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494B1 - Fire extinguisher based on upper cover - Google Patents
Fire extinguisher based on upper cov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57494B1 KR101857494B1 KR1020160138723A KR20160138723A KR101857494B1 KR 101857494 B1 KR101857494 B1 KR 101857494B1 KR 1020160138723 A KR1020160138723 A KR 1020160138723A KR 20160138723 A KR20160138723 A KR 20160138723A KR 101857494 B1 KR101857494 B1 KR 1018574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pper cover
- container
- fire extinguisher
- main body
- lev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003—Extinguishers with spraying and projection of extinguishing agents by pressurised ga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3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 integral tamper el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 장치용 상부 커버, 그리고 상부 커버 기반의 소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반원구 형태로 중앙에 도입관 고정체(195)가 통과하여 고정될 수 있는 영역이 형성되는 상부 커버(130)에 있어서, 상하의 끝단이 절단된 원추 형상으로 하부로는 용기 체결단(132)과 연결되며, 상부로는 체결 곡면(133), 게이지 삽입홈(134), 분출구 통과홈(135), 연결단 고정고리 삽입홈(136), 지지 곡면(137)으로 이루어진 다중 연결 수단 집합체(130a)와 연결된 구조를 갖는 커버 본체(131); 를 구비하여, 본체용기(140) 내부의 도입관을 통해 상부 레버(170)와 하부 레버(180)에 대한 외력 제공에 의해 발생된 수직압력에 의해 소화액이 상부로 이동한 뒤, 분출구와 연결된 나팔형 분출부(150)를 통해 분사될 수 있는 루트를 제공하는 도입관 고정체(195)를 외부에서 보호하며, 본체용기(140)의 상부를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상부 커버의 구조적 설계를 통해 소화기의 외부 압력으로부터 소화기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소화기 내부의 소화액의 소진시 커버 분리형 구조에 의한 본체용기만의 교체를 통해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소화기의 사용을 자동으로 알 수 있도록 설계하여 소화기의 사용 유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pper cover for an extinguishing apparatus, and an upper cover-based extinguishing apparatus. The upper cover (130) has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and an area through which the introduced pipe fixing body (195) passes and is fixed. The upper cover (130) has a conical shape in which upper and lower ends are cut, And a connecting curved surface 133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groove 132 and the connecting curved surface 133. The connecting connecting surface 133 is formed by a connecting curved surface 133, a gage insertion groove 134, an ejection hole passing groove 135, A cover body 131 having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aggregate 130a; So that the digestive liquid is moved upward by the vertical pressure generated by the provision of the external force to the upper lever 170 and the lower lever 180 through the inlet pipe in the main body container 140, And protects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container 140 from an external force. The injection tube fixing body 195 is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not shown).
This provides the effect of protecting the fire extinguisher from the external pressure of the fire extinguisher through the structural design of the upper cover.
In addition, when the extinguishing liquid inside the fire extinguisher is exhaust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conomical effect by replacing only the main container by the cover detachable structure.
In addition, it is designed to automatically recognize the use of the fire extinguisher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use of the fire extinguisher can be easily confirm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화 장치용 상부 커버 및 상부 커버 기반의 소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화기의 사용 및 사용 유무 확인의 편의성과 함께, 외력으로부터 소화액 용기를 보호하도록 하기 위한 소화 장치용 상부 커버, 그리고 상부 커버 기반의 소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pper cover for an extinguishing apparatus and an upper cover-based extinguishing apparatu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pper cover for an extinguishing apparatus for protecting a fire extinguishing liquid container from an external force, And an upper cover-based fire extinguishing system.
소화기란 건물 내외부나 차량 내의 적당한 곳에 미리 비치하여 놓고 화재가 발생한 즉시 그 불을 끄는데 사용되는 기구를 말한다. 보통 금속으로 만든 원통으로 압착공기를 이용하는 분수소화기, 화학적으로 발생시킨 탄산가스를 분출시키는 탄산가스소화기, 중탄산소다 가루를 분출시키는 분말소화기, 탄산가스의 기포를 분출하는 포말소화기 등이 있다.A fire extinguisher is a device used in advance inside a building or at a suitable place in a vehicle and used to turn off the fire immediately after a fire occurs. Fractional fire extinguishers that use compressed air as a cylinder made of metal, carbon dioxide gas fire extinguishers that generate chemically generated carbon dioxide gas, powder fire extinguishers that blow out soda ash powder, and foam fire extinguishers that breathe carbon dioxide gas.
종래 이들 소화기는 통로의 적당 장소나 입구에 미리 설치하고, 많은 사람이 그 설치장소를 알 수 있도록 하여 화재발생이라고 하는 긴급상황 하에서 신속하게 소화기를 이용하여 진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Conventionally, these fire extinguishers are installed in advance at appropriate places or entrance of the passageways, allowing many people to know their installation places, and can quickly evolve using fire extinguishers under an emergency called fire occurrence.
즉, 대부분의 소화기는, 소화기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소화기의 일부품인 안전핀을 뽑고 레버를 잡아당김으로써, 내부의 뇌관장치가 파열되어 충전된 소화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In other words, in most fire extinguishers, when a fire extinguisher is to be used, the safety pin, which is a part of the fire extinguisher, is pulled out and the lever is pulled to release the discharged fire extinguisher.
이러한 소화기에서 소화물질로 충전 질소를 사용시 압력을 52.7㎏/㎠으로 고압을 사용하여 순간적인 분사를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화물질 용기는 내부 및 외부 압력에 대해서 외력으로 보호할 수 있는 강도가 있어야 한다.
In this fire extinguisher, when the filled nitrogen is used as the extinguishing material, the pressure is 52.7㎏ / ㎠, and instantaneous injection is performed by using high pressure. Accordingly, the fire extinguishing material container must have a strength that can be protected by external force against internal and external pressures.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610183호
Patent Registration Registration No. 10-1610183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화기의 외부 압력으로부터 소화기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화 장치용 상부 커버 및 상부 커버 기반의 소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provide an upper cover for an extinguishing apparatus and an upper cover-based extinguishing apparatus for protecting a fire extinguisher from the external pressure of the extinguisher.
또한, 본 발명은 소화기 내부의 소화액의 소진 시 커버 분리형 구조에 의한 본체용기만의 교체를 통해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하도록 위한 소화 장치용 분리 가능형 상부 커버 및 분리 가능형 상부 커버 기반의 소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detachable upper cover and a detachable upper cover-based fire extinguishing device for providing an economical effect through replacement of only a main body container by a cover detachable structure when the digestive liquid inside the fire extinguisher is exhausted .
또한, 본 발명은 외부에서 소화기의 사용을 자동으로 알 수 있도록 하여 소화기의 사용 유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화 장치용 상부 커버 및 상부 커버 기반의 소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upper cover for an extinguishing apparatus and an upper cover-based extinguish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firming the use of a fire extinguisher.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 장치용 상부 커버는, 본체용기(140)로부터 분리되는 구조를 갖으며, 반원구 형태로 중앙에 도입관 고정체(195)가 통과하여 고정될 수 있는 영역이 형성되는 상부 커버(130)에 있어서, 상하의 끝단이 절단된 원추 형상으로 하부로는 용기 체결단(132)과 연결되며, 상부로는 체결 곡면(133), 게이지 삽입홈(134), 분출구 통과홈(135), 연결단 고정고리 삽입홈(136), 지지 곡면(137)으로 이루어진 다중 연결 수단 집합체(130a)와 연결된 구조를 갖는 커버 본체(131);를 구비하여, 본체용기(140) 내부의 도입관을 통해 상부 레버(170)와 하부 레버(180)에 대한 외력 제공에 의해 발생된 수직압력에 의해 소화액이 상부로 이동한 뒤, 분출구와 연결된 나팔형 분출부(150)를 통해 분사될 수 있는 루트를 제공하는 도입관 고정체(195)를 외부에서 보호하며, 본체용기(140)의 상부를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upper cover for the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o be separated from the
이때, 상하의 끝단이 절단된 높이가 짧은 원통형 구조로, 본체용기(140)의 상측 외부면을 감싸서 고정되기 위해 형성되는 용기 체결단(132); 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또한, 분출부 연결단(160)의 배면과 맞닿는 영역이며, 전면 중앙 영역의 상부 끝단에 분출구 통과홈(135)이 형성되며, 좌측 및 우측 영역의 상부 끝단으로는 게이지 삽입홈(134)과 분출구 통과홈(135)의 반이 형성되는 체결 곡면(133); 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jetting
또한, 압력 게이지(130a)의 검출단이 삽입되는 게이지 삽입홈(134); 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gage insertion groove 134 into which the detection end of the
또한, 분출구 구비형 하부 레버 연결단(180a)의 분출구가 상부에서 하부로 체결되는 구조를 제공하는 분출구 통과홈(135); 을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an outlet hole (135) for providing a structure in which the outlet of the lower lever connection end (180a) with an outlet is fasten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As shown in FIG.
또한, 분출구 구비형 하부 레버 연결단(180a)의 고정고리가 상부에서 하부로 체결되는 구조를 제공하는 연결단 고정고리 삽입홈(136); 을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a connection end fixing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커버 기반의 소화 장치는, 상부 커버(130)를 구비하는 소화 장치에 있어서, 본체용기(140); 본체 용기(14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레버(170) 및 하부 레버(180)의 이격 공간에 해당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안전바(110); 및 상부 레버(170), 안전바(110) 및 하부 레버(180)를 차례로 연결하는 와이어(121)와 하부 레버(180)와 연결된 와이어(121)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체(122)로 이루어진 분실방지단(1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upper cover-based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cover (130), comprising: a main body container (140); A
이때, 도입관 고정체(195)와 상부 레버(170)를 연결하는 중심축(c)의 외부로는 분출구 구비형 하부 레버 연결단(180a)으로 감싸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분출구 구비형 하부 레버 연결단(180a) 하부로는 상부 커버(130)와 맞닿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분출구 구비형 하부 레버 연결단(180a) 상부로는 하부 레버(180)와 맞닿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또한, 상부 커버(130)의 전단으로는 분출부 연결단(160)이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 장치용 상부 커버, 그리고 상부 커버 기반의 소화 장치는, 상부 커버의 구조적 설계를 통해 소화기의 외부 압력으로부터 소화기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The upper cover and the upper cover-based fire extinguish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the effect of protecting the fire extinguisher from the external pressure of the fire extinguisher through the structural design of the upper cov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 장치용 상부 커버, 그리고 상부 커버 기반의 소화 장치는, 소화기 내부의 소화액의 소진시 커버 분리형 구조에 의한 본체용기만의 교체를 통해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cover and the upper cover-based fire extinguish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n economical effect by replacing only the main container by the cover detachable structure when the digestive liquid inside the fire extinguisher is exhausted .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 장치용 상부 커버, 그리고 상부 커버 기반의 소화 장치는, 외부에서 소화기의 사용을 자동으로 알 수 있도록 설계하여 소화기의 사용 유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upper cover for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and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for the upper co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igned so that the use of the fire extinguisher can be automatically recognized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use of the fire extinguisher can be easily confirmed to provid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커버 기반의 소화 장치(100)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부 커버 기반의 소화 장치(100)에서 상부 커버(130)의 분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상부 커버 기반의 소화 장치(100) 중 상부 커버(130)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상부 커버 기반의 소화 장치(100) 중 상부 커버(130)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상부 커버 기반의 소화 장치(100) 중 상부 커버(130)의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상부 커버 기반의 소화 장치(100) 중 상부 커버(130)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커버 기반의 소화 장치(100) 중 안전바(110)(도 11a), 분출구 구비형 하부 레버 연결단(180a)(도 11b, 도 11c), 그리고 하부 레버(180)(도 11d)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커버 기반의 소화 장치(100)에서 상부 커버(130)의 장착 전후의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tire upper cover-based fire extinguishing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eparation structure of the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5 and 6 are a plan view and a bottom view of the
7 and 8 are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of the
9 and 10 are a left side view and a right side view of the
11A, 11B, and 11C) of the upper cover-based
12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an experiment before and after mounting the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장치용 상부 커버, 그리고 상부 커버 기반의 소화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n upper cover for an extinguishing apparatus and an upper cover-based extingu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커버 기반의 소화 장치(100)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부 커버 기반의 소화 장치(100)에서 상부 커버(130)의 분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tire upper cover-based fire extinguishing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상부 커버 기반의 소화 장치(100) 중 상부 커버(130)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상부 커버 기반의 소화 장치(100) 중 상부 커버(130)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상부 커버 기반의 소화 장치(100) 중 상부 커버(130)의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상부 커버 기반의 소화 장치(100) 중 상부 커버(130)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커버 기반의 소화 장치(100) 중 안전바(110)(도 11a), 분출구 구비형 하부 레버 연결단(180a)(도 11b, 도 11c), 그리고 하부 레버(180)(도 11d)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부 커버 기반의 소화 장치(100)는 주요 구성요소로 안전바(110), 분실방지단(120), 상부 커버(130), 본체용기(140), 용기 받침(140a), 나팔형 분출부(150), 분출부 연결단(160), 상부 레버(170), 하부 레버(180)를 구비한다. 1 to 11, an upper cover-based
안전바(110)는 와이어 연결단(111), 상단 장착홀(112), 하단 장착홀(113), 탄성 프레임(114), 체결 돌기(115)를 구비하여 금속제가 아닌 난연성 소재로 형성된다. 여기서 와이어 연결단(111)은 기둥 형상으로 내부 중앙 영역에 직경이 차별화된 상단 장착홀(112) 및 하단 장착홀(113)이 상하의 수직 방향으로 내부에 형성되며, 상부 레버(170)에 대해서 탈착되는 탄성 프레임(114)과는 1자 형태의 직선형 수직 프레임을 통해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The
직선형 수직 프레임은 안전바(110)의 상부 레버(170)로 체결 상태에서의 구조가 본체용기(140)의 하부 끝단에 형성된 용기 받침(140a)의 상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평면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직선형 프레임은 손가락 삽입홀이 구비되며, 그 밖의 통기구를 구비할 수 있다. The linear vertical frame is a structure in which the structure in the fastened state by the
탄성 프레임(114)은 직선형 수직 프레임의 끝단에 집게 형태와 같은 두 개의 곡면형 평판이 마주 보도록 형성됨으로써, 평판 형태의 상부 레버(170)에서 하부 레버(180)와 수직 방향으로 맞닿는 지지단의 체결 영역을 양쪽에서 감싸는 형태로 안전바(110)가 체결되는 경우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여기서 체결 영역은 수평 방향에서 지지단의 전체 직경 보다 직경이 작은 영역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분실방지단(120)은 와이어(121) 및 고정체(122)의 일체로 이루어져 안전바(110)의 이탈을 방지한다.
Here, the fastening region is formed in a region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entire diameter of the support 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other hand, the
상부 커버(130)는 본체용기(140)로부터 분리되는 구조를 갖으며, 반원구 형태로 중앙에 도입관 고정체(195)가 통과하여 고정될 수 있는 영역이 형성된다.The
여기서 상부 커버(130)는 커버 본체(131), 용기 체결단(132), 체결 곡면(133), 게이지 삽입홈(134), 분출구 통과홈(135), 연결단 고정고리 삽입홈(136), 지지 곡면(137)으로 이루어진다.The
커버 본체(131)는 상하의 끝단이 절단된 원추 형상으로 하부로는 용기 체결단(132)과 연결되며, 상부로는 체결 곡면(133), 게이지 삽입홈(134), 분출구 통과홈(135), 연결단 고정고리 삽입홈(136), 지지 곡면(137)으로 이루어진 다중 연결 수단 집합체(130a)와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The
이러한 구조를 통해 본체용기(140) 내부의 도입관을 통해 상부 레버(170)와 하부 레버(180)에 대한 외력 제공에 의해 발생된 수직압력에 의해 소화액이 상부로 이동한 뒤, 분출구와 연결된 나팔형 분출부(150)를 통해 분사될 수 있는 루트를 제공하는 도입관 고정체(195)를 외부에서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본체용기(140)의 상부를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rough this structure, the digestive liquid is moved upward by the vertical pressure generated by the provision of the external force to the
용기 체결단(132)은 상하의 끝단이 절단된 높이가 짧은 원통형 구조로, 본체용기(140)의 상측 외부면을 감싸서 고정되기 위해 형성된다. 이를 위해 본체용기(140)의 상부는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커버 본체(131)의 하부면과 포개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바로 하단 영역이 용기 체결단(132)에 의해 감싸진다. The
체결 곡면(133)은 분출부 연결단(160)의 배면과 맞닿는 영역이며, 전면 중앙 영역의 상부 끝단에 분출구 통과홈(135)이 형성되며, 좌측 및 우측 영역의 상부 끝단으로는 게이지 삽입홈(134)과 분출구 통과홈(135)의 반이 형성된다.The concave
게이지 삽입홈(134)은 압력 게이지(130a)의 검출단이 삽입되며, 분출구 통과홈(135)은 분출구 구비형 하부 레버 연결단(180a)의 분출구가 상부에서 하부로 체결되는 구조를 제공하며, 연결단 고정고리 삽입홈(136)은 분출구 구비형 하부 레버 연결단(180a)의 고정고리가 상부에서 하부로 체결되는 구조를 제공한다.The
한편, 게이지 삽입홈(134) 및 연결단 고정고리 삽입홈(136) 중 상술한 체결 곡면(133)에 형성된 반 외의 나머지 반은 지지 곡면(137)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게이지 삽입홈(134) 및 연결단 고정고리 삽입홈(136)은 체결 곡면(133)에 형성된 반을 기준으로 지지 곡면(137)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를 갖는다. On the other hand, the remaining half of the
즉, 지지 곡면(137)은 체결 곡면(133)은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다중 연결 수단 집합체(130a)의 몸체의 반씩을 구성한다. That is, the supporting
이러한 구조를 통해 상부 커버(130)는 본체용기(140)로부터 분리되는 구조를 갖으며, 중앙에 도입관 고정체(195)가 통과하여 고정될 수 있는 영역이 형성된다.In this structure, the
여기서 도입관 고정체(195)는 상부 커버(130)의 중앙 홀에 삽입됨과 함께, 하단을 통해 도입관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Here, the introduction
그리고 도입관 고정체(195)와 상부 레버(170)를 연결하는 중심축(c)의 외부로는 분출구 구비형 하부 레버 연결단(180a)으로 감싸진 구조를 갖으며, 분출구 구비형 하부 레버 연결단(180a) 하부로는 상부 커버(130)와 맞닿으며, 분출구 구비형 하부 레버 연결단(180a) 상부로는 하부 레버(180)와 맞닿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부 커버(130)의 전단으로는 분출부 연결단(160)이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The upper end of the inlet
그리고, 본체용기(140)는 원통 형상으로 축압식 소화분말, 소화액, 소화가스 등과 같은 소화물질 담고 있으며, 상부면은 상부 커버(130)의 하부면과 포개지게 결합할 수 있는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외력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한 용기 받침(140a)을 구비할 수 있다. The
나팔형 분출부(150)는 종래의 소화 호스 대신에 상하의 끝단이 절단된 원추 형상으로 방사상으로 소화물질이 분사되도록 한다. The trumpet-
분출부 연결단(16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커버(130)의 전면 외측을 감싸서 형성되며, 분출구가 통과하기 위한 홀을 구비함으로써, 외측에서 분출구를 향해 나팔형 분출부(150)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blowing-out connecting
이러한 구조를 통해 도입관을 통해 상부 레버(170)와 하부 레버(180)에 대한 외력 제공에 의해 발생된 수직압력에 의해 소화물질이 상부로 이동한 뒤, 분출구와 연결된 나팔형 분출부(150)를 통해 분사될 수 있다.Through this structure, the extinguishing material is moved upward by the vertical pressure generated by the provision of the external force to the
한편, 압력 게이지(130a)가 분출부 연결단(160)과 상부 커버(130) 수평 방향에서 맞닿은 영역에 형성되며, 내부의 도입관 고정체(195)를 통과한 소화물질의 압력을 측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압력 게이지(130a)는 아날로그 압력 게이지 또는 디지털 압력 게이지로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이와 같은 구조로 설계되는 상부 커버 기반의 소화 장치(100)에서 상부 커버(130)의 장착 전후의 상부 커버 기반의 소화 장치(100)의 상하의 끝단에 대한 인장강도 및 내절강도, 그리고 파열강도에 대한 측정의 결과는 도 12(a) 내지 도 12(c)와 같이 나타나며, 모두 상부 커버(130)의 장착 전에 비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In the upper cover-based
이때, 인장강도는 TAPPI T 404 om-87에 따라 Hounsfield사의 인장강도 측정기를 사용하고 내절강도는 TAPPI T 511 om-83에 의하여 MIT 형을 사용한다. 내절강도 측정시 인장하중은 0.4 kg으로 하였고 stiffness는 TAPPI T 451 cm-84에 따라 Clark 형을 사용하며, 파열강도는 TAPPI T 403 om-85에 따라 Mullen 저압형 시험기를 사용한다.
The TAPPI T 404 om-87 and TAPPI T 511 om-83 were used for tensile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respectively. The TAPPI T 451 cm-84 was used for the TAPPI T 451 cm-84 and the Clark type was used for the stiffness. The tear strength was measured using the Mullen low-pressure tester according to TAPPI T 403 om-85.
상부 커버 기반의 소화 장치(100)는 안전바(110)가 탈부착이 가능하며, 상부 레버(170), 하부 레버(180), 나팔형 분출부(150), 분출부 연결단(160), 그리고 상부 커버(130)가 각각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특히 상부 레버(170), 하부 레버(180), 나팔형 분출부(150), 분출부 연결단(160)를 제거한 뒤, 상부 커버(130)를 분리함으로써, 본체용기(140)를 리필(refill) 형태로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The upper cover-based
상부 커버 기반의 소화 장치(100)에서의 상부 커버(130)에 대한 밀폐성, 즉 도입관 고정체(195)와 본체용기(140) 사이의 공간에 대한 상부 커버(130)의 부착에 의한 파티클 발생 억제와의 관계는 하기의 [표 1]과 같이 본체용기(140)의 파라미터 설정에 따른 결과로 나타났다. 여기서 밀폐성은 외부로부터의 방수 테스트를 통해 수행하였다. 또한, 파티클 발생 억제와의 관계는 상부 커버(130)에 대한 상부 커버 및 봉인 스티커 기반의 소화 장치(100)로의 부착된 상태에서의 파티클 발생 억제에 대해서는 미립자 채취 장치로 소화물질 분사를 수행한 뒤, 제곱미터당 15 ppm이상의 미립자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성능을 테스트하였으며, 15 ppm 미만인 경우 미립자 테스트에 대해 적합한 것으로 판단한다.
The airtightness of the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nd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y have been used only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describe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0 : 소화 장치
110 : 안전바
111 : 와이어 연결단
112 : 상단 장착홀
113 : 하단 장착홀
114 : 탄성 프레임
115 : 체결 돌기
116 : 직선형 프레임
120 : 분실방지단
121 : 와이어
122 : 고정체
130 : 상부 커버
130a : 압력 게이지
140 : 본체용기
140a : 용기 받침
150 : 나팔형 분출부
160 : 분출부 연결단
170 : 상부 레버
180 : 하부 레버
180a : 분출구 구비형 하부 레버 연결단
195: 도입관 고정체100: Fire extinguisher
110: Safety Bar
111:
112: Upper mounting hole
113: Lower mounting hole
114: Elastic frame
115: fastening projection
116: Straight frame
120: Lost prevention unit
121: wire
122:
130: upper cover
130a: Pressure gauge
140: main container
140a:
150: trumpet-
160: Spout connection section
170: upper lever
180: Lower lever
180a: a lower lever connection end having an ejection port
195: Introduction
Claims (7)
본체용기(140); 및
본체 용기(14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레버(170) 및 하부 레버(180)의 이격 공간에 해당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안전바(110);를 포함하고,
상기 소화 장치용 상부 커버는,
본체용기(140)로부터 분리되는 구조를 갖으며, 반원구 형태로 중앙에 도입관 고정체(195)가 통과하여 고정될 수 있는 영역이 형성되고,
상하의 끝단이 절단된 원추 형상으로 하부로는 용기 체결단(132)과 연결되며, 상부로는 체결 곡면(133), 게이지 삽입홈(134), 분출구 통과홈(135), 연결단 고정고리 삽입홈(136), 지지 곡면(137)으로 이루어진 다중 연결 수단 집합체(130a)와 연결된 구조를 갖는 커버 본체(131); 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체결단(132)은 상하의 끝단이 절단된 높이가 짧은 원통형 구조로, 본체용기(140)의 상측 외부면을 감싸서 고정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 곡면(133)은 좌측 및 우측 영역의 상부 끝단으로는 상기 게이지 삽입홈(134)과 분출구 통과홈(135)의 반을 형성하고,
상기 게이지 삽입홈(134)에는 압력 게이지의 검출단이 삽입되고,
본체용기(140) 내부의 도입관을 통해 상부 레버(170)와 하부 레버(180)에 대한 외력 제공에 의해 발생된 수직압력에 의해 소화액이 상부로 이동한 뒤, 분출구와 연결된 나팔형 분출부(150)를 통해 분사될 수 있는 루트를 제공하는 도입관 고정체(195)를 외부에서 보호하며, 본체용기(140)의 상부를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커버 기반의 소화 장치.
An upper cover for a fire extinguisher;
A main body container 140; And
And a safety bar 110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space between the upper lever 170 and the lower lever 180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container 140,
The upper cover for a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And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container 140. In the semi-circular form, an area through which the introduced pipe fixing body 195 passes and is fixed is formed at the center,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connected to the container fastening end 132. The fastening curved surface 133, the gauge insertion groove 134, the jet hole passing groove 135, A cover main body 131 having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multiple connection means aggregate 130a composed of the support surface 137 and the support surface 137; And,
The container fastening end 132 is formed to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a short height cut at its upper and lower ends and to be fixed by wrapping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main container 140,
The engaging curved surface 133 forms half of the gauge insertion groove 134 and the ejection opening passage groove 135 at the upp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regions,
The detection end of the pressure gauge is inserted into the gauge insertion groove 134,
After the extinguishing liquid has been moved upward by the vertical pressure generated by the provision of the external force to the upper lever 170 and the lower lever 180 through the inlet pipe in the main body container 140, the trumpet- 150, and protects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container 140 from an external force. The upper cover-based fire extinguish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8723A KR101857494B1 (en) | 2016-10-24 | 2016-10-24 | Fire extinguisher based on upper cover |
PCT/KR2017/003684 WO2018079954A1 (en) | 2016-10-24 | 2017-04-04 | Fire extinguisher |
EP17864056.1A EP3530325A4 (en) | 2016-10-24 | 2017-04-04 | Fire extinguish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8723A KR101857494B1 (en) | 2016-10-24 | 2016-10-24 | Fire extinguisher based on upper cov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44779A KR20180044779A (en) | 2018-05-03 |
KR101857494B1 true KR101857494B1 (en) | 2018-05-28 |
Family
ID=62244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38723A Expired - Fee Related KR101857494B1 (en) | 2016-10-24 | 2016-10-24 | Fire extinguisher based on upper cov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57494B1 (en) |
-
2016
- 2016-10-24 KR KR1020160138723A patent/KR10185749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44779A (en) | 2018-05-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43200B1 (en) | Air filling device of breathing air tank | |
US9320929B2 (en) | Protective cap of sprinkler head and sprinkler head | |
US3858659A (en) | Fire extinguisher apparatus | |
KR101396122B1 (en) |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with mist spray type nozzle | |
US20170182528A1 (en) | A Flow Cabinet System For Cleaning At Least One Object | |
JP2008116044A (en) | Leak supressing apparatus for reactive gas | |
KR20140053983A (en) |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for an electric automobile | |
KR101857494B1 (en) | Fire extinguisher based on upper cover | |
CN108883323B (en) | Quick-opening valve for a pressure-loaded fire-extinguishing fluid container and fire-extinguishing fluid container having the same | |
CA2566105A1 (en) | System for latching a clamping ring on transport containers having an opening | |
KR20120097103A (en) | Apparatus for extinguishing fire with improved exhaustion of fire extinguishing agent | |
KR101939807B1 (en) | Fire extinguisher based on sealing stamp sticker | |
KR20200099289A (en) | Fire extinguisher M without gripping the safety pin | |
KR20160056220A (en) | connector for mounting a filter | |
KR200487864Y1 (en) | Pipe structure | |
KR100936112B1 (en) | Discharge valve and fire extinguisher having the same | |
CN102468638A (en) | Lightning arrester wire clamp | |
KR101936408B1 (en) | Fire extinguisher with horn-shaped spout and container replacement structure | |
DE102012016847A1 (en) | Assembly housing for surge protection device for use in e.g. electrical installation, has fire-preventing substance containing inert gas, that is filled in housing using filling device | |
KR20130046146A (en) | Apparatus for automatic exhausting and indicating odorant and extinguishing agents of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 |
JP2016187400A (en) | Device for protecting scattering due to rupture in pressurized fire extinguisher | |
CN219185687U (en) | Fire extinguishing bottle | |
JP5547014B2 (en) | Container valve for gas fire extinguisher storage container | |
US20120043099A1 (en) | Safety cylinder | |
CN214619028U (en) | A hydrogen unloading colum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AMND | Amendment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
|
AMND | Amendment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X0901 |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2-rex-PX0901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X0701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S20-X000 | Security interest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S10-S20-lic-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23052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
|
K11-X000 | Ip right revival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0522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3-oth-PR04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