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738B1 - A Method for Manufacturing Dutch Coffee - Google Patents
A Method for Manufacturing Dutch Coffe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59738B1 KR101859738B1 KR1020160045141A KR20160045141A KR101859738B1 KR 101859738 B1 KR101859738 B1 KR 101859738B1 KR 1020160045141 A KR1020160045141 A KR 1020160045141A KR 20160045141 A KR20160045141 A KR 20160045141A KR 101859738 B1 KR101859738 B1 KR 1018597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ffee
- water
- filter
- basalt
- dutc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26—Extraction of water soluble constituents
- A23F5/262—Extraction of water soluble constituents the extraction liquid flowing through a stationary bed of solid substances, e.g. in percolation colum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16—Removing unwanted substanc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0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a valve at the filter-outlet; Anti-drip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
- B01F3/04787—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5—Flavour affecting agent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08—Caffeine, coffee extract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8—Multiple-ste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치커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소수를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커피에 포함된 카페인 함량을 줄이면서도 폴리페놀의 감소가 최소화되도록 하며, 현무암필터를 사용하여 수소수를 여과하도록 하고, 세라믹 재질의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더치커피를 추출하도록 함으로써 세균 제거를 통해 더치커피의 보존기간을 늘릴 수 있도록 하며, 현무암에 포함된 미네랄 성분이 더치커피에 함유되도록 하여 커피의 향미를 증진시키고 건강 기능성을 갖도록 하는 더치커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 for producing Dutch coffe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cess for producing hot coffee, which comprises using water as an extraction solvent to minimize the reduction of polyphenols while reducing caffeine content in coffe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reservation period of Dutch coffee by removing the bacteria by extracting the Dutch coffee by using the ceramic material extraction device and by making the flavor of the coffee to be contained in the Dutch coffee by the minerals contained in the basalt And to provide health functionalities.
Description
본 발명은 더치커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소수를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커피에 포함된 카페인 함량을 줄이면서도 폴리페놀의 감소가 최소화되도록 하며, 현무암필터를 사용하여 수소수를 여과하도록 하고, 세라믹 재질의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더치커피를 추출하도록 함으로써 세균 제거를 통해 더치커피의 보존기간을 늘릴 수 있도록 하며, 현무암에 포함된 미네랄 성분이 더치커피에 함유되도록 하여 커피의 향미를 증진시키고 건강 기능성을 갖도록 하는 더치커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 for producing Dutch coffe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cess for producing hot coffee, which comprises using water as an extraction solvent to minimize the reduction of polyphenols while reducing caffeine content in coffe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reservation period of Dutch coffee by removing the bacteria by extracting the Dutch coffee by using the ceramic material extraction device and by making the flavor of the coffee to be contained in the Dutch coffee by the minerals contained in the basalt And to provide health functionalities.
최근에는 커피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품질 좋은 고급 커피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그 대안으로 더치커피가 떠오르고 있다. As demand for coffee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Dutch coffee has emerged as an alternative to the increasing demand for quality fine coffee.
더치커피(Duthch)는 찬물 또는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장시간에 걸쳐 우려낸 커피를 말한다. 더치커피라는 명칭은 네덜란드풍(Dutch)의 커피라 하여 붙여진 일본식 명칭이고, 영어로는 '차가운 물에 우려낸다'는 뜻으로 콜드 브루(Cold brew)라고 한다. Duthch refers to coffee that has been chilled for a long time using cold water or normal-temperature water. Dutch coffee is a Japanese name for Dutch coffee, and English for "cold water" is called cold brew.
커피는 본래 찬물에 성분이 잘 우러나지 않는다. 그래서 상온의 물을 사용할 경우 짧게는 3~4시간, 길게는 12~24시간의 오랜 시간이 필요하나, 오랫동안 천천히 추출되는 동안 강렬한 풍미가 형성되어 부드럽고 독특한 향미를 갖는다. 또한, 높은 온도로 추출된 커피는 커피가 식으면 본연의 향미가 반감되는데 비해, 더치커피는 처음부터 저온추출이 이뤄지기 때문에 맛의 변화가 거의 없다. 오히려 바로 마시기보다는 숙성 후 마실 것이 권장되고 있으며, 3~4일 정도의 숙성기간을 거치면 향미가 더욱 깊어진다. 또한, 더치커피는 일반커피에 비해 유통기한이 길며 원액상태의 보관이 가능하여 그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특징을 가진 더치커피를 제조하기 위해,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풍미를 향상시키거나 보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더치커피 제조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Coffee does not come out well in cold water originally. Therefore, when water at room temperature is used, it takes a long time of 3 to 4 hours for a short time and 12 to 24 hours for a long time, but an intense flavor is formed during a long and slow extraction to have a soft and unique flavor. In addition, the coffee extracted at a high temperature has half the original flavor when the coffee is cooled, whereas the taste of the Dutch coffee is hardly changed since the low temperature extraction is performed from the beginning. Rather than drinking immediately, it is recommended to drink after aging, and after 3 to 4 days of fermentation, the flavor becomes deeper. In addition, Dutch coffee has a longer shelf life compared to ordinary coffee, and it can be stored in undiluted state, which is increasing its preference. Therefore, in order to produce a Dutch coffee having the above-mentioned characteristics, methods of producing Dutch coffee for improving the flavor or facilitating storage as described 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s are being developed.
(특허문헌)(Patent Literature)
등록특허 제10-1595497호(2014.11.22. 등록) "더치커피의 추출기구 및 이를 이용한 더치커피의 추출방법"Registered Patent No. 10-1595497 (registered on November 22, 2014) "Extraction mechanism of Dutch coffee and method of extracting Dutch coffee using it"
등록특허 제10-1302978호(2013.08.28. 등록) "일회용 액상 더치커피 및 그의 추출방법"Registration No. 10-1302978 (registered on Aug. 31, 2018) "Disposable liquid Dutch coffee and its extraction method"
하지만, 더치커피는 차가운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커피 본연의 향미성분을 우려내기 위해서는 긴 시간이 필요하며, 차가운 물을 한 방울씩 떨어뜨리면서 아주 오랜 시간에 걸쳐 소량씩 추출하도록 진행된다. 따라서, 저온의 추출기간이 오래 지속되어 세균 증식의 문제가 있으며, 여전히 카페인의 함량이 매우 높다는 문제점이 있어 선호도의 증가에 대한 한계에 직면한 상황이다. 또한, 더치커피는 클로로겐산, 마그네슘 등의 폴리페놀이 포함되어 항산화기능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높은 카페인 함량으로 인한 음용의 제한이 있어 충분한 폴리페놀을 섭취할 만큼 더치커피를 음용하는 것이 어려웠다. However, since hot coffee uses cold water, it takes a long time to worry about the original flavor of coffee, and it takes a long time to extract a small amount while dropping cold water by one drop.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of proliferation of bacteria due to prolonged extraction period of low temperature, and the content of caffeine is still very high. In addition, although Dutch coffee contains polyphenols such as chlorogenic acid and magnesium and has antioxidative functions, it has been difficult to drink enough coffee to consume enough polyphenols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drinking due to high caffeine content.
따라서 더치커피의 카페인 함량을 낮추면서도 폴리페놀 함량의 저감은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세균 증식 문제를 해결하여 유통기한을 늘릴 수 있는 더치커피 제조방법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Therefore, there is a growing need for a method for producing a Dutch coffee that can reduce the content of polyphenols while lowering the caffeine content of Dutch coffee, and solve the problem of bacterial growth and increase the shelf life.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본 발명은 카페인의 함량을 일반 더치커피에 비해 낮출 수 있고 폴리페놀의 저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더치커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ocess for producing Dutch coffee which can lower the content of caffeine compared with general Dutch coffee and minimize the reduction of polyphenol.
본 발명은 더치커피의 보존기간을 늘릴 수 있는 더치커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ocess for producing Dutch coffee which can increase the preservation period of Dutch coffee.
본 발명은 미네랄 함량을 높여 더치커피의 풍미를 증진시키고 건강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더치커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ocess for producing Dutch coffee which can increase mineral content and improve the flavor of hot coffee and improve health functionalities.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 구현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the following embodime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의 제조방법은 수소수를 커피분말에 통과시켜 더치커피를 추출하는 추출단계와, 상기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더치커피를 추출장치로부터 분리하여 보관하는 보관단계를 포함하여, 더치커피에 포함된 카페인 함량을 줄이면서도 폴리페놀 함량의 저감은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Dutch coff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the steps of: extracting hot coffee by passing hot water through coffee powder; separating the extracted hot coffee from the extraction device And a storage step for storing the caffeine, thereby reducing the caffeine content in the Dutch coffee while minimizing the reduction of the polyphenol conten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의 제조방법은 필터를 사용하여 수소수를 여과하는 여과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ducing a Dutch coff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filtration step of filtering hydrogen water using a filt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현무암 필터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for producing Dutch coff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is characterized in that a basalt filter is us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소수는 용존수소의 농도가 100~1500ppb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Dutch coff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ydrogen wat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entration of dissolved hydrogen is 100 to 1500 ppb.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의 제조방법은 수소기체를 물에 직접 용해하는 수소수제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utch coff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of producing hydrogen water by directly dissolving hydrogen gas in wat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추출단계는 상기 여과단계를 거친 수소수를 10초에 6~7방울의 속도로 0.3~0.5mm 굵기의 커피 분말가루에 떨어뜨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for producing a Dutch coff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ion step may be carried out in such a manner that hydrogenated water having passed through the filtration step is sprayed at a rate of 6 to 7 drops per 10 seconds to a diameter of 0.3 to 0.5 mm Coffee powd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의 제조방법은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되며, 상기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수소수가 담겨있는 물공급부; 상기 물공급부에 보관된 수소수가 커피가루를 통과하면서 더치커피가 추출되는 추출부; 및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된 커피가 모아지는 커피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부, 추출부 및 커피저장부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utch coff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by using 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wherein th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comprises: An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hot coffee while passing hydrogen through the coffee grounds; And a coffee storage part for collecting the coffee extracted from the extraction part, wherein the water supply part, the extraction part and the coffee storage part are made of ceramic.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는 물공급부를 통과하는 수소수를 여과하는 현무암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Dutch coff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y unit includes a basalt filter for filtering the hydrogen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는 수소수를 공급받는 상볼과, 상기 상볼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볼로부터 공급되는 수소수를 여과하는 여과부와, 상기 여과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여과된 수소수를 저장하는 하볼과, 상기 하볼과 추출부 사이에 형성되어 추출부로 공급되는 수소수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부는 복수의 현무암 알갱이가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볼로부터 공급되는 수소수가 현무암 알갱이와 접촉하면서 통과되도록 하는 현무암필터와; 상기 현무암필터의 현무암 알갱이를 수용하는 필터수용부와; 상기 필터수용부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현무암필터의 현무암 알갱이보다 작은 크기의 격자를 형성하는 메쉬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utch coff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water supply unit comprises: a phase ball supplied with hydrogen water; And a regulating valve formed between the bowl and the extracting unit to regulate the amount of the hydrogenated water supplied to the extracting unit, wherein the filtering unit comprises: A basalt filter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basalt grains are closely adhered to allow the hydrogen water supplied from the image ball to pass through contact with the basalt pellets; A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basalt grains of the basalt filter; And a mesh net formed below the filter receiving part to form a mesh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basalt grains of the basalt filt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는 상기 더치커피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tch coff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duced by the Dutch coffee making method.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by this embodiment.
본 발명은 카페인의 함량을 일반 더치커피에 비해 낮출 수 있고 폴리페놀의 저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content of caffeine can be lowered compared with that of general Dutch coffee and the reduction of polyphenol can be minimized.
본 발명은 추출용매인 수소수를 현무암필터로 여과하고, 세라믹으로 만든 더치커피 추출기구를 통해 추출함으로써 더치커피의 보존기간을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preservation period of the Dutch coffee by filtering the aqueous hydrogen peroxide, which is an extraction solvent, with a basalt filter and extracting it through 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made of ceramics.
본 발명은 추출용매인 수소수를 현무암필터로 여과시켜 미네랄 함량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mineral content by filtering hydrous water as an extraction solvent with a basalt fil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2는 도 1의 여과부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3은 도 2의 메쉬망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제조방법의 순서도
도 5는 실험예 1에 따른 카페인 함량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실험예 2에 따른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는 그래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ference view showing the filtration unit of FIG.
FIG. 3 is a view showing a mesh network of FIG. 2;
4 is a flow chart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Dutch coffe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graph showing the content of caffeine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1
6 is a graph showing the content of polyphenols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2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method for producing a Dutch coff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종래 더치커피는 오랜 시간 동안의 저온추출을 통해 일반 커피보다 오랫동안 맛과 풍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새로운 커피 추출방법으로 각광을 받았으나, 높은 카페인 함량과 세균 증식의 문제로 선호도의 증가가 주춤하고 있는 상황이다. Traditionally, Dutch coffee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new coffee extraction method by allowing it to maintain its taste and flavor for a long time than ordinary coffee by low temperature extraction for a long time. However, the increase of preference due to high caffeine content and bacterial growth is slow to b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더치커피의 용매로 수소수를 사용하여 종래 더치커피보다 우수한 맛과 풍미를 가지면서도 카페인의 함량을 낮출 수 있도록 하였으며, 카페인의 함량을 낮추면서도 폴리페놀의 함량이 저감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카페인에 의한 부작용을 막고 항산화기능 등을 갖는 폴리페놀의 충분한 섭취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현무암필터를 통해 수소수를 여과하도록 함으로써 세균 증식의 문제를 해결하고 더치커피의 보존기간을 늘릴 수 있도록 하였으며, 더치커피를 제조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세라믹으로 제조하도록 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으로 세균 증식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였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hydrogenated water as a solvent for Dutch coffee, it is possible to lower the content of caffeine while having a taste and flavor superior to that of conventional Dutch coffee, an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reduction of the content of polyphenols And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ide effects caused by caffeine and to have sufficient intake of polyphenols having antioxidant functions. In addition, by filtering the water through the basalt filter, the problem of bacterial growth can be solved and the preservation period of the Dutch coffee can be increased. By making the Dutch coffee extracting device for producing the Dutch coffee be made of ceramic, To solve the probl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더치커피 추출방법에 사용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수소수가 담겨있는 물공급부(1); 상기 물공급부(1)에 보관된 수소수가 커피가루를 통과하면서 더치커피가 추출되는 추출부(3); 상기 추출부(3)에서 추출된 커피가 모아지는 커피저장부(5) 및 상기 물공급부(1), 추출부(3), 커피저장부(5)를 지지하는 하우징(7);을 포함한다. 상기 물공급부(1), 추출부(3) 및 커피저장부(5)는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어 더치커피의 문제점인 세균 증식을 더욱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1 to 3, 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used in a Dutch coffee extrac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A water supply unit (1); An extracting
상기 물공급부(1)는 수소수를 공급받아 여과하며, 일정 속도로 상기 추출부(3)에 수소수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수소수의 공급을 통해 더치커피의 카페인 함량을 줄이며 폴리페놀의 함량의 저감을 최소화하고, 수소수를 여과하여 더치커피의 보존기간을 늘릴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물공급부(1)는 현무암필터(131)를 포함하여 수소수에 포함된 불순물 및 세균의 제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현무암필터(131)에 포함된 미네랄을 수소수에 공급하여 더치커피의 건강기능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상기 물공급부(1)는 수소수를 공급받는 상볼(11)과, 상기 상볼(11)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볼(11)로부터 공급되는 수소수를 여과하는 여과부(13)와, 상기 여과부(13)의 하측에 형성되어 여과된 수소수를 저장하는 하볼(15)과, 상기 하볼(15)과 추출부(3) 사이에 형성되어 추출부(3)로 공급되는 수소수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밸브(17)를 포함한다. The
상기 상볼(11)은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가장 상측에 형성되어 수소수를 공급받는 구성으로, 세라믹 재질의 일정 공간을 갖는 통으로 형성되며, 하측에는 상기 여과부(13)가 형성되어 상기 상볼(11)로부터 공급되는 수소수를 여과할 수 있도록 한다. The image ball 11 is formed at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nd is supplied with hydrogenated water and is formed of a barrel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of a ceramic material and the
상기 여과부(13)는 상기 상볼(11)과 하볼(15)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볼(11)에서 하볼(15)을 지나 추출부(3)로 공급되는 수소수를 여과하는 구성으로, 현무암필터로 형성되어 수소수에 포함된 불순물 및 세균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더치커피의 보존기간을 늘릴 수 있도록 하며, 더치커피에 풍부한 미네랄이 포함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여과부(1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현무암 알갱이가 밀착되어 수소수가 현무암 알갱이와 접촉하면서 통과되도록 하는 현무암필터(131)와; 상기 현무암필터(131)의 현무암 알갱이를 수용하는 필터수용부(133)와; 상기 필터수용부(133)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현무암필터(131)의 현무암 알갱이보다 작은 크기의 격자를 형성하는 메쉬망(135);을 포함한다. The
상기 현무암필터(131)는 상기 상볼(11)로부터 내려오는 수소수의 불순물 및 세균을 제거하고, 수소수에 미네랄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직경의 현무암 알갱이가 밀착되어 형성되도록 한다. 참고로, 현무암은 지하 100km 이상에서 1200 ∼ 1400℃의 마그마가 용출된 것으로 각종 미네랄이 풍부하며, 항균, 방충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더치커피의 추출 용매로 사용되는 수소수가 밀착된 현무암 알갱이 사이를 통과하여 지나가도록 함으로써 현무암에 의해 수소수에 포함된 불순물 및 세균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하고, 현무암에 포함된 미네랄이 수소수에 녹아들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더치커피의 오랜 시간 저온 추출에 따른 세균 증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더치커피의 보존기간을 늘릴 수 있도록 하고, 더치커피가 풍부한 미네랄을 포함할 수 있도록 하여, 미네랄에 따른 건강기능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며, 더치커피의 맛이 더욱 부드러워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현무암필터(131)의 현무암 알갱이는 상기 필터수용부(133)에 수용되며, 하측의 메쉬망(135)에 지지되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The
상기 필터수용부(133)는 상기 상볼(11) 및 하볼(15)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현무암필터(131)를 수용하며, 정확하게는 현무암 알갱이들을 수용하도록 한다. 상기 필터수용부(133)는 상기 현무암필터(131)를 감싸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현무암필터(131)의 현무암 알갱이가 밀착된 상태로 수용되고, 하측에는 상기 메쉬망(135)이 형성되어 현무암 알갱이를 지지한다. The
상기 메쉬망(135)은 상기 필터수용부(133)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현무암필터(131)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되는 복수의 공간을 갖는 격자형으로 형성되며, 현무암 알갱이보다 작은 크기의 격자, 즉 현무암 알갱이보다 작은 크기의 관통되는 공간을 갖도록 하여 현무암 알갱이는 빠져나가지 않고, 여과된 수소수만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The
상기 하볼(15)은 상기 여과부(13)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여과부(13)에 의해 여과된 수소수가 수용되는 구성으로, 세라믹재질로 형성되어 세균의 증식을 막도록 한다. 상기 하볼(15)에 수용된 수소수는 하측의 추출부(3)로 공급되어 더치커피가 추출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하볼(15)과 추출부(3)의 사이에는 조절밸브(17)가 형성되어 추출부(3)로 공급되는 수소수의 양,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The
상기 조절밸브(17)는 상기 하볼(15)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추출부(3)로 떨어지는 수소수의 양과 속도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10초에 6 ~ 7 방울의 속도로 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부(3)로 떨어지는 수소수의 속도를 너무 빠르게 할 경우에는 추출부(3)에서 수소수가 넘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수소수의 속도를 너무 느리게 할 경우에는 커피의 추출기간이 너무 길어지고 카페인의 함량이 과도하게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The
상기 추출부(3)는 상기 물공급부(1)의 하측에 형성되어 수소수를 공급받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커피가루가 채워져 수소수에 의해 더치커피가 추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추출부(3)에 채워지는 커피가루는 0.3 ~ 0.5mm의 직경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커피가루의 직경이 너무 작을 경우에는 추출부(3)의 물이 넘치거나 카페인의 함량이 과도하게 높아지는 문제가 있으며, 커피가루의 직경이 너무 클 경우에는 커피가 제대로 추출되지 않아 더치커피의 맛과 풍미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추출부(3)도 세라믹재질로 형성되어 세균의 증식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 The
상기 커피저장부(5)는 상기 추출부(3)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추출부(3)에 의해 추출된 더치커피를 수용하는 구성으로, 세라믹재질로 형성되어 세균의 증식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피저장부(5)는 상기 하우징(7)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별도의 용기에 추출된 더치커피를 담아 보관하도록 할 수 있고, 냉장보관 등을 통해 보존기간의 연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The
상기 하우징(7)은 상기 물공급부(1), 추출부(3) 및 커피저장부(5)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물공급부(1), 추출부(3) 및 커피저장부(5)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볼(11), 하볼(15), 추출부(3), 커피저장부(5) 등을 고정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7)은 상기 상볼(11), 하볼(15), 추출부(3), 커피저장부(5) 등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소수를 제조하는 수소수제조단계(S1), 필터를 사용하여 수소수를 여과하는 여과단계(S2), 상기 여과단계(S2)에서 여과된 수소수를 커피분말에 드랍시켜 더치커피를 추출하는 추출단계(S3), 상기 추출단계(S3)에서 추출된 더치커피를 추출장치로부터 분리하여 보관하는 보관단계(S7)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4, the Dutch coffee extrac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S1) of producing hydrogenated water to produce hydrogenated water, a filtering step (S2) for filtering hydrogenated water using a filter, An extracting step S3 of dropping the filtered coffee by dropping the filtered water in the step S2 into a coffee powder, a storing step S7 of storing the extracted hot coffee separated from the extracting device in the extracting step S3, .
상기 수소수제조단계(S1)는 물속에 수소 기체가 포함된 물을 제조하는 과정으로, 전기분해를 통하여 물속에 수소가 포함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불순물의 함유를 최소화화기 위하여 수소를 직접 물에 주입하여 용해되도록 한다. 상기 수소수제조단계(S1)에서 제조되는 수소수는 수소기체(H2)의 용존농도가 최소 100ppb에서 최대 1500ppb 사이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여과단계(S2)에서 현무암필터에 의해 여과된다.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제조방법은 상기 수소수제조단계(S1)에서 제조된 수소수를 더치커피의 추출 용매로 사용함으로써 더치커피의 동일한 맛과 풍미를 유지하면서 카페인의 함량을 낮출 수 있도록 한다. 수소수를 통해 카페인의 함량을 낮출 수 있는 것은 수소수가 풍부한 전자를 보유하고 있고, 공유결합을 하고 있는 카페인에 전자를 제공함으로써 카페인의 부족한 전자를 채워주기 때문이다. 또한, 수소수를 통해 카페인의 함량을 낮추면서도 항산화기능을 갖는 폴리페놀의 저감은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더치커피를 통해 충분한 폴리페놀의 섭취가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카페인의 섭취는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종래에는 더치커피의 카페인 함량이 높아 더치커피를 통해 건강에 도움이 될 만큼의 폴리페놀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많은 양의 카페인을 섭취해야 했고, 오히려 카페인에 의한 부작용이 더욱 컸으나,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더치커피는 수소수를 사용하여 카페인의 함량을 줄이면서도 폴리페놀의 저감은 최소화했기 때문에 건강에 도움이 될 만큼의 폴리페놀을 섭취하고도 카페인에 의한 부작용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hydrogen-producing step (S1) is a process for producing hydrogen-containing water in water. Hydrogen may be included in the water through electrolysis. In order to minimize the content of impurities, hydrogen is directly injected into water To dissolve. The hydrogen water produced in the hydrogen-producing step (S1) preferably has a dissolved concentration of hydrogen gas (H 2 ) between 100 ppb and 1500 ppb at a minimum, and is filtered by a basalt filter in the filtering step (S2) . The method of manufacturing Dutch coff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reduce the content of caffeine while maintaining the same taste and flavor of Dutch coffee by using the hydrogenated water produced in the hydrolysis water producing step (S1) as an extracting solvent for Dutch coffee. The ability to lower the caffeine content through hydrogen peroxide has electrons that are rich in hydrogen and provide electrons to the caffeine that is covalently bonded, thereby filling the caffeine's deficient electron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reduction of polyphenols having antioxidative functions while lowering the content of caffeine through the use of hydrogenated water, thereby enabling the intake of sufficient polyphenols through the Dutch coffee, while minimizing the intake of caffeine do. In other words, in the past, the content of caffeine in Dutch coffee was high, so it was necessary to consume a large amount of caffeine in order to consume sufficient amount of polyphenol to help health through the coffee, and the adverse effect due to caffeine was larger. Dutch coffee produced by using hot water to reduce the content of caffeine, while minimizing the reduction of polyphenols, so that the intake of enough polyphenols to help health can reduce the side effects of caffeine.
상기 여과단계(S2)는 상기 수소수제조단계(S1)에서 제조된 수소수를 여과하여 수소수의 불순물 및 세균을 제거하고, 미네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여과단계(S2)는 상기 수소수제조단계(S1)에서 제조된 수소수가 필터를 통과하면서 여과될 수 있도록 하며, 여기서 필터는 현무암필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현무암 알갱이를 이용하여 현무암필터를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수소수가 현무암필터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수소수에 포함된 불순물 및 세균을 제거하도록 하며, 또한 현무암에 포함된 미네랄이 수소수에 녹아들도록 하여 더치커피의 건강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In the filtration step (S2), the hydrogen water produced in the hydrogen-producing step (S1) is filtered to remove impurities and germs from the hydrogen-containing water and supply minerals. In the filtering step S2, the hydrogen water produced in the hydrogen-producing step S1 may be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wherein the filter is preferably applied with a basalt filt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basalt filter is formed using basalt grains, and the hydrogen is passed through a basalt filter to remove impurities and germs contained in hydrogen peroxide. In addition, the minerals contained in the basalt are dissolved in hydrogen peroxid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improve the health functionalities of Dutch coffee.
상기 추출단계(S3)는 상기 여과단계(S2)를 거친 수소수를 커피 분말에 떨어뜨려 더치커피가 추출되도록 하는 과정으로, 수소수를 10초에 6 ∼ 7 방울의 속도로 떨어뜨리도록 하며, 커피 분말가루의 굵기는 0.3 ∼ 0.5mm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수소수가 떨어지는 속도가 너무 빠르거나 커피 분말가루의 굵기가 작은 경우에는 물이 넘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커피 분말가루의 크기가 0.5mm보다 큰 경우에는 커피의 추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맛과 풍미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The extracting step (S3) is a step of dropping the hot water through the filtering step (S2) to the coffee powder so that the coffee is extracted. The water is dropped at a rate of 6 to 7 drops per 10 seconds,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coffee powder be 0.3 to 0.5 mm. If the rate of dropping hydrogen is too fast or the thickness of the coffee powder is small, the water will overflow. If the size of the coffee powder is larger than 0.5 mm, the coffee is not properly extracted and the taste and flavor There is a falling problem.
상기 보관단계(S4)는 상기 추출단계(S3)에서 추출된 더치커피를 추출장치로부터 분리하여 별도의 용기에 보관하도록 하는 단계로, 상기 추출장치의 커피저장부(5)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여 더치커피를 별도의 용기에 담도록 한다. 따라서, 더치커피의 냉장보관 등을 실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더치커피의 보존기간을 더욱 늘릴 수 있다. The storing step S4 is a step of separating the extracted hot coffee extracted in the extracting step S3 from the extracting device and storing the extracted hot coffee in a separate container. Th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는 상기 더치커피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utch coffe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duced by the Dutch coffee production method.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However, these are only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 1>≪ Example 1 >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추출부(3)에 케냐 AA / 예가체프로 블렌딩된 원두 500g을 넣고, 차가운 수소수 3100mL를 물공급부(1)에 공급하여 12시간 동안 더치커피를 추출함. 1) As shown in FIG. 1, 500 g of coffee beans blended with Kenya AA / Example is put into an extracting
2) 이때,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현무암필터(131)를 갖는 물공급부(1)를 포함하고, 상볼(11), 하볼(15), 추출부(3) 및 커피저장부(5)는 세라믹재질로 형성됨. At this time, th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includes a
<비교예 1>≪ Comparative Example 1 &
1) 실시예 1과 동일한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추출부(3)에 케냐 AA / 예가체프로 블렌딩된 원두 500g을 넣고, 차갑게 정수된 물 3100mL를 물공급부(1)에 공급하여 12시간 동안 더치커피를 추출함. 1) 500 g of a bean-blended coffee bean in the Kenya AA / Example was added to the
2) 실시예 1과 같이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현무암필터(131)를 갖는 물공급부(1)를 포함하고, 상볼(11), 하볼(15), 추출부(3) 및 커피저장부(5)는 세라믹재질로 형성됨.2)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includes a
<비교예 2>≪ Comparative Example 2 &
1) 실시예 1과 동일한 더치커피 추출장치에서 현무암필터(131) 없이 수소수를 공급하도록 하고, 추출부(3)에 케냐 AA / 예가체프로 블렌딩된 원두 500g을 넣고, 차가운 수소수 3100mL를 물공급부(1)에 공급하여 12시간 동안 더치커피를 추출함. 1) In the sam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s in Example 1, the drinking water was supplied without the
2) 이때의 물공급부(1)는 현무암필터(131)를 포함하지 않으며, 수소수가 그대로 추출부(3)에 공급되도록 함. 또한, 상기 상볼(11), 하볼(15), 추출부(3) 및 커피저장부(5)는 세라믹재질로 형성됨. 2) At this time, the
<비교예 3>≪ Comparative Example 3 &
1) 실시예 1과 동일한 더치커피 추출장치에서 상볼(11), 하볼(15), 추출부(3) 및 커피저장부(5)가 유리재질로 형성되도록 하며, 추출부(3)에 케냐 AA / 예가체프로 블렌딩된 원두 500g을 넣고, 차가운 수소수 3100mL를 물공급부(1)에 공급하여 12시간 동안 더치커피를 추출함. 1) In the sam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s in the
2) 실시예 1과 같이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현무암필터(131)를 갖는 물공급부(1)를 포함하나, 상볼(11), 하볼(15), 추출부(3) 및 커피저장부(5)는 유리재질로 형성됨.2) As in the case of
<비교예 4>≪ Comparative Example 4 &
1) 실시예 1과 동일한 더치커피 추출장치에서 현무암필터(131) 없이 차갑게 정수된 물을 공급하도록 하며, 상볼(11), 하볼(15), 추출부(3) 및 커피저장부(5)가 유리재질로 형성됨. 1) In the sam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s in Example 1, the water 11, the
2) 추출부(3)에 케냐 AA / 예가체프로 블렌딩된 원두 500g을 넣고, 차갑게 정수된 물 3100mL를 물공급부(1)에 공급하여 12시간 동안 더치커피를 추출함. 2) 500 g of the beans blended with Kenya AA / EXA chef is added to the extraction part (3), and 3100 mL of coldly purified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art (1) to extract the Dutch coffee for 12 hours.
<실험예 1> 카페인 함량 평가Experimental Example 1 Evaluation of caffeine content
1)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추출된 더치커피를 사용함. 1) Using the Dutch coffee extracted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2)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첨가물공정 중 카페인 분석법에 준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카페인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이때, 카페인 표준품 0.1g을 정밀히 달아 물에 녹여 100mL로 한 액을 표준원액으로 하며, 표준원액을 물로 희석하여 100μg/mL가 되도록 한 액으로 표준용액으로 함. 측정파장 280nm의 자외가시부검출기를 사용하였으며, 칼럼은 Capcell Pak C18(4.6mm x 250mm x 5μm)로 하였고, 이동상은 메탄올 : 초산 : 물의 비율이 20 : 1 : 79가 되도록 하였으며, 유속은 1.0mL/분으로, 주입량은 10μL로 하였음. 2) The caffeine content of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was measured in accordance with the caffeine analysis method in the food additive process of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t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nd 0.1 g of the caffeine standard product was precisely weighed and dissolved in water to make 100 ml. Dilute the standard stock solution with water to make it 100μg / mL. Use this solution as the standard solution. Was used as the UV-visible detector of bitter measurement wavelength 280nm, the column was with Capcell Pak C 18 (4.6mm x 250mm x 5μm), mobile phase was methanol: acetic acid: water ratio of 20: 1: 79 was such that, the flow rate was 1.0 mL / min, and the injection volume was 10 μL.
3)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대하여 각 3회의 카페인 함량 측정 실험을 실시한 결과는 아래 표 1과 같으며, 이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도 5와 같음. 3) The measurement results of caffeine content of each of 3 times for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are shown in Table 1 below, and are shown in FIG. 5 as a graph.
실시예 1
Example 1
114.57
114.57
비교예 1
Comparative Example 1
200.89
200.89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평균 카페인 함량은 114.57mg/100mL이고, 비교예 1의 평균 카페인 함량은 200.89mg/100mL로 실시예 1의 평균 카페인 함량이 비교예 1보다 43%나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수소수를 사용하여 더치커피를 추출할 경우 일반 정수된 물을 사용하는 것보다 카페인 함량이 매우 낮은 더치커피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Table 1, the average caffeine content of Example 1 was 114.57 mg / 100 mL, the average caffeine content of Comparative Example 1 was 200.89 mg / 100 mL, and the average caffeine content of Example 1 was 43% lower than that of Comparative Example 1 .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when extracting Dutch coffee using hydrogenated water, it is possible to produce a Dutch coffee having a very low caffeine content, compared to using ordinary purified water.
<실험예 2> 폴리페놀 함량 평가≪ Experimental Example 2 > Evaluation of polyphenol content
1)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추출된 더치커피를 사용함.1) Using the Dutch coffee extracted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2) 에탄올추출물 1㎖에 9㎖ 증류수와 1㎖의 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를 넣고 5분간 반응시킨 뒤 7% NaCO 10㎖와 증류수 4㎖를 첨가하였다. 그 후 상온에서 90분간 방치시킨 뒤, UV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750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gallic acid(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를 이용하여 표준곡선(y = 0.003x+0.0055, r2=0.9679)을 작성하여 폴리페놀을 측정하였음.2) To 1 ml of ethanol extract, add 9 ml of distilled water and 1 ml of 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 react for 5 minutes, add 10 ml of 7% NaCO and 4 ml of distilled water.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a wavelength of 750 nm using a UV spectrophotometer, and the absorbance was measured using a standard curve (y = 0.003x) using gallic acid (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 by creating a +0.0055, r 2 = 0.9679) measured hayeoteum polyphenols.
3)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대하여 각 3회의 폴리페놀 함량 측정 실험을 실시한 결과는 아래 표 2와 같으며, 이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도 6과 같음. 3) The results of polyphenol content measurement for each of Example 3 and Comparative Example 1 were as shown in Table 2 below, and are shown in FIG. 6 as a graph.
실시예 1
Example 1
76.28
76.28
비교예 1
Comparative Example 1
81.69
81.69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평균 폴리페놀 함량은 75.28mg/100mL이고, 비교예 1의 평균 폴리페놀 함량은 84.36mg/100mL로 실시예 1의 평균 폴리페놀 함량이 비교예 1보다 불과 6%정도 밖에 떨어지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실험예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수소수를 더치커피의 추출용매로 사용함으로써 카페인의 함량을 43%나 낮추면서도 폴리페놀 함량은 6%만 감소되도록 하여 더치커피를 많이 마시더라도 폴리페놀의 충분한 섭취를 통해 항산화 활성을 가지면서 카페인에 의한 부작용은 줄일 수 있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Table 2, the average polyphenol content of Example 1 was 75.28 mg / 100 ml, the average polyphenol content of Comparative Example 1 was 84.36 mg / 100 ml, and the average polyphenol content of Example 1 was only 6 % Of the total. Therefore, as shown in Experimental Example 1, by using hydrogenated water as the extraction solvent for Dutch coffee, the content of polyphenol is reduced by only 6% while the content of caffeine is reduced by 43% It is possible to reduce side effects caused by caffeine while having antioxidant activity through ingestion.
<실험예 3> 세균수 측정실험≪ Experimental Example 3 >
1)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추출된 더치커피를 사용함. 1) Using Dutch coffee extracted from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2) 표준평판배양법(식품공전, 2010)을 이용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추출된 더치커피를 1개월 동안 상온에서 보관한 후, 더치커피의 10배, 100배 희석액을 각각 멸균된 standard methods agar(Difco) 위에 0.1mL씩 접종하여 35℃에서 24~48시간 배양한 후 생성된 집락을 세어 1평판 당 30~300개의 집락을 생성한 평판을 택하여 colony 수를 센 후 희석배율을 곱하여 일반세균수를 산출하였음. 2) The Dutch coffee extracted from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was stored at room temperature for one month using a standard plate culture method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010), and 10 times and 100 times diluted solutions of Dutch coffee were respectively added After incubation at 35 ° C for 24-48 hours on sterilized standard methods agar (Difco), cultures were incubated for 24-48 hours. The colonies were counted to produce 30-300 colonies per plate. The colonies were counted and diluted The number of general bacteria was calculated by multiplying by the magnification.
3)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4의 더치커피를 1개월 동안 상온에서 보관한 후, 일반세균수를 측정한 결과는 아래 표 3과 같음. 3) The Dutch coffees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were stored at room temperature for 1 month, and the number of general bacteria was measured as shown in Table 3 below.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온에서 한 달 동안 보관된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3의 세균수는 45cfu/mL로 커피의 미생물 규격인 100cfu/mL 이하로 유지되었으며, 현무암필터를 사용하고,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며, 수소수를 사용한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더치커피의 세균수가 가장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현무암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유리로 된 추출장치에 일반 정수된 물을 사용하여 더치커피를 추출한 비교예 4의 경우 기준치보다 15배 이상의 세균이 검출되었으며, 현무암필터만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2에서 가장 높은 세균수를 기록하였는바, 현무암필터의 세균 제거 효과가 가장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으며, 세라믹재질의 더치커피 추출장치, 수소수 순으로 세균 제거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Table 3, the number of bacteria of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3 stored at room temperature for one month was 45 cfu / mL, which was maintained at 100 cfu / mL or less, which is the microorganism standard of coffee. , Ceramic material, and the number of bacteria in the Dutch coffee prepared in Example 1 using hydrogenated water was the smallest.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4 in which Dutch coffee was extracted by using the purified water in a glass-made extraction device without using a basalt filter, bacteria that were 15 times or more than the reference value were detected, and Comparative Example 2 , It was found that the most effective bacteria removal effect of the basalt filter was obtained, and it was found that it is effective to remove the bacterial bacteria in the order of the hot coffee extracting device of the ceramic material and the water treatment.
식약처 기준에 따르면, 더치커피는 3개월의 유통기한을 갖고 있으나, 오랜 시간의 추출과 숙성과정으로 3개월 전에도 기준치 이상의 세균이 검출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는 상기 실험예 3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the phytosanitary standard, Dutch coffee has a shelf life of 3 months, but a long time extraction and aging process had a problem of detecting bacteria above a reference value even three months before, which can be confirmed through Experimental Example 3.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제조방법에 따라 더치커피를 제조할 경우 세균의 제거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n addition, it has been found that the Dutch coff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cellent effect for removing bacteria when producing Dutch coffee.
<실험예 4> 관능실험<Experimental Example 4> Sensory test
1) 관능실험은 20인의 패널을 모집하여 실험목적을 설명하고 검사방법과 각 특성치에 대하여 교육을 실시한 후 시행하였다. 1) The sensory test was carried out after explaining the purpose of the experiment by recruiting panel of 20 people and conducting the test method and each characteristic value.
2)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추출된 더치커피를 사용하였다. 2) Dutch coffee extracted from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was used.
3) 평가항목으로는 맛, 풍미, 텍스쳐, 종합적인 기호도를 사용하였고, 5점 척도법으로 매우 좋으면 5점, 매우 나쁘면 1점으로 평가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아래 표 4와 같다. 3) The evaluation items were taste, flavor, texture, general preference, 5 points scale, 5 points for very good and 1 point for very poor.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below.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은 비교예 1에 비하여 월등한 맛과 풍미를 갖는 것을 알 수 있어, 수소수를 사용하여 더치커피를 제조함으로써 더치커피의 쓴 맛을 줄이고 맛과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은 비교예 2에 비하여 풍미와 텍스쳐가 크게 향상됨을 알 수 있어, 현무암필터를 사용함에 따라 현무암의 미네랄이 더치커피에 추출되어 더치커피가 부드러운 질감을 갖고 풍미가 향상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은 비교예 3에 비하여 맛, 풍미, 텍스쳐,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큰 차이는 없으나 다소 높은 점수를 기록한 것으로 보아, 세라믹 재질의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통해 불순물 및 세균을 억제하여 깔끔한 맛과 풍미, 텍스쳐를 갖도록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은 비교예 4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매우 높은 점수를 기록하였으며, 수소수를 사용하여 더치커피의 맛과 풍미를 향상시키고, 현무암필터 및 세라믹 재질의 추출장치를 사용하여 더치커피의 풍미, 질감을 향상시키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더치커피의 선호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Table 4, it can be seen that Example 1 has superior taste and flavor as compared with Comparative Example 1, and the bitter taste of Dutch coffee is reduced by producing hydrogenated coffee using hydrogenated water, and taste and flavor Can be improved.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flavor and texture are greatly improved in Example 1 as compared with Comparative Example 2, and the minerals of basalt are extracted in the hot coffee by using the basalt filter so that the hot coffee has smooth texture and the flavor is improved Able to know. In Example 1,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aste, flavor,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but it was somewhat higher than that of Comparative Example 3. As a result, a ceramic coffee material extracting device inhibits impurities and bacteria, Flavor, texture, and so on. In addition, Example 1 recorded a very high score overall as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4, and the taste and flavor of Dutch coffee was improved by using hydrogen peroxide. Using the extracting device of basalt filter and ceramic material, the flavor, So that the preference of the Dutch coffee can be greatly improved as a whole.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longing to the scope.
: 물공급부
11: 상볼 13: 여과부
131: 현무암필터 133: 필터수용부 135: 메쉬망
15: 하볼 17: 조절밸브
3: 추출부
5: 커피저장부
7: 하우징
S1: 수소수제조단계
S2: 여과단계
S3: 추출단계
S4: 보관단계: Water supply
11: ball 13:
131: basalt filter 133: filter receiving part 135: mesh network
15: Havol 17: Regulating valve
3:
5: Coffee storage
7: Housing
S1: Hydrophobic production step
S2: filtration step
S3: extraction step
S4: Archive step
Claims (10)
상기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수소수가 담겨있는 물공급부; 상기 물공급부에 보관된 수소수가 커피가루를 통과하면서 더치커피가 추출되는 추출부; 및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된 커피가 모아지는 커피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부는, 수소수를 공급받는 상볼과, 상기 상볼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볼로부터 공급되는 수소수를 여과하는 여과부와, 상기 여과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여과된 수소수를 저장하는 하볼과, 상기 하볼과 추출부 사이에 형성되어 추출부로 공급되는 수소수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부는, 복수의 현무암 알갱이가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볼로부터 공급되는 수소수가 현무암 알갱이와 접촉하면서 통과되도록 하는 현무암필터와; 상기 현무암필터의 현무암 알갱이를 수용하는 필터수용부와; 상기 필터수용부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현무암필터의 현무암 알갱이보다 작은 크기의 격자를 형성하는 메쉬망;을 포함하며,
상기 물공급부, 추출부 및 커피저장부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의 제조방법. The method comprising: an extraction step of passing hydrogenated water through a coffee powder to extract a Dutch coffee; and a storage step of separating the Dutch coffee extracted in the extraction step from the extraction device and storing the caffeine content in the Dutch coffee, A method of producing a Dutch coffee that minimizes the reduction of the phenol content is carried out using 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Th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comprises:
A water supply portion containing hydrogen water; An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hot coffee while passing hydrogen through the coffee grounds; And a coffee storage part for collecting the coffee extracted from the extraction part,
The water supply unit includes a filter for filtering the hydrogen water supplied from the nozzle, a filter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for filtering the filtered water, And an adjusting valve formed between the bowl and the extracting unit to adjust the amount of the hydrogenated water supplied to the extracting unit,
Wherein the filter unit is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basalt grains are closely adhered to allow passage of the hydrogen water supplied from the image ball in contact with the basalt pellets; A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basalt grains of the basalt filter; And a mesh net formed below the filter receiving part to form a mesh of a size smaller than the basalt grains of the basalt filter,
Wherein the water supply unit, the extracting unit, and the coffee storage unit are made of ceramic.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5141A KR101859738B1 (en) | 2016-04-12 | 2016-04-12 | A Method for Manufacturing Dutch Coffe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5141A KR101859738B1 (en) | 2016-04-12 | 2016-04-12 | A Method for Manufacturing Dutch Coffe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6891A KR20170116891A (en) | 2017-10-20 |
KR101859738B1 true KR101859738B1 (en) | 2018-05-21 |
Family
ID=60299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45141A Expired - Fee Related KR101859738B1 (en) | 2016-04-12 | 2016-04-12 | A Method for Manufacturing Dutch Coffe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5973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15492B1 (en) | 2021-01-07 | 2023-03-29 | 주식회사 알시넷 | Leaching method for manufacturing of ice brew coffee |
KR102323349B1 (en) | 2021-04-26 | 2021-11-09 | 주식회사 알시넷 | Agitated coffee maker equipped with ice water chamber |
CN116212709B (en) * | 2023-02-26 | 2024-10-22 | 西北工业大学 | A device, method and application for preparing polymer drag reducing solutio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077649B2 (en) * | 2012-06-12 | 2017-02-08 | エーエスエムエル ネザーランズ ビー.ブイ. | Photon source, measurement apparatus, lithography system,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
-
2016
- 2016-04-12 KR KR1020160045141A patent/KR10185973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077649B2 (en) * | 2012-06-12 | 2017-02-08 | エーエスエムエル ネザーランズ ビー.ブイ. | Photon source, measurement apparatus, lithography system,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더치커피/지천애 등업신청합니다.", 네이버 카페, http://cafe.naver.com/vellong/1734(2016.01.0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6891A (en) | 2017-10-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59738B1 (en) | A Method for Manufacturing Dutch Coffee | |
DK2844082T3 (en) | PROCEDURE FOR PREPARING A BEVERAGE OR FOOD PRODUCT WITH REDUCED CALORIES | |
CN103897917B (en) | The preparation method of dry red winew | |
US20190316216A1 (en) | Sugar solution and liquid sweetener and bee feed using same | |
US20070224332A1 (en) | Bottleable green tea beverage | |
KR102185967B1 (en) | A method of producing Bigleaf hydrangea tea, Extracts and Concentrate thereof | |
KR20100049182A (en) | Process of an herbal drink tea of chrysanthemum | |
CN1658780A (en) | Anaerobic tea steeper and method of use | |
KR101859737B1 (en) | A Method for Manufacturing Dutch Coffee | |
KR20080055477A (en) | Pomegranate liquor using pomegranate juice and pear pure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KR20090055545A (en) | Method of making functional pear wine | |
KR101548525B1 (en) | Mixture beverage of fruits and vegetables containing Momordica charantia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KR101804061B1 (en) | Tea for tea bag using fermented Nelumbinis Semen having mental and physical rest effect | |
US20240292799A1 (en) | Medical hemp cultivar cherry king | |
CN112314756A (en) | A kind of preparation method of jasmine tea beverage | |
CN112358923A (en) | Preparation method of jasmine flower beer | |
KR20120001892U (en) | Tobacco leaf win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CN108949479B (en) | Production method of after-ripening green plum wine | |
KR101541518B1 (en) | Saccharomyces cerevisiae GBY1 Yeast for Fermentation of Wine with Berries Fruit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Berries Fruits Wine Using Fermentation | |
KR101631848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dutch coffee | |
JP5465493B2 (en) | Heat-resistant acidophilic bacterial growth inhibitor, heat-resistant acidophilic bacterial growth inhibitory method, and method for producing containerized acidic food and drink | |
KR20230017055A (en) | Heukharang lettuce concentra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CN113583786A (en) | Aronia melanocarpa fruit wine and fermentation process thereof | |
CN105647758A (en) | Rose-containing sparkling win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CN104830617A (en) | Method for producing watermelon red w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712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5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12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6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21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01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12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6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5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5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