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591B1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적화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적화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59591B1 KR101859591B1 KR1020110118895A KR20110118895A KR101859591B1 KR 101859591 B1 KR101859591 B1 KR 101859591B1 KR 1020110118895 A KR1020110118895 A KR 1020110118895A KR 20110118895 A KR20110118895 A KR 20110118895A KR 101859591 B1 KR101859591 B1 KR 1018595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ssage
- terminal
- power
- base station
- related inform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leader and terminal is follow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leader and terminal is follower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leader and terminal is follower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controlling a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history or models of usage information, e.g. activity schedule or time of da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73—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transmission pow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DRX 개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 1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4는 실시 예 2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5는 실시 예 3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Claims (30)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 최적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선호 전력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지시하는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현재 선호 전력 관련 정보가 이전의 선호 전력 정보와 다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메시지와 관련된 타이머가 구동 중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선호 전력 관련 정보가 상기 이전의 선호 전력 정보가 다르고 상기 타이머가 구동 중이 아닌 경우, 상기 현재 선호 전력 정보가 포함된 상기 메시지를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전력 소모 최적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는 상기 메시지가 전송되면 시작되거나 재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전력 소모 최적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전송할 데이터가 없는 경우, 상기 메시지를 전송할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전력 소모 최적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무선 자원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전력 소모 최적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선호 전력 관련 정보는, 미리 설정된 불연속 수신 동작 비활성화 타이머 값, 불연속 수신 동작 사이클 값, 및 탐지구간 타이머 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전력 소모 최적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메시지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선호 전력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전력 관련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전력 소모 최적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데이터 채널을 통해 상기 기지국에게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전력 소모 최적화 방법. - 삭제
- 삭제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소모를 최적화하는 단말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되고, 기지국으로부터 선호 전력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지시하는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현재 선호 전력 관련 정보가 이전의 선호 전력 정보와 다른지 여부를 판단하고, 메시지와 관련된 타이머가 구동 중인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현재 선호 전력 관련 정보가 상기 이전의 선호 전력 정보가 다르고 상기 타이머가 구동 중이 아닌 경우, 상기 현재 선호 전력 정보가 포함된 상기 메시지를 기지국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는 상기 메시지가 전송되면 시작되거나 재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이 전송할 데이터가 없는 경우 상기 메시지를 전송할 것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 제10항에 있어서,
선호 전력 관련 정보는, 미리 설정된 불연속 수신 동작 비활성화 타이머 값, 불연속 수신 동작 사이클 값, 및 탐지구간 타이머 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메시지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선호 전력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전력 관련 설정을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데이터 채널을 통해 상기 기지국에게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무선 자원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전력 소모 최적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의 선호 전력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지시하는 설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설정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의 현재 선호 전력 관련 정보가 상기 단말의 이전 선호 전력 관련 정보가 다르고, 메시지와 관련된 타이머가 구동 중이 아닌 경우,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선호 전력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전력 소모 최적화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는 상기 메시지가 전송되면 시작되거나 재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전력 소모 최적화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전송할 데이터가 없는 경우, 상기 메시지가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전력 소모 최적화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무선 자원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전력 소모 최적화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선호 전력 관련 정보는, 미리 설정된 불연속 수신 동작 비활성화 타이머 값, 불연속 수신 동작 사이클 값, 및 탐지구간 타이머 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전력 소모 최적화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의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의 전력 관련 설정은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선호 전력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전력 소모 최적화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데이터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전력 소모 최적화 방법.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소모를 최적화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되고, 단말의 선호 전력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지시하는 설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설정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고, 상기 단말의 현재 선호 전력 관련 정보가 상기 단말의 이전 선호 전력 관련 정보가 다르고, 메시지와 관련된 타이머가 구동 중이 아닌 경우,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선호 전력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는 상기 메시지가 전송되면 시작되거나 재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전송할 데이터가 없는 경우, 상기 메시지가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무선 자원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 제24항에 있어서,
선호 전력 관련 정보는, 미리 설정된 불연속 수신 동작 비활성화 타이머 값, 불연속 수신 동작 사이클 값, 및 탐지구간 타이머 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시지의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단말의 전력 관련 설정은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선호 전력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데이터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41391410P | 2010-11-15 | 2010-11-15 | |
US61/413,914 | 2010-11-15 | ||
US201161484645P | 2011-05-10 | 2011-05-10 | |
US61/484,645 | 2011-05-1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52179A KR20120052179A (ko) | 2012-05-23 |
KR101859591B1 true KR101859591B1 (ko) | 2018-05-21 |
Family
ID=46084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18895A Active KR101859591B1 (ko) | 2010-11-15 | 2011-11-15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적화하는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3) | US9100913B2 (ko) |
EP (2) | EP2642799B1 (ko) |
KR (1) | KR101859591B1 (ko) |
ES (1) | ES2799894T3 (ko) |
WO (1) | WO2012067406A2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595892B2 (en) | 2019-08-14 | 2023-02-2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nfiguring terminal based on state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313747B2 (en) * | 2011-07-01 | 2016-04-12 | Intel Corporation | Structured codebook for uniform circular array (UCA) |
KR102247818B1 (ko) * | 2011-08-10 | 2021-05-04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
KR101967721B1 (ko) | 2011-08-10 | 2019-04-10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확장 접속 차단 적용 방법 및 장치 |
EP3429307B1 (en) | 2011-08-10 | 2022-06-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using a multi-carri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KR101990134B1 (ko) | 2011-08-10 | 2019-06-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듀얼 모드 단말의 성능 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
KR102092579B1 (ko) | 2011-08-22 | 2020-03-24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주파수 밴드 지원 방법 및 장치 |
JP6324319B2 (ja) | 2012-01-09 | 2018-05-16 |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ロギング方法及び装置 |
US9414409B2 (en) | 2012-02-06 | 2016-08-0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on multiple carrier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US9008025B2 (en) * | 2012-03-13 | 2015-04-14 | Lg Electronics Inc. | Method of controlling transmit power of 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
CN104205895B (zh) * | 2012-03-19 | 2018-07-13 | 诺基亚技术有限公司 | 用于建立提供网络辅助信息的条件的方法和设备 |
WO2013187693A1 (ko) * | 2012-06-12 | 2013-12-1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작은 크기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
US9693306B2 (en) * | 2012-07-11 | 2017-06-27 | Blackberry Limited | Mechanisms to support UE power preference signaling |
GB2504701A (en) * | 2012-08-06 | 2014-02-12 | Nec Corp | Determining current state of a mobile device |
EP2901577B1 (en) * | 2012-09-28 | 2017-11-29 | Intel Corporation | Communication of preferred power consumption configurations |
CN105122863A (zh) * | 2013-01-18 | 2015-12-02 | 联发科技股份有限公司 | 小小区网络中rlm以及rlf机制的处理 |
KR102045332B1 (ko) * | 2013-03-26 | 2019-11-1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랜을 이용해서 트래픽을 오프 로드하는 방법 및 장치 |
WO2014169460A1 (en) * | 2013-04-18 | 2014-10-23 |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 Method and ue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to base station, and method and base station for establishing connection with ue |
KR102151456B1 (ko) * | 2013-09-17 | 2020-09-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단말의 전력 소모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
CN104581897B (zh) | 2013-10-21 | 2019-08-23 | 南京中兴新软件有限责任公司 | 功率控制方法、装置及基站 |
US9497771B2 (en) | 2014-04-18 | 2016-11-15 | Apple Inc. | Deterministic RRC connections |
US9906977B2 (en) | 2014-04-18 | 2018-02-27 | Apple Inc. | Deterministic RRC connections |
US10375646B2 (en) * | 2014-04-18 | 2019-08-06 | Apple Inc. | Coordination between application and baseband layer operation |
WO2015170009A1 (en) * | 2014-05-09 | 2015-11-12 | Nokia Technologies Oy |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user equipment power saving mode configuration to a network |
US10869271B2 (en) * | 2014-06-16 | 2020-12-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Terminal and base station for controlling a connection state |
JP6813481B2 (ja) * | 2015-05-15 | 2021-01-13 | 京セラ株式会社 | 無線端末及び基地局 |
US10342063B2 (en) * | 2015-05-19 | 2019-07-02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Activation of DRX parameters |
US10735166B2 (en) | 2015-05-29 | 2020-08-04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System and method of UE-centric radio access procedure |
JP6587846B2 (ja) * | 2015-07-03 | 2019-10-09 | 株式会社Nttドコモ | ユーザ装置、及び間欠受信制御方法 |
US20170019820A1 (en) * | 2015-07-17 | 2017-01-19 | Qualcomm Incorporated | Enhancements for discontinuous rece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
US10165605B2 (en) * | 2015-08-27 | 2018-12-25 | Qualcomm Incorporated | Discontinuous receive for contention-based radio access technologies |
GB201602150D0 (en) * | 2016-02-05 | 2016-03-23 | Nec Corp | Communication system |
CN105960006B (zh) * | 2016-05-04 | 2019-08-02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功耗调节方法、装置和移动终端 |
EP3473053A1 (en) | 2016-06-17 | 2019-04-24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Soft discontinuous reception (soft drx) |
US10813028B2 (en) | 2016-07-21 | 2020-10-20 | Kt Corporation | Method for performing mobility process of NB-IoT terminal, and apparatus therefor |
US10440691B2 (en) | 2016-09-30 | 2019-10-08 | Kt Corporation | Method for controlling connection status of UE and apparatus thereof |
US10410568B2 (en) * | 2017-06-04 | 2019-09-10 | Apple Inc. | Long-term history of display intensities |
KR20200134236A (ko) | 2018-03-20 | 2020-12-01 |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
WO2020034283A1 (en) * | 2018-09-07 | 2020-02-20 | Zte Corporation |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configuring a discontinuous rece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
EP4005263A1 (en) * | 2019-07-26 | 2022-06-01 | Sony Group Corporation | Network configuration for monitoring an open spectrum |
CN113016222A (zh) * | 2019-09-30 | 2021-06-22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信号接收方法、终端设备 |
EP3993548B1 (en) | 2019-11-15 | 2025-07-23 |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 Random access problem report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
US20230422171A1 (en) * | 2022-06-28 | 2023-12-28 |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 Power management for wireless device loss prevention and discovery |
US12267775B2 (en) | 2022-06-28 | 2025-04-01 | SanDisk Technologies, Inc. | Wireless device loss prevention and discovery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90238098A1 (en) * | 2008-03-21 | 2009-09-24 | Zhijun Cai | Method and system for the indication of long drx in a wireless network |
US20100144299A1 (en) * | 2007-03-09 | 2010-06-10 | Nec Corporation | Discontinuous reception/transmission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829227B1 (en) * | 2000-10-27 | 2004-12-07 | Lucent Technologies Inc. | Dual polling media access control protocol for packet data in fix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
US8094595B2 (en) * | 2005-08-26 | 2012-01-10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et communications in wireless systems |
KR101208271B1 (ko) | 2006-03-07 | 2012-12-05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셀룰라 시스템에서의 단말기 저전력 소모 동작 방법 |
KR100938754B1 (ko) | 2006-10-30 | 2010-01-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비연속 수신을 이용한 데이터 수신 및 전송 방법 |
US7957360B2 (en) * | 2007-01-09 | 2011-06-07 | Motorola Mobility, Inc. | Method and system for the support of a long DRX in an LTE—active state in a wireless network |
JP5583975B2 (ja) | 2007-02-06 | 2014-09-03 | ノキア コーポレイション | 効率的な不連続通信を提供する方法及び装置 |
EP1973355A1 (en) * | 2007-03-19 | 2008-09-24 | Nokia Siemens Networks Gmbh & Co. Kg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mode timers |
US8023467B2 (en) * | 2007-04-27 | 2011-09-20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DRX operation during handover in LTE |
KR101501770B1 (ko) | 2007-09-21 | 2015-03-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방법 및 장치 |
WO2009091303A1 (en) * | 2008-01-17 | 2009-07-23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Method and arrangement for handling a radio recei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TWI378675B (en) * | 2008-03-21 | 2012-12-01 | Sunplus Mmobile Inc | Method for avoiding unnecessary excessive stay of short cycle in discontinuous reception mechanism |
KR101642309B1 (ko) * | 2008-11-06 | 2016-07-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단말의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 |
US9167617B2 (en) * | 2009-06-26 | 2015-10-20 | Koninklijke Philips N.V. | Method for communicating in a mobile network implementing discontinuous reception |
US8743802B2 (en) * | 2010-11-08 | 2014-06-03 | Blackberry Limited | Allocating wireless resources |
-
2011
- 2011-11-15 WO PCT/KR2011/008707 patent/WO2012067406A2/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11-15 KR KR1020110118895A patent/KR101859591B1/ko active Active
- 2011-11-15 ES ES16197751T patent/ES2799894T3/es active Active
- 2011-11-15 EP EP11841915.9A patent/EP2642799B1/en active Active
- 2011-11-15 US US13/885,652 patent/US9100913B2/en active Active
- 2011-11-15 EP EP16197751.7A patent/EP3145252B1/en active Active
-
2015
- 2015-10-05 US US14/875,650 patent/US9629081B2/en active Active
- 2015-10-05 US US14/875,569 patent/US9629087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00144299A1 (en) * | 2007-03-09 | 2010-06-10 | Nec Corporation | Discontinuous reception/transmission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US20090238098A1 (en) * | 2008-03-21 | 2009-09-24 | Zhijun Cai | Method and system for the indication of long drx in a wireless network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595892B2 (en) | 2019-08-14 | 2023-02-2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nfiguring terminal based on state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9100913B2 (en) | 2015-08-04 |
ES2799894T3 (es) | 2020-12-22 |
US20160037451A1 (en) | 2016-02-04 |
EP3145252A1 (en) | 2017-03-22 |
KR20120052179A (ko) | 2012-05-23 |
EP2642799A2 (en) | 2013-09-25 |
EP2642799A4 (en) | 2015-09-16 |
US9629087B2 (en) | 2017-04-18 |
US20130235780A1 (en) | 2013-09-12 |
US20160029310A1 (en) | 2016-01-28 |
EP2642799B1 (en) | 2016-12-21 |
WO2012067406A2 (ko) | 2012-05-24 |
WO2012067406A3 (ko) | 2012-07-19 |
US9629081B2 (en) | 2017-04-18 |
EP3145252B1 (en) | 2020-05-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59591B1 (ko)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적화하는 방법 및 장치 | |
US11696198B2 (en) |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handove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US9635615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power consumption of a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US9107190B2 (en) | Discontinuous reception for multi-component carrier system | |
US20140295820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vely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KR102221332B1 (ko)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파워 헤드룸 보고 및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 |
JP2012508501A (ja) |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不連続受信制御方法及び装置 | |
KR20150018531A (ko)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 |
KR20080067293A (ko)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의역방향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 |
KR20140074161A (ko) | 서로 다른 주파수 밴드의 시분할 이중화 셀들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장치 | |
KR20130090804A (ko)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 |
CN112954733A (zh) | 由用户设备执行的方法及用户设备 | |
KR20080067273A (ko)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의역방향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1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10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11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9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5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5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