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9296B1 - Brake structure of desk lift - Google Patents
Brake structure of desk lif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69296B1 KR101869296B1 KR1020160148100A KR20160148100A KR101869296B1 KR 101869296 B1 KR101869296 B1 KR 101869296B1 KR 1020160148100 A KR1020160148100 A KR 1020160148100A KR 20160148100 A KR20160148100 A KR 20160148100A KR 101869296 B1 KR101869296 B1 KR 1018692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 wheel
- lock pin
- gear housing
- ge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2—Writing-tables with vertically-adjustable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2—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vertical adjustable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A47B2009/046—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with gearbox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4—Top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기어하우징; 제1기어치가 형성된 출력축이 상기 기어하우징에 수용되는 모터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기어치가 상기 제1기어치와 맞물리도록 상기 기어하우징에 수용 배치되되,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둘러싸며 어느 일 측면에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는 휠부; 상기 휠부가 노출되는 상기 기어하우징을 덮는 케이지부; 상기 휠부의 일 측면에 배치되되, 상기 케이지부의 내주면과 이웃하는 상기 돌기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락핀; 및 상기 락핀의 배치 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관통공에 삽입 결합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데스크 리프트의 브레이크 구조를 제공한다.Gear housing; A motor portion in which an output shaft having the first gear teeth formed therein is housed in the gear housing; A wheel portion accommodated in the gear housing so that a second gear tooth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engaged with the first gear tooth, a through hole formed at the center, a through-hole surrounding the through hole, and a plurality of projections formed on one side; A cage covering the gear housing to which the wheel is exposed; A lock pin disposed on one side of the wheel portion and movably dispos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ge portion and the adjacent projection; And a shaft inserted and coupled to the through hole in parallel with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lockpins.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판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책상에서 상판이 그 자체의 무게 등으로 인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브레이크 구조를 갖는 데스크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sk lift having a brake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a top plate from descending due to its own weight or the like, on a desk whose height is controlled.
책상은 신체 조건, 작업 환경 등에 따라 상판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자신의 힘으로 직접 상판을 들어 올리거나 눌러 내려 원하는 높이를 갖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책상의 다리 부분에 전기 모터, 기어 등을 포함하는 동력 전달 요소를 배치한 후 단지 조절 버튼을 누름으로써 그 높낮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The desk has a function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top plate depending on the physical condition, working environment,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user can adjust the lift to have the desired height by lifting or pressing the top plate directly with his own force.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the power transmission element including the electric motor, the gear, and the like in the leg portion of the desk and then adjust the height by simply pressing the adjustment button.
다만, 후자의 경우처럼 반자동식 높낮이 조절 책상은 상판을 상승 또는 하강시킨 후 상판이 그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브레이크 구조를 더 포함하였다. 그런 기능을 갖는 다양한 구조 중 토션 스프링 등을 포함하는 구조가 있었다. 그러나, 토션 스프링은 그 형상의 특성상 일 회전 방향으로 풀리거나 감기는 특성으로 인해 토션 스프링이 감기는 방향에서는 전기 모터에 대한 구동 전류의 크기가 풀리는 방향에서와 달리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However, as in the latter case, the semi-automatic height adjusting desk further includes a kind of brake structure that allows the top plate to be stably supported at the position after raising or lowering the top plate. Among various structures having such a function, there is a structure including a torsion spring or the like. Howev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ape of the torsion spr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current for the electric motor increas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orsion spring is wound, unlike in the unwinding direction.
또한, 토션 스프링은 반복적인 사용에 따라 탄성력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다는 문제점, 토션 스프링이 감기는 방향과 달리 풀리는 방향으로 상판이 이동하는 경우 상판의 이동을 정지시키지 못한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In addition, the torsion spring has a problem that the magnitude of the elastic force is not constant depending on the repeated use, and the problem that the movement of the top plate can not be stopped when the top plate moves in the unwinding direction is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torsion spring is wound.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데스크 리프트의 반복적인 승하강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브레이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브레이크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브레이크 구조는 내마모성이 강하며, 리프트의 승하강시에 추가적인 부하를 제공하지 않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rake structure capable of providing a stable brake function despite repeated rise and fall of the desk lift. Further, the brake structure is strong in abrasion resistance, and is intended to provide no additional load when lifting the lif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기어하우징; 제1기어치가 형성된 출력축이 상기 기어하우징에 수용되는 모터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기어치가 상기 제1기어치와 맞물리도록 상기 기어하우징에 수용 배치되되,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둘러싸며 어느 일 측면에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는 휠부; 상기 휠부가 노출되는 상기 기어하우징을 덮는 케이지부; 상기 휠부의 일 측면에 배치되되, 상기 케이지부의 내주면과 이웃하는 상기 돌기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락핀; 및 상기 락핀의 배치 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관통공에 삽입 결합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데스크 리프트의 브레이크 구조를 제공한다.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ear housing comprising: a gear housing; A motor portion in which an output shaft having the first gear teeth formed therein is housed in the gear housing; A wheel portion accommodated in the gear housing so that a second gear tooth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engaged with the first gear tooth, a through hole formed at the center, a through-hole surrounding the through hole, and a plurality of projections formed on one side; A cage covering the gear housing to which the wheel is exposed; A lock pin disposed on one side of the wheel portion and movably dispos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ge portion and the adjacent projection; And a shaft inserted and coupled to the through hole in parallel with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lockpins.
상기 제1기어치는 웜기어이고, 상기 출력축이 회동하면 상기 휠부는 상기 출력축과 직교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The first gear teeth are worm gears, and when the output shaft rotates, the wheel unit can rotat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output shaft.
상기 관통공은 각 꼭지점 부근에 라운딩이 형성되는 삼각기둥 형상이고, 상기 돌기는 상기 꼭지점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The through-hole may have a triangular prism shape in which a round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each vertex, and the protrusion may be disposed at the vertex position.
상기 샤프트가 미리 설정되는 정지각도 범위 이내에서 회동하면, 상기 락핀은 상기 샤프트의 일 측면과 상기 케이지부의 내주면 사이에 끼워지면서 상기 샤프트의 회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When the shaft rotates within a preset stop angle range, the lock pin can be interposed between one side of the shaft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ge portion, thereby stopping the rotation of the shaft.
상기 정지는 복수 개의 상기 락핀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The stopping may be performed by any one of the plurality of lockpin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ffects including the following can be expec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cessarily achieve the following effects.
일 실시예에 따른 데스크 리프트의 브레이크 구조는 강체 재질을 갖는 락핀을 사용하여 반복적인 사용에도 안정적인 브레이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락핀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구조는 내마모성이 강하고 종래 토션 스프링을 사용하던 방식과 달라 모터부를 구동시키는 구동 전류의 크기는 리프트의 승하강시에 추가적인 부하를 제공하지 않는다.The brake structure of the desk lif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provide a stable brake function even in repetitive use by using a lock pin having a rigid material. In addition, the brake structure including the lockpin is strong in abrasion resistance, and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using the torsion springs,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current for driving the motor portion does not provide an additional load when lifting the lif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스크 리프트의 브레이크 구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절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대한 일부 정면도.
도 5는 도 2의 휠부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의 정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ake structure of a desk li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Figure 4 is a partial front view of Figure 3;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heel portion of Fig. 2;
6 is a front view of a shaf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스크 리프트의 브레이크 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대한 일부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휠부에 대한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ake structure of a desk li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heel portion of Fig.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데스크 리프트의 브레이크 구조는 기어하우징(10), 모터부(20), 휠부(30), 케이지부(40), 락핀(50), 샤프트(60)를 포함한다. 데스크 리프트는 책상의 상판 하면과 결합되는 책상 다리에 배치된다. 상판은 데스크 리프트의 작동에 따라 그 높낮이가 조절된다. 전술한 것처럼, 브레이크 구조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특정 높이를 갖도록 조절된 상판이 그 자체의 하중 등으로 인해 하측으로 내려가는 방지하기 위한 용도를 갖는다.1 to 5, the brake structure of the desk lift includes a
기어하우징(10)은 상판의 상하 방향 리프팅과 브레이크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일련의 구성 요소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기어하우징(10)은 크게 모터부(20)의 출력축(22)과 휠부(30)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구분된다.The
모터부(20)는 전기모터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즉, 모터부(20)는 외부 전원에 의해 공급되는 전기를 통해 구동되는 일종의 동력 발생 수단이다. 모터부(20)는 출력축(22)을 통해 동력을 제공한다. 출력축(22)에는 제1기어치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부(20)는 출력축(22) 부분이 기어하우징(10)에 수용된다. 이는, 모터부(20) 본체가 별도 케이스 등에 수용되어 있다는 점, 모터부(20) 본체의 크기를 감안하고,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는 출력축(22) 부분에 대한 한정적인 보호 필요성 등을 고려한 것이다.An example of the
이 때, 제1기어치는 출력축(22)에 수직 방향으로 기어치가 배열되는 웜기어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기어치는 출력축(22)과 소정 경사를 갖는 기어치가 배열되는 헬리컬기어일 수 있다. 즉, 기어치의 형상은 상판의 하중 등을 고려하여 기어치 등에 가해지는 부하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gear may be a worm gear whose gear teeth are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휠부(30)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의 톱니 구조를 갖는다. 즉, 휠부(30)에는 외주면에 제2기어치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휠부(30)의 중앙에는 관통공(32)이 형성되며, 관통공(32)을 둘러싸며 어느 일 측면에는 복수 개의 돌기(34)가 형성되어 있다.The
제2기어치는 제1기어치와 맞물리는 부분으로 동력은 출력축(22)의 회동에 따라 출력축(22)에서 휠부(30)로 전달된다. 따라서, 제2기어치는 제1기어치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된다.The second gear teeth are engaged with the first gear teeth, and the power is transmitted from the
관통공(32)은 샤프트(60)가 삽입 결합되기 위한 부분이다. 관통공(32)은 예를 들어 삼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관통공(32)의 횡단면적은 삼각형 특히 정삼각형 모양을 갖게 된다. 이 때, 관통공(32)의 각 꼭지점 부근에는 라운딩이 형성된다. 즉, 삼각기둥 형상에서 측면 모서리 부근은 모 따기 등이 되어 곡면으로 형성된다.The through-
돌기(34)는 라운딩 처리된 각 꼭지점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돌기(34)는 3개 배치된다. 이런 돌기(34)는 최소 3개 이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34)는 휠부(30)에 일체 형성될 수 있다. 돌기(34)는 휠부(30)와 케이지부(40) 사이의 공간을 분할하는 역할을 한다. 그 결과, 각 분할된 공간 내에 배치되는 락핀(50)을 통해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브레이크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The
특징적 요소를 갖는 휠부(30)는 제1기어치와 맞물리도록 기어하우징(10)에 수용된다. 특히, 휠부(30)는 출력축(22)과 그 회동 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출력축(22)이 회동하면 휠부(30)는 출력축(22)과 직교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The
케이지부(40)는 기어하우징(10)을 통해 노출되는 휠부(30) 특히 돌기(34) 등이 형성되어 있는 일 측면을 덮는 역할을 한다. 즉, 케이지부(40)는 휠부(30)의 형상에 대응되는 바, 원형 캡의 형상을 갖는다. 케이지부(40)는 기어하우징(10)에 볼트 등의 고정구를 사용하여 기어하우징(10)에 체결될 수 있다. 케이지부(40)의 내측면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내주면을 갖는다.The
락핀(50)은 원기둥 형상이며 금속 재질 등으로 형성된다. 락핀(50)은 휠부(30) 중 특히 돌기(34)가 형성되어 있는 일 측면에 세워진 상태로 배치된다. 즉, 락핀(50)의 하면이 휠부(30)의 일 측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더 한정하면 락핀(50)은 이웃하는 돌기(34) 사이에 배치된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돌기(34)는 3개 형성되는 바, 그 사이 사이에 배치되는 락핀(50) 역시 3개가 요구된다. 락핀(50)은 휠부(30)에 배치된 상태에서 돌기(34)의 높이보다 작거나 돌기(34)의 높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전술한 것처럼 케이지부(40)는 기어하우징(10)에 체결된다. 이 때, 케이지부(40)의 내주면과 돌기(34)의 외측면은 서로 대향하며, 돌기(34)의 상면은 케이지부(40)를 구성하는 본체 즉, 덮개 부분의 하면과 소정 간극을 갖는다. 그 결과, 케이지부(40)가 기어하우징(10)에 체결되면 케이지부(40)의 내주면과 휠부(30) 사이의 공간은 돌기(34)에 의해 분할되는데, 이 때 각 분할되는 공간에 락핀(50)이 배치된다.The
다만, 락핀(50)은 고정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외부 전원이 모터부(20)에 인가되어 출력축(22)이 회동함에 따라 휠부(30)가 회동하면 각 분할 공간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돌기(34)에 의해 가압되어 함께 회동한다. 다만, 모터부(20)가 아닌 샤프트(60)의 회동에 따라 휠부(30)가 회동하면 락핀(50)은 브레이크 기능을 제공한다. 이와 관련되는 구체적 설명은 이하 다시 상술한다.When the
샤프트(60)는 일단이 휠부(30)의 관통공(32)에 삽입 결합되며 휠부(30)의 회동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회동한다. 즉, 샤프트(60)는 락핀(50)의 배치 방향과 평행하게 휠부(3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샤프트(60)의 타단은 상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데스크의 다리 측에 결합되어 외부 전원이 모터부(20)에 인가됨에 따라 샤프트(60)가 회동하면 데스크의 다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One end of the
일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60)는 관통공(32)에 대응하여 횡단면이 정삼각형 모양을 갖는다. 즉, 샤프트(60)의 측면은 락핀(50)과 접촉되는 3개의 평탄면(62)을 포함한다. The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60)의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60)에는 각 평탄면(62)의 양 측에 소정의 경사 각도를 갖는 경사평탄면(64)이 더 형성된다. 경사평탄면(64)을 더 포함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6 is a front view of a
락핀(50)에 의한 브레이크 기능은 샤프트(60)가 미리 설정되는 정지각도 범위 이내에서 회전될 때, 락핀(50)이 돌기(34)와 케이지부(40)의 내주면 사이에 끼워져 샤프트(60)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할 때 발생된다. 그리고, 이런 브레이크 상태가 안정적으로 지속되기 위해서는 락핀(50)이 적어도 2개 이상 필요하다. 그런데, 샤프트(60)의 접촉면이 평탄면(62)으로만 형성된다면 락핀(50)은 샤프트(60) 측에 끼워지기 이전에 오히려 튕겨 나가기가 더 쉬워진다.The brake function by the
이를 설명하기 위해 샤프트(60)의 회전에 따른 샤프트(60)의 센터에서 평탄면(62)까지의 거리를 측정해보면, 샤프트(60)가 평탄면(62)만으로 형성될 때 샤프트(60)의 회전에 따른 직선거리(L)는 계속적으로 증가한다. 그러나, 락핀(50)이 금속성 재질로 형성된 경우 직선거리(L)가 계속적으로 증가하면 락핀(50)은 안정적으로 끼워질 수 없다.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이를 위해, 실제 설계시에 락핀(50)의 직경, 접촉되는 부분에 대한 마찰 계수 등을 고려해야 한다. 특히, 락핀(50)이 안정적으로 끼워질 수 있는 안정 구간은 샤프트(60), 케이지부(40), 락핀(50)이 모두 강체인 점을 고려하면 상당히 작을 것이다.For this purpose, the diameter of the
이를 반영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60)의 측면은 락핀(50)이 접촉되는 평탄면(62)의 양 측에 경사평탄면(64)을 형성하여 경사평탄면(64)이 시작되는 위치부터 직선거리(L)가 완만하게 증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샤프트(60)의 회전에 따라 락핀(50)이 튕겨 나갈 가능성은 현저하게 감소한다.The side surface of the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스크 리프트의 브레이크 구조에 대한 작동 방법을 설명한다. 이를 위해, 외부 전원이 인가되어 모터부(20)가 상판을 승강시키는 방향으로 구동되는 경우에 대해 다시 설명한다. 모터부(20)의 출력축(22)이 회동하면 이와 맞물려 있는 휠부(30)가 회동한다. 그리고, 휠부(30)의 관통공(32)에 삽입 결합되어 있는 샤프트(60)가 동일 방향으로 회동하면 데스크의 다리 부분의 길이는 조절된다.Hereinafter, an operation method for a brake structure of a desk li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 this end, the case where the external power source is applied and the
즉, 모터부(20)의 출력축(22)이 먼저 구동되는 경우 락핀(50) 등에 의한 브레이크 기능은 발현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판이 소정 높이에 도달된 후 외부 전원의 인가가 중단되면 상판 자체의 무게는 샤프트(60)를 회동시키려는 하중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 때, 샤프트(60)가 소정 미세각도 범위 이내에서 회동하면 락핀(50)은 샤프트(60)의 일 측면과 케이지부(40)의 내주면 사이에 끼워지면서 샤프트(60)의 회동을 정지시킨다.That is, when the
즉, 원기둥 형상의 락핀(50) 외주면은 샤프트(60)의 회동에 따라 움직임이 발생하는데 샤프트(60)의 평탄면(62) 및 케이지부(40)의 내주면과 선 접촉에 따른 마찰력에 의해 락핀(50)은 어느 순간 샤프트(60)와 케이지부(40) 사이에 끼워지면서 그 움직임이 정지하게 된다. 그 결과, 샤프트(60)의 회동에 브레이크가 걸리면서 샤프트(60)는 정지하게 된다.That i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shaped
샤프트(6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은 복수 개의 락핀(50)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핀(50)은 3개 배치되는데, 락핀(50)은 각각 서로 다른 움직임을 갖는 바, 브레이크의 기능은 그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The rotation of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 기어하우징 20: 모터부
30: 휠부 40: 케이지부
50: 락핀 60: 샤프트
62: 평탄면 64: 경사평탄면
22: 출력축 32: 관통공
34: 돌기10: gear housing 20: motor section
30: wheel part 40:
50: Lactpin 60: Shaft
62: flat surface 64: inclined flat surface
22: output shaft 32: through hole
34: projection
Claims (5)
제1기어치가 형성된 출력축이 상기 기어하우징에 수용되는 모터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기어치가 상기 제1기어치와 맞물리도록 상기 기어하우징에 수용 배치되되, 중앙에 각 꼭지점 부근이 라운딩되어 형성되는 삼각기둥의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각 꼭지점의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는 휠부;
상기 휠부가 노출되는 상기 기어하우징을 덮는 케이지부;
상기 휠부의 일 측면에 배치되되, 상기 케이지부의 내주면과 이웃하는 상기 돌기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락핀; 및
상기 락핀의 배치 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관통공에 삽입 결합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가 미리 설정되는 정지각도 범위 이내에서 회동하면, 상기 락핀은 상기 샤프트의 일 측면과 상기 케이지부의 내주면 사이에 끼워지면서 상기 샤프트의 회동을 정지시키는 데스크 리프트의 브레이크 구조.
Gear housing;
A motor portion in which an output shaft having the first gear teeth formed therein is housed in the gear housing;
A through hole having a shape of a triangular pillar formed by being received in the gear housing so that a second gear teeth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engaged with the first gear teeth and rounded around each vertex is formed at the center, A wheel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projections arranged therein;
A cage covering the gear housing to which the wheel is exposed;
A lock pin disposed on one side of the wheel portion and movably dispos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ge portion and the adjacent projection; And
And a shaft inserted and coupled to the through hole in parallel with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lock pin,
Wherein when the shaft rotates within a predetermined stop angle range, the lock pin is interposed between one side of the shaft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ge portion to stop the rotation of the shaft.
상기 제1기어치는 웜기어이고,
상기 출력축이 회동하면 상기 휠부는 상기 출력축과 직교 방향으로 회동하는 데스크 리프트의 브레이크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gear teeth are worm gears,
And when the output shaft rotates, the wheel portion rotate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output shaft.
상기 정지는 복수 개의 상기 락핀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이루어지는 데스크 리프트의 브레이크 구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op is made by any one of the plurality of lockpin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48100A KR101869296B1 (en) | 2016-11-08 | 2016-11-08 | Brake structure of desk lif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48100A KR101869296B1 (en) | 2016-11-08 | 2016-11-08 | Brake structure of desk lif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1733A KR20180051733A (en) | 2018-05-17 |
KR101869296B1 true KR101869296B1 (en) | 2018-06-21 |
Family
ID=62486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48100A Expired - Fee Related KR101869296B1 (en) | 2016-11-08 | 2016-11-08 | Brake structure of desk lif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69296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41742A (en) * | 1998-07-29 | 2000-02-15 | Hakusan Mfg Co Ltd | System desk |
JP2005121184A (en) * | 2003-10-20 | 2005-05-12 | Omron Healthcare Co Ltd | Actuator |
KR200402367Y1 (en) * | 2005-06-24 | 2005-11-30 | 주식회사 남강엔지니어링 | a speed reducer |
KR100830416B1 (en) * | 2004-02-26 | 2008-05-20 | 지멘스 비디오 오토모티브 코포레이션 | Bi-directional friction clutch assembly for electric motors to prevent backdrive |
KR20140114118A (en) * | 2013-03-18 | 2014-09-26 | 삼인싸이언스(주) | High and low controller of lab tabl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353930B2 (en) * | 2005-02-10 | 2008-04-08 |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Us, Inc. | Bi-directional friction clutch or brake assembly for transmissions |
KR100775626B1 (en) | 2007-07-02 | 2007-11-13 | (주)대우가구 | Lecture desk |
KR100869944B1 (en) | 2008-02-28 | 2008-11-24 | (주)대우가구 | Lecture desk |
KR101516405B1 (en) | 2014-12-17 | 2015-05-06 | 송단비 | movable desk for bad |
-
2016
- 2016-11-08 KR KR1020160148100A patent/KR10186929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41742A (en) * | 1998-07-29 | 2000-02-15 | Hakusan Mfg Co Ltd | System desk |
JP2005121184A (en) * | 2003-10-20 | 2005-05-12 | Omron Healthcare Co Ltd | Actuator |
KR100830416B1 (en) * | 2004-02-26 | 2008-05-20 | 지멘스 비디오 오토모티브 코포레이션 | Bi-directional friction clutch assembly for electric motors to prevent backdrive |
KR200402367Y1 (en) * | 2005-06-24 | 2005-11-30 | 주식회사 남강엔지니어링 | a speed reducer |
KR20140114118A (en) * | 2013-03-18 | 2014-09-26 | 삼인싸이언스(주) | High and low controller of lab tab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1733A (en) | 2018-05-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95155B2 (en) | Torque limiter and drive device | |
KR101869296B1 (en) | Brake structure of desk lift | |
JP6854226B2 (en) | Brake device for vehicle seat adjuster | |
CN111605459A (en) | A seat armrest assembly adjustment device | |
US3255796A (en) | Retainer mechanism | |
US11014473B2 (en) | Adjustable height limiter | |
JPH0567458B2 (en) | ||
JP4993225B2 (en) | Torque release mechanism of operation handle | |
JP6799944B2 (en) | Cloaking device | |
JP6760647B2 (en) | Fixing device | |
JP5329683B2 (en) | Contactless potentiometer | |
JPH0527765B2 (en) | ||
KR101530607B1 (en) | Computer table equipped with means for safely elevating monitor | |
KR100606771B1 (en) | Height adjustment stand for the monitor | |
JP4926772B2 (en) | Actuator and image projection apparatus using the actuator | |
KR200441760Y1 (en) | Slip Gear Unit | |
CN220964378U (en) | Tilting mechanism and treasured charges | |
JP4552003B2 (en) | Height adjustment device | |
US5638925A (en) | Jerk arresting mechanism | |
JP2005282014A (en) | Handrail device | |
KR20210059085A (en) | Power ascender with variable rope drum | |
KR102127091B1 (en) | Rope type elevator apparatus | |
JP7083462B2 (en) | Cloaking device | |
CN222439882U (en) | Rocker device | |
JP4132443B2 (en) | Speed govern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3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31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6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6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