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333B1 - 아이콘 변경 기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아이콘 변경 기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64333B1 KR101864333B1 KR1020110024763A KR20110024763A KR101864333B1 KR 101864333 B1 KR101864333 B1 KR 101864333B1 KR 1020110024763 A KR1020110024763 A KR 1020110024763A KR 20110024763 A KR20110024763 A KR 20110024763A KR 101864333 B1 KR101864333 B1 KR 1018643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dget
- widgets
- information
- displaying
- ic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07—General aspects irrespective of display type, e.g. determination of decimal point position, display with fixed or driving decimal point, suppression of non-significant zero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아이콘 변경 기능 지원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이콘 변경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아이콘 변경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아이콘 변경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120 : 입력부 130 : 오디오 처리부
140 : 표시부 150 : 저장부
151 : 위젯 아이콘 160 : 제어부
161 : 터치 이벤트 수집부 163 : 가이드틀 출력부
165 : 위젯 아이콘 선택 출력부
200, 210, 220 : 메시지 위젯 아이콘
300, 310, 320, 330, 340 : 날씨 위젯 아이콘
203, 204, 205, C, C1, C2, C3, C4 : 참조 지점
202, 302, 402 : 가이드틀
Claims (31)
- 휴대 단말기의 스크린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젯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젯에 대응하는 제 1 위젯의 사이즈 변경에 관한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입력을 수신하면 위젯 사이즈 변경 모드에 진입하는 동작;
상기 위젯 사이즈 변경 모드에 있는 동안, 상기 제 1 위젯의 사이즈 변경을 위한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드래그 입력이 특정 거리에 도달하고, 상기 드래그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제 1 위젯의 사이즈와 다른 제 2 위젯에 관한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 및
추가적인 터치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위젯 사이즈 변경 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제 2 위젯을 확정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위젯은 제 1 정보와 관련된 제 1 구성의 형태로 표시하고,
상기 제 2 위젯은 제 2 정보와 관련된 제 2 구성의 형태로 표시하고,
상기 제 2 구성은 상기 제 1 구성과 다른 배치를 가지며,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제 2 정보는 서버를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콘 변경 기능 지원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위젯들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들에 관한 설정을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아이콘 변경 기능 지원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위젯들 각각은 미리 정의된 사이즈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콘 변경 기능 지원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위젯으로 선택될 수 있는 상기 복수의 위젯들을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복수의 위젯들 중에 상기 제 2 위젯을 선택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위젯으로 선택될 수 있는 상기 복수의 위젯들을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의 위젯들 각각에 대한 상기 미리 정의된 사이즈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콘 변경 기능 지원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 사이즈 변경 모드에 진입하면, 참조 지점들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참조 지점들 각각은 상기 제 2 위젯으로 선택될 수 있는 상기 복수의 위젯들 중 하나와 관련되며,
상기 각각의 참조 지점은 상기 복수의 위젯들 중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미리 정의된 사이즈에 따라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콘 변경 기능 지원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참조 지점은 상기 복수의 위젯들 중 하나에 대응하는 윤곽(outline)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콘 변경 기능 지원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지점들은 표시된 다른 이미지들보다 강조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콘 변경 기능 지원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 사이즈 변경 모드에 진입하면, 하나 이상의 영역을 포함하는 가이드틀을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영역 각각은
상기 제 2 위젯으로 선택될 수 있는 상기 복수의 위젯들에 대응하는 크기 및 위젯의 개수에 기초한 상기 복수의 위젯들 중 하나와 관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콘 변경 기능 지원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지점들을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가이드틀의 영역들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위젯들과 각각 관련된 상기 참조 지점들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아이콘 변경 기능 지원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젯의 사이즈를 변경하는 상기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위젯에 대한 롱 터치 이벤트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틀을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롱 터치 이벤트에 대응하는 참조 지점들을 갖는 상기 가이드틀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위젯에 대한 터치 및 상기 참조 지점 중 하나에 상기 터치를 이동하는 것과 관련된 터치-이동 이벤트에 반응하여, 상기 복수의 위젯들 중 하나를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복수의 위젯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과 관련된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제 2 위젯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프리뷰 이미지는, 상기 스크린 상에, 상기 복수의 위젯들 중 하나의 상기 미리 정의된 사이즈 및 배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콘 변경 기능 지원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 사이즈 변경 모드에 진입하면, 표시된 다른 위젯 보다 상기 제 1 위젯을 강조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아이콘 변경 기능 지원 방법.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젯은
상기 휴대 단말기에 의해 수신되는 정보를 수신과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콘 변경 기능 지원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문자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이메일 메시지, 날씨 정보, 및 주식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콘 변경 기능 지원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위젯을 표시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위젯을 교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위젯을 표시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위젯을 교체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위젯의 표시를 중단하는 동작; 및
상기 제 2 위젯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아이콘 변경 기능 지원 방법.
- 스크린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젯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무선통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젯에 대응하는 제 1 위젯의 사이즈 변경에 관한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입력을 수신하면 위젯 사이즈 변경 모드에 진입하며, 상기 위젯 사이즈 변경 모드에 있는 동안, 상기 제 1 위젯의 사이즈 변경을 위한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드래그 입력이 특정 거리에 도달하고, 상기 드래그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제 1 위젯의 사이즈와 다른 제 2 위젯에 관한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며, 추가적인 터치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위젯 사이즈 변경 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제 2 위젯을 확정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위젯은 제 1 정보와 관련된 제 1 구성의 형태로 표시하고,
상기 제 2 위젯은 제 2 정보와 관련된 제 2 구성의 형태로 표시하고,
상기 제 2 구성은 상기 제 1 구성과 다른 배치를 가지며,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제 2 정보는 서버를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 15항에 있어서,
복수의 위젯들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들에 관한 설정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위젯들 각각은 미리 정의된 사이즈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위젯으로 선택될 수 있는 상기 복수의 위젯들을 표시하며, 상기 복수의 위젯들 중에 상기 제 2 위젯을 선택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위젯들 각각에 대한 상기 미리 정의된 사이즈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휴대 단말기.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젯 사이즈 변경 모드에 진입하면 참조 지점들을 표시하고,
상기 참조 지점들 각각은 상기 제 2 위젯으로 선택될 수 있는 상기 복수의 위젯들 중 하나와 관련되며,
상기 각각의 참조 지점은 상기 복수의 위젯들 중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미리 정의된 사이즈에 따라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참조 지점은
상기 복수의 위젯들 중 하나에 대응하는 윤곽(outline)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지점들은 표시된 다른 이미지들보다 강조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젯 사이즈 변경 모드에 진입하면, 하나 이상의 영역을 포함하는 가이드틀을 표시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영역 각각은
상기 제 2 위젯으로 선택될 수 있는 상기 복수의 위젯들에 대응하는 크기 및 위젯의 개수에 기초한 상기 복수의 위젯들 중 하나와 관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이드틀의 영역들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위젯들과 각각 관련된 상기 참조 지점들을 표시하는 휴대 단말기.
-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위젯에 대한 롱 터치 이벤트를 수신하며, 상기 롱 터치 이벤트에 대응하는 참조 지점들을 갖는 상기 가이드틀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위젯에 대한 터치 및 상기 참조 지점 중 하나에 상기 터치를 이동하는 것과 관련된 터치-이동 이벤트에 반응하여, 상기 복수의 위젯들 중 하나를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며, 상기 복수의 위젯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과 관련된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제 2 위젯을 표시하고,
상기 프리뷰 이미지는, 상기 스크린 상에, 상기 복수의 위젯들 중 하나의 상기 미리 정의된 사이즈 및 배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젯 사이즈 변경 모드에 진입하면, 표시된 다른 위젯 보다 상기 제 1 위젯을 강조하여 표시하는 휴대 단말기.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젯은
상기 휴대 단말기에 의해 수신되는 정보를 수신과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문자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이메일 메시지, 날씨 정보, 및 주식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위젯의 표시를 중단하고, 상기 제 2 위젯을 표시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위젯을 교체될 때 상기 제 2 위젯을 표시하는 휴대 단말기.
- 터치 디스플레이;
무선통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제 1 위젯을 제 1 정보와 관련된 제 1 구성의 형태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위젯의 사이즈 변경에 관한 제 1 터치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제 1 터치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 1 위젯의 사이즈 변경 모드에 진입하고,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터치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제 1 위젯의 사이즈 변경 모드를 나타내는 시각 효과를 표시하며,
상기 제 1 위젯의 사이즈 변경 모드를 나타내는 시각 효과를 계속 표시하면서, 사이즈 변경을 위한 제 2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 1 위젯의 사이즈를 변경하기 위한 상기 제 2 터치 입력이 특정 거리에 도달하고 상기 제 2 터치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제 1 위젯의 사이즈와 다르고, 제2 정보와 관련된 제 2 구성의 형태의 제 2 위젯에 관한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며,
추가적인 터치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위젯의 사이즈 변경 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제 2 위젯을 확정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2 구성은 상기 제 1 구성과 다른 배치를 가지며,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제 2 정보는 서버를 통해 수신되며,
상기 제 2 터치 입력은 드래그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효과는
상기 제 1 위젯 또는 상기 제 2 위젯 중 적어도 일부에 하이라이트하는 것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위젯의 사이즈 변경 모드 나타내는 시각 효과를 계속 표시하면서,
상기 제 2 위젯의 사이즈를 변경하기 위한 제 3 터치 입력이 상기 제 1 위젯의 경계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제 2 위젯의 경계로부터 제 2 임계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제 1 구성에서 상기 제 2 위젯을 상기 제 1 위젯으로 변경하는 휴대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19)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4763A KR101864333B1 (ko) | 2011-03-21 | 2011-03-21 | 아이콘 변경 기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BR112013024426-7A BR112013024426B1 (pt) | 2011-03-21 | 2012-01-17 | terminal móvel e método de suporte de mudança de objeto para o mesmo |
CA2830636A CA2830636C (en) | 2011-03-21 | 2012-01-17 | Mobile terminal and object change support method for the same |
AU2012232047A AU2012232047B2 (en) | 2011-03-21 | 2012-01-17 | Mobile terminal and object change support method for the same |
RU2013142923/08A RU2604518C2 (ru) | 2011-03-21 | 2012-01-17 |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и способ поддержки изменения объекта для него |
PCT/KR2012/000376 WO2012128457A1 (en) | 2011-03-21 | 2012-01-17 | Mobile terminal and object change support method for the same |
US13/417,489 US20120246586A1 (en) | 2011-03-21 | 2012-03-12 | Mobile terminal and object change support method for the same |
CN201710083461.3A CN106802780B (zh) | 2011-03-21 | 2012-03-13 | 移动终端及用于该移动终端的对象改变支持方法 |
CN201210065491.9A CN102710739B (zh) | 2011-03-21 | 2012-03-13 | 移动终端及用于该移动终端的对象改变支持方法 |
EP19213025.0A EP3678010B1 (en) | 2011-03-21 | 2012-03-15 | Mobile terminal and object change support method for the same |
PL19213025T PL3678010T3 (pl) | 2011-03-21 | 2012-03-15 | Terminal przenośny i sposób obsługi zmiany obiektu dla niego |
EP12159699.3A EP2503440B1 (en) | 2011-03-21 | 2012-03-15 | Mobile terminal and object change support method for the same |
HUE19213025A HUE057459T2 (hu) | 2011-03-21 | 2012-03-15 | Mobil végberendezés és objektumváltozás-támogatási eljárás ugyanerre |
EP21210024.2A EP4012541B1 (en) | 2011-03-21 | 2012-03-15 | Mobile terminal and object change support method for the same |
ES19213025T ES2901927T3 (es) | 2011-03-21 | 2012-03-15 | Terminal móvil y procedimiento de soporte de cambio de objeto para el mismo |
ES12159699T ES2763957T3 (es) | 2011-03-21 | 2012-03-15 | Terminal móvil y procedimiento de soporte de cambio de objeto para el mismo |
JP2012059964A JP5977970B2 (ja) | 2011-03-21 | 2012-03-16 | オブジェクト変更機能支援方法及びこれを支援する携帯端末 |
ZA2013/07325A ZA201307325B (en) | 2011-03-21 | 2013-10-01 | Mobile terminal and object change support method for the same |
US16/104,704 US10831362B2 (en) | 2011-03-21 | 2018-08-17 | Mobile terminal and object change support method for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4763A KR101864333B1 (ko) | 2011-03-21 | 2011-03-21 | 아이콘 변경 기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52748A KR20130052748A (ko) | 2013-05-23 |
KR101864333B1 true KR101864333B1 (ko) | 2018-07-05 |
Family
ID=45874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24763A Active KR101864333B1 (ko) | 2011-03-21 | 2011-03-21 | 아이콘 변경 기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Country Status (14)
Country | Link |
---|---|
US (2) | US20120246586A1 (ko) |
EP (3) | EP4012541B1 (ko) |
JP (1) | JP5977970B2 (ko) |
KR (1) | KR101864333B1 (ko) |
CN (2) | CN102710739B (ko) |
AU (1) | AU2012232047B2 (ko) |
BR (1) | BR112013024426B1 (ko) |
CA (1) | CA2830636C (ko) |
ES (2) | ES2901927T3 (ko) |
HU (1) | HUE057459T2 (ko) |
PL (1) | PL3678010T3 (ko) |
RU (1) | RU2604518C2 (ko) |
WO (1) | WO2012128457A1 (ko) |
ZA (1) | ZA201307325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34913A1 (ko) * | 2022-08-08 | 2024-02-1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복수의 위젯들을 그룹화하는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4333B1 (ko) | 2011-03-21 | 2018-07-0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아이콘 변경 기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US9377937B2 (en) | 2012-04-06 | 2016-06-2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object on display |
WO2013151322A1 (en) * | 2012-04-06 | 2013-10-1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object on display |
US9146655B2 (en) | 2012-04-06 | 2015-09-2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object on display |
KR102146244B1 (ko) * | 2013-02-22 | 2020-08-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객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 |
KR101428365B1 (ko) * | 2013-02-25 | 2014-08-08 | 주식회사 팬택 | 모바일 기기의 홈 스크린에서 위젯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
KR20140115731A (ko) * | 2013-03-22 | 2014-10-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의 오브젝트 변환 방법 및 그 장치 |
KR101478557B1 (ko) * | 2013-05-06 | 2015-01-05 | (주)카카오 | 모바일 디바이스에 위젯을 표시하는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
KR102138506B1 (ko) * | 2013-07-15 | 2020-07-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CN103455245B (zh) * | 2013-08-20 | 2017-02-01 | 华为技术有限公司 | 微件面积调节的方法及装置 |
KR102202899B1 (ko) * | 2013-09-02 | 2021-01-14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장치 |
US20150227265A1 (en) * | 2014-02-10 | 2015-08-13 | Packsize Llc | Generating and implementing a customizable user interface |
CN104850297A (zh) * | 2014-02-19 | 2015-08-19 | 联想(北京)有限公司 | 一种控件的显示方法及电子设备 |
WO2015167231A1 (ko) * | 2014-04-28 | 2015-11-05 | 김기태 | 비주얼 오브젝트를 이용한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US10637972B2 (en) | 2014-05-06 | 2020-04-28 | Lattice Semiconductor Corporation | System for dynamic audio visual capabilities exchange |
JP6371577B2 (ja) * | 2014-05-08 | 2018-08-08 | 古野電気株式会社 | 情報表示装置及び情報表示装置の表示レイアウト変更方法 |
KR20160020738A (ko) * | 2014-08-14 | 2016-02-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
KR101911747B1 (ko) * | 2017-03-20 | 2018-10-25 | 주식회사 하이딥 | 터치종류 판별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터치 입력 장치 |
CN111124343B (zh) * | 2019-12-30 | 2023-05-26 | 焦点教育科技有限公司 | 一种应用于校园的内容智能分发系统及方法 |
CN112199067B (zh) * | 2020-12-04 | 2021-02-19 | 湖北芯擎科技有限公司 | 一种显示切换方法及装置 |
CN113849147A (zh) * | 2021-09-30 | 2021-12-28 | 联想(北京)有限公司 |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
WO2025079857A1 (ko) * | 2023-10-13 | 2025-04-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위젯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
CN117149028A (zh) * | 2023-10-27 | 2023-12-01 | Tcl通讯科技(成都)有限公司 | 一种显示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设备 |
WO2025121669A1 (ko) * | 2023-12-07 | 2025-06-1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홈 화면의 편집을 위한 방법 |
WO2025121918A1 (ko) * | 2023-12-07 | 2025-06-1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위젯을 편집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022914A (ja) | 2009-07-17 | 2011-02-03 | Casio Computer Co Ltd |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
Family Cites Families (4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479122B2 (en) | 2004-07-30 | 2013-07-02 | Apple Inc. | Gestures for 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
JP2000013549A (ja) | 1998-06-19 | 2000-01-14 | Olympus Optical Co Ltd | 画像取り込み装置 |
US6909439B1 (en) | 1999-08-26 | 2005-06-21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ximizing efficiency of small display in a data processing system |
FI20001506L (fi) * | 1999-10-12 | 2001-04-13 | J P Metsaevainio Design Oy | Kädessäpidettävän laitteen toimintamenetelmä |
US6742042B1 (en) * | 2000-06-28 | 2004-05-25 | Nortel Networks Limited | Method and apparatus of presenting ticker information |
KR100405048B1 (ko) * | 2001-09-10 | 2003-11-07 |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구조 변경 시스템 및 방법 |
JP2003173226A (ja) | 2001-11-27 | 2003-06-20 |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座標入力方法 |
JP2003195998A (ja) | 2001-12-26 | 2003-07-11 | Canon Inc |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
US7421438B2 (en) | 2004-04-29 | 2008-09-02 | Microsoft Corporation | Metadata editing control |
NO20031586L (no) | 2003-04-08 | 2004-10-11 | Favourite Systems As | Vindussystem for datainnretning |
US7302650B1 (en) * | 2003-10-31 | 2007-11-27 | Microsoft Corporation | Intuitive tools for manipulating objects in a display |
GB2411331A (en) * | 2004-02-19 | 2005-08-24 | Trigenix Ltd | Rendering user interface using actor attributes |
US7546543B2 (en) * | 2004-06-25 | 2009-06-09 | Apple Inc. | Widget authoring and editing environment |
US20060015820A1 (en) * | 2004-07-19 | 2006-01-19 | Eric Wood | Fixed window selection |
CN101124572A (zh) | 2004-09-24 | 2008-02-13 | 微软公司 | 文件系统外壳 |
US7779362B1 (en) * | 2005-09-02 | 2010-08-17 | Adobe Systems Inc. |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ecting objects by state |
CN1811686A (zh) | 2006-02-17 | 2006-08-02 | 魏新成 | 手机触摸屏上的任务栏和标题菜单工具栏 |
US7856605B2 (en) * | 2006-10-26 | 2010-12-21 | Apple Inc. | Method, syste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ositioning an insertion marker in a touch screen display |
US20080165148A1 (en) | 2007-01-07 | 2008-07-10 | Richard Williamso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Inline Multimedia Content |
JP2008243128A (ja) | 2007-03-29 | 2008-10-09 | Sanyo Electric Co Ltd | タッチパネル装置 |
US20100138295A1 (en) * | 2007-04-23 | 2010-06-03 | Snac, Inc. | Mobile widget dashboard |
KR20100023891A (ko) | 2007-05-25 | 2010-03-04 | 노키아 코포레이션 | 네트워크 엔티티, 단말,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및 관련 위젯에 대한 광고를 포함한 위젯을 제공하는 방법 |
US20090217186A1 (en) | 2008-02-27 | 2009-08-27 | Nokia Corporation | Apparatus,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method for providing widgets including advertisements for associated widgets |
US7949954B1 (en) * | 2007-08-17 | 2011-05-24 | Trading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 Dynamic functionality based on window characteristics |
ATE503236T1 (de) | 2008-01-14 | 2011-04-15 | Research In Motion Ltd | VERWENDUNG EINER FORMVERÄNDERNDEN ANZEIGE UND ANPASSUNGSLINSE ZUR SELEKTIVEN VERGRÖßERUNG VON INFORMATIONEN, DIE AUF DEM SCHIRM ANGEZEIGT WERDEN |
KR101012300B1 (ko) | 2008-03-07 | 2011-02-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 및 그 방법 |
KR101569427B1 (ko) * | 2008-10-02 | 2015-11-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영 방법 |
KR101503835B1 (ko) | 2008-10-13 | 2015-03-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멀티터치를 이용한 오브젝트 관리 방법 및 장치 |
ES2630408T3 (es) | 2008-12-01 | 2017-08-21 | Lg Electronics Inc. | Procedimiento de operación de un icono de ejecución de terminal móvil |
KR101173982B1 (ko) * | 2008-12-18 | 2012-08-16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식 단말기 |
KR20100097358A (ko) | 2009-02-26 | 2010-09-03 | (주)링스텔레콤 |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전자기기의 위젯 처리 방법 |
US20100262931A1 (en) | 2009-04-10 | 2010-10-14 |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 Systems and methods for searching a media guidance application with multiple perspective views |
KR20110019861A (ko) * | 2009-08-21 | 2011-03-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의 화면 구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
KR101691823B1 (ko) | 2009-09-09 | 2017-01-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
KR101693379B1 (ko) * | 2009-09-10 | 2017-01-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
US8381125B2 (en) * | 2009-12-16 | 2013-02-19 | Apple Inc. | Device and method for resizing user interface content while maintaining an aspect ratio via snapping a perimeter to a gridline |
CN101833417B (zh) | 2010-04-23 | 2013-04-17 | 深圳桑菲消费通信有限公司 | 一种在手机上实现灵动视窗的系统及其方法 |
US9542091B2 (en) | 2010-06-04 | 2017-01-10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through a user interface using a dynamic object selection indicator |
US20110320939A1 (en) * | 2010-06-23 | 2011-12-29 | Motorola, Inc. |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a Visual Representation of a Resizable Widget Associated with a Contacts Database |
EP2431870B1 (en) * | 2010-09-17 | 2019-11-27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101729523B1 (ko) * | 2010-12-21 | 2017-04-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KR20120080922A (ko) * | 2011-01-10 | 2012-07-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
KR101864333B1 (ko) | 2011-03-21 | 2018-07-0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아이콘 변경 기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
2011
- 2011-03-21 KR KR1020110024763A patent/KR101864333B1/ko active Active
-
2012
- 2012-01-17 AU AU2012232047A patent/AU2012232047B2/en active Active
- 2012-01-17 BR BR112013024426-7A patent/BR112013024426B1/pt active IP Right Grant
- 2012-01-17 WO PCT/KR2012/000376 patent/WO201212845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01-17 RU RU2013142923/08A patent/RU2604518C2/ru active
- 2012-01-17 CA CA2830636A patent/CA2830636C/en active Active
- 2012-03-12 US US13/417,489 patent/US20120246586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2-03-13 CN CN201210065491.9A patent/CN102710739B/zh active Active
- 2012-03-13 CN CN201710083461.3A patent/CN106802780B/zh active Active
- 2012-03-15 EP EP21210024.2A patent/EP4012541B1/en active Active
- 2012-03-15 EP EP12159699.3A patent/EP2503440B1/en active Active
- 2012-03-15 PL PL19213025T patent/PL3678010T3/pl unknown
- 2012-03-15 EP EP19213025.0A patent/EP3678010B1/en active Active
- 2012-03-15 ES ES19213025T patent/ES2901927T3/es active Active
- 2012-03-15 HU HUE19213025A patent/HUE057459T2/hu unknown
- 2012-03-15 ES ES12159699T patent/ES2763957T3/es active Active
- 2012-03-16 JP JP2012059964A patent/JP5977970B2/ja active Active
-
2013
- 2013-10-01 ZA ZA2013/07325A patent/ZA201307325B/en unknown
-
2018
- 2018-08-17 US US16/104,704 patent/US10831362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022914A (ja) | 2009-07-17 | 2011-02-03 | Casio Computer Co Ltd |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11 Ways to Get the Most Out of LauncherPro" |
갤럭시S 위젯"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34913A1 (ko) * | 2022-08-08 | 2024-02-1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복수의 위젯들을 그룹화하는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S2901927T3 (es) | 2022-03-24 |
CN106802780B (zh) | 2020-04-07 |
AU2012232047A1 (en) | 2013-09-05 |
CA2830636A1 (en) | 2012-09-27 |
AU2012232047B2 (en) | 2016-10-06 |
KR20130052748A (ko) | 2013-05-23 |
US10831362B2 (en) | 2020-11-10 |
EP2503440A2 (en) | 2012-09-26 |
ES2763957T3 (es) | 2020-06-01 |
RU2013142923A (ru) | 2015-04-27 |
BR112013024426A2 (pt) | 2016-12-20 |
EP3678010A1 (en) | 2020-07-08 |
CN102710739B (zh) | 2017-04-12 |
JP2012198893A (ja) | 2012-10-18 |
JP5977970B2 (ja) | 2016-08-24 |
CN102710739A (zh) | 2012-10-03 |
HUE057459T2 (hu) | 2022-05-28 |
CN106802780A (zh) | 2017-06-06 |
EP4012541B1 (en) | 2023-04-26 |
EP4012541A1 (en) | 2022-06-15 |
US20120246586A1 (en) | 2012-09-27 |
RU2604518C2 (ru) | 2016-12-10 |
PL3678010T3 (pl) | 2022-05-23 |
EP2503440B1 (en) | 2019-12-04 |
WO2012128457A1 (en) | 2012-09-27 |
EP2503440A3 (en) | 2017-04-05 |
EP3678010B1 (en) | 2021-11-24 |
US20180356955A1 (en) | 2018-12-13 |
CA2830636C (en) | 2020-02-25 |
ZA201307325B (en) | 2015-01-28 |
BR112013024426B1 (pt) | 2021-03-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64333B1 (ko) | 아이콘 변경 기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
KR101673925B1 (ko) | 터치 락 상태를 가지는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 |
KR101640460B1 (ko) | 휴대 단말기의 분할 화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
KR101780491B1 (ko) | 컨텐츠 상세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
US8259136B2 (en) | Mobile terminal and user interface of mobile terminal | |
US9110582B2 (en) | Mobile terminal and screen change control method based on input signals for the same | |
US20200371685A1 (en) | Graphical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 |
KR101841574B1 (ko) | 동영상 장면 검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
EP2372539A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list in portable terminal | |
US9563330B2 (en) | Method of operating a background content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 |
KR20100124438A (ko) | 휴대 단말기의 페이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
KR20120029898A (ko) | 인터넷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 |
EP2587356A2 (en) | Controlling method for basic screen and portable device therefore | |
KR101709509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683076B1 (ko) | 휴대 단말기의 보조키맵 운용 방법 및 장치 | |
KR20140044433A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
KR20130052752A (ko) | 메모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2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2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3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5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5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