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739B1 - Portable multi-port adapter for vehicles - Google Patents
Portable multi-port adapter for vehicl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66739B1 KR101866739B1 KR1020160167208A KR20160167208A KR101866739B1 KR 101866739 B1 KR101866739 B1 KR 101866739B1 KR 1020160167208 A KR1020160167208 A KR 1020160167208A KR 20160167208 A KR20160167208 A KR 20160167208A KR 101866739 B1 KR101866739 B1 KR 1018667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dapter
- housing
- mounting space
- port
- vehic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7—Mid-conso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60R2011/0014—Arm-res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1—Do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8—Ceiling, e.g. roof r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차량용 포터블 멀티포트 어댑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포터블 멀티포트 어댑터는 차량 실내의 복수 위치에 고정 설치되고 내측에 장착공간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개의 하우징 일면에 외부기기 연결포트 및 파워 아웃렛을 구비하고, 장착공간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어댑터, 하우징과 어댑터를 결속 및 결속해제시키는 도킹부 및 하우징과 어댑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팅부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A portable multiport adapter for a vehicle is disclosed. The portable multiport adapt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ternal device connection port and a power outlet on one surface of a plurality of housings fixedly install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in a vehicle interior and each having a mounting space inside, A docking portion for unbonding and unbinding the housing and the adapter, and a connecting portio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housing and the adapt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포터블 멀티포트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실내의 다양한 위치에 용이하게 장착 및 이용이 가능한 차량용 포터블 멀티포트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현대 생활에 있어서 차량은 인간의 생활에 매우 밀접하나 관계를 갖고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은 단순한 운용수단의 개념에서 벗어나 하나의 독립된 생활공간으로 인식되기에 이르렀다.In modern life, vehicles have a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human life, and thus the vehicle has come to be recognized as a separate living space deviating from the concept of simple operation means.
이러한 관점에서 인간이 차량에서 소비하는 시간이 증가하고 있으며, 오늘날에는 주행 안정성 및 승차감과 같은 차량의 기술적인 사항 못지 않게 승객의 편의성과 안락성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각종 편의장치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From this point of view, the time consumed by a human being in a vehicle is increasing, and today, there are increasing demands of consumers for various convenience devices that can improve the comfort and comfort of the passengers as well as the technical aspects of the vehicle such as stability and ride comfort .
차량에 장착되는 편의장치 중 대표적인 것이 차량의 실내에 장착되어 승객이 소지한 외부기기에 충전용 전원을 제공하는 파워 아웃렛(Power Outlet)과, 외부기기에 저장된 음악이나 동영상 등의 파일을 차량의 AV시스템(Audio Visual System)에 연동시켜 실행할 수 있는 USB포트 및 AUX포트 등을 구비하는 멀티포트 어댑터(Multi-Port Adapter)이다.[0003] A typical example of convenience devices to be mounted on a vehicle is a power outlet (Power Outlet) mounted in an interior of a vehicle to provide charging power to an external device possessed by a passenger, and a music or video file stored in an external device, (Multi-Port Adapter) having a USB port and an AUX port that can be executed in conjunction with a system (Audio Visual System).
그러나 종래의 멀티포트 어댑터는 차량의 센터페시아 등에 고정된 상태로 장착되어 마련되는데, 장착위치로부터 멀리 떨어진 좌석에 탑승한 승객은 편의장치를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멀티포트 어댑터와 외부기기를 전선을 이용하여 연결하더라도 차량 실내의 부품요소에 의해 전선이 꺾이게 되어 단선이 발생하거나 차량의 실내공간에 전선이 어질러져 승객의 편의성과 안락성이 도리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multiport adapters are mounted in a fixed state on the center fascia of a vehicle.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for a passenger who is seated in a seat to be far away from the mounting position to use the convenience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lectric wires are broken by the component elements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resulting in disconnection, or the electric wires are messed up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so that the convenience and comfort of passengers are lowered.
특히 오늘날에는 소비자들의 개성적인 기호에 맞추어 다양한 크기 및 종류의 차량이 개발 및 판매되고 있는데, 이 중 다수의 승객이 탑승할 수 있도록 실내공간 및 좌석 수가 확대된 RV(Recreational Vehicle)나 SUV(Sport Utility Vehicle) 등의 경우, 멀티포트 어댑터를 가까운 위치의 일부 승객만이 이용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Especially today, various sizes and types of vehicles are being developed and sold to meet the individual preferences of consumers. Among them, RV (Recreational Vehicle) or SUV (Sport Utility Vehicle, etc.,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ulti-port adapter can be used only by a part of passengers in a close position.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다수의 멀티포트 어댑터를 차량의 실내공간 곳곳에 설치하는 것은 부품비용 및 설치 공임비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을 초래하고, 또한 소비자들의 실제 차량 운용환경에서 멀티포트 어댑터를 차량의 전 좌석에 탑승한 승객이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다는 점에서 설계의 비효율성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nstalling a plurality of multi-port adapters in various places of a vehicle interior causes a problem of increase in parts cost and installation work cost, and also, in a real vehicle operating environment of a consum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nefficiency of the design may be caused because it is rare that passengers on all the seats simultaneously use it.
이에 승객이 어느 위치의 좌석에 탑승하더라도 파워 아웃렛, USB포트 및 AUX포트 등을 구비하는 멀티포트 어댑터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하여 승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차량의 설계 및 운용의 비효율성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Accordingly, the multi-port adapter including the power outlet, the USB port, and the AUX port can be easily used regardless of the seat occupied by the passenger,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passengers and preventing the inefficiency of the design and operation of the vehicle It is necessary to take measures.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승객의 탑승좌석 위치에 무관하게 파워 아웃렛, USB포트 및 AUX포트 등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포터블 멀티포트 어댑터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multiport adapter for a vehicle which can improve accessibility of a power outlet, a USB port, and an AUX port regardless of the seating position of a passenger.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승객의 편의성 및 안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포터블 멀티포트 어댑터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portable multiport adapter for a vehicle which can improve the convenience and comfort of passengers.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승객의 탑승좌석 위치에 무관하게 승객이 소지한 외부기기의 충전 및 작동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포터블 멀티포트 어댑터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multiport adapter for a vehicle which can easily implement charging and operation of an external device carried by a passenger regardless of the seating position of the passenger.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부품비용 및 장착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포터블 멀티포트 어댑터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multi-port adapter for a vehicle that can reduce parts cost and mounting cos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의 설계 및 운용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는 차량용 포터블 멀티포트 어댑터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multiport adapter for a vehicle that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design and operation of a vehicl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품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차량용 포터블 멀티포트 어댑터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multi-port adapter for a vehicle that is simple in structure and easy to install and maintai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 실내의 복수 위치에 고정 설치되고 내측에 장착공간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개의 하우징, 일면에 외부기기 연결포트 및 파워 아웃렛을 구비하고 상기 장착공간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어댑터, 상기 하우징과 상기 어댑터를 결속 및 결속해제시키는 도킹부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어댑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팅부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plurality of housings fixedly install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in a vehicle interior and each having a mounting space inside, an external device connecting port and a power outlet on one surface, An adapter, a docking unit for binding and unbinding the housing and the adapter, and a connecting uni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housing and the adapter.
상기 도킹부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관통공과, 상기 어댑터의 후방에 마련되되 상기 관통공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는 러버와, 상기 어댑터의 전방에 마련되는 작동레버와, 상기 러버의 후방에 마련되되 상기 작동레버와 연결되어 상기 작동레버의 견인 시 상기 러버를 가압하여 단면적을 확장시키도록 마련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Wherein the docking portion includes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housing, a rubber provided at the rear of the adapter and insertable into the through hole, an operating lever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adapter, And a pressing member connected to the lever to press the rubber when the operating lever is pulled to expand a cross-sectional area.
상기 커넥팅부는 상기 장착공간에 고정 설치되는 제1커넥터 및 상기 어댑터의 후방에 마련되어 상기 제1커넥터에 접속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connector fixedly installed in the mounting space, and a second connector provided at a rear of the adapter and connectable to the first connector.
상기 어댑터는 각각의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장착공간으로 슬라이딩하여 장착되고, 상기 어댑터의 외측면 또는 상기 장착공간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어댑터의 슬라이딩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마찰저감돌기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The adapter includes a friction reducing protrusion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adapter or an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space and extending along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adapter,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마찰저감돌기의 단부에는 상기 어댑터의 장착을 안내하는 가이드경사면이 마련되어 제공될 수 있다.The friction reducing protrusion may be provided at an end thereof with a guide inclined surface for guiding the mounting of the adapter.
상기 외부기기 연결포트는 USB포트 및 AUX포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por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USB port and an AUX port.
상기 어댑터는 상기 파워 아웃렛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소켓커버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The adapter may be provided with a socket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of the power outlet.
상기 복수개의 하우징은 차량 실내의 센터페시아, 센터콘솔의 후면, 뒷좌석 암레스트, 차량 실내의 루프패널, 뒷좌석 도어트림 및 트렁크 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 설치되어 제공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housings may be fixedly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a center fascia in a vehicle interior, a rear surface of a center console, a rear armrest, a roof panel of a vehicle interior, a rear door trim, and a trunk room.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포터블 멀티포트 어댑터는 승객의 탑승좌석 위치에 무관하게 파워 아웃렛, USB포트 및 AUX포트 등의 접근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The portable multi-port adapt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mproving accessibility of a power outlet, a USB port, and an AUX port regardless of the seating position of a passeng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포터블 멀티포트 어댑터는 승객의 탑승좌석 위치에 무관하게 승객이 소지한 외부기기의 충전 및 작동을 용이하게 구현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ortable multi-port adapt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easily charging and operating an external device carried by a passenger regardless of the seating position of the passeng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포터블 멀티포트 어댑터는 승객의 편의성 및 안락성이 향상되고, 차량의 상품 경쟁력이 강화되는 효과를 가진다.The portable multi-port adapt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convenience and comfort of the passenger is improved and the competitiveness of the product of the vehicle is enhanc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포터블 멀티포트 어댑터는 부품비용 및 장착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가진다.The portable multiport adap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parts cost and the mounting cos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포터블 멀티포트 어댑터는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품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를 가진다.The portable multi-port adapt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which facilitates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the produ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포터블 멀티포트 어댑터는 차량의 설계 및 운용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The portable multi-port adapt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design and operation of the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포터블 멀티포트 어댑터의 하우징과 어댑터가 탈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포터블 멀티포트 어댑터의 하우징에 어댑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 부분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도킹부가 하우징과 어댑터를 결속해제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B 부분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도킹부가 하우징과 어댑터를 결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포터블 멀티포트 어댑터가 차량 실내의 다양한 위치에 탈착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ousing and an adapter of a portable multi-port adapt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moved.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n adapter is mounted on a housing of a portable multi-port adapt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direction A in Fig.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3,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ck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engaged from the housing.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in FIG. 3,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ck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inds the housing and the adapter.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rtable multi-port adapt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mountable at various positions in a vehicle interio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소개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제시하는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 형태로도 구체화될 수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 등을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provided only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embodiments. For the sake of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ings may omit the parts of the drawing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nd the size of the elements and the like may be somewhat exaggerat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포터블 멀티포트 어댑터(100)의 하우징(110)과 어댑터(120)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포터블 멀티포트 어댑터(100)의 하우징(110)에 어댑터(120)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방향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포터블 멀티포트 어댑터(100)는 차량 실내의 복수 위치에 고정 설치되고 내측에 장착공간(111)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개의 하우징(110), 일면에 외부기기 연결포트(121) 및 파워 아웃렛(122)을 구비하고 장착공간(111)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어댑터(120), 하우징(110)과 어댑터(120)를 결속 및 결속해제시키는 도킹부(130), 하우징(110)과 어댑터(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팅부(140), 하우징(110)의 장착공간(111)에 어댑터(120)의 탈착 시 어댑터(120)와 하우징(110) 사이의 마찰을 저감하는 마찰저감돌기(150)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1 to 3, a
복수개의 하우징(110)은 차량 실내의 복수 위치에 각각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하우징(110)은 내측에 후술하는 어댑터(120)가 진입하여 장착될 수 있는 장착공간(111)을 구비하여 마련된다. The plurality of
각각의 하우징(110)의 양측에는 후술하는 도킹부(130)의 관통공(131)이 한 쌍 마련될 수 있으며, 장착공간(111)의 내측에는 차량의 배터리 등 전원장치 및 AV시스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팅부(140)의 제1커넥터(141)가 고정 설치되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에 마련되는 관통공(131)의 양단에는 후술하는 도킹부(130)의 작동레버(134)의 용이한 조작을 위해 사용자의 손가락 등 신체 일부가 인입 가능하게 마련되는 조작공간(112)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A pair of through
각각의 하우징(110)의 장착공간(111) 내측면은 어댑터(120)의 외측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장착공간(111) 내측면은 어댑터(120)의 외면에 마련되는 마찰저감돌기(150)와 접하면서 어댑터(120)의 장착 및 탈거가 이루어짐으로써, 어댑터(120)와 장착공간(111)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inner surface of the
어댑터(120)는 외부기기 연결포트(121) 및 파워 아웃렛(122)을 구비하고 각각의 하우징(110)에 구비되는 장착공간(111)에 장착 및 탈거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The
어댑터(120)의 전면에는 외부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 아웃렛(122) 및 각종 외부기기 연결포트(121)가 마련될 수 있으며, 외부기기 연결포트(121)는 후술하는 커넥팅부(140)의 제2커넥터(142)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음과 동시에 외부기기에 저장된 음악, 동영상 등의 파일을 차량의 AV시스템과 연동하여 실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파워 아웃렛(122)의 입구에는 파워 아웃렛(122)의 내측으로 먼지, 수분 등의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파워 아웃렛(122)의 입구를 개폐하는 소켓커버(123)가 힌지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외부기기 연결포트(121)는 USB포트 및 AUX포트 등을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어댑터(120)의 전면에는 파워 아웃렛(122) 및 외부기기 연결포트(121)로 외부기기의 접속여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연결상태를 빛의 색깔 또는 점등 여부에 의해 표시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가 마련될 수 있다. A
어댑터(120)의 후면에는 후술하는 커넥팅부(140)의 제2커넥터(142)가 마련되어 하우징(110)에 고정 설치되는 제1커넥터(141)와 접속함으로써 어댑터(120)와 하우징(11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어댑터(120)의 양측에는 후술하는 도킹부(130)의 작동레버(134), 러버(132) 및 가압부재(133)가 마련되어 하우징(110)과 어댑터(120)를 결속 및 결속해제시킬 수 있다. A
어댑터(120)는 각각의 하우징(110)에 구비되는 장착공간(111)에 슬라이딩 이동하여 장착 및 탈거될 수 있으며, 어댑터(120)의 외측면 형상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장착공간(111) 내측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장착공간(111)으로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어댑터(120)의 외측면에는 하우징(110)의 장착공간(111)으로의 장착 및 탈거 방향(슬라이딩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어댑터(120)와 하우징(110)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을 저감하는 마찰저감돌기(150)가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도킹부(130)는 하우징(110)과 어댑터(120)를 결속 및 결속해제시키도록 마련된다. The
도 4 및 도 5는 도 3의 B 부분 확대도로서, 각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도킹부(130)가 하우징(110)과 어댑터(120)를 결속해제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킹부(130)가 하우징(110)과 어댑터(120)를 결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S. 4 and 5 are enlarged views of a portion B of FIG. 3, respectively. FIGS. 4 and 5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도킹부(130)는 하우징(110)에 형성되는 관통공(131)과, 어댑터(120)에 마련되되 관통공(131)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는 러버(132)와, 어댑터(120)에 마련되는 작동레버(134)와, 러버(132)의 후방에 마련되되 작동레버(134)와 연결되어 작동레버(134)의 견인 여부에 따라 러버(132)의 가압 및 가압해제를 통해 러버(132)의 단면적을 변화시키도록 마련되는 가압부재(133)를 포함하여 마련된다.4 and 5, the
관통공(131)은 하우징(110)의 양측에 한 쌍이 마련될 수 있으며, 어댑터(120)의 후면에 마련되는 러버(132)와 가압부재(133)의 일부가 삽입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러버(132)는 가압부재(133)의 가압에 의해 단면적이 변화될 수 있도록 탄성의 성질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작동레버(134)는 어댑터(120)의 전면에 마련되되, 가압부재(133)와 일측이 힌지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가압부재(133)는 일단이 가압부재(133)와 힌지 연결되어 마련되고 중간부분은 러버(132)에 관통되는 폴(Pole, 133a)과, 폴(133a)의 타단에 마련되어 러버(132)를 압착하는 헤드(133b)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A pair of through
가압부재(133)는 작동레버(134)의 회전(도 4 및 도 5 기준 반시계 방향)에 의해 어댑터(120)의 전방 측으로 견인되고, 폴(133a)의 타단에 마련된 헤드(133b)도 함께 전방 측으로 견인되어 러버(132)를 가압하여 단면적을 확장시킴으로써 어댑터(120)와 하우징(110)의 결속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가압부재(133)는 작동레버(134)의 회전(도 4 및 도 5 기준 시계방향)에 의해 어댑터(120)의 후방 측으로 밀리게 되고, 폴(133a)의 타단에 마련된 헤드(133b)도 함께 후방 측으로 밀려 러버(132)를 가압해제하고, 가압해제된 러버(132)는 원래의 형상대로 단면적이 축소되면서 관통공(131)으로부터 러버(132) 및 가압부재(133)가 이탈될 수 있으며, 이로써 어댑터(120)와 하우징(110)의 결속을 해제할 수 있다. The pressing
커넥팅부(140)는 하우징(110)과 어댑터(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마련된다. 커넥팅부(140)는 하우징(110)의 장착공간(111)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커넥터(141) 및 어댑터(120)의 후방에 마련되어 제1커넥터(141)와 접속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커넥터(142)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The connecting
제1커넥터(141)는 하우징(110)의 장착공간(111) 내측면에 전방을 향해 마련되되, 후방은 차량의 배터리 등 전원장치 및 AV시스템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제2커넥터(142)는 어댑터(120)의 후방에 마련되어 어댑터(120)가 하우징(110)의 장착공간(111)에 장착 시 제1커넥터(141)와 접속될 수 있다. 제1커넥터(141)와 제2커넥터(142)의 접속에 의해, 어댑터(120)의 외부기기 연결포트(121) 및 파워 아웃렛(122)이 차량의 배터리 등 전원장치 및 AV시스템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로써 어댑터(120)의 연결포트(121) 및 파워 아웃렛(122)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에 충전용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AV시스템과 연동되어 외부기기에 저장된 음악이나 동영상 등 다양한 파일을 실행할 수 있다. The
마찰저감돌기(150)는 하우징(110)의 장착공간(111)에 어댑터(120)의 장착 및 탈거 시 하우징(110)과 어댑터(120)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을 최소화하도록 어댑터(120)의 외측면과 장착공간(111)의 내측면 사이에 마련된다.Th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어댑터(120)는 하우징(110)의 외측에서 하우징(110)의 장착공간(111)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장착 및 탈거되는 바, 어댑터(120)의 외측면과 장착공간(111)의 내측면이 서로 접촉한 상태로 어댑터(120)의 슬라이딩 이동 시 어댑터(120)와 하우징(110) 사이에 마찰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마찰은 어댑터(120)의 외측면과 하우징(110)의 장착공간(111) 내측면에 흠집을 발생시키고, 장착 및 탈거 시 소음을 유발할 수 있다. The
이에 마찰저감돌기(150)가 어댑터(120)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되 어댑터(120)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마찰저감돌기(150)에 의해 하우징(110)의 장착공간(111)으로의 어댑터(120)의 장착 및 탈거 시 어댑터(120)의 외측면과 장착공간(111)의 내측면 사이의 접촉면적이 대폭 감소하므로 어댑터(120)의 장착 및 탈거를 용이하게 하고,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열 및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마찰저감돌기(150)의 단부, 구체적으로 하우징(110)의 장착공간(111)으로 어댑터(120)의 장착 시 마찰저감돌기(150)가 장착공간(111)의 내측면과 가장 먼저 접촉을 발생하는 단부에는 어댑터(120)의 장착을 안내하는 가이드경사면(151)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마찰저감돌기(150)가 어댑터(120)의 외측면에 어댑터(120)의 탈착 방향(슬라이딩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하우징(110)의 장착공간(111)에 어댑터(120)의 탈착 방향(슬라이딩 이동 방향)을 따라 마찰저감돌기(150)가 마련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this embodiment, th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포터블 멀티포트 어댑터가 차량 실내의 다양한 위치에 탈착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rtable multiport adap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mountable at various positions in a vehicle interior.
복수개의 하우징(110)은 차량 실내의 센터페시아(미도시), 센터콘솔(1)의 후면, 뒷좌석 암레스트(2), 차량 실내의 루프패널(3), 뒷좌석 도어트림(4) 및 트렁크 룸(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 설치되고, 어댑터(120)는 다양한 위치에 장착된 복수개의 하우징(110)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이로써, 승객의 탑승좌석의 위치에 무관하게 하나의 어댑터(120) 만으로도 승객의 근접한 위치에 설치된 하우징(110)에 용이하게 장착하여 이용할 수 있으므로 승객의 편의성 및 안락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멀티포트 어댑터 장치의 구축 및 장착을 위한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Accordingly, since the
나아가, 복수개의 멀티포트 어댑터 장치를 차량의 실내에 개별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멀티포트 어댑터 장치의 전기적 연결을 배선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설계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Furthermore, since it is possible to avoid the troublesome installation of a plurality of multiport adapter devices individually in a vehicle interior, the productiv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multiport adapter device can be simplified, The design efficiency can be improved.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You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00: 포터블 멀티포트 어댑터 110: 하우징
111: 장착공간 112: 조작공간
120: 어댑터 121: 외부기기 연결포트
122: 파워 아웃렛 123: 소켓커버
130: 도킹부 131: 관통공
132: 러버 133: 가압부재
134: 작동레버 140: 커넥팅부
141: 제1커넥터 142: 제2커넥터
150: 마찰저감돌기 151: 가이드경사면100: Portable multiport adapter 110: Housing
111: mounting space 112: operating space
120: Adapter 121: External device connection port
122: Power outlet 123: Socket cover
130: docking part 131: through hole
132: rubber 133: pressure member
134: operating lever 140: connecting part
141: first connector 142: second connector
150: friction reducing projection 151: guide inclined surface
Claims (8)
일면에 외부기기 연결포트 및 파워 아웃렛을 구비하고 상기 장착공간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어댑터;
상기 하우징과 상기 어댑터를 결속 및 결속해제시키는 도킹부;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어댑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부는
상기 장착공간에 고정 설치되는 제1커넥터 및 상기 어댑터의 후방에 마련되어 상기 제1커넥터에 접속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도킹부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관통공과, 상기 어댑터의 후방에 마련되되 상기 관통공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는 러버와, 상기 어댑터의 전방에 마련되는 작동레버와, 상기 러버의 후방에 마련되되 상기 작동레버와 연결되어 상기 작동레버의 견인 시 상기 러버를 가압하여 단면적을 확장시키도록 마련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포터블 멀티포트 어댑터.A plurality of housings fixedly install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in a vehicle interior and each having a mounting space inside;
An adapter having an external device connection port and a power outlet on one surface thereof and detachably installed in the mounting space;
A docking unit for binding and unbinding the housing and the adapter; And
And a connecting portion electrically connecting the housing and the adapter,
The connecting portion
A first connector fixedly installed in the mounting space, and a second connector provided at the rear of the adapter and connectable to the first connector,
The docking unit
A rubber member provided at the rear of the adapter and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 operating lever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adapter; and an operating lever provided at the rear of the rubber member, And a pressing member which is provided to press the rubber to extend the cross-sectional area when the operating lever is pulled.
상기 어댑터는 각각의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장착공간으로 슬라이딩하여 장착되고,
상기 어댑터의 외측면 또는 상기 장착공간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어댑터의 슬라이딩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마찰저감돌기;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포터블 멀티포트 어댑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apter is slidably mounted from the outside of each housing to the mounting space,
And a friction reduc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adapter or an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space, the friction reducing protrusion extending along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adapter.
상기 마찰저감돌기의 단부에는
상기 어댑터의 장착을 안내하는 가이드경사면이 마련되는 차량용 포터블 멀티포트 어댑터.5. The method of claim 4,
At the end of the friction reducing projection
And a guide inclined surface for guiding mounting of the adapter is provided.
상기 외부기기 연결포트는
USB포트 및 AUX포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용 포터블 멀티포트 어댑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port
A USB port, and an AUX port.
상기 어댑터는
상기 파워 아웃렛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소켓커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포터블 멀티포트 어댑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dapter
And a socket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an inlet of the power outlet.
상기 복수개의 하우징은
차량 실내의 센터페시아, 센터콘솔의 후면, 뒷좌석 암레스트, 차량 실내의 루프패널, 뒷좌석 도어트림 및 트렁크 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 설치되는 차량용 포터블 멀티포트 어댑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housings
A portable multiport adapter fixedly mounted on at least one of a center fascia in a vehicle interior, a rear surface of a center console, a rear armrest, a roof panel of a vehicle interior, a rear door trim and a trunk roo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7208A KR101866739B1 (en) | 2016-12-09 | 2016-12-09 | Portable multi-port adapter for vehicl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7208A KR101866739B1 (en) | 2016-12-09 | 2016-12-09 | Portable multi-port adapter for vehicl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66739B1 true KR101866739B1 (en) | 2018-06-15 |
Family
ID=62628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67208A Active KR101866739B1 (en) | 2016-12-09 | 2016-12-09 | Portable multi-port adapter for vehicl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66739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435860A (en) * | 2018-11-20 | 2019-03-08 | 合肥泾渭信息通讯有限公司 | A kind of telecommunication information technology device for vehicle |
KR20220160751A (en) * | 2021-05-28 | 2022-12-06 | 주식회사 서연이화 | Multi-docking station removable to vehicle consol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2011B1 (en) | 2008-10-15 | 2010-04-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igar lighter for vehicle |
KR200475982Y1 (en) * | 2014-02-04 | 2015-01-16 | 최춘영 | Usb seger jack |
-
2016
- 2016-12-09 KR KR1020160167208A patent/KR10186673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2011B1 (en) | 2008-10-15 | 2010-04-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igar lighter for vehicle |
KR200475982Y1 (en) * | 2014-02-04 | 2015-01-16 | 최춘영 | Usb seger jack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435860A (en) * | 2018-11-20 | 2019-03-08 | 合肥泾渭信息通讯有限公司 | A kind of telecommunication information technology device for vehicle |
KR20220160751A (en) * | 2021-05-28 | 2022-12-06 | 주식회사 서연이화 | Multi-docking station removable to vehicle console |
KR102525383B1 (en) * | 2021-05-28 | 2023-04-25 | 주식회사 서연이화 | Multi-docking station removable to vehicle conso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80022586A (en) | Compatible Flashlight-Cargo Lamp System | |
JP2010524423A (en) | Wiring guide device | |
KR101866739B1 (en) | Portable multi-port adapter for vehicles | |
CN105313797B (en) | For clamping the device of the door trim of vehicle | |
CN102576958B (en) | Receptacle | |
US7270359B2 (en) | Assist handle assembly with accessories | |
CN109109756A (en) | Box assembly and automobile are controlled in one kind | |
KR101360673B1 (en) | Luggage Lamp | |
US11754105B2 (en) | Connecting device for cables | |
KR101754880B1 (en) | socket assembly for vehicle | |
KR101305774B1 (en) | Headlamp structure for vehicle | |
KR101344277B1 (en) | Connector using plate spring | |
CN119255936A (en) | System for covering a luggage compartment of a motor vehicle | |
CN109131143A (en) | The inner veneer of vehicle | |
JP2001052813A (en) | Connecting structure of connector | |
KR101754886B1 (en) | Automobile type socket assembly | |
CN217485760U (en) | Vehicle-mounted base | |
JP2016212954A (en) | Lighting device | |
JP7036407B1 (en) | Joint taps, extension cord type power taps, and extension cord type power tap sets | |
CN222247107U (en) | Wiring harness fixing device and vehicle | |
JP3025926U (en) | Automotive socket | |
JP4690184B2 (en) | Dustproof connector | |
US20250080791A1 (en) | Transportation Apparatus, Housing Component, and Assembly for an Entertainment System of a Transportation Apparatus | |
CN119275767A (en) | Restraints and raceway systems | |
JP4690169B2 (en) | Detachable seat connection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05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2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5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3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60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05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5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3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6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6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