장장치의 방전전력이 증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출력전력센서값이 상기 출력전력설정값보다 크면 상기 전력저장장치의 상기 방전전력이 감소하거나 상기 전력저장장치의 충전전력이 증가하도록 제어하는 전력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전력제어시스템에서, 상기 전력제어기는, 상기 발전전력이 증가하면 상기 방전전력이 감소하거나 상기 충전전력이 증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발전전력이 감소하면 상기 방전전력이 증가하거나 상기 충전전력이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전력제어시스템에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전력망으로의 출력전력을 센싱하는 센서와 상기 전력제어기를 연결하는 측정신호도선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센서로부터 제1센서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센서의 센서값을 측정하는 센서입력부; 상기 원격제어기와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를 통해 상기 원격제어기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제어신호 및 상기 센서의 센서값에 따라 상기 출력센서값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력제어기의 상기 센서입력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출력센서값을 상기 전력제어기의 상기 센서입력단자로 출력하되, 상기 제1센서신호와 동일한 종류의 제2센서신호로 상기 출력센서값을 출력하는 센서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power control system, the control device can store input / output power values input / output to / from the power network and estimate input / output power set values set in the power controller using input / output power values stored in a specific peri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wer generation system including: a power generation device for processing power generated by a power generation device and charging / discharging power of the power storage device to output power to a power grid, calculating an output power sensor value according to a value input to a sensor input terminal, A power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charge / discharge power of the power storage device such that a power sensor value follows an output power set value; And receiving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utput power setting value from the remote controller through the data, sensing the power network, calculating an output power value output from the power controller to the power network, And an output sensor value corresponding to the output power correction value so that the power controller recognizes the output power correction value as the output power sensor value by modifying the output power valu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o generate an output power correction value, To the sensor input terminal of the power controller, wherein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outputs the generated power to the DC link, and the power storage apparatus discharges the power stored in the battery to the DC link Wherein the power controller charges the DC link with power from the battery, And the power controller calculates the output power sensor value according to the output sensor value input to the sensor input terminal, and if the output power sensor value is smaller than the output power setting value,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the power storage device to increase, and controlling, when the output power sensor value is greater than the output power setting value, to decrease the discharging power of the power storage device or increase the charging power of the power storage device System.
In this power control system, the power controller controls the discharge power to decrease or the charge power to increase when the generated power increases, so that when the generated power decreases, the discharge power increases or the charge power decreases Can be controlled.
In this power control system, the control device is located between a sensor that senses output power to the power network and a measurement signal conductor that connects the power controller and is coupled to the sensor and receives a first sensor signal from the sensor A sensor input unit for measuring a sensor value of the sensor;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data to and from the remote controller and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ler through the data;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the output sensor valu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nd the sensor value of the sensor; And outputting the output sensor value to the sensor input terminal of the power controller, the output sensor value being connected to the sensor input terminal of the power controller, and outputting the output sensor value to a second sensor signal of the same type as the first sensor signal And a sensor output uni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제어신호 송수신 규약을 이용하지 않고 외부에서 전자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장치에 대한 변형-예를 들어, 제어신호 인터페이스를 추가하거나 변경-없이 외부에서 해당 전자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nic device can be controlled from the outside without using a separate control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protocol.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dification to an electronic device can be controlled externally without adding or changing a control signal interface, for example.

도 1은 종래 전자장치 원격제어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제어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a는 저항값을 출력하는 제어장치의 일 예시 구성도이다.
도 3b는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출력센서값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의 일 예시 구성도이다.
도 4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제어장치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센서신호를 조절하여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흐름을 나타내는 제1예시 도면이다.
도 6은 센서신호를 조절하여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흐름을 나타내는 제2예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제어시스템의 예시 구성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제어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제어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대한 일 예시 흐름도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제어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대한 다른 예시 흐름도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제어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electronic device remote control system.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3A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xample of a control device for outputting a resistance value.
FIG. 3B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xample of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n output sensor value using a transistor.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ntrol apparatus further including a communication interface.
5 is a first exemplary diagram showing a flow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by adjusting a sensor signal.
6 is a second exemplary diagram showing a flow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by adjusting a sensor signal.
7 and 8 are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s of an electronic devi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w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0 is an exemplary flowchar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pow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1 is another exemplary flow char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pow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yet another embodiment.
12 is a hardware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w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 elem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종래 전자장치 원격제어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electronic device remote control system.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전자장치(10)와 종래 원격제어기(20) 사이에는 규약에 따른 제어신호(CTR_MSG)가 송수신되었다. 종래 전자장치(10)는 이러한 규약에 따른 제어신호(CTR_MSG)를 이용하여 제어를 수행하였다. 규약이 미리 정해져 있지 않은 종래 전자장치(10)의 경우, 외부와 제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12)가 별도로 추가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종래 전자장치(10)는 이러한 별도의 인터페이스(12)를 이용하여 원격제어기(20)와 규약에 따른 제어신호(CTR_MSG)를 송수신하기도 하였다.Referring to FIG. 1, a control signal CTR_MSG according to a protocol is transmitted / received between the conventional electronic device 10 and the conventional remote controller 20. The conventional electronic device 10 has performed control using the control signal CTR_MSG according to this protocol.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electronic device 10 in which the protocol is not defined in advance, an interface 12 capable of transmitting / receiving a control signal with the outside is additionally provided. The conventional electronic device 10 transmits and receives a control signal CTR_MSG according to a protocol with the remote controller 20 by using the separate interface 12.

이러한 종래 전자장치 원격제어시스템에서는 규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는 개발자들은 전자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는 원격제어기(20)를 제작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전자장치(10)에 제어신호(CTR_MSG)의 송수신 기능이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경우, 별도의 인터페이스(12)를 전자장치(10)에 더 추가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electronic device remote control system, developers who can not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protocol can not manufacture the remote controller 20 capable of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10, I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of the CTR_MSG is not included, there is a problem that a separate interface 12 must be add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

반면, 본 명세서에 따른 전자장치 제어시스템은 별도의 제어신호 송수신 규약을 이용하지 않고 외부에서 전자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자장치 제어시스템은 전자장치에 대한 변형없이 외부에서 전자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onic devi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an electronic device from the outside without using a separate control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protocol. And, this electronic device control system can control the electronic device from outside without modification to the electronic device.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제어시스템의 구성도이다.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전자장치 제어시스템(100)은 제어장치(110), 센서(120) 및 전자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electronic device control system 100 may include a control device 110, a sensor 120, and an electronic device 130. [

여기서, 전자장치(130)는 전기 혹은 전자신호를 이용하여 제어되는 장치를 의미한다. 주요 기능이 기계적으로 수행되는 장치들도 전기 혹은 전자신호를 이용하여 제어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전자장치(130)에 해당될 수 있다. 주요 기능이 기계적인 것 뿐만 아니라 주요 기능이 화학적으로 수행되는 장치들도 전기 혹은 전자신호를 이용하여 제어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전자장치(130)에 해당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기 혹은 전자신호를 이용하여 제어되는 기능이 일부라도 포함되어 있는 장치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전자장치(130)에 해당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Here, the electronic device 130 refers to a device controlled using electric or electronic signals. Devices in which the main functions are mechanically performed may correspond to the electronic device 130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the functions include control by using electric or electronic signals. Not only the main function is mechanical, but also devices in which the main functions are chemically performed may be equivalent to the electronic device 130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the functions include control by using electric or electronic signals. In other word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 device including at least some functions controlled by electric or electronic signals corresponds to the electronic device 130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전자장치(130)는 센서(120)로부터 획득되는 센서신호(SS : Sensing Signal)를 이용하여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센서(120)는 기능적인 측면에서 온도센서, 압력센서, 중량센서, 음향센서, 열센서 등이 될 수 있으며, 특정 기능의 센서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센서(120)는 신호적인 측면에서 전압신호센서, 전류신호센서, 저항신호센서, 광신호센서 등이 될 수 있으며, 특정 신호의 센서로 제한되지 않는다.The electronic device 130 may perform control using a sensor signal (SS: Sensing Signal) obtained from the sensor 120. The sensor 120 may be a temperature sensor, a pressure sensor, a weight sensor, an acoustic sensor, a heat sensor, or the like in terms of functions, and is not limited to a sensor of a specific function. In addition, the sensor 120 may be a voltage signal sensor, a current signal sensor, a resistance signal sensor, an optical signal sensor, or the like in terms of a signal,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ignal sensor.

전자장치(130)와 센서(120) 사이에는 제어장치(110)가 위치한다. 제어장치(110)는 센서(120)와 전자장치(130)를 연결하는 측정신호도선 사이에 위치한다. A control device 110 is located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30 and the sensor 120. The control device 110 is located between the measurement signal conductors connecting the sensor 120 and the electronic device 130.

센서신호(SS)의 흐름으로 볼 때, 센서(120)는 제1센서신호(SS1)를 제어장치(110)로 전송하고 제어장치(110)는 제2센서신호(SS2)를 전자장치(130)로 송신한다.In view of the flow of the sensor signal SS, the sensor 120 transmits the first sensor signal SS1 to the control device 110 and the control device 110 transmits the second sensor signal SS2 to the electronic device 130 ).

이때, 제1센서신호(SS1) 및 제2센서신호(SS2)는 동일한 종류의 센서신호(SS)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센서신호(SS1)가 센서(120)의 저항값을 출력하는 신호인 경우, 제2센서신호(SS2)도 저항값을 출력하는 신호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센서신호(SS1)가 온도를 나타내는 센서값을 출력하는 신호인 경우, 제2센서신호(SS2)도 온도를 나타내는 센서값을 출력하는 신호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sensor signal SS1 and the second sensor signal SS2 may be the same kind of sensor signal SS. For example, when the first sensor signal SS1 is a signal for outputting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ensor 120, the second sensor signal SS2 may be a signal for outputting a resistance value. As another example, when the first sensor signal SS1 is a signal outputting a sensor value indicative of temperature, the second sensor signal SS2 may also be a signal outputting a sensor value indicative of the temperature.

제1센서신호(SS1) 및 제2센서신호(SS2)가 동일한 종류의 센서신호(SS)이기 때문에, 전자장치(130)는 센서(120)로부터 직접적으로 센서신호(SS)를 수신하는 것처럼 작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자장치(130)는 제2센서신호(SS2)가 센서(120)로부터 입력되는 센서신호(SS)인 것처럼 작동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1센서신호(SS1)와 제2센서신호(SS2)가 동일한 종류의 센서값을 갖는 경우, 전자장치(130)는 센서(120)가 전자장치(130)에 직접적으로 연결된 것과 동일하게 작동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30 operates as if it were receiving the sensor signal SS directly from the sensor 120 since the first sensor signal SS1 and the second sensor signal SS2 are the same kind of sensor signal SS, . In other words, the electronic device 130 can be operated as if the second sensor signal SS2 is the sensor signal SS input from the sensor 120. [ As a specific example, when the first sensor signal SS1 and the second sensor signal SS2 have the same kind of sensor value, the electronic device 13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sensor 12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30 It can operate the same.

제어장치(110)는 위와 같은 연결구조 속에서 전자장치(130)로 입력되는 센서신호(SS)를 이용하여 전자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신호(SS)를 통한 센서값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전자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전자장치(130)에는 어떠한 구성의 변화도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통신 규약과 같은 별도의 규약없이 센서신호(SS)를 그대로 이용하여 제어장치(110)가 전자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The control device 110 can control the electronic device 130 using the sensor signal SS input to the electronic device 130 in the above-described connection structure.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30 may be controll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sensor value via the sensor signal SS. According to this method, no change in configuration occurs in the electronic device 130. [ According to this method, the controller 110 can control the electronic device 130 by using the sensor signal SS without any special protocol such as the communication protocol.

이러한 제어시스템(100)의 세부 구성을 좀더 살펴본다.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system 100 will be described in further detail.

먼저, 제어장치(110)는 센서입력부(112), 제어부(114) 및 센서출력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control device 110 may include a sensor input unit 112, a control unit 114, and a sensor output unit 116.

센서입력부(112)는 전자장치(130)의 외부에 위치하는 센서(120)와 연결되고 이러한 센서(120)의 센서값-예를 들어,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다. 센서입력부(112)와 대응되어 센서(120)는 제어장치(110)로 제1센서신호(SS1)를 출력하는 센서출력단자(1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input unit 112 is connected to the sensor 120 located outside the electronic device 130 and can measure the sensor value of the sensor 120, for example, the resistance value. The sensor 120 may correspond to the sensor input unit 112 and may include a sensor output terminal 122 for outputting the first sensor signal SS1 to the controller 110. [

구체적인 예로서, 센서(120)가 온도센서인 경우, 센서입력부(112)는 센서(120)로부터 온도값을 측정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when the sensor 120 is a temperature sensor, the sensor input 112 may measure the temperature value from the sensor 120. [

제어부(114)는 센서출력부(116)의 출력센서값을 결정할 수 있고, 센서출력부(116)는 제어부(114)에 의해 결정된 출력센서값을 전자장치(130)로 출력할 수 있다. 센서출력부(116)는 출력센서값을 전자장치(130)로 출력하기 위해 제어장치(110)와 별도로 위치하는 혹은 외부에 위치하는 전자장치(130)의 센서입력단자(132)와 연결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4 may determine the output sensor value of the sensor output unit 116 and the sensor output unit 116 may output the output sensor value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114 to the electronic device 130. [ The sensor output 116 may be coupled to the sensor input terminal 132 of the electronic device 130 located separately or externally to the control device 110 to output the output sensor value to the electronic device 130 .

구체적인 예로서, 센서(120)는 저항 형태의 센서 혹은 저항값을 출력하는 센서일 수 있다. 이때, 제1센서신호(SS1)를 통해 센서(120)의 저항값이 센서입력부(112)로 전달된다. 제어부(114)는 제1센서신호(SS1)와 동일한 종류의 제2센서신호(SS2)가 출력되도록 센서출력부(116)의 출력저항값을 결정하고, 센서출력부(116)는 이러한 출력저항값을 전자장치(130)로 출력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sensor 120 may be a sensor of a resistance type or a sensor outputting a resistance value. At this tim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ensor 120 is transmitted to the sensor input unit 112 through the first sensor signal SS1. The controller 114 determines the output resistance value of the sensor output section 116 so that the second sensor signal SS2 of the same type as the first sensor signal SS1 is output, Value to the electronic device 130. < RTI ID = 0.0 >

도 3a는 저항값을 출력하는 제어장치의 일 예시 구성도이다.3A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xample of a control device for outputting a resistance value.

도 3a를 참조하면, 센서입력부(112)는 센서(120)의 아날로그신호를 측정하는 아날로그센싱파트(212) 및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파트(21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A, the sensor input unit 112 may include an analog sensing part 212 for measuring an analog signal of the sensor 120 and an analog-to-digital conversion part 214 for converting an analog signal into digital data.

센서(120)가 저항으로 되어 있는 경우, 아날로그센싱파트(212)는 센서(120)로 전류를 제공하고 이러한 전류에 의해 센서(120)에 형성되는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센서(120)는 써미스터 혹은 저항형측온센서(RTD: Resistance Temperature Detector)일 수 있는데, 아날로그센싱파트(212)는 써미스터 혹은 저항형측온센서(RTD)로 전류를 제공하고 이러한 전류에 의해 써미스터 혹은 저항형측온센서(RTD)에 형성되는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When the sensor 120 is a resistor, the analog sensing part 212 can provide a current to the sensor 120 and measure the voltage formed on the sensor 120 by this current. The sensor 120 may be a thermistor or a resistance temperature detector (RTD), which provides current to a thermistor or a resistive temperature sensor (RTD)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voltage formed in the RTD.

아날로그디지털변환파트(214)는 아날로그센싱파트(212)에서 측정된 값-전술한 예에서, 전압값-을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The analog to digital conversion part 214 may convert the measured value in the analog sensing part 212 - the voltage value - in the above example into digital data.

제어부(114)는 이러한 디지털데이터를 전달받아 내부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4)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어신호(CTR_MSG)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14 may receive the digital data and perform internal control.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14 may receive the control signal CTR_MSG according to the user input.

제어장치(110)는 사용자 입력을 받기 위해 별도의 입력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110)는 키패드 장치를 더 포함하고 있으면서 이러한 키패드 장치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제어신호(CTR_MSG)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장치(110)는 이렇게 생성된 제어신호(CTR_MSG)를 제어부(114)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장치(110)는 사용자 입력을 받기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한 실시예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control device 110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input device for receiving user input. For example, the control device 110 may further include a keypad device, and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CTR_MSG as a user input that is input to the keypad device. The control unit 110 may transmit the control signal CTR_MSG thus generated to the control unit 114. The control device 110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receiving user input. An embodiment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interface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한편, 제어부(114)는 전달받은 디지털데이터에 따라 센서출력부(116)의 출력저항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센서출력부(116)는 프로그래머블 저항 혹은 가변저항(2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4)는 이러한 프로그램머블 저항 혹은 가변저항(232)의 저항값을 제어하는 신호를 센서출력부(116)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출력부(116)는 이러한 신호에 따라 프로그래머블 저항 혹은 가변저항(232)을 제어하여 출력저항값을 설정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ler 114 may determine the output resistance value of the sensor output unit 116 according to the received digital data. At this time, the sensor output unit 116 may further include a programmable resistor or a variable resistor 232. The control unit 114 can transmit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resistance value of the programmable moule resistor or the variable resistor 232 to the sensor output unit 116. [ The sensor output section 116 can control the programmable resistance or the variable resistor 232 according to this signal to set the output resistance value.

예를 들어, 제1센서신호(SS1)와 제2센서신호(SS2)를 동일하게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114)는 센서입력부(112)로부터 전달되는 디지털데이터를 이용하여 센서(120)의 저항값을 파악하고 이러한 센서(120)의 저항값과 동일한 저항값으로 센서출력부(116)의 출력저항값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출력부(116)는 이러한 출력저항값으로 프로그래머블 저항 혹은 가변저항(232)을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it is desired to set the first sensor signal SS1 and the second sensor signal SS2 to be the same, the controller 114 controls the sensor 120 using the digital data transmitted from the sensor input unit 112, The resistance value can be determined and the output resistance value of the sensor output section 116 can be determined with the same resistance value as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ensor 120. [ The sensor output section 116 can set the programmable resistance or the variable resistor 232 to such an output resistance value.

저항값, 전류값 혹은 전압값은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가변시킬 수도 있다.The resistance value, the current value or the voltage value may be varied by using a transistor.

도 3b는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출력센서값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의 일 예시 구성도이다.FIG. 3B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xample of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n output sensor value using a transistor.

도 3b를 참조하면, 센서출력부(116)는 반도체스위치(234)를 포함하고 있으면서, 반도체스위치(234)의 출력을 조절하여 출력센서값을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B, the sensor output 116 includes a semiconductor switch 234, which can control the output of the semiconductor switch 234 to control the output sensor value.

반도체스위치(234)의 일측-예를 들어, 에미터 혹은 컬렉터-은 전자장치의 센서입력단자와 연결될 수 있는데, 제어부(114)는 반도체스위치(234)의 베이스전류를 제어하여 출력센서값-저항, 전압 혹은 전류-을 결정할 수 있다.One side of the semiconductor switch 234, for example, an emitter or collector, may be connected to the sensor input terminal of the electronic device, which controls the base current of the semiconductor switch 234, , Voltage or current - can be determined.

반도체스위치(234)가 FET(Field Effect Transistor) 계열의 소자인 경우, 제어부(114)는 반도체스위치(234)의 게이트전압을 제어하여 출력센서값을 결정할 수 있다.When the semiconductor switch 234 is an FET (Field Effect Transistor) type device, the control unit 114 can control the gate voltage of the semiconductor switch 234 to determine the output sensor value.

제어장치는 다른 형태의 소자를 이용하여 출력센서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는 반도체스위치(234) 대신에 프로그래머블 전압원 혹은 프로그래머블 전류원을 포함하고 있으면서, 이러한 프로그래머블 전압원 혹은 프로그래머블 전류원을 제어하여 출력센서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센서출력부는 제2센서신호(SS2)로서 전압을 출력하거나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may determine output sensor values using other types of devices. For example, the control device may include a programmable voltage source or a programmable current source instead of the semiconductor switch 234, and may control the programmable voltage source or the programmable current source to determine the output sensor value. In this embodiment, the sensor output may output a voltage or output a current as the second sensor signal SS2.

도 4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제어장치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ntrol apparatus further including a communication interface.

도 4를 참조하면, 제어장치(110)는 원격제어기(4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4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412)는 원격제어기(42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포함된 제어신호(CTR_MSG)를 제어부(114)로 전달할 수 있다.4, the controller 110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412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remote controller 420. The communication unit 412 may transmit the control signal CTR_MSG included in the data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420 to the control unit 114. [

이때, 제어장치(110)와 원격제어기(420)는 일정한 규약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나, 개발자가 제어장치(110)와 원격제어기(420)를 모두 제작하거나 개발자가 원격제어기(420)의 통신 규약에 맞추어 제어장치(110)를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110 and the remote controller 42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according to a certain protocol, but the developer may produce both the controller 110 and the remote controller 420, Since the control device 110 can be manufactured in accordance with the communication protocol, the conventional problem does not occur.

한편, 제어장치(110)는 이러한 통신부(412)를 이용하여 원격제어기(42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데, 이러한 원격제어기(420)는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기(420)는 이동통신단말일 수 있다. 이러한 예시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하여 제어신호(CTR_MSG)를 제어장치(110)로 전송함으로써 전자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controller 110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ler 420 using the communication unit 412, and the remote controller 420 may be a user terminal. For example, the remote controller 420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is example, the user can control the electronic device 130 by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CTR_MSG to the control device 110 using his / 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다른 예로서, 원격제어기(420)는 다른 전자장치이거나 중앙 제어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예시를 적용할 경우 둘 이상의 전자장치를 포함하는 통합 시스템 구현이 가능하다.As another example, the remote controller 420 may be another electronic device or a central control device. By applying these example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integrated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electronic devices.

한편, 제어장치는 출력되는 제2센서신호(SS2)를 조절함으로써 전자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device can control the electronic device 130 by adjusting the output second sensor signal SS2.

도 5는 센서신호를 조절하여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흐름을 나타내는 제1예시 도면이다.5 is a first exemplary diagram showing a flow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by adjusting a sensor signal.

도 5를 참조하면, 제어장치(110)는 센서(120)로부터 전송되는 제1센서신호(SS1)를 통해 센싱값을 획득할 수 있다(S500). 예를 들어, 센서(120)가 온도센서인 경우, 제어장치(110)는 센서(120)로부터 온도센싱값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장치(110)는 S500 단계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른 혹은 다른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CTR_MSG)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110)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원격제어기(420)로부터 온도설정값을 포함하는 제어신호(CTR_MSG)를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controller 110 may acquire a sensing value through the first sensor signal SS1 transmitted from the sensor 120 (S500). For example, if the sensor 120 is a temperature sensor, the controller 110 may obtain a temperature sensing value from the sensor 120. In step S500, the control device 110 may receive the control signal CTR_MSG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or transmitted from another device. For example, the control device 110 may receive the control signal CTR_MSG including the temperature setting value from the remote controller 42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그리고, 제어장치(110)는 제어신호(CTR_MSG)에 따라 센싱값을 변경할 수 있다(S502). 예를 들어, 제어장치(110)는 제어신호(CTR_MSG)에 따라 온도센싱값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온도센싱값을 변경할 수 있다.Then, the control device 110 can change the sensing valu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CTR_MSG (S502). For example, the control device 110 may change the temperature sensing value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temperature sensing value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CTR_MSG.

그리고, 제어장치(110)는 변경된 센싱값을 전자장치(130)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2센서신호(SS2)를 전자장치(130)로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10 may then output the second sensor signal SS2 to the electronic device 130 so that the electronic device 130 can recognize the changed sensing value.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130)는 변경된 센싱값을 센서(120)의 센싱값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20)의 센서값이 섭씨25도이고 제어장치(110)에 의해 변경 출력되는 센서값이 섭씨26도인 경우, 전자장치(130)는 센서(120)의 센서값이 섭씨26도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전자장치(130)가 냉방기인 경우, 전자장치(130)는 센서값이 섭씨25도인 경우보다 출력을 더 높일 수 있다. 반대되는 예로서, 센서(120)의 센서값이 섭씨25도이고 제어장치(110)에 의해 변경 출력되는 센서값이 섭씨24도이며 전자장치(130)가 냉방기인 경우, 전자장치(130)는 센서값이 섭씨25도인 경우보다 출력을 더 낮출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어장치(110)는 전자장치(130)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30 may recognize the changed sensing value as the sensing value of the sensor 120. [ For example, if the sensor value of the sensor 120 is 25 degrees Celsius and the sensor value modified and output by the controller 110 is 26 degrees Celsius, the electronic device 130 determines that the sensor value of the sensor 120 is 26 degrees Celsius It can be recognized as a figure. At this time, when the electronic device 130 is a cooler, the electronic device 130 can further increase the output value when the sensor value is 25 degrees Celsius. As an opposite example, if the sensor value of the sensor 120 is 25 degrees Celsius and the sensor value changed output by the control device 110 is 24 degrees Celsius and the electronic device 130 is a cooling device, The output can be lower than when the sensor value is 25 degrees Celsius. In this way, the control device 110 can control the output of the electronic device 130. [

실시예에 대한 좀더 구체적인 이해를 위해 센서(120)가 온도센서이고, 전자장치(130)가 냉방기인 실시예의 제어 흐름을 설명한다.For a more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the control flow of the embodiment in which the sensor 120 is a temperature sensor and the electronic device 130 is a cooler is described.

도 6은 센서신호를 조절하여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흐름을 나타내는 제2예시 도면이다.6 is a second exemplary diagram showing a flow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by adjusting a sensor signal.

도 6을 참조하면, 제어장치(110)의 센서입력부(112)는 센서(120)를 통해 온도값을 측정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른 혹은 다른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CTR_MSG)를 수신할 수 있다(S600). 이러한 제어신호(CTR_MSG)에는 설정온도값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4)는 제어신호(CTR_MSG)에 포함된 이러한 설정온도값으로부터 설정온도변화값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4)는 일정한 주기로 제어신호(CTR_MSG)를 수신하고, 현재 시간에 수신되는 제1제어신호에 포함된 설정온도값에서 이전 시간에 수신되는 제2제어신호에 포함된 설정온도값을 차감하여 설정온도변화값을 계산할 수 있다.6, the sensor input 112 of the controller 110 may measure a temperature value through the sensor 120 and receive a control signal CTR_MSG depending on user input or transmitted from another device S600). The control signal CTR_MSG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set temperature value. Then, the control unit 114 can calculate the set temperature change value from the set temperature value included in the control signal CTR_MSG.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4 receives the control signal CTR_MSG at a predetermined cycle, and determines the set temperature value included in the second control signal received at the previous time from the set temperature value included in the first control signal received at the current time, The set temperature change value can be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value.

제어부(114)는 이러한 설정온도변화값의 증감을 판단하고 설정온도변화값이 증가한 경우(S602에서 YES), 온도센싱값을 감소시키고, 센서출력부(116)는 전자장치(130)가 이러한 감소된 온도센싱값을 인식하도록 출력센서값을 설정할 수 있다(S604). 센서(120)는 저항을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120)가 써미스터인 경우, 센서출력부(116)는 제어가능한 온도센서-예를 들어, 가변저항-를 포함하고 있으면서 제어가능한 온도센서를 통해 출력센서값을 설정할 수 있다.When the set temperature change value is increased (YES in S602), the control unit 114 decreases the temperature sensing value, and the sensor output unit 116 causes the electronic device 130 to perform such a decrease The output sensor value may be set to recognize the temperature sensing value (S604). The sensor 120 may be a sensor for measuring resistance. Specifically, when the sensor 120 is a thermistor, the sensor output section 116 may set the output sensor value through a temperature sensor that includes a controllable temperature sensor, for example, a variable resistor, and is controllable.

제어부(114)에서 계산한 설정온도변화값이 감소한 경우(S602에서 NO), 제어부(114)는 온도센싱값을 증가시키고, 센서출력부(116)는 전자장치(130)가 이러한 증가된 온도센싱값을 인식하도록 출력센서값을 설정할 수 있다(S606).The control unit 114 increases the temperature sensing value and the sensor output unit 116 causes the electronic device 130 to perform such an increase in the temperature sensed value as the temperature change value calculated by the control unit 114 decreases (NO at S602) The output sensor value can be set to recognize the value (S606).

S604 및 S606단계는 하나의 단계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제어부(114)는 제어신호(CTR_MSG)를 수신하고 이러한 제어신호를 통해 설정온도변화값을 획득하고 센서(120)를 통해 획득한 온도값에서 설정온도변화값을 빼거나 더하여 출력온도값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가능한 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있는 센서출력부(116)는 이러한 제어가능한 온도센서의 온도값을 전술한 출력온도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Steps S604 and S606 may be performed in one step.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4 may receive the control signal CTR_MSG, obtain the set temperature change value through the control signal, You can determine the output temperature value by adding or subtracting the set temperature change value from one temperature value. In addition, the sensor output section 116 including the controllable temperature sensor can set the temperature value of this controllable temperature sensor to the above-mentioned output temperature value.

도 7 및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제어시스템의 예시 구성도이다.7 and 8 are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s of an electronic devi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전자장치 제어시스템(700)은 동일한 종류의 센서값을 출력하는 제1센서(120a), 제2센서(120b) 및 제3센서(718)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 제어시스템(700)은 제1센서(120a)의 센서값 혹은 제3센서(718)의 센서값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치부(712), 스위치부(712)로부터 출력되는 센서값에 따라 제어되는 전자장치(130),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이러한 제어신호 및 제2센서(120b)의 센서값에 따라 제3센서(718)의 센서값을 제어하는 제어부(7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electronic device control system 700 may include a first sensor 120a, a second sensor 120b, and a third sensor 718 that output sensor values of the same kind. The electronic device control system 700 includes a switch unit 712 for selectively outputting a sensor value of the first sensor 120a or a sensor value of the third sensor 718, , And a control unit 716 for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and controlling the sensor value of the third sensor 718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nd the sensor value of the second sensor 120b .

전자장치 제어시스템(700)은 스위치부(712)를 포함하고 있으면서 이러한 스위치부(712)를 통해 제1센서(120a)의 센서값 혹은 제3센서(718)의 센서값을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부(712)의 제어는 제어부(716)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control system 700 includes a switch unit 712 and can selectively output the sensor value of the first sensor 120a or the sensor value of the third sensor 718 via the switch unit 712 have. The control of this switch unit 712 can be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716. [

스위치부(712)가 제1센서(120a)의 센서값을 전자장치(130)로 출력하는 경우, 전자장치(130)는 일반적인 제어 상황과 동일하게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130)가 히트펌프, 에어컨디셔너, 보일러와 같이 냉열 혹은 온열을 생산하는 장치인 경우, 스위치부(712)가 온도센서인 제1센서(120a)의 센서값을 전자장치(130)로 출력하는 경우, 전자장치(130)는 외부의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제어되는 일반적인 제어 상황과 동일하게 제어될 수 있다.When the switch unit 712 outputs the sensor value of the first sensor 120a to the electronic device 130, the electronic device 130 can be controlled in the same manner as a general control situation. For example, if the electronic device 130 is a device that produces cold or hot heat such as a heat pump, an air conditioner, or a boiler, the switch unit 712 may change the sensor value of the first sensor 120a, which is a temperature sensor, 130, the electronic device 130 can be controlled in the same manner as a general control state controlled using an external temperature sensor.

반면, 스위치부(712)가 제3센서(718)의 센서값을 전자장치(130)로 출력하는 경우, 전자장치(130)의 제어는 제어부(716)에 의해 조절되는 제3센서(718)의 센서값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예시에서 제1센서(120a), 제2센서(120b) 및 제3센서(718)는 모두 저항값을 출력하는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센서(120a) 및 제2센서(120b)는 저항값을 출력하는 써미스터이고, 제3센서(718)는 제어가능한 저항-예를 들어, 가변저항, 좀더 구체적으로 디지털 가변저항기-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witch portion 712 outputs the sensor value of the third sensor 718 to the electronic device 130, the control of the electronic device 130 is controlled by the third sensor 718, which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portion 716, Can be influenced by the sensor value of the sensor. In this example, the first sensor 120a, the second sensor 120b, and the third sensor 718 may all be sensors that output a resistance value. For example, the first sensor 120a and the second sensor 120b are thermistors that output a resistance value, and the third sensor 718 is a controllable resistor-for example, a variable resistor, more specifically a digital variable resistor - can be.

한편, 전자장치(130)는 스위치부(712)로부터 출력되는 센서값을 레퍼런스값과 비교하는 피드백루프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130)는 스위치부(712)로부터 출력되는 온도센서값을 레퍼런스값(온도설정값)과 비교하여 온도제어를 수행하는 피드백루프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electronic device 130 may perform feedback loop control for comparing the sensor value output from the switch unit 712 with a reference value.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30 may perform feedback loop control for performing temperature control by comparing a temperature sensor value output from the switch unit 712 with a reference value (temperature setting value).

제어부((716)가 수신하는 제어신호는 이러한 레퍼런스값에 대응되는 설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130)가 온도설정값을 사용하여 피드백루프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716)는 제어신호를 통해 이러한 온도설정값에 대응되는 설정값을 수신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electronic device 130 performs the feedback loop control using the temperature set value, the control signal received by the control unit 716 may include a set value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716 can receive the set value corresponding to the temperature set value through the control signal.

제어부(716)는 레퍼런스값에 대응되는 설정값에 따라 제3센서(718)의 센서값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716 may control the sensor value of the third sensor 718 according to the set value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value.

일반적으로 센서값과 레퍼런스값의 비교를 통해 피드백루프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피드백루프제어 내에서 레퍼런스값의 증가는 센서값의 감소와 동일한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반대로 이러한 피드백루프제어 내에서 레퍼런스값의 감소는 센서값의 증가와 동일한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Generally, when the feedback loop control is performed through comparison between the sensor value and the reference value, the increase of the reference value within the feedback loop control can produce the same effect as the decrease of the sensor value. Conversely, a reduction in the reference value within this feedback loop control can produce the same effect as the increase in the sensor value.

제어부(716)는 이러한 원리에 따라, 제어신호에 포함된 설정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변하면 제3센서(718)의 센서값이 작아지게 제어하고 설정값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변하면 제3센서(718)의 센서값이 커지게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716 controls the sensor value of the third sensor 718 to be smaller and chang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t value is decreased when the set value included in the control signal increases in accordance with this principle, ) Can be controlled to be larger.

도 7에 도시된 전자장치 제어시스템(700)에서 스위치부(712), 제어부(716) 및 제3센서(718)는 하나의 박스 혹은 패키지에 둘러쌓여 하나의 제어장치(710)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때, 제어장치(710)에는 제2센서(120b)의 센서값을 측정하여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한 후 제어부(716)로 전송하는 센서입력부(112)가 더 위치할 수 있다.In the electronic device control system 700 shown in FIG. 7, the switch portion 712, the control portion 716, and the third sensor 718 are enclosed in one box or package and are included in one control device 710 ≪ / RTI > At this time, the controller 710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input unit 112 for measuring the sensor value of the second sensor 120b, converting the sensor value to digital data, and transmitting the digital data to the controller 716. [

도 8은 전자장치 제어시스템에서 센서입력부(112), 스위치부(712), 제어부(716) 및 제3센서(718)의 패키지가 다르게 형성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8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packages of the sensor input unit 112, the switch unit 712, the control unit 716, and the third sensor 718 are formed differently in the electronic device control system.

도 8을 참조하면, 전자장치 제어시스템(800)은 제1제어장치(810) 및 제2제어장치(820)를 포함하고, 제1제어장치(810)에 스위치부(712)가 위치하고 제2제어장치(820)에 센서입력부(112), 제어부(716) 및 제3센서(718)가 위치할 수 있다.8, the electronic device control system 800 includes a first control device 810 and a second control device 820, in which the switch portion 712 is located in the first control device 810, The sensor input unit 112, the control unit 716, and the third sensor 718 may be located in the control unit 820. [

한편, 제어장치는 전자장치의 설정값을 추정하고 추정된 값을 원격제어기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는 센서입력값을 일정 기간 동안 저장하고 있으면서, 이러한 일정 기간의 센서입력값을 이용하여 전자장치에 설정된 설정값을 추정할 수 있다. 전자장치의 설정값이 일정 시간 동안 변하지 않고, 전자장치에 의한 제어상태가 균형 상태(steady state)에 있는 경우, 센서입력값과 설정값이 동일하거나 일정한 정도의 차이로 유지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원리에 따라, 제어장치는 특정 기간의 센서입력값을 이용하여 전자장치의 설정값을 추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device can estimate the set value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transmit the estimated value to the remote controller. For example, the controller may store the sensor input valu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estimate the set value set in th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ensor input value for the predetermined period. If the set value of the electronic device does not change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control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 is in a steady stat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ensor input value and the set value are maintained at the same or a certain degree of difference. According to this principle, the control device can estimate the set value of th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ensor input value for a specific period.

제어장치는 이러한 추정값을 원격제어기로 전송할 수 있다. 원격제어기는 추정값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거나 제어에 활용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can transmit these estimates to the remote controller. The remote controller can display the estimate to the user or utilize it for control.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제어시스템의 구성도이다.9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w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9를 참조하면, 전력제어시스템(900)은 전력제어기(910), 전력생산장치(920), 전력저장장치(930), 제어장치(940) 및 원격제어기(9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9, a power control system 900 may include a power controller 910, a power production unit 920, a power storage unit 930, a controller 940 and a remote controller 950, .

전력생산장치(930)는 태양광발전기, 풍력발전기 등의 신재생에너지발전기로서 전력제어기(910)에 의해 발전전력의 크기가 제어되지 않는 발전기일 수 있다. 또는 전력생산장치(930)는 디젤발전기, 연료전지발전기 등 전력제어기(910)에 의해 발전전력의 크기가 제어될 수 있는 발전기일 수도 있다.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930 may be a generator that does not control the magnitude of generated power by a power controller 910 as a renewable energy generator such as a solar generator, a wind turbine, or the like. Alternatively,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930 may be a generator capable of controlling the magnitude of generated power by a power controller 910 such as a diesel generator, a fuel cell generator, and the like.

전력저장장치(930)는 전력을 다른 형태로 저장할 수 있는 장치로서, 배터리를 포함하거나 플라이휠과 같은 기계적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storage device 930 is an apparatus that can store power in other forms, including a battery or a mechanical device such as a flywheel.

전력제어기(910)는 전력생산장치(920)의 발전전력(P2) 및 전력저장장치의 충방전전력를 처리하여 전력망으로 입출력시킬 수 있다. 전력망은 전력계통일 수 있고, 부하일 수 있다. 전력망은 교류전력망일 수도 있고, 직류전력망일 수도 있으나 아래에서는 교류전력망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The power controller 910 can process the generated power P2 of the power generating device 920 and the charge / discharge power of the power storage device to input / output to / from the power grid. The power grid can be a power grid, and can be a load. The electric power network may be an AC power network or a DC power network, but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about an AC power network.

전력제어기(910)는 전력망으로 입출력되는 입출력전력(P1)을 미리 설정한 입출력전력설정값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전력생산장치(920) 및/또는 전력저장장치(930)를 제어할 수 있다. 전력제어기(910)는 출력전력(P1)을 증가시키기 위해 전력생산장치(920)의 발전전력(P2)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전력저장장치(930)의 방전전력(P3)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power controller 910 can control the power generating device 920 and / or the power storage device 930 to maintain the input / output power P1 input / output to / from the power network at a predetermined input / output power set value. The power controller 910 may increase the generated power P2 of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920 and increase the discharge power P3 of the power storage apparatus 930 to increase the output power P1 .

한편, 전력생산장치(920)가 신재생에너지발전기와 같이 발전전력의 크기를 제어할 수 없는 발전기이거나, 전력제어기(910)와 전력생산장치(920) 사이에 제어정보의 송수신 경로가 없는 경우, 전력제어기(910)는 입출력전력을 미리 설정한 입출력전력설정값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전력저장장치(930)의 충방전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전력제어기(910)가 전력저장장치(930)를 제어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나, 같은 기술적 사상이 전력생산장치(920)를 제어하는 것에 적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920 is a generator that can not control the magnitude of generated power such as a renewable energy generator, or there is no path for transmitting /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between the power controller 910 and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920, The power controller 910 may control the charge / discharge power of the power storage device 930 to maintain the input / output power at a predetermined input / output power set value. In the foll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power controller 910 controls the power storage device 930 is described, but the same technical idea can be applied to controlling the power generating device 920.

전력제어기(910)는 입출력전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입출력전력값을 입출력전력설정값과 비교하여 피드백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전력제어기(910)는 측정된 출력전력(P1)값이 출력전력설정값보다 작으면 전력저장장치(930)의 방전전력(P3)을 증가시키고, 측정된 출력전력(P1)값이 출력전력설정값보다 크면 전력저장장치(930)의 방전전력(P3)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power controller 910 measures the input / output power and compares the measured input / output power with the input / output power set value to perform feedback control. For example, the power controller 910 may increase the discharge power P3 of the power storage device 930 if the measured output power P1 value is less than the output power setting value, Is greater than the output power setting value, the discharge power P3 of the power storage device 930 can be reduced.

원격제어기(950)가 전력제어기(910)와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호 호환되는 통신프로토콜을 공유하고 있는 경우, 원격제어기(950)는 제어신호를 전력제어기(910)로 전송하여 전력제어기(910)의 입출력전력설정값을 조절할 수 있다.If the remote controller 950 is communicatively coupled to the power controller 910 and shares a mutually compatible communication protocol, the remote controller 950 sends a control signal to the power controller 910 to control the power controller 910 ) Can be adjusted.

원격제어기(950)는 CEMS(Community Energy Management System),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등 여러 장치들의 에너지를 관리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이때, 원격제어기(950)는 각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각 장치들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ler 950 may be a system for managing energy of various devices such as a Community Energy Management System (CEMS) and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BEMS). At this time, the remote controller 95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each of the devices to integrally control the devices.

원격제어기(950)는 전력제어기(910)에도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전력제어기(910)의 입출력전력설정값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런데, CEMS, BEMS와 같은 대규모 시스템에서 일부의 장치-예를 들어, 전력제어기(910)-는 원격제어기(950)와 호환되지 않을 수 있다.The remote controller 950 may also send a control signal to the power controller 910 to control the input and output power settings of the power controller 910. However, in a large scale system such as CEMS, BEMS, some devices - e.g., power controller 910 - may not be compatible with remote controller 950.

도 9에 예시된 전력제어시스템(900)은 제어장치(940)를 이용하여 제어신호의 송수신을 매개할 수 있다.The power control system 900 illustrated in FIG. 9 can mediate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control signals using the control device 940. FIG.

전력제어기(910)는 전력망으로 입출력되는 전력을 측정하기 위해 센서입력단자(912)로 입력되는 센서값에 따라 입출력전력센서값을 계산하고, 입출력전력센서값이 입출력전력설정값을 추종하도록 전력저장장치(930)의 충방전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제어기(910)는 출력전력센서값이 출력전력설정값보다 작으면 전력저장장치(930)의 방전전력(P3)을 증가시키고, 출력전력센서값이 출력전력설정값보다 크면 전력저장장치(930)의 방전전력(P3)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power controller 910 calculates an input / output power sensor value according to a sensor value input to the sensor input terminal 912 to measure power input / output to / from the power network, and stores the input / output power sensor value The charge / discharge power of the device 930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the power controller 910 may increase the discharge power P3 of the power storage device 930 if the output power sensor value is less than the output power setting value, and if the output power sensor value is greater than the output power setting value, The discharge power P3 of the storage device 930 can be reduced.

이때, 전력제어시스템(900)은 센서(902)와 센서입력단자(912) 사이에 제어장치(940)를 배치하여 전력제어기(910)가 제어장치(940)를 통해 간접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power control system 900 places the control device 940 between the sensor 902 and the sensor input terminal 912 so that the power controller 910 can be indirectly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device 940 .

여기서, 제어장치(940)에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들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Here, all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may be applied to the controller 940.

제어장치(940)는 원격제어기(95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데이터를 통해 원격제어기(950)로부터 입출력전력설정값에 대응되는 제어신호(CTR_MSG)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장치(940)는 센서(902)의 센서값(SS1)을 읽어들여 전력망을 센싱하고, 전력제어기(910)에서 전력망으로 입출력되는 입출력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94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the remote controller 950 and receives the control signal CTR_MSG corresponding to the input and output power setting value from the remote controller 950 through the data. The controller 940 reads the sensor value SS1 of the sensor 902 and senses the power network and calculates the input and output power to be input to and output from the power controller 910 to the power grid.

여기서, 센서값(SS1)은 전력망으로 입출력되는 전류의 크기에 대응되는 값일 수 있다. 제어장치(940)는 센서값과 미리 설정된 전압값을 곱하여 입출력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전력제어기(910)도 같은 방식으로 센서입력단자(912)로 입력되는 센서값을 전력망으로 입출력되는 전류의 크기에 대응되는 값으로 인식하고, 이러한 센서값과 미리 설정된 전압값을 곱하여 입출력전력센서값을 계산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전압값은 전력계통의 전압-예를 들어, 220Vac-일 수 있다.Here, the sensor value SS1 may be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input / output to / from the power grid. The controller 940 may calculate the input / output power by multiplying the sensor value by a preset voltage value. The power controller 910 also recognizes the sensor value input to the sensor input terminal 912 as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input to and output from the power network, multiplies the sensor value by a preset voltage value, Can be calculated. The predetermined voltage value may be the voltage of the power system, for example, 220Vac-.

제어장치(940)는 계산된 입출력전력값에 원격제어기(950)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CTR_MSG)를 반영하여 입출력전력수정값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장치(940)는 전력제어기(910)가 입출력전력수정값을 입출력전력센서값으로 인식하도록 입출력전력수정값에 대응되는 출력센서값(SS2)을 전력제어기(910)의 센서입력단자(912)로 출력시킬 수 있다.The controller 940 may generate the input / output power correction value by reflecting the control signal CTR_MSG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950 to the calculated input / output power value. The control unit 940 outputs the output sensor value SS2 corresponding to the input / output power correction value so that the power controller 910 recognizes the input / output power correction value as the input / output power sensor value, 912).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제어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대한 일 예시 흐름도이다.10 is an exemplary flowchar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pow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장치는 센서값과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000).Referring to FIG. 10, the control device may receive the sensor value and the control signal (S1000).

그리고, 제어장치는 제어신호에서 입출력전력설정값의 증감을 확인하고(S1002), 출력전력설정값이 증가한 경우(S1002에서 YES), 센서값을 감소시켜 출력전력센서값을 생성하고 이를 전력제어기의 센서입력단자로 출력시킬 수 있다(S1004). 반대로, 제어장치는 출력전력설정값이 감소한 경우(S1002에서 NO), 센서값을 증가시켜 출력전력센서값을 생성하고 이를 전력제어기의 센서입력단자로 출력시킬 수 있다(S1006).When the output power setting value is increased (YES in S1002), the controller decreases the sensor value to generate an output power sensor value, and outputs the output power sensor value to the power controller Can be output to the sensor input terminal (S1004). On the contrary, when the output power setting value is decreased (NO in S1002), the control device increases the sensor value to generate the output power sensor value and output it to the sensor input terminal of the power controller (S1006).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제어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대한 다른 예시 흐름도이다.11 is another exemplary flow char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pow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yet another embodiment.

도 11을 참조하면, 전력망으로 입출력되는 전력을 센싱하는 센서의 센서값(SS1)은 제1변환부(1110)로 전달되어 입출력전력값(P1)으로 변환된다.11, a sensor value SS1 of a sensor that senses power input to and output from a power network is transferred to a first converter 1110 and converted into an input / output power value P1.

그리고, 입출력전력값(P1)은 제2변환부(1120)에 의해 제어신호(CTR_MSG)에 포함된 입출력전력설정값의 변화값(ΔP1set)에 따라 수정되어 입출력전력수정값(P1')으로 변환된다. 예를 들어, P1' = P1 - ΔP1set을 만족할 수 있다.The input / output power value P1 is modified by the second conversion unit 1120 according to the change value AP1set of the input / output power setting value included in the control signal CTR_MSG, and converted into the input / output power correction value P1 ' do. For example, P1 '= P1 -? P1set can be satisfied.

제1변환부(1110) 및 제2변환부(1120)는 제어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장치는 제어신호(CTR_MSG)를 통해 입출력전력설정값의 변화값(ΔP1set)을 획득하고, 입출력전력값(P1)에 변화값(ΔP1set)을 빼거나 더하여 입출력전력수정값(P1')을 생성할 수 있다.The first converter 1110 and the second converter 1120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ler. The control device obtains the change value AP1set of the input / output power set value through the control signal CTR_MSG and subtracts or adds the change value AP1set to the input / output power value P1 to generate the input / output power modification value P1 ' can do.

입출력전력수정값(P1')은 피드백제어를 위해 비교기(1130)에 의해 입출력전력설정값(P1set)과 비교될 수 있다. 비교기(1130)는 입출력전력설정값(P1set)과 입출력전력수정값(P1')의 차이에 해당되는 값을 제3변환기(1140)로 전송하고, 제3변환기(1140)는 입출력전력설정값(P1set)과 입출력전력수정값(P1')의 차이에 해당되는 값을 충방전전력설정값(P3set)에 반영하여 전력저장장치(930)로 송신할 수 있다.The input / output power correction value P1 'may be compared with the input / output power set value P1set by the comparator 1130 for feedback control. The comparator 1130 transmits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put / output power setting value P1set and the input / output power modification value P1 'to the third converter 1140, and the third converter 1140 transmits the input / And the input / output power modification value P1 'to the power storage device 930 by reflecting the value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put / output power setting value P3set and the input / output power modification value P1'.

비교기(1130) 및 제3변환기(1140)는 전력제어기에 포함될 수 있다. 전력제어기는 전력저장장치에 대한 현재 시간의 충방전전력설정값(P3set(n))이 이전 시간의 충방전전력설정값(P3set(n-1))보다 변화값(ΔP1set)만큼 변동되도록 전력저장장치(93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mparator 1130 and the third converter 1140 may be included in the power controller. The power controller sets the charge / discharge power setting value P3set (n) of the current time to the power storage device so that it is changed by the change value AP1set from the charge / discharge power set value P3set (n-1) The device 930 can be controlled.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제어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12 is a hardware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w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2를 참조하면, 전력제어시스템(900)에서, 전력제어기(910)는 AC/DC변환기(1214) 및 전력제어부(121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력생산장치(920)는 발전기(1222) 및 DC/DC변환기(1224)를 포함할 수 있고, 전력저장장치(930)는 배터리관리부(1232), 배터리(1234) 및 DC/DC변환기(1236)를 포함할 수 있다.12, in a power control system 900, a power controller 910 may include an AC / DC converter 1214 and a power controller 1212.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920 may include a generator 1222 and a DC / DC converter 1224 and the power storage 930 may include a battery management unit 1232, a battery 1234, and a DC / DC converter 1236).

전력생산장치(920)는 DC/DC변환기(1224)를 통해 발전기(1222)에서 발전된 전력을 DC링크로 출력시킬 수 있다. 전력생산장치(920)가 전력제어기(910)에 의해 발전전력의 크기가 제어되지 않는 발전기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발전기(1222)에서 생산된 발전전력은 모두 DC링크로 전달될 수 있다.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920 can output the power generated by the generator 1222 via the DC / DC converter 1224 to the DC link. When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920 includes a generator whose power generation amount is not controlled by the power controller 910, all the generated power generated by the generator 1222 can be transmitted to the DC link.

전력저장장치(930)는 DC/DC변환기(1236)를 통해 배터리(1234)에 저장된 전력을 DC링크로 출력시키거나, DC링크에 형성된 전력을 배터리(1234)로 충전시킬 수 있다. 이때, 배터리관리부(1232)는 DC/DC변환기(1236)를 제어하여 배터리(1234)의 충방전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관리부(1232)는 배터리(1234)의 SOC(State-of-Charge)를 모니터링하고, 배터리(1234) SOC정보를 전력제어기(910)로 공유할 수 있다.The power storage device 930 can output the power stored in the battery 1234 via the DC / DC converter 1236 to the DC link or charge the battery 1234 with the power formed on the DC link. At this time, the battery management unit 1232 can control the charge / discharge power of the battery 1234 by controlling the DC / DC converter 1236. Also, the battery management unit 1232 may monitor the state-of-charge (SOC) of the battery 1234 and share the SOC information of the battery 1234 with the power controller 910.

전력제어기(910)는 AC/DC변환기(1214)를 통해 DC링크의 전력을 전력망으로 출력시킬 수 있다. 혹은 전력제어기(910)는 AC/DC변환기(1214)를 통해 전력망의 전력을 DC링크로 전달할 수 있다. AC/DC변환기(1214)를 통해 입출력되는 전력은 전력제어부(121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전력제어부(1212)는 제어장치(940)를 통해 간접적으로 전달되는 원격제어기(950)의 제어신호 및 배터리(1234)의 SOC정보를 반영하여 AC/DC변환기(1214)의 입출력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The power controller 910 can output the power of the DC link to the power grid through the AC / DC converter 1214. [ Alternatively, the power controller 910 may communicate the power of the power grid to the DC link via the AC / DC converter 1214. The power input / output through the AC / DC converter 1214 can be controlled by the power controller 1212. The power controller 1212 can control the input / output power of the AC / DC converter 1214 by reflecting the control signal of the remote controller 950 indirectly transmitted through the controller 940 and the SOC information of the battery 1234 have.

한편, 전력제어부(1212)는 전력생산장치(920)의 발전전력을 측정하여 전력저장장치(930)의 충방전전력에 대한 제어에 사용할 수 있다. 전력제어부(1212)는 센서(1202)를 통해 전력생산장치(920)의 발전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전력제어부(1212)는 발전전력의 증감을 반영하여 충방전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전력제어부(1212)는 입출력전력이 입출력전력설정값에 따라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발전전력이 증가하면 충방전전력이 감소하도록 제어하고, 발전전력이 감소하면 충방전전력이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power control unit 1212 may measure the generated power of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920 and use it for controlling the charge / discharge power of the power storage apparatus 930. The power control unit 1212 can measure the generated power of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920 through the sensor 1202. [ The power control unit 1212 can control the charge / discharge power by reflecting the increase / decrease of the generated power. For example, the power controller 1212 controls the charge / discharge power to decrease when the generated power increases so that the input / output power is kept constant according to the input / output power set value, and controls the charge / discharge power to increase when the generated power decreases .

한편, 제어장치는 전력제어기의 설정값을 추정하고 추정된 값을 원격제어기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는 전력제어기에서 전력망으로 입출력되는 입출력전력값을 일정 기간 동안 저장하고 있으면서, 이러한 일정 기간에 저장된 입출력전력값을 이용하여 전력제어기에 설정된 입출력전력설정값을 추정할 수 있다. 전력제어기의 설정값이 일정 시간 동안 변하지 않는 경우, 전력제어기에서 입출력되는 입출력전력값과 입출력전력설정값이 동일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원리에 따라, 제어장치는 특정 기간에 측정한 입출력전력값을 이용하여 전력제어기에 설정된 입출력전력설정값을 추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어장치는 전력저장장치의 충방전전력설정값도 추정할 수 있다. 전력제어기의 입출력전력설정값이 추정되고, 전력생산장치의 발전전력이 측정되는 경우, 입출력전력설정값에서 발전전력을 뺀 값으로 충방전전력설정값이 추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device can estimate the set value of the power controller and transmit the estimated value to the remote controller. For example, the controller can estimate the input / output power set value set in the power controller by using the input / output power value stored in the certain period while storing the input / output power value input / output to / from the power network from the power controller for a predetermined period. If the set value of the power controller does not chang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input / output power value input / output in the power controller is equal to the input / output power set value. According to this principle, the controller can estimate the input / output power set value set in the power controller using the input / output power value measured in a specific period. Furthermore, the control device can also estimate the charge / discharge power setting of the power storage device. When the input / output power set value of the power controller is estimated and the generated power of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is measured, the set value of the charge / discharge power can be estimated by subtracting the generated power from the input / output power set value.

제어장치는 이러한 추정값을 원격제어기로 전송할 수 있다. 원격제어기는 추정값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거나 전력제어기 및 전력저장장치의 제어에 활용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can transmit these estimates to the remote controller. The remote controller can display the estimate to the user or utilize it to control the power controller and power storage devic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제어시스템 및 제어장치에 관해 설명하였다. 이러한 전자장치 제어시스템 및 제어장치에 의하면, 별도의 제어신호 송수신 규약을 이용하지 않고 외부에서 전자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자장치 제어시스템 및 제어장치에 의하면, 전자장치에 대한 변형-예를 들어, 제어신호 인터페이스를 추가하거나 변경-없이 외부에서 해당 전자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The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system and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such an electronic device control system and control device, an electronic device can be controlled from the outside without using a separate control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protocol. And, with such an electronic device control system and control device, a modification to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controlled externally without adding or changing a control signal interface, for example.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comprising", or "having" as used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mean that the constituent element can be implant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should be construed as further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5)

전력생산장치의 발전전력 및 전력저장장치의 충방전전력을 처리하여 전력망으로 출력시키고, 센서입력단자로 입력되는 값에 따라 출력전력센서값을 계산하며, 상기 출력전력센서값이 출력전력설정값을 추종하도록 상기 전력저장장치의 상기 충방전전력을 제어하는 전력제어기; 및
원격제어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를 통해 상기 원격제어기로부터 상기 출력전력설정값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전력망을 센싱하여 상기 전력제어기에서 상기 전력망으로 출력되는 출력전력값을 계산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전력값을 수정하여 출력전력수정값을 생성하고, 상기 전력제어기가 상기 출력전력수정값을 상기 출력전력센서값으로 인식하도록 상기 출력전력수정값에 대응되는 출력센서값을 상기 전력제어기의 상기 센서입력단자로 출력시키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생산장치는 상기 발전전력을 DC링크로 출력하고, 상기 전력저장장치는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상기 DC링크로 방전시키거나 상기 DC링크에 형성된 전력을 상기 배터리로 충전시키고, 상기 전력제어기는 상기 DC링크의 전력을 상기 전력망으로 출력시키고,
상기 전력제어기는, 상기 센서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상기 출력센서값에 따라 상기 출력전력센서값을 계산하고, 상기 출력전력센서값이 상기 출력전력설정값보다 작으면 상기 전력저장장치의 방전전력이 증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출력전력센서값이 상기 출력전력설정값보다 크면 상기 전력저장장치의 상기 방전전력이 감소하거나 상기 전력저장장치의 충전전력이 증가하도록 제어하는
전력제어시스템.
The power generation device of the power generation device processes the charge and discharge power of the power storage device and outputs the charge and discharge power to the power network and calculates the output power sensor value according to the value input to the sensor input terminal, A power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charge / discharge power of the power storage device to follow the power storage device; And
Receiving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utput power setting value from the remote controller through the data, sensing the power network, calculating an output power value output from the power controller to the power network, Generating an output power correction value by modifying the output power valu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nd outputting the output sensor value corresponding to the output power correction value so that the power controller recognizes the output power correction value as the output power sensor value And a control device for outputting to the sensor input terminal of the power controller,
Wherein the power generation device outputs the generated power to a DC link, the power storage device discharges the power stored in the battery to the DC link or charges the battery with power formed in the DC link, DC link to the power grid,
Wherein the power controller calculates the output power sensor value according to the output sensor value input to the sensor input terminal and increases the discharge power of the power storage device when the output power sensor value is less than the output power setting value And controls the discharge power of the power storage device to decrease or the charge power of the power storage device to increase if the output power sensor value is greater than the output power setting value
Power control syste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전력망으로 출력되는 상기 출력전력값을 저장하고 특정 기간에 저장된 상기 출력전력값을 이용하여 상기 전력제어기에 설정된 상기 출력전력설정값을 추정하는 전력제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device includes:
Wherein the output power value output to the power network is stored and the output power set value set in the power controller is estimated using the output power value stored in a specific peri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출력전력설정값의 변화값을 획득하고, 상기 출력전력값에 상기 변화값을 빼거나 더하여 상기 출력전력수정값을 생성하는 전력제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device includes:
Obtains a change value of the output power setting value through the control signal, and subtracts or adds the change value to the output power value to generate the output power correction valu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제어기는,
상기 전력저장장치에 대한 현재 시간의 충방전전력설정값이 이전 시간의 상기 충방전전력설정값보다 상기 변화값만큼 변동되도록 상기 전력저장장치를 제어하는 전력제어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ower controller comprises:
Wherein the power storage device controls the power storage device so that the charge / discharge power set value of the current time for the power storage device is changed by the change value from the charge / discharge power set value of the previous ti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생산장치는 상기 전력제어기에 의해 상기 발전전력의 크기가 제어되지 않는 발전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제어기는 상기 전력생산장치의 상기 발전전력을 측정하여 상기 전력저장장치의 상기 충방전전력에 대한 제어에 사용하는 전력제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includes a generator in which the magnitude of the generated power is not controlled by the power controller,
Wherein the power controller measures the generated power of the power generation device and uses the measured power to control the charge / discharge power of the power storage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제어기는,
상기 발전전력이 증가하면 상기 방전전력이 감소하거나 상기 충전전력이 증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발전전력이 감소하면 상기 방전전력이 증가하거나 상기 충전전력이 감소하도록 제어하는 전력제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ower controller comprises:
Controls the discharge power to decrease or the charge power to increase when the generated power increases, and controls the discharge power to increase or the charge power to decrease when the generated power decrea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전력망으로의 출력전력을 센싱하는 센서와 상기 전력제어기를 연결하는 측정신호도선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센서로부터 제1센서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센서의 센서값을 측정하는 센서입력부;
상기 원격제어기와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를 통해 상기 원격제어기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제어신호 및 상기 센서의 센서값에 따라 상기 출력센서값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력제어기의 상기 센서입력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출력센서값을 상기 전력제어기의 상기 센서입력단자로 출력하되, 상기 제1센서신호와 동일한 종류의 제2센서신호로 상기 출력센서값을 출력하는 센서출력부
를 포함하는 전력제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device includes:
A sensor for sensing output power to the power grid and a measurement signal conductor connecting the power controller,
A sensor input unit connected to the sensor and receiving a first sensor signal from the sensor and measuring a sensor value of the sensor;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data to and from the remote controller and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ler through the data;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the output sensor valu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nd the sensor value of the sensor; And
And outputting the output sensor value to the sensor input terminal of the power controller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sensor input terminal of the power controller and outputting the output sensor value to a second sensor signal of the same type as the first sensor signal Sensor output
/ RTI >
삭제dele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입력부는 상기 센서의 저항값을 측정하고,
상기 센서출력부는 상기 센서입력단자와 연결되는 가변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상기 출력센서값으로 설정하는 전력제어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ensor input unit measures a resistance value of the sensor,
Wherein the sensor output includes a variable resistor connected to the sensor input terminal and sets the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to the output sensor valu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출력부는 상기 센서입력단자와 연결되는 반도체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반도체스위치의 베이스전류 혹은 게이트전압을 제어하여 상기 출력센서값을 결정하는 전력제어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ensor output section includes a semiconductor switch connected to the sensor input terminal and controls the base current or gate voltage of the semiconductor switch to determine the output sensor valu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입력부는,
상기 센서로 전류를 제공하고 상기 센서의 전압을 측정하는 아날로그센싱파트 및
상기 아날로그센싱파트에서 측정된 값을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제어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ensor input unit,
An analog sensing part for providing current to the sensor and measuring the voltage of the sensor, and
And an analog-to-digital conversion part for converting a value measured in the analog sensing part into digital dat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142203A 2015-11-04 2016-10-28 Control system for electronic device, control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and power control system Active KR1018702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12555 WO2017078416A1 (en) 2015-11-04 2016-11-03 Electronic device control system, control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and power contro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412 2015-11-04
KR20150154412 2015-1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116A KR20170053116A (en) 2017-05-15
KR101870252B1 true KR101870252B1 (en) 2018-06-27

Family

ID=58739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203A Active KR101870252B1 (en) 2015-11-04 2016-10-28 Control system for electronic device, control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and power control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25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12161A (en) 2011-04-08 2014-05-19 エス・エム・アー・ゾラール・テヒノロギー・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Optimized load managemen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266B1 (en) * 2010-02-26 2011-12-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Electric power storage system and control method
KR101632353B1 (en) * 2012-11-13 2016-06-21 주식회사 엘지화학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and discharging of secondary batter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12161A (en) 2011-04-08 2014-05-19 エス・エム・アー・ゾラール・テヒノロギー・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Optimized load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116A (en) 2017-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23370B2 (en) Power supply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JP6471766B2 (en) Battery control system
Christakou et al. GECN: Primary voltage control for active distribution networks via real-time demand-response
CN105706325B (en) Grid frequency response
KR101611301B1 (en) A smart server and smart device
CN103383411B (en) Measure the method and module of the waveform frequency change rate in relation to wind turbine generator converter unit
US20120223670A1 (en) Power control device, power control method, and power supply system
JP6003048B2 (en) Power generator
CN111033872A (en) Charging method and charging device
CN104935027B (en) System for being charged using power supply adjustment system to the battery of energy-storage system
JP2017500836A (en) Charging method and charging system
WO2021006274A1 (en) Grid interconnection device and server
AU2025201806A1 (en) Power system and power control device
US10666053B2 (en) Control system for voltage regulation device
JP6531501B2 (en) Battery control unit
KR101870252B1 (en) Control system for electronic device, control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and power control system
JP2019176544A (en) Collection device, and power data interpolation method
JP2019534675A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commercial power grid
CN118003946A (en) New forms of energy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acquisition fills electric pile control system
KR20190133826A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JP6257388B2 (en) Power supply system
CN118575387A (en) Storage battery management device, storage battery system, and storage battery management method
KR102185856B1 (en) Hybrid power system using fuel cell and secondary cell
KR101155044B1 (en) Small-sized wind power generating power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by
JP6499238B2 (en) Management system,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6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6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