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68862B1 - 굽힘시 고정기능을 갖는 연성 카테터 - Google Patents

굽힘시 고정기능을 갖는 연성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862B1
KR101868862B1 KR1020160154132A KR20160154132A KR101868862B1 KR 101868862 B1 KR101868862 B1 KR 101868862B1 KR 1020160154132 A KR1020160154132 A KR 1020160154132A KR 20160154132 A KR20160154132 A KR 20160154132A KR 101868862 B1 KR101868862 B1 KR 101868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wire
working channel
direction adjusting
insertion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4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6193A (ko
Inventor
신중원
이청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엠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엠티
Priority to KR1020160154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862B1/ko
Publication of KR20180056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86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74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openable, closable, expandable or deform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8Strength or flexibility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74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openable, closable, expandable or deformable
    • A61M2025/0079Separate user-activated means, e.g. guidewires, guide tubes, balloon catheters or sheaths, for sealing off an orifice, e.g. a lumen or side holes, of a cath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A61M2025/015Details of the distal fixation of the movable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벤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연성 삽입부, 삽입부와 연결되는 조작부, 일단이 조작부와 연결되며, 타단이 삽입부에 고정되어 조작부에 의해 당겨지는 길이에 따라 벤딩부를 벤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방향조절와이어, 삽입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워킹채널, 삽입부에 구비되며, 워킹채널 내부에 삽입된 도구가 벤딩시에 고정될 수 있도록 삽입된 도구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연성 카테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연성 카테터 세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굽힘시 고정기능을 갖는 연성 내시경 및 이를 포함하는 연성 카테터 세트는 고정부가 벤딩 전에 워킹채널 내부의 도구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벤딩시에도 끝단의 정렬이 유지될 수 있어 별도의 정렬과정을 거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수술시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굽힘시 고정기능을 갖는 연성 카테터{THE FLEXIBLE CATHETER HAVING FIXING MECHANISM WHEN BENDING}
본 발명은 굽힘시 고정기능을 갖는 연성 카테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워킹채널에 도구가 삽입되었을 때, 카테터의 벤딩시 발생할 수 있는 위치이동을 방지하는 연성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카테터(Catheter)는 주로 외과 시술시 체강 또는 장기 내로 삽입하기 위한 튜브형의 기구이며, 프로브(Prove)라고도 한다. 카테터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재질, 크기,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 중 경도에 따라 딱딱한 경성 카테터와 탄성이 있는 연성 카테터로 구분될 수 있다.
카테터는 내부의 워킹채널을 통하여 광섬유를 삽입하여 신체기관 내부를 촬영하거나, 처치구를 삽입하여 적절한 처치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병변부위에 대한 적절한 각도로 접근할 수 있도록 카테터 끝단에 조향이 이루어지며, 조향을 위해 와이어 등이 이용되고 있다. 한편, 족관절과 같이 수술 내부의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는 대장 및 위 등에 이용되는 내시경과 달리 매우 얇은 내시경이 적용되고 있다.
전술한 연성 카테터와 관련하여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31,523호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카테터는 워킹채널의 내부에 내시경 또는 처치구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벤딩이 이루어지면 곡률반경에 차이가 있어 끝단의 정렬이 흐트러지는 문제점이 있어 벤딩 후 재조정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31,523호
본 발명은 종래의 카테터의 벤딩시 워킹채널에 삽입된 도구의 정렬이 흐트러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굽힘시 고정기능을 갖는 연성 내시경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벤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연성 삽입부, 삽입부와 연결되는 조작부, 일단이 조작부와 연결되며, 타단이 삽입부에 고정되어 조작부에 의해 당겨지는 길이에 따라 벤딩부를 벤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방향조절와이어, 삽입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워킹채널, 삽입부에 구비되며, 워킹채널 내부에 삽입된 도구가 벤딩시에 고정될 수 있도록 삽입된 도구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연성 카테터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는 워킹채널에 도구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워킹채널을 좁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는, 일측이 방향조절와이어의 끝단에 연결되며, 방향조절와이어가 당겨짐에 따라 직경이 확장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며, 확장부가 워킹채널을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는, 방향조절와이어를 당김에 따라 확장부가 먼저 확장되며, 이후 벤딩부의 벤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고정부는 방향조절와이어의 끝단에 고정되며, 방향조절와이어가 당겨짐에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제1 지지부, 연성 삽입부에 고정설치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며, 확장부는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며, 방향조절와이어가 당겨짐에 따라 직경이 확장될 수 있다.
또한, 확장부는 평판 스프링, 코일 스프링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확장부는 평판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평판 스프링은 복수로 구성되어 와이어 채널 내면의 복수의 지점과 접촉하여 직경이 확장될 수 있도록 방향조절와이어의 둘레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삽입부는 방향조절와이어가 내부에서 위치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와이어 채널을 포함하며, 고정부는 방향조절와이어의 끝단에 구비된 지지부 및 와이어 채널에 삽입부의 중심부분을 향하여 돌출된 경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방향조절와이어를 잡아당김에 따라 초기에 경사부에 의해 지지부가 워킹채널을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에 인접하는 워킹채널과 와이어 채널 사이의 재질은 삽입부의 다른 부분보다 연성이 높은 재질로 구성되는 연성가압면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방향조절와이어는 삽입부를 복수의 방향으로 조향할 수 있도록 복수로 구성되며, 고정부는 복수로 구성되어 각각의 방향조절와이어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카테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벤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연성 삽입부, 삽입부와 연결되는 조작부, 일단이 조작부와 연결되며, 타단이 삽입부에 고정되어 조작부에 의해 당겨지는 길이에 따라 벤딩부를 벤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방향조절와이어, 삽입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워킹채널, 워킹채널에 삽입되는 내시경과 함께 삽입되며, 내시경이 삽입된 상태에서 벤딩부의 벤딩시 곡률에 따라 내시경의 위치가 달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시경을 워킹채널 내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벌룬을 포함하는 연성 카테터 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굽힘시 고정기능을 갖는 연성 내시경은 고정부가 벤딩 전에 워킹채널 내부의 도구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벤딩시에도 끝단의 정렬이 유지될 수 있어 별도의 정렬과정을 거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수술시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카테터의 굽힘시 끝단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성 카테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삽입부의 선단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4는 고정부의 작동에 따른 형상변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예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7은 제3 실시예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8은 제4 실시예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9는 제5 실시예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굽힘시 고정기능을 갖는 연성 카테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각각의 구성요소의 명칭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변형된 실시예를 채용하더라도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에 부가된 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들 부호가 기재된 도면상의 도시 내용이 각각의 구성요소를 도면내의 범위로 한정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도면상의 구성을 일부 변형한 실시예가 채용되더라도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일반적인 기술자 수준에 비추어 보아, 당연히 포함되어야 할 구성요소로 인정되는 경우, 이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종래의 카테터의 굽힘시 끝단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워킹채널의 내부에 내시경(20)이 삽입된 상태에서 1차적으로 정렬을 수행한 뒤(a) 필요에 따라 카테터의 삽입부를 벤딩하면 각 부분에 곡률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결국 고정되지 않은 내시경(20)의 끝단은 d 만큼 정렬이 흐트러지게 된다(b)(c). 벤딩시 중앙부분의 워킹채널에 배치된 내시경(20)은 곡률반경의 차이로 카테터의 외부로 돌출되어 끝단의 정렬이 흐트러지게 된다(b). 한편 카테터가 연성으로 구성된 경우 삽입부는 벤딩되는 면은 압축이 되며, 반대면은 인장이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내시경(20)보다 카테터(10)의 일측이 더 신장되어 내시경의 끝단이 상대적으로 인입된 위치가 되어 정렬이 흐트러 질 수 있다.(c)
이 경우 벤딩시 시야가 확보되지 않으며, 내시경(20)의 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상태가 되고, 벤딩시에도 정렬을 하기 위해서는 벤딩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경이 삽입부의 끝단보다 약간 돌출된 상태로 벤딩을 수행하면 벤딩시에 끝단을 정렬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벤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역시 끝단의 정렬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되어 사용시마다 정렬을 해야하며, 하지 않는 경우 시야가 제대로 확보되지 않아 번거롭고 불필요한 조작단계를 많이 거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성 카테터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성 카테터(10)는 삽입부(100), 조작부(200), 방향조절와이어(300), 고정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삽입부(100)는 조직이나 체강으로 삽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벤딩부(110), 워킹채널(130), 방향조절와이어(300), 고정부(400), 와이어 채널(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삽입부(10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심부에 있는 체강 또는 조직에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삽입부(100)는 복수개의 워킹채널(130)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워킹채널(130)은 체강 내를 촬영하는 광파이버 또는 병변부위를 처치하는 처치부가 후술할 조작부(200)로부터 진입하여 삽입부(100)의 끝단에서 돌출될 수 있도록 조작부(200)의 포트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삽입부(100)의 원활한 벤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삽입부(100)의 직경은 3mm 이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부(100)의 끝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부분은 벤딩부(110)가 구비되며, 삽입부(100)의 다른 부분보다 강성이 낮은 재질로 구성되어 후술할 방향조절와이어(300)를 당김에 따라 벤딩이 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삽입부(100)의 끝단은 벤딩부(110)보다 높은 강성의 재질로 구성되며, 삽입시 끝단에 충격이 마찰, 접촉이 있더라도 큰 변화없이 삽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워킹채널(130)은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처치구 또는 내시경(20)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며, 삽입부 전체를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처치에 따라 다양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워킹채널이 2개로 구성된 경우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b)를 다시 살펴보면 두 개의 워킹채널(130)은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두 개의 와이어 채널(140)은 세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 공간적으로 컴팩트하게 다수의 채널이 구성될 수 있다.
와이어 채널(140)은 후술할 방향조절와이어(300)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방향조절와이어(300)의 직경보다 다소 큰 내경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와이어 채널(140)은 삽입부의 끝단측에서부터 조작부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조작레버(21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삽입부의 끝단측으로는 관통되지 않아 외부로부터의 오염등을 방지할 수 있다.
방향조절와이어(300)는 두 개로 구성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벤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배치된다. 방향조절와이어(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워킹채널(130)의 주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 채널(140)에 배치된다.
조작부(200)는 삽입부(100)의 일단에 연결되며, 수술자는 조작부(200)를 파지한 상태로 수술 또는 진단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조작부(200)는 하우징(201), 조향레버(210), 연결포트(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201)은 조작부(2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며, 손으로 파지가 용이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연성 카테터(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조직 내외부로 진퇴동작을 수행할 때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길이방향으로 다소 굴곡진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201)의 내부에는 조향레버(210)가 구비된다. 조향레버(210)는 파지한 상태에서 조작으로 삽입부(100)를 벤딩시킬 수 있도록 레버의 일부가 하우징(201)의 외부로 돌출된다. 조향레버(210)는 하우징(201)에 소정각도로 회전조작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조향레버(210)의 일측은 방향조절와이어(300)가 거치되어 있어, 조향레버(210)의 회전각에 따라 삽입부(100)의 조향각이 결정된다. 이때, 조향레버(210)의 조작의 한계치는 삽입부(100)의 벤딩부의 길이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조향레버(210)의 구성은 캠구조를 포함한 다양한 기구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연결포트(2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워킹채널(130)과 연결되어 처치구 또는 내시경(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연결포트(220)는 워킹채널(130)로 유체를 공급하거나 석션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외부의 기기와 연결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외부 장치의 고정을 위하여 연결포트(220)의 외측에 나사산과 같은 체결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400)는 방향조절와이어(300)가 당겨짐에 따라 워킹채널(130) 내에 삽입된 내시경(20) 등의 도구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워킹채널(130) 내에는 다양한 도구들이 삽입되어 사용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내시경(20)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고정되는 도구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부(400)는 방향조절와이어(300)가 당겨짐에 따라 직경이 확장되는 확장부(4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방향조절와이어(300)가 당겨짐에 따라 1차적으로 워킹채널(130) 내부에 내시경(20)이 고정되며, 고정된 이후에 벤딩부(110)의 벤딩이 시작된다. 즉 방향조절와이어(300)가 당겨지는 길이는 소정길이까지는 고정부(400)를 작동시키며, 그 이후에는 벤딩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고정부(4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삽입부(100)의 선단의 확대단면도이며, 도 4는 고정부(400)의 작동에 따른 형상변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제1 실시예의 작동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400)는 제1 지지부(421), 평판 스프링(411)이 확장부(410)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제2 지지부(4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방향조절와이어(300) 및 고정부(400)가 상하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상측에 구비된 부분에 대하여만 설명하고 하측에 대칭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구성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지지부(421)는 방향조절와이어(300)의 끝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2 지지부(422)는 내시경(20)의 삽입부(100) 내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제1 지지부(421)와 제2 지지부(422) 사이에는 복수의 평판 스프링(411)이 회전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지지부(421)는 삽입부(100)에 별도로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방향조절와이어(300)를 잡아당기는 경우, 제1 지지부(421) 측으로 이동하면서 평판 스프링(411)을 가압하게 되고, 방향조절와이어(300)를 원상복귀 하는 경우 평판 스프링(411)에 의해 제2 지지부(422)로부터 멀어지게 되어 원위치 된다.
평판 스프링(411)은 제1 지지부(421)와 제2 지지부(422)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가 제1 지지부(421)와 제2 지지부(422)간 거리가 가까워지는 경우 양측에서 압력을 받게 되고, 도 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둘레방향으로 직경이 넓어지게 된다. 이때 평판 스프링(411)의 위치에 대응하는 와이어 채널(140)은 내경이 정해져 있으나, 평판 스프링(411)의 둘레방향 직경이 확장됨에 따라 부분적으로 내경이 확장되며, 특히 워킹채널(130)의 내벽이 워킹채널(130) 내부의 공간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워킹채널(130)과 와이어 채널(140) 사이를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평판 스프링(411)이 접촉하는 부분에는 연성가압면(440)이 구비되며, 연성가압면(440)은 다른 부분에 비하여 연성이 높은 재질로 구성되어 평판 스프링(411)이 와이어 채널(140)의 내벽을 가압하더라도 워킹채널(130) 측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평판 스프링(411)의 양단에는 방향조절와이어(300)가 통과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의 크기는 제1 지지부(421) 및 제2 지지부(422)가 관통하지 않으면서 방향조절와이어(300)의 직경보다 다소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고정부(400)가 압축됨에 따라 도 5 (c)와 같이 도면상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성가압면(440)을 가압할 수 있도록 유격을 두어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측에 배치된 평판 스프링(411)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평판 스프링(411) 전체가 하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후 방향조절와이어(300)를 더 잡아당기면 확장부(410)가 최대로 확장되어 워킹채널(130) 내부의 내시경(20)을 고정할 수 있게 되며, 이후 와이어를 더 잡아당기게 되면 제2 고정부(400)가 지지되면서 당겨지게 되어 벤딩이 이루어진다. 즉 1차적으로 확장부(410)의 확장이 최대로 이루어진 후에 방향조절와이어(300)의 본연의 기능이 수행되어 벤딩부(110)의 벤딩이 이루어 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벤딩부(110)의 원위치되는 경우에는 벤딩시의 순서와 역순으로 1차적으로 벤딩부(110)가 원위치되며, 이후 확장되었던 확장부(410)가 평판 스프링(411)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 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벤딩 이후 원위치한 상태에서 반대방향으로 벤딩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하측에 위치한 확장부(410)가 확장되면서 먼저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어 방향에 무관하게 벤딩의 시작 전 내시경(20)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내시경(20)과 삽입부(100)의 끝단이 정렬된 상태로 벤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중복기재를 피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제2 실시예의 작동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400)는 제1 지지부(421)와 제2 지지부(422)를 포함하며, 내측에 코일 스프링(412)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제1 지지부(421)와 제2 지지부(422) 사이의 공간에는 경사부(430)가 구비된다.
경사부(430)는 방향조절와이어(300)를 잡아당김에 따라 제1 지지부(421)가 워킹채널(130) 측을 가압할 수 있도록 조작부(200) 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치우쳐지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달리 제1 지지부(421)와 제2 지지부(422) 사이가 가까워짐에 따라 코일 스프링(412)이 압축이 되나, 코일 스프링(412)에 의해 연성가압면(440)이 가압되지는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421)가 제2 지지부(422)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경사부(430)의 형상에 따라 제1 지지부(421)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연성 가압부를 점차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경사부(430)는 연성가압면(440)보다 강도가 높은 재질로 구성되어 가압부가 상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연성가압면(440)만을 변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향조절와이어(300)를 잡아당김에 따라 연성가압면(440)의 변형이 일어나 워킹채널(130) 내부의 내시경(20)을 가압하게 되며, 최대로 압축이 된 이후 제2 지지부(422)에 지지되어 이후 벤딩부(110)의 벤딩이 일어나게 된다.
원위치시에는 먼저 벤딩부(110)가 곧게 펴지게 되며 이후 코일 스프링(412)의 복원력에 의하여 제1 지지부(421)가 원위치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벌룬(450)을 이용하는 제3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에 대하여 도 7 내지 도 9를 각각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하의 실시예에서도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중복기재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7 은 제3 실시예의 작동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400)가 방향조절와이어(300)와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부(400)는 벌룬(450) 및 벌룬채널(4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벌룬채널(460)은 삽입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일측은 조작부(200) 측으로 연통되어 외부로부터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타측은 벌룬(45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벌룬(450)은 삽입부(100)의 끝단측에 구성되는 벌룬(450)형 공간을 포함한다.
벌룬(450)의 일측은 워킹채널(130)과 인접하며, 벌룬(450)형 공간에 유체가 유입되어 벌룬(450)형 공간이 확장되면 워킹채널(130)의 내벽이 워킹채널(130)의 내측 공간측으로 돌출된다.
이 경우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돌출된 내면이 내시경(20)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게된다.
이때 고정부(400)가 방향조절와이어(300)와 독립적으로 구성되므로 방향조절와이어(300)의 조작의 순서와 무관하게 내시경(20)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한편, 방향조절와이어(300)를 조작하기 전에 독립적으로 벌룬(450)을 팽창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조작부(200)에는 조향레버(210)의 조작에 따라 먼저 벌룬(450)을 고정할 수 있도록 유로를 개폐하는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제4 실시예의 작동상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400)가 벌룬(450) 및 벌룬튜브(4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벌룬(450) 및 벌룬튜브(470)는 워킹채널(130)에 내시경(20)과 함께 삽입되며, 삽입된 상태에서 벌룬채널(460)을 통하여 유체를 유입시키고 벌룬(450)을 팽창시켜 내시경(20)의 끝단부측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워킹채널(130)의 내측에 벌룬(450)이 구비되므로, 이전 실시예와 달리 워킹채널(130)의 내벽의 형상이 변화하여 내시경(20)을 가압하지 않고 벌룬(450) 자체가 내시경(20)과 워킹채널(130) 사이에서 팽창되어 내시경(20)을 일측으로 가압하여고정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제5실시예의 작동상태도이다.
본 실시예서는 제4 실시예와 유사하게 워킹채널(130)에 삽입되는 벌룬(450)과 벌룬튜브(4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벌룬(450)은 링형으로 구성되어 중심부분에 형성된 공간에 내시경(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벌룬(450)을 팽창시키는 경우 제4 실시예와 달리 고리형 벌룬(450)이 팽창하게 되므로 내시경(20)을 모든 방향에서 가압하면서 내시경(20)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정기능을 갖는 연성 카테터는 워킹채널(130)에 삽입되는 기구를 벤딩 전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벤딩에 따라서 끝단의 정렬된 위치가 변화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조향 전에 별도의 고정단계를 거치지 않고 1차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되므로 수술 절차를 간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연성 카테터
20: 내시경
100: 삽입부
110: 벤딩부
130: 워킹채널
140: 와이어 채널
200: 조작부
210: 조향레버
220: 연결포트
300: 방향조절와이어
400: 고정부
410: 확장부
411: 평판스프링
412: 코일스프링
421: 제1 지지부
422: 제2 지지부
430: 경사부
440: 연성가압면
450: 벌룬
460: 벌룬채널
470: 벌룬튜브

Claims (11)

  1. 벤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연성 삽입부;
    상기 삽입부와 연결되는 조작부;
    일단이 상기 조작부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삽입부에 고정되어 상기 조작부에 의해 당겨지는 길이에 따라 상기 벤딩부를 벤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방향조절와이어;
    상기 삽입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워킹채널; 및
    상기 삽입부에 구비되며, 상기 워킹채널 내부에 삽입된 도구가 상기 벤딩시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된 도구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방향조절와이어가 당겨짐에 따라 확장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연성 카테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워킹채널에 상기 도구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워킹채널을 좁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카테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일측이 방향조절와이어의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확장부가 상기 워킹채널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카테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방향조절와이어를 당김에 따라 상기 확장부가 먼저 확장되며, 이후 상기 벤딩부의 벤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카테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방향조절와이어의 끝단에 고정되며, 상기 방향조절와이어가 당겨짐에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연성 삽입부에 고정설치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확장부는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며, 상기 방향조절와이어가 당겨짐에 따라 직경이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카테터.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평판 스프링, 코일 스프링 중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카테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평판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방향조절와이어가 내부에서 위치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와이어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평판 스프링은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 채널 내면의 복수의 지점과 접촉하여 직경이 확장될 수 있도록 상기 방향조절와이어의 둘레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카테터.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방향조절와이어가 내부에서 위치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와이어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방향조절와이어의 끝단에 구비된 지지부 및
    상기 와이어 채널에 상기 삽입부의 중심부분을 향하여 돌출된 경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방향조절와이어를 잡아당김에 따라 초기에 상기 경사부에 의해 상기 지지부가 상기 워킹채널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카테터.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인접하는 상기 워킹채널 내벽의 재질은 삽입부의 다른 부분보다 연성이 큰 재질로 구성되는 연성가압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카테터.
  10.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절와이어는 상기 삽입부를 복수의 방향으로 조향할 수 있도록 복수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복수로 구성되어 각각의 상기 방향조절와이어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카테터.

  11. 삭제
KR1020160154132A 2016-11-18 2016-11-18 굽힘시 고정기능을 갖는 연성 카테터 Active KR101868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132A KR101868862B1 (ko) 2016-11-18 2016-11-18 굽힘시 고정기능을 갖는 연성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132A KR101868862B1 (ko) 2016-11-18 2016-11-18 굽힘시 고정기능을 갖는 연성 카테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193A KR20180056193A (ko) 2018-05-28
KR101868862B1 true KR101868862B1 (ko) 2018-06-19

Family

ID=62451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4132A Active KR101868862B1 (ko) 2016-11-18 2016-11-18 굽힘시 고정기능을 갖는 연성 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86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9264B2 (ja) * 1994-10-18 2004-08-04 テルモ株式会社 カテーテルチューブ
JP2007125256A (ja) 2005-11-04 2007-05-24 Terumo Corp 医療用具
JP2010104527A (ja) 2008-10-29 2010-05-13 Tottori Univ 内視鏡等閉鎖腔作成補助具及び内視鏡装置
JP2012125512A (ja) * 2010-12-17 2012-07-05 Olympus Corp 内視鏡保持装置および内視鏡システム
KR101419019B1 (ko) * 2012-09-28 2014-07-11 신경민 플라스틱 스텐트 삽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4812B2 (ja) * 1994-03-14 2002-11-18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内視鏡
KR101331523B1 (ko) 2013-04-17 2013-11-20 주식회사 지에스엠코리아 양방향 조향이 가능한 카테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9264B2 (ja) * 1994-10-18 2004-08-04 テルモ株式会社 カテーテルチューブ
JP2007125256A (ja) 2005-11-04 2007-05-24 Terumo Corp 医療用具
JP2010104527A (ja) 2008-10-29 2010-05-13 Tottori Univ 内視鏡等閉鎖腔作成補助具及び内視鏡装置
JP2012125512A (ja) * 2010-12-17 2012-07-05 Olympus Corp 内視鏡保持装置および内視鏡システム
KR101419019B1 (ko) * 2012-09-28 2014-07-11 신경민 플라스틱 스텐트 삽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193A (ko) 2018-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94612B2 (ja) 挿入補助具
US7537562B2 (en) Endoscope apparatus
CN101175434B (zh) 内窥镜系统
US8523762B2 (en) Endoscope system, endoscope, supporting member, and method of using endoscope system
US9610129B2 (en) Medical manipulator
JP3965031B2 (ja) トロッカー
CN102098954B (zh) 医疗用管
TW202009117A (zh) 彎曲構造體及使用該構造體的關節功能部
JP2005516694A (ja) カテーテル用変位装置
JP5425695B2 (ja) 内視鏡装置
JP4648365B2 (ja) 内視鏡処置システム
US20190329004A1 (en) Flexible catheter using wires
JP6189009B1 (ja) 組織回収具
KR101868862B1 (ko) 굽힘시 고정기능을 갖는 연성 카테터
JP2009056054A (ja) 内視鏡案内管装置
KR101780326B1 (ko) 내시경 로봇
JP2009056056A (ja) 内視鏡案内管装置
JP2007136128A (ja) 内視鏡用クリップ装置
KR101559272B1 (ko) 내시경 처치구용 조작장치
JP2004358222A (ja) 内視鏡装置の操作方法及び内視鏡装置
KR101790442B1 (ko) 수술용 기기
JP2009233153A (ja) 挿入体及び内視鏡装置
JPH06339455A (ja) 挿入具
WO2019087254A1 (ja) 内視鏡システム
JP6334948B2 (ja) ボタン型胃瘻チュー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9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6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6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