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66198B1 - 터치스크린 기반의 게임제공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 기반의 게임제공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198B1
KR101866198B1 KR1020160085307A KR20160085307A KR101866198B1 KR 101866198 B1 KR101866198 B1 KR 101866198B1 KR 1020160085307 A KR1020160085307 A KR 1020160085307A KR 20160085307 A KR20160085307 A KR 20160085307A KR 101866198 B1 KR101866198 B1 KR 101866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game image
character
user
conver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5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5356A (ko
Inventor
김재호
Original Assignee
(주) 덱스인트게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덱스인트게임즈 filed Critical (주) 덱스인트게임즈
Priority to KR1020160085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198B1/ko
Priority to US15/632,727 priority patent/US20180008888A1/en
Priority to CN201710545274.2A priority patent/CN107589883A/zh
Publication of KR20180005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19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4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 A63F13/2145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the surface being also a display device, e.g. touch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8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by computing conditions of game characters, e.g. stamina, strength, motivation or energy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22Strategy games; Role-play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25Fostering virtual charac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6Computing the motion of game characters with respect to other game characters, game objects or elements of the game scene, e.g. for simulating the behaviour of a group of virtual soldiers or for path find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2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game platform
    • A63F2300/203Image generating hardw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기반의 게임제공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기반의 게임제공방법은, 컴퓨터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조작되는 복수의 캐릭터가 상이한 지점에서 출발하는 기준게임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100; 기준게임영상 획득단계); 각 사용자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캐릭터가 제1측에서 제2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기준게임영상을 변환하여 변환게임영상을 생성하는 단계(S200); 및 상기 변환게임영상에 조작인터페이스를 결합하여 제공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 기반의 게임제공방법 및 프로그램 {METHOD AND PROGRAM FOR PROVIDING GAME BY TOUCH SCREEN}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기반의 게임제공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게임 수행 시에 캐릭터 이동방향에 따른 유불리 발생을 해소한 게임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터치스크린을 입력수단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디바이스의 사용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고, 이와 함께 상기 스마트디바이스에서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인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역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었다.
특히, 다양한 분야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게임 애플리케이션이 상당히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와 같은 게임 애플리케이션 중에서도 RPG(Role-Playing Gmae)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통상 'RPG게임'이라 일컫는 역할 수행 게임(Role-Playing Game, RPG)은 게이머가 게임 공간 내에서 자신의 캐릭터로 주어진 임무나 목적을 달성해 나가는 형식의 게임으로, 자신에게 주어진 임무나 역할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게임에 참여하게 된다.
기존 PC기반의 RPG에서는 키보드와 마우스를 이용함으로써 캐릭터의 다양한 플레이 조작이 어렵지 않았으나, 터치스크린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디바이스의 경우 입력 장치로서 별도의 물리적인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터치스크린에 다양한 종류의 가상 키패드가 표시하고 게이머는 게임 화면 상에서 제공되는 상기 가상 키패드를 조작하여 스마트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입력하게 된다.
스마트디바이스는 별도의 입력 장치(수단)없이 게임 화면 상에 형성된 가상 키패드를 터치하여 터치스크린에 통해 데이터를 입력함에 따라 스마트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한 RPG의 경우 게임 화면 상에 캐릭터의 이동을 위한 이동키와 선택키, 확인키, 공격키, 방어키, 회피키, 취소키, 아이템키, 스킬키 등 캐릭터의 다양한 제어를 위한 제어키를 형성하고, 게이머는 게임 화면 상에 형성된 가상의 키패드인 상기 이동키와 제어키를 터치함으로써 캐릭터를 조작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동키와 제어키를 이용한 게임 수행 시 캐릭터의 이동방향에 따라 핸드캡이 발생함에 따라 승률이 달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기반의 게임제공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존의 양방향 게임에서 사용되는 게임결과 산출방식을 그대로 활용하면서 사용자가 게임 수행하기에 편한 캐릭터 이동방향을 제시하는, 터치스크린 기반의 게임제공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기반의 게임제공방법은, 컴퓨터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조작되는 복수의 캐릭터가 상이한 지점에서 출발하는 기준게임영상을 획득하되, 상기 기준게임영상은 게임공간 내의 특정한 시점을 기준으로 획득되는 영상인, 기준게임영상 획득단계; 각 사용자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캐릭터가 제1측에서 제2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기준게임영상을 변환하여 변환게임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게임영상에 조작인터페이스를 결합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작인터페이스를 통해 변환입력조작을 수신하되, 상기 변환입력조작은 상기 변환게임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조작인, 변환입력조작 수신단계; 상기 변환입력조작을 기준입력조작으로 변환하되, 상기 기준입력조작은 상기 기준게임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조작인, 기준입력조작 획득단계; 및 상기 기준입력조작을 기반으로 캐릭터의 이동 또는 능력사용을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인터페이스는, 상기 캐릭터의 이동방향을 결정하는 이동키; 및 상기 캐릭터가 사용하는 능력을 선택하는 제어키;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키는 상기 이동단말기 화면상의 제1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키는 상기 이동단말기 화면상의 제2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임은, 제1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제1캐릭터가 제1측에서 제2측으로 이동하며 능력사용을 수행하며, 제2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제2캐릭터가 상기 제2측에서 상기 제1측으로 이동하며 능력사용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변환게임영상 생성단계는, 상기 기준게임영상을 상기 제2캐릭터가 상기 제1측에서 상기 제2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제2사용자에 대한 변환게임영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환입력조작 수신단계는, 상기 변환게임영상에서, 상기 제어키에 표시된 상기 제2캐릭터의 특정한 능력에 대한 제1선택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 상의 적용지점에 대한 제2선택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적용지점은 게임맵상의 상기 제2캐릭터와 반대위치에서 출발함에 따라 상기 변환게임영상 상의 제2측에서 등장하는 제1캐릭터 자체 또는 제1캐릭터로부터 특정범위 내의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환게임영상 생성단계는, 상기 기준게임영상에 투영행렬을 곱하여 상기 변환게임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사용자가 가상유저와 게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변환게임영상 생성단계는, 대칭인 게임맵이거나 비대칭인 게임맵 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캐릭터의 출발지점이 제1측으로 결정되면, 변환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비대칭인 게임맵에서 상기 사용자의 캐릭터의 출발지점이 제2측으로 결정되면, 상기 기준게임영상을 변환하여 상기 변환게임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기반의 게임제공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기 언급된 터치스크린 기반의 게임제공방법을 실행하며, 매체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사용자가 게임을 수행하는 경우, 각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게임영상(즉, 변환게임영상)에서 본인의 하나 이상의 캐릭터가 이동하는 방향을 동일한 방향으로 변환하여 제공하므로, 캐릭터의 이동방향이 사용자의 캐릭터 제어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모든 사용자가 동일한 조건에서 보유캐릭터의 능력치 및 캐릭터 컨트롤 능력을 바탕으로 전투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기반의 게임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환게임영상의 예시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변환입력조작을 수행되는 게임 내에 반영하는, 터치스크린 기반의 게임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연산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모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데스크 탑 PC, 노트북(Note Book)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의 이동 단말기,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도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수신하여 정보처리를 수행하는 서버가 해당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기반의 게임제공방법은, 컴퓨터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조작되는 복수의 캐릭터가 상이한 지점에서 출발하는 기준게임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100; 기준게임영상 획득단계); 각 사용자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캐릭터가 제1측에서 제2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기준게임영상을 변환하여 변환게임영상(100)을 생성하는 단계(S200); 및 상기 변환게임영상(100)에 조작인터페이스(200)를 결합하여 제공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이하, 각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기재한다.
컴퓨터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조작되는 복수의 캐릭터가 상이한 지점에서 출발하는 기준게임영상을 획득한다(S100). 상기 기준게임영상은 게임공간 내의 특정한 시점을 기준으로 획득되는 영상일 수 있다.
일실시예로, MMORPG게임인 경우,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는 복수의 캐릭터가 3차원의 게임맵 상의 상이한 지점에서 출발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2명의 사용자가 게임을 수행하거나 두개의 그룹이 게임을 수행(즉, 3명 이상의 사용자가 하나의 게임맵 내에서 게임을 수행 시 2개의 편으로 나누어져서 게임을 수행)하는 경우, 게임맵상의 반대편(예를 들어, 좌측과 우측)에서 각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는 캐릭터(예를 들어, 하나의 특정한 캐릭터 또는 복수의 캐릭터 집합)가 이동하도록 그래픽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3차원 그래픽 상에서 특정한 시점 방향에서 제1 사용자의 캐릭터와 제2 사용자의 캐릭터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이를 각 사용자의 캐릭터에 대한 기준게임영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제1 사용자(또는 제1 사용자 그룹)와 제2 사용자(또는 제2 사용자 그룹)의 캐릭터가 각각 3차원 게임맵 상의 동쪽과 서쪽에서 출발하는 경우, 각 캐릭터에 대해 남쪽 상단 방향의 시점에서 기준게임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컴퓨터가 각 사용자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캐릭터가 제1측에서 제2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기준게임영상을 변환하여 변환게임영상(100)을 생성한다(S200). 기준게임영상 내에서 각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캐릭터들은 상이한 방향에서 출발하여 상대방 캐릭터와의 게임 수행(예를 들어, 전투 수행)을 하기 위해 특정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두 명의 사용자가 반대쪽에서 출발하여 전투하기 위해 이동하는 경우, 기준게임영상 내에서 제1 사용자의 캐릭터는 제1측(예를 들어, 좌측)에서 제2측(예를 들어, 우측)으로 이동하고, 제2 사용자의 캐릭터는 제2측(예를 들어, 우측)에서 제1측(예를 들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게임은 제1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제1캐릭터가 제1측에서 제2측으로 이동하며 능력사용을 수행하며, 제2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제2캐릭터가 상기 제2측에서 상기 제1측으로 이동하며 능력사용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변환게임영상(100) 생성단계(S200)에서, 컴퓨터는 상기 기준게임영상을 상기 제2캐릭터가 상기 제1측에서 상기 제2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제2사용자에 대한 변환게임영상(100)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3명 이상의 사용자가 하나의 게임맵 내에서 게임을 수행하게 되면, 상이한 이동방향으로 각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캐릭터가 이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4명의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팀을 이루지 않고 전투를 수행하는 경우, 게임맵 상의 제1측, 제2측, 제3측 및 제4측에서 각 사용자가 게임을 시작하여 게임맵의 중앙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게임맵 내에서 각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캐릭터가 상이한 방향으로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게임 수행 시 출발위치에 따라 캐릭터 제어의 편의성에 차이가 있어 게임 수행결과가 달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게임화면에서 동일한 이동방향으로 사용자 본인의 하나 이상의 캐릭터가 이동(예를 들어, 좌측에서 우측으로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캐릭터가 이동)하도록 영상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특정한 이동방향(예를 들어, 후술되는 조작인터페이스(200)의 제어키(220)가 배치된 쪽에 상대방 캐릭터가 등장하는 방향)으로 캐릭터를 이동시키는 사용자가 캐릭터의 제어 측면에서 가장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조작인터페이스(200)를 기반으로 캐릭터의 이동 및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캐릭터의 스킬을 제어하는 제어키(220)의 화면 상 위치 주변에 상대방 캐릭터가 등장하는 방향(제2측)으로 이동할 때, 제어키(220) 조작 후 상대방 캐릭터 또는 상대방 캐릭터와 인접한 영역을 선택하기 용이하므로 게임 운영에 가장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컴퓨터는 동일한 게임맵 내에서 상이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각 사용자에 대한 하나 이상의 캐릭터를 특정한 방향으로 이동(즉, 제1측에서 제2측으로 이동)하도록 영상을 변환하여 변환게임영상(100)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맵 상에서 플레이되는 사용자가 2명인 경우, 기준게임영상 내에서 제1측으로부터 제2측으로 이동하는 제1 사용자에 대해서는 변환을 수행하지 않고, 기준게임영상 내에서 제2측으로부터 제1측으로 이동하는 제2 사용자에 대해서 영상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변환게임영상(100) 생성단계(S200)는, 컴퓨터가 그래픽영상인 기준게임영상에 대해 특정한 행렬을 곱하는 연산을 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명의 사용자(즉,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의 캐릭터가 하나의 게임맵 내의 반대편에 위치한 출발지점에서 시작하여 이동방향을 반대로 이동하는 경우, 컴퓨터는 기준게임영상에 투영행렬(Projection Matrix)을 곱하여 변환게임영상(100)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사용자가 가상유저와 게임을 수행하는 경우, 컴퓨터는 상황에 따라 상기 변환게임영상(100) 생성단계(S200)를 수행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게임맵이 대칭으로 형성됨에 따라 출발지점에 게임 수행결과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경우, 컴퓨터는 사용자(즉, 실제유저)의 하나 이상의 캐릭터를 제1측에서 제2측으로 이동하도록 배치할 수 있고, 가상유저의 하나 이상의 캐릭터를 제1측에서 제2측으로의 이동방향이 아닌 이동방향으로 움직이는 출발지점에 배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즉, 실제유저)에게 제공할 게임영상의 변환 과정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비대칭인 게임맵 상에서는, 컴퓨터가 연산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캐릭터가 출발할 출발지점을 결정할 수 있고, 사용자의 캐릭터의 출발지점이 제1측으로 결정되면 변환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사용자의 캐릭터의 출발지점이 제2측으로 결정되면 기준게임영상을 변환하여 변환게임영상(100)을 생성할 수 있다.
컴퓨터가 변환게임영상(100)에 조작인터페이스(200)를 결합하여 제공한다(S300). 상기 조작인터페이스(200)는 게임수행 시에 사용자가 캐릭터를 조작하는데 필요한 조작키를 포함한 인터페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게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조작인터페이스(200)는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됨에 따라 사용자의 터치조작으로 캐릭터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즉, 상기 조작인터페이스(200)는, 상기 캐릭터의 이동방향을 결정하는 이동키; 및 상기 캐릭터가 사용하는 능력을 선택하는 제어키(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키는 게임 화면 상에 캐릭터의 이동을 위한 키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어키(220)는 사용자가 게임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스킬 또는 아이템 사용 등의 캐릭터의 다양한 제어를 위한 키로서, 선택키, 확인키, 공격키, 방어키, 회피키, 취소키, 아이템키, 스킬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인터페이스(200) 상에서 이동키 및 제어키(220)는 화면의 상이한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키는 상기 이동단말기 화면상의 제1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키(220)는 상기 이동단말기 화면상의 제2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터치스크린 상의 제2측에 배치된 제어키(220)를 손가락(예를 들어, 엄지손가락)으로 조작한 후, 제2측에 위치한 상대방 캐릭터 또는 상대방 캐릭터에 인접한 지점을 해당 손가락(예를 들어, 엄지손가락)으로 간편하게 지정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조작인터페이스(200)를 통해 변환입력조작을 수신하되, 상기 변환입력조작은 상기 변환게임영상(100)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조작인, 변환입력조작 수신단계(S400); 상기 변환입력조작을 기준입력조작으로 변환하되, 상기 기준입력조작은 상기 기준게임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조작인, 기준입력조작 획득단계(S500); 및 상기 기준입력조작을 기반으로 캐릭터의 이동 또는 능력사용을 적용하는 단계(S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가 상기 조작인터페이스(20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변환입력조작을 수신할 수 있다(S400; 변환입력조작 수신단계). 상기 변환입력조작은 상기 변환게임영상(100)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조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인터페이스(200) 상에 이동키와 제어키(220)가 배치된 경우, 컴퓨터는 사용자로부터 캐릭터 제어를 위해 터치스크린 상의 이동키 또는 제어키(220)의 조작을 수신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컴퓨터는 사용자 캐릭터의 특정한 능력(예를 들어, 스킬 또는 아이템)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적용할 상대방 캐릭터 또는 지점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환입력조작 수신단계(S400)에서, 상기 변환게임영상(100) 내 상기 제어키(220)에 표시된 상기 제2캐릭터의 특정한 능력에 대한 제1선택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 상의 적용지점에 대한 제2선택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용지점은 게임맵상의 상기 제2캐릭터와 반대위치에서 출발함에 따라 상기 변환게임영상(100) 상의 제2측에서 등장하는 제1캐릭터 자체 또는 제1캐릭터로부터 특정범위 내의 영역일 수 있다.
그 후, 컴퓨터가 변환입력조작을 기준입력조작으로 변환할 수 있다(S500; 기준입력조작 획득단계). 상기 기준입력조작은 상기 기준게임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조작일 수 있다. 즉,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플레이되는 게임의 실시간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컴퓨터는 게임맵 상에서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는 하나 이상의 캐릭터들의 움직임(예를 들어, 캐릭터의 이동, 캐릭터의 스킬 또는 아이템 사용 등)을 반영하여 실시간으로 수행결과를 산출하고 이에 대응하는 영상을 생성하여야 한다. 따라서, 컴퓨터가 게임 수행결과를 산출하기 위해서 변환게임영상(100)으로 기준으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변환입력조작을 기준게임영상을 기준으로 변환을 수행하여야 한다.
컴퓨터는 기준게임영상을 변환게임영상(100)으로 변환하는 방식을 역으로 적용하여 변환입력조작을 기준입력조작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키(220) 내의 특정한 능력에 대한 선택조작을 수신하고 변환게임영상(100) 내의 특정한 상대방캐릭터 또는 지점에 대한 선택조작을 수신하는 경우, 컴퓨터는 특정한 능력에 대한 선택조작을 바탕으로 적용할 능력을 결정하고, 변환게임영상(100) 내에 능력적용지점에 대한 선택조작이 입력된 위치정보는 기준게임영상 상의 위치정보로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기준게임영상을 변환게임영상(100)으로 변환시에 변환행렬의 곱을 이용하는 경우, 컴퓨터는 특정한 능력을 적용할 변환게임영상(100) 내의 위치정보를 상기 변환행렬의 역행렬의 곱을 수행하여 기준게임영상 내의 위치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그 후, 컴퓨터가 기준입력조작을 기반으로 캐릭터의 이동 또는 능력사용을 적용할 수 있다(S600). 즉, 컴퓨터는 변환입력조작을 바탕으로 결정된 기준입력조작을 게임전개상황 내에 적용(즉, 캐릭터의 이동 및 스킬 사용)하여 실시간 게임결과를 산출하고, 각 시점의 기준게임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기반의 게임제공방법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사용자가 게임을 수행하는 경우, 각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게임영상(즉, 변환게임영상)에서 본인의 하나 이상의 캐릭터가 이동하는 방향을 동일한 방향으로 변환하여 제공하므로, 캐릭터의 이동방향이 사용자의 캐릭터 제어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모든 사용자가 동일한 조건에서 보유캐릭터의 능력치 및 캐릭터 컨트롤 능력을 바탕으로 전투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변환게임영상
200 : 조작인터페이스
210 : 방향키
220 : 제어키

Claims (8)

  1. 터치스크린 기반 게임의 제공방법에 있어서,
    컴퓨터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조작되는 복수의 캐릭터가 상이한 지점에서 출발하는 기준게임영상을 획득하되, 상기 기준게임영상은 게임공간 내의 특정한 시점을 기준으로 획득되는 영상인, 기준게임영상 획득단계;
    각 사용자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캐릭터가 제1측에서 제2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기준게임영상을 변환하여 변환게임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게임영상에 조작인터페이스를 결합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기반의 게임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인터페이스를 통해 변환입력조작을 수신하되, 상기 변환입력조작은 상기 변환게임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조작인, 변환입력조작 수신단계;
    상기 변환입력조작을 기준입력조작으로 변환하되, 상기 기준입력조작은 상기 기준게임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조작인, 기준입력조작 획득단계; 및
    상기 기준입력조작을 기반으로 캐릭터의 이동 또는 능력사용을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기반의 게임제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인터페이스는,
    상기 캐릭터의 이동방향을 결정하는 이동키; 및
    상기 캐릭터가 사용하는 능력을 선택하는 제어키;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키는 이동단말기 화면상의 제1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키는 상기 이동단말기 화면상의 제2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기반의 게임제공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은,
    제1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제1캐릭터가 제1측에서 제2측으로 이동하며 능력사용을 수행하며,
    제2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제2캐릭터가 상기 제2측에서 상기 제1측으로 이동하며 능력사용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변환게임영상 생성단계는,
    상기 기준게임영상을 상기 제2캐릭터가 상기 제1측에서 상기 제2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제2사용자에 대한 변환게임영상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기반의 게임제공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입력조작 수신단계는,
    상기 변환게임영상에서,
    상기 제어키에 표시된 제2캐릭터의 특정한 능력에 대한 제1선택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 상의 적용지점에 대한 제2선택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적용지점은 게임맵상의 상기 제2캐릭터와 반대위치에서 출발함에 따라 상기 변환게임영상 상의 제2측에서 등장하는 제1캐릭터 자체 또는 제1캐릭터로부터 특정범위 내의 영역인, 터치스크린 기반의 게임제공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게임영상 생성단계는,
    상기 기준게임영상에 투영행렬을 곱하여 상기 변환게임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기반의 게임제공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특정한 사용자가 가상유저와 게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변환게임영상 생성단계는,
    대칭인 게임맵이거나 비대칭인 게임맵 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캐릭터의 출발지점이 제1측으로 결정되면, 변환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비대칭인 게임맵에서 상기 사용자의 캐릭터의 출발지점이 제2측으로 결정되면, 상기 기준게임영상을 변환하여 상기 변환게임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기반의 게임제공방법.
  8.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터치스크린 기반의 게임제공프로그램.
KR1020160085307A 2016-07-06 2016-07-06 터치스크린 기반의 게임제공방법 및 프로그램 Active KR101866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307A KR101866198B1 (ko) 2016-07-06 2016-07-06 터치스크린 기반의 게임제공방법 및 프로그램
US15/632,727 US20180008888A1 (en) 2016-07-06 2017-06-26 Method and program for providing game based on touch screen
CN201710545274.2A CN107589883A (zh) 2016-07-06 2017-07-06 基于触摸屏的游戏提供方法及程序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307A KR101866198B1 (ko) 2016-07-06 2016-07-06 터치스크린 기반의 게임제공방법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356A KR20180005356A (ko) 2018-01-16
KR101866198B1 true KR101866198B1 (ko) 2018-06-11

Family

ID=60892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5307A Active KR101866198B1 (ko) 2016-07-06 2016-07-06 터치스크린 기반의 게임제공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80008888A1 (ko)
KR (1) KR101866198B1 (ko)
CN (1) CN10758988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79844B (zh) * 2018-03-30 2020-10-2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控制虚拟对象移动的方法、装置、电子装置及存储介质
CN112057847B (zh) 2019-04-26 2024-06-21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游戏对象控制方法及装置
CN111672102A (zh) * 2020-06-05 2020-09-1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场景中的虚拟对象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7514117B2 (ja) * 2020-06-18 2024-07-10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ゲーム処理方法、およびゲームシステム
CN111921194A (zh) * 2020-08-26 2020-11-1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环境画面的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35778B2 (en) * 2005-05-25 2012-08-07 Konami Digital Entertainment Co., Ltd. Game apparatus, game system and game progression control method
KR101545739B1 (ko) 2014-03-03 2015-08-20 주식회사 화이트아웃 스마트디바이스의 유아이 환경에서 드래그와 드롭 방식을 이용한 알피지 캐릭터 조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00916B2 (en) * 2005-11-07 2009-03-10 Microsoft Corporation Game strategy analysis tool generating a two dimensional image overlaid with telemetry data
KR101781869B1 (ko) * 2011-06-16 2017-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변환장치
US8678927B2 (en) * 2011-10-04 2014-03-25 Microsoft Corporation Game controller on mobile touch-enabled devices
KR101422067B1 (ko) * 2012-04-06 2014-08-13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서버
CN105335064B (zh) * 2015-09-29 2017-08-1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和终端
CN105607851A (zh) * 2015-12-18 2016-05-25 上海逗屋网络科技有限公司 用于触摸终端的场景控制方法及设备
CN109432766B (zh) * 2015-12-24 2021-06-25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一种游戏控制方法及装置
CN105511763A (zh) * 2016-02-02 2016-04-20 上海逗屋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触控操作移动目标对象的方法与设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35778B2 (en) * 2005-05-25 2012-08-07 Konami Digital Entertainment Co., Ltd. Game apparatus, game system and game progression control method
KR101545739B1 (ko) 2014-03-03 2015-08-20 주식회사 화이트아웃 스마트디바이스의 유아이 환경에서 드래그와 드롭 방식을 이용한 알피지 캐릭터 조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589883A (zh) 2018-01-16
KR20180005356A (ko) 2018-01-16
US20180008888A1 (en) 2018-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6198B1 (ko) 터치스크린 기반의 게임제공방법 및 프로그램
Grandi et al. Design and assessment of a collaborative 3D interaction technique for handheld augmented reality
Henrysson Bringing augmented reality to mobile phones
KR20130031214A (ko) 정보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어플리케이션 제공방법, 및 정보처리방법
CN112684970A (zh) 虚拟场景的适配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40029158A (ko) 터치 감응형 표면을 통한 가상 공간과의 상호작용을 돕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13350779A (zh) 游戏虚拟角色动作控制方法及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10678327B2 (en) Split control focus during a sustained user interaction
US11071913B2 (en) Program, game system, electronic device, server, and game control method for improving operability for user input
CN111773670B (zh) 游戏中的标记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JP7511532B2 (ja) プログラム、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Yukang et al. Gesture-based target acquisition in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JP2015212920A (ja) 先行画像生成プログラム、仮想マシーン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JP6089143B1 (ja) ゲーム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302960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uter Control
KR20190095661A (ko) 게임 컨트롤러를 이용한 게임 제어 방법 및 게임 제어 장치
Ong et al. A mobile game SDK for remote collaborative between two users in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JP2023510057A (ja) 音声テキスト変換方法、システム、装置、機器及びプログラム
US1190809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5938131B1 (ja) ユーザ入力の操作性を向上させるプログラム、ゲームシステム、電子装置、サーバ及びゲーム制御方法
CN115089968B (en) Operation guiding method and device in gam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7480408B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TW201524563A (zh) 視角與游標的互動方法及其系統
KR102211564B1 (ko)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4632330B (zh) 一种游戏中的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6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6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