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0121B1 - 유수분리기 - Google Patents
유수분리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60121B1 KR101860121B1 KR1020160022062A KR20160022062A KR101860121B1 KR 101860121 B1 KR101860121 B1 KR 101860121B1 KR 1020160022062 A KR1020160022062 A KR 1020160022062A KR 20160022062 A KR20160022062 A KR 20160022062A KR 101860121 B1 KR101860121 B1 KR 1018601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il
- water
- separating
- space
- auxiliar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4—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s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기는 기름과 물의 밀도 차이에 의해 물과 기름을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물과 기름을 다단으로 분리할 수 있으므로 물에 대한 기름의 분리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유수분리기에 대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유수분리기의 4번째 단위공간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유수분리기의 유수분리팩에 대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유수분리팩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1의 유수분리기의 물배출부에 대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1의 유수분리기의 전후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110: 분리본체
111: 제1기름배출구
112: 배수구
113: 제1보조배출구
114: 제1물배출구
115: 유도부재
117: 드레인관
118: 수집탱크
120: 분리격벽
121: 단위공간
122: 제2기름배출구
123: 제2보조배출구
130: 제1분리부재
131: 제1유입구
140: 제2분리부재
141: 제2유입구
150: 유동부
151: 보조본체
152: 보조격벽
153: 차단벽
154: 제3분리부재
160: 물배출부
161: 배수탱크
162: 제4분리부재
170: 유수분리팩
171: 분리용기
172: 분리판재
173: 가이드부재
180: 이격지지부
181: 지지플레이트
182: 차단플레이트
Claims (6)
- 내부에 물과 기름이 혼합된 유입수가 수용되는 분리공간이 마련되고, 후면에 제1기름배출구가 형성된 분리본체와;
상기 분리본체의 전단부와 상기 제1기름배출구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분리공간을 전후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단위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상기 분리본체의 내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며,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제2기름배출구가 형성된 다수의 분리격벽과;
상기 제2기름배출구에 연통되게 각 상기 분리격벽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분리격벽에 대해 전방측 상기 단위공간으로 인입되게 연장되되, 상기 단위공간에 수용되어 밀도차에 의해 상기 물의 수면에 부유하는 기름을 상기 제2기름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해 상면에 상기 기름이 유입되기 위한 다수의 제1유입구가 마련된 다수의 제1분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분리부재는 상기 유입수에 포함된 상기 기름을 다단으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전방에 인접된 상기 제1분리부재의 상면보다 상면이 낮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기름배출구는 최후방에 위치한 상기 제1분리부재의 상면보다 하측에 상면이 위치하도록 상기 분리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제1기름배출구에 연통되게 상기 분리본체의 후방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기름배출구에 연통되는 상기 단위공간에 수용되어 밀도차에 의해 상기 물의 수면에 부유하는 기름을 상기 제1기름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해 상면에 상기 기름이 유입되기 위한 다수의 제2유입구가 마련되되, 최후방에 위치한 상기 제1분리부재의 상면보다 하측에 상면이 위치하도록 형성된 제2분리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분리본체의 후방에 설치되어 최후방에 위치한 상기 단위공간에 수용된 물을 배출시키는 물배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물배출부는
상기 분리본체의 후방측 하부에 형성된 제1물배출구에 연통되게 내부에 배수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에 제2물배출구가 형성된 배수탱크와,
상기 제2물배출구에 연통되게 상기 배수탱크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배수공간 내부로 인입되게 연장되며, 상기 배수탱크 내부에 유입된 물을 상기 제2물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해 상면에 상기 물이 유입되는 다수의 제4유입구가 형성되되, 상면이 상기 제2분리부재의 상면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된 제4분리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
- 삭제
- 삭제
- 내부에 물과 기름이 혼합된 유입수가 수용되는 분리공간이 마련되고, 후면에 제1기름배출구가 형성된 분리본체와;
상기 분리본체의 전단부와 상기 제1기름배출구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분리공간을 전후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단위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상기 분리본체의 내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며,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제2기름배출구가 형성된 다수의 분리격벽과;
상기 제2기름배출구에 연통되게 각 상기 분리격벽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분리격벽에 대해 전방측 상기 단위공간으로 인입되게 연장되되, 상기 단위공간에 수용되어 밀도차에 의해 상기 물의 수면에 부유하는 기름을 상기 제2기름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해 상면에 상기 기름이 유입되기 위한 다수의 제1유입구가 마련된 다수의 제1분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분리부재는 상기 유입수에 포함된 상기 기름을 다단으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전방에 인접된 상기 제1분리부재의 상면보다 상면이 낮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기름배출구는 최후방에 위치한 상기 제1분리부재의 상면보다 하측에 상면이 위치하도록 상기 분리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분리본체는 내부에 수용된 상기 유입수를 배출시키기 위해 최후방에 위치한 상기 단위공간을 제외한 상기 단위공간들에 대응되는 하부에 각각 배수구들이 형성되며, 최전방에 위치한 상기 단위공간을 제외한 상기 단위공간들에 대응되는 상부에 각각 유입구들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본체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배수구들과 유입구들에 연통되는 연통공간이 마련된 보조본체와;
상기 연통공간을 상기 단위공간들에 대응되는 다수의 보조공간들로 구획할 수 있도록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상기 보조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유동구가 형성된 다수의 보조격벽과;
상기 유동구를 통해 상기 보조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유입수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단위공간에 유입되되, 상기 배수구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하방향으로 대향된 상기 유입구 및 배수구 사이의 상기 보조공간 내에 설치된 다수의 차단벽과;
상기 유입구에 연통되게 상기 분리본체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보조공간으로 인입되게 연장되되, 상기 보조공간에 수용되어 밀도차에 의해 물의 수면에 부유하는 기름을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단위공간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면에 상기 기름이 유입되기 위한 다수의 제3유입구가 마련된 다수의 제3분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3분리부재들은 전방으로 인접된 상기 제1분리부재의 상면에 대응되는 높이에 상면이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조격벽들은 상기 유동구가 전방측에 인접된 상기 차단벽보다 하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
- 내부에 물과 기름이 혼합된 유입수가 수용되는 분리공간이 마련되고, 후면에 제1기름배출구가 형성된 분리본체와;
상기 분리본체의 전단부와 상기 제1기름배출구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분리공간을 전후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단위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상기 분리본체의 내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며,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제2기름배출구가 형성된 다수의 분리격벽과;
상기 제2기름배출구에 연통되게 각 상기 분리격벽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분리격벽에 대해 전방측 상기 단위공간으로 인입되게 연장되되, 상기 단위공간에 수용되어 밀도차에 의해 상기 물의 수면에 부유하는 기름을 상기 제2기름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해 상면에 상기 기름이 유입되기 위한 다수의 제1유입구가 마련된 다수의 제1분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분리부재는 상기 유입수에 포함된 상기 기름을 다단으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전방에 인접된 상기 제1분리부재의 상면보다 상면이 낮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기름배출구는 최후방에 위치한 상기 제1분리부재의 상면보다 하측에 상면이 위치하도록 상기 분리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제1기름배출구에 연통되게 상기 분리본체의 후방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기름배출구에 연통되는 상기 단위공간에 수용되어 밀도차에 의해 상기 물의 수면에 부유하는 기름을 상기 제1기름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해 상면에 상기 기름이 유입되기 위한 다수의 제2유입구가 마련되되, 최후방에 위치한 상기 제1분리부재의 상면보다 하측에 상면이 위치하도록 형성된 제2분리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분리본체는 상기 단위공간에 잔류하는 기름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분리격벽에 의해 구획된 상기 단위공간들 중 최후방에 위치한 상기 단위공간에 대응되는 상기 분리본체의 내벽면에, 상기 제2분리부재의 상면보다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보조 기름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 기름배출구에 연통되게 상기 분리본체에 연결된 보조 배출관과;
상기 보조 배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배출관의 내부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2062A KR101860121B1 (ko) | 2016-02-24 | 2016-02-24 | 유수분리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2062A KR101860121B1 (ko) | 2016-02-24 | 2016-02-24 | 유수분리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99682A KR20170099682A (ko) | 2017-09-01 |
KR101860121B1 true KR101860121B1 (ko) | 2018-05-21 |
Family
ID=59924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22062A Active KR101860121B1 (ko) | 2016-02-24 | 2016-02-24 | 유수분리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6012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54548A (ko) | 2022-10-19 | 2024-04-26 | 문명곤 | 용제 유수분리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975336B (zh) * | 2019-11-27 | 2021-10-26 | 安徽天健环保股份有限公司 | 一种泔水分离用的油水混合物隔油箱及其隔油系统 |
CN112473186B (zh) * | 2020-11-26 | 2024-11-19 | 广东和胜工业铝材股份有限公司 | 油水分离装置 |
-
2016
- 2016-02-24 KR KR1020160022062A patent/KR101860121B1/ko active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54548A (ko) | 2022-10-19 | 2024-04-26 | 문명곤 | 용제 유수분리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99682A (ko) | 2017-09-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396508A (en) | Separator for multi-phase liquids | |
MXPA01008908A (es) | Separador de tres fases. | |
KR101860121B1 (ko) | 유수분리기 | |
KR101390821B1 (ko) | 선박용 오수분리장치 | |
US3890234A (en) | Oil separation and recovery device | |
CN107349637B (zh) | 气体浮选罐 | |
KR101270222B1 (ko) | 유수분리장치 | |
JP3546359B2 (ja) | 油水分離装置 | |
KR101857434B1 (ko) | 오일 회수 장치 | |
JP4786410B2 (ja) | 沈砂分離設備 | |
KR101796531B1 (ko) | 생활 하수 다단 유수 분리 여과조 | |
KR20180137284A (ko) | 부유물 제거장치 | |
US4213865A (en) | Apparatus for separating sludge, oil and the like from contaminated water | |
JP2017190655A5 (ko) | ||
CA2636016C (en) | Continuous flow oil water separator | |
KR102464417B1 (ko) |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 | |
KR101547961B1 (ko) | 휴대용 유수분리장치 | |
US7484627B2 (en) | EIP pack for separating oil from water | |
JP5944682B2 (ja) | 油分離槽 | |
KR0119390B1 (ko) | 이피에스(eps) 유수분리기 | |
KR101455105B1 (ko) | 오일제거장치 | |
JP2021041366A (ja) | 沈砂槽及び洗車機用排水設備 | |
US7357860B1 (en) | Skimmer system | |
JP2008264745A (ja) | 油水分離装置 | |
JP3042771U (ja) | 含油水の油水分離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9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5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5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5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