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57650B1 - 자동 도포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도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650B1
KR101857650B1 KR1020150156324A KR20150156324A KR101857650B1 KR 101857650 B1 KR101857650 B1 KR 101857650B1 KR 1020150156324 A KR1020150156324 A KR 1020150156324A KR 20150156324 A KR20150156324 A KR 20150156324A KR 101857650 B1 KR101857650 B1 KR 101857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ated
drying unit
conveyor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6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3876A (ko
Inventor
강배익
Original Assignee
태화오토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화오토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화오토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6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650B1/ko
Publication of KR20170053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3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65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05C9/14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the auxiliary operation involving 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07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05D3/0218Pretreatment, e.g. heating the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05D3/0254After-treatment

Landscapes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예비건조부터 냉각까지 일련의 자동화된 공정으로 이루어진 자동 도포 장치가 개시된다. 이는 피도장물을 도포, 건조, 냉각을 자동화 공정을 이용하여 수행함으로써 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건조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 도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 도포 장치{Automatic Pai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도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도장물을 도포, 건조, 냉각을 자동으로 할 수 있고, 특히 건조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자동 도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포 장치는 주로 금속으로 제조되는 표면을 보호하거나 수려한 외관을 위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표출하면서 그 외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도료를 분사하는 장치를 말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도포장치의 도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도포 장치는 피도장물(101)의 소정 영역을 도료를 이용하여 도포하기 위해 도포 작업 전에 피도장물(101)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마스킹(masking)해야 한다. 마스킹이 완료된 후에 도 1과 같이 피도장물(101)이 이송장치(미도시)에 고정된 상태에서 도포부(110)로 이송되고,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된 분사노즐(111)이 상기 피도장물(101)에 도료를 분사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도포 장치는 피도장물(101)의 소정 영역을 도포하기 위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마스킹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이에 따라 작업시간이 늘어나 생산성이 떨어지고, 마스킹을 위한 별도의 작업자를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피도장물(101)의 크기 및 높이가 큰 경우에는 분사노즐(111)에서 분사되는 도료가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111)을 다수개로 구성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 경우 분사노즐(111)의 개수가 과다하면 도료가 공기중에 확산되어 분진의 발생이 증가하게 되고, 피도장물(101)이 부착되지 않은 불필요한 도료를 폐기 처분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도 3은 종래 도포장치의 건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분사노즐(111)에서 도포된 피도장물(101)은 도포된 도료를 건조하기 위해 건조부(120)로 이동되고, 이동된 피도장물(101)은 건조부(120) 내부에서 고정된 상태로 내부에 구비된 건조기(121)에 의해 건조된다.
그러나, 이러한 건조방식은 피도장물(101)을 건조부(120) 내부로 이동하여 피도장물(101)을 고정한 후 내부 온도를 올려 건조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소정 온도에 도달하기까지의 승온 시간이 소요되며, 이러한 승온 시간에 따른 작업시간을 줄이기 위해 건조시 많은 양의 피도장물(101)을 건조해야 하기 때문에 건조부(120)가 커질 수밖에 없다. 또한 이렇게 건조부(120)가 커지면 도포장치 전체가 커져야 하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20-2008-0002797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피도장물을 도포, 건조, 냉각을 자동화 공정을 이용하여 수행함으로써 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건조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 도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피도장물을 도포작업 전에 방사열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예비건조부; 상기 예비건조부에서 처리된 상기 피도장물을 도료를 이용하여 도포 하는 도포부; 상기 도포부에서 도포된 상기 피도장물을 방사열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메인건조부; 및 상기 메인건조부에서 건조된 상기 피도장물을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포함를 포함한다.
상기 피도장물을 상기 예비건조부에서부터 냉각부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컨베이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부는, 상기 피도장물을 상기 예비건조부로 이동시키는 제1 컨베이어; 상기 피도장물을 상기 도포부 및 상기 메인건조부로 이동시키는 제2 컨베이어; 및 상기 피도장물을 상기 냉각부로 이동시키는 제3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비건조부 및 상기 냉각부는 프레임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도포부 및 상기 메인건조부는 상기 프레임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상단 및 하단으로 상기 피도장물을 이동시키는 리프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피도장물을 상기 프레임 하단의 예비건조부에서 상기 프레임 상단의 도포부로 이동시키는 제1 리프트; 및 상기 피도장물을 상기 프레임 상단의 메인건조부에서 상기 프레임 하단의 상의 냉각부로 이동시키는 제2 리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포부는, 상기 피도장물에 도료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상기 분사노즐이 상기 피도장물을 따라 이동하며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분사노즐 구동부; 및 상기 피도장물의 소정 부위만을 도포하기 위해 상기 분사노즐 외부에 설치되는 도포 차단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피도장물을 도포하기 위해 상기 도포 차단막 내부에서 이동하며 도포할 수 있다.
상기 메인건조부는 복수개의 단계로 구분하여 상기 피도장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메인건조부의 건조 온도는 상기 복수개의 단계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메인건조부는 상기 피도장물을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동을 유지하며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예비건조부와 상기 메인건조부는 근적외선(Near Infra Red, NIR)의 복사열을 이용하여 상기 피도장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피도장물의 크기에 맞게 상기 컨베이어부의 체인을 조절하는 수동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도장물을 도포할 때 도료 도포부의 분사노즐이 피도장물을 따라 이동하며 도료를 분사함으로써 피도장물에 도료가 미치지 못하는 종래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도료 도포부에 별도의 도포 차단막을 구비함으로써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피도장물을 마스킹 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어 작업 시간을 감소시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포된 피도장물을 건조하기 위해 단계별로 온도가 다르게 설정된 근적외선 건조 모듈을 적용하여 피도장물을 이동시키면서 동시에 건조시킬 수 있기 때문에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건조부의 크기도 감소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예비건조부터 냉각까지 일련의 자동화된 공정으로 이루어져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도포장치의 도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도포장치의 도포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도포장치의 건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 도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자동 도포 장치의 켄베이어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자동 도포 장치의 도포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자동 도포 장치의 리프트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 도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자동 도포 장치의 켄베이어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자동 도포 장치의 도포부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자동 도포 장치의 리프트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도포 장치(200)는 피도장물을 도포작업 전에 방사열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예비건조부(210), 상기 예비건조부(210)에서 처리된 상기 피도장물(101)을 도료를 이용하여 도포 하는 도포부(220), 상기 도포부(220)에서 도포된 상기 피도장물(101)을 방사열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메인건조부(230) 및 상기 메인건조부(230)에서 건조된 상기 피도장물(101)을 냉각시키는 냉각부(240)를 포함한다.
예비건조부(210)는 도 4에서와 같이 프레임(201) 하단에 설치되며 피도장물(101)을 70°정도의 온도를 이용하여 열처리 진행한다. 피도장물(101)을 도료를 이용하여 도포하기 전에 피도장물(101)에 열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표면에 부착된 먼지 같은 이물질과 습기 등을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피도장물(101)의 표면 온도를 소정온도까지 상승시킴으로써 도포 공정시 도료에 의한 도포가 잘 흡착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예비건조부(210)는 바람직하게는 근적외선(Near Infra Red, NIR) 건조 모듈(211)이 적용될 수 있다.
도포부(220)는 도 4에서와 같이 프레임(201) 상단에 설치되어 피도장물(101)에 도료를 도포 처리하며, 도 6에서와 같이 피도장물(101)에 도료를 분사하는 분사노즐(221), 상기 분사노즐(221)이 피도장물(101)을 따라 이동하며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분사노즐 구동부(222) 및 피도장물(101)의 소정 부위만을 도포하기 위해 분사노즐(221) 외부에 설치되는 도포 차단막(223)을 포함할 수 있다.
도포부(220)의 분사노즐(221)은 피도장물(101)이 도포부(220)로 진입하면 분사노즐(221) 상부에 연결된 분사노즐 구동부(222)에 의해 피도장물(101)의 도포 부위에 맞게 피도장물(101)을 따라 이동하며 분사한다. 따라서 분사노즐(111)을 고정하여 피도장물(101)을 도포하는 종래 도포방식의 단점과 피도장물(101)의 크기에 따라 다수개의 분사노즐(111)을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포부(220)는 피도장물(101)이 도포되는 영역 이 외의 영역에 도료가 도포되지 않도록 도포 차단막(223)을 분사노즐(221) 외부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각 피도장물(101) 마다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마스킹 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고, 별도 마스킹 없이 도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시간을 감소시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도포 차단막(223)의 재질은 바람직하게는 외부에서 도포 처리가 되는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 아크릴이 사용될 수 있다.
메인건조부(230)는 도 4에서와 같이 프레임(201) 상단에 설치되고 도포부(220)에 의해 도포된 피도장물(101)을 건조시킨다. 메인건조부(230)는 바람직하게는 예비건조부(210)와 동일하게 근적외선(Near Infra Red, NIR) 건조 모듈(211)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근적외선 건조 모듈(211)의 근적외선 램프는 파장이 0.85~2.0μm 범위이며 투과성이 매우 높아서 도료 즉, 도료 도포층 밑바닥까지 순간적으로 침투하여 대상물을 수초 이내에 완전 건조시킬 수 있는 높은 방사 에너지밀도의 물리적 특성을 가진 근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전기로 건조 모듈을 가동시키기 때문에 짧은 시간에 소정 온도까지 온도를 높일 수 있고, 근적외선 조사식이므로 건조 모듈에서 유해가스가 발생하기 않기 때문에 환경 친화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인건조부(230)는 피도장물(101)을 빠르게 건조시키기 위해 메인건조부(230)를 복수개의 단계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개의 단계에 상기 근적외선 건조 모듈(211)을 각각 배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인건조부(230)를 5단계로 구분하여 근적외선 건조 모듈(211)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근적외선 건조 모듈(211)은 피도장물(101)에 도포된 도료를 빠른 시간에 효과적으로 건조하기 위해 모듈 각각의 온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도장물(101)에 도포되는 도료를 180°에서 10분을 건조해야 안착되는 도료를 사용했을 때 해당 도료의 건조 조건에 맞게 메인건조부(230)는 단계별로 설정되는 설정 온도를 다르게 설정하여 건조시킬 수 있다. 즉, 제1 단계 모듈(211a)에서는 130°,제2 단계 모듈(211b) 및 제3 단계 모듈(211c)에서는 180°,제4 단계 모듈(211d)에서는 190°,제5 단계 모듈(211e)에서는 150°로 설정하여 각각 2분 동안 피도장물(101)을 건조시킬 수 있다.
제1 단계 모듈(211a)에서는 도료의 건조 온도인 180°보다 낮은 130°로 설정하여 피도장물(101)에 도포된 도료를 안정화 시키며, 제2 단계 모듈(211b)과 제3 단계 모듈(211c)의 건조 온도는 도료의 건조 온도인 180°로 설정하여 본 건조가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제3 단계 모듈(211c)을 통해 본 건조가 완료되면 제4 단계 모듈(211d)에서는 도료의 건조 온도보다 높은 190°로 설정하여 도료가 미경화되는 부위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피도장물(101) 표면에 코팅효과를 생성할 수 있다. 마지막 5단계 모듈(211e)에서는 도료의 건조 온도보다 낮은 150°로 설정하여 냉각하기 전 피도장물(101)에 도포된 도료를 안정화 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건조방식은 피도장물(101)을 건조부(120) 본체 내부로 이동하여 건조부(120)를 폐쇄한 후 피도장물(101)이 고정된 상태에서 내부 온도를 올려 건조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소정 온도에 도달하기까지의 승온 시간이 소요되며, 이러한 승온 시간에 따라 늘어난 공정시간을 줄이기 위해 건조시 많은 양의 피도장물(101)을 건조해야함으로 건조부(120)가 커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도포장치 전체가 커지는 단점이 발생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도포장치(200)의 메인건조부(230)는 근적외선 건조 모듈(211)을 적용하여 빠른 시간에 소정 온도까지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피도장물(101)을 건조하기 위해 피도장물(101)을 메인건조부(230)에 고정시키지 않고 켄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며 단계별로 순차 건조하기 때문에 종래의 건조방식에 비해 건조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건조시간의 감소는 전체 공정시간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작업에 따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피도장물(101)은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며 순차적으로 건조되기 때문에 한번에 많은 양의 피도장물(101)을 건조시켜야 하는 종래의 도포장치에 비해 건조부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건조부의 감소에 따라 도포장치 전체의 크기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냉각부(240)는 프레임(201) 하단에 설치될 수 있으며, 냉각팬 또는 에어컨 등의 냉각수단(241)을 이용하여 메인건조부(230)에서 높은 온도로 건조되는 피도장물(101)을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도포 장치(200)는 피도장물(101)을 상기 예비건조부(210)에서부터 냉각부(240)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컨베이어부(250), 프레임(201) 상단 및 프레임(201) 하단으로 상기 피도장물(101)을 이동시키는 리프트부(260) 및 상기 피도장물(101)의 크기에 맞게 상기 컨베이어부(250)를 조절하는 수동조절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부(250)는 피도장물(101)이 자동으로 도포 공정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공정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프레임(201) 하단에 설치되어 피도장물(101)을 예비건조부(210)로 이동시키는 제1 컨베이어(251), 프레임(201) 상단에 설치되어 피도장물(101)을 도포부(220)와 메인건조부(230)로 이동시키는 제2 컨베이어(252) 및 프레임(201) 하단에 설치되어 피도장물(101)을 냉각부(240)로 이동시키는 제3 컨베이어(25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각 컨베이어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제1 체인(254) 및 제2 체인(25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체인(254) 및 상기 제2 체인(255)에는 피도장물(101)을 지지하고, 회전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다수개의 롤러(256)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베이어(251)는 프레임(201) 하단 중앙에서 작업자가 피도장물(101)을 상기 롤러(256) 위에 안착시키면 피도장물(101)을 예비건조부(210)로 이동시키기 위해 예비건조부(210) 방향(-y축방향)으로 체인을 동작시킨다. 프레임(201) 상단에 위치한 제2 컨베이어(252)는 예비건조부(210)에서 처리된 피도장물(101)을 도포부(220) 및 메인건조부(230)로 이동시키기 위해 도포부(220)에서 메인건조부(230) 방향(y축방향)으로 체인을 동작시킨다. 제3 컨베이어(253)는 메인건조부(230)에서 처리된 피도장물(101)을 냉각부(240)를 거쳐 프레임(201) 하단 중앙의 작업자로 이동시키기 위해 냉각부(240) 방향(-y축방향)으로 체인을 동작시킨다.
리프트부(260)는 피도장물(101)을 프레임(201)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하거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프레임(201) 양쪽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리프트부(260)는 프레임(201) 하단의 예비건조부(210)에서 처리된 피도장물(101)을 프레임(201) 상단에 위치한 도포부(220)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리프트(261)와 프레임(201) 상단에 위치한 도포부(220) 및 메인건조부(230)에서 처리된 피도장물(101)을 프레임(201) 하단에 위치한 냉각부(240)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리프트(26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리프트(261) 및 제2 리프트(262)는 도 7에서와 같이 각각 피도장물(101)을 감지하는 센서(263)와 피도장물(101)을 지지할 수 있도록 홈이 구비된 리프트 아암(264)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센서(263)에서 피도장물(101)을 감지하면 제1 리프트(261) 및 제2 리프트(262)는 각각의 리프트 아암(264)을 이용하여 피도장물(101)을 프레임(201) 하단에서 상단으로 또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각각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포장치(200)는 피도장물(101)의 크기에 맞게 컨베이어부(250)를 조절하는 수동조절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동조절부(270)는 컨베이어부(250)의 제1 체인(254)과 제2 체인(255)에 연결되어 피도장물(101)의 크기에 따라 체인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피도장물(101)이 본 발명에 따른 도포장치(200)에 따라 자동 도포되는 과정을 아래에 상세히 설명한다.
작업자는 프레임(201) 하단의 중앙에서 도포할 피도장물(101)을 프레임(201) 하단에 위치한 제1 컨베이어(251)의 롤러(256) 상부에 순차적으로 안착시킨다. 안착된 피도장물(101)은 제1 컨베이어(251)의 체인(254,255)과 롤러(256)에 의해 예비건조부(210)로 회전하며 이동(-y축방향)된다. 예비건조부(210)로 이동된 피도장물(101)은 열처리를 통해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과 습기 등이 제거된다. 예비건조부(210)에서 공정이 완료되면 제1 리프트(261)가 피도장물(101)을 리프트 아암(262)을 이용하여 프레임(201) 상단에 배치된 제2 컨베이어(252)로 이동시킨다.
제2 컨베이어(252)로 이동된 피도장물(101)은 제2 컨베이어(252)의 체인(254,255)과 롤러(256)에 의해 도포부(220)로 회전하며 이동(y축방향)된다. 도포부(220)로 이동된 피도장물(101)은 분사노즐 구동부(222)에 의해 구동되는 분사노즐(221)과 도포 차단막(223)에 의해 별도의 마스킹 처리 없이 도포된다. 도포부(220)에서 도포가 완료되면 피도장물(101)은 제2 컨베이어(252)에 의해 메인건조부(230)로 이동(y축방향)된다. 도료로 도포된 피도장물(101)은 단계 별로 온도가 다르게 설정된 근적외선 건조 모듈(211a,211b,211c,211d,211e)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동하며 건조된다.
메인건조부(230)에 의해 건조가 완료되면 제2 리프트(262)가 피도장물(101)을 리프트 아암(262)을 이용하여 프레임(201) 하단에 배치된 제3 컨베이어(253)로 이동시킨다. 제3 컨베이어(253)로 이동된 피도장물(101)은 제3 컨베이어(253)의 체인에 의해 냉각부(240)로 이동(-y방향)된다. 냉각부(240)의 냉각수단(241)에 의해 냉각된 피도장물(101)은 제3 컨베이어(253)에 의해 프레임(201) 하단 중앙에 위치한 작업자에게 이동됨으로써 전체적인 자동 도포 공정이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도포 장치는 종래 피도장물(101)을 고정된 분사노즐(111)을 이용하여 분사하는 방식이 아닌 분사노즐 구동부(222)에 의해 분사노즐(221)을 피도장물(101)을 따라 이동하며 도료를 분사하는 자동 분사방식으로 도포함으로써 피도장물(101)에 도료가 미치지 못하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고, 도포부(220)에 별도의 도포 차단막(223)을 구비함으로써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피도장물(101)을 마스킹 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감소시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피도장물(101)을 건조하기 위해 단계별로 온도가 다르게 설정된 근적외선 건조 모듈(211)을 적용하여 피도장물(101)을 이동시키면서 동시에 건조시킬 수 있기 때문에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종래의 도포 장치의 건조 방식은 피도장물(101)을 고정된 상태에서 한꺼번에 많은 양을 건조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건조부(120)가 커져야 하는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도포 장치는 피도장물(101)을 이동시키면서 동시에 건조할 수 있어 건조부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포장치 전체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비건조부터 냉각까지 일련의 자동화된 공정으로 이루어져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201 : 프레임 210 : 예비건조부
211 : 근적외선 건조 모듈 220 : 도포부
221 : 분사노즐 222 : 분사노즐 구동부
223 : 도포 차단막 230 : 메인건조부
240 : 냉각부 241 : 냉각수단
250 : 컨베이어부 251 : 제1 컨베이어
252 : 제2 컨베이어 253 : 제3 컨베이어
254 : 제1 체인 255 : 제2 체인
256 : 롤러 260 : 리프트부
261 : 제1 리프트 262 : 제2 리프트
263 : 센서 264 : 리프트 아암
270 : 수동조절부

Claims (13)

  1. 피도장물을 도포작업 전에 방사열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예비건조부;
    상기 예비건조부에서 처리된 상기 피도장물을 도료를 이용하여 도포 하는 도포부;
    상기 도포부에서 도포된 상기 피도장물을 방사열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메인건조부;
    상기 메인건조부에서 건조된 상기 피도장물을 냉각시키는 냉각부; 및
    상기 피도장물을 상기 예비건조부에서부터 냉각부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컨베이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도장물의 크기에 맞게 상기 컨베이어부의 체인을 조절하는 수동조절부를 포함하는 자동 도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부는,
    상기 피도장물을 상기 예비건조부로 이동시키는 제1 컨베이어;
    상기 피도장물을 상기 도포부 및 상기 메인건조부로 이동시키는 제2 컨베이어; 및
    상기 피도장물을 상기 냉각부로 이동시키는 제3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자동 도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건조부 및 상기 냉각부는 프레임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도포부 및 상기 메인건조부는 상기 프레임 상단에 배치되는 것인 자동 도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상단 및 하단으로 상기 피도장물을 이동시키는 리프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자동 도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피도장물을 상기 프레임 하단의 예비건조부에서 상기 프레임 상단의 도포부로 이동시키는 제1 리프트; 및
    상기 피도장물을 상기 프레임 상단의 메인건조부에서 상기 프레임 하단의 상의 냉각부로 이동시키는 제2 리프트를 포함하는 자동 도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는,
    상기 피도장물에 도료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상기 분사노즐이 상기 피도장물을 따라 이동하며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분사노즐 구동부; 및
    상기 피도장물의 소정 부위만을 도포하기 위해 상기 분사노즐 외부에 설치되는 도포 차단막을 포함하는 자동 도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피도장물을 도포하기 위해 상기 도포 차단막 내부에서 이동하며 도포하는 것인 자동 도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건조부는 복수개의 단계로 구분하여 상기 피도장물을 건조시키는 것인 자동 도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건조부의 건조 온도는 상기 복수개의 단계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것인 자동 도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건조부는 상기 피도장물을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동을 유지하며 건조시키는 것인 자동 도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건조부와 상기 메인건조부는 근적외선(Near Infra Red, NIR)의 복사열을 이용하여 상기 피도장물을 건조시키는 것인 자동 도포 장치.
  13. 삭제
KR1020150156324A 2015-11-09 2015-11-09 자동 도포 장치 Active KR101857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324A KR101857650B1 (ko) 2015-11-09 2015-11-09 자동 도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324A KR101857650B1 (ko) 2015-11-09 2015-11-09 자동 도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876A KR20170053876A (ko) 2017-05-17
KR101857650B1 true KR101857650B1 (ko) 2018-05-14

Family

ID=59048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324A Active KR101857650B1 (ko) 2015-11-09 2015-11-09 자동 도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6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044B1 (ko) 2019-09-23 2020-02-11 강배익 분체 도장 시스템
KR102160614B1 (ko) 2020-04-02 2020-09-28 (주)한일테크 분체 도장 시스템
KR102199127B1 (ko) 2020-06-08 2021-01-06 강배익 분체 도장용 자동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44901B (zh) * 2017-11-30 2019-05-10 李琴 一种石油管道铺设用外表喷漆设备
CN109127230A (zh) * 2018-08-27 2019-01-04 阜阳市博惠彩印包装有限公司 一种装潢制造用板材喷漆设备
KR102049582B1 (ko) * 2018-11-28 2019-11-27 백진우 모터용 로터 접착제 밀착형 자동 도포장치
USD950061S1 (en) * 2019-07-03 2022-04-26 Ut-Battelle, Llc Multi detector radiological source jig
CN110560296B (zh) * 2019-09-12 2020-08-11 顺景园精密铸造(深圳)有限公司 一种喷粉工艺及其喷粉设备
CN113171909B (zh) * 2021-05-27 2022-09-23 江西汇有美智能涂装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可调式抽风结构的家具智能喷涂烤干一体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6612A (ja) * 2005-06-17 2006-12-28 Arakawa Seisakusho:Kk 塗装機
KR100714909B1 (ko) * 2006-01-04 2007-05-04 (주)퓨즈본드코리아 도장장치 및 도장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6612A (ja) * 2005-06-17 2006-12-28 Arakawa Seisakusho:Kk 塗装機
KR100714909B1 (ko) * 2006-01-04 2007-05-04 (주)퓨즈본드코리아 도장장치 및 도장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044B1 (ko) 2019-09-23 2020-02-11 강배익 분체 도장 시스템
KR102160614B1 (ko) 2020-04-02 2020-09-28 (주)한일테크 분체 도장 시스템
KR102199127B1 (ko) 2020-06-08 2021-01-06 강배익 분체 도장용 자동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876A (ko) 201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7650B1 (ko) 자동 도포 장치
JP5568377B2 (ja) 乾燥方法
CN103797322B (zh) 用于干燥工件的方法和装置
KR20180119242A (ko) 방진고무 자동도장장치
US20090126628A1 (en) Radiation appliance, powder applying station, arrangement for coating temperature-sensitive materials, and associated method
JP4505736B2 (ja) 塗装機
KR20090118721A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코팅 시스템
RU2330819C2 (ru) Способ и печь для моллирования стеклянных панелей
JP2006130384A (ja) 水性塗料の塗布乾燥方法及び装置
KR102638145B1 (ko) 지문 인식 모듈의 uv 코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uv 코팅 방법
JP2009168363A (ja) Uv乾燥装置及びuv乾燥方法
JP4171226B2 (ja) 水系塗装用フラッシュオフ装置
CN108787292A (zh) 一种十字链自动喷涂线
KR101545727B1 (ko) 피브이씨 코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팅방법
KR20170008136A (ko) 유리기판 테두리 열처리장치
KR100787836B1 (ko) 철도차량의 근적외선 도장 건조장치
KR100411338B1 (ko) 브레지어 와이어 끝점 자동 처리장치
JP2888697B2 (ja) 硬基板塗布・プリベ−ク装置
KR101552348B1 (ko) 도장용 이동 부스
JPS5956998A (ja) 被覆溶接棒の加熱乾燥方法
JPH0478466A (ja) 自動車ボディの塗膜乾燥方法及び装置
KR102539419B1 (ko) 부품 도장용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도장 자동화 장치
KR102339910B1 (ko) 박막 건조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박막 제조 시스템
EP3950963B1 (en) Method for the finishing of leathers and machin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KR20140133629A (ko) 디스플레이 패널 코팅 인라인 자동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5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5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