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8179B1 - Wireless charge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Wireless charger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58179B1 KR101858179B1 KR1020160130552A KR20160130552A KR101858179B1 KR 101858179 B1 KR101858179 B1 KR 101858179B1 KR 1020160130552 A KR1020160130552 A KR 1020160130552A KR 20160130552 A KR20160130552 A KR 20160130552A KR 101858179 B1 KR101858179 B1 KR 1018581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main body
- wireless charging
- power
- mobile pho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provisions for charging different types of batteries
-
- H02J7/0054—
-
- H02J7/025—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7—Mid-cons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무선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운전석과 센터콘솔 사이의 틈에 끼워 고정하고, 상부 안치부에는 휴대폰을 경사지게 안치시켜 시거백과 연결에 의해 무선충전이 이루어지게 하고, 휴대폰이 안치되는 경사면은 운전자를 향하게 형성하여 운전자가 핸드폰을 들지 않아도 화면 확인이 가능하게 하는 등 편의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무선충전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er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charger for a vehicle, which is fixedly inserted into a gap between a driver's seat and a center conso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wireless charger that improves convenience, for example, by making the inclined surface facing a driver and enabling a driver to check a screen without lifting a mobile phone.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무선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운전석과 센터콘솔 사이의 틈에 끼워 고정하고, 상부 안치부에는 휴대폰을 경사지게 안치시켜 시거백과 연결에 의해 무선충전이 이루어지게 하고, 휴대폰이 안치되는 경사면은 운전자를 향하게 형성하여 운전자가 핸드폰을 들지 않아도 화면 확인이 가능하게 하는 등 편의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무선충전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er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charger for a vehicle, which is fixedly inserted into a gap between a driver's seat and a center conso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wireless charger that improves convenience, for example, by making the inclined surface facing a driver and enabling a driver to check a screen without lifting a mobile phone.
차량의 내부에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는 휴대물품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콘솔박스가 구비되고, 상기 콘솔박수의 내부에는 간단한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근래에는 USB커넥터 및 사용자의 휴대폰 등을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 리드선 커넥터 등이 구비된다.Inside the vehicle, there is provided a console box for storing portable items between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s seat. A storage space for storing simple items is provided inside the console's clapper. In recent years, And a charging lead wire connector for charging the battery.
일반적으로 콘솔박스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콘솔 바디는 콘솔박스 전방부에 운전자가 차량의 주행속도를 조작하기 위한 변속레버가 설치되는 변속레버 설치구가 구비되고, 상기 변속레버 설치구와 상기 콘솔 박스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콘솔 바디에는 사용자의 음료 용기를 수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컵 홀더가 구비된다. 이러한 차량구조에는 시거잭 소켓이 구비되어 있어 충전기기의 시거잭을 차량 시거잭소켓에 장착하고 충전기기를 커넥터로 핸드폰과 연결하여 차량내 핸드폰충전이 가능하게 한다. In general, a console body configured to include a console box includes a shift lever mounting portion provided at a front portion of the console box with a shift lever for allowing a driver to manipulate the running speed of the vehicle, and is provided between the shift lever mounting portion and the console box The console body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cup holder for receiving a user's beverage container. Such a vehicle structure is equipped with a cigar jack socket so that the cigar jack of the charging device is mounted in the cigar jack socket of the vehicle and the charger is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with the connector, thereby enabling the charging of the mobile phone in the vehicle.
최근에는 스마트폰이 광범위한 소비자층을 확보하면서 스마트폰의 사용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에 전자기 유도 방식(Electro magnetic induction)에 의한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이 가능하도록 충전코일부를 구비하여 차량의 전원부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무선 충전할 수 있는 기술이 상용화되고 있는 추세이다.In recent years, as a smartphone has acquired a wide range of consumers and usage of the smartphone has increased, the smartphone is equipped with a charging coil portion so that the smartphone battery can be charged by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A technology capable of charging a smart phone wirelessly is being commercialized.
이러한 무선충전기는 대다수 거치대를 이용하여 안치하기 때문에 무선충전기와 핸드폰의 커넥터의 연결과정은 생략할 수 있으나, 핸드폰을 거치대에 고정시키는 과정은 수행해야 되므로 번거로움이 있었다. Since the wireless charger is installed using most of the cradles,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wireless charger and the connector of the mobile phone can be omitted, but the process of fixing the mobile phone to the cradle is troublesome.
이에 자동차업계에서는 출시되는 신차에 옵션사항으로 콘솔박스 내부나 전후 방향에 무선충전홈을 형성하여 별도의 충전기가 없어도 핸드폰을 안치하여 무선충전이 이루어지는 기능을 제공하여 편의성을 강화하고 있다. As a result, the automobile industry is enhancing the convenience by provid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by embedding a cell phone in the console box or by forming a wireless charging groov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s an option for a new car to be launched.
하지만 이미 출시된 차량의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같이 별도로 무선충전기를 장착해야만 무선충전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핸드폰을 거치대에 고정시키는 번거로운 과정을 수행해야 한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already-released vehicle, the wireless charging function can be used only when the wireless charger is separately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erform the troublesome process of fixing the mobile phone to the cradle.
한국등록특허 제10-1502943호(2015.03.10.등록; 이하 '선행문헌1'이라 함)에는 차량의 무선 충전용 고정 장치 및 이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센터 콘솔 조립체를 제시하였다. 상기 선행문헌1의 센터 콘솔 조립체는, 운전석과 조수석을 구획하도록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배치되고, 후방부에 콘솔 박스가 결합되며, 전방부에 쉬프트 레버가 구비된 콘솔 바디와; 상기 콘솔 바디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무선 충전을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하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콘솔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무선충전용 고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충전용 고정 수단은, 상기 삽입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를 상기 콘솔 바디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와; 회동되는 동작으로 상기 삽입부를 개폐시키는 회동 커버와; 상기 회동 커버에 구비되고, 상기 회동 커버에 의하여 상기 삽입부를 차폐시킬 때 상기 삽입부의 위치를 표시하는 인디게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및 회동 커버가 상기 콘솔 바디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결합부에 대하여 착탈이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상기 선행문헌1은 콘솔바디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기존 차량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게 한 것이나, 충전과정에서 운전자가 화면을 확인할 수 없으며, 시동을 켜지 않고 충전시 차량 배터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방전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502943 (hereinafter referred to as "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72108호(2015.06.29.공개; 이하 '선행문헌2'이라 함)에는 차량의 컵홀더에 구비되는 무선충전장치를 제시하였다. 상기 선행문헌2는, 차량에 구비되는 컵홀더; 및 상기 컵홀더 내부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피충전 디바이스를 상기 컵홀더 내부에 고정되도록 유지하며, 무선으로 상기 피충전 디바이스에 전력을 전달하는 무선충전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컵홀더에 구비되는 무선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문헌2의 무선충전장치는 컵홀더 내에 일체로 구성되는 차량 출고시 구비된 구성으로, 이미 출시된 차량에는 무선충전기능을 제공하기 어려우며, 시동을 켜지 않고 충전시 차량 배터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방전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5-0072108 (published on June 29, 2015;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2") discloses a wireless charging device provided in a cup holder of a vehicle. The prior art document 2 includes a cup holder provided in a vehicle; And a wireless charging pad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cup holder for holding the device to be charged in the cup holder and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device to be charged wirelessly,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provided in the holder.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of the prior art document 2 is provided at the time of shipment, which is integrally formed in a cup holder. It is difficult to provide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for a vehicle that has already been released. Since the vehicle battery is used for charging without turning on the ignition, There is a drawback to be able to.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85607호(2016.07.18.공개; 이하 '선행문헌3'이라 함)에는 무선충전기를 제시하였다. 상기 선행문헌3은, 경사지게 배치되며, 충전 대상 기기를 지지하기 위한 거치대; 상기 거치대에 장착되며, 상기 충전 대상 기기를 무선 충전하기 위한 전송 코일; 상기 거치대의 하측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충전 대상 기기의 하측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무선충전기에 대한 것이다. 상기 선행문헌3은 안착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충전과정에서도 외부에서 핸드폰 화면을 확인할 수 있는 구조를 제기하고 있으나, 차량에는 차량 내부 구성 중 평평한 부분에 부착시키는 형태로 제공되거나 차량 내부구성에 일체로 사출하는 구성으로만 제시되고 있으며, 시동을 켜지 않고 충전시 차량 배터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방전위험이 있다.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6-0085607 (published on Jul. 18, 2018;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3") proposes a wireless charger. The prior art document 3 includes a holder for supporting the device to be charged, which is disposed obliquely; A transmission coil mounted on the cradle for wirelessly charging the charging target device; And an insertion unit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cradle and capable of inserting a lower end of the device to be charged.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document 3 discloses a structure in which a seat surface is inclined so that a mobile phone screen can be checked from the outside even in a charging process. However, the vehicle may be provided in a form of attaching to a flat portion of the vehicle interior structure, And there is a risk of discharging because the vehicle battery is used during charging without turning on the ignition.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무선충전기는,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eless charger for a vehicle,
무선충전기능이 없는 차량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무선충전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충전과정에서도 핸드폰 화면을 쉽게 확인 할 수 있는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providing a device that can easily install the wireless charging function in a vehicle without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and can easily check the screen of the mobile phone even during the charging process.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 시동을 켜지 않은 상태에서도 자동차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고 핸드폰을 일정시간 충전시킬 수 있는 보조배터리가 포함된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including an auxiliary battery capable of charging a mobile phone for a predetermined time without using an automobile battery even when the vehicle is not turned on.
상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무선충전기는,The vehicle wireless charg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차량내에 설치되는 핸드폰 무선충전기에 있어서, 핸드폰이 거치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박스형태로, 내부 수용공간에는 안치되는 핸드폰의 액정화면이 상부로 향하게 하는 경사면을 갖는 안치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 안치부의 경사면에 설치되는 무선충전패드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서 외부로 전원선을 연장하고 전원선 단부에 형성된 시거잭을 차량소켓에 결합하여 차량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연결라인과; 상기 본체를 차량에 거치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1. A wireless charger for a mobile phone installed in a vehicle, the wireless charger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box shape having a housing space in which a mobile phone is placed, the housing having an inclined surface with a liquid crystal screen facing upward; A wireless charging pad installed on an inclined surface of the main body unit; A power supply connection line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the outside and connected to the vehicle socket by connecting the cigar jack formed at the end of the power line to the vehicle power supply; And fixing means for mounting the main body on the vehicle.
상기 고정수단은, 센터콘솔과 운전석 사이 틈에 끼워서 고정되도록 본체의 일측면에서 하부로 연장된 하부연장판이거나, 센터콘솔의 일측에 걸어놓을 수 있도록 본체 일측면에 하나 또는 다수개의 고정고리일 수 있다. The fixing means may be a lower extension plate extending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inserted into a gap between the center console and the driver's seat or may be a one or a plurality of fixing rings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have.
또한, 상기 무선충전패드의 하부는 본체 안치부와 회동가능하도록 힌지로 결합되고, 무선충전패드와 접하는 안치부 면에는 보조배터리를 장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 장착된 보조배터리는 전원연결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전원연결라인은 라인상에 제어스위치를 설치하여 차량전원을 무선충전패드 또는 보조배터리로 공급하거나, 보조배터리의 전원을 무선충전패드로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lower por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pad is hing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a receiving groove for mounting the auxiliary battery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ireless charging pad, and the auxiliary battery And the power connection line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switch on the line to supply the vehicle power to the wireless charging pad or the auxiliary battery or to control the supply of the auxiliary battery to the wireless charging pad .
또한, 상기 무선충전패드는 상부 방향으로 인출가능한 연장거치부가 더 구비되어 핸드폰 안치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연장거치부의 상부면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인출된 부분은 안치되는 핸드폰과 마찰력을 증가시키고, 무선충전패드 본체 내부로 내입된 부분은 무선충전패드 본체 내부면과 접촉되어 마찰력을 증가시키게 한다. In addition, the wireless rechargeable pad may further include an extendable retractable portion that can be retracted in an upward direction, thereby increasing a cell phone's rest area, and a coating layer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extended retention portion to increase frictional force with the retracted mobile phone , The portion of the wireless recharging pad which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wireless recharging pad body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차량용 무선충전기는, The vehicle wireless charg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
운전석 또는 조수석과 센터콘솔 사이의 틈에 끼우거나 센터콘솔에 거는 것으로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어 용이하게 차량에서의 무선충전 기능을 활용할 수 있으며, 충전중에도 핸드폰화면을 확인 가능하게 하였다. 특히 보조배터리를 탈착 가능하게 내장하여 차량 운행중 충전이 이루어지고 차량 시동 정지시 차량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아도 보조배터리를 통해 핸드폰의 무선충전이 이루어지게 하거나 보조배터리의 휴대가 가능하게 하는 편의성을 강화시킨 장치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It can easily be mounted by being inserted into a gap between the driver's seat or the passenger's seat and the center console or by being hooked to the center console so that the wireless charging function in the vehicle can be easily utilized and the screen of the mobile phone can be checked even during charging. Especially, it is equipped with detachable auxiliary battery so that charging can be performed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and the battery can be recharged through the auxiliary battery without using the vehicle battery when the vehicle is stopped, or the auxiliary battery can be carried It has become possible to provid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충전기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배터리가 내설된 무선충전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주요부 상태에 따른 충전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6a와 도 6b은 본 발명에 따른 연장거치부를 구비한 무선충전패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및 단면도.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wireless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of a wireless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ireless char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ireless charger incorporating an auxili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to 5C are block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harging process according to a main part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wireless charging pad with an extension mou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충전기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고, 도 2는 단면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eless charg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참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기(10)는 수용공간(21)을 갖는 박스형태의 본체(20)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무선충전패드(30)와, 차량 전원공급원인 배터리와 연결되는 전원연결라인(40)과, 본체를 차량에 거치시키는 고정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본체(20)는 도시된 바와같은 상부가 개구된 사각박스 형태를 갖는 것으로, 핸드폰만 안치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하거나, 일측에는 핸드폰을 안치하고 다른 부분에는 기타 수납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할 수 있다. The
이러한 본체(20)는 내부 수용공간(21)에 핸드폰을 안치하되 안치된 핸드폰을 경사지게 배치하는 경사면(221)을 갖는 안치부(22)가 형성된다. 상기 안치부(22)의 경사면은 운전자가 운전석에 앉아서 무선충전기에 안치된 핸드폰을 봤을 때 핸드폰의 액정화면이 보일 수 있도록 경사를 갖게 한 것으로, 후술되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무선충전기(10)가 운전석 시트(80)와 센터콘솔(70) 사이의 틈에 장착될 때 운전자가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러한 본체 내부 경사면(221)의 경사각은 수평면을 기준으로 30~70°의 각도로 형성하여 액정화면이 운전자를 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무선충전패드(30)는 전원을 공급받으면 전자기 유도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하는 코일부를 내장하여 근처에 안치된 핸드폰의 무선충전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무선충전패드는 핸드폰이 안착되는 것을 감지하는 스위치를 추가로 구성하여 핸드폰이 안치될 때만 차량전원을 공급받아 자기장이 유도되게 할 수 있다. When the
상기 전원연결라인(40)은 차량의 배터리와 연결되는 소켓과 결합되는 시거잭(41)과, 상기 시거잭과 무선충전패드를 연결시키는 전원선(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원선(42)은 본체 안치부의 내부공간을 활용하여 스프링에 의해 권취되도록 구성하여 필요한 길이만큼만 풀림이 이루어져 차량소켓에 시거잭을 연결하게 함으로써 전원선이 늘어나서 운전과정 또는 차량 내부 활동시 걸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상기 고정수단(50)은, 본체(20)의 일측면에서 하부로 연장된 하부연장판(5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연장판(51)은 본체와 일체로 구성되되 본체 하부로 연장구성되어 차량의 센터콘솔(70)과 운전석 또는 조수석 시트(80) 사이의 틈에 끼워서 고정이 이루어지게 함으로 부착과정없이 간단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연장판(51)은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하나 또는 다수개의 탄성재질의 볼록부를 형성하여 끼워지는 차량의 틈 폭에 대해 대응되도록 하여 볼록부의 탄성변형 폭 내에서 견고한 장착이 가능하다. The fixing means 50 may include a lower extension plate 51 extending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또한, 도 3을 참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무선충전기의 고정수단(50)은 고정고리(52)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고정고리는 센터콘솔(70)의 양측면 벽 중 상부로 돌출된 부분에 걸릴수 있도록 후크형태로 형성되며, 본체 측면에 하나 또는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3, the fastening means 50 of the wireless charg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fastener 52. The fixing ring may be formed in a hook shape so as to be hooked on a portion protruding from an upper portion of both side walls of the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50)이 형성된 본체측면은 안치부의 경사면이 상부가 향하는 방향이 아닌 경사면 후방에 위치하는 본체 측면에 하부연장판을 형성하거나 고정고리를 형성하여 경사면 후방에 위치하는 본체 측면 부분이 센터콘솔에 접하거나 근접되도록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on which the fixing means 50 is formed is formed with a lower extension plate on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located behind the inclined surface rather than the upward direction of the inclined surface of the cushioning portion, It is preferable to be mount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or close to the center console.
아울러 본 발명의 무선충전기의 무선충전패드(30)는 본체 안치부(22)와 분리구성하여 회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도 4를 참조한 바와같이, 무선충전패드(30)의 하부는 본체 안치부(22)와 힌지(31)결합되어 있어 힌지를 중심으로 무선충전패드(30)가 회동해 안치부(22)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4, the lower part of the
이와같이 개방된 안치부(22)에는 수용홈을 형성하여 보조배터리(60)가 장착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보조배터리(60)는 일반적으로 상용화된 보조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으며, 전원연결라인과 커넥터를 이용하여 연결된다. In the thus-opened
또한, 전원연결라인(40)에는 라인상에 제어스위치(43)를 설치하여 전원연결라인을 통한 전원의 공급방향을 제어하게 할 수 있다. 즉, 차량 배터리의 전원을 무선충전패드나 보조배터리로 공급되게 하거나, 보조배터리의 전원을 무선충전패드로 공급되게 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도 5a를 참조한 바와같이, 보조배터리(60)가 안치부의 수용홈에 장착되고, 무선충전패드(30)에 핸드폰을 안치한 상태에서 차량 시동을 켜면 차량 배터리의 전원은 무선충전패드(30)로 공급하여 핸드폰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5A, if the
도 5b를 참조한 바와같이 보조배터리(60)가 안치부의 수용홈에 장착되고, 무선충전패드(30)에 핸드폰이 안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 시동을 켜면 차량 배터리의 전원은 보조배터리(60)로 공급되어 보조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지게 한다.Referring to FIG. 5B, when the
상기 핸드폰이나 보조배터리 충전시 충전이 완료되면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과잉충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 5a의 상태에서 핸드폰의 충전이 완료되어 무선충전패드(30)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면 제어스위치(43)는 차량 배터리의 전원을 보조배터리(60)로 공급하여 충전이 이루어지게 하며, 보조배터리(60)의 충전까지 완료되면 최종적으로 전원공급이 차단하게 한다.When the charging of the mobile phone or the auxiliary battery is completed, the supplied power may be cut off to prevent the excessive charging. When the charging of the mobile phone is completed and the supply of power to the
또한, 도 5c를 참조한 바와같이 차량 시동이 꺼져 있고 보조배터리(60)는 안치부의 수용홈에 장착된 상태에서 무선충전패드(30)에 핸드폰을 안치하면, 제어스위치(43)는 보조배터리(60)의 전원을 무선충전패드(30)로 공급하여 차량 배터리의 전원공급이 없어도 핸드폰의 무선충전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5C, when the vehicle is turned off and the
또한, 보조배터리를 구성하므로, 차량 실내에서 벗어날 때 무선충전패드를 회동시켜 안치부를 개방시킨 다음 보조배터리를 분리하여 휴대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uxiliary battery is configured, when the user moves out of the vehicle interior, the wireless charging pad is rotated to open the seat portion and then the auxiliary battery can be separated and carried.
도 6a와 도 6b를 참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무선충전패드(30)는 상부방향으로 인출되는 연장거치부(3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거치부(33)는 무선충전패드(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평소에는 내부로 인입되어 있다가 크기가 큰 핸드폰 안치시 연장거치부를 상부로 표출시켜 무선충전패드의 안치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핸드폰을 안정적으로 안치할 수 있게 한 것이다.As shown in FIGS. 6A and 6B, the
이러한 연장거치부(33)는 무선충전패드의 후면 부분에 상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연장거치부와 무선충전패드의 접하는 측면에는 어느 일측에 홈을 형성하고 타측에 홈에 대응되는 돌기를 형성하여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하 슬라이딩 이동만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extended mounting
또한, 연장거치부(33)는 무선충전패드에 인출되어 상부로 노출되는 상부면에 미끄럼방지 수지로 코팅된 코팅층(32)을 형성하여 외부로 표출되었을 때에는 핸드폰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로 인입되었을 때에는 무선충전패드의 본체 후면과 접촉에 의해 마찰을 발생시켜 연장거치부(33)가 쉽게 표출되거나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32)이 무선충전패드의 본체 후면과 접촉에 의한 마찰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코팅층 면에 다수의 볼록부를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볼록부는 도트 형태의 볼록하게 형성하거나 세로 또는 가로 무늬 또는 격자 무늬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xtended mounting
이러한 코팅층 형성으로 연장거치부를 원하는 길이만큼 표출시켜 고정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핸드폰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무선충전패드의 거치면 조절이 가능하다.The formation of such a coating layer allows the extension cradle to be fixed and displayed by a desired length, so that the placement of the wireless charging pad can be adjusted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various mobile phones.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기는 차량 내의 센터콘솔과 운전석 또는 보조석의 시트 사이 틈에 끼우거나, 센터콘솔에 거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장착이 가능하다. The wireless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easily mounted in such a manner that it is sandwiched between a center console in a vehicle and a seat of a driver's seat or an assistant seat, or is hooked to a center console.
또한, 본체의 안치부는 안치되는 핸드폰의 액정화면이 운전자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하여 핸드폰 충전중에도 액정화면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can be inclined so that the liquid crystal screen of the cell phone facing the driver faces the driver, so that the contents of the liquid crystal screen can be checked even while the mobile phone is being charged.
또한, 본체 안치부에 보조배터리를 내장하여 차량시동을 켠 상태에서는 차량배터리로 핸드폰이나 보조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고, 차량시동을 끈 상태에서도 보조배터리의 전원을 통해 핸드폰의 무선충전이 가능하게 하는 장치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harge mobile phone or auxiliary battery with car battery when vehicle start is on with built-in auxiliary battery in main body side part, and enable wireless charging of mobile phone through power of auxiliary battery even when vehicle is turned off It becomes possible to provide a device.
10 : 무선충전기
20 : 본체
21 : 수용공간 22 : 안치부
221 : 경사면
30 : 무선충전패드
31 : 힌지 32 : 코팅층
33 : 연장거치부
40 : 전원연결라인
41 : 시거잭 42 : 전원선
43 : 제어스위치
50 : 고정수단
51 : 하부연장판 52 : 고정고리
60 : 보조배터리
70 : 센터콘솔
80 : 시트10: Wireless charger
20:
21: accommodation space 22:
221: slope
30: Wireless charging pad
31: Hinge 32: Coating layer
33: extension holder
40: Power connection line
41: Cigar Jack 42: Power line
43: control switch
50: Fixing means
51: lower extension plate 52: retaining ring
60: auxiliary battery
70: Center console
80: sheet
Claims (6)
핸드폰이 거치되는 수용공간(21)을 갖는 박스형태로, 내부 수용공간에는 안치되는 핸드폰의 액정화면이 상부로 향하게 하는 경사면을 갖는 안치부(22)가 형성된 본체(20)와;
상기 본체 안치부(22)의 경사면에 설치되고, 하부는 본체 안치부(22)와 힌지(31)결합하여 힌지결합부분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무선충전패드(30)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서 외부로 전원선을 연장하되 상기 전원선은 안치부 내부공간에서 스프링에 의해 권취되어 필요한 길이만큼 풀림에 의해 연장되도록 하고, 전원선 단부에 형성된 시거잭을 차량소켓에 결합하여 차량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연결라인(40)과;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서 하부로 연장된 하부연장판(51)을 더 형성하여 하부연장판이 센터콘솔(70)과 운전석 시트(80) 사이 틈에 끼워서 본체를 차량에 거치시키는 고정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본체에는 무선충전패드와 접하는 안치부(22) 면에는 수용홈을 형성하여 보조배터리(60)가 장착되게 하고,
상기 수용홈에 장착된 보조배터리(60)는 전원연결라인(40)과 연결되고,
상기 전원연결라인(40)은 라인상에 제어스위치(43)를 설치하여 차량전원을 무선충전패드(30) 또는 보조배터리(60)로 공급하거나, 보조배터리의 전원을 무선충전패드로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선충전기.A wireless charger for a mobile phone installed in a vehicle,
A main body 20 in the form of a box having a housing space 21 in which a mobile phone is placed, the housing 20 having a slanted surface 22 on which a liquid crystal screen of the mobile phone is oriented upward;
A wireless charging pad 30 mounted on an inclined surface of the main body side portion 22 and coupled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side portion 22 so as to be pivotable about a hinge connection portion by being engaged with the hinge 31;
A power source line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the outside such that the power source line is wound by a spring in an inner space of the mouth portion so as to be extended by loosening by a necessary length and a cigar jack formed on a power line end portion is coupled to a vehicle socket, A power supply connection line 40 to which power is supplied;
A fixing means 50 for forming a lower extension plate 51 extending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lower extension plate is inserted into the gap between the center console 70 and the driver's seat 80 to mount the main body on the vehicle; , ≪ / RTI >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on the face of the face portion 22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wireless charging pad to mount the auxiliary battery 60,
The auxiliary battery 60 mounted in the receiving groove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connection line 40,
The power connection line 40 is provided with a control switch 43 on a line to supply vehicle power to the wireless charging pad 30 or the auxiliary battery 60 or to supply the power of the auxiliary battery to the wireless charging pa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vehicle.
상기 고정수단(50)은 센터콘솔(70)의 일측에 걸어놓을 수 있도록 본체 일측면에 하나 또는 다수개의 고정고리(52)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선충전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means (50) further comprises one or a plurality of fixing rings (52)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hung on one side of the center console (70).
상기 무선충전패드(30)는 상부 방향으로 인출가능한 연장거치부(33)가 더 구비되어 핸드폰 안치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선충전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reless charging pad (30)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xtended mounting portion (33) that can be drawn out in an upward direction, thereby increasing the cell phone mounting area.
상기 연장거치부(33)는 상부면에 코팅층(32)이 더 형성되어 상부에서 인출된 부분은 핸드폰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고, 무선충전패드 본체 내부로 내입된 부분은 무선충전패드 본체 내부면과 접촉되어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선충전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extended extension portion 33 has a coating layer 3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so that the portion drawn out from the upper portion increases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mobile phone, Thereby increasing the frictional for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0552A KR101858179B1 (en) | 2016-10-10 | 2016-10-10 | Wireless charger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0552A KR101858179B1 (en) | 2016-10-10 | 2016-10-10 | Wireless charger for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39354A KR20180039354A (en) | 2018-04-18 |
KR101858179B1 true KR101858179B1 (en) | 2018-05-15 |
Family
ID=62082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30552A Active KR101858179B1 (en) | 2016-10-10 | 2016-10-10 | Wireless charger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5817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77541A (en) | 2023-06-20 | 2024-12-27 | 김인호 | Sealed Charging Case for Smartphone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1929B1 (en) * | 2018-12-03 | 2020-08-06 | 더가우스 주식회사 | Wireless charging cellular phone cradle with auto sliding holder |
KR20200129924A (en) | 2019-05-10 | 2020-11-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holder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car |
KR102225222B1 (en) * | 2019-08-07 | 2021-03-09 | 주식회사 한국아트라스비엑스 | Lead-acid battery to prevent self-discharge through wireless charging |
CN113928695A (en) * | 2021-11-25 | 2022-01-14 | 东莞利富高塑料制品有限公司 | Storing box with function of charging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7404B1 (en) * | 2008-06-05 | 2010-08-24 | 주식회사 이랜텍 | Portable charging device |
-
2016
- 2016-10-10 KR KR1020160130552A patent/KR10185817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7404B1 (en) * | 2008-06-05 | 2010-08-24 | 주식회사 이랜텍 | Portable charging devic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77541A (en) | 2023-06-20 | 2024-12-27 | 김인호 | Sealed Charging Case for Smartphon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39354A (en) | 2018-04-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58179B1 (en) | Wireless charger for vehicle | |
JP6056651B2 (en) | Mobile terminal adapter | |
EP3170241B1 (en) | Cellular telephone charger | |
US8922354B2 (en) | External haptic generato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US7868585B2 (en) | Wireless charging device | |
US8816636B2 (en) | Console door pocket for electronic devices | |
US20130038280A1 (en) | Apparatus for securing a rechargeable electronic device with respect to a surface of a wireless battery charging apparatus of a vehicle | |
KR200477762Y1 (en) | Cradle of smart phone | |
KR101443007B1 (en) | Mobile Device Cradle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 |
KR101708690B1 (en) | Cradle Assembly available to connect with Portable Device for Vehicles | |
KR102239310B1 (en) | cup holder for vehicle | |
KR20140146854A (en) | Apparatus for wireless charging battery in vehicles | |
KR102045078B1 (en) | Cup holder combined with supporter of portable terminal | |
KR20150033305A (en) | System for Cup Holder of Vehicle with Wireless Electric Power Charge Function | |
KR101879551B1 (en) | A mounting means of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1502943B1 (en) | Apparatus to fix a mobile device for wireless charging battery and Center Console assembly including same-thing for vehicles | |
CN204774981U (en) | Charging box and armrest box | |
KR20140045126A (en) | Charging system using cup holder | |
JP2016107686A (en) | Armrest | |
KR20180068397A (en) | Mobile phone tray for vehicles | |
KR200483222Y1 (en) |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a vehicle | |
CN210867215U (en) | Vehicle-mounted charger | |
KR200491593Y1 (en) | A wireless charger that doubles as a rotary type holder for a car-mounted smart phone | |
US11027670B1 (en) | Seat-mounted wireless rechargeable tool holder | |
KR20150072108A (en) | Wireless charging device in cup of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5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5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5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