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60790B1 - 휴대형 복합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형 복합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0790B1
KR101860790B1 KR1020160181808A KR20160181808A KR101860790B1 KR 101860790 B1 KR101860790 B1 KR 101860790B1 KR 1020160181808 A KR1020160181808 A KR 1020160181808A KR 20160181808 A KR20160181808 A KR 20160181808A KR 101860790 B1 KR101860790 B1 KR 101860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over
lift
marking portion
ac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1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감
Original Assignee
이경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감 filed Critical 이경감
Priority to KR1020160181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7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2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oncoming vehic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상에 설치하여 주행중인 차량에게 경보를 알림으로써 추가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휴대형 복합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육면체 박스 형태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면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직상부로 들려질 수 있도록 리프트에 의해 연결되며, 사고 또는 공사 여부를 안내할 수 있는 표지를 부착하고 있는 표지부; 상기 표지부에 설치되는 경광등;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는 스피커; 측면으로부터 불어오는 바람에 의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자립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형 복합 경보장치{Portable Alarm Apparatus Having Complex Alarming Means}
본 발명은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로상에 설치하여 주행중인 후속차량에게 경보를 알림으로써 추가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휴대형 복합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속도로나 일반도로에서 차량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그 사고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2차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2차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고처리반 또는 사고당사자는 후속차량에게 경보를 할 필요가 있다.
종래 차량사고를 후속차량에게 경보해주기 위한 기본적 수단으로 안전삼각대가 있다. 그러나 지면에 펼쳐놓는 안전삼각대는 높이가 낮아 시인성이 떨어지므로 후속차량이 미리 발견하고 조치를 취하기에는 역부족이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자 다양한 개선책이 제안되었다. 그중 하나는 단순히 반사광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고 광도가 높은 램프를 사용하여 빛을 발하도록 하는 방식이 있다(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2-0036117호 참조).
그리고 다른 하나는 설치높이를 높임으로써 시인성을 높이기 위한 방식이다(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0-0107504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4-0074857호 참조).
그러나 이들 종래기술은 대부분 시인성만을 강조한 것으로서 원하는 목적을 완벽하게 수행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단편적인 경보수단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시인성과 관련하여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기도 하다. 시인성이 좋지 않은 경우에는 안전삼각대를 사고지점으로부터 더 멀리 설치해두어야 한다. 고속운행 중 급정지시의 제동구간을 고려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경우 안전삼각대를 설치하고 거두어들이기 위하여 많은 시간을 소비하여야 하므로 응급조치의 골든타임을 놓칠 수도 있어 개선의 필요성이 크다.
그리고 종래 구급차 또는 견인차는 차량 전방을 향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구성을 가진다. 그러나 차량사고시 조치하는 동안에 정작 경보음을 발생시켜야 할 곳은 전방이 아니라 후방이다. 후속차량에 경보를 주어 사전에 감속 또는 차선변경을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2-0036117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0-0107504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4-0074857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상의 차량사고 발생시 사고조치를 하는 동안 후속차량에 완벽한 경보를 줌으로써 연쇄추돌 내지 2차사고를 철저히 방지하기 위한 복합 경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경보를 인지할 수 있는 구간을 늘림으로써 사고지점으로부터 가까운 곳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며, 다양한 경보수단이 복합적으로 채용됨으로써 경보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으며, 설치 안정성이 높아 강한 바람에 의해 넘어지거나 유동되는 문제가 없으며, 휴대와 이동이 편리한 복합 경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육면체 박스 형태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면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직상부로 들려질 수 있도록 리프트에 의해 연결되며, 사고 또는 공사 여부를 안내할 수 있는 표지를 부착하고 있는 표지부; 상기 표지부에 설치되는 경광등;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는 스피커; 측면으로부터 불어오는 바람에 의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자립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복합 경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리프트는 자바라이며; 상기 표지부는 바람이 통과될 수 있도록 타공판으로 된 박스 형태이며; 상기 경광등은 상기 표지부 내부에 설치되되, 상방향을 향해 안테나식으로 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표지부의 상기 리프트에 연결된 상태에서 힌지부에 의해 직각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표지부의 상면에는 덮개판이 힌지 연결되어 펼쳐짐으로써 상기 표지부의 상면의 면적이 넓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에는 이동성을 위한 바퀴 및 손으로 잡고 끌 수 있도록 견인손잡이가 인출방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상의 차량사고 발생시 사고조치를 하는 동안 후속차량에 시각 및 청각적으로 경보를 줄 수 있는 복합 경보장치가 제공된다. 특히 설치높이가 높아 운전자의 시야 높이와 유사하여 시인성이 좋으므로 사고지점으로부터 가까운 곳에 설치하여도 먼 곳까지 경보를 인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바퀴를 이용하여 끌고 다닐 수 있어 이동성이 좋고 접이식으로 구성되어 차량에 탑재하기에 용이한 휴대형 경보장치가 제공된다. 기타 효과는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복합 경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복합 경보장치의 설치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복합 경보장치의 설치상태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복합 경보장치의 설치과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복합 경보장치의 일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기본적으로 참조하되, 필요한 곳에서 다른 도면을 인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형 복합 경보장치는 평상시 접은 상태로 차량에 탑재하고 다니다가 필요시 꺼낸 다음 펼쳐서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형 복합 경보장치는 여행용 가방처럼 끌고 다닐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평평한 지면에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휴대형 복합 경보장치는 시각 및 청각적 요소를 통하여 경보를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조명수단과 음향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이하, 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베이스(1)에는 이동성을 위한 바퀴(3) 및 손으로 잡고 끌 수 있도록 견인손잡이(4)가 인출방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바퀴(3)는 도 4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여행용 가방과 같은 방식으로 견인할 수 있도록 베이스(1)의 측면과 바닥면 사이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견인손잡이(4)는 스코프식 안테나와 같이 화살표(A2) 방향을 따라 인출될 수 있는 인출봉 끝에 설치된다. 견인손잡이(4)는 도 2와 같이 펼쳐진 상태에서 지면에 지지됨으로써 받침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베이스(1)의 측부에는 견인손잡이(4)와 직각을 이룰 수 있도록 버팀대(8)가 힌지 연결된다. 따라서 설치시 버팀대(8)를 화살표(A1) 방향으로 펼쳐놓게 되면 버팀대(8)는 후술되는 표지부(2)가 좌 또는 우로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버팀대(8)는 좌우 양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1)는 지면에 놓이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되어 있다. 베이스(1)는 고정성을 위해 중량체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내부에 중량물(예를 들어 콘크리트, 철재 블럭)이 내재될 수도 있고 두꺼운 금속판재를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중량체가 될 수도 있다. 베이스(1) 내부에는 조명수단과 음향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배터리가 장착된다. 배터리는 충전식 배터리일 수도 있으며, 베이스에는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단자가 마련될 수도 있다.
표지부(2)가 베이스(1) 상면에 연결된다. 표지부(2)는 베이스(1)의 상면으로부터 직상부로 들려질 수 있도록 리프트(9)에 의해 연결된다. 표지부(2)는 바람이 통과될 수 있도록 작은 구멍(17)이 타공된 타공판을 이용하여 박스 형태로 제작된다. 표지부(2)는 베이스(1)의 상면을 덮거나 그 위에 포개지도록 되어 있다. 표지부(2)가 베이스(1) 상면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클램프(미도시됨)가 표지부(2)와 베이스(1)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표지부(2)는 리프트(9)에 연결된 상태에서 힌지부(31, 도 1,8 참조)에 의해 직각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표지부(2)의 상면이 후속차량을 정면을 바라볼 수 있도록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게 되어 있다(도 2 참조). 이를 위해 표지부의측면에는 니은(ㄴ)자 형태로 가이드공(29)이 마련되고 있다.
표지부(2)에는 사고 또는 공사 여부를 안내할 수 있는 표지가 부착된다. 상기 표지부(2)의 상면(19)에는 덮개판(7)이 힌지 연결되어 화살표(A4) 방향으로 펼쳐짐으로써 표지부(2)의 상면의 면적이 확장될 수 있게 되어 있다(도 2 참조). 덮개판(7)도 바람을 통과시키기 위해 다수의 구멍(23)이 타공되어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전방사고"라는 문구가 표지부(2)의 상면(19) 및 덮개의 내면에 걸쳐 부착되어 있는데, 이 문구는 인쇄에 의해 부착될 수도 있고, 접착에 의해 부착될 수도 있다. 필요시 다른 문구로 교체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가령 "공사중"이라는 표지가 대체되도록 할 수도 있다. 표지는 인쇄 또는 스티커 형태 중 어느 것으로 되어 있든지 반사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반사 필름, 전반사 비즈(beads) 또는 형광물질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리프트(9)는 도시된 것처럼 여러 개의 바(bar)가 엑스(X)자 형태로 연결되어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는 자바라로 되어 있다. 자바라의 하단 일측은 베이스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레일(11)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자바라의 상단은 표지부의 측면에 설치되는 힌지부(31)에 힌지 연결된다(도 8 참조). 표지부(2)를 손으로 잡고 들어올리기 쉽도록 표지부 상면에는 리프팅손잡이(33)가 설치된다.
경광등(5)이 표지부(2) 내부에 설치되되 전술한 견인손잡이(4)처럼 상방향을 향해 스코프식 안테나처럼 화살표(A3) 방향으로 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경광등(5)은 바 형태의 엘이디램프(6)를 포함하고 있다. 경광등(5)은 일단이 표지부(2) 내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인출봉(24)과, 인출봉(24)의 선단에 횡으로 고정되는 램프설치바(25)와, 램프설치바(25)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 개의 엘이디램프(6)를 포함한다. 엘이디램프(6)는 바 형태를 갖는 4개의 단위램프로 구성되며 가운데 것(6')은 램프설치바(25)에 고정되고, 가장자리 것(6")은 힌지식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게끔 설치된다. 램프설치바(25)에는 인출손잡이(27)가 설치되어 표지부(2)로부터 잡아당겨 인출시키기 쉽도록 하고 있다.
표지부(2)가 베이스(1)에서 들려지고, 경광등(5)이 표지부(2)에서 들려지므로 경광등(5)의 최종 설치높이(H1)는 후속차량의 운전자의 눈높이와 대등한 높이(예를 들어 1,000 ~ 1,500mm)가 된다. 표지부(2)의 평균 설치높이(H2)는 500 ~ 1,000mm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적은 광도로써 큰 시각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엘이디램프(6)는 일(一)자 형태로 배치되고 있지만 삼각대와 같이 삼각 형태로 배치되도록 변형이 가능하다.
경음기로서 스피커(10)가 베이스(1)의 상면에 고정 설치된다. 스피커(10)는 직진성이 좋은 초지향성 스피커가 사용될 수 있다. 스피커(10)는 후속 주행차량을 향하여 음파를 발진시킬 수 있도록 경광등(5)과 같은 방향을 향해 배치된다. 베이스(1) 내부에는 스피커(10)를 제외한 나머지 음향장치가 설치된다. 스피커를 통해 발진되는 경고음은 육성이 될 수도 있고 사이렌이 될 수도 있다. 어떤 음원을 선택할 것인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1의 상태로 접은 상태에서 차량의 좌석 및 또는 트렁크에 탑재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도 4에서와 같이 견인손잡이(4)와 바퀴(3)를 이용하여 목적장소까지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도 5 내지 도 7에 단계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로 표시된 것처럼 구조를 변경시켜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완전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베이스 등에 마련되는 스위치(미도시됨)을 켜면 경광등(5)에 의한 조명과 스피커(10)에 의한 경고음이 후속차량에게 인지되게 한다.
위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당업자는 통상의 기술적 상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1 : 베이스 2 : 표지부
3 : 바퀴 4 : 견인손잡이
5 : 경광등 6 : 엘이디램프
7 : 덮개 8 : 버팀대
9 : 리프트 10 : 스피커

Claims (4)

  1. 육면체 박스 형태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면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직상부로 들려질 수 있도록 리프트에 의해 연결되며, 사고 또는 공사 여부를 안내할 수 있는 표지를 부착하고 있는 표지부;
    상기 표지부에 설치되는 경광등;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는 스피커;
    측면으로부터 불어오는 바람에 의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자립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표지부의 상기 리프트에 연결된 상태에서 힌지부에 의해 직각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표지부의 상면에는 덮개판이 힌지 연결되어 펼쳐짐으로써 상기 표지부의 상면의 면적이 확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복합 경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는 자바라이며;
    상기 표지부는 바람이 통과될 수 있도록 타공판으로 된 박스 형태이며;
    상기 경광등은 상기 표지부 내부에 설치되되, 상방향을 향해 안테나식으로 인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복합 경보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이동성을 위한 바퀴와,
    상기 베이스에 및 손으로 잡고 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출방식으로 된 견인손잡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복합 경보장치.
KR1020160181808A 2016-12-29 2016-12-29 휴대형 복합 경보장치 KR101860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808A KR101860790B1 (ko) 2016-12-29 2016-12-29 휴대형 복합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808A KR101860790B1 (ko) 2016-12-29 2016-12-29 휴대형 복합 경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0790B1 true KR101860790B1 (ko) 2018-05-24

Family

ID=62296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1808A KR101860790B1 (ko) 2016-12-29 2016-12-29 휴대형 복합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07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24676A (zh) * 2023-06-30 2023-08-01 陕西大秦中工实业有限公司 一种电力工程施工警示装置
KR20230147793A (ko) * 2022-04-14 2023-10-24 한국도로공사 도로 작업자의 보호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494B1 (ko) * 2015-10-05 2016-10-20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비상등 보조 표시수단을 갖는 높이 확장형 단일몸체 경광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494B1 (ko) * 2015-10-05 2016-10-20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비상등 보조 표시수단을 갖는 높이 확장형 단일몸체 경광등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7793A (ko) * 2022-04-14 2023-10-24 한국도로공사 도로 작업자의 보호장치
KR102648261B1 (ko) 2022-04-14 2024-03-19 한국도로공사 도로 작업자의 보호장치
CN116524676A (zh) * 2023-06-30 2023-08-01 陕西大秦中工实业有限公司 一种电力工程施工警示装置
CN116524676B (zh) * 2023-06-30 2023-09-12 陕西大秦中工实业有限公司 一种电力工程施工警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9732B2 (en) Humanoid profile safety sign
US20050072350A1 (en) Emergency signaling device
KR101932959B1 (ko)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긴급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CN204623293U (zh) 多功能车用警示灯
KR101305435B1 (ko) 차량용 삼각대
US7164352B2 (en) Safety warning system for a vehicle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860790B1 (ko) 휴대형 복합 경보장치
CN108824253B (zh) 一种桥梁施工警示装置
KR101977906B1 (ko) 휴대형 비상표시장치
US2451875A (en) Traffic signaling device
CN206884874U (zh) 三角警示牌
CN212404948U (zh) 一种用于高速公路的多功能护栏
CN214376953U (zh) 智慧城市交通指引设备
CN203174525U (zh) 一种交通安全警示装置
US20210221281A1 (en) Vehicle rooftop beacon
KR20170085669A (ko) 다양한 설치구조와 표시기능을 갖는 차량용 위험 알림장치
US6273597B1 (en) Roadside warning sign system
JP2019501810A (ja) セルカ棒を利用した車両非常安全装置
US20030033739A1 (en) Safety lighting device
US6865835B1 (en) Illuminated message display
KR101860389B1 (ko) 레이더 반사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접이식 삼각대
CN210258204U (zh) 便携式交通安全警示牌
CN215052397U (zh) 提示牌
TWM583598U (zh) 智慧型路障警示裝置
CN221000685U (zh) 一种轮式声光一体交通提示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5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5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