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60420B1 - 착용방식 전환이 가능한 의료용 팔걸이 - Google Patents

착용방식 전환이 가능한 의료용 팔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0420B1
KR101860420B1 KR1020170178914A KR20170178914A KR101860420B1 KR 101860420 B1 KR101860420 B1 KR 101860420B1 KR 1020170178914 A KR1020170178914 A KR 1020170178914A KR 20170178914 A KR20170178914 A KR 20170178914A KR 101860420 B1 KR101860420 B1 KR 101860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armrest
buckle
medical
ches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8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무권
Original Assignee
성무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무권 filed Critical 성무권
Priority to KR1020170178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4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42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37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Restraining shirts
    • A61F5/3715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Restraining shirts for attaching the limbs to other parts of the body
    • A61F5/3723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Restraining shirts for attaching the limbs to other parts of the body for the arms
    • A61F5/3738S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4Plaster of Paris bandages; Other stiffening bandages
    • A61F13/041Accessories for stiffening bandages, e.g. cast liners, heel-pie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방식 전환이 가능한 의료용 팔걸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종래 의료용 팔걸이에 대하여 기본형은 목에 두르는 방식과, 착용자 가슴에 착용하는 방식 모두를 사용자 선택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의료용 팔걸이에 있어서,
조립 형태의 변환에 따라 의료용 팔걸이를 목에 둘렀다가, 목이 불편하면 가슴에도 착용할 수 있도록 전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체의 불편함을 호소하던 문제점을 해소하여, 착용자가 지속적으로 의료용 팔걸이를 사용하도록 유도하여, 질병의 쾌유가 가능하도록 하는, 착용방식 전환이 가능한 의료용 팔걸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착용방식 전환이 가능한 의료용 팔걸이{MEDICAL AREST}
본 발명은 착용방식 전환이 가능한 의료용 팔걸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종래 의료용 팔걸이에 대하여 기본형은 목에 두르는 방식과, 착용자 가슴에 착용하는 방식 모두를 사용자 선택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의료용 팔걸이에 있어서,
조립 형태의 변환에 따라 의료용 팔걸이를 목에 둘렀다가, 목이 불편하면 가슴에도 착용할 수 있도록 전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체의 불편함을 호소하던 문제점을 해소하여, 착용자가 지속적으로 의료용 팔걸이를 사용하도록 유도하여, 질병의 쾌유가 가능하도록 하는, 착용방식 전환이 가능한 의료용 팔걸이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의료용 팔걸이는, 팔 내지 어깨 부위의 골절, 부러짐, 수술 등으로 인해 팔에 깁스를 하게 되면, 해당 부위의 사용을 막아서 신속한 치유가 가능하도록 신체에 착용하여 깁스 부위를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의료용 팔걸이는, 기본형으로 목에 둘러서 팔을 고정하도록 구성되었는데, 이는 목에 두름으로 인해 장시간 착용시 착용자가 목의 불편함을 호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착용 후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의사의 허락없이 착용자가 의료용 팔걸이를 임의로 착용하지 않는 경우가 다반사이고, 이로 인해 치유의 속도가 늦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의료용 팔걸이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실1996-0005310호의 깁스용 안전 팔걸이대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종래 기본형인 의료용 팔걸이의 대표적인 예로서, 상술된 문제점을 갖고 있다.
다른 의료용 팔걸이로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4-0000640호에는 의료용 팔걸이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어깨걸이부와 안착부로 이루어지는 팔걸이에 있어서 팔이 안착되는 안착부로 망사와 탈부착 되는 커버부를 형성하여 사용 시 계절에 따라 커버부를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여름철에는 통풍이 잘되어 사용자가 산뜻하게 사용가능하고, 겨울철에는 커버를 덮어서 보온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의료용 팔걸이를 기재하고 있다.
상기 기술 역시, 상술된 문제점을 여전히 보유한다.
이에 따라, 개량형으로서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32625호의 의료용 팔걸이와, 등록특허공보 제10-1525044호에는 어깨 착용식 의료용 팔걸이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들은, 사용자의 가슴에 착용하도록 하는 방식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위 기술들과 같이 가슴에 착용하는 방식 역시 활동에 제한을 주게 되며, 장시간 착용시 불편함이 발생되기 때문에, 기본형 의료용 팔걸이가 지속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목에 두르는 방식과 가슴에 착용하는 방식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면, 종래의 기본형 및 개량형 의료용 팔걸이에 비해 경제성이 저하되지도 않고,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효율적인 의료용 팔걸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실1996-0005310호(1996.06.26. 공고)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4-0000640호(2014.01.29.)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32625호(2017.12.04.) 등록특허공보 제10-1525044호(2015.06.03.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의료용 팔걸이에 대하여 기본형은 목에 두르는 방식과, 착용자 가슴에 착용하는 방식 모두를 사용자 선택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의료용 팔걸이에 있어서, 조립 형태의 변환에 따라 의료용 팔걸이를 목에 둘렀다가, 목이 불편하면 가슴에도 착용할 수 있도록 전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체의 불편함을 호소하던 문제점을 해소하여, 착용자가 지속적으로 의료용 팔걸이를 사용하도록 유도하여, 질병의 쾌유가 가능하도록 하는, 착용방식 전환이 가능한 의료용 팔걸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착용방식 전환이 가능한 의료용 팔걸이는, 조립 형태의 변환에 따라 의료용 팔걸이를 목에 둘렀다가, 목이 불편하면 가슴에도 착용할 수 있도록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의료용 팔걸이는 각 단부에 제1 보조밴드(30)와 제2 보조밴드(40)가 연결되어 사용자의 가슴에 착용되는 가슴 착용밴드(10); 상기 가슴 착용밴드(10)의 일측으로 양단이 연결되어 어깨에 착용되는 어깨 착용밴드(20); 상기 어깨 착용밴드(20)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팔을 안착시킬 수 있는 고정식 팔걸이(50); 및 상기 가슴 착용밴드(10) 또는 제1 보조밴드(3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탈착식 팔걸이(6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보조밴드(30)와 제2 보조밴드(40)는 상기 가슴 착용밴드(10)의 단부에 구비된 길이조절수단(10a 및 11)를 통해 연결되어 길이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슴 착용밴드(10)의 제1 보조밴드(30)가 연결된 단부의 다른 일측에는 연장밴드(1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보조밴드(30) 단부에는 버클구성영역 A가 구성되고, 상기 제2 보조밴드(40) 단부에는 버클구성영역 B가 구성되며, 상기 탈착식 팔걸이(60)의 끈 단부에는 버클구성영역 C가 구성되고, 상기 연장밴드(12)의 단부에는 버클구성영역 D가 구성되며, 상기 탈착식 팔걸이(60)의 일측면에는 버클구성영역 E가 구성되되,
상기 버클구성영역 A 내지 E는 암, 수 형태의 버클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버클구성영역 A 및 D는 같은 형태의 버클이고, 상기 버클구성영역 B, C 및 E는 같은 형태의 버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착식 팔걸이(60)의 상기 버클구성영역 E가 형성된 일측면의 다른 일측에는 제3 길이조절수단(61)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의료용 팔걸이를 가슴에 착용하는 방식은 제1 보조밴드(30) 및 제2 보조밴드(40)를 결합하여 사용자의 가슴에 착용하고, 고정식 팔걸이(50)에 팔꿈치를 안착시킨 뒤, 연장밴드(12) 단부의 버클구성영역 D에 탈착식 팔걸이(60)의 버클구성영역 E를 결합한 뒤, 탈착식 팔걸이(60)에 팔목을 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의료용 팔걸이를 목에 두르는 방식은 어깨 착용밴드(20)를 목에 두르는 방식으로서,
제1 보조밴드(30)와 제2 보조밴드(40)의 각 단부의 버클구성영역 A 및 B를 분리한 뒤, 버클구성영역 B를 탈착식 팔걸이(60)의 끈 단부에 구비된 버클구성영역 C에 결합하고,
고정식 팔걸이(50)는 팔꿈치 부근에 안착하며, 탈착식 팔걸이(60)는 팔목 부근에 안착하면서, 제1 보조밴드(30)의 길이를 제1 길이조절수단(10a)를 통해 짧게 하되, 제1 보조밴드(30)의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제1 길이조절수단(10a)을 거쳐 반대측으로 길게 빠진 단부를 탈착식 팔걸이(60)의 제3 길이조절수단(61)에 끼워 고정하고,
제2 길이조절수단(11)을 통해 제2 보조밴드(40)의 노출되는 길이를 짧게하거나, 또는 제2 보조밴드(40)의 단부에 구비된 버클구성영역 A를 탈착식 팔걸이(60)에 구비된 버클구성영역 E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착용방식 전환이 가능한 의료용 팔걸이에 의하면,
종래 의료용 팔걸이에 대하여 기본형은 목에 두르는 방식과, 착용자 가슴에 착용하는 방식 모두를 사용자 선택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조립 형태의 변환에 따라 의료용 팔걸이를 목에 둘렀다가, 목이 불편하면 가슴에도 착용할 수 있도록 전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체의 불편함을 호소하던 문제점을 해소하여, 착용자가 지속적으로 의료용 팔걸이를 사용하도록 유도하여, 질병의 쾌유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방식 전환이 가능한 의료용 팔걸이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착용방식 전환이 가능한 의료용 팔걸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종래 의료용 팔걸이에 대하여 기본형은 목에 두르는 방식과, 착용자 가슴에 착용하는 방식 모두를 사용자 선택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의료용 팔걸이에 있어서,
조립 형태의 변환에 따라 의료용 팔걸이를 목에 둘렀다가, 목이 불편하면 가슴에도 착용할 수 있도록 전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체의 불편함을 호소하던 문제점을 해소하여, 착용자가 지속적으로 의료용 팔걸이를 사용하도록 유도하여, 질병의 쾌유가 가능하도록 하는, 착용방식 전환이 가능한 의료용 팔걸이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착용방식 전환이 가능한 의료용 팔걸이를 첨부된 도면의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방식 전환이 가능한 의료용 팔걸이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착용방식 전환이 가능한 의료용 팔걸이는 가슴 착용밴드(10), 어깨 착용밴드(20), 제1 보조밴드(30), 제2 보조밴드(40), 고정식 팔걸이(50) 및 탈착식 팔걸이(60)를 주요하게 포함한다.
가슴 착용밴드(10)는 밴드로서, 사용자의 가슴에 둘러 착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되, 후술되는 제1 보조밴드(30)와 제2 보조밴드(40)와 결합하여 사용자의 가슴에 둘러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가슴 착용밴드(10)의 일측으로는 어깨 착용밴드(20)의 양단이 연결되어, 가슴 착용밴드(10)를 가슴에 착용한 상태에서 어깨 착용밴드(20)를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어깨 착용밴드(20)는 폭신한 재질로 이루어져 어깨에 가해지는 하중을 절감하여 사용자 어깨에 부담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보조밴드(30)는 가슴 착용밴드(10)의 일단부에 결합 되고, 제2 보조밴드(30)는 가슴 착용밴드(10)의 다른 단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1 보조밴드(30)와 제2 보조밴드(40)가 가슴 착용밴드(10)에 결합되는 것은 길이조절수단(10a 및 11)에 의해서 가능한데, 구체적으로는 가슴 착용밴드(10)의 각 단부 내측에 길이조절수단(10a 및 11)이 구비되는데, 상기 길이조절수단(10a 및 11)은 밴드가 관통되는 관통구를 2개 포함하여 밴드가 1회 관통된 뒤, 2개의 관통구를 구분하는 격벽을 지나 다른 관통구를 다시 1회 관통하는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즉, 가슴 착용밴드(10)의 제1 보조밴드(30)가 결합되는 위치에 제1 길이조절수단(10a)이 구비되고, 제2 보조밴드(40)가 결합되는 위치에 제2 길이조절수단(11)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보조밴드(30) 및 제2 보조밴드(30)는 상호 마주하는 각 단부에 버클이 구성되는 버클구성영역이 포함된다.
즉, 첨부된 도면의 도 1을 참조하면 제1 보조밴드(30)의 단부에는 버클구성영역 B가 구비되고, 제2 보조밴드(40)의 단부에는 버클구성영역 A가 구비된다.
이러한 버클구성영역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버클이 구성되는 영역으로서, 버클구성영역 A와 B에는 각각 암수 버클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슴 착용밴드(10), 제1 보조밴드(30) 및 제2 보조밴드(40)의 결합으로 사용자의 가슴에 착용될 수 있다.
한편, 가슴 착용밴드(10)의 제1 보조밴드(30)가 결합되는 단부의 외측(사용자 신체 기준 외측)으로는 연장밴드(12)가 가슴 착용밴드(10) 보다 작은 크기를 갖으며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밴드(12)의 반대 단부에는 버클구성영역 D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버클구성영역 D는 버클구성영역 A와 동일한 버클의 형태(암, 수 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팔걸이는, 깁스된 팔을 고정하는 것인 만큼, 종래의 의료용 팔걸이와 같이 팔걸이가 2개로 구성되는데, 하나는 어깨 착용밴드(20)에 고정되어 연결되는 고정식 팔걸이(50)이고, 다른 하나는 탈착이 가능한 탈착식 팔걸이(60)이다.
이때, 고정식 팔걸이(50)의 형태는 도 1을 통해 충분히 설명되고, 종래의 형태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탈착식 팔거리(60)는 팔을 안착하는 형태는 동일하나, 일 측면에 제3 길이조절수단(61)이 일 측면의 상측에 구성되고, 이의 하측으로는 버클구성영역 E가 구성된다.
이러한 버클구성영역 E는 버클구성영역 B와 동일한 형태(암, 수 형태)를 갖으며, 상기 버클구성영역 D에 결합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팔걸이를 가슴에 착용하여 사용하는 경우, 고정식 팔걸이(50)가 팔꿈치 부근에 위치되고, 탈착식 팔걸이(60)가 팔목 부근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탈착식 팔걸이(60)는, 고정식 팔걸이(50)와 마찬가지로 상측으로 끈이 연결되는데, 이때 탈착식 팔걸이(60)의 끈은 어느 곳에 연결되는 구조가 아닌 단부에 버클구성영역 C가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버클구성영역 C는 제1 보조밴드(30)의 버클구성영역 B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버클구성영역 A 및 D와 동일한 버클 형태(암, 수 형태)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버클구성영역 C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팔걸이를 목에 둘러 사용하려고 하는 경우, 버클구성영역 B에 결합시켜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방식 전환이 가능한 의료용 팔걸이의 사용 일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슴에 착용하는 방식
가슴에 착용하는 방식은, 도 1과 같이 구성된 상태로 가슴 착용밴드, 제1 보조밴드(30) 및 제2 보조밴드(40)를 결합하여 사용자의 가슴에 착용하고, 고정식 팔걸이(50)에 팔꿈치를 안착시킨 뒤,
연장밴드(12) 단부의 버클구성영역 D에 탈착식 팔걸이(60)의 버클구성영역 E를 결합한 뒤, 탈착식 팔걸이(60)에 팔목을 안착시키도록 한다.
목에 두르는 방식
목에 두르는 방식은, 제1 보조밴드(30)와 제2 보조밴드(40)의 각 단부의 버클구성영역 A 및 B를 분리한 뒤, 버클구성영역 B를 탈착식 팔걸이(60)의 끈 단부에 구비된 버클구성영역 C에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고정식 팔걸이(50)는 팔꿈치 부근에 안착하고, 탈착식 팔걸이(60)는 팔목 부근에 안착하는데, 이때 제1 보조밴드(30)의 길이를 제1 길이조절수단(10a)를 통해 짧게 하되, 제1 보조밴드(30)의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제1 길이조절수단(10a)을 거쳐 반대측으로 길게 빠진 단부를 탈착식 팔걸이(60)의 제3 길이조절수단(61)에 끼워 고정한다. 이로 인해 의료용 팔걸이를 목에 둘러 사용시 팔의 중력방향으로 인해 발생되는 하중을 탈착식 팔걸이(60)가 일부 분담하게 됨으로써, 목에 가해지는 하중을 절감할 수 있다.
이때, 어깨 착용밴드(20)가 목에 둘러지는데, 어깨 착용밴드(20)는 푹신한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목의 불편함을 절감시켜줄 수 있다.
또한, 제2 보조밴드(40)는 가슴착용 형태에서는 사용자의 가슴 둘레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2 길이조절수단(11)을 통해 길이조절되나,
본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목에 둘러지게 되는 경우, 제2 길이조절수단(11)을 통해 제2 보조밴드(40)의 노출되는 길이를 짧게 할 수도 있으나, 다른 일예에 따라서는 제2 보조밴드(40)의 단부에 구비된 버클구성영역 A를 탈착식 팔걸이(60)에 구비된 버클구성영역 E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어깨 착용밴드(20)가 목에 둘러지고, 고정식 팔걸이(50)가 팔꿈치 방향으로 오게 됨에 따라, 제2 보조밴드(40)는 제1 보조밴드(30) 보다 사용자 신체 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제2 보조밴드(40)가 탈착식 팔걸이(60)에 버클구성영역 A 및 E를 통해 연결됨으로 인해 탈착식 팔걸이(60)를 신체측으로 잡아당겨 사용자의 깁스한 팔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신체측으로 당겨 고정할 수도 있다.
또, 만약 사용자가 제2 길이조절수단(11)을 통해 제2 보조밴드(40)의 길이를 다소 늘려준다면, 탈착식 팔걸이(60)에 안착된 사용자의 팔목이 다소 움직일 수 있는 범위를 확보해주되, 제2 보조밴드(40)에 의해 허용된 범위 내에서만 움직일 수 있어서, 위와 같이 탈착식 팔걸이(60)를 잡아당기는 경우 움직임이 제한되는 문제점으로부터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A 내지 F : 버클구성영역
10 : 가슴 착용밴드
10a : 제1 길이조절수단
11 : 제2 길이조절수단
12 : 연장밴드
20 : 어깨 착용밴드
30 : 제1 보조밴드
40 : 제2 보조밴드
50 : 고정식 팔걸이
60 : 탈착식 팔걸이
61 : 제3 길이조절수단

Claims (5)

  1. 조립 형태의 변환에 따라 의료용 팔걸이를 목에 둘렀다가, 목이 불편하면 가슴에도 착용할 수 있도록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의료용 팔걸이는,
    각 단부에 제1 보조밴드(30)와 제2 보조밴드(40)가 연결되어 사용자의 가슴에 착용되는 가슴 착용밴드(10);
    상기 가슴 착용밴드(10)의 일측으로 양단이 연결되어 어깨에 착용되는 어깨 착용밴드(20);
    상기 어깨 착용밴드(20)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팔을 안착시킬 수 있는 고정식 팔걸이(50); 및
    상기 가슴 착용밴드(10) 또는 제1 보조밴드(3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탈착식 팔걸이(6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보조밴드(30)와 제2 보조밴드(40)는,
    상기 가슴 착용밴드(10)의 단부에 구비된 길이조절수단(10a 및 11)를 통해 연결되어 길이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방식 전환이 가능한 의료용 팔걸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슴 착용밴드(10)의 제1 보조밴드(30)가 연결된 단부의 다른 일측에는 연장밴드(1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방식 전환이 가능한 의료용 팔걸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밴드(30) 단부에는 버클구성영역 A가 구성되고, 상기 제2 보조밴드(40) 단부에는 버클구성영역 B가 구성되며, 상기 탈착식 팔걸이(60)의 끈 단부에는 버클구성영역 C가 구성되고, 연장밴드(12)의 단부에는 버클구성영역 D가 구성되며, 상기 탈착식 팔걸이(60)의 일측면에는 버클구성영역 E가 구성되되,
    상기 버클구성영역 A 내지 E는 암, 수 형태의 버클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버클구성영역 A 및 D는 같은 형태의 버클이고,
    상기 버클구성영역 B, C 및 E는 같은 형태의 버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방식 전환이 가능한 의료용 팔걸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탈착식 팔걸이(60)의
    상기 버클구성영역 E가 형성된 일측면의 다른 일측에는 제3 길이조절수단(61)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방식 전환이 가능한 의료용 팔걸이.
  5. 삭제
KR1020170178914A 2017-12-24 2017-12-24 착용방식 전환이 가능한 의료용 팔걸이 Active KR101860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914A KR101860420B1 (ko) 2017-12-24 2017-12-24 착용방식 전환이 가능한 의료용 팔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914A KR101860420B1 (ko) 2017-12-24 2017-12-24 착용방식 전환이 가능한 의료용 팔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0420B1 true KR101860420B1 (ko) 2018-05-23

Family

ID=62452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8914A Active KR101860420B1 (ko) 2017-12-24 2017-12-24 착용방식 전환이 가능한 의료용 팔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042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3445A (ja) * 1998-09-28 2000-04-04 Aprica Kassai Inc 腕支え具
US8454544B2 (en) * 2009-02-27 2013-06-04 William S. Barnes Method and apparatus for therapeutically supporting the arm of a patient
US20140107548A1 (en) * 2011-02-11 2014-04-17 Breg, Inc. Shoulder Orthosis Having a Supportive Strapping System
KR101525044B1 (ko) * 2013-12-13 2015-06-03 백승훈 어깨 착용식 의료용 팔걸이
KR20170132625A (ko) * 2016-05-24 2017-12-04 박원준 의료용 팔걸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3445A (ja) * 1998-09-28 2000-04-04 Aprica Kassai Inc 腕支え具
US8454544B2 (en) * 2009-02-27 2013-06-04 William S. Barnes Method and apparatus for therapeutically supporting the arm of a patient
US20140107548A1 (en) * 2011-02-11 2014-04-17 Breg, Inc. Shoulder Orthosis Having a Supportive Strapping System
KR101525044B1 (ko) * 2013-12-13 2015-06-03 백승훈 어깨 착용식 의료용 팔걸이
KR20170132625A (ko) * 2016-05-24 2017-12-04 박원준 의료용 팔걸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26939T3 (es) Conjunto de bandas de pernera y arnés de seguridad que lo incluye
JP6240214B2 (ja) 機能性ブラジャー
KR101847157B1 (ko) 속옷 일체형 의류
JP4496398B1 (ja) 腰部筋力補助具
KR200493255Y1 (ko) 교정밴드를 구비한 체형 보정용 속옷
KR200476693Y1 (ko) 유아용 아기띠
US20100035513A1 (en) Brassiere
KR101860420B1 (ko) 착용방식 전환이 가능한 의료용 팔걸이
KR200485000Y1 (ko) 브래지어
CN107635515B (zh) 孕妇用马甲式腹带
JP3150299U (ja) バストアップ布つきブラジャー
JP3125641U (ja) コルセット構造
KR200409298Y1 (ko) 후면시트의 상하 분리형 올인원
KR101961413B1 (ko) 수유 브래지어
JP4387496B2 (ja) ボディシェイパー
JP3134404U (ja) エプロン
CN204426722U (zh) 胸部定型衣
CN203873024U (zh) 高弹连体塑身衣
KR102459435B1 (ko) 환자용 어깨 안정화 의복
KR200493256Y1 (ko) 팔 움직임을 개선한 체형 보정용 속옷
KR101491617B1 (ko) 임산부용 팬티
KR200461859Y1 (ko) 지압기능을 갖는 다기능 보정속옷
KR200464931Y1 (ko) 외출 겉옷 겸용 올인원
KR200395426Y1 (ko) 편리한 팬티
CN104705801A (zh) 一种连体美体内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16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5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5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