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1270B1 - 빔포밍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빔포밍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61270B1 KR101861270B1 KR1020170044117A KR20170044117A KR101861270B1 KR 101861270 B1 KR101861270 B1 KR 101861270B1 KR 1020170044117 A KR1020170044117 A KR 1020170044117A KR 20170044117 A KR20170044117 A KR 20170044117A KR 101861270 B1 KR101861270 B1 KR 1018612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etwork
- beamforming
- environment
- base station
- antenn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0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1000760358 Enod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0287 pola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44 ada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62 f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34 fra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8—Network planning too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빔포밍 제어 방법은 빔포밍 기술을 지원하는 제2 네트워크의 기지국이, 단말이 생성한 신호 수신 레벨 정보를 수집하여 네트워크 구축 환경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가 협력 네트워크 환경인 것으로 판단되면, 서비스 영역 내의 용량이 증대되도록 모든 안테나 어레이의 위상을 조절하여 얇은 빔(sharp beam)을 송출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빔포밍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빔포밍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빔포밍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기지국의 주요 구성을 논리적 관점에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주요 구성을 하드웨어 관점에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안테나부 위상 조절기가 빔을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기지국에서의 빔포밍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Case1 | 4G 90% 이상, 5G 50% 이하 | 4G에서 5G 조건 성립 |
Case2 | 4G 50% 이하, 5G 90% 이상 | 4G 조건 성립 |
Case3 | 4G 90% 이하, 5G 90% 이하 | 4G, 5G 유지 |
Case1 | 4G -90dBm, 5G -90dBm | 협력(4G에서 5G 리다이렉션) |
Case2 | 4G -90dBm, 5G -110dBm | 독립(4G에서 5G 핸드오버) |
Case3 | 4G -100dBm, 5G -90dBm | 독립(5G 유지) |
400: 기지국 410: 디지털 신호처리부
411: 변복조모듈 412: MIMO 처리모듈
420: 안테나부 421: 위상 조절기
500: 단말
Claims (8)
- 빔포밍 기술을 지원하지 않는 제1 네트워크와 빔포밍 기술을 지원하는 제2 네트워크가 혼재된 환경에서의 빔포밍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빔포밍 기술을 지원하는 제2 네트워크의 기지국이,
단말이 생성한 신호 수신 레벨 정보를 수집하여 네트워크 구축 환경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가 협력 네트워크 환경인 것으로 판단되면, 서비스 영역 내의 용량이 증대되도록 모든 안테나 어레이의 위상을 조절하여 얇은 빔(sharp beam)을 송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포밍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 이전에,
네트워크 구축 환경 판단을 위한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한 신호 수신 레벨 정보를 상기 조건과 비교하여 네트워크 구축 상태가 독립 네트워크 환경인지 협력 네트워크 환경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포밍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가 독립 네트워크 환경인 것으로 판단되면, 진폭을 제어할 안테나 어레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안테나 어레이의 진폭을 제어하여 해당 빔의 송신 방사 전력의 크기를 증가시켜 서비스 영역이 확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포밍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구축 환경을 판단하는 단계는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복수 개의 단말로부터 신호 수신 레벨 정보를 수집하거나, 이웃 셀인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부터 신호 수신 레벨 정보를 수집하여 네트워크 구축 환경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포밍 제어 방법.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빔포밍 기술을 지원하지 않는 제1 네트워크와 빔포밍 기술을 지원하는 제2 네트워크가 혼재된 환경에서, 상기 빔포밍 기술을 지원하는 제2 네트워크의 기지국이,
독립적인 빔을 각각 생성하고 위상 또는 진폭을 변화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위상 조절기를 포함하는 안테나부; 및
상기 안테나부를 제어하며, 상기 안테나부를 통해 수집된 단말의 신호 수신 레벨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구축 환경을 판단하여, 판단 결과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가 협력 네트워크 환경인 것으로 판단되면, 서비스 영역 내의 용량 증대를 위해 상기 안테나부의 위상 조절기가 모든 안테나 어레이의 위상을 제어하여 얇은 빔(sharp beam)을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신호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는
네트워크 구축 환경 판단을 위한 조건을 설정하며, 상기 수집한 신호 수신 레벨 정보를 상기 조건과 비교하여 네트워크 구축 상태가 독립 네트워크 환경인지 협력 네트워크 환경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는
상기 판단 결과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가 독립 네트워크 환경인 것으로 판단되면, 진폭을 제어할 안테나 어레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안테나 어레이의 진폭을 제어하여 해당 빔의 송신 방사 전력의 크기를 증가시켜 서비스 영역이 확장되도록 상기 안테나부의 위상 조절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4117A KR101861270B1 (ko) | 2017-04-05 | 2017-04-05 | 빔포밍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4117A KR101861270B1 (ko) | 2017-04-05 | 2017-04-05 | 빔포밍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61270B1 true KR101861270B1 (ko) | 2018-05-25 |
Family
ID=62299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44117A Active KR101861270B1 (ko) | 2017-04-05 | 2017-04-05 | 빔포밍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6127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993191B2 (en) | 2018-12-20 | 2021-04-2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having array antenna and power backoff method for antenna array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90323530A1 (en) | 2008-06-26 | 2009-12-31 | Reverb Networks | Dynamic load balancing |
WO2015043618A1 (en) | 2013-09-24 | 2015-04-02 |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 Exchange of information on load distribution in neighbor cells |
US20160365900A1 (en) | 2015-06-15 | 2016-12-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beamforming by using antenna arra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2017
- 2017-04-05 KR KR1020170044117A patent/KR101861270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90323530A1 (en) | 2008-06-26 | 2009-12-31 | Reverb Networks | Dynamic load balancing |
WO2015043618A1 (en) | 2013-09-24 | 2015-04-02 |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 Exchange of information on load distribution in neighbor cells |
US20160365900A1 (en) | 2015-06-15 | 2016-12-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beamforming by using antenna arra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993191B2 (en) | 2018-12-20 | 2021-04-2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having array antenna and power backoff method for antenna arra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004092B2 (en) | Power control techniques for a communication system that includes a repeater | |
US11632689B2 (en) | Beam reporting in a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 or a beam failure recovery procedure | |
US9136885B2 (en) | Antennae system | |
JP6042323B2 (ja) | ミリ波通信システムで空間分割二重化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 |
US9137698B2 (en) | Beam management for wireless communication | |
US10264478B2 (en) | Methods and apparatus to enhance reliability in millimeter wave wideband communications | |
US8718542B2 (en) | Co-location of a pico eNB and macro up-link repeater | |
US11595913B2 (en) | Power control techniques for a communication system that includes a repeater | |
US8560018B2 (en) | Flexible sectoriz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 |
US20140073337A1 (en) |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millimeter-wave frequency band | |
KR20150015447A (ko) | 다수의 안테나들을 가지는 무선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 빔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
KR102505063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패턴을 복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
US11736182B2 (en) | Operating devi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20140035255A (ko) | 밀리미터파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 및 밀리미터파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통신 방법 | |
WO2020162999A1 (en) | Determining sub-dominant clusters in a millimeter wave channel | |
KR101861270B1 (ko) | 빔포밍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Kemmochi et al. | Throughput performance of multiband HetNets using sectorized picocells with 3D beamforming at 28 GHz band | |
US20120163270A1 (en)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providing diversity gains for multicast services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cast services using the system | |
US20240314685A1 (en) | Reducing beamforming power consum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wc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5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5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