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734B1 - Real-time guidance system for earthquake evacua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 Google Patents
Real-time guidance system for earthquake evacua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64734B1 KR101864734B1 KR1020170027304A KR20170027304A KR101864734B1 KR 101864734 B1 KR101864734 B1 KR 101864734B1 KR 1020170027304 A KR1020170027304 A KR 1020170027304A KR 20170027304 A KR20170027304 A KR 20170027304A KR 101864734 B1 KR101864734 B1 KR 1018647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risk
- portable terminal
- user
- loc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진 대피용 실시간 안내 시스템 및 이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진 발생시 위험등급을 평가하여 신속하게 대피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지진 대피용 실시간 안내 시스템 및 이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표면의 진동 세기 및 위험요소에 대한 위험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 상기 데이터수집부에 의해 수집한 지표면의 진동 세기 및 위험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치별 위험등급을 평가하는 평가부; 및 상기 평가부에 의해 평가된 상기 위험등급에 대응하여 대피 경로를 생성하는 경로생성부; 및 상기 대피 경로를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여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로생성부는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따라 대피 경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대피용 실시간 안내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l-time guidance system for earthquake evacuation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al-time guidance system for earthquake evacuation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for evaluating a danger level in an earthquake occurrence and guiding the evacuation route quick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collecting part for collecting risk data on a vibration intensity and a risk factor of an earth surface; An evaluating unit for evaluating a danger level for each location by using the vibration intensity and the risk data of the ground surface collected by the data collecting unit; And a path generation unit generating an evacuation path corresponding to the danger level evaluated by the evaluation unit; And a guide unit for transmitting and guiding the evacuation route to the user's portable terminal, wherein the path generating unit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user and generates a evacuation route in accordance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provide a real-time guidance system for earthquake evacu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진 대피용 실시간 안내 시스템 및 이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진 발생시 위험등급을 평가하여 신속하게 대피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지진 대피용 실시간 안내 시스템 및 이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l-time guidance system for earthquake evacuation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al-time guidance system for earthquake evacuation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for evaluating a danger level in an earthquake occurrence and guiding the evacuation route quickly.
근래에 도시화가 진행되어 인공적인 지하 및 실내 구조물이 대형화되고 있으며, 구조도 복잡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이러한 대형 구조물의 내부에 있을 때, 지진 등의 재난이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구조물 밖으로 대피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Urbanization has been going on recently, artificial underground and indoor structures are becoming larger, and the structure is getting complicated. Therefore, when there is a disaster such as an earthquake in the inside of such a large structure, it is difficult to evacuate quickly out of the structure.
따라서, 최근에는 재난이 발생했을 때,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경로를 안내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단순히 지진 등의 재난 발생 여부를 파악하고, 현재 위치에서 최단 거리로 탈출하는 경로를 안내하는 수준이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a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to guide a route that can evacuate quickly and safely when a disaster occurs. However, the conventional technology was a level that not only recognized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such as an earthquake, but also guided the route to escape at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current position.
그러나, 지진 등의 재난이 발생할 경우, 구조물 내부에 위치한 각종 위험요소들로 인해 최단 거리로 탈출하는 경로가 더 위험할 수 있다. 일 예로, 최단 거리로 탈출하는 경로에 재난으로 인하여 가스 배관이 파손되어 가스가 유출되고 있거나, 폭발 등 가연성 물질이 유출되는 등 위험요소들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일 경우, 단순히 최단 거리로 대피하도록 대피 경로를 안내할 경우 더 큰 사고를 당할 위험이 있다.However, in the event of an earthquake or other disaster, the route of escape at the shortest distance may be more dangerous due to the various risk factors inside the structure. For example, if a gas pipeline is broken due to a disaster in the path leading to the shortest distance, gas is flowing out, or a problem occurs with dangerous factors such as explosion or leakage of combustible material, If you guide the evacuation route, there is a risk of a larger accident.
따라서, 지진 등의 재난이 발생할 경우,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경로를 실시간으로 안내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Therefore, in case of disaster such as earthquak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technique that can guide the route that can escape safely and quickly in real time.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상세하게는 지진 발생시 위험등급을 평가하여 신속하게 대피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지진 대피용 실시간 안내 시스템 및 이의 작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real-time guidance system for earthquake evacuation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ystem in order to quickly guide a evacuation route by evaluating a danger level in an earthquake occurrenc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 disclosed. There will b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지표면의 진동 세기 및 위험요소에 대한 위험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 상기 데이터수집부에 의해 수집한 지표면의 진동 세기 및 위험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치별 위험등급을 평가하는 평가부; 및 상기 평가부에 의해 평가된 상기 위험등급에 대응하여 대피 경로를 생성하는 경로생성부; 및 상기 대피 경로를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여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로생성부는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따라 대피 경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대피용 실시간 안내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ata collection system comprising: a data collection unit collecting risk data on a surface of a ground surface and risk factors; An evaluating unit for evaluating a danger level for each location by using the vibration intensity and the risk data of the ground surface collected by the data collecting unit; And a path generation unit generating an evacuation path corresponding to the danger level evaluated by the evaluation unit; And a guide unit for transmitting and guiding the evacuation route to the user's portable terminal, wherein the path generating unit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user and generates a evacuation route in accordance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provide a real-time guidance system for earthquake evacu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수집부는, 상기 지표면의 진동 세기를 측정하는 지진센서유닛; 및 상기 위험요소에 부착되어 위험데이터를 수집하는 위험센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collecting unit may include: an earthquake sensor unit for measuring an intensity of vibration of the earth surface; And a risk sensor unit attached to the risk element to collect risk data.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진센서유닛은 가속도센서 또는 블루투스 저에너지(BLE)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ismic sensor unit may be an acceleration sensor or a Bluetooth low energy (BLE) senso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평가부는, 상기 지진센서유닛에 의해 측정된 상기 지표면의 진동 세기를 구조물의 고유 진동수와 비교 분석하는 거시평가유닛; 상기 위험센서유닛에 의해 측정된 상기 위험데이터를 분석하는 미시평가유닛; 및 상기 거시평가유닛 및 상기 미시평가유닛의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위치별 위험등급을 평가하는 종합평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valuating unit may include: a macro evaluation unit for comparing the vibration intensity of the ground surface measured by the earthquake sensor unit with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structure; A micro evaluation unit for analyzing the risk data measured by the risk sensor unit; And an overall evaluation unit for evaluating the danger level for each position by synthesizing the analysis results of the macro evaluation unit and the micro evaluation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로생성부는, 상기 평가부로부터 실시간으로 상기 위치별 위험등급을 실시간으로 제공받는 등급수신유닛;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위치수신유닛; 및 상기 등급수신유닛으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위치별 위험등급과 상기 위치수신유닛으로부터 제공받은 위치 정보에 따라 실시간으로 대피 경로를 생성하는 경로생성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ute generating unit may include: a rating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real-time location-specific danger ratings from the evaluating unit in real time; A loc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user in real time; And a route creation unit for creating a route in real time based on the location-specific hazard level provided from the rating receiving unit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location receiving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위험등급이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대피 경로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unit may sequentially transmit the evacuation route from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user located at the highest danger leve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지진 대피용 실시간 안내 시스템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지표면의 진동 세기 및 위험요소에 대한 위험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b) 수집한 상기 지표면의 진동 세기 및 상기 위험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치별 위험등급을 평가하는 단계; c)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d) 평가된 상기 위험등급 및 수신된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대피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및 e) 생성된 상기 대피 경로를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여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대피용 실시간 안내 시스템의 작동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operating a real-time guidance system for earthquake evacua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comprising the steps of: a) Collecting risk data; b) assessing the vibration intensity of the surface of the ground and the hazard level by location using the risk data; c)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user; d) generating a evacuation route in real time in correspondence with the evaluated danger level and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nd e) transmitting the generated evacuation route to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user and guiding the evacuation route to the us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지표면의 진동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a2) 상기 위험요소에 대한 위험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a) includes the steps of: a1) measuring the vibration intensity of the ground surface; And a2) collecting risk data on the risk factor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거시평가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지표면의 진동 세기를 구조물의 고유 진동수와 비교 분석하는 단계; b2) 미시평가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위험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및 b3) 상기 거시평가유닛 및 상기 미시평가유닛의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위치별 위험등급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b) includes the steps of: b1) comparing the vibration intensity of the ground surface with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structure using the macros evaluation unit; b2) analyzing the risk data using a micro evaluation unit; And b3) evaluating the danger level for each position by synthesizing the analysis results of the macros evaluating unit and the micro evaluating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e1)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에 따른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e2) 상기 우선순위에 대응하여 상기 대피 경로를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e) comprises: e1) determining a priority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e2) sequentially transmitting the evacuation path to the user's portabl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priority ord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e1) 단계에서, 상기 우선순위는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위험등급이 높은 곳에 위치할수록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e1), the priority may be higher when the user's portable terminal is located at a higher danger level.
삭제delete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지진 등의 재난이 발생할 경우,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경로를 실시간으로 안내할 수 있다.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can guide a path that can be escaped more safely and quickly in real time in the event of a disaster such as an earthquake.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진 및 위험요소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위치별로 위험등급을 평가하여, 신속하고 안전한 경로로 대피하도록 할 수 있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llect data on earthquakes and risk factors, evaluate the risk level by location, and evacuate quickly and safely.
또한, 위험등급이 높은 곳에 위치한 사람이 우선적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난 위험이 높은 곳에 위치한 사람들이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할 수 있다.It also allows people located in high-risk areas to evacuate quickly by allowing people in high-risk areas to evacuate.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deduc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진 대피용 실시간 안내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진 대피용 실시간 안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진 대피용 실시간 안내 시스템의 위치별 대피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진 대피용 실시간 안내 시스템의 작동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진 대피용 실시간 안내 시스템의 작동방법의 위험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진 대피용 실시간 안내 시스템의 작동방법의 위험등급을 평가하는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진 대피용 실시간 안내 시스템의 작동방법의 안내하는 단계의 순서도이다.1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real-time guidance system for earthquake evacu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al-time guidance system for earthquake evacu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location-based evacuation route of a real-time guidance system for earthquake evacu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of an operation method of a real-time guidance system for earthquake evacu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of a step of collecting risk data of a method of operating a real-time guidance system for earthquake evacu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low chart of a step of evaluating a danger level of a method of operating the real-time guidance system for earthquake esc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lowchart of piloting steps of a method for operating a real-time guidance system for earthquake evacu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connected, conne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Is included.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no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진 대피용 실시간 안내 시스템의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진 대피용 실시간 안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FIG. 1 illustrates an example of a real-time guidance system for earthquake evacu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real-time guidance system for earthquake evacu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지진 대피용 실시간 안내 시스템(100)은 데이터수집부(110), 평가부(120), 경로생성부(130) 및 가이드부(140)를 포함한다.1 and 2, the real-
상기 데이터수집부(110)는 지표면의 진동 세기 및 위험요소에 대한 위험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지진센서유닛(111) 및 위험센서유닛(112)을 포함한다.The
상기 지진센서유닛(111)은 상기 지표면의 진동세기를 측정하도록 구조물(10)에 부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진센서유닛(111)은 평소에는 상기 구조물(10)의 진동을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상기 구조물(10)의 고유 진동수를 측정할 수 있으며, 지진 등으로 인해 상기 구조물(10)이 흔들릴 경우, 변화된 진동수를 측정하여 지표면의 진동세기를 측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진센서유닛(111)은 가속도센서 또는 블루투스 저에너지(BLE)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The
상기 위험센서유닛(112)은 상기 위험요소에 부착되어 위험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험요소는 상기 구조물(10)의 내외부에 마련되며, 재난 발생시 인체에 해를 가할 수 있는 물체를 지칭한다. 일 예로, 상기 위험요소는 가연성의 물질을 저장한 저장고, 가스 누출이 우려되는 도관, 기타 유해물질을 저장한 화학약품저장고 등일 수 있다. 즉, 상기 위험센서유닛(112)은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위험요소에 부착되어 가스, 화학약품 등의 유출 여부, 온도, 습도, 연기, 변위 등의 위험데이터를 수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상기 평가부(120)는 상기 데이터수집부(110)에 의해 수집한 지표면의 진동 세기 및 위험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치별 위험등급을 평가할 수 있으며, 거시평가유닛(121), 미시평가유닛(122) 및 종합평가유닛(123)을 포함한다.The
상기 거시평가유닛(121)은 상기 지진센서유닛(111)에 의해 측정된 상기 지표면의 진동 세기를 상기 구조물(10)의 고유 진동수와 비교 분석할 수 있다. 즉, 상기 거시평가유닛(121)은 지진이 발생하였을 경우, 지진으로 인해 상기 구조물(10)의 붕괴 위험 정도나 예측 붕괴 속도 등을 분석할 수 있다. The
상기 미시평가유닛(122)은 상기 위험센서유닛(112)에 의해 측정된 상기 위험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즉, 상기 미시평가유닛(122)은 상기 위험센서유닛(112)에 의해 측정된 상기 위험데이터를 통하여 각 위험요소에 문제가 발생했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 일 예로, 가스 저장고에 부착된 위험센서유닛(122)에서 가스의 유출을 감지한 경우, 상기 미시평가유닛(122)은 상기 위험센서유닛(122)이 위치한 장소에 대한 위험등급을 높게 평가할 수 있다.The
상기 종합평가유닛(123)은 상기 거시평가유닛(121) 및 상기 미시평가유닛(122)의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위치별 위험등급을 평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종합평가유닛(123)은 상기 거시평가유닛(121)에 의해 분석된 상기 구조물(10)의 상태와, 상기 미시평가유닛(122)에 의해 분석된 위치별 위험요소의 상태를 종합하여 위치별 위험등급을 평가할 수 있다. 일 예로, 지진으로 인해 구조물(10)의 붕괴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특정 위험요소의 상태가 위험한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종합평가유닛(123)은 상기 위험요소가 위치한 장소와 인접할수록 위험등급을 높게 평가할 수 있다.The
상기 경로생성부(130)는 상기 평가부(120)에 의해 평가된 상기 위험등급에 대응하여 대피 경로를 생성할 수 있으며, 등급수신유닛(131), 위치수신유닛(132) 및 경로생성유닛(133)을 포함한다. The
상기 등급수신유닛(131)은 상기 평가부(120)로부터 실시간으로 상기 위치별 위험등급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등급수신유닛(131)은 상기 종합평가유닛(123)으로부터 상기 위치별 위험등급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상기 경로생성유닛(133)에 제공할 수 있다.The
상기 위치수신유닛(132)은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P)와 연결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P)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즉, 상기 경로생성부(130)는 상기 위치수신유닛(132)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P)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단말기(P)의 위치 정보에 따라 맞춤형 대피 경로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수신유닛(132)은 블루투스 저에너지 센서 또는 NFC를 통해 실내에서도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P)의 위치를 수신할 수 있다.The
상기 경로생성유닛(133)은 상기 등급수신유닛(131)으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위치별 위험등급과 상기 위치수신유닛(132)으로부터 제공받은 위치 정보에 따라 실시간으로 대피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로생성유닛(133)은 상기 위치수신유닛(132)으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P)의 위치를 출발점으로 하고, 상기 등급수신유닛(131)으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위치별 위험등급을 통해 상기 위험등급이 낮은 경로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P)의 사용자가 대피하도록 상기 대피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The
상기 가이드부(140)는 상기 대피 경로를 사용자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P)에 전송하여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140)는, 상기 위험등급이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P)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대피 경로를 전송할 수 있다.The
한편, 상기 가이드부(140)는 지진이 발생했으나, 상기 종합평가유닛(123)이 판단하기에 대피할 필요는 없을 경우, 대처요령을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P)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지진이 약하게 발생하여 건물이 붕괴될 위험은 없으나, 물체가 떨어질 위험이 있는 경우, 상기 가이드부(140)는 사용자가 책상 밑으로 대피하도록 상기 휴대용 단말기(P)에 대처요령을 전송할 수도 있다.Meanwhile, when the earthquake has occurred but the integrated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14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P)가 사용자에게 소리나 빛을 통해 상기 대피 경로를 제공받은 사실을 알리도록 할 수 있다.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진 대피용 실시간 안내 시스템의 위치별 대피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 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location-based evacuation route of a real-time guidance system for earthquake evacu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더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지진센서유닛(111)에 의해 지진의 발생이 감지될 경우, 상기 거시평가유닛(121)은 상기 지진에 의해 상기 구조물(10)이 붕괴위험 정도 등을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험요소(11)에 부착된 상기 위험센서유닛(112)은 상기 위험요소(11)에 특정 위험이 발생하였는지를 감지하고, 상기 미시평가유닛(122)은 상기 위험센서유닛(112)으로부터 수신받은 위험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위험요소(11)가 위치한 곳의 위험 등급을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종합평가유닛(123)은 상기 거시평가유닛(121) 및 상기 미시평가유닛(122)으로부터 평가된 정보를 제공받아 각 위치별 위험 등급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3, when the occurrence of an earthquake is detected by the
그리고, 상기 경로생성부(130)는 각 방에 위치한 사람들(1, 2, 3, 4, 5, 6)의 위치와 각 위치별 위험등급을 수신 받고, 이를 바탕으로 각 위치별로 대피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험요소(11)에 가스가 유출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상기 위험요소(11)가 위치한 장소의 위험등급이 높을 경우, 대피 경로는 상기 위험요소(11)가 위치한 쪽의 제1 통로(a)가 아닌 상대적으로 안전한 제2 통로(b)를 통해서 대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140)는 상기 경로생성부(130)에 의해 생성된 상기 대피 경로를 각 사람들(1, 2, 3, 4, 5, 6)의 휴대용 단말기(P)에 제공하여 대피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140)는 상기 대피 경로를 상기 위험등급이 높은 위치에 있는 사람부터 먼저 제공하여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할 수 있다. The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위험요소(11)에 문제가 발생하여 상기 위험요소(11)가 위치한 장소의 위험등급이 가장 높을 경우, 상기 위험요소(11)에 위치한 제1 사람(1)의 대피 경로를 가장 먼저 생성하고, 생성된 대피 경로를 상기 가이드부(140)가 제공받아 상기 제1 사람(1)에게 제공하여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어서 상기 위험요소(11)와 인접한 곳에 위치한 제2 사람(2), 제3 사람(3), 제4 사람(4), 제5 사람(5) 및 제6 사람(6)에게 순차적으로 대피경로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when a problem occurs in the
이처럼 마련된 지진 대피용 실시간 안내 시스템(100)은 지진 등의 재난이 발생할 경우,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경로를 실시간으로 안내할 수 있으며, 지진 및 위험요소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위치별로 위험등급을 평가하여, 사람들이 신속하고 안전한 경로로 대피하도록 할 수 있다.The real-
또한, 지진 대피용 실시간 안내 시스템(100)은 위험등급이 높은 곳에 위치한 사람이 우선적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난 위험이 높은 곳에 위치한 사람들이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al-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진 대피용 실시간 안내 시스템의 작동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진 대피용 실시간 안내 시스템의 작동방법의 위험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의 순서도이다.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the real-time guidance system for earthquake-evacu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the real- FIG.
삭제delete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지진 대피용 실시간 안내 시스템의 작동방법은 먼저, 지표면의 진동 세기 및 위험요소에 대한 위험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S21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method of operating the real-time guidance system for earthquake evacuation includes first collecting risk data on the surface strength of the earth surface and risk data (S210).
그리고, 지표면의 진동 세기 및 위험요소에 대한 위험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S210)는 상기 지표면의 진동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S211) 및 상기 위험요소에 대한 위험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S212)를 포함한다.The step S210 of collecting risk data on the vibration intensity and the risk factors of the ground surface includes a step S211 of measuring the vibration intensity of the earth surface and a step S212 collecting the risk data on the risk elements do.
지표면의 진동 세기 및 위험요소에 대한 위험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S210)에서 상기 지진센서유닛(111)은 평소에 상기 구조물(10)의 진동을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상기 구조물(10)의 고유 진동수를 측정할 수 있으며, 지진 등으로 인해 상기 구조물(10)이 흔들릴 경우, 변화된 진동수를 측정하여 지표면의 진동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The
상기 위험요소에 대한 위험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S212)에서, 상기 위험센서유닛(112)은 부착된 상기 위험요소의 위험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위험요소에 대한 위험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S212)에서는 상기 위험센서유닛(112)을 이용하여 상기 위험요소로부터 가스, 화학약품 등의 유출 여부, 온도, 습도, 연기, 변위 등의 위험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In the step S212 of collecting the risk data for the risk element, the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지표면의 진동 세기 및 위험요소에 대한 위험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S210) 이후에는, 수집한 상기 지표면의 진동 세기 및 상기 위험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치별 위험등급을 평가하는 단계(S220)가 수행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after the step S210 of collecting the risk intensity data of the ground surface and the risk factors, the vibration intensity of the ground surface and the risk level of each location are evaluated using the risk data (S220) may be performed.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진 대피용 실시간 안내 시스템의 작동방법의 위험등급을 평가하는 단계의 순서도이다.FIG. 6 is a flow chart of a step of evaluating a danger level of a method of operating the real-time guidance system for earthquake esc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수집한 상기 지표면의 진동 세기 및 상기 위험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치별 위험등급을 평가하는 단계(S220)는 거시평가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지표면의 진동 세기를 구조물의 고유 진동수와 비교 분석하는 단계(S221), 미시평가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위험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S222) 및 상기 거시평가유닛 및 상기 미시평가유닛의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위치별 위험등급을 평가하는 단계(S223)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6, in step S220, the vibration intensity of the ground surface and the risk level of each location are assessed using the risk data, the vibration intensity of the ground surface may be measured using a macros evaluation unit, (S222) of analyzing the risk data using the micro evaluation unit (S222), and evaluating the danger level for each position by synthesizing the analysis results of the macro evaluation unit and the micro evaluation unit (S223 ).
거시평가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지표면의 진동 세기를 구조물의 고유 진동수와 비교 분석하는 단계(S221)에서, 상기 거시평가유닛(121)은 상기 지진센서유닛(111)에 의해 측정된 상기 지표면의 진동 세기를 상기 구조물(10)의 고유 진동수와 비교 분석할 수 있다. 즉, 상기 거시평가유닛(121)은 지진이 발생하였을 경우, 지진으로 인해 상기 구조물(10)의 붕괴 위험 정도나 예측 붕괴 속도 등을 분석할 수 있다. In the step (S221)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vibration intensity of the ground surface with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structure using the macro evaluation unit, the
미시평가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위험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S222)에서, 상기 미시평가유닛(122)은 상기 위험센서유닛(112)에 의해 측정된 상기 위험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즉, 상기 미시평가유닛(122)은 상기 위험센서유닛(112)에 의해 측정된 상기 위험데이터를 통하여 각 위험요소에 문제가 발생했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 일 예로, 가스 저장고에 부착된 위험센서유닛(122)에서 가스의 유출을 감지한 경우, 상기 미시평가유닛(122)은 상기 위험센서유닛(122)이 위치한 장소에 대한 위험등급을 높게 평가할 수 있다.In the step S222 of analyzing the risk data using the micro evaluation unit, the
상기 거시평가유닛 및 상기 미시평가유닛의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위치별 위험등급을 평가하는 단계(S223)에서 상기 종합평가유닛(123)은 상기 거시평가유닛(121) 및 상기 미시평가유닛(122)의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위치별 위험등급을 평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종합평가유닛(123)은 상기 거시평가유닛(121)에 의해 분석된 상기 구조물(10)의 상태와, 상기 미시평가유닛(122)에 의해 분석된 위치별 위험요소의 상태를 종합하여 위치별 위험등급을 평가할 수 있다. 일 예로, 지진으로 인해 구조물(10)의 붕괴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특정 위험요소의 상태가 위험한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종합평가유닛(123)은 상기 위험요소가 위치한 장소와 인접할수록 위험등급을 높게 평가할 수 있다.In the step S223 of evaluating the per-position risk level by integrating the analysis results of the macros evaluating unit and the micro evaluating unit, the overall evaluating
도 4를 참조하면, 수집한 상기 지표면의 진동 세기 및 상기 위험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치별 위험등급을 평가하는 단계(S220) 이후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30)가 수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step S230 of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user is performed after the step S220 of evaluating the risk level of the ground surface and the risk level by using the risk data .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30)에서, 상기 경로생성부(130)의 상기 위치수신유닛(132)은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P)와 연결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P)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즉, 상기 경로생성부(130)는 상기 위치수신유닛(132)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P)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단말기(P)의 위치 정보에 따라 맞춤형 대피 경로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The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30) 이후에는, 평가된 상기 위험등급 및 수신된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대피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S240)가 수행될 수 있다.After the step S230 of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user, the step S240 of generating the evacuation route in real time corresponding to the evaluated danger level and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평가된 상기 위험등급 및 수신된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대피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S240)에서는 상기 평가부(120)에 의해 평가된 상기 위치별 위험등급에 대응하여 대피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로생성부(130)의 상기 등급수신유닛(131)은 상기 평가부(120)로부터 실시간으로 상기 위치별 위험등급을 실시간으로 제공받고, 상기 경로생성유닛(133)은 상기 등급수신유닛(131)으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위치별 위험등급과 상기 위치수신유닛(132)으로부터 제공받은 위치 정보에 따라 실시간으로 대피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로생성유닛(133)은 상기 위치수신유닛(132)으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P)의 위치를 출발점으로 하고, 상기 등급수신유닛(131)으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위치별 위험등급을 통해 상기 위험등급이 낮은 경로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P)의 사용자가 대피하도록 상기 대피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In the step S240 of generating the evacuation route in real time in correspondence with the evaluated danger level and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the evacuation route may be gener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per-location risk level estimated by the
평가된 상기 위험등급 및 수신된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대피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S240) 이후에는, 생성된 상기 대피 경로를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여 안내하는 단계(S250)가 수행될 수 있다.After the step S240 of generating the evacuation route in real time corresponding to the evaluated danger level and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the generated evacuation route is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user and the step S250 is performed .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진 대피용 실시간 안내 시스템의 작동방법의 안내하는 단계의 순서도이다.FIG. 7 is a flowchart of piloting steps of a method for operating a real-time guidance system for earthquake evacu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생성된 상기 대피 경로를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여 안내하는 단계(S250)는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에 따른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S251) 및 상기 우선순위에 대응하여 상기 대피 경로를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단계(S25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the step S250 of transmitting and guiding the generated evacuation route to the user's portable terminal includes determining (S251) a priority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user (S251) And sequentially transmitting the evacuation route to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user (S252).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에 따른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S251)에서, 상기 우선순위는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위험등급이 높은 곳에 위치할수록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step S 251 of determining the priority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user, the priority may be higher as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user is located at a higher danger level.
상기 우선순위에 대응하여 상기 대피 경로를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단계(S25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14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P)가 사용자에게 소리나 빛을 통해 상기 대피 경로를 제공받은 사실을 알리도록 할 수 있다.And sequentially transmitting the evacuation route to the user's portabl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priority (S252). At this time, th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구조물 11: 위험요소
100: 지진 대피용 실시간 안내 시스템
110: 데이터수집부 111: 지진센서유닛
112: 위험센서유닛 120: 평가부
121: 거시평가유닛 122: 미시평가유닛
123: 종합평가유닛 130: 경로생성부
131: 등급수신유닛 132: 위치수신유닛
133: 경로생성유닛 140: 가이드부10: Structure 11: Risk factors
100: Real-time guidance system for earthquake evacuation
110: Data collecting unit 111: Earthquake sensor unit
112: Hazardous sensor unit 120: Evaluation unit
121: Macro evaluation unit 122: Micro evaluation unit
123: Overall evaluation unit 130: Path generation unit
131: Rank receiving unit 132: Position receiving unit
133: Path generation unit 140:
Claims (12)
상기 데이터수집부에 의해 수집한 지표면의 진동 세기 및 위험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치별 위험등급을 평가하는 평가부; 및
상기 평가부에 의해 평가된 상기 위험등급에 대응하여 대피 경로를 생성하는 경로생성부; 및
상기 대피 경로를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여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로생성부는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따라 대피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평가부는,
상기 지진센서유닛에 의해 측정된 상기 지표면의 진동 세기를 구조물의 고유 진동수와 비교 분석하는 거시평가유닛;
상기 위험센서유닛에 의해 측정된 상기 위험데이터를 분석하는 미시평가유닛; 및
상기 거시평가유닛 및 상기 미시평가유닛의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위치별 위험등급을 평가하는 종합평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대피용 실시간 안내 시스템.A data collecting unit including an earthquake sensor unit for collecting risk data on the earth surface vibration level and a risk factor and measuring vibration intensity of the surface of the earthquake and a risk sensor unit for collecting risk data attached to the risk factor;
An evaluating unit for evaluating a danger level for each location by using the vibration intensity and the risk data of the ground surface collected by the data collecting unit; And
A path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n evacuation path corresponding to the danger level evaluated by the evaluation unit; And
And a guiding unit for guiding the evacuation path to the user's portable terminal,
The path generation unit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user, generates an evacuation route in accordance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evaluating unit,
A macro evaluation unit which compares the vibration intensity of the ground surface measured by the earthquake sensor unit with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structure;
A micro evaluation unit for analyzing the risk data measured by the risk sensor unit; And
And an overall evaluation unit for evaluating a danger level for each location by synthesizing the analysis results of the macros evaluating unit and the micro evaluating unit.
상기 지진센서유닛은 가속도센서 또는 블루투스 저에너지(BLE)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대피용 실시간 안내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arthquake sensor unit is an acceleration sensor or a Bluetooth low energy (BLE) sensor.
상기 경로생성부는,
상기 평가부로부터 실시간으로 상기 위치별 위험등급을 실시간으로 제공받는 등급수신유닛;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위치수신유닛; 및
상기 등급수신유닛으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위치별 위험등급과 상기 위치수신유닛으로부터 제공받은 위치 정보에 따라 실시간으로 대피 경로를 생성하는 경로생성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대피용 실시간 안내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th-
A rating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the location-specific danger level in real time from the evaluation unit;
A loc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user in real time; And
And a rout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real time evacuation route in accordance with the location-specific hazard level provided from the class receiving unit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location receiving unit.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위험등급이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대피 경로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대피용 실시간 안내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portion
Wherein the evacuation route is sequentially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user located at the highest danger level.
b) 수집한 상기 지표면의 진동 세기 및 상기 위험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치별 위험등급을 평가하는 단계;
c)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d) 평가된 상기 위험등급 및 수신된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대피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및
e) 생성된 상기 대피 경로를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여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b1) 거시평가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지표면의 진동 세기를 구조물의 고유 진동수와 비교 분석하는 단계;
b2) 미시평가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위험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및
b3) 상기 거시평가유닛 및 상기 미시평가유닛의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위치별 위험등급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대피용 실시간 안내 시스템의 작동방법.a) collecting risk data on the intensity and the risk factors of the surface of the earth;
b) assessing the vibration intensity of the surface of the ground and the hazard level by location using the risk data;
c)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user;
d) generating a evacuation route in real time in correspondence with the evaluated danger level and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nd
e) transmitting the generated evacuation route to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user for guidance,
The step b)
b1) comparing the vibration intensity of the ground surface with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structure using the macro evaluation unit;
b2) analyzing the risk data using a micro evaluation unit; And
b3) evaluating the danger level for each location by synthesizing the analysis results of the macros evaluating unit and the micro evaluating unit.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지표면의 진동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a2) 상기 위험요소에 대한 위험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대피용 실시간 안내 시스템의 작동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The step a)
a1) measuring the vibration intensity of the ground surface; And
a2) collecting the risk data for the risk factor.
상기 e) 단계는,
e1)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에 따른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e2) 상기 우선순위에 대응하여 상기 대피 경로를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대피용 실시간 안내 시스템의 작동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The step e)
e1) determining a priority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e2) sequentially transmitting the evacuation route to the user's portabl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priority order.
상기 e1) 단계에서,
상기 우선순위는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위험등급이 높은 곳에 위치할수록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대피용 실시간 안내 시스템의 작동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e1) step,
The priority is
And the higher the position of the user's portable terminal is in the dangerous level, the higher the degree of danger i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7304A KR101864734B1 (en) | 2017-03-02 | 2017-03-02 | Real-time guidance system for earthquake evacua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7304A KR101864734B1 (en) | 2017-03-02 | 2017-03-02 | Real-time guidance system for earthquake evacua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64734B1 true KR101864734B1 (en) | 2018-06-08 |
Family
ID=62600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7304A Active KR101864734B1 (en) | 2017-03-02 | 2017-03-02 | Real-time guidance system for earthquake evacua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64734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2982B1 (en) * | 2020-04-27 | 2020-08-10 | (주)신담엔지니어링 | Disaster communication system using uwb communication network |
KR102225926B1 (en) * | 2019-09-03 | 2021-03-09 | 유정호 | Seismic alerting method and device thereof using application |
WO2022186401A1 (en) * | 2021-03-03 | 2022-09-09 | 유정호 | Earthquake warning method using application and apparatus therefor |
CN117974388A (en) * | 2023-12-26 | 2024-05-03 | 福建省星云大数据应用服务有限公司 | A big data intelligent decision analysis method and system based on machine learning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19388A (en) * | 2010-04-27 | 2011-11-02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and method |
KR20120084560A (en) * | 2011-01-20 | 2012-07-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d receiving disaster information |
KR101262907B1 (en) * | 2013-02-18 | 2013-05-09 | (주) 동보파워텍 | Disaster resistant switchgear installed digital control system equipped with earthquake intensity step by step blocking function |
KR101339017B1 (en) | 2013-06-04 | 2013-12-09 | 에이큐 주식회사 | Emergency path naviga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
JP2014134436A (en) * | 2013-01-09 | 2014-07-24 | Ntt Facilities Inc | Building safety verification system and building safety verification method |
KR101457677B1 (en) * | 2014-02-04 | 2014-11-07 | 케이엠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System for saving a life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by collapse of structure |
KR101650774B1 (en) * | 2014-08-06 | 2016-08-25 | 한국과학기술원 | Meht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Safety Shelter Course |
JP2016200937A (en) * | 2015-04-09 | 2016-12-01 | 株式会社Nttファシリティーズ | Evacuation guidance support system, evacuation guidance support method, and program |
-
2017
- 2017-03-02 KR KR1020170027304A patent/KR10186473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19388A (en) * | 2010-04-27 | 2011-11-02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and method |
KR20120084560A (en) * | 2011-01-20 | 2012-07-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d receiving disaster information |
JP2014134436A (en) * | 2013-01-09 | 2014-07-24 | Ntt Facilities Inc | Building safety verification system and building safety verification method |
KR101262907B1 (en) * | 2013-02-18 | 2013-05-09 | (주) 동보파워텍 | Disaster resistant switchgear installed digital control system equipped with earthquake intensity step by step blocking function |
KR101339017B1 (en) | 2013-06-04 | 2013-12-09 | 에이큐 주식회사 | Emergency path naviga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
KR101457677B1 (en) * | 2014-02-04 | 2014-11-07 | 케이엠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System for saving a life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by collapse of structure |
KR101650774B1 (en) * | 2014-08-06 | 2016-08-25 | 한국과학기술원 | Meht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Safety Shelter Course |
JP2016200937A (en) * | 2015-04-09 | 2016-12-01 | 株式会社Nttファシリティーズ | Evacuation guidance support system, evacuation guidance support method, and program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25926B1 (en) * | 2019-09-03 | 2021-03-09 | 유정호 | Seismic alerting method and device thereof using application |
KR102142982B1 (en) * | 2020-04-27 | 2020-08-10 | (주)신담엔지니어링 | Disaster communication system using uwb communication network |
WO2022186401A1 (en) * | 2021-03-03 | 2022-09-09 | 유정호 | Earthquake warning method using application and apparatus therefor |
CN117974388A (en) * | 2023-12-26 | 2024-05-03 | 福建省星云大数据应用服务有限公司 | A big data intelligent decision analysis method and system based on machine learnin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64734B1 (en) | Real-time guidance system for earthquake evacua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 |
CN100407236C (en) | System and method for inferring an electronic rendering of an evironmet | |
KR102124097B1 (en) | Smart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based on real-time smoke and fire detection, and method for the same | |
KR101099745B1 (en) | Work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 |
KR101796385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ptimal path upon fire occurrence | |
KR101758860B1 (en) | Fire s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
JP5367134B1 (en) | Noise identification device and noise identification method | |
KR101893040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vacuation route | |
KR20180090933A (en) | Intelligent gas leakage alarm system and method thereof | |
WO2021127484A1 (en) | Building automation emergency response system | |
KR101539510B1 (en) | Fire evacuation guidance system | |
KR101249319B1 (en) | Path provider system | |
CN104348894B (en) | A kind of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loud server, mobile terminal | |
KR102517478B1 (en) | Method and appratus for determining whether noxious gas leak detec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 |
KR20170052271A (en) | Disaster Warn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Vibration-type accelerometer and Displacement measurement system | |
CN104913779B (en) | The air navigation aid and device of a kind of emergency escape | |
KR101950093B1 (en) | Fire disaster early warning system using beacon | |
KR102276135B1 (en) | Disaster response device and system thereof | |
CN106931972A (en) | A kind of hazardous environment personnel escape direction based reminding method and system | |
KR101909671B1 (en) | Seismic Monitoring Field Control Panel | |
KR102660291B1 (en) | System for providing earthquake information | |
Magwili et al. | Post disaster indoor position tracking device with pulse detec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
US20220065675A1 (en) | Wireless fire hose flow rate apparatus and measuring flow rate in a fire hose | |
Wächter et al. | Dynamic evacuation system for the intelligent building based on beacons and handheld devices | |
KR102327004B1 (en) |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guiding indoor evacuation route for blind peop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5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5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