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68272B1 - 테이프 커팅 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커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272B1
KR101868272B1 KR1020170038616A KR20170038616A KR101868272B1 KR 101868272 B1 KR101868272 B1 KR 101868272B1 KR 1020170038616 A KR1020170038616 A KR 1020170038616A KR 20170038616 A KR20170038616 A KR 20170038616A KR 101868272 B1 KR101868272 B1 KR 101868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roller
guide groove
cutting
forming mea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8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행소
Original Assignee
홍행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행소 filed Critical 홍행소
Priority to KR1020170038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2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27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2Hand-held or tabl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4Cutting handled material from hand-held or table dispen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Landscapes

  • Package Clos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스 포장용 테이프를 커팅하는 장치이자, 특히 박스를 밀봉하는 테이프를 커팅하는 과정에서 테이프의 단부에 비접착 중첩부를 형성하여, 밀봉된 박스를 극히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도록 한 테이프 커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테이프가 장착되는 장착부 및, 장착된 테이프가 풀려서 이동하는 이동부를 구비한 본체, 그리고 상기 본체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테이프를 절단하는 커팅유닛, 그리고 상기 본체 전면에 구비되어 절단된 테이프의 단부에 비접착 중첩부를 형성하는 중첩부 형성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테이프 커팅 장치{TAPE CU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박스 포장용 테이프를 커팅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박스를 밀봉하는 테이프를 커팅하는 과정에서 테이프의 단부에 비접착 중첩부를 형성하여, 밀봉된 박스를 극히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도록 한 테이프 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박스 포장은 제품 포장을 위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식이며, 박스를 접고 테이프를 통해 접착하여 내부 공간에 제품을 수용한 채로 포장한다.
이러한 박스를 밀봉하는 테이프는 롤 형태로 테이프 커팅 장치에 장착 구비되며, 테이프 커팅 장치에 의해 적절한 길이로 절단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테이프 커팅 장치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 등록특허 제10-1135991호(2012년04월05일)[테이프 원터치 커팅기](종래기술1), 등록특허 제10-1558729호(2015년10월01일)[포장 접착테이프용 절단기](종래기술2) 등이 있다.
종래기술1은 커팅날의 어떤 부위에 테이프가 먼저 닿더라도 한번에 쉽게 테이프를 절단할 수 있도록 하며, 별도로 손으로 테이프를 문지를 필요가 없고, 테이프를 잡고 뽑기 용이하며, 사용 후 다음 작업 시에도 쉽게 테이프를 파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테이프의 회전이 원활하게 되고 가속도가 부가된 테이프 원터치 커팅기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2는 안전한 이용은 물론, 절단된 테이프가 권취된 테이프 측으로 다시 달라붙지 않도록 하여 다음 사용에 편리함을 줄 수 있도록 한 포장 접착테이프용 절단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1 및 2를 포함한 종래의 기술들에서는, 테이프를 통한 박스의 밀봉 시, 테이프의 단부가 박스에 접착 고정되어버려서 사용자가 박스를 개봉하고자 할 때 테이프의 박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사용자는 칼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테이프를 절개하거나 또는 손톱과 같이 첨예한 어떤 것을 활용하여 테이프의 단부를 박리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재고되는 바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절단된 테이프의 단부에 비접착 중첩부를 형성하는 중첩부 형성수단을 통해, 밀봉된 박스를 극히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롤러, 가이드홈,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고유한 구조의 중첩부 형성수단을 제시함으로써, 테이프의 안정적인 이동 및 배출을 위해 구비되는 롤러를 그대로 활용하였고, 이를 통해 부품 수 절감, 제조비용 절감, 집척화를 통한 소형화를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가이드홈에 걸림홈을 추가로 구비하여, 중첩부 형성을 위한 과정을 제외한 일반적인 테이프 커팅 장치의 사용 시에 롤러를 용이하게 고정시키고, 별도의 추가 동작 없이도 박스의 테이핑을 마감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롤러가 이동하여 중첩부를 형성시키도록 하여, 편리한 사용 및 자동화 장치에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테이프가 장착되는 장착부 및, 장착된 테이프가 풀려서 이동하는 이동부를 구비한 본체, 그리고 상기 본체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테이프를 절단하는 커팅유닛, 그리고 상기 본체 전면에 구비되어 절단된 테이프의 단부에 비접착 중첩부를 형성하는 중첩부 형성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첩부 형성수단은 상기 테이프의 비접착면에 접촉하는 롤러와, 상기 롤러의 회전축을 수용하여 상기 롤러가 상기 비접착 중첩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롤러를 안내하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의 일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롤러에 연결된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중첩부 형성수단은 상기 가이드홈의 단부 중, 상기 탄성부재가 구비된 측의 반대 측인 타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홈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걸림홈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중첩부 형성수단은 회동부, 상기 회동부의 일 측으로 연결된 고정부 및, 상기 회동부의 타 측으로 연결된 폴딩부를 포함하는 중첩부재 및, 상기 중첩부재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폴딩부에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부재를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절단된 테이프의 단부에 비접착 중첩부를 형성하여 밀봉된 박스를 극히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고유의 구조를 갖는 중첩부 형성수단을 통해 부품 수 절감, 제조비용 절감, 집척화를 통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또한 중첩부 형성을 위한 과정을 제외한 일반적인 테이프 커팅 장치의 사용 시에 롤러를 용이하게 고정시키고, 별도의 추가 동작 없이도 박스의 테이핑을 마감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롤러가 이동하여 중첩부를 형성시키도록 하여, 편리한 사용 및 자동화 장치에의 적용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측면도 및 세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동작과정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박스 포장용 테이프를 커팅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박스를 밀봉하는 테이프를 커팅하는 과정에서 테이프의 단부에 비접착 중첩부를 형성하여, 밀봉된 박스를 극히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도록 한 테이프 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커팅 장치(이하 본 장치(A))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고 있고, 특히 도 1은 사시도, 도 2는 측면도 및 세부 구성도, 도 3은 동작과정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A)는 크게 본체(1), 커팅유닛(2) 및 중첩부 형성수단(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 구성 별로,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는 테이프(T)가 장착되는 장착부(11), 그리고 장착된 테이프(T)가 풀려서 이동하는 이동부(13)를 구비한다.
장착부(11)는 테이프(T)가 장착되는 구성으로, 중공을 갖는 롤 형태로 이루어진 테이프(T)를 장착할 수 있도록, 중공에 상응하는 직경을 갖는 회동축(111)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테이프(T)의 중공을 장착부(11)의 회동축(111)으로 측방향에서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장착부(11)는 회전 시, 장착된 테이프(T)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이탈방지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이동부(13)는 장착부(11)에 장착된 테이프(T)가 풀려서 이동하는 구성으로, 다수의 롤(Roll)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테이프(T)의 접착면(하면)과 비접착면(상면)에 따라 다른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접착면의 접착성에 의해 테이프(T)의 이동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동부(13)에 관련된 기술은 이미 널리 공지된 사항에 해당하므로, 보다 구체적인 이동부(13)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유닛(2)은 본체(1) 전면에 구비되어 테이프(T)를 절단하는 구성으로, 커터(절단날)를 통해 박스의 밀봉을 위해 접착된 테이프(T)를 적당한 위치에서 절단한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첩부 형성수단(3)은 본체(1) 전면에 구비되어 절단된 테이프(T)의 단부에 비접착 중첩부(p)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본체(1)의 이동부(13)에 의해 풀려서 이동하는 테이프(T)를 구부려서, 테이프(T)의 접착면끼리 접착되게 하고, 접착에 의해 일부 구간에서 중첩되게 하여, 비접착 중첩부(p)를 형성한다.
상기 표현에서, 커팅유닛(2)과 중첩부 형성수단(3)이 모두 본체(1)의 전면에 구비된다고 하였는데, 커팅유닛(2)과 중첩부 형성수단(3)의 위치 관계는 비접착 중첩부(p)를 형성할 수 있는 적절한 위치 관계를 가지면 되는 것이고, 바람직하게는 커팅유닛(2)이 중첩부 형성수단(3)보다 전방에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테이프(T)를 통한 박스의 밀봉 시, 도 3 [E]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중첩부 형성수단(3)에 의해 형성된 비접착 중첩부(p) 인접 위치를 커팅유닛(2)이 절단함으로써 테이프(T)의 단부에 비접착 중첩부(p)를 형성하게 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박스를 개봉할 때, 비접착 중첩부(p)를 손으로 잡고 개봉하면, 박스에 접착되지 않은 비접착 중첩부(p)가 쉽게 박스로부터 박리되어, 극히 용이한 박스의 개봉이 가능해진다.(도 3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유닛(2)에 의한 절단 위치는 커팅유닛(2)의 구비 위치에 따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특징 및 추가적인 특징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상기한 중첩부 형성수단(3)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중첩부 형성수단(3)은 롤러(31), 가이드홈(32) 및 탄성부재(33)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 별로, 롤러(31)는 테이프(T)의 비접착면에 접촉하는 구성으로, 본체(1)의 이동부(13)에 의해 풀려서 이동한 테이프(T)가 박스에 접착되기 전에 최종적으로 풀려서 진출되도록 한다. 특히 이러한 롤러(31)는 스스로의 이동에 의해 테이프(T)의 단부(박스 접착 상태에서의 단부)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테이프(T)가 구부러져 비접착 중첩부(p)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추가적으로, 롤러(31)는 비접착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테이프(T)와 함께 이동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유사 점착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유사 점착성'이라 함은 롤러(31)의 표면이 점착성을 갖거나 또는 높은 마찰계수를 가져, 테이프(T)가 롤러(31)에 마치 점착된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특성을 의미한다.
다음, 가이드홈(32)은 롤러(31)의 회전축을 수용하여 롤러(31)가 비접착 중첩부(p)를 형성하도록 롤러(31)를 안내하는 구성이다. 이에 따라 롤러(31)는 회전축이 가이드홈(32)에 귀속된 상태에서 가이드홈(32)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여기에서의 '롤러(31)의 이동'은 롤러(31)의 회전과는 다른 의미로 롤러(31) 자체의 수직 또는 수평 변위가 발생한다는 개념이다.
또한 이 후 본 명세서에서, 가이드홈(32)의 일 단부(t1)와 타 단부(t2)라는 지칭은, 도 3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전방 측(좌측)을 일 단부(t1), 상대적으로 후방 측(우측)을 타 단부(t2)로 하며,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청구범위'에서도 이를 따른다.
다음, 탄성부재(33)는 가이드홈(32)의 일 단부(t1)에 구비되고 롤러(31)에 연결된 구성으로, 자체 복원력을 통해 롤러(31)를 이동시키는데, 보다 자세하게는 가이드홈(32)의 타 단부(t2)에 위치한 롤러(31)를 일 단부(t1)까지 이동시킨다. 이러한 탄성부재(33)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복원력을 가진 부재라면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도 3에서는 가시성 향상을 위해 탄성부재(33)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롤러(31)가 탄성부재(33)의 복원력에 의해 가이드홈(32)을 따라 이동하면서 테이프(T)를 구부려 접착면끼리 접합시키고, 이를 통해 비접착 중첩부(p)를 형성함으로써, 상기한 효과인 개봉 용이성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구조를 갖는 중첩부 형성수단(3)은 테이프(T)의 안정적인 이동 및 배출을 위해 구비되는 롤러(31)를 그대로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중첩부(p) 형성을 위한 별도의 구성요소를 따로 더 추가하지 않아도 되므로, 부품 수 절감, 제조비용 절감, 집적화를 통한 소형화 등의 장점이 있다.
추가로, 탄성부재(33)에 의해 복귀한 롤러(31)를 다시 일 단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작업은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복귀시키거나 또는 별도의 복귀수단을 마련하여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A)는 상기한 중첩부 형성수단(3)이 걸림홈(34)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걸림홈(34)은 가이드홈(32)의 단부 중, 탄성부재(33)가 구비된 측의 반대 측인 타 단부(t2)에 구비되고, 가이드홈(32)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일 단부(t1)는 전방 측이고, 타 단부(t2)는 후방 측이다.
이러한 걸림홈(34)은 롤러(31)를 수용하고, 롤러(31)를 타 단부(t2) 측에 고정시켜, 테이프 커팅 장치의 일반적인 사용(테이프 접착 등, 중첩부(p) 형성 과정을 제외한 모든 과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걸림홈(34)은 가이드홈(3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본 장치(A)에서 풀려 나가는 테이프(T)가 박스에 접착되는 과정에서, 박스의 모서리 부분에 접착될 때 자연스럽게 상측 방향으로 압박되게 되고, 이에 상승하는 테이프(T)가 롤러(31)를 상측으로 밀어서, 걸림홈(34)에서 빠져나오도록 하고, 이 후 롤러(31)는 상기한 일련의 과정을 거쳐 탄성부재(33)의 복원력에 의해 가이드홈(32)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걸림홈(34)의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별도의 동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박스의 테이핑을 마감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중첩부(p)를 형성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후술하는 자동화 장치에 적용하는 실시 역시 가능하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상기한 가이드홈(32)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32)은 일 단부(t1)와 타 단부(t2) 사이에 불연속 지점(t3)을 갖는 '절개된 링'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이드홈(32)의 구조는 롤러(31)의 이동에 의해 중첩부(p)가 원활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상기 표현에서 '절개된 링'이라는 의미는 반드시 원 형상뿐만 아니라 타원, 기타 굴곡진 형상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측면도)이다. 제2실시예는 상기한 본 장치(A)를 박스 이송수단(400)과 결합한 자동화 장비에 관한 것이다.
설명의 편의 및 구분의 편의를 위해 제2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A)를 '본 장비(E)'로 명명하고, 본 장비(E)의 본체(1)를 '바디(100)'로 명명하기로 하며, 커팅유닛(2) 및 중첩부 형성수단(3)은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구분 없이 지칭(도면참조부호는 각각 200, 300)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본 장비(E)는 테이프(T)가 장착되는 장착부(110), 장착된 테이프(T)가 풀려서 이동하는 이동부(130)를 구비한 바디(100), 그리고 바디(100) 전면에 구비되어 테이프(T)를 절단하는 커팅유닛(200), 그리고 바디(100) 전면에 구비되어 절단된 테이프(T)의 단부에 비접착 중첩부(p)를 형성하는 중첩부 형성수단(300)을 포함하며, 추가로 박스(B)를 이송하는 이송수단(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장비(E)는 자동화를 위해 바디(100)를, 보다 명확하게는 '커팅유닛(200)과 중첩부 형성수단(300)이 결합된 바디(100)'를 움직이는 암 유닛(미도시)을 포함해야 함은 자명한 것으로, 이러한 암 유닛에 관한 실시는 공지된 기술들을 참조할 수 있다.
추가로, 탄성부재(33)에 의해 복귀한 롤러(31)를 다시 일 단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작업을 위해, 본 장비(E)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별도의 복귀수단을 더 포함해야 할 것이다.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 4를 통해, 본 장치(A)를 변형하여 자동화 장비인 본 장비(E)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따라서 상기한 본 장치(A)의 권리범위가 박스 자동 포장 장비 역시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제3실시예는 상기 제2실시예에서 언급한 본 장치를 자동화 장비에 적용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이다.
설명의 편의 및 구분의 편의를 위해 제3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A)를 '본 장비(E2)'로 명명하고, 본 장비(E2)의 본체(1)를 '바디(1000)'로 명명하기로 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본 장비(E2)는 테이프(T)가 장착되는 장착부, 장착된 테이프(T)가 풀려서 이동하는 이동부를 구비한 바디(1000), 그리고 바디(1000) 측에 구비되어 테이프(T)를 절단하는 커팅유닛, 그리고 일 측에 바디(1000)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절단된 테이프(T)의 단부에 비접착 중첩부(p)를 형성하는 중첩부 형성수단(3000)을 포함하며, 추가로 박스(B)를 이송하는 이송수단(40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 별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진행하면, 먼저 바디(1000)는 상기한 제1 및 제2실시예의 바디(100)(또는 본체(1))와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 커팅유닛은 바디(1000) 측에 구비되어 테이프(T)를 절단하는 구성으로, 제3실시예에서는 커팅유닛이 반드시 바디(1000)의 전방에 구비되는 것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고, 바디(1000) 측 어딘가에 구비되어 테이프(T)의 절단을 제공하면 되고, 별도의 구동 암(Arm)을 통해 테이프(T)의 절단이 필요한 경우에만 바디(1000) 측으로 접근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커팅유닛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는 공지된 기술들을 참조할 수 있는 바, 도면의 도시 및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 중첩부 형성수단(3000)은 절단된 테이프(T)의 단부에 비접착 중첩부(p)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제1 및 제2실시예와는 달리 제3실시예에서는 중첩부 형성수단이 바디(1000)의 전방에 구비될 수도 있고, 이송수단(4000) 인접 위치(상기 '일 측')에 배치되어 바디(1000)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특히 중첩부 형성수단(3000)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경우, 테이프(T)의 단부에 중첩부(p)를 형성하고자 할 때 바디(1000) 측으로 이동하고, 중첩부(p)를 형성하고 난 뒤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첩부 형성수단(30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3110)와, 회동부(3110)의 일 측으로 연결된 고정부(3120)와, 회동부(3110)의 타 측으로 연결된 폴딩부(3130)를 포함하는 중첩부재(3100), 그리고 중첩부재(31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어, 폴딩부(3130)에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부재(32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첩부재(3100)의 회동부(3110)는 폴딩부(3130)가 압축공기에 의해 밀려날 때 고정부(3120) 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안내하는 구성이며, 고정부(3120)나 폴딩부(3130)에 비해 얇은 두께를 갖는 판형 부재로 구성되거나 또는 축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고정부(3120)와 폴딩부(3130)는 회동부(3110)를 중심으로 하여 외력에 의해 서로 맞닿아 테이프(T)의 단부를 중첩시켜 중첩부(p)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고정부(3120)와 폴딩부(3130)를 포함하는 중첩부재(3100)는 자체 탄성을 가져 압축공기에 의한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판상 부재로 복귀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또는 폴딩부(3130)에 추가적으로 복귀수단(예: 모터 등에 의한 동력)을 구비하여 복귀수단에 위해 원상 복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비(E2)는 중첩부재(3100)가 폴딩부(3130)의 일면, 보다 명확하게는 분사부재(3200) 쪽 면에 형성된 집중부(31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집중부(3140)는 폴딩부(3130)의 일면에 함몰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집중부(3140)에 의해 분사부재(3200)의 압축공기가 집중부(3140) 측으로 집중되어, 압축공기에 의한 폴딩부(3130)의 접힘 동작이 강화된다.
추가로, 상기 설명에서, 본 장비(E2)의 중첩부 형성수단(3000)은 바디(1000) 측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고 하였는데, 이러한 중첩부 형성수단(3000)의 이동은 모터 등과 같은 동력원을 갖는 이동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 본 장치(E2)에는 중첩부 형성수단(3000)의 현재 위치 검출을 위한 센서(5000)가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본 장치(테이프 커팅 장치)
1: 본체
11: 장착부 13: 이동부
2: 커팅유닛
3: 중첩부 형성수단
31: 롤러 32: 가이드홈
33: 탄성부재 34: 걸림홈
T: 테이프 p: 비접착 중첩부

Claims (4)

  1. 테이프가 장착되는 장착부 및, 장착된 테이프가 풀려서 이동하는 이동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테이프를 절단하는 커팅유닛; 및
    상기 본체 전면에 구비되어 절단된 테이프의 단부에 비접착 중첩부를 형성하는 중첩부 형성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중첩부 형성수단은,
    상기 테이프의 비접착면에 접촉하는 롤러,
    상기 롤러의 회전축을 수용하여 상기 롤러가 상기 비접착 중첩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롤러를 안내하는 가이드홈 및,
    상기 가이드홈의 일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롤러에 연결된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홈의 단부 중, 상기 탄성부재가 구비된 측의 반대 측인 타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홈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걸림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커팅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038616A 2017-03-27 2017-03-27 테이프 커팅 장치 Active KR101868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616A KR101868272B1 (ko) 2017-03-27 2017-03-27 테이프 커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616A KR101868272B1 (ko) 2017-03-27 2017-03-27 테이프 커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8272B1 true KR101868272B1 (ko) 2018-06-15

Family

ID=62628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8616A Active KR101868272B1 (ko) 2017-03-27 2017-03-27 테이프 커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2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511A (ko) 2019-08-02 2021-02-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롤 스티커 안전 절단 장치
KR20220169701A (ko) 2021-06-21 2022-12-28 선지호 박스 포장 테이프 절단용 칼날유닛과 이를 이용한 박스 포장 테이프 절단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5564A (ja) * 1994-01-31 1995-08-15 Hiroshi Abe 折り返しのできるテープカッター
JP2005231864A (ja) * 2004-02-23 2005-09-02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テープディスペン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5564A (ja) * 1994-01-31 1995-08-15 Hiroshi Abe 折り返しのできるテープカッター
JP2005231864A (ja) * 2004-02-23 2005-09-02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テープディスペン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511A (ko) 2019-08-02 2021-02-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롤 스티커 안전 절단 장치
KR20220169701A (ko) 2021-06-21 2022-12-28 선지호 박스 포장 테이프 절단용 칼날유닛과 이를 이용한 박스 포장 테이프 절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0543B1 (ko) 시트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 및 시트 부착 장치 및 부착 방법
JP4303998B2 (ja) 粘着テープカッター
KR101868272B1 (ko) 테이프 커팅 장치
WO2016117184A1 (ja) 箱詰め装置
JP6476151B2 (ja) テープ貼付ユニット及びテープ貼付装置
AU2018204905A1 (en) Method and installation for producing a pack
US20080263873A1 (en) Tape cutter device
JPH07285521A (ja) 粘着テープ貼着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90086646A (ko) 테이핑 헤드
JP2004142776A (ja) 包装袋開口保持装置及び包装袋開口保持方法
JP2007261774A (ja) タブ付きテープ貼付装置
JP5775736B2 (ja) シート貼付装置および貼付方法
JP4064389B2 (ja) 封函装置
JP2006346778A (ja) 長尺フィルム基材の裁断装置
CN106971959A (zh) 片材粘附装置及粘附方法以及粘接片材料
JP2010168079A (ja) ラベル貼付装置
JP2000168796A (ja)
JP2012229034A (ja) シート貼付装置および貼付方法
CN210150447U (zh) 具备胶带固定部的胶带座结构
EP3541615B1 (en) A method and device for sealing a joint
JP5719226B2 (ja) シート貼付装置および貼付方法
KR20190021661A (ko) 테이핑 헤드
JP5775735B2 (ja) シート貼付装置および貼付方法
JP2015035452A (ja) シート貼付装置及びシート貼付方法
JP6131287B2 (ja) 包装機およびラベル貼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6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6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