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63188B1 - 3차원 문화재 모델 구축 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문화재 모델 구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3188B1
KR101863188B1 KR1020170140245A KR20170140245A KR101863188B1 KR 101863188 B1 KR101863188 B1 KR 101863188B1 KR 1020170140245 A KR1020170140245 A KR 1020170140245A KR 20170140245 A KR20170140245 A KR 20170140245A KR 101863188 B1 KR101863188 B1 KR 101863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ial
point
image
model
rgb im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0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문
권오섭
이금영
유세종
석현우
강성주
전의익
Original Assignee
(주)아세아항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세아항측 filed Critical (주)아세아항측
Priority to KR1020170140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1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18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01C11/04Interpretation of pictures
    • G01C11/30Interpretation of pictures by triangulation
    • G01C11/34Aerial triang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문화재 모델 구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카메라인 DSLR을 이용하여 항공 촬영을 통해 취득한 RGB 영상을 기준으로 3차원 건축물 문화재 모델을 구축하며, 기존 3차원 레이저 스캐너 구축방법보다 낮은 접근성과 효율성, 경제성을 보완할 수 있도록 3차원 구축 방식 중 메시(Mesh) 영상기반 정합방법을 활용하여 구축함으로써 3차원 레이저 스캐너보다 구축시간의 신속성, 높은 미려성 등을 가진 문화재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한 3차원 문화재 모델 구축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3차원 문화재 모델 구축 방법{Method for construction of cultural heritage 3D models}
본 발명은 3차원 문화재 모델 구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카메라인 DSLR을 이용하여 항공 촬영을 통해 취득한 RGB 영상을 기준으로 3차원 건축물 문화재 모델을 구축하며, 기존 3차원 레이저 스캐너 구축방법보다 낮은 접근성과 효율성, 경제성을 보완할 수 있도록 3차원 구축 방식 중 메시(Mesh) 영상기반 정합방법을 활용하여 구축함으로써 3차원 레이저 스캐너보다 구축시간의 신속성, 높은 미려성 등을 가진 문화재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한 3차원 문화재 모델 구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차원 그래픽 모델에서 사용되는 메시(Mesh)란 하나의 객체를 3차원 그래픽 모델에서 표현하는 가장 보편적인 방식으로 점, 선, 면들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또한, 메시는 가상현실을 구성하는 주요요소이며, 실세계의 각 개체의 속성과 형상에 대한 기하학적 특징을 표현하고 있다.
이때, RGB 영상이란 가시광 영역의 컬러영상으로 Red, Green, Blue의 레이어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분광영역은 0.4 ~ 0.7㎛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간정보 분야에서 지도제작 및 정사영상제작에 활용되고 있다.
한편, 문화재란 규모가 작은 동산문화재부터 규모가 큰 자연문화재까지 고고학·선사학·역사학·문학·예술·과학·종교·민속·생활양식 등에서 문화적 가치가 있다고 인정되는 인류 문화 활동의 소산을 말하며, 건축물·서적 등 유형의 문화적 소산인 유형 문화재, 연극·음악 등 무형의 문화적 소산인 무형문화재, 고분·성지·동물·식물 등 학술상 가치가 큰 기념물, 신앙·연중행사 등에 관한 풍속·습관과 이에 사용되는 의복·기구·가구 등으로 국민 생활의 추이를 이해할 수 있는 민속자료를 말한다.
그리고, 3차원 문화재란 유물단위부터 건축물단위까지의 유형문화재에 대해 재해 및 인재로 인한 훼손, 파손, 풍화 등이 시간이 갈수록 가속화됨에 따라 사전에 방지하고자 3차원 기록 및 복원한 데이터를 말하며, 현재까지는 주로 3차원 레이저 스캐너를 활용한 3차원 문화재 기록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3차원 문화재는 주로 3차원 레이저 스캐너를 활용하여 구축한다.
이때, 3차원 레이저 스캐너는 구축하고자 하는 객체를 점(Point) 형태의 데이터로 취득을 한 후 텍스쳐를 붙이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3차원 레이저 스캐너는 고가의 취득 장비, 데이터 프로세스의 숙련도, 현실성이 부족한 텍스쳐 처리, 장시간의 처리소요시간 등 접근성이 좋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509143호(2015.03.31.) '문화재 발굴조사 및 유구 분석을 위한 3차원 스캐닝 데이터 처리 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디지털 카메라인 DSLR을 이용하여 항공 촬영을 통해 취득한 RGB 영상을 기준으로 3차원 건축물 문화재 모델을 구축하며, 기존 3차원 레이저 스캐너 구축방법보다 낮은 접근성과 효율성, 경제성을 보완할 수 있도록 3차원 구축 방식 중 메시(Mesh) 영상기반 정합방법을 활용하여 구축함으로써 3차원 레이저 스캐너보다 구축시간의 신속성, 높은 미려성 등을 가진 문화재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한 3차원 문화재 모델 구축 방법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드론을 활용하여 문화재에 대한 항공 RGB 영상을 취득하기 위해 항공 촬영전에 DSLR을 설정하는 과정(101a)과, 항공촬영 대상지역을 중복 RGB 영상으로 취득하기 위해 촬영계획을 구축하는 과정(101b)과, 드론을 활용하여 항공 RGB 영상 취득 후 적합성을 확인하는 과정(101c)으로 이루어진 항공영상 취득단계(101);
항공촬영 전에 항공촬영 대상지역에 대해 지상기준점(Ground Control Point) 위치를 설정하는 과정(102a)과, 항공촬영을 통해 취득된 문화재 영상인 항공 RGB 영상에 상기 설정과정을 통해 설정된 지상기준점을 입력하는 과정(102b)으로 이루어진 지상기준점 선정단계(102);
지상기준점을 기준으로 항공촬영된 항공 RGB 영상에서 지상기준점과 중복된 지점을 접합점으로 생성하는 과정(103a)과, 접합점이 생성된 여러 개의 영상에 대한 3차원 위치 및 지상기준점을 기준으로 카메라의 항공촬영시 위치 좌표를 항공 RGB 영상에서 조정하는 과정인 번들 조정을 실행하는 과정(103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합점을 생성하는 과정(103a)은 항공 RGB 영상에서 중복된 영상을 선정하는 스텝(401a), 중복된 지점을 접합점으로 선정하는 스텝(401b), 접합점을 생성하는 스텝(401c)을 거쳐 접합점에 대한 지상좌표를 구하고 그 접합점을 지상기준점으로 삼아 항공 RGB 영상의 절대표정을 결정하는 항공삼각측량(AeroTriangulation) 단계(103);
절대표정된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모델 구축용 OBJ, DAE, 3MX를 포함한 3차원 모델을 표현할 수 있는 모델 파일 포맷을 통해 3차원 문화재 모델을 구축하는 단계(104); 및
구축된 3차원 문화재 모델에 대한 위치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해 GPS를 활용한 측정 및 비교과정(105a)과, 무타겟을 활용한 측정 및 비교과정(105b)으로 이원화시켜 검증하는 완료단계(105)로 이루어지되,
상기 GPS를 활용하는 절대위치 측정 및 비교과정(105a)은 위성으로부터 위치에 대한 신호를 받아 절대위치를 결정하는 값을 측정하고 비교하는 것으로 구축된 3차원 모델에서 검사점에 대한 위치 좌표를 선정하는 제1 스텝(601a), 선정된 검사점 위치 좌표에 대한 GPS를 통한 절대위치를 확인하는 제2 스텝(601b), 제1,2 스텝(601a,602b)의 값을 비교하여 검사점 정확도를 확인하는 스텝(601c)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무타겟을 활용한 측정 및 비교과정(105b)은 알고 있는 절대위치점으로부터 대상 문화재에 무작위로 위치를 측정하여 비교하는 것으로 구축된 3차원 모델에서 검사점에 대한 위치 좌표를 선정하는 제3 스텝(602a), 알고 있는 절대위치점으로부터 검사점에 대한 위치 좌표를 측정하는 제4 스텝(602b), 제3,4 스텝(602a,602b)의 값을 비교하여 검사점 정확도를 확인하는 스텝(602c)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문화재 모델 구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는 3차원 레이저 스캐너를 활용하여 유물단위부터 자연문화재까지 다양한 문화재에 대해 점(Point) 데이터 취득 후, 3차원 문화재를 구축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방법은 항공드론과 디지털 카메라인 DSLR을 활용하여 점(Point)이 아닌 영상(Image) 데이터를 취득하여 3차원 문화재를 구축하여 기존 방법보다 경제성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영상(Image) 데이터를 기준으로 모델을 구축하기 때문에 기존 방법보다 실세계에 가까운 높은 미려성과 짧은 시간 안에 처리가 가능한 3차원 모델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Mesh) 방식을 활용한 3차원 문화재 구축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을 활용한 항공 RGB 영상을 취득하는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Mesh) 영상기반 정합을 위한 지상기준점을 선정하는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항공 RGB 영상을 활용하여 항공삼각측량을 실행하는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Mesh) 영상기반 정합방법을 활용하여 3차원 문화재를 구축하는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축된 3차원 문화재에 대한 위치정확도를 확인하는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드론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태양전지모듈의 설치예를 발췌하여 설명하는 변형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문화재 모델 구축 방법은 드론을 활용한 항공 RGB 영상을 취득하는 항공영상 취득단계(10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항공영상 취득단계(101)는 문화재를 드론으로 촬영하기 전에 DSLR을 설정하는 과정(101a)과, 촬영대상 지역을 중복 RGB 영상으로 취득하기 위해 촬영계획을 구축하는 과정(101b)과, 드론을 활용하여 항공 RGB 영상 취득 후 적합성을 확인하는 과정(101c)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DSLR을 설정하는 과정(101a)은 촬영대상 지역의 특성(촬영고도, 방향, 각도 등)에 맞게 고품질의 영상획득이 가능하도록 조절하는 과정이며, 촬영계획을 구축하는 과정(101b)은 촬영대상 지역의 위치를 확인하고 촬영일자에 맞는 풍향, 풍속 등을 고려하여 어떻게 촬영할 것인지를 미리 정리하는 과정이며, 적합성을 확인하는 과정(101c)은 촬영을 통해 획득한 영상의 품질이 활용할 수 있을 정도의 선명도와 정확도를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다음으로, 메시(Mesh) 영상기반 정합을 위한 지상기준점을 선정하는 지상기준점 선정단계(102)가 진행된다.
상기 지상기준점 선정단계(102)는 대상 지역에 대해서 지상기준점 위치를 설정하는 과정(102a)과, 취득 영상에 지상기준점을 입력하는 과정(102b)으로 이루어진다.
이어, 지상기준점을 결정한 항공 RGB 중복영상에 대해 항공삼각측량을 실행하는 항공삼각측량 단계(103)가 수행된다.
이때, 상기 항공삼각측량 단계(103)는 앞서 지상기준점을 결정한 항공 RGB 중복영상에 대해 중복된 지점(좌표)을 접합점으로 생성하는 과정(103a)과, 번들 조정을 실행하는 과정(103b)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번들 조정이란 지상기준점을 사용하여 카메라의 촬영위치를 추가로 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메시(Mesh) 영상기반 정합방법을 활용하여 3차원 문화재를 구축하는 문화재 구축단계(104)가 수행된다.
이 경우, 상기 문화재 구축단계(104)는 메시(Mesh) 영상기반 정합방법을 활용하여 3차원 문화재를 구축하는 과정(104a)과, 구축된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과정(104b)을 포함한다.
이후, 구축 결과에 대한 형상검사 및 위치정확도 검사를 실시하고 작업을 종료하는 완료단계(105)가 수행된다.
이때, 상기 완료단계(105)는 형상검사 및 위치 정확도 검사시 GPS를 활용한 측정 및 비교과정(105a)과, 무타겟을 활용한 측정 및 비교과정(105b)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을 활용한 항공 RGB 영상을 취득하는 단계를 좀더 구체적으로 보여 준다.
도 2에 따르면, 앞서 도 1을 참고로 설명한 항공영상 취득단계(101)를 구성하는 항공 촬영 전 DSLR 설정과정(101a)은 카메라의 초점거리를 입력하는 스텝(201a)과, 카메라의 ISO를 입력하는 스텝(201b) 및 카메라의 촬영 각도를 설정하는 스텝(201c)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촬영계획 구축과정(101b)은 대상 지역 안에 장애물이 있는지 여부를 설정하는 스텝(202a)과, 대상 지역에 대해 촬영영상에 대해 종횡중복도를 설정하는 스텝(202b) 및 촬영 영상에 대해 수직수평 속도를 설정하는 스텝(202c)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대상 지역 안에 촬영시 장애물에 해당하는 전봇대 및 신호등 등 촬영에 방해요소가 될 수 있는 장애물에 대한 여부를 파악하여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또한 3차원 문화재 구축을 위해 촬영시 카메라의 각도가 연직영상부터 경사영상까지 다양하게 필요하므로 문화재 대상물에 따라 각도가 상이하게 촬영이 되어야 한다.
아울러,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Mesh) 영상기반 정합을 위한 지상기준점을 선정하는 단계의 순서도이다.
이러한 지상기준점 선정단계(102)를 구성하는 지상기준점 설정과정(102a)은 대상 객체에 대한 구역 파악 후 지상기준점 위치를 선정하는 스텝(301a)과, 지상기준점을 취득하는 스텝(301b)과, 취득한 지상기준점에 대해 허용오차에 대한 정확도를 검사하는 스텝(301c)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지상기준점이란 결정된 좌표를 가진 지표면 위의 인공 또는 자연 위치를 의미한다.
그리고, 지상기준점 입력과정(102b)은 취득한 지상기준점을 입력할 영상을 선정하는 스텝(302a)과, 선정한 영상에 대해 지상기준점을 입력하는 스텝(302b)을 포함한다.
이 경우, 지상기준점 입력시 취득한 지상기준점 좌표계와 영상에 대한 좌표계 및 최종적으로 구축할 모델에 대한 좌표계를 일치시켜야 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항공 RGB 영상을 활용하여 항공삼각측량(지상기준점을 기준으로 항공사진상의 좌표를 지상좌표로 전환하는 것)을 실행하는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4에 따른 항공삼각측량 단계(103)를 구성하는 접합점 생성과정(103a)은 각기 다른 각도에서 촬영된 영상에 대해 중복된 항공 RGB 영상에 대해 공통되는 지점(좌표)을 접함점으로 생성하는 것으로, 중복된 영상을 선정하는 스텝(401a), 영상에 대해 접합점을 선정하는 스텝(401b), 접합점을 생성하는 스텝(401c)을 거쳐 접함점에 대해 지상좌표를 구하고, 그 접함점을 지상기준점으로 삼아 항공 RGB 영상의 절대표정(축척을 정확히 맞추고 수준을 정확하게 맞추는 과정)을 결정한다.
아울러, 번들 조정을 실행하는 과정(103b)은 여러 개의 영상에 대해 3차원 위치와 카메라 최적 파라미터를 구하는 최적화 기술 단계로, 접합점 생성이 완료된 영상에 대해 번들조정 영상을 선정하는 스텝(402a), 번들조정을 실행하는 스텝(402b)을 거치는데, 이때 3차원 문화재 구축을 위해 3차원 구조 및 카메라의 세부정보까지 포함한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Mesh) 영상기반 정합방법을 활용하여 3차원 문화재를 구축하는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Mesh) 영상기반 정합방법을 활용하여 3차원 문화재 구축 단계에서는 3차원 문화재 모델 구축 과정(104a)와, 3차원 문화재 모델 구축 결과 출력 과정(104b)를 포함하는데, 상기 3차원 문화재 모델 구축 과정(104a)에서는 3차원 모델 구축을 위한 OBJ, DAE, 3MX 등 다양한 3차원 모델을 표현할 수 있는 모델 파일 포맷을 선정하는 스텝(501a), 국토교통부 3차원 작업규정에 따른 LOD를 설정하는 스텝(501b), 3차원 구축 범위에 따른 타일링을 설정하는 스텝(501c)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3차원 문화재 모델 구축 결과 출력 과정(104b)에서는 3차원 문화재 구축 모델에 시각화 각도를 설정할 수 있는 필드 오브 뷰(Field of View)를 설정하는 스텝(502a), 높은 해상도의 신호를 최적의 해상도로 출력하기 위한 안티에일리어싱(Antialiasing)을 설정하는 스텝(502b) 및 불균형을 유발하는 픽셀 오차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공차를 설정하는 스텝(502c)으로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축된 3차원 문화재 모델에 대한 위치정확도를 확인하는 완료단계의 순서도이다.
상기 완료단계(105)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GPS를 활용하는 절대위치 측정 및 비교과정(105a)과, 무타겟 기능을 활용한 절대위치 측정 및 비교과정(105b)으로 이원화되어 구축된 3차원 문화재 모델에 대한 위치정확도를 검증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GPS를 활용하는 절대위치 측정 및 비교과정(105a)은 위성으로부터 위치에 대한 신호를 받아 절대위치를 결정하는 값을 측정하고 비교하는 것으로 구축된 3차원 모델에서 검사점에 대한 위치 좌표를 선정하는 제1 스텝(601a), 선정된 검사점 위치 좌표에 대한 GPS를 통한 절대위치를 확인하는 제2 스텝(601b), 제1,2 스텝(601a,602b)의 값을 비교하여 검사점 정확도를 확인하는 스텝(601c)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무타겟 기능을 활용한 절대위치 측정 및 비교과정(105b)은 알고 있는 절대위치점으로부터 대상 문화재에 무작위로 위치를 측정하여 비교하는 것으로 구축된 3차원 모델에서 검사점에 대한 위치 좌표를 선정하는 제3 스텝(602a), 알고 있는 절대위치점으로부터 검사점에 대한 위치 좌표를 측정하는 제4 스텝(602b), 제3,4 스텝(602a,602b)의 값을 비교하여 검사점 정확도를 확인하는 스텝(602c)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술한 단계를 거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메시(Mesh) 방식을 활용한 3차원 문화재 모델 구축을 원활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드론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드론의 체공시간을 최소한 3시간 이상 늘릴 필요가 있어 도 7과 같이 체공시간을 늘릴 수 있는 드론을 사용한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드론(5000)은 도 7의 예시와 같이, 원반형태의 드론몸체(5200)를 포함하며, 상기 드론몸체(5200)의 하면에는 축전지박스(5300)가 고정되고, 상기 축전지박스(5300)의 하면 중심에는 카메라(6000)가 장착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드론암, 드론로터, 드론로터모터 등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랜딩기어(6200)는 이착륙시 충격완화를 위해 후술하는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드론(5000)의 비행시간을 늘리기 위해 축전지박스(5300)의 내부에는 제1,2축전지(DC1,DC2)가 탑재된다.
이때, 상기 제1,2축전지(DC1,DC2)는 특히, 듀얼로 설치되어 이중화됨으로써 두 개의 축전지를 스위칭하여 사용할 수 있어 비행시간을 늘릴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2축전지(DC1,DC2) 사이에는 컨트롤러(6100)가 탑재되어 상기 제1,2축전지(DC1,DC2)의 사용을 스위칭 제어할 수 있는데, 사용되지 않는 축전지에는 태양전지모듈(5400)로부터 얻어진 직류전기가 공급되어 충전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태양전지모듈(5400)은 드론몸체(5200)의 상면에 요입 형성된 부력홈(5500)을 밀폐하는 드론커버(5600)의 상면에 부착된다.
여기에서, 상기 부력홈(5500)에는 공기가 채워지므로 부력 상승에 도움을 주고, 또한 두 개의 축전지 중 사용되는 축전지의 상태 점검을 위해 상기 컨트롤러(6100)에는 전압레벨검출기(미도시)가 더 연결될 수 있으며, 전압레벨검출기의 검출값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6100)는 축전지의 사용에 관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제1,2축전지(DC1,DC2)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는 나머지는 태양전지모듈(5400)으로부터 획득한 직류전기를 축전한다.
그리고, 부력홈(5500)의 양측에는 가스챔버(5700)가 밀폐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가스챔버(5700)에는 헬륨가스가 채워지는데, 이를 위해 가스챔버(5700)의 일측에는 가스주입구(5720)가 형성되며, 상기 가스주입구(5720)는 주입마개(5800)에 의해 밀폐된다.
이렇게 하면, 드론(5000)의 부력을 증대시킴으로써 드론로터의 회전량과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어 드론(5000)이 장시간 동안 비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드론몸체(5200)의 상면 양측에는 각각 GPS장치(GPS)와 수신기(ANT)가 탑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론몸체(5200)는 내구성과 경량화를 위해 1-클로로-2,3-에폭시프로페인 5중량%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5중량%와, 폴리비닐알코올 10중량%와, 실리콘수지 10중량%와,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2.5중량%와, 페트롤라툼(petrolatum) 1.5중량% 및 나머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로 이루어진 조성물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1-클로로-2,3-에폭시프로페인은 반응성이 강한 염소계 물질로서 조성물의 반응 안정화를 위해 첨가되고, 메틸트리메톡시실란은 소수성에 의해 유화물질들간의 결합력을 강화시켜 내구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은 내산성과 내약품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성분간 결합력을 높이기 위함이며, 실리콘수지는 규소와 산소 결합을 주체로 하는 고분자로서 접착력을 증대시켜 구성성분간 바인딩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고, 트리에탄올아민은 약알카리성으로서 산도 조절을 위해 첨가되는 완충제이며, 페트롤라툼은 비결정성인 고체탄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연고모양의 물질로서 방수 기능이 있어 제형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폴리카보네이트수지는 베이스수지이다.
덧붙여, 도 8의 예시와 같이, 상기 랜딩기어(6200)의 랜딩시 충격완화를 위해 랜딩기어(6200)의 하단면에는 방진재(SOC)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방진재(SOC)는 랜딩기어(6200)의 하면에 고정되는 상부판스프링(PSP1)과 랜딩받침대(SUP)의 상면에 고정되는 하부판스프링(PSP2)과, 상기 상부판스프링(PSP1)과 하부판스프링(PSP2) 사이에 개재되면서 양자를 결속하는 코일스프링(COIL)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부판스프링(PSP1)과 하부판스프링(PSP2)은 볼록한 부분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볼록한 부분의 각 정점에 코일스프링(COIL)이 고정되어 판스프링에 의한 완충과, 코일스프링(COIL)에 의한 완충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2중 완충 구조를 취함으로써 충격흡수력을 현저히 강화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태양전지모듈(5400)의 집광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드론커버(5600)에는 도 9의 예시와 같은 상면 중심에 승강모터(6300)가 매립설치되고, 상기 승강모터(6300)에는 승강볼스크류(6400)가 연결되며, 상기 승강볼스크류(6400)에는 이를 따라 상하이동가능한 환블럭(6500)이 치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환블럭(6500)의 둘레에는 간격을 두고 고무줄(6600)의 일단이 고정되고, 고무줄(6600)의 타단은 베이스판(6700)의 상단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6700)의 타단은 상기 드론커버(5600)의 상면 일부에 힌지고정되며, 상기 베이스판(6700)의 상면에는 태양전지모듈(5400)이 부착된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판(6700)들 사이의 벌어진 공간 하측의 드론커버(5600) 상면에도 태양전지모듈(5400)이 배치되면 더욱 좋다.
이 구조에서, 태양의 남중고도에 따라 승강모터(6300)를 회전시켜 환블럭(6500)을 상승시키면 베이스판(6700)의 경사각이 커지면서 세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반대로 회전시키면 환블럭(6500)이 하강하면서 베이스판(6700)의 경사각이 작아지면서 누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이 경사각을 조절함으로써 태양과의 각도를 맞춰 최적 상태로 태양광을 수광할 수 있도록 배치하여 축전 효율을 높이도록 구성할 수 있다.
5000: 드론 6000: 카메라

Claims (1)

  1. 드론을 활용하여 문화재에 대한 항공 RGB 영상을 취득하기 위해 항공 촬영전에 DSLR을 설정하는 과정(101a)과, 항공촬영 대상지역을 중복 RGB 영상으로 취득하기 위해 촬영계획을 구축하는 과정(101b)과, 드론을 활용하여 항공 RGB 영상 취득 후 적합성을 확인하는 과정(101c)으로 이루어진 항공영상 취득단계(101);
    항공촬영 전에 항공촬영 대상지역에 대해 지상기준점(Ground Control Point) 위치를 설정하는 과정(102a)과, 항공촬영을 통해 취득된 문화재 영상인 항공 RGB 영상에 상기 설정과정을 통해 설정된 지상기준점을 입력하는 과정(102b)으로 이루어진 지상기준점 선정단계(102);
    지상기준점을 기준으로 항공촬영된 항공 RGB 영상에서 지상기준점과 중복된 지점을 접합점으로 생성하는 과정(103a)과, 접합점이 생성된 여러 개의 영상에 대한 3차원 위치 및 지상기준점을 기준으로 카메라의 항공촬영시 위치 좌표를 항공 RGB 영상에서 조정하는 과정인 번들 조정을 실행하는 과정(103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합점을 생성하는 과정(103a)은 항공 RGB 영상에서 중복된 영상을 선정하는 스텝(401a), 중복된 지점을 접합점으로 선정하는 스텝(401b), 접합점을 생성하는 스텝(401c)을 거쳐 접합점에 대한 지상좌표를 구하고 그 접합점을 지상기준점으로 삼아 항공 RGB 영상의 절대표정을 결정하는 항공삼각측량(AeroTriangulation) 단계(103);
    절대표정된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모델 구축용 OBJ, DAE, 3MX를 포함한 3차원 모델을 표현할 수 있는 모델 파일 포맷을 통해 3차원 문화재 모델을 구축하는 단계(104); 및
    구축된 3차원 문화재 모델에 대한 위치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해 GPS를 활용한 측정 및 비교과정(105a)과, 무타겟을 활용한 측정 및 비교과정(105b)으로 이원화시켜 검증하는 완료단계(105)로 이루어지되,
    상기 GPS를 활용하는 절대위치 측정 및 비교과정(105a)은 위성으로부터 위치에 대한 신호를 받아 절대위치를 결정하는 값을 측정하고 비교하는 것으로 구축된 3차원 모델에서 검사점에 대한 위치 좌표를 선정하는 제1 스텝(601a), 선정된 검사점 위치 좌표에 대한 GPS를 통한 절대위치를 확인하는 제2 스텝(601b), 제1,2 스텝(601a,602b)의 값을 비교하여 검사점 정확도를 확인하는 스텝(601c)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무타겟을 활용한 측정 및 비교과정(105b)은 알고 있는 절대위치점으로부터 대상 문화재에 무작위로 위치를 측정하여 비교하는 것으로 구축된 3차원 모델에서 검사점에 대한 위치 좌표를 선정하는 제3 스텝(602a), 알고 있는 절대위치점으로부터 검사점에 대한 위치 좌표를 측정하는 제4 스텝(602b), 제3,4 스텝(602a,602b)의 값을 비교하여 검사점 정확도를 확인하는 스텝(602c)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문화재 모델 구축 방법.
KR1020170140245A 2017-10-26 2017-10-26 3차원 문화재 모델 구축 방법 Active KR101863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245A KR101863188B1 (ko) 2017-10-26 2017-10-26 3차원 문화재 모델 구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245A KR101863188B1 (ko) 2017-10-26 2017-10-26 3차원 문화재 모델 구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3188B1 true KR101863188B1 (ko) 2018-06-01

Family

ID=62635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0245A Active KR101863188B1 (ko) 2017-10-26 2017-10-26 3차원 문화재 모델 구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18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9145A (ko) 2020-11-19 2022-05-27 주식회사 공간정보 데이터 결합을 통한 3차원 문화재의 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 및 시스템
KR20220069146A (ko) 2020-11-19 2022-05-27 주식회사 공간정보 드론과 지상사진을 이용한 문화재의 영상 취득 방법 및 시스템
KR102549885B1 (ko) * 2022-08-03 2023-07-0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 및 시스템
CN116465370A (zh) * 2023-04-01 2023-07-21 中铁六局集团路桥建设有限公司 一种计算植被茂密区域土石方量的方法及系统
WO2024085600A1 (ko) * 2022-10-17 2024-04-25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3차원 모델과 거리뷰 데이터를 정합시키는 방법 및 시스템
CN118521736A (zh) * 2024-07-19 2024-08-20 广州蓝图地理信息技术有限公司 物质文化遗产三维建模方法及系统
KR102739384B1 (ko) * 2024-05-28 2024-12-06 (주)칸디자인뱅크 문화재 출판물용 이미지 촬영 및 보정 시스템
US12229891B2 (en) 2022-03-08 2025-02-1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Image processing device generating 3D cultural asset data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7859A (ja) * 1998-06-08 2002-06-18 マイクロソフト コーポレイション 表情の3dジオメトリ、色、およびシェーディングを取り込んで表す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6003280A (ja) * 2004-06-18 2006-01-05 Topcon Corp 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JP2006024161A (ja) * 2004-07-09 2006-01-26 Topcon Corp モデル形成装置及びモデル形成方法
KR100795396B1 (ko) * 2007-06-15 2008-01-17 (주)한양 항공레이저 데이터와 수치정사영상을 이용한 도시 변화모니터링 방법
KR20090064679A (ko) * 2007-12-17 2009-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종 센서 통합 모델링에 의한 수치 사진 측량 방법 및장치
KR100915600B1 (ko) * 2008-11-27 2009-09-07 (주)아세아항측 지상기준점 표지를 이용한 영상의 3차원 좌표 측정방법
KR100924008B1 (ko) * 2008-12-04 2009-10-28 (주)아세아항측 수치도화 기술을 기반으로 한 항공사진의 고도화 방법
KR100952136B1 (ko) * 2009-09-11 2010-04-09 중앙항업(주) 경사영상의 외부표정요소 보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3차원 정보를 측정하는 방법
US20100295855A1 (en) * 2008-01-21 2010-11-25 Pasco Corporation Method for generating orthophoto image
KR20110070660A (ko) * 2009-12-18 2011-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차원 도시 모델링 장치 및 방법
KR20120021666A (ko) * 2010-08-12 2012-03-0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파노라마 영상 생성 방법
KR20120041819A (ko) * 2010-08-27 2012-05-03 (주)아세아항측 3차원 고해상도 정규화식생지수 도시 모델 생성방법
KR20130004746A (ko) * 2011-07-04 2013-01-14 (주)아세아항측 수치지형도 작성을 위한 차량 모바일 매핑 시스템을 이용한 도로 레이어 현지조사 방법
KR101231703B1 (ko) * 2012-11-30 2013-02-08 주식회사 한국에스지티 기준점을 통한 지형의 정밀 위치 확인용 지상 측량데이터 수집시스템
US20130207966A1 (en) * 2012-02-15 2013-08-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of producing 3d model
KR101346323B1 (ko) * 2013-11-01 2014-01-02 주식회사 범아엔지니어링 지상기준점과 부가매개변수를 이용한 비측량용 디지털 카메라 촬영 시스템의 자체검정 방법
KR101346203B1 (ko) * 2013-09-11 2014-02-07 (주)아세아항측 수준점 및 표고점을 기반으로 gps를 측량하는 기본측량시스템
KR101509143B1 (ko) 2013-02-04 2015-04-07 (주)다인디지컬처 문화재 발굴조사 및 유구 분석을 위한 3차원 스캐닝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624705B1 (ko) * 2015-04-21 2016-05-26 주식회사 강물 지중관로 내부와 지상의 3차원 정밀 측량을 통한 지리정보시스템 데이터 취득방법

Patent Citation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7859A (ja) * 1998-06-08 2002-06-18 マイクロソフト コーポレイション 表情の3dジオメトリ、色、およびシェーディングを取り込んで表す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6003280A (ja) * 2004-06-18 2006-01-05 Topcon Corp 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JP2006024161A (ja) * 2004-07-09 2006-01-26 Topcon Corp モデル形成装置及びモデル形成方法
KR100795396B1 (ko) * 2007-06-15 2008-01-17 (주)한양 항공레이저 데이터와 수치정사영상을 이용한 도시 변화모니터링 방법
KR20090064679A (ko) * 2007-12-17 2009-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종 센서 통합 모델링에 의한 수치 사진 측량 방법 및장치
US20100295855A1 (en) * 2008-01-21 2010-11-25 Pasco Corporation Method for generating orthophoto image
KR100915600B1 (ko) * 2008-11-27 2009-09-07 (주)아세아항측 지상기준점 표지를 이용한 영상의 3차원 좌표 측정방법
KR100924008B1 (ko) * 2008-12-04 2009-10-28 (주)아세아항측 수치도화 기술을 기반으로 한 항공사진의 고도화 방법
KR100952136B1 (ko) * 2009-09-11 2010-04-09 중앙항업(주) 경사영상의 외부표정요소 보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3차원 정보를 측정하는 방법
KR20110070660A (ko) * 2009-12-18 2011-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차원 도시 모델링 장치 및 방법
KR20120021666A (ko) * 2010-08-12 2012-03-0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파노라마 영상 생성 방법
KR20120041819A (ko) * 2010-08-27 2012-05-03 (주)아세아항측 3차원 고해상도 정규화식생지수 도시 모델 생성방법
KR20130004746A (ko) * 2011-07-04 2013-01-14 (주)아세아항측 수치지형도 작성을 위한 차량 모바일 매핑 시스템을 이용한 도로 레이어 현지조사 방법
US20130207966A1 (en) * 2012-02-15 2013-08-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of producing 3d model
KR101231703B1 (ko) * 2012-11-30 2013-02-08 주식회사 한국에스지티 기준점을 통한 지형의 정밀 위치 확인용 지상 측량데이터 수집시스템
KR101509143B1 (ko) 2013-02-04 2015-04-07 (주)다인디지컬처 문화재 발굴조사 및 유구 분석을 위한 3차원 스캐닝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346203B1 (ko) * 2013-09-11 2014-02-07 (주)아세아항측 수준점 및 표고점을 기반으로 gps를 측량하는 기본측량시스템
KR101346323B1 (ko) * 2013-11-01 2014-01-02 주식회사 범아엔지니어링 지상기준점과 부가매개변수를 이용한 비측량용 디지털 카메라 촬영 시스템의 자체검정 방법
KR101624705B1 (ko) * 2015-04-21 2016-05-26 주식회사 강물 지중관로 내부와 지상의 3차원 정밀 측량을 통한 지리정보시스템 데이터 취득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9145A (ko) 2020-11-19 2022-05-27 주식회사 공간정보 데이터 결합을 통한 3차원 문화재의 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 및 시스템
KR20220069146A (ko) 2020-11-19 2022-05-27 주식회사 공간정보 드론과 지상사진을 이용한 문화재의 영상 취득 방법 및 시스템
US12229891B2 (en) 2022-03-08 2025-02-1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Image processing device generating 3D cultural asset data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549885B1 (ko) * 2022-08-03 2023-07-0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 및 시스템
WO2024085600A1 (ko) * 2022-10-17 2024-04-25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3차원 모델과 거리뷰 데이터를 정합시키는 방법 및 시스템
CN116465370A (zh) * 2023-04-01 2023-07-21 中铁六局集团路桥建设有限公司 一种计算植被茂密区域土石方量的方法及系统
KR102739384B1 (ko) * 2024-05-28 2024-12-06 (주)칸디자인뱅크 문화재 출판물용 이미지 촬영 및 보정 시스템
CN118521736A (zh) * 2024-07-19 2024-08-20 广州蓝图地理信息技术有限公司 物质文化遗产三维建模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3188B1 (ko) 3차원 문화재 모델 구축 방법
Campana Drones in archaeology. State‐of‐the‐art and future perspectives
Baiocchi et al. UAV application in post–seismic environment
CN106327573B (zh) 一种针对城市建筑的实景三维建模方法
CN112470092B (zh) 一种测绘系统、测绘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09945845A (zh) 一种私家园林空间数字化测绘和三维可视化方法
CN115937288A (zh) 一种变电站三维场景模型构建方法
McLeod et al. Using video acquired from a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to measure fracture orientation in an open-pit mine
Dong et al. 3D scanning, modeling, and printing of Chinese classical garden rockeries: Zhanyuan’s South Rockery
Brumana et al. Combined geometric and thermal analysis from UAV platforms for archaeological heritage documentation
CN108955645A (zh) 应用于通信铁塔智能巡检的三维建模方法及装置
Uysal et al. Photo realistic 3D modeling with UAV: Gedik ahmet pasha mosque in afyonkarahisar
CN110298103A (zh) 基于无人机机载三维激光扫描仪的高陡危岩体调查方法
CN108931235A (zh) 无人机倾斜摄影测量技术在规划竣工测量中的应用方法
KR102068325B1 (ko) 정밀한 항공촬영이미지를 이용한 영상도화 편집시스템
Gruen et al. UAV photogrammetry in remote areas–3D modeling of Drapham Dzong Bhutan
Bilis et al. The Use of 3d Scanning and Photogrammetry Techniques in the Case Study of the Roman Theatre of Nikopolis. Surveying, Virtual Reconstruction and Restoration Study.
Lin et al. From site survey to HBIM model for the documentation of historic buildings: The case study of Hexinwu village in China
Eisenbeiss et al. Photogrammetric recording of the archaeological site of Pinchango Alto (Palpa, Peru) using a mini helicopter (UAV)
Calantropio et al. Photogrammetric underwater and UAS surveys of archaeological sites: The case study of the roman shipwreck of Torre Santa Sabina
Sobura et al. Analysis of two-option integra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 and terrestrial laser scanning data for historical architecture inventory
Barba et al. Comparison of uavs performance for a roman amphitheatre survey: The case of avella (italy)
Caroti et al. UAV-Borne photogrammetry: a low cost 3D surveying methodology for cartographic update
Liu et al. PRESERVING THE HISTORY OF AFRICAN AMERICAN EDUCATION: DIGITAL DOCUMENTATION OF ROSENWALD SCHOOLS–A CASE STUDY ON THE TANKERSLEY SCHOOL IN HOPE HULL, ALABAMA, USA
Campana Drone-based imaging in archaeology: current applications and future prosp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4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5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5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