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69200B1 - Movable Belt Buckle - Google Patents

Movable Belt Buck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9200B1
KR101869200B1 KR1020170106861A KR20170106861A KR101869200B1 KR 101869200 B1 KR101869200 B1 KR 101869200B1 KR 1020170106861 A KR1020170106861 A KR 1020170106861A KR 20170106861 A KR20170106861 A KR 20170106861A KR 101869200 B1 KR101869200 B1 KR 101869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buckle
fixing
pushing member
p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8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차수
Original Assignee
김차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차수 filed Critical 김차수
Priority to KR1020170106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20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20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06Attachment of buckle to strap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16Strap held by spr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벨트 고정공과 버클사이의 간격조절로 벨트의 길이조정이 가능한 벨트버클은, 표면에 복수의 고정공이 천공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밴드; 일 측에 상기 고정공에 체결되는 후크가 구비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폭방향 양 측에 각각 기립 형성되는 벽부와, 한 쌍의 상기 벽부를 통해 지지되어 상기 베이스부와의 사이에 상기 밴드가 삽입되는 밴드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상부를 포함하되, 상기 벽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연장된 슬라이드 홈이 형성된 버클; 상기 슬라이드 홈에 양 단이 각각 끼워진 상태로 한 쌍의 상기 벽부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밴드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기 밴드를 눌러 상기 베이스부에 밀착시키는 푸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elt buckle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belt by adjusting the interval between the belt fixing hole and the buck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a plurality of fixing holes perforated on the surface; A base portion having hooks to be fastened to the fixing holes on one side thereof; a wall portion which is form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and which is supported by a pair of the wall portions, A buckle having a slide groove extending through the wall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ckle; And a pushing member which is mounted slidably between a pair of the wall portions in a state where both ends are fitted to the slide groove and which presses the band inserted into the band insertion space and presses the band against the base portion .

Description

벨트 고정공과 버클사이의 간격조절로 벨트의 길이조정이 가능한 벨트버클{Movable Belt Buckl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lt buckle,

본 발명은 벨트 고정공과 버클사이의 간격조절로 벨트의 길이조정이 가능한 벨트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자가 신체변화에 적응 가능하도록 밴드의 길이를 조절 가능함과 동시에 풀림현상도 예방토록 한 벨트 고정공과 버클사이의 간격조절로 벨트의 길이조정이 가능한 벨트버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lt buckle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of a belt by adjusting a gap between a belt fixing hole and a buck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lt buckle capable of adjusting a length of a band so that a wearer can adapt to body changes To a belt buckle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belt by adjusting the interval between the belt fixing hole and the buckle.

일반적으로 혁대는 버클과 밴드의 결합수단으로 버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고리나 돌출부를 형성하고, 밴드에는 일정 간격으로 천공된 결합공과 결착된 밴드 끝단을 고정하는 고정띠를 형성하여, 고리나 돌출부를 결합공에 체결할 수 있도록 된 일명 후크형 타입을 기본으로 한다.Generally, a strap forms a ring or a projection which is pivotally coupled to a buckle by a combination of a buckle and a band, and a band is provided with a fixing band for fixing the band edge fixed to the combining hole punctur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hook type type which is capable of fastening the projecting portion to the engagement hole.

이러한 후크형 타입의 문제점은 장기간 사용 시 버클에 형성된 고리나 돌출부에 체결되는 밴드의 결합공이 늘어나거나 찢어지는 등 혁대의 변형이나 파손으로 인한 문제점이 있고, 일정 간격으로 천공된 결합공은 착용자의 신체적인 변화에 따라 혁대의 길이를 인체에 알맞도록 미세하게 조정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천공된 결합공에 맞지 않을 경우에는 착용자가 별도의 구멍을 뚫어야 하는 문제점이 따른다.The problem of such a hook-type type is that there is a problem due to deformation or breakage of the strap such as stretching or tearing of the joining hole of the band to be fastened to the ring or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buckle for a long period of u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ength of the strap can not be finely adjusted to fit the human body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trap and that the wearer has to drill a separate hole if the strap does not fit the perforated hole.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상황별로 내지 신체변화 별로 기존 맞추어진 결합상태가 더 조여지거나 느슨해져야 할 경우가 발생 시 이러한 고정구조는 즉시 변화에 대응되어 적용하기 어려웠다.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apply this fixed structure in response to immediate change when there is a case in which the previously fitted joint state has to be tightened or loosen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r body change in daily life.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버클에 형성된 톱니형상의 가압부가 밴드에 밀착되도록 하여 혁대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방식인 슬라이딩 타입의 버클이 개발되었으나, 이 슬라이딩 타입의 경우는 가압부의 밀착정도에 따라 결합되므로 반복적으로 사용하다 보면, 가압부의 톱니가 무뎌지게되어 밴드가 미끄러져 결착력이 점차 약해지므로 착용자의 작은 신체의 변화에도 혁대가 느슨해지게 되어, 격렬한 운동을 하는 경우에는 혁대가 풀리는 폐단이 따른다.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 sliding type buckle has been developed, which is a type in which a serrated pressing portion formed on a buckl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a band to fix a strap. However, in the case of this sliding type, As a result of repeated use, when the teeth of the pressing portion become dull, the band slips and the binding force gradually weakens, so that the belt is loosened even when the wearer's small body changes. In case of intense exercise, The pulleys are closed.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벨트 버클이 개발되고 있다.Accordingly, various belt buckles capable of solving such problems have been developed.

먼저 한국 등록 실용신안 20-0470117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은 기존 버클에 사용되는 고리 또는 돌출부 즉, 후크형 버클과 톱니형상으로 이루어져 밴드를 톱니가 가압하여 고정하는 슬라이딩 타입의 버클을 함께 결합하여 후크형 버클과 슬라이딩 타입 버클의 문제점을 동시에 해소할 수 있도록 하여 착용자가 신체변화에 적응가능하도록 혁대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혁대가 자연스럽게 풀리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착용자가 상황에 따라 길이 조절도 가능하면서 풀림현상도 예방토록 한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관한 것이다.First, th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70117, 'the belt buckle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is a hook or buckle used in the conventional buckle, that is, a hook type buckle and a sawtooth type, and a sliding type buckle for fixing the band by pressing the teeth So that the length of the strap can be adjusted so that the wearer can adapt to the change of the body, and at the same time, the phenomenon that the strap naturally loosens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To a belt buckle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buckle to prevent the loosening phenomenon.

이러한 버클은 착용자의 신체변화에 적응 가능하도록 혁대의 길이조절이 가능하지만, 지정된 위치로만 버클의 이동이 가능하여 미세조정이 어려우므로 제대로된 착용자 맞춤식의 조절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Such a buckle is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belt so as to be adaptable to the body change of the wearer. However, since the buckle can be moved only to the designated position, fine adjustment is difficult.

또,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 20-0292972호 ‘가변버클’은 착용자의 복부압의 변화에 맞게 길이조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변버클로서 편리한 사용이 가능토록함을 특징으로한 것이며,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허리밴드와 버클이 구비되며 착용자의 복부압에 따라 신축되는 버클에 있어서, 허리밴드의 일측단부가 고정되는 고정클램프(100)와 허리밴드의 타측단부가 삽입되어 허리둘레의 사이즈에 맞게 조절되는 가동클램프(200)가 상기 고정클램프로부터 형성되는 연결바아(150)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연결바아에는 탄성부재(151)가 삽입되어져 착용자의 복부압에 따라 상기 고정클램프(100)가 연결바아(150)를 따라 이동됨을 기술적 요지로하여 식전/식후 복부의 변화에 맞게 길이조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이점을 가지는 가변버클에 관한 것이다.Also, th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92972 'variable buck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conveniently used as a variable buckle for adjusting the length according to the change of abdomen pressure of the wearer. For this purpose, The buckle includes a waist band and a buckle. The buckle includes a fixing clamp 100 to which one end of the waistband is fixed and another end of the waistband to be inserted into the buckle, The movable clamp 200 is coupled by the connecting bar 150 formed from the fixed clamp and the elastic bar 151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bar so that the fixing clamp 10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ng bar 150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buckle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length adjustment is automatically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the abdomen after pre-meal / post-meal.

이러한 구성의 경우, 벨트줄의 연장을 위해 버클을 이중으로 구성해야하므로 버클 제작비용이 높아지며, 그만큼 불필요하게 버클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단점이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buckle needs to be formed in a double structure in order to extend the belt lin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buckle is increased and the thickness of the buckle is unnecessarily increased.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간단한 푸싱 조작을 통해 버클에 삽입된 밴드의 길이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above-described technique, an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length of a band inserted into a buckle through a simple pushing oper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버클에 삽입된 밴드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rmly fix the band inserted into the buckl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밴드가 버클에 고정된 이후에도 고정된 위치를 계속해서 유지하여 풀림을 방지하는 물리적 결합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hysical coupling arrangement that keeps the fixed position continuously after the band is secured to the buckle to prevent loosen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러한 물리적 결합구성 이외에도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밀착구성을 추가로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ose contact structure capable of fixing a position in addition to such a physically coupled structur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러한 고정상태를 해제할 때에 밴드를 버클로부터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ucture that enables the band to be easily removed from the buckle when releasing this fixed stat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벨트 고정공과 버클사이의 간격조절로 벨트의 길이조정이 가능한 벨트버클은, 표면에 복수의 고정공이 천공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밴드; 일 측에 상기 고정공에 체결되는 후크가 구비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폭방향 양 측에 각각 기립 형성되는 벽부와, 한 쌍의 상기 벽부를 통해 지지되어 상기 베이스부와의 사이에 상기 밴드가 삽입되는 밴드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상부를 포함하되, 상기 벽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연장된 슬라이드 홈이 형성된 버클; 상기 슬라이드 홈에 양 단이 각각 끼워진 상태로 한 쌍의 상기 벽부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밴드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기 밴드를 눌러 상기 베이스부에 밀착시키는 푸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belt buckle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of a belt by adjusting a distance between a belt fixing hole and a buck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a plurality of fixing holes perforated on the surface; A base portion having hooks to be fastened to the fixing holes on one side thereof; a wall portion which is form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and which is supported by a pair of the wall portions, A buckle having a slide groove extending through the wall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ckle; And a pushing member which is mounted slidably between a pair of the wall portions in a state where both ends are fitted to the slide groove and which presses the band inserted into the band insertion space and presses the band against the base portion .

나아가, 상기 벨트버클은, 상기 밴드의 끝단 주변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안착되는 한 쌍의 고정부와, 한 쌍의 상기 고정부의 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고정부와의 사이에 상기 푸싱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푸싱 고정부 및, 상기 밴드와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결합시키는 패스너로 이루어진 밴드 연장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elt buckle further includes a pair of fixing portions which are respectively seat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in the vicinity of the end of the band and the ends of the pair of fixing portions are connected and the pushing member And a fastener for fastening the band and the fastener through the fastening part.

더하여, 상기 벨트버클은, 상기 밴드의 끝단 주변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안착되는 한 쌍의 고정부와, 한 쌍의 상기 고정부의 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고정부와의 사이에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푸싱 고정부 및, 상기 안착공간에 상기 푸싱부재와 평행하게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푸싱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 사이의 간격보다 큰 폭을 갖는 밴드 결합봉과, 상기 밴드와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결합시키는 패스너로 이루어진 밴드 연장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elt buckle includes a pair of fixing portions, which are respectively seat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in the vicinity of the end of the band, and the ends of the pair of fixing portio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band connecting rod inserted into the seating space in parallel with the pushing member and having a width larger than a distance between the pushing member and the base portion; And a band extender made of a fastener.

덧붙여, 상기 푸싱부재는, 한 쌍의 상기 벽부 사이에 원통형으로 연장된 것으로서, 상기 푸싱 고정부를 눌러 상기 베이스부에 밀착시키는 메인 바와, 상기 메인 바의 길이방향 단부 각각으로부터 내측으로 함입된 끼움 홈 및, 상기 끼움 홈의 내측에 삽입되어 탄성을 제공하는 푸시 스프링과, 상기 푸시 스프링에 끼움 결합되어 승강하는 것으로서, 상기 끼움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버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외주면 일 측에서 돌출된 것으로서, 상기 벽부의 밴드 삽입공간측 표면을 눌러 상기 메인 바를 고정하는 패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ushing member may include a main bar extending in a cylindrical shape between the pair of wall portions and pressing the pushing fixture portion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ase portion, And a push spring which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to provide elasticity, and a push spring which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and extend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uckle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And a packing part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ing part and fixing the main bar by pressing the surface of the wall part on the band insertion space side.

본 발명에 따른 벨트 고정공과 버클사이의 간격조절로 벨트의 길이조정이 가능한 벨트버클은,The belt buckle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belt by adjusting the interval between the belt fixing hole and the buck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간단한 푸싱 조작을 통해 버클에 삽입된 밴드의 길이 조절을 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고,1) Providing a structure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band inserted into the buckle through a simple pushing operation,

2) 버클에 삽입된 밴드를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고,2) providing a configuration capable of fixing the band inserted in the buckle,

3) 밴드가 버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수단의 물리적 결합구성을 제공하며,3) provide a physical coupling configuration of the fastening means so that the band can remain fixed to the buckle,

4) 물리적 결합구성 외에도 밴드가 버클 내부에 밀착되어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고,4) In addition to the physical coupling configuration, a band can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buckle to fix the position,

5) 나아가 이러한 고정상태를 해제할 때에는 상기한 구성들이 존재함에도 밴드를 버클로부터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도록 한다.5) Further, when releasing the fixed state, a configuration is provided in which the band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buckle even in the presence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벨트 고정공과 버클사이의 간격조절로 벨트의 길이조정이 가능한 벨트버클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벨트 고정공과 버클사이의 간격조절로 벨트의 길이조정이 가능한 벨트버클에서 버클과 밴드의 결합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버클과 밴드의 결합부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푸싱부재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푸싱부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버클에 완충재를 적용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7은 밴드에 클리커 커버를 적용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밴드에 클리커 커버를 적용하여 조립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ic configuration of a belt buckle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of a belt by adjusting the interval between the belt fixing hole and the buck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lt buck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lt buckle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of a belt by adjusting a gap between a belt fixing hole and a buck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stru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buckle and the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ic structure of a pushing member.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ushing member.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cushioning material is applied to a buckle;
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clip cover is applied to a band.
8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clicer cover is applied to a ban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various drawings refer to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벨트 고정공과 버클사이의 간격조절로 벨트의 길이조정이 가능한 벨트버클(200)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벨트 고정공과 버클사이의 간격조절로 벨트의 길이조정이 가능한 벨트버클(200)에서 버클(200)과 밴드(100)의 결합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버클(200)과 밴드(100)의 결합부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ic configuration of a belt buckle 200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of a belt by adjusting the interval between the belt fixing hole and the buck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buckle 200 and the band 100 in the belt buckle 200 in which the length of the belt can be adjusted. And FIG.

도 1과 2를 모두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벨트 고정공과 버클사이의 간격조절로 벨트의 길이조정이 가능한 벨트버클(200)은, 표면에 복수의 고정공(110)이 천공된 밴드(100)와, 일 측 단부 주변에는 폭방향을 따라 연장 돌출된 걸림부(630)가 형성된 버클(200)로 구성되되, 이 버클(200)은 다시 베이스부(210)와, 베이스부(210)의 폭방향 양 측에 각각 기립 형성되는 벽부(220)와, 한 쌍의 벽부(220)를 통해 지지되어 베이스부(210)와의 사이에 밴드(100)가 삽입되는 밴드 삽입공간(240)을 형성하는 상부(230)를 포함하되, 벽부(22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연장된 슬라이드 홈(221)이 형성되고, 베이스부(210)의 측면 일 측에는 고정공(110)에 체결되는 후크(21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1 and 2, a belt buckle 200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of a belt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belt fixing hole and the buck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nd (not shown) having a plurality of fixing holes 110 The buckle 200 includes a base portion 210 and a base portion 210. The buckle 200 includes a base portion 210 and a base portion 210. The buckle 200 includes a base portion 210, A band insertion space 240 is formed in which the band 100 is inserted between the base portion 210 and the pair of wall portions 220, A slide groove 221 extending through the wall 2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and a hook 211 fastened to the fixing hole 11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ide of the base 210 ) Is provided.

즉, 밴드(100)의 경우 가죽이나 합성수지, 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밴드(100)는 착용자의 허리둘레를 감쌀 수 있도록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갖는다. 이 때, 밴드(100)의 표면에는 복수의 고정공(110)이 천공되되, 이 고정공(110)은 밴드(100)의 연장된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형성될 수도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착용자의 허리를 둘러싸는 용도이기 때문에 모든 표면에 다 고정공(110)이 형성될 필요는 없다고 할 수 있다.That is, the band 100 may be made of leather, synthetic resin, cloth, etc. Generally, the band 100 has a shape elongated so as to cover the waist of the wearer. At this time, a plurality of fixing holes 110 are formed in the surface of the band 100, and the fixing holes 110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band 100, but basically, It can be said that it is not necessary to form the fixing holes 110 on all the surfaces because it is the application for surrounding the waist.

다음으로, 이 밴드(100)를 채워 고정시킬 수 있는 버클(200)의 구성이 더 포함된다. 버클(200)은, 기본적으로 베이스부(210)와, 베이스부(210)의 양 측에 기립된 한 쌍의 벽부(220)와, 이 벽부(220)에 의해 지지되는 상부(230)를 포함하여, 베이스부(210)와 상부(230) 및 한 쌍의 벽부(220)로 둘러싸인 밴드 삽입공간(240)이 형성된 것을 의미하되, 더 나아가 베이스부(210)의 측면 일 측에는 앞서 밴드(100)에 형성된 고정공(110)에 체결되는 후크(211)가 구비되어 벨트 체결이 가능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 버클(200)의 형태는 후크(211)를 제외하면 일반적으로 육면체에서 전후면을 제외한 형태를 가지며, 관통된 면 중 적어도 한 면으로부터 밴드(100)가 삽입되도록 하고, 반대측 면에는 후크(211)가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구조라고 할 수 있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buckle 200 that can fix and fix the band 100 is further included. The buckle 200 basically includes a base portion 210, a pair of wall portions 220 standing on both sides of the base portion 210 and an upper portion 230 supported by the wall portion 220 A band insertion space 240 surrounded by the base part 210 and the upper part 230 and the pair of wall parts 220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base part 210. Further, And a hook 211 to be fastened to the fixing hole 110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fixing hole 110 is provided. Therefore, the shape of the buckle 200 has a shape except for the front and rear faces of the cube, except for the hook 211. The buckle 200 allows the band 100 to be inserted from at least one side of the through- It is the most preferable structure that the first electrode 211 is located.

나아가 버클(200)의 양 벽부(220)는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연장된 슬라이드 홈(2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슬라이드 홈(221)에는 푸싱부재(300)의 양 단이 각각 끼워져 슬라이드 홈(22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다만, 이 푸싱부재(300)와 버클(200)의 베이스부(210) 사이의 공간은 밴드(100)가 눌려진 상태로 들어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 혹은 밴드(100)의 높이와 거의 동일한 수준의 공간만을 가지게 되며, 따라서 푸싱부재(300)가 밴드(100)를 눌러 베이스부(210)에 밀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만,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슬라이드 홈(221)과 베이스부(210) 사이의 간격을 밴드(100)보다 넓게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때에는 슬라이드 홈(221)에서 일정 간격마다 베이스부(210)를 향해 분기되어 관통 연장된 보조홈(미도시)을 더 형성하여, 이 보조홈에 푸싱부재(300)의 양 단을 끼웠을 때, 보다 밴드(100)의 표면을 누르기 용이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Further, the both wall portions 220 of the buckle 200 are each formed with a slide groove 221 extending through the longitudinal direction. Both ends of the pushing member 300 are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221 and are coupled to move along the slide groove 221. The space between the pushing member 300 and the base portion 210 of the buckle 200 may be a size enough to allow the band 100 to enter and pass therethrough or a height substantially equal to the height of the band 100 So that the pushing member 300 can be pressed against the base portion 210 by pressing the band 100. As a result,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gap between the slide groove 221 and the base 210 may be wider than the band 100. In this case, (Not shown) which is branched and extended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pushing member 210 so that the surface of the band 100 can be pressed more easily when both ends of the pushing member 300 are fitted into the auxiliary groove Of course it is possible.

나아가, 벨트버클(200)은 밴드(100)의 끝단 주변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안착되는 한 쌍의 고정부(251)와, 밴드(100)와 고정부(251)를 전부 관통하여 결합되는 패스너(252)와, 고정부(251)의 단부를 연결하여 푸싱부재(300)가 삽입될 수 있는 푸싱부재(300) 안착공간(254)을 형성하는 푸싱 고정부(253)로 이루어진 밴드 연장체(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밴드 연장체(250)는 푸싱부재(300)에 고정되어 밴드(100)를 고정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패스너(252)는 바람직하게는 탈착 가능한 볼트/너트 방식 혹은 단추 방식의 결합체로 이루어져 밴드(100)를 자유롭게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밴드(100)가 헤지거나 혹은 밴드(100)의 전체 길이를 변경하길 원하는 경우 이 패스너(252)를 풀어 밴드(100)를 교체 또는 조절하고 다시 패스너(252)를 조여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The belt buckle 200 further includes a pair of fastening portions 251 that are respectively seat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ound the ends of the band 100 and fasteners 251, And a pushing member 253 formed of a pushing fixing part 253 which forms a seating space 254 of the pushing member 300 into which the pushing member 300 can be inserted by connecting ends of the fixing part 251, ). The band extender 250 is fixed to the pushing member 300 to fix the band 100 wherein the fastener 252 is preferably composed of a detachable bolt / So that it can be freely replaced. The band 100 can be replaced or adjusted and the fastener 252 can be tightened again by releasing the fastener 252 if the band 100 is to be deflected or to change the overall length of the band 100 .

이 밴드 연장체(250)는 도 3에 나타난 것처럼 푸싱 고정부(253)에 밴드 결합봉(255)이 삽입/장착되어 벽부(220) 사이에 고정되는 구성을 갖추는 것을 기본으로 하되, 도 2와 같이 밴드 결합봉(255) 대신 푸싱부재(300)가 푸싱 고정부(253)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밴드 결합봉(255)이 구비된 상태에서 별도로 푸싱부재(300)가 슬라이드 홈(221)에 끼워져 푸싱부재(300)가 밴드 연장체(250)를 누르는 구성은 도 3에, 밴드 결합봉(255) 대신 푸싱부재(300)를 직접 푸싱 고정부(253)에 끼움으로서 푸싱부재(300)가 이를 누르는 구성은 도 2에 나타난 것이다. 도 2의 경우에는 별도로 구성이 하나로 통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용이하고, 도 3의 경우에는 밴드 결합봉(255)이 별도로 구비되기 때문에 밴드 연장체(250)를 버클(200)로부터 떼내어 교체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는 구성이다. 여기서 밴드 결합봉(255)은 밴드 연장체(250)가 버클(200)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푸싱부재(300)가 밴드 연장체(250) 또는 밴드(100)을 눌러 위치를 고정시킬 때에 이 푸싱부재(300)와 베이스 부(210) 사이의 간격보다 큰 폭을 갖는 봉의 형태를 가져 일종의 걸림턱의 역할을 하여 밴드 연장체(250) 또는 밴드(10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다.(물론 강한 힘으로 푸싱부재(300)를 밀어내면 이 밴드 결합봉(255)을 넘길 수도 있지만, 이러한 강한 힘을 가하는 경우는 밴드 연장체(250)가 헤지는 등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 한정되는 것이므로 크게 고려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푸싱부재(300)와 함께 슬라이드 홈(221)에 끼워져 고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밴드 결합봉(255)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밴드 연장체(250)가 버클(200)의 밴드 삽입공간(240)으로부터 최대로 뽑혀 나왔을 때 이 밴드 결합봉(255)이 외부로 보여질 수 있어 미관상 좋지 않기 때문에 버클(200)의 상부(230)와 베이스의 길이를 벽부(220)보다 길게 형성하여 밴드 결합봉(255)을 어느 정도 가릴 수 있는 구성을 더 갖출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 두 가지의 구성은 서로 교환 가능한 구성임은 물론이며,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구성이라고 할 수 있겠다. 다만, 이어지는 설명에서는 도 2의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이러한 구성들은 모두 도 3의 형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shown in FIG. 3, the band extender 250 has a structure in which a band coupling rod 255 is inserted into a pushing and fixing part 253 to be fixed between the wall parts 220 as shown in FIG. 3, It is possible for the pushing member 300 to be fitted to the pushing and fixing part 253 in place of the band coupling rod 255. 3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pushing member 300 is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221 and the pushing member 300 presses the band elongated body 250 in a state where the band binding rod 255 is provided. 2, the pushing member 300 pushes the pushing member 300 directly into the pushing and fixing unit 253, as shown in FIG. In the case of FIG. 2, it is easy to integrate the components separately. In the case of FIG. 3, since the band connecting rod 255 is separately provided, the band extending body 250 is removed from the buckle 200 and is easily replaced . Here, the band coupling rod 255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band extension body 250 from escaping from the buckle 200. That is, when the pushing member 300 pushes the band extension body 250 or the band 100 to fix the position, the pushing member 300 has a shape of a rod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e gap between the pushing member 300 and the base portion 210, The pushing member 3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and extending body 250 or the band 100 by acting as a catching jaw. (Of course, if the pushing member 300 is pushed with a strong force, In the case of applying the force, the band extension member 250 is limited to the case where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band extension member 250. Accordingly, the band extension member 250 may not be considered much. Of course it is possible. However, when the band connecting rod 255 is used, when the band extending body 250 is pulled out from the band insertion space 240 of the buckle 200 at the maximum, the band connecting rod 255 can be seen to the outside The length of the upper portion 230 of the buckle 200 and the base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wall portion 220 so that the band connecting rod 255 may be somewhat shielded. Therefore, these two configurations are mutually exchangeable and can be selected as needed. However,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of FIG. 2,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configurations are all applicable to the embodiment of FIG.

여기서, 본 발명의 제목에 나타나 있듯이, 밴드(100)에 형성된 고정공(110)과 고정공(110) 사이의 간격 조절을 한다는 것은, 밴드(100)에 형성된 고정공(110)의 물리적 위치가 좌우상하로 변경된다는 의미가 아닌, 푸싱부재(300)와 밴드 결합봉(255)의 구성을 통해 밴드(100)를 버클 내부에서 특정 위치에서 고정시켜 밴드(100)의 노출된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버클(200)과 고정공(110)이 이루는 간격이 이전과 달라지게 된다.As described in the tit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justment of the distance between the fixing hole 110 and the fixing hole 110 formed in the band 100 means that the physical position of the fixing hole 110 formed in the band 100 is The band 100 is fixed at a specific position inside the buckle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pushing member 300 and the band connecting rod 255 to adjust the exposed length of the band 100, The distance between the fixing hole 200 and the fixing hole 110 is different from that before.

도 4는 푸싱부재(300)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sic structure of the pushing member 300. As shown in Fig.

이 슬라이드 홈(221)에는 푸싱부재(300)의 양 단이 각각 끼워지게 되는데, 여기서 푸싱부재(300)를 살펴보면, 밴드(100)가 밴드 삽입공간(240)에 삽입된 상태에서 추가로 밴드 삽입공간(240)에 끼워지는 것이며 먼저, 걸림부(630)가 통과할 수 없도록 밴드(100)의 일 측을 눌러 고정하는 것으로서, 한 쌍의 벽부(220) 사이에 위치하는 메인 바(310)와, 메인 바(310)의 길이방향 단부 각각으로부터 내측으로 함입된 끼움 홈(320) 및, 끼움 홈(320)의 내측에 삽입되어 탄성을 제공하는 푸시 스프링(330)과, 푸시 스프링(330)에 끼움 결합되어 승강하는 것으로서, 끼움 홈(320)에 삽입된 상태에서 버클(2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장되어 슬라이드 홈(22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누름부(340)와, 누름부(340)의 외주면 일 측에서 돌출된 것으로서 벽부(220)의 밴드 삽입공간(240)측 표면을 눌러 메인 바(310)를 고정하는 패킹부(350)로 구성된다.When the band 100 is inserted into the band insertion space 240, the pushing member 300 is further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221, The main bar 310 and the main bar 310 located between the pair of wall portions 220 are formed by pressing one side of the band 100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630 can not pass therethrough. A pushing spring 330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320 to provide elasticity and a pushing spring 330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320 from the longitudinal direction ends of the main bar 310, A pushing portion 340 extend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uckle 200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320 and being slidably mounted along the slide groove 221, (Not show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ll portion 220, And a packing part 350 for pressing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ar 310 to fix the main bar 310.

즉, 이 형태는 밀대와 같은 형태로 메인 바(310)가 밴드(100)의 표면을 눌러줄 수 있도록 충분한 두께를 갖되, 메인 바(310)의 양단에서 각각 돌출된 누름부(340)가 슬라이드 홈(221)에 끼워지게 되고, 따라서 이 누름부(340)가 슬라이드 홈(221)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슬라이드 홈(221)은 바람직하게는 밴드 삽입공간(240)에서 푸싱부재(300)의 이동 가능한 구간을 한정할 수 있는 구성이라 하겠다.That is, this form has a thickness enough to allow the main bar 310 to press the surface of the band 100 in the same shape as a plunger, and a pushing part 340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main bar 310, So that the pressing portion 340 can be moved along the slide groove 221. In this way, That is, the slide groove 221 is preferably configured to limit the movable section of the pushing member 300 in the band insertion space 240.

메인 바(310)의 길이방향 단부 각각에는 중앙부위를 함입한 끼움 홈(320)이 형성되되, 이 끼움 홈(320)에 푸시 스프링(330)과 누름부(340)가 순차적으로 장착된다. 여기서 끼움 홈(320)은 양 단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누름부(340)는 푸시 스프링(330)에 의해 탄성을 제공받아 승강이 가능한 것으로서, 이 누름부(340)의 외주면 일 측에는 벽부(220)의 밴드 삽입공간(240) 측 표면을 눌러 밀착됨으로써 메인 바(310)의 위치를 고정하는 패킹부(350)의 구성이 더 포함된다. 즉, 이 패킹부(350)의 밀착을 통해 메인 바(310)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며, 따라서 누름부(340)를 눌러 패킹부(350)의 밀착을 해제함으로써 메인 바(310)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갖도록 한 것이다.Each of the lengthwise ends of the main bar 310 is provided with a fitting groove 320 having a center portion. The push spring 330 and the pressing portion 340 are sequentially mounted on the fitting groove 320. Here, of course, the fitting groove 320 may be formed to penetrate both ends. The pressing portion 340 is provided with elasticity by the push spring 330 so that the pressing portion 340 can be lifted and lowered. One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340 is pressed against the surface of the wall portion 220 on the side of the band insertion space 240, And a packing part 350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packing part 310. That is, the position of the main bar 310 is fixed by the close contact of the packing part 350. Therefore, by pressing the pressing part 340 to release the close contact of the packing part 350, So that it can be changed.

이 때, 누름부(340)에는 고정력을 높일 수 있도록 다음의 세부 구성이 더 적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ollowing detailed structure may be further applied to the pressing portion 340 so as to increase the fixing force.

도 5는 푸싱부재(3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ushing member 300. FIG.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누름부(340)의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마다 걸림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걸림 홈을 활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끼움 홈(320)에는 끼움 홈(320)의 내주면 일 측에서 깊이방향으로 함입 연장된 슬릿(321)과, 슬릿(321)의 내측 단부(깊이방향 단부)에서 끼움 홈(320)의 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함입된 수용홈(322)이 더 포함된다. 이 때, 푸싱부재(300)는 이 슬릿(321)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베이스 핀(361)과, 베이스 핀(361)의 일 단부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수용홈(322)에 삽입될 수 있는 형태를 갖는 삽입 경사부(363)와, 베이스 핀(361)의 타 단부이자 삽입 경사부(363)의 반대측 단부에서 걸림 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절곡 연장된 돌출부(362)로 이루어진 걸림핀(3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최초 상태(누름부(340)가 상승된 상태)에서 걸림핀(360)의 위치는 걸림 홈보다 낮은 위치에 존재하게 된다.First, referring to FIG. 5 (a), a latching groove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ing part 340 at regular intervals. The slit 321 extends in the depth direction at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tting groove 320 and the slit 321 extends inwardly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slit 321. [ And a receiving groove 322 inclinedly inclined toward the outside of the fitting groove 320. The pushing member 300 includes a base pin 361 that is vertically slidably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322 and a base pin 361 that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322 upwardly inclined from one end of the base pin 361, And a protruding portion 362 which is bent and extended to be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at the opposite end of the base pin 361 at the opposite end of the insertion inclined portion 363. The engaging pin 360 ). ≪ / RTI >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engaging pin 360 is lower than the engaging groove in the initial state (the state in which the pressing portion 340 is raised).

이러한 구성의 동작은 도 5의 (b)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할 수 있다. 최초 상태는 누름부(340)가 상승된 것으로서, 돌출부(362)는 걸림홈(341)에 결착된 상태로 위치한다. 이후 누름부(340)의 하강이 발생하는 경우, 돌출부(362)와 걸림홈(341)은 서로 걸린 상태로 걸림핀(360)이 하강되면서 걸림핀(360)의 삽입 경사부(363)가 수용홈(322)에 깊숙하게 삽입된다. 이 때, 걸림핀(360)(정확히는 베이스 핀(361))과 누름부(340) 사이에는 거의 공간이 남지 않아 밀착을 유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나아가 누름부(340)에 좀 더 외력이 가해져 보다 하강하게 되면 이에 대응되어 돌출부(362)가 걸림 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수 많은 이탈 및 결착에도 걸림핀(360)이 유지될 수 있도록 걸림핀(360)은 철심과 같은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고, 누름부(340)는 고무나 합성수지 등 탄성 및 약간의 신축성을 가지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갖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혹은 둘 다 단단한 재질로 구성되되 걸림핀(360)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걸리고 밀착시키는 목적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operation of such a configuration can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b). In the initial state, the pressing portion 340 is raised, and the protruding portion 362 is positioned in a state of being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 341. When the lowering of the pressing portion 340 occurs, the protruding portion 362 and the engaging groove 341 are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engaging pin 360 is lowered so that the insertion inclined portion 363 of the engaging pin 360 is received And is inserted deeply into the groove 322. At this time, almost no space is left between the engaging pin 360 (precisely, the base pin 361) and the pressing portion 340, so that adhesion can be maintained. Further, when a further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ressing portion 340 and the pressing portion 340 is further lowered, the protruding portion 362 is detached from the engaging groove in correspondence thereto. However, the latching pins 360 are formed of a rigid material such as an iron core so that the latching pins 360 can be retained even in such a large number of releases and bindings, and the pressing portions 340 are made of elastic materials such as rubber and synthetic resin, But it is preferable that it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sufficient strength. Or both of them may be made of a rigid material, but the hook 360 may be formed so as to have a thin thickness so that it can be concentrated only for the purpose of engaging and adhering it.

이후 외력이 사라지면 푸시 스프링(330)은 복원력에 의해 누름부(340)를 다시 외측으로 밀어내게 되고, 앞선 동작구성이 반대로 다시 이루어지면서 누름부(340)는 패킹부(350)가 벽부(220)에 닿아 고정될 때 까지 상승한 다음 추가로 돌출부(362)가 걸림홈(341)에 걸려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pushing spring 340 pushes the pushing part 340 outward again due to the restoring force and the pushing part 340 pushes the packing part 350 toward the wall part 220, So that the protrusion 362 can be caught by the retaining groove 341 to be maintained in a fixed state.

이 때, 바람직하게는 슬릿(321)에 돌출부(362)가 걸림홈(341)에 걸린 상태에서 패킹부(350)가 벽부(220)에 닿아 최대로 누름부(340)가 돌출되었을 때 걸림핀(360)의 삽입 경사부(363) 끝단이 위치하는 위치에 핀 고정홈(미도시)을 더 형성하여 삽입 경사부(363)가 용이하게 고정되는 것을 보조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로써 스프링의 탄성만을 통해 밀착되는 구성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물리적인 결합/고정구성을 더 갖추도록 함으로써 보다 푸싱부재(300)가 지정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힘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At this time, preferably, when the protrusion 362 is hooked on the slit 321 by the latching groove 341 and the packing 350 touches the wall 220, when the pusher 340 protrudes at the maximum, It is needless to say that a pin fixing groove (not shown) may be further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end of the insertion slant part 363 of the insertion slant part 360 is positioned to assist in fixing the insertion slant part 363 easily. This allows the pushing member 300 to have a force that can be fixed at a designated position by further increasing the physical coupling / fixing configuration by further advancing the structure of the spring through onl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여기서 도 5 (c)와 같이, 걸림핀(360)에는 걸림핀(360)의 표면 일 측에서 메인 바(310)의 외측을 향해 절곡 연장된 걸림 연결부(364)와, 걸림 연결부(364)의 단부에서 반대측에 위치한 걸림핀(360)의 걸림 연결부(364)를 향해 절곡 연장된 걸림 고정부(365)와, 걸림 고정부(365)의 단부에서 메인 바(310)의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연장된 탄력 고정부(366)의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걸림 연결부(364)는 메인 바(310)의 하강 시 일정 수준 이상 하강이 발생하면 메인 바(310)의 상면(끼움 홈(320)의 주변)에 닿아 일정 수준 이상의 하강이 불가능하도록 걸리는 스토퍼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때, 걸림 고정부(365)는 메인 바(310)의 외주면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므로, 걸림 연결부(364)와 걸림 고정부(365)가 마치 고리와 같은 형태로 메인 바(310)에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걸림핀(360)이 슬릿(321)을 따라 너무 깊숙하게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걸림 고정부(365)의 단부에도 메인 바(310)의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연장된 탄력 고정부(366)가 더 포함되는데, 이러한 탄력 고정부(366)에 의해 누름부(340)가 끼움 홈(320)으로부터 최대로 인출되어 걸림핀(360)의 돌출부(362)가 걸림홈(341)으로부터 이탈되고, 동시에 삽입 경사부(363)에 의해 외측으로 경사지게 지지되고 있을 때에도 이 탄력 고정부(366)에 의해 걸림핀(360)이 슬릿(321)에서 빠져 나가지 않고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As shown in FIG. 5C, the engaging pin 360 is provided with an engaging connecting portion 364 which is bent and extended toward the outside of the main bar 310 at one surface side of the engaging pin 360, And a hook fixing portion 365 extending and extending toward the hooking connection portion 364 of the hooking pin 360 located at the opposite end of the main bar 310 at the end of the main bar 310, The configuration of the elasticity fixing part 366 may be further included. The stopping connection portion 364 may be a stopper that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ar 310 (the periphery of the fitting groove 320) when the main bar 310 is lowered by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can do. Since the hook fixing part 365 extends parallel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ar 310, the hook connecting part 364 and the hook fixing part 365 are fitted into the main bar 310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ngaging pin 360 from entering too deeply along the slit 321. [ The resilient fixing portion 366 further extends at the end of the retaining portion 365 so as to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ar 310. The resilient fixing portion 366 presses the pressing portion 340 Even when the projecting portion 362 of the engaging pin 360 is released from the engaging groove 341 at the maximum while being pulled out of the groove 320 to the maximum and at the same time being slanted outwardly by the insertion inclined portion 363, The engaging pins 360 can be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ngaging projections 366 without coming out of the slits 321.

도 6은 버클(200)에 완충재(214)를 적용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buffer material 214 is applied to the buckle 200. Fig.

이 때, 버클(200)의 베이스부(210)에는 추가적으로 완충재(21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완충재(214)는 푸싱부재(300)와 함께 밴드(100)를 양쪽에서 눌러 밴드(1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충분한 마찰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ase portion 210 of the buckle 200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member 214. The cushioning material 214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a sufficient frictional force such that the band 100 can be fixed by pressing the band 100 from both sides together with the pushing member 300.

이러한 완충재(214)는, 밴드(100)에서 푸싱부재(300)가 밀착된 대향측을 누르는 신축성 재질의 쿠션체(212)와, 쿠션체(212)의 상면에 적층되는 것으로서, 쿠션체(212)의 표면보다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형성된 마찰면(2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쿠션체(212)는 스폰지나 메모리폼 등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형태의 변형이 가능하면서도 충분한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쿠션체(212)의 기능을 보조하기 위해 쿠션체(212)의 상면에 쿠션체(212)보다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형성된 마찰면(213)을 형성(예를 들면 표면에 복수개의 클리커 돌기(540)를 형성하는 등의 형태가공이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는 점성을 갖는 코팅물질을 바르는 등의 방법이 활용 가능하다)함으로써, 밴드(100)의 양 측면에서 이중으로 압력을 가하여 밴드(100)를 고정하는 구성을 갖추는 것이다.The cushioning body 214 includes a cushion body 212 of a stretchable material which presses the opposite side to which the pushing member 300 is closely attached to the band 100 and a cushion body 212 which is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 body 212, And a frictional surface 213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friction coefficient larger than that of the surface. The cushion body 212 is preferably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a sponge or a memory foam so that the cushion body 212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deforming its shape while allowing sufficient pressure to be applied thereto. A friction surface 213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frictional coefficient than the cushion body 21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 body 212 (for example, a shape processing such as forming a plurality of the clincher projections 540 on the surface A method of applying a coating material having a viscosity capable of raising the frictional force can be utilized), so that the band 100 is fixed by applying double pressure on both sides of the band 100.

이 때, 마찰면(213)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마찰면(213)의 표면에 형성된 탄성재질의 돌기(215)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 돌기(215)의 형태는 마찰면(213)의 표면 일 측으로부터 밴드(100)가 삽입되는 방향(길이방향)을 따라 제 1 기울기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 제 1 경사면(216)과, 제 1 경사면(216)의 단부에서 밴드(100)가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마찰면(213)의 표면 타 측까지 제 1 기울기보다 큰 제 2 기울기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제 2 경사면(217)으로 구성되되, 제 1 경사면(216)의 연장길이가 제 2 경사면(217)의 연장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밴드(100)의 삽입은 용이하게 제 1 경사면(216)을 따라 형성되지만, 역으로 밴드(100)가 빠져나가는 방향일 때는 제 2 경사면(217)을 거쳐 이동해야하므로 제 2 경사면(217)의 큰 경사각도에 의해 이동이 저지됨으로써 쉽게 밴드(10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갖추게 된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elastic protrusions 215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riction surface 213 may be formed on the friction surface 213 at regular intervals. The shape of the protrusion 215 includes a first inclined surface 216 extending upwardly inclined at a first inclination along a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in which the band 100 is inserted from one side of the surface of the friction surface 213,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217 extending downward at a second inclination greater than the first inclination from the end of the inclined surface 216 to the other side of the surface of the friction surface 213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nd 100 is inserted, The extension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216 is longer than the extension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17 so that the insertion of the band 100 is easily formed along the first inclined surface 216,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17 is prevented from moving due to the large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17 so that the band 100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17. [

더욱 나아가, 쿠션체(212)는 각각의 돌기(215)로부터 쿠션체(212)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된 가상 연결선과 접하는 위치마다 내측으로 함입 형성된 복수개의 함입구(261) 및, 함입구(261)의 종결 부위에서 함입구(261)를 확장하도록 함입구(261)의 직경보다 크게 함입 형성된 확장파트(26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ushion body 212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compartment openings 261 formed inwardly inwardly in contact with the virtual connecting lines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respective protrusions 215 toward the cushion body 212, (262) that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let (261) to expand the inlet (261) at the end of the inlet (261).

즉, 이 확장파트(262)는 함입구(261)를 통해 쿠션체(212)의 표면에서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 공간으로서, 확장파트(262) 내부에는 추가로 쿠션체(212)보다 탄성이 강한 재질 및 확장파트(262)보다 작은 체적으로 이루어져 확장파트(262) 내부에 수용되는 필러(263) 및, 확장파트(262) 내에서 필러(263)가 수용되고 난 잔여 공간에서 공기를 함유한 공극층(264)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확장파트(262)의 구성은 필러(263)를 통해 쿠션체(212)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어 돌기(215)가 지속적으로 눌리더라도 기존의 구성에 비해 쿠션체(212)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러(263)와 확장파트(262) 사이의 공극층(264)을 통해 필러(263)의 파손 및 필러(263)에 의한 확장파트(262)의 파손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적인 쿠션체(212) 구성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필러(263)는 바람직하게는 삼각기둥형상이나 사각기둥형상 혹은 그보다 많은 다각기둥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마치 외부에서 볼 때에는 원기둥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더라도 미세하게 공극층(264)을 갖는 구성으로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at is, the extended part 262 is a spac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urface of the cushion body 212 through the receptacle opening 261, and is further provided with a material having a higher elasticity than the cushion body 212 A filler 263 made of a smaller volume than the expansion part 262 and accommodated in the expansion part 262 and an air gap layer 262 having air in the remaining space in which the filler 263 is accommodated in the expansion part 262. [ (264). The extension part 262 can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cushion body 212 through the filler 263 and thus extend the service life of the cushion body 212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tructure even if the projection 215 is continuously pressed dow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reakage of the filler 263 through the gap layer 264 between the filler 263 and the expanding part 262 and the breakage of the expanding part 262 by the filler 263 So that it is possible to form an effective cushion body 212 configuration. Here, the filler 263 may be formed in a triangular prism shape, a square pillar shape, or a polygonal prism shape larger than the triangular prism shape, so that even if the pillar 263 has a cylindrical shape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다른 구성으로서, 메인 바(310)가 밴드(100)를 누르는 것을 보조하고, 동시에 밴드(100)가 밴드 삽입공간(240)으로부터 이탈시키기를 원하는 경우, 메인 바(310)의 누름이 쉽게 해제되도록 다음의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As another configuration, when the main bar 310 assists the pressing of the band 100 and at the same time the band 100 desires to be removed from the band insertion space 240, The following configuration may be further included.

도 7은 밴드(100)에 클리커 커버(600)를 적용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8은 밴드(100)에 클리커 커버(600)를 적용하여 조립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7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clip 100 is applied to the clip 100. FIG. 8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clip 100 is applied to the clip 100 using the clipper cover 600. FIG. It is a conceptual diagram.

먼저, 도 7은 이 클리커 커버(600)의 상세 구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며, 이것을 기준으로 설명토록 하겠다. 메인 바(310)는 승강 홈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메인 바(310)의 외측으로 관통 연장된 것으로서, 기울어지게 연장된 가이드 홈(311)을 더 포함하고, 누름부(340)의 외주면 일 측에는 누름부(340)의 승강 시 가이드 홈(311)을 따라 이동되도록 돌출 연장된 걸림 돌기(342)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 때, 푸시 스프링(330)은 메인 바(310)의 회전 시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누름부(340)에 외력을 가했을 때 메인 바(310)에 형성된 가이드 홈(311)을 따라 회전하면서 승하강되도록 한 것이며, 이를 통해 강제로 누름부(340)를 회전시키거나 혹은 밴드(100)에 의해 밀착된 메인 바(310)가 회전되면서 밀려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cleator cover 600,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The main bar 310 further includes guide grooves 311 extended from at least one of the vertical grooves 310 to the outer side of the main bar 310 and extended obliquely. (342) protruded and extended to move along the guide groove (311) when the lifter body (340) is lifted or lowered. The push spring 330 is rotated along the guide groove 311 formed in the main bar 310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ush portion 340 so as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by elasticity when the main bar 310 rotates, So that the pushing portion 340 is forcibly rotated or the main bar 310,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nd 100, is pushed and rotated.

나아가, 푸싱부재(300)는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중앙부위에 메인 바(310)가 삽입 고정되도록 관통된 바 삽입홈(510)이 형성된 클리커(500)와, 누름부(340)에 끼움 고정되는 한 쌍의 누름고정부(251)와, 이 한 쌍의 상기 누름고정부(251)를 연결하면서 클리커(500)의 외주면 일부를 덮는 덮개부(620)로 이루어진 클리커 커버(600)를 더 포함한다. 즉, 클리커(500)는 메인 바(310)를 둘러싸되, 메인 바(310)와 별개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다. 이후 누름고정부(251)가 누름부(340)의 일 측에 각각 장착되며, 이 누름고정부(251)를 연결하면서 클리커(500)의 외주면 일부를 덮는 덮개부(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덮개부(620)는 누름부(34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도면에 나타난 것처럼 클리커(500)의 표면에도 별도의 클리커 돌기(540)가 더 형성되어 밀착력을 보다 높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pushing member 30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ncludes a clincher 500 having a bar insertion groove 510 penetrated to insert and fix the main bar 310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 clevis cover 600 composed of a pair of depressing and fixing parts 251 fixed and a lid part 620 covering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incher 500 while connecting the pair of depressing parts 251, . That is, the clincher 500 is surrounded by the main bar 310 and rotatably mounted separately from the main bar 310. And a lid part 620 which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pressing part 340 and covers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incher 500 while connecting the pressing and fixing part 251, do. That is, the lid unit 620 can be said to be configured so as to be rotatable together with the pushing unit 340. Of course, as shown in the drawing, another clipper protrusion 540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lincher 500 to increase the adhesion.

나아가 클리커(500)의 외주면 일 측에는 내측으로 함입된 걸림 단턱(530)이 더 포함되고, 클리커 커버(600)에도 이 걸림 단턱(530)에 걸려 클리커(500)를 밀어 올리는 걸림부(630)가 형성됨으로써, 누름부(340)를 눌렀을 때, 메인 바(310)에 위치한 가이드 홈(311)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 때, 누름고정부(251)에 의해 덮개부(620)가 동일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clipper cover 600 further includes a latching portion 530 which is caught by the latching step 530 and pushes up the clipper 500. In addition, 630 are formed to rotate along the guide groove 311 located in the main bar 310 when the pressing portion 340 is pressed. At this time, the lid unit 620 can be rotated by the pressing and fixing unit 251 in the same manner.

이런 구성은 도 8을 보면 확실하게 확인 가능하듯이, 덮개부(620)의 회전 시 걸림 단턱(530)과 걸림부(630)의 걸림 결합을 통해 클리커(500)를 밀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며, 누름부(340)를 누르는 것 만으로도 밴드(100)를 누르던 클리커(500)가 밀려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밴드(100)의 고정을 풀어 밴드(100)의 고정된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편리한 방식으로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8, the clicter 500 can be pushed up by engaging the engaging step 630 with the engaging step 530 when the lid part 620 is rotated The clipper 500 pushing the band 100 is pushed and moved by simply pressing the pusher 340 so that the fixed position of the band 100 can be adjusted by releasing the fixing of the band 100, And the like.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벨트 고정공과 버클사이의 간격조절로 벨트의 길이조정이 가능한 벨트버클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Although the belt buckle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belt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belt fixing hole and the buck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밴드 110: 고정공
200: 버클 210: 베이스부
211: 후크 212: 쿠션체
213: 마찰면 214: 완충재
215: 돌기 216: 제 1 경사면
217: 제 2 경사면 220: 벽부
221: 슬라이드 홈 230: 상부
240: 밴드 삽입공간 250: 밴드 연장체
251: 고정부 252: 패스너
253: 푸싱 고정부 254: 안착공간
255: 밴드 결합봉 300: 푸싱부재
310: 메인 바 311: 가이드 홈
320: 끼움 홈 321: 슬릿
322: 수용홈 330: 푸시 스프링
340: 누름부 341: 걸림홈
342: 걸림 돌기 350: 패킹부
360: 걸림핀 361: 베이스 핀
362: 돌출부 363: 삽입 경사부
364: 걸림 연결부 365: 걸림 고정부
366: 탄력 고정부 500: 클리커
510: 바 삽입홈 530: 걸림 단턱
540: 클리커 돌기 600: 클리커 커버
610: 누름 고정부 620: 덮개부
630: 걸림부
100: Band 110: Fixed ball
200: buckle 210: base portion
211 hooks 212 cushion body
213: friction surface 214: cushioning material
215: protrusion 216: first inclined surface
217: second inclined surface 220: wall portion
221: Slide groove 230:
240: Band insertion space 250: Band extender
251: fixing part 252: fastener
253: Pushing and fixing unit 254:
255: band coupling rod 300: pushing member
310: Main bar 311: Guide groove
320: fitting groove 321: slit
322: receiving groove 330: push spring
340: pressing portion 341:
342: latching protrusion 350: packing part
360: engaging pin 361: base pin
362: projecting portion 363: insertion inclined portion
364: latching connection part 365: latching part
366: elasticity fixing part 500:
510: bar insertion groove 530:
540: Cleaver protrusion 600: Cleator cover
610: pressing and fixing section 620: cover section
630:

Claims (12)

벨트버클로서,
표면에 복수의 고정공이 천공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밴드;
일 측에 상기 고정공에 체결되는 후크가 구비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폭방향 양 측에 각각 기립 형성되는 벽부와, 한 쌍의 상기 벽부를 통해 지지되어 상기 베이스부와의 사이에 상기 밴드가 삽입되는 밴드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상부를 포함하되, 상기 벽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연장된 슬라이드 홈이 형성된 버클;
상기 슬라이드 홈에 양 단이 각각 끼워진 상태로 한 쌍의 상기 벽부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밴드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기 밴드를 눌러 상기 베이스부에 밀착시키는 푸싱부재;
상기 밴드의 끝단 주변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안착되는 한 쌍의 고정부;
한 쌍의 상기 고정부의 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고정부와의 사이에 상기 푸싱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푸싱 고정부;
상기 밴드와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결합시키는 패스너로 이루어진 밴드 연장체;를 포함하되,
상기 푸싱부재는,
한 쌍의 상기 벽부 사이에 원통형으로 연장된 것으로서 상기 푸싱 고정부를 눌러 상기 베이스부에 밀착시키는 메인 바와, 상기 메인 바의 길이방향 단부 각각으로부터 내측으로 함입된 끼움 홈 및, 상기 끼움 홈의 내측에 삽입되어 탄성을 제공하는 푸시 스프링과, 상기 푸시 스프링에 끼움 결합되어 승강하는 것으로서 상기 끼움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버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외주면 일 측에서 돌출된 것으로서 상기 벽부의 밴드 삽입공간측 표면을 눌러 상기 메인 바를 고정하는 패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바는, 상기 승강 홈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메인 바의 외측으로 기울어지게 관통 연장된 가이드 홈을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의 외주면 일 측에는, 상기 누름부의 승강 시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되도록 돌출 연장된 걸림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푸싱부재는,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중앙부위에 상기 메인 바가 삽입 고정되는 바 삽입홈이 형성된 클리커와, 상기 누름부에 각각 끼움 고정되는 한 쌍의 누름고정부 및, 상기 한 쌍의 상기 누름고정부를 연결하면서 상기 클리커의 외주면 일부를 덮는 덮개부로 이루어진 클리커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클리커는 상기 클리커의 외주면 일 측에 함입된 걸림 단턱이 포함되고,
상기 클리커 커버는, 상기 걸림 단턱에 걸려 상기 클리커를 밀어 올리는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고정공과 버클사이의 간격조절로 벨트의 길이조정이 가능한 벨트버클.
As a belt buckle,
A b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a plurality of fixing holes formed in the surface thereof;
A base portion having hooks to be fastened to the fixing holes on one side thereof; a wall portion which is form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and which is supported by the pair of wall portions, A buckle having a slide groove extending through the wall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ckle;
A pushing member mounted to be slidable between a pair of the wall portions in a state where both ends are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the pushing member pressing the band inserted in the band insertion space to press the base portion;
A pair of fixing parts that are respectively seated on upper and lower surfaces around the ends of the band;
A pushing fixing unit connecting the ends of the pair of fixing units and forming a seating space in which the pushing member can be inserted between the fixing unit and the fixing unit;
And a band extender made of a fastener which penetrates the band and the fixing part,
Wherein the pushing member comprises:
A main bar extending in a cylindrical shape between the pair of wall portions to press the pushing fixture portion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ase portion, a fitting groove recessed inwardly from each longitudinal end portion of the main bar, A push spring that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and is extend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uckle and is slidably mounted along the slide groove, And a packing part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ing part and pressing the surface of the side of the wall part on the band insertion space to fix the main bar,
Wherein the main bar includes a guide groove extending from at least one of the elevating grooves so as to slant outwardly from the main bar,
And a hooking protrusion protruded and extended to be moved along the guide groove when the pushing portion is lifted or lowered,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shing portion,
Wherein the pushing member comprises:
A pair of pressing and fixing parts fitted and fixed to the pressing parts, and a pair of pressing and fixing parts connected to the pressing parts, respectively, And a cover portion covering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incher,
Wherein the clincher includes a latching step embedded i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incher,
The belt buck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 length of the belt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interval between the belt fixing hole and the buckl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버클은,
상기 밴드의 끝단 주변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안착되는 한 쌍의 고정부와,
한 쌍의 상기 고정부의 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고정부와의 사이에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푸싱 고정부 및,
상기 안착공간에 상기 푸싱부재와 평행하게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푸싱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 사이의 간격보다 큰 폭을 갖는 밴드 결합봉과,
상기 밴드와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결합시키는 패스너로 이루어진 밴드 연장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장 가능한 벨트 버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elt buckle includes:
A pair of fixing portions which are respectively seated on upper and lower surfaces around the ends of the band,
A pushing and fixing unit connecting end portions of the pair of the fixing portions and forming a seating space between the pair of fixing portions,
A band connecting rod inserted into the seating space in parallel with the pushing member and having a width larger than a distance between the pushing member and the base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band extension made of a fastener which penetrates and bonds the band and the fixing portion.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의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마다 걸림 홈이 형성되되,
상기 끼움 홈은,
상기 끼움 홈의 내주면 일 측에서 깊이방향으로 함입 연장된 슬릿과, 상기 슬릿의 내측 단부에서 상기 끼움 홈의 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함입된 수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푸싱부재는,
상기 슬릿에 승강가능하게 삽입되는 베이스 핀과, 상기 베이스 핀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수용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 삽입 경사부와, 상기 베이스 핀에서 상기 삽입 경사부의 반대측 단부로 부터 상기 걸림 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절곡 연장된 돌출부로 이루어진 걸림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장 가능한 벨트 버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A latching groove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he fitting groove
Further comprising a slit extending in the depth direction at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tting groove and a receiving groove inclinedly inclined toward the outside of the fitting groove at an inner end of the slit,
Wherein the pushing member comprises:
A base pin which is inserted into the slit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 insertion slope extending upward from the base pin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from an end thereof; Further comprising a retaining pin formed of a protruding portion that is bent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핀은,
상기 걸림핀의 표면 일 측에서 상기 메인 바의 외측을 향해 절곡 연장된 걸림 연결부와,
상기 걸림 연결부의 단부에서 반대측에 위치한 걸림핀의 걸림 연결부를 향해 절곡 연장된 걸림 고정부와,
상기 걸림 고정부의 단부에서 상기 메인 바의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연장된 탄력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장 가능한 벨트 버클.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hook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surface of the engaging pin to the outside of the main bar,
A hook fixing part which is bent and extended toward the hooking connection part of the hooking pin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end of the hooking connection part,
Further comprising a resilient fastening portion extending at an end of the retaining portion to extend outwardly of the main ba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의 베이스부에는,
상기 밴드에서 상기 푸싱부재가 접하는 면의 대향 면에 위치하여 상기 밴드를 누르는 신축성 재질의 쿠션체와,
상기 쿠션체의 상면에 적층되는 것으로서, 상기 쿠션체의 표면보다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형성된 마찰면을 포함하는 완충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장 가능한 벨트 버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base portion of the buckle,
A cushion member of a stretchable material which is located on an opposite surface of a surface of the band on which the pushing member abuts,
Further comprising a cushioning material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 body and including a friction surfac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friction coefficient larger than that of the surface of the cushion body.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면은,
탄성 재질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마찰면의 상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장 가능한 벨트 버클.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riction surface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iction surfac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마찰면의 표면 일 측으로부터 상기 밴드가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제 1 기울기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 제 1 경사면과,
상기 제 1 경사면의 단부에서 상기 밴드가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마찰면의 표면 타 측까지 상기 제 1 기울기보다 큰 제 2 기울기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제 2 경사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경사면의 연장길이가 상기 제 2 경사면의 연장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장 가능한 벨트 버클.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rojection
A first inclined surface extending upwardly inclined at a first inclination along a direction in which the band is inserted from one surface side of the friction surface;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to a second surface of the friction surface along a direction in which the band is inserted, the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at a second inclination larger than the first inclination,
And an extension length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is longer than an extension length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체는,
상기 돌기로부터 상기 쿠션체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된 가상 연결선과 접하는 위치마다 내측으로 함입 형성된 복수개의 함입구 및, 상기 함입구의 종결 부위에서 상기 함입구를 확장하도록 상기 함입구의 직경보다 크게 함입 형성된 확장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파트는,
상기 쿠션체보다 탄성이 강한 재질 및 상기 확장파트보다 작은 체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확장파트 내부에 수용되는 필러 및, 상기 확장파트 내에서 상기 필러가 수용되고 난 잔여 공간에서 공기를 함유한 공극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장 가능한 벨트 버클.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ushion body,
A plurality of compartment openings formed inwardly inwardly in contact with virtual connection lines vertically extending from the protrusions toward the cushion body, and a plurality of compartment openings formed to be larger than a diameter of the compartment inlet so as to expand the compartment entrance at a termination end of the compartment entrance Including extended parts,
Wherein the extended part comprises:
A pillar which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elasticity than the cushion body and a volume smaller than that of the extension part and is accommodated in the expansion part and an air gap layer containing air in the remaining space in which the filler is accommodated, ≪ / RTI >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106861A 2017-08-23 2017-08-23 Movable Belt Buckle Active KR1018692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861A KR101869200B1 (en) 2017-08-23 2017-08-23 Movable Belt Buck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861A KR101869200B1 (en) 2017-08-23 2017-08-23 Movable Belt Buck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9200B1 true KR101869200B1 (en) 2018-06-19

Family

ID=62790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861A Active KR101869200B1 (en) 2017-08-23 2017-08-23 Movable Belt Buck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20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63861A (en) * 2021-05-18 2021-08-17 宁波市北仑格雷塑料制品有限公司 Novel paint cup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3960U (en) * 1996-11-21 1997-02-19 양준석 Length adjustment device of the buckle for the garment belt
KR200166079Y1 (en) * 1999-07-19 2000-02-15 박희상 A belt buckle
KR200189101Y1 (en) * 2000-02-08 2000-07-15 김성근 The leather belt buckle
JP2001046116A (en) * 1999-08-03 2001-02-20 Malsoute Jacques Expandable belt buckle and trousers belt using same
KR101176766B1 (en) * 2012-03-20 2012-08-23 채승복 Buckle for bel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3960U (en) * 1996-11-21 1997-02-19 양준석 Length adjustment device of the buckle for the garment belt
KR200166079Y1 (en) * 1999-07-19 2000-02-15 박희상 A belt buckle
JP2001046116A (en) * 1999-08-03 2001-02-20 Malsoute Jacques Expandable belt buckle and trousers belt using same
KR200189101Y1 (en) * 2000-02-08 2000-07-15 김성근 The leather belt buckle
KR101176766B1 (en) * 2012-03-20 2012-08-23 채승복 Buckle for bel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63861A (en) * 2021-05-18 2021-08-17 宁波市北仑格雷塑料制品有限公司 Novel paint cup
CN113263861B (en) * 2021-05-18 2024-04-16 宁波市北仑格雷塑料制品有限公司 Paint cu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60208B (en) Holder
JP2007500835A (en) Cord lock device
US10617219B2 (en) Anchoring apparatus for bedclothes
TW202019310A (en) Strap securing component of footwear
KR0124139B1 (en) Belt
WO2009103223A1 (en) Shoelace fastener and shoe
US20150351486A1 (en) Shoe with a Replaceable Upper
US11096449B2 (en) Clip with side opening
KR101869200B1 (en) Movable Belt Buckle
CN204218066U (en) Single-layer bidirectional telescopic belt button
CN206324351U (en) rope buckle
CN115089249B (en) Skin incision closing device
CN101513291B (en) Shoelace tightness-controlling device and shoes
KR200352866Y1 (en) Artificial nail
KR101138911B1 (en) Belt for the lumber tow
CN204218105U (en) Slide and unlock belt fastener
CN205923147U (en) Rope belt buckle
CN201171394Y (en) Bootlace tightness control device and shoes
TWM536859U (en) Rope buckle
CN206324348U (en) Adjustment buckle
CN201577643U (en) Shoelace loosening and tightening device and shoe
KR200474869Y1 (en) Easy tie device for shoestrings
TWM559087U (en) Rope buckle
KR101706986B1 (en) A device for wearing a key
JP3072455U (en) Belt buck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6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6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