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2391B1 - Camera module - Google Patents
Camera modu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62391B1 KR101862391B1 KR1020110069332A KR20110069332A KR101862391B1 KR 101862391 B1 KR101862391 B1 KR 101862391B1 KR 1020110069332 A KR1020110069332 A KR 1020110069332A KR 20110069332 A KR20110069332 A KR 20110069332A KR 101862391 B1 KR101862391 B1 KR 1018623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 bobbin
- protrusion
- contact
- proj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4820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2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infrared radiation on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의 광 이미지를 입사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배럴과; 상기 렌즈 배럴과 결합하는 보빈과, 상기 보빈의 둘레면에 권취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렌즈 배럴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광 이미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상에 설치되어 상기 액추에이터와 상기 렌즈 배럴을 지지하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동작으로 상기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며, 상기 렌즈에서 출사된 광 이미지가 통과되는 윈도우(Window)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의 윈도우에 이중 계단 형상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중 계단 형상부와 적외선 필터 사이에 점착제가 개재되어 상기 적외선 필터가 상기 베이스에 접착되고, 상기 점착제는 상기 적외선 필터의 측면 모서리까지 도포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module.
That is, the camera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ns barrel including a plurality of lenses for entering an optical image of a subject; An actuator including a bobbin coupled with the lens barrel, and a coil wound around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below the lens barrel and provided with an image sensor for converting the optical image into an electrical signal; A bas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support the actuator and the lens barrel, the projection of the bobbin being in contact with the actuator, and a window through which the optical image emitted from the lens passes, Wherein a double stepped portion is formed in a window of the base, an adhesive is interposed between the double stepped portion and the infrared filter to adhere the infrared filter to the base, and the adhesive is adhered to the side edge of the infrared filter .
Description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module.
각종 휴대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다양화되고 있는바,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부가장치들이 휴대단말기에 장착되고 있다.As the spread of various portable terminals is widely popularized and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is commercialized, the demands of consumers related to portable terminals are diversified. Accordingly, various kinds of additional devices are installed in portable terminals.
그 중에서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그 이미지데이터를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이를 편집 및 전송할 수 있는 대표적인 것이 카메라 모듈이다.Among them, a camera module is a representative example in which a subject is photographed as a photograph or a moving image, and the image data thereof is stored and then edited and transmitted as necessary.
근래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카메라 폰, PDA, 스마트, 토이(toy)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분야, 나아가서는 감시 카메라나 비디오 테이크 레코더의 정보단말 등의 화상입력기기용으로 소형의 카메라 모듈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demand for a small camera module for various multimedia fields such as a notebook type personal computer, a camera phone, a PDA, a smart, and a toy, and furthermore for an image input device such as an information terminal of a surveillance camera or a video take recorder.
카메라 모듈에 적용되는 센서의 픽셀사이즈가 소형화되고 모듈의 높이가 낮아짐에 따라, 이물질의 유입에 대한 관리와 렌즈 광축의 틸트(tilt)나 시프트(Shift) 등의 카메라 모듈의 기구적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마운트 구조의 개발이 매우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As the pixel size of the sensor applied to the camera module is reduced and the height of the module is lowered, management of the foreign matter is controlled and the mechanical reliability of the camera module such as tilt or shift of the lens optical axis is secured The development of a mounting structure for a vehicle is becoming an important issue.
현재, 카메라 모듈의 신뢰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곳은 홀더인데, 홀더는 렌즈 배럴과 센서를 기구적으로 연결해주고 센서를 이물질과 기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At present, the most important influence on the reliability of the camera module is the holder, which mechanically connects the lens barrel to the sensor and protects the sensor from foreign substances and other impacts.
한편, 렌즈와 홀더를 체결하기 위해서 나사 결합 방식을 이용하는데, 나사 결합 시 나사산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이물질이 홀더 내부로 떨어져 이물질에 의한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fasten the lens and the holder, a screw coupling method is used. However, foreign matter generated due to the friction of the thread during screw connection falls into the holder, resulting in a defect caused by foreign matter.
본 발명은 이물질의 유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화상에 얼룩이 발생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trusion capable of reducing the flow of a foreign matter, thereby solving a problem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occurrence of unevenness in an image photographed by a camera module.
본 발명은,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피사체의 광 이미지를 입사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배럴과; A lens barrel including a plurality of lenses for entering an optical image of a subject;
상기 렌즈 배럴과 결합하는 보빈과, 상기 보빈의 둘레면에 권취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액추에이터와;An actuator including a bobbin coupled with the lens barrel, and a coil wound around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상기 렌즈 배럴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광 이미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과;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below the lens barrel and provided with an image sensor for converting the optical image into an electrical signal;
상기 인쇄회로기판상에 설치되어 상기 액추에이터와 상기 렌즈 배럴을 지지하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동작으로 상기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며, 상기 렌즈에서 출사된 광 이미지가 통과되는 윈도우(Window)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를 포함하며,A bas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support the actuator and the lens barrel, the projection of the bobbin being in contact with the actuator, and a window through which the optical image emitted from the lens passes, / RTI >
상기 베이스의 윈도우에 이중 계단 형상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중 계단 형상부와 적외선 필터 사이에 점착제가 개재되어 상기 적외선 필터가 상기 베이스에 접착되고, 상기 점착제는 상기 적외선 필터의 측면 모서리까지 도포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
Wherein a double stepped portion is formed in a window of the base, an adhesive is interposed between the double stepped portion and the infrared filter, the infrared filter is adhered to the base, and the adhesive is applied to the side edge of the infrared filter A camera module is provided.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이중 계단 형상부는 상기 이미지 센서와 대향되는 상기 베이스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uble stepped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base region facing the image sensor.
또, 상기 이중 계단 형상부는 상기 렌즈와 대향되는 상기 베이스 영역에 형성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ouble stepped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base region facing the lens.
또한, 상기 이중 계단 형상부는 제 1 계단 형상부와; 상기 제 1 계단 형상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 2 계단 형상부로 구성 될 수 있다.The double stepped portion may include a first stepped portion; And a second stepped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stepped portion.
그리고, 상기 이중 계단 형상부에 인접된 베이스에 돌출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Further, a protrusion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base adjacent to the double stepped portion.
또, 상기 돌출부와 상기 베이스가 형성하는 공간에 이물을 수집할 수 있는 점착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Further,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apable of collecting foreign matter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projecting portion and the base.
또한, 상기 윈도우 둘레에 돌출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Further, a protrusion may be further formed around the window.
그리고, 상기 돌출부 및 베이스 면에 점착제가 더 도포될 수 있다.Further, an adhesive may be further applied to the projecting portion and the base surface.
또, 상기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의 영역의 주위 영역에, 상기 돌기가 상기 베이스에 접촉되어 발생된 이물질을 가둘 수 있는 돌출부가 더 형성 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의 영역을 둘러막는(Surrounding)다.Further, a protrusion is formed in a peripheral region of the region of the base where the protrusion of the bobbin is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being capable of holding a foreign substance generated when the protrusio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ase, and the protrusion is contacted with the protrusion of the bobbin Surrounding the region of the base.
게다가, 상기 윈도우 둘레에 돌출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rotrusion may be further formed around the window.
그리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베이스가 형성하는 공간에 이물을 수집할 수 있는 점착제가 더 도포될 수 있다.Further,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apable of collecting foreign matter may be further applied to the space formed by the projecting portion and the base.
또, 상기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의 영역을 둘러막는 돌출부와 상기 상기 윈도우 둘레에 형성된 돌출부는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a protrusion that surrounds the region of the base where the protrusion of the bobbin comes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that is formed around the window may be connected.
더불어, 상기 액추에이터의 동작으로 상기 렌즈 배럴과 상기 보빈이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된 후 원 상태로 돌아오도록, 상기 케이스에 장착된 상부 탄성 부재 또는 상기 베이스에 장착된 하부 탄성 부재를 하나 또는 둘 다 포함하고, 상기 보빈의 돌기는 상기 상부 탄성 부재 또는 상기 하부 탄성 부재에 접촉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or both of the upper elastic member mounted on the case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mounted on the base may be included so that the lens barrel and the bobbin move alo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by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and then return to the circular state And the projection of the bobbin may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elastic member or the lower elastic member.
그리고, 상기 베이스 면의 외곽에는 카메라 모듈의 내측과 외측을 분리하는 장벽이 형성될 수 있다.A barrier for separa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amera module may b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base surface.
게다가, 상기 돌출부는 상기 장벽에 연결되어 상기 보빈의 돌기와 베이스의 접촉 영역을 감싸는 구조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may be structured to be connected to the barrier so as to enclose a contact area between the protrusion and the base of the bobbin.
또, 상기 돌출부는 상기 장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기 보빈의 돌기와 베이스의 접촉 영역을 감싸는 구조일 수 있다.The protrusion may be configured to surround a contact area between the protrusion of the bobbin and the base spaced from the barrier.
그리고, 상기 돌출부 내측의 베이스 면에 이물질을 수집할 수 있는 이물질 수집홈이 더 포함 될 수 있다.Further, a foreign matter collecting groove capable of collecting foreign matter may be further included on the base surface inside the protrusion.
그리고, 상기 이물질 수집홈 바닥면에 상기 보빈의 돌기가 접촉 될 수 있다.The projection of the bobbin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foreign matter collecting groove.
또한, 상기 이물질 수집홈은 상기 보빈의 돌기와 베이스의 접촉 영역 이외의 상기 돌출부 내측의 베이스 면에 형성 될 수 있다.The foreign matter collecting groove may be formed on a base surface inside the protrusion other than a contact area between the protrusion and the base of the bobbin.
게다가, 상기 이물질 수집홈은 V홈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oreign matter collecting groove may be a V-groove.
그리고, 상기 베이스 면에 제 1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홈 내측에 제 2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홈은 상기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며, 상기 제 1 홈과 상기 제 2 홈은 상기 돌출부 내측에 있다.A first groove is formed in the base surface, a second groove is formed in the first groove, a projection of the bobbin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groove, and the first groove and the second groove Is located inside the projection.
또한, 상기 점착제는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의 접촉 영역에서 상기 보빈의 돌기와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점촉영역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있다.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is spaced apart from the contact are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not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protrusion of the bobbin in the contact area of the base where the protrusion of the bobbin contacts.
더불어, 상기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의 접촉 영역은 상기 보빈의 돌기와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점착제와 소정간격 이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act area of the base, on which the protrusion of the bobbin is in contact,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o as not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protrusion of the bobbin.
또, 상기 돌출부 외측의 베이스 면에 점착제가 형성될 수 있다.Further,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y be formed on the base surface outside the projecting portion.
그리고, 상기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의 접촉 영역과 상기 점착제 사이에 상기 점착제가 상기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의 접촉 영역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단턱이 더 형성될 수 있다.Further, a step may be formed between the contact area of the base, to which the protrusion of the bobbin is in contact, and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o prevent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rom flowing into the contact area of the base where the protrusion of the bobbin comes into contact.
또한, 상기 베이스 전체 영역에는 상기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의 영역이 복 수개이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 영역 각각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Further, in the entire base region, there are a plurality of regions of the base where the projections of the bobbins contact, and the projections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base regions to which the projections of the bobbins are contacted.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베이스에 이중 계단 형상부를 형성하고, 이중 계단 형상부와 적외선 필터 사이에 접착제를 개재하여 적외선 필터를 베이스에 접착시킴으로써, 적외선 필터의 측면이 접착제에 접착되어, 적외선 필터의 측면에서 입자가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이미지 센서의 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double stepped portion is formed on the base and the infrared filter is adhered to the base with an adhesive interposed between the stepped portion and the infrared filter to adhere the side surface of the infrared filter to the adhesive, It is possible to prevent particles from falling off from the side surface and to reduce contamination of the image senso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는 베이스의 영역의 주위 영역에, 이물질의 유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화상에 얼룩이 발생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protrusion that can reduce the flow of foreign matter in the peripheral region of the region of the base where the bobbin protrusions are contacted, There is an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일부 단면도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일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다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일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는 베이스의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베이스에 형성된 돌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베이스 영역에 이물질 수집홈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이종물질로 이루어진 돌출부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베이스 영역에 다른 이물질 수집홈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베이스 영역에 이물질 수집을 위한 점착제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a portion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other structure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region of the base where the projection of the bobbin of the camera module is contac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protrusion formed on a base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foreign matter collecting groove is formed in a base region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trusion made of a different material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another foreign matter collecting groove is formed in the base region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collecting foreign matter is formed in a base region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은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erms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 of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a and 2b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a part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00)은 케이스(10), 렌즈 배럴(30), 액추에이터(40), 베이스(60), 적외선 필터(70), 이미지 센서(80) 및 인쇄회로기판(90)의 부품들을 포함한다.1, the
오토 포커싱(Auto Focusing)을 위해서 렌즈 배럴(30)을 광축 방향(O)을 따라 이동시키는 가동부인 상기 액추에이터(Actuator)(40)가 필요하며, 상기 액추에이터(40)는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를 적용할 수 있다.The
상기 액추에이터(40)는 보빈(41), 코일(42), 영구 자석(43), 요크(44)를 포함한다.The
그리고,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00)은 상기 적외선 필터(70)가 접착되는 베이스(60)에 이중 계단 형상부(67)를 형성하고, 상기 이중 계단 형상부(67)와 상기 적외선 필터(70) 사이에 접착제(200)를 개재시켜, 상기 적외선 필터(70)를 상기 베이스(60)에 접착시키는 것이다.The
그러므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00)의 동작시, 상기 적외선 필터(70)의 측면에서 발생하는 입자(Particle)로 상기 이미지 센서(80)의 오염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in operation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의 광 이미지를 입사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배럴(30)과; 상기 렌즈 배럴(30)과 결합하는 보빈(41)과, 상기 보빈(41)의 둘레면에 권취되는 코일(42)을 포함하는 액추에이터(40)와; 상기 렌즈 배럴(3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광 이미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80)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9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90) 상에 설치되어 상기 액추에이터(40)와 상기 렌즈 배럴(30)을 지지하고, 상기 액추에이터(40)의 동작으로 상기 렌즈에서 출사된 광 이미지가 통과되는 윈도우(Window)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60)와; 상기 렌즈 배럴(30)과 상기 이미지 센서(80)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베이스(60)에 접착되는 적외선 필터(70)를 포함하며, 상기 적외선 필터(70)가 접착되는 베이스(60)의 윈도우에 이중 계단 형상부(6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중 계단 형상부(67)와 상기 적외선 필터(70) 사이에 점착제(200)가 개재되어 상기 적외선 필터(70)가 상기 베이스(60)에 접착되고, 상기 점착제는 상기 적외선 필터의 측면 모서리까지 도포되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amera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여기서, 상기 이중 계단 형상부(67)는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는 영역의 반대측인 상기 이미지 센서(80)와 대향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double stepped
이와 반대로, 상기 이중 계단 형상부(67)는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는 영역의 같은측인 상기 이미지 센서(80)와 대향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Conversely, the double stepped
그리고, 상기 이중 계단 형상부(67)는 제 1 계단 형상부(67a)와, 상기 제 1 계단 형상부(67a)에 연결되어 있는 제 2 계단 형상부(67b)로 구성된다.The double stepped
또, 상기 적외선 필터(70)는 상기 제 1 계단 형상부(67a)의 바닥면에 접하여, 상기 적외선 필터(70)는 상기 제 1 계단 형상부(67a)의 측벽 및 상기 제 2 계단 형상부(67b)와 이격되어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공간에 접착제(200)가 채워져서, 상기 적외선 필터(70)는 상기 베이스(60)와 접착되는 것이다.The
이때, 상기 적외선 필터(70)의 측면은 상기 접착제(200)에 접착되어, 상기 적외선 필터(70)의 측면에서 입자가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side surface of the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00)은 오토 포커싱을 위하여 상기 보빈(41)이 광축 방향(O)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보빈(41)에 형성된 돌기가 상기 베이스(60)에 접촉된다.The
여기서, 상기 돌기는 상기 보빈(41)의 끝단에 돌출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Here, the protrusion may be defined as a region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이때, 상기 돌기가 상기 베이스(60)에 접촉되는 힘에 의해, 상기 돌기 및 상기 베이스(60)의 접촉 영역이 파손되어 입자들이 생성되고, 이 입자들은 카메라 모듈(100)의 이물질이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due to the force of the protrusion contacting the
이렇게 상기 돌기가 상기 베이스(60)에 접촉되어 발생되는 이물질은 카메라 모듈(100)의 내부에서 유동되어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화상에 얼룩을 발생시키는 오염원으로 작용하게 된다.The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by the projection in contact with the base 60 flows inside the
그러므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00)은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60)의 영역(61)의 주위 영역에 제3돌출부(62)를 형성할 수도 있다.Therefore, the
상기 제3돌출부(62)는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60)의 영역(61)을 둘러싸게 되어, 상기 돌기가 상기 베이스(60)에 접촉되어 발생되는 이물질은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60)의 영역(61)에 갇히게 된다.The
참고로, 상기 베이스(60) 면의 외곽에는 카메라 모듈의 내측과 외측을 분리하는 장벽(63)이 형성되어 있어, 도 1의 구조에서 상기 제3돌출부(62)와 상기 장벽(63) 사이의 공간에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고, 상기 돌기가 상기 베이스(60)에 접촉되어 발생되는 이물질은 그 공간에 갇히게 되는 것이다.A
더 세부적으로, 상기 제3돌출부(62)는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60)의 영역(61)을 둘러막는(Surrounding)다.More specifically, the
그러므로, 상기 제3돌출부(62)는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60)의 영역(61)에 해당되는 공간을 상기 베이스(60)의 다른 영역과 같은 외부 공간으로부터 격리시킨다.The
따라서, 상기 돌기가 상기 베이스(60)에 접촉되어 발생되는 이물질은 베리어(Barrier)와 같은 상기 제3돌출부(62)에 의해,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60)의 영역(61)에만 갇히게 되고, 상기 베이스(60)의 다른 영역과 같은 외부 공간으로 유동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IR필터로 이동을 막는다.Accordingly, the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by the protrusions contacting the base 6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the
그리고,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상기 베이스(60)의 전체 영역에는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60)의 영역(61)이 복 수개일 수 있고,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60)의 영역(61) 각각에 대응되어 돌출부(62)이 형성되어 있다.In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ire region of the base 60 may have a plurality of
그러므로,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60)의 영역(61) 각각에 형성된 제3돌출부(62)는 상호 이격되어 있을 수도 있고,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Therefore, the
결국,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에 적용된 제3돌출부(62)는 상기 돌기가 상기 베이스(60)에 접촉되어 발생되는 이물질이 외부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 주요 특징인 것이다.As a result,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00)은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60)의 영역(61)의 주위 영역에, 이물질의 유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제3돌출부(62)를 형성하여, 카메라 모듈(100)에서 촬영된 화상에 얼룩이 발생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결국,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00)은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60)의 영역의 주위 영역에, 상기 돌기가 상기 베이스(60)에 접촉되어 발생된 이물질을 가둘 수 있는 제3돌출부(62)가 형성된 것이다.As a result, the
한편, 상기 보빈(41)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내주면에 상기 렌즈 배럴(30)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렌즈 배럴(30)이 상기 보빈(41)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된다. On the other hand, the
상기 보빈(41)의 둘레면에는 상기 영구 자석(43)과 상호 작용하는 상기 코일(42)이 자속과 수직인 방향으로 권취되어 있다.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에는 상기 코일(42)과 상기 영구 자석(43) 사이의 자기장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요크(44)가 삽입되며, 상기 영구 자석(43)은 상기 보빈(41)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요크(44) 내측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요크(44)는 상기 베이스(60)에 의해 지지된다.The
상기 코일(42)에 전압이 인가되면 코일에 흐르는 전류와 상기 영구 자석(43)의 자기장이 상호 작용(플레밍의 왼손법칙)하여, 상기 보빈(41)은 광축 방향의 상측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때, 상기 코일(42)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가 클수록 상기 렌즈 배럴(30)과 상기 보빈(41)이 광축 방향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는 거리가 늘어난다.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00)은 렌즈 배럴(30)과 보빈(41)이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된 후, 원 상태로 돌아오도록,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완충 부재(20)가 케이스(10)에 장착되고, 도 2b와 같이, 하부 완충 부재(50)가 베이스(60)에 장착될 수 있다.2A, the
그리고, 상기 보빈(41)의 돌기는 상기 상부 완충 부재(20) 또는 상기 하부 완충 부재(50)에 접촉된다.The protrusion of the
여기서, 상기 상부 완충 부재(20)와 상기 케이스(10) 사이에 추가의 부품이 개재될 수 있다.Here, additional parts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그러므로, 상기 코일(42)에 인가되던 전압이 차단되면, 상기 상부 탄성 부재(80) 및 상기 하부 탄성 부재(8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렌즈 배럴(30)과 상기 보빈(41)은 광축 방향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여 원 상태로 돌아오게 된다.Therefore, when the voltage applied to the
상기 케이스(10)는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를 가지며, 상부 중심부에는 광투과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하부는 상기 베이스(60)에 의해 지지된다. The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베이스(60)과 결합하여 공간을 형성하며, 공간에는 상기 상부 탄성 부재,(80) 상기 렌즈 배럴(30), 상기 액추에이터(40), 상기 IR 필터(70)가 포함된다. The
상기 케이스(10)는 그 내부와 외부의 절연을 위해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량생산을 위하여 사출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상기 상부 탄성 부재(80)는 판 스프링으로서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 삽입되며, 외측부는 상기 액추에이터(40)의 상기 요크(44)에 의해 지지되며 내측부는 상기 액추에이터(40)의 상기 보빈(41)과 맞닿아 상기 보빈(41)의 상측을 가압한다.The upper
상기 하부 탄성 부재(81)는 판 스프링으로서 상기 액추에이터(4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보빈(41)의 하측을 가압한다.The lower
상기 하부 완충 부재(50)는 상기 보빈(41)에서 인서트 사출될 수도 있고, 본드로 접착될 수도 있다. The
상기 렌즈 배럴(30)은 복수의 렌즈를 고정, 보호하는 수단으로, 렌즈 배럴(30)의 내측에는 피사체의 광 이미지를 입사할 수 있는 복수의 렌즈가 광축 방향(O)을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The
상기 인쇄회로기판(90)에는 광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80)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60)은 상기 이미지 센서(80)로 광 이미지를 통과시킬 수 있는 중앙 개구부를 구비한 ㅁ자 형상으로, 상기 베이스(60)은 상기 렌즈 배럴(30)의 하부에 위치되며, 적외선을 필터링하는 상기 적외선 필터(70)가 장착된다.An
상기 이미지 센서(80)는 상기 렌즈 배럴(30)의 하부 및 인쇄회로기판(90)의 상부에 위치하여, 복수의 렌즈를 통해 입사된 광 이미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The
상기 인쇄회로기판(90)은 평탄도가 좋은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이며, FPCB 중 외부로 연장된 부분에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되어 있다.The printed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빈(41)은 상기 상부 탄성 부재(80)와 상기 하부 탄성 부재(81)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되는 카메라 모듈은 도 1에 도시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구조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shown in FIG. 1, and may include camera modules having various structures.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카메라 모듈은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60)의 윈도우 둘레에는 돌출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In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trusions may be further formed around the window of the base 60 to which the protrusions of the
즉,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60) 면에 형성되고, 상기 윈도우의 전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으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60)와 윈도우의 경계를 형성한다.That is, the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60 to which the protrusions of the
그러므로, 상기 베이스(60)의 윈도우 둘레에 형성된 돌출부는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어 발생되는 이물 및 기타의 이물들이 윈도우 영역으로 침투되는 것을 최종적으로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refore, the protrusion formed around the window of the base 60 functions to prevent foreign matter and other foreign matter generated by the projection of the
그리고, 상기 베이스(60)의 윈도우 둘레에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60) 면에 점착제가 더 도포될 수 있다.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may be further applied to the protrusion formed around the window of the
또,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60)의 영역을 둘러막는 돌출부와 상기 윈도우 둘레에 형성된 돌출부는 연결될 수 있다.
A protrusion that surrounds the area of the base 60 where the protrusion of the
도 3은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일부 단면도이고,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일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다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일부 단면도이다.FIG. 3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camera module structure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A and 4B are schematic partial 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a camera mod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other structure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구조는 적외선 필터(70)의 측면 모서리 영역까지 점착제(Adhesive)(200)가 도포되어 있지 않아, 카메라 모듈의 동작시, 상기 점착제(200)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상기 적외선 필터(70)의 측면 에서 발생하는 입자로 이미지 센서(80)의 오염이 발생한다.The camera modu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adhesive 200 is not applied to the side edge area of the
이러한 비교예의 카메라 모듈 구조와는 다르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구조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외선 필터(70)가 접착되는 베이스(60)에 이중 계단 형상부(67)가 형성되어 있다.Unlike the camera module structure of this comparative example, the camera modu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ouble stepped portion 67 (see FIG. 4A) in a base 60 to which the
그리고, 상기 적외선 필터(70)와 상기 이중 계단 형상부(67) 사이에는 공간(68)이 형성되고, 도 4b와 같이, 상기 공간(68)에 점착제(200)가 채워져서, 상기 적외선 필터(70)는 상기 베이스(60)와 접착되어, 상기 점착제(200)는 상기 적외선 필터(70)의 측면 모서리까지 도포됨으로써,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적외선 필터(70)의 측면에서 입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
여기서, 상기 점착제(200)는 에폭시(Epoxy)로 적용하는 것이 좋다.Here, the adhesive 200 is preferably applied as an epoxy.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중 계단 형상부(67)에 인접된 베이스(60)에는 제2돌출부(69)를 형성하여, 상기 제2돌출부(69)와 상기 베이스(60)가 형성하는 공간(65)에 이물(2)을 수집할 수 있는 접착수단(210)을 장착할 수 있다.5, a
그리고, 상기 이중 계단 형상부(67)는 이미지 센서와 대향되는 상기 베이스 (60)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렌즈와 대향되는 상기 베이스(60)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므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The double stepped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는 베이스의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베이스에 형성된 돌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FIG. 6 is a schematic plan view for explaining a region of a base where a projection of a bobbin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ontact; FIGS. 7A and 7B are views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protrusion formed on a substrate; Fig.
전술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의 보빈에 형성된 돌기는 오토 포커싱시, 베이스에 접촉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otrusions formed on the bobbin of the camera module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ase upon autofocusing.
즉, 도 6을 참조하면, 보빈의 돌기는 베이스 면(61)의 소정 영역(101,102,103,104)에 접촉되는데, 상기 돌기가 접촉되는 영역(101,102,103,104)은 카메라 렌즈가 존재하는 영역(110)의 외주연을 따라 배치된다.6, the protrusions of the bobbin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여기서, 상기 돌기가 접촉되는 영역(101,102,103,104)은 도 3에 도시된 4개의 영역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Here, the
그리고, 상기 베이스 면(61)의 외곽에는 카메라 모듈의 내측과 외측을 분리하는 장벽(63)이 형성되어 있다. A
이때, 도 7a와 같이, 베이스에 형성된 제1돌출부 '62A'는 상기 장벽(63)의 두 영역에 각각 연결되어 보빈의 돌기와 베이스의 접촉 영역(105)을 감싸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7A, the first protrusions '62A' formed on the base may be connected to the two regions of the
즉, 상기 제1돌출부 '62A'는 상기 장벽(63)의 일영역에 연결되어 보빈의 돌기와 베이스의 접촉 영역(105)을 감싸면서, 상기 장벽(63)의 다른 영역에 연결되는 구조이다.That is, the first protrusion '62A' is connected to one region of the
그리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에 형성된 제1돌출부 '62B'는 상기 장벽(63)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기 보빈의 돌기와 베이스의 접촉 영역(105)을 감싸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B, the first protrusion '62B' formed on the base may be configured to surround the
상기 보빈의 돌기와 베이스의 접촉 영역(105)이 존재하는 도 7a와 도 7b의 제1돌출부(62A,62B) 내측의 베이스 면(61a)은 상기 제1돌출부(62A,62B) 외측의 베이스 면(61)과 격리되어, 상기 돌기가 상기 베이스 면(61a)에 접촉되어 발생되는 이물질은 상기 제1돌출부(62A,62B) 내측에 갇히게 되어 상기 제1돌출부(62A,62B) 외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베이스 영역에 이물질 수집홈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이종물질로 이루어진 돌출부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베이스 영역에 다른 이물질 수집홈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베이스 영역에 이물질 수집을 위한 점착제(Adhesive)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FIG. 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oreign matter collecting groove is formed in a base region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other foreign matter collecting groove is formed in a base region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dhesive for collecting foreign matters is formed in a base region of the substrat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도 8과 같이, 보빈(41)의 돌기와 베이스의 접촉 영역을 감싸는 제3돌출부(62) 내측의 베이스 면(61a)에 이물질을 수집할 수 있는 이물질 수집홈(61b)이 더 구비될 수 있다.8,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그리고, 상기 이물질 수집홈(61b) 바닥면에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The protrusion of the
또, 도 5를 참조하면, 베이스 면에 제 1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홈 내측에 제 2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홈은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홈은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는 베이스 면의 영역에 형성되는 것으로, 전체적인 베이스 면 중 국부적인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다.5, a first groove is formed in the base surface, a second groove is formed in the first groove, and the second groove is designed to contact the projection of the
그리고, 상기 제 2 홈은 상기 돌출부 내측의 베이스 면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에 형성할 수 있고, 상술된 바와 같이, 국부적으로 형성된 제 2 홈의 주위에 제 1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The second groove may be formed in the entire area or a partial area of the base surface inside the projection, and a first groove may be formed around the locally formed second groove, as described above.
도 5에서는 이물질 수집홈(61b)이 제 2 홈으로 정의될 수 있다.
In Fig. 5, the foreign
또, 상기 제3돌출부(62)는 베이스(60)와 동종 물질로 구현하거나,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60)와 이종 물질로 이루어진 제3돌출부 '62C'를 형성할 수도 있다. The
또한, 상기 보빈(41)의 돌기와 베이스의 접촉 영역 이외의 상기 제3돌출부(62) 내측의 베이스 면(61a)에는 이물질(180)을 수집할 수 있는 홈이 더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홈은 도 10과 같이, V홈(61c)인 것이 좋다.A groove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그러므로, 상기 이물질(180)은 상기 V홈(61c)이 있는 방향(A)으로 흘러들어가 수집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더불어, 도 11과 같이, 상기 보빈(41)의 돌기와 베이스의 접촉 영역 이외의 상기 제3돌출부(62) 내측의 베이스 면(61a)에는 상기 이물질(180)을 접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점착제(Adhesive)(65)가 형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1, the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3돌출부(62) 외측의 베이스 면(61)에도 상기 점착제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mera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may be formed on the
여기서, 상기 점착제(65)는 끈적 끈적한 접착력을 유지하는 점착 물질을 포함한다.Here, the adhesive 65 includes an adhesive material that maintains a sticky adhesive force.
예컨대, 상기 점착제(65)는 양면이 접착성을 갖는 접착테이프를 적용할 수 있고, 그 접착테이프 하부면이 상기 제3돌출부(62) 내측의 베이스 면(61a)에 접착되고, 상부면은 노출되어 이물질(180)을 접착시키게 된다.For example, the adhesive 65 may be an adhesive tape having adhesive properties on both sides,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adhesive tape is adhered to the
또, 상기 점착제(65))는 상기 돌출부(62) 내측의 베이스 면(61a)에 도포된 접착 물질로 적용할 수도 있다.The adhesive 65 may be applied to the
그리고, 상기 점착제(65)는 상기 보빈(41)의 돌기와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이로써,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의 접촉 영역은 소정간격(d) 만큼 이격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adhesive 65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protrusion of the
또한,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의 접촉 영역과 상기 점착제(65) 사이에는 상기 점착제(65)가 상기 보빈(41)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의 접촉 영역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단턱이 더 형성될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adhesive 65 from flowing between the contact area of the base where the protrusion of the
본 발명은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25)
상기 렌즈 배럴과 결합하는 보빈과, 상기 보빈의 둘레면에 권취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액추에이터;
상기 액추에이터의 하측에 배치되고, 윈도우(window)가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하측에 배치되는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적외선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의 상기 윈도우에 이중 계단 형상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중 계단 형상부와 상기 적외선 필터 사이에 점착제가 개재되어 상기 적외선 필터가 상기 베이스에 접착되고, 상기 점착제는 상기 적외선 필터의 측면 모서리까지 도포되고,
상기 보빈에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과 접촉 가능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의 접촉 영역의 주위 영역에는 상방으로 제1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보빈의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의 영역을 둘러막는(Surrounding) 카메라 모듈.
A lens barrel including a plurality of lenses;
An actuator including a bobbin coupled to the lens barrel, and a coil wound around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A base disposed below the actuator and having a window formed therein;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below the base; And
And an infrared filter disposed in the base,
Wherein a double stepped portion is formed in the window of the base, an adhesive is interposed between the double stepped portion and the infrared filter to adhere the infrared filter to the base, and the adhesive is applied to the side edge of the infrared filter And,
The bobbin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capable of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 first protrusion is formed upwardly in a peripheral region of the contact region of the base with which the protrusion is brought into contact, and the protrusion of the bobbin is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A camera module (Surrounding) surrounding the area of the base.
상기 이중 계단 형상부는,
상기 이미지 센서와 대향되는 상기 베이스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ouble stepped portion comprises:
Wherein the camera module is formed in the base region facing the image sensor.
상기 이중 계단 형상부는,
제 1 계단 형상부와;
상기 제 1 계단 형상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 2 계단 형상부로 구성된 카메라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ouble stepped portion comprises:
A first stepped portion;
And a second stepped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stepped portion.
상기 이중 계단 형상부에 인접된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2돌출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cond project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adjacent to the double stepped portion.
상기 제2돌출부와 상기 베이스가 형성하는 공간에 이물을 수집할 수 있는 점착제가 더 형성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The method of claim 4,
And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apable of collecting foreign matter is formed in a space formed by the second projection and the base.
상기 윈도우의 둘레에 제3돌출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third protrusion is further formed around the window.
상기 제3돌출부와 상기 베이스가 형성하는 공간에 이물을 수집할 수 있는 점착제가 더 도포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The method of claim 9,
And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apable of collecting foreign matter is further applied to a space formed by the third projection and the base.
상기 제1돌출부와 제3돌출부는 연결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third protrus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액추에이터의 동작으로 상기 렌즈 배럴과 상기 보빈이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된 후 원 상태로 돌아오도록, 상기 케이스에 장착된 상부 탄성 부재 또는 상기 베이스에 장착된 하부 탄성 부재를 하나 또는 둘 다 포함하고,
상기 보빈의 상기 돌기는 상기 상부 탄성 부재 또는 상기 하부 탄성 부재에 접촉되는 카메라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e or both of a top elastic member mounted on the case and a bottom elastic member mounted on the base so that the lens barrel and the bobbin move alo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by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and then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And the protrusion of the bobbin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elastic member or the lower elastic member.
상기 베이스 면의 외곽에는 카메라 모듈의 내측과 외측을 분리하는 장벽이 형성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barrier for separa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amera module is formed on an outer side of the base surface.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장벽에 연결되어 상기 보빈의 상기 돌기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접촉 영역을 감싸는 구조인 카메라 모듈.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And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barrier to surround the projection of the bobbin and the contact area of the base.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장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기 보빈의 상기 돌기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접촉 영역을 감싸는 구조인 카메라 모듈.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And a structure that surrounds the projection of the bobbin and the contact area of the base spaced from the barrier.
상기 제1돌출부의 내측의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이물질을 수집할 수 있는 이물질 수집홈이 더 포함되는 카메라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oreign matter collecting groove capable of collecting foreign matt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inside the first projection.
상기 이물질 수집홈의 바닥면에 상기 보빈의 상기 돌기가 접촉되는 카메라 모듈.
18. The method of claim 16,
And the projection of the bobbin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foreign matter collecting groove.
상기 이물질 수집홈은,
상기 보빈의 상기 돌기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접촉 영역 이외의 상기 돌출부의 내측의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형성된 카메라 모듈.
18. The method of claim 16,
The foreign matter collecting groove
Wherein the projections of the bobbin and the base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inside the projections other than the contact area of the base.
상기 이물질 수집홈은,
V홈인 카메라 모듈.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foreign matter collecting groove
V-home camera module.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제 1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홈 내측에 제 2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홈은 상기 보빈의 상기 돌기가 접촉되며, 상기 제 1 홈과 상기 제 2 홈은 상기 제1돌출부 내측에 있는 카메라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irst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 second groove is formed in the first groove, the second groove is in contact with the projection of the bobbin, and the first groove and the second groove Is located inside the first projection.
상기 보빈의 상기 돌기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접촉 영역 이외의 상기 제1돌출부 내측의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상기 이물질을 접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점착제가 형성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apable of bonding and fixing the foreign matte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other than the contact region of the bobbin and the base.
상기 점착제는 상기 보빈의 상기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의 접촉 영역에서 상기 보빈의 상기 돌기와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접촉 영역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23.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adhesive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ntact area so that the adhesive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projection of the bobbin in the contact area of the base with which the projection of the bobbin contacts.
상기 제1돌출부의 외측의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점착제가 형성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adhesive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outside the first projection.
상기 보빈의 상기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접촉 영역과 상기 점착제 사이에,
상기 점착제가 상기 보빈의 상기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접촉 영역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단턱이 더 형성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23. The method of claim 21,
Between the contact area of the base to which the projection of the bobbin is in contact and the adhesive,
And the adhesive is prevented from flowing to the contact area of the base where the projection of the bobbin comes into contact.
상기 베이스의 전체 영역에는 상기 보빈의 상기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의 영역이 복 수개이고,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보빈의 상기 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의 영역 각각에 대응되어 형성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has a plurality of regions in which the protrusions of the bobbins contact,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And the protrusion of the bobbin is form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f regions of the base to which the bobbin is contac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9332A KR101862391B1 (en) | 2011-07-13 | 2011-07-13 | Camera modu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9332A KR101862391B1 (en) | 2011-07-13 | 2011-07-13 | Camera modu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8770A KR20130008770A (en) | 2013-01-23 |
KR101862391B1 true KR101862391B1 (en) | 2018-05-29 |
Family
ID=47838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69332A Active KR101862391B1 (en) | 2011-07-13 | 2011-07-13 | Camera modu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6239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542277A1 (en) * | 2023-10-19 | 2025-04-23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Lens assembly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785044B1 (en) | 2013-03-26 | 2017-10-18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Camera module |
KR20140140260A (en) * | 2013-05-29 | 2014-12-09 | 삼성전기주식회사 | Camera module |
US9726851B2 (en) * | 2014-04-15 | 2017-08-08 | Bolymedia Holdings Co. Ltd. | Voice coil motor and focusing lens |
JP6666538B2 (en) * | 2014-05-14 | 2020-03-18 | ミツミ電機株式会社 |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mobile terminal with camera |
KR102252478B1 (en) * | 2014-08-06 | 2021-05-14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Camera module |
KR102448444B1 (en) * | 2014-12-29 | 2022-09-27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
KR102486423B1 (en) * | 2016-01-15 | 2023-01-09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Camera module |
KR101993898B1 (en) * | 2017-05-29 | 2019-06-27 | (주)파트론 | Camera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
CN114815447A (en) * | 2021-01-19 | 2022-07-29 | 晋城三赢精密电子有限公司 | Lens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3083B1 (en) * | 2006-06-13 | 2007-07-27 | 주식회사 엠씨넥스 | Camera module |
KR100919117B1 (en) * | 2008-10-08 | 2009-09-25 | (주)차바이오앤디오스텍 | Auto Focus Lens Assembly for Mobile Devices |
-
2011
- 2011-07-13 KR KR1020110069332A patent/KR10186239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3083B1 (en) * | 2006-06-13 | 2007-07-27 | 주식회사 엠씨넥스 | Camera module |
KR100919117B1 (en) * | 2008-10-08 | 2009-09-25 | (주)차바이오앤디오스텍 | Auto Focus Lens Assembly for Mobile Device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542277A1 (en) * | 2023-10-19 | 2025-04-23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Lens assembl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8770A (en) | 2013-01-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62391B1 (en) | Camera module | |
KR101281299B1 (en) | Camera module | |
US12164173B2 (en) | Camera module with foreign objects inhibiting structure | |
KR101753444B1 (en) | Camera module | |
CN109477999B (en) |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1779498B1 (en) | Camera module | |
US9661196B2 (en) | Camera module | |
KR102089445B1 (en) | Camera Module | |
US9063389B2 (en) | Camera module | |
KR101626131B1 (en) | Camera module | |
JP5595786B2 (en) |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1743054B1 (en) | Camera module | |
US9154670B1 (en) | Image capturing module having a built-in topmost dustproof structure | |
KR20120123883A (en) | Camera module | |
KR101236051B1 (en) | Camera module | |
KR101004958B1 (en) | Camera module | |
KR20100104269A (en) | Camera module | |
KR101117181B1 (en) | Camera Module | |
KR20120032351A (en) | Camera module | |
KR101663664B1 (en) | Camera module | |
KR20100023118A (en) | Camera module | |
KR20140076406A (en) | Camera Modu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1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7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7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0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5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5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