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782B1 - Grip for driv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Grip for driv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56782B1 KR101856782B1 KR1020110130721A KR20110130721A KR101856782B1 KR 101856782 B1 KR101856782 B1 KR 101856782B1 KR 1020110130721 A KR1020110130721 A KR 1020110130721A KR 20110130721 A KR20110130721 A KR 20110130721A KR 101856782 B1 KR101856782 B1 KR 1018567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ip
- layer
- resin
- core
- driv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9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4132 cross lin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PPBRXRYQALVLMV-UHFFFAOYSA-N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 PPBRXRYQALVLM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336 alk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60 diamon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2 diamo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2447 hatch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JRZJOMJEPLMPRA-UHFFFAOYSA-N olefin Natural products CCCCCCCC=C JRZJOMJEPLMPR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725 thermoplas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16—Hand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5/00—Screwdrivers
- B25B15/02—Screwdrivers operated by rotating the hand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그립 본체를 파지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그립 본체에 회전 토크를 가하였을 때에, 회전 토크가 효율적으로 코어에 전달될 수 있는 드라이버용의 그립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장척으로 형성되어, 공구(1)의 무늬부(11)에 고정되는 강성의 코어(2)와,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코어(2)의 외주에 고정되는 탄성의 그립 본체(3)를 구비하고, 그립 본체(3)는 외주부를 형성하는 그립 외층(31)과, 그립 외층(31)의 내측에 배치되어, 그립 외층(31)의 파지 변형을 가능하게 하는 탄성층(34)을 구비하고, 코어(2)는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또한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돌출부(22, 23)를 구비하는 공구의 그립에 있어서, 돌출부(22, 23)는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선단부(22a, 23a)가 노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ip for a driver which can easily grip the grip body and can transfer rotational torque efficiently to the core when the rotation torque is applied to the grip bod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grip. A rigid core 2 formed to be long and fixed to the fringe 11 of the tool 1 and an elastic grip body 3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fix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re 2 The grip body 3 has a grip outer layer 31 forming an outer peripheral portion and an elastic layer 34 disposed inside the grip outer layer 31 and capable of grasping the grip outer layer 31 , The core (2) has a protrusion (22, 23) protru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protrusion (22, 23) 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distal ends 22a and 23a are extended so as to be expos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동 조작되는 드라이버용 그립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ually operated driver grip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종래 공구의 그립으로서, 장척으로 형성되어, 공구의 무늬부에 고정되는 강성의 코어와,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코어의 외주에 고정되는 탄성의 그립 본체를 구비하는 공구의 그립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그리고 이러한 공구의 그립에 따르면, 그립 본체에는 그립 외층의 내측에 탄성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립 외층의 파지 변형을 가능하게 하여, 파지하기 쉽게 할 수 있다.Grips of a tool having a rigid core formed to be long and fixed to a fringe portion of a tool and an elastic grip bod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fix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re are known as grips of conventional tools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According to the grip of the tool, since the elastic layer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grip outer layer in the grip body, it is possible to grasp the grip outer layer and to grasp easily.
그런데 특허 문헌 1에 관한 공구의 그립에 있어서, 그립 외층과 코어 사이에 탄성층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그립 본체에 회전 토크를 가하려고 하면, 탄성층이 둘레 방향으로 변형된다. 따라서 그립 외층과 코어 사이에서의 둘레 방향의 상대 변위가 크게 발생하여, 회전 토크가 코어에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grip of the tool according to
또한, 특허 문헌 1에 관한 공구의 그립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금형 내에서 수지끼리를 합류시켜 형성하기 위해, 웰드부가 형성되고, 그 결과 기계 강도가 낮아지거나(파단 등의 기점으로 되기 쉽거나), 웰드부에서 형성되는 웰드 라인에 의해 의장의 미관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도 있었다. 또한, 「웰드부」라 함은 수지 성형할 때에, 금형 내에서 수지끼리가 합류되는 부분을 말하고, 또한 「웰드 라인」이라 함은, 웰드부에서 수지끼리가 완전하게 서로 융합되기 전에 굳어져버려, 수지와 금형의 내면 사이에 V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선 형상 자국을 말한다.Further,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grip of a tool according to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그립 본체를 파지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그립 본체에 회전 토크를 가하였을 때에, 회전 토크가 효율적으로 코어에 전달될 수 있는 드라이버용 그립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iver grip capable of efficiently transmitting a rotational torque to a core when grip torque is applied to the grip body in addition to easy gripping of the grip body .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그립 본체를 파지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그립 본체에 회전 토크를 가하였을 때에, 회전 토크가 효율적으로 코어에 전달될 수 있고, 게다가 그립 본체의 기계 강도를 높일 수 있는 드라이버용 그립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Further,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easy to grasp the grip main body, but also allows the rotational torque to be e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core when the rotational torque is applied to the grip main body, And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grip for a driver.
본 발명에 관한 드라이버용 그립은 장척으로 형성되어, 공구의 무늬부에 고정되는 강성의 코어와,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코어의 외주에 고정되는 탄성의 그립 본체를 구비하고, 그립 본체는 외주부를 형성하는 그립 외층과, 그립 외층의 내측에 배치되어, 그립 외층의 파지 변형을 가능하게 하는 탄성층을 구비하고, 코어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코어 본체를 구비하는 동시에, 코어 본체로부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또한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돌출부를 한 쌍만 구비하는 드라이버용 그립이며, 한쪽의 돌출부는 다른 쪽의 돌출부가 코어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고, 각 돌출부는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그립 본체를 두 개의 부분으로 분할하기 위해 선단부가 노출되도록 연장 형성되고, 탄성층은 그립 본체에 직경 방향 내측에 가해진 힘이 돌출부를 향하여 작용하기 위해, 둘레 방향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배치되고, 또한 각 단부가 돌출부를 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iver gr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igid core formed to be long and fixed to a fringe portion of a tool and an elastic grip bod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fix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re, And an elastic layer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grip outer layer to enable grip deformation of the grip outer layer. The core includes a core bod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one projecting portion protrud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direction in which the other projecting portion protrudes from the core body, and each projecting portion has a length In such a manner that the distal end portion is extended to divide the grip main body into two portion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elastic layer is characterized by being arranged in an arc 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force applied to the grip body in the radially inward direction acts toward the protruding portion and each end portion is extended so as to face the protruding portion.
본 발명에 관한 드라이버용 그립에 따르면,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선단부가 노출되도록 돌출부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돌출부와 그립 외층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그립 본체에 회전 토크를 가하였을 때에, 탄성층이 둘레 방향으로 변형하였다고 해도, 그립 외층과 코어 사이에서의 둘레 방향의 상대 변위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river gr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jecting portion is extended so that the tip end portion is ex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is prevents the relative displacement between the outer grip layer and the cor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occurring when the elastic layer is deformed in the peripheral direction when the rotation torque is applied to the grip body because the protrusion is connected to the grip outer layer .
게다가,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선단부가 노출되도록 돌출부가 연장 형성되어 있으므로, 돌출부가 탄성층과 그립 외층의 적어도 일부보다도 외측까지 연장 형성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그립 외층이나 탄성층에 둘레 방향을 따라 작용하는 힘을 돌출부에서 확실하게 받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ojecting portion is extended so that the tip end portion is expos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projecting portion is extended to the outside of at least part of the elastic layer and the grip outer layer. Therefore, a force acting on the grip outer layer or the elastic lay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an reliably be received at the protrud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드라이버용 그립에 따르면, 선단부가 노출되어 있는 돌출부를 한 쌍 구비하고 있으므로, 그립 본체를 두 개의 부분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그립 본체의 각 부분에 가해지는 힘을 대응하는 돌출부에서 확실하게 받을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driver gr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air of protrusions with which the tip end is exposed is provided, the grip main body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Thereby, the forces applied to the respective portions of the grip body can be reliably received at the corresponding protruding portions.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드라이버용 그립에 따르면, 탄성층이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므로, 그립 본체를 파지하면 탄성층이 압축 변형되므로, 그립 본체에는 탄성층이 배치되어 있는 방향, 즉 둘레 방향을 따른 힘이 가해진다. 그리고 그립 본체에 회전 토크를 가하면, 당해 둘레 방향을 따른 힘도 돌출부에서 받게 되어, 코어에 가해지는 회전 토크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driver gr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lastic layer is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en the grip body is gripped, the elastic layer is compressively deformed. Therefore, in the grip body, Force is applied. When a rotational torque is applied to the grip body, the forc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also received by the protrusion, so that the rotational torque applied to the core can be further increased.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드라이버용 그립에 있어서는, 각 돌출부는 선단부를 향하여 테이퍼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Further, in the driver gr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rojections may be tapered toward the tip end.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드라이버용 그립에 있어서는, 탄성층은 그립 외층보다도 저경도인 탄성부와, 그립 본체가 파지되었을 때에, 탄성부가 둘레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촉진시키는 변형 촉진부를 구비해도 된다.Further, in the driver gr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layer may have an elastic portion having a lower hardness than the grip outer layer, and a deformation promoting portion for promoting deformation of the elastic por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en the grip body is gripped.
이러한 구성의 드라이버용 그립에 따르면, 그립 본체가 파지되었을 때, 즉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또한 코어를 향하여(내측을 향하여) 힘이 작용하였을 때에, 변형 촉진부는 그립 외층보다도 저경도인 탄성부를 둘레 방향으로 변형시킨다. 따라서 그립 본체를 파지하면, 그립 본체에는 둘레 방향을 따른 힘이 가해지기 쉬워진다.According to the driver grip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grip body is grasped, that is,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when a force is applied toward the core (toward the inside), the deformation promoting portion has elasticity To deform the 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fore, when the grip body is gripped, a forc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ends to be applied to the grip body.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드라이버용 그립에 있어서는, 돌출부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소정 위치에 둘레 방향으로 폭이 넓은 광폭부를 구비해도 된다.Further, in the driver gr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jecting portion may have a wide portion that is wi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러한 구성의 드라이버용 그립에 따르면, 돌출부에는 둘레 방향으로 폭이 넓은 광폭부가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길이 방향의 소정 위치에 있어서, 그립 본체의 둘레 방향의 폭이 다른 위치와 비교하여 작으므로, 그립 본체의 변형량이 작아진다. 따라서 드라이버에 있어서, 나사를 돌리기 시작할(조이기 시작할) 때는, 나사를 빨리 돌리고자 하므로, 그립 본체의 변형이 작은 이러한 위치를 조작함으로써, 빠른 나선 돌림 조작에도 대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river grip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wide portion having a wide wid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a result, the wid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grip body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maller than the other positions, so that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grip body is reduced. Therefore, in the driver, when the screw is to be started to be turned (to start tightening), the screw is turned quickly, so that by operating the position where the deformation of the grip body is small, it is possible to cope with a fast spiral turning operation.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드라이버용 그립의 제조 방법은, 상기 드라이버용 그립이며, 또한 그립 본체는 내주부를 형성하는 그립 내층과, 그립 외층과 그립 내층을 연결하는 가교부를 구비하고, 탄성층은 그립 내층과 그립 외층과 가교부 사이에 배치되는 드라이버용 그립의 제조 방법이며, 금형의 형 공동의 내면에 돌출부가 접촉하도록, 형 공동 내에 코어를 배치하는 공정과, 형 공동의 내면에서 그립 내층과 그립 외층과 가교부를 형성하기 위해, 돌출부의 수와 동일한 수로 형성되는 주입구로부터 형 공동 내에 제1 수지를 단속적으로 사출하는 공정과, 그립 내층과 그립 외층과 가교부 사이에 탄성층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기 위해, 주입구로부터 형 공동 내에 제1 수지보다 연한 제2 수지를 제1 수지의 사출이 정지되는 동안에 사출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driver gr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r grip is the driver grip, and the grip main body includes an inner grip layer forming an inner peripheral portion and a crosslinking portion connecting the grip outer layer and the grip inner lay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river grip which is disposed between an inner layer and a grip outer layer and a crosslinking porti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rranging a core in a mold cavity so that the protrusion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mold cavity; A step of intermittently injecting the first resin into the mold cavity through the injection port formed at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the projections to form the outer layer and the cross-linking portion; and a step of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elastic layer between the inner layer of the grip, , A step of injecting a second resin, which is tighter than the first resin, into the mold cavity from the injection port while the injection of the first resin is stopped .
본 발명에 관한 드라이버용 그립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금형의 형 공동 내에 코어를 배치하고, 그 후 주입구로부터 형 공동 내에 제1 수지를 단속적으로 사출하는 동시에, 주입구로부터 형 공동 내에 제1 수지보다 연한 제2 수지를, 제1 수지의 사출이 정지되는 동안에 사출한다. 이에 의해, 제1 수지가 형 공동의 내면에 접함으로써, 제1 수지에 의해 그립 내층과 그립 외층과 가교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제2 수지가 제1 수지 내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제2 수지에 의해 그립 내층과 그립 외층과 가교부 사이에 탄성층의 적어도 일부가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driver gr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e is disposed in the mold cavity of the mold, then the first resin is injected from the injection port into the mold cavity intermittently, The second resin is injected while the injection of the first resin is stopped. As a result, the first resi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mold cavity, the inner layer of the grip, the outer layer of the grip and the crosslinking portion are formed by the first resin, and the second resin is disposed in the first resin. At least a part of the elastic layer is formed between the grip inner layer and the grip outer layer and the bridging portion.
또한, 금형의 형 공동의 내면에 돌출부가 접촉한 상태에서, 돌출부의 수와 동일한 수로 형성되는 주입구로부터 형 공동 내에 각 수지가 사출되어 있다. 이에 의해, 그립 본체에 웰드부가 발생하는(그립 외층에, 웰드 라인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그립 본체(그립 외층)의 기계 강도를 높일 수 있다.Further, in a state in which the protruding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mold cavity of the mold, each resin is injected into the mold cavity through the injection port formed in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the protruding portions.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elded portion from being generated in the grip body (the weld line is generated in the grip outer layer), so that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grip body (grip outer layer) can be increased.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돌출부가 복수 형성되는 경우에는, 형 공동에 코어의 돌출부에 의해 구획된 복수(돌출부와 동일한 수)의 공간이 형성되어, 그 구획된 공간 하나에 대해 하나의 주입구로부터 각 수지가 사출된다. 그리고 각 주입구로부터 최초에 사출된 제1 수지가 나중에 사출된 수지에 의해 풍선 형상으로 팽창되어(확장되어) 가지만, 형 공동의 내면과 접촉하고 있는 돌출부에 의해, 각 주입구로부터 최초에 사출된 제1 수지끼리가 합류되지 않으므로, 웰드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a plurality of spaces (the same number as the protrusions) partitioned by protrusions of the core are formed in the mold cavity, and each resin from one injection port Lt; / RTI > The first resin injected from each injection port is expanded (expanded) into a balloon shape by the later injected resin. However, by the protrusions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mold cavity, the first resin injected from each injection por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welded portion because the resins do not join together.
또한, 돌출부가 하나 형성되는 경우에는, 형 공동에 하나의 공간이 형성되어, 그 하나의 공간에 대해 하나의 주입구로부터 각 수지가 사출된다. 그리고 주입구로부터 최초에 사출된 제1 수지가 나중에 사출된 수지에 의해 풍선 형상으로 팽창되어(확장되어) 가지만, 형 공동의 내면과 접촉하고 있는 돌출부에 의해, 주입구로부터 최초에 사출된 제1 수지끼리가 합류되지 않으므로, 웰드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when one protrusion is formed, one space is formed in the mold cavity, and each resin is injected from one injection port into the one space. The first resin injected first from the injection port is expanded (expanded) into a balloon shape by the later injected resin, but the first resin injected from the injection port by the protruding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mold cavit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welded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드라이버용 그립의 제조 방법은, 상기 드라이버용 그립이며, 또한 그립 본체는 내주부를 형성하는 그립 내층과, 그립 외층과 그립 내층을 연결하는 가교부를 구비하고, 탄성층은 그립 내층과 그립 외층과 가교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드라이버용 그립의 제조 방법이며, 금형의 형 공동의 내면에 돌출부가 접촉하도록 형 공동 내에 코어를 배치하는 공정과, 형 공동의 내면에서 그립 내층과 그립 외층과 가교부를 형성하기 위해, 돌출부의 수와 동일한 수로 형성되는 주입구로부터 형 공동 내에 제1 수지를 연속적으로 사출하는 공정과, 그립 내층과 그립 외층과 가교부 사이에 탄성층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기 위해, 주입구로부터 형 공동 내에 제1 수지보다 연한 제2 수지를 제1 수지가 연속 사출되는 동안에 사출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driver gr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r grip is the driver grip, and the grip main body includes an inner grip layer forming an inner peripheral portion and a crosslinking portion connecting the grip outer layer and the grip inner lay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river grip which is disposed between an inner layer and an outer layer of a grip and a crosslinking porti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disposing a core in a mold cavity so that the protrusion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mold cavity; The step of continuously injecting the first resin into the mold cavity through the injection port formed at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the projections to form the crosslinked part and the step of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elastic layer between the inner grip layer and the outer- , And a step of injecting a second resin, which is tighter than the first resin, in the mold cavity from the injection port while the first resin is continuously injected .
본 발명에 관한 드라이버용 그립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금형의 형 공동 내에 코어를 배치하고, 그 후 주입구로부터 형 공동 내에 제1 수지를 연속적으로 사출하는 동시에, 주입구로부터 형 공동 내에 제1 수지보다 연한 제2 수지를 제1 수지가 연속 사출되는 동안에 사출한다. 이에 의해, 제1 수지가 형 공동의 내면에 접함으로써, 제1 수지에 의해 그립 내층과 그립 외층과 가교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제2 수지가 제1 수지 내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제2 수지에 의해 그립 내층과 그립 외층과 가교부 사이에 탄성층의 적어도 일부가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driver gr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e is disposed in the mold cavity of the mold, and then the first resin is continuously injected from the injection port into the mold cavity, The second resin is injected while the first resin is continuously injected. As a result, the first resi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mold cavity, the inner layer of the grip, the outer layer of the grip and the crosslinking portion are formed by the first resin, and the second resin is disposed in the first resin. At least a part of the elastic layer is formed between the grip inner layer and the grip outer layer and the bridging portion.
또한, 금형의 형 공동의 내면에 돌출부가 접촉한 상태에서, 돌출부의 수와 동일한 수로 형성되는 주입구로부터 형 공동 내에 각 수지가 사출되어 있다. 이에 의해, 그립 본체에 웰드부가 발생하는(그립 외층에, 웰드 라인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그립 본체(그립 외층)의 기계 강도를 높일 수 있다.Further, in a state in which the protruding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mold cavity of the mold, each resin is injected into the mold cavity through the injection port formed in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the protruding portions.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elded portion from being generated in the grip body (the weld line is generated in the grip outer layer), so that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grip body (grip outer layer) can be increas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드라이버용 그립에 따르면, 그립 본체를 파지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그립 본체에 회전 토크를 가하였을 때에, 회전 토크가 효율적으로 코어에 전달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river gr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grasp the grip main body, and when the rotation torque is applied to the grip main body, the rotation torque can be e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core .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드라이버용 그립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그립 본체를 파지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그립 본체에 회전 토크를 가하였을 때에, 회전 토크가 효율적으로 코어에 전달될 수 있고, 게다가 그립 본체의 기계 강도를 높일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Further, according to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driver gr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is it easy to grasp the grip body, but also when the rotational torque is applied to the grip body, the rotational torque can be e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core, And exhibits an excellent effect that the mechanical strength can be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드라이버용 그립의 전체도이며, 도 1의 (a)는 일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정면, 평면 및 우측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이하 동일함), 도 1의 (b)는 타측으로부터 본 사시도(배면, 저면 및 좌측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이하 동일함)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실시 형태에 관한 그립의 전체도이며, 도 2의 (a)는 정면도, 도 2의 (b)는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실시 형태에 관한 그립의 전체도이며, 도3의 (a)는 평면도, 도 3의 (b)는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실시 형태에 관한 그립의 전체도이며, 도 4의 (a)는 우측면도, 도 4의 (b)는 좌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1의 실시 형태에 관한 그립의 전체도이며, 도 5의 (a)는 도 2의 A-A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5의 (b)는 도 2의 B-B선에 있어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1의 실시 형태에 관한 그립의 전체도이며, 도 6의 (a)는 도 3의 C-C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6의 (b)는 일부가 단면인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1의 실시 형태에 관한 그립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7의 (a) 및 도 7의 (b)는 각각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1의 실시 형태에 관한 그립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8의 (a)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8의 (b)는 D-D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1의 실시 형태에 관한 그립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이며, 도 9의 (a)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9의 (b)는 E-E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그립의 전체도이며, 도 10의 (a)는 일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0의 (b)는 타측으로부터 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10의 실시 형태에 관한 그립의 전체도이며, 도 11의 (a)는 정면도, 도 11의 (b)는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10의 실시 형태에 관한 그립의 전체도이며, 도 12의 (a)는 평면도, 도 12의 (b)는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도 10의 실시 형태에 관한 그립의 전체도이며, 도13의 (a)는 우측면도, 도 13의 (b)는 좌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10의 실시 형태에 관한 그립의 전체도이며, 도 14의 (a)는 도 11의 F-F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14의 (b)는 도 11의 G-G선에 있어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그립의 전체도이며, 도 15의 (a)는 일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15의 (b)는 타측으로부터 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도 15의 실시 형태에 관한 그립의 전체도이며, 도16의 (a)는 정면도, 도 16의 (b)는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도 15의 실시 형태에 관한 그립의 전체도이며, 도 17의 (a)는 평면도, 도 17의 (b)는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도 15의 실시 형태에 관한 그립의 전체도이며, 도 18의 (a)는 우측면도, 도 18의 (b)는 좌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도 15의 실시 형태에 관한 그립의 전체도이며, 도 19의 (a)는 도 16의 H-H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19의 (b)는 도 16의 J-J선에 있어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그립의 전체도이며, 도 20의 (a)는 일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20의 (b)는 타측으로부터 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1은 도 20의 실시 형태에 관한 그립의 전체도이며, 도 21의 (a)는 정면도, 도 21의 (b)는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22는 도 20의 실시 형태에 관한 그립의 전체도이며, 도 22의 (a)는 평면도, 도 22의 (b)는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23은 도 20의 실시 형태에 관한 그립의 전체도이며, 도 23의 (a)는 우측면도, 도 23의 (b)는 좌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4는 도 20의 실시 형태에 관한 그립의 전체도이며, 도 24의 (a)는 도 21의 K-K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24의 (b)는 도 21의 L-L선에 있어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그립의 전체도이며, 도 25의 (a)는 일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25의 (b)는 타측으로부터 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그립의 전체도이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Fig. 1 is an overall view of a driver gr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a) is a perspective view (front view, plan view and right side view, (b) is a perspective view (rear view, bottom view, and left side view, and the same is applied hereinafter) as seen from the other side.
Fig. 2 is an overall view of the gri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 Fig. 2 (a) is a front view, and Fig. 2 (b) is a rear view.
Fig. 3 is an overall view of the gri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 wherein Fig. 3 (a) is a plan view and Fig. 3 (b) is a bottom view.
Fig. 4 is an overall view of the gri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 wherein Fig. 4 (a) is a right side view and Fig. 4 (b) is a left side view.
Fig. 5 is an overall view of the gri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 Fig. 5 (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2, and Fig. Respectively.
Fig. 6 is an overall view of the gri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 Fig. 6 (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3, and Fig.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ction of the gri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 and Figs. 7 (a) and 7 (b) show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gri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 wherein Fig. 8 (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ig. 8 (b) Respectively.
9 (A)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ig. 9 (B)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EE of Fig. 9 Respectively.
Fig. 10 is an overall view of a gri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a) is a perspective view from one side, and Fig. 10 (b) i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other side.
11 is an overall view of the gri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0, wherein Fig. 11 (a) is a front view and Fig. 11 (b) is a rear view.
Fig. 12 is an overall view of the gri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0, wherein Fig. 12 (a) is a plan view and Fig. 12 (b) is a bottom view.
Fig. 13 is an overall view of the gri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0, wherein Fig. 13 (a) is a right side view and Fig. 13 (b) is a left side view.
Fig. 14 is an overall view of the gri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0, Fig. 14 (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FF of Fig. 11, and Fig. 14 (b) is a cross- Respectively.
Fig. 15 is an overall view of a gri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Fig. 15 (a) is a perspective view from one side and Fig. 15 (b) i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other side.
FIG. 16 is an overall view of the gri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5, wherein FIG. 16 (a) is a front view and FIG. 16 (b) is a rear view.
17 is an overall view of the gri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5, wherein Fig. 17 (a) is a plan view and Fig. 17 (b) is a bottom view.
18 is an overall view of the gri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5, wherein Fig. 18 (a) is a right side view and Fig. 18 (b) is a left side view.
Fig. 19 is an overall view of the gri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5, Fig. 19 (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HH in Fig. 16, Respectively.
Fig. 20 is an overall view of a gri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0 (a) is a perspective view from one side, and Fig. 20 (b) i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other side.
FIG. 21 is an overall view of the gri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20, wherein FIG. 21 (a) is a front view and FIG. 21 (b) is a rear view.
FIG. 22 is an overall view of the gri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20, wherein FIG. 22 (a) is a plan view and FIG. 22 (b) is a bottom view.
Fig. 23 is an overall view of the gri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20, wherein Fig. 23 (a) is a right side view and Fig. 23 (b) is a left side view.
Fig. 24 is an overall view of the gri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20, Fig. 24 (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 line KK in Fig. 21, Respectively.
Fig. 25 is an overall view of a gri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5 (a) is a perspective view from one side, and Fig. 25 (b) i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other side.
Fig. 26 is an overall view of a grip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cross-sectional view cut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드라이버용 그립에 있어서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 도 1 내지 도 9를 참작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e driver gr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Fig.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드라이버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척의 막대 형상(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강성의 공구축(공구)(1)과, 장척으로 형성되어, 공구축(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의 단부, 즉 무늬부(11)에 고정되는 강성의 코어(2)를 구비한다. 그리고 드라이버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코어(2)의 외주에 고정되는 탄성의 그립 본체(3)를 더 구비한다.As shown in Figs. 1 to 6, the dr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rigid construction tool (tool) 1 formed into a long rod shape (cylindrical shape) And a
공구축(1)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타측의 단부에, 나사의 헤드에 형성되는 홈에 끼워 맞추어지는 나사 끼워 맞춤부(12)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나사 끼워 맞춤부(12)는 나사의 헤드에 형성되는 십자 형상의 홈에 끼워 맞추어지기 위해, 십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공구축(1)은 코어(2)를 빠짐 방지하기 위해, 코어(2)가 걸리게 하는 대경의 걸림부(111)를 무늬부(11)에 구비한다. 그리고 공구축(1)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tool construction (1) has a screw fitting portion (12) fitted in a groove formed in the head of the screw, at the other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코어(2)는 공구축(1)의 무늬부(11)에 끼워 맞추어지는 통 형상의 코어 본체(21)와, 코어 본체(21)로부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즉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22, 23)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돌출부(22, 23)는 한 쌍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코어(2)는 경질의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The
코어 본체(21)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각 단부(211, 212)가 중도부(213)보다도 대경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코어 본체(21)는 내부에 끼워 넣어져 있는 공구축(1)의 걸림부(111)에 걸리게 되는 오목 형상의 피걸림부(214)를 내주부에 구비한다. 또한, 타측의 단부(212)는 선단을 향하여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타측의 단부(212)의 표면에는, 오목부(212a, 212b)가 형성되어 있다.The
한쪽의 돌출부(이하, 「제1 돌출부」라고도 함)(22)는, 다른 쪽의 돌출부(이하, 「제2 돌출부」라고도 함)(23)가 코어 본체(21)로부터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코어 본체(21)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각 돌출부[22, (23)]는 코어(2)[코어 본체(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돌출부[22, (23)]는 코어 본체(21)의 일측의 단부(211)로부터 타측의 단부(212)에 걸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있다.(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 second projecting portion ") 23 of the other projecting portion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 first projecting portion " And protrudes from the
각 돌출부[22, (23)]는 코어(2)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즉 코어(2)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선단부[22a, (23a)]가 노출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 형성되는 돌출부(22, 23)에 의해, 그립 본체(3)가 복수의 부분(3a, 3b)으로 분할되어 있다. 또한, 각 돌출부[22, (23)]는 코어(2)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선단부[22a, (23a)]를 향하여 테이퍼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제1 돌출부(22)는 코어(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돌출부 본체(221)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1 돌출부(22)는 코어(2)[돌출부 본체(22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타측에, 돌출부 본체(211)보다도 둘레 방향으로 폭이 넓은 광폭부(222)를 구비한다.The
광폭부(222)는 코어(2)[돌출부 본체(22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일측의 단부로부터 중도부를 향하여 점차 폭 넓게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중도부로부터 타측의 단부를 향하여 점차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광폭부(222)는 정면에서 보아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광폭부(222)는 손바닥을 코어(2)의 일측의 단부(211)에 접한 상태에서, 복수의 손가락으로 나사 돌림 조작되는(복수의 손가락 끝이 접하는)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The
그립 본체(3)의 각 부분(3a, 3b)은, 외주부를 형성하는 그립 외층(31)과, 내주부를 형성하는 그립 내층(32)과, 그립 외층(31)과 그립 내층(32)을 연결하는 가교부(33, 33)를 구비한다. 또한, 그립 본체(3)의 각 부분(3a, 3b)은 그립 외층(31)의 내측에, 또한 그립 내층(32)의 외측, 즉 그립 외층(31)과 그립 내층(32)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층(34)을 구비하여, 그립 외층(31)의 파지 변형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Each of the
각 그립 외층(31)은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각 그립 외층(31)은 그립 본체(3)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절단한 단면에 있어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각 단부(31a)에서 각 돌출부(22, 23)의 선단부(22a, 23a)와 연결되어 있다.Each grip
그리고 각 그립 외층(31)은, 그립 본체(3)가 파지되어 압박되었을 때에 탄성층(34)과 함께 탄성 변형하기 위해, 두께(직경 방향의 폭 치수)가 탄성층(34)의 두께보다도 얇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그립 외층(31)은 그립 본체(3)를 파지하였을 때에 회전 토크를 가하기 쉽도록, 표면(외면)이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Each of the grip
각 그립 내층(32)은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각 그립 내층(32)은 그립 본체(3)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절단한 단면에 있어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각 단부(32a)에서 각 돌출부(22, 23)의 기단부(22b, 23b)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각 그립 내층(32)은, 두께(직경 방향의 폭 치수)가 탄성층(34)의 두께보다도 얇게 형성되어 있다.Each grip
각 가교부(33)는 그립 외층(31)의 둘레 방향의 단부(31a)와 그립 내층(32)의 둘레 방향의 단부(32a)를 연결하도록, 그립 본체(3)의 직경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가교부(33)는, 돌출부[22, (23)]의 선단부[22a, (23a)]로부터 기단부(22b, 23b)에 걸쳐 연결되어 있다.Each of the bridging
각 탄성층(34)은 그립 외층(31)보다도 저경도인 탄성부(341, …)를 구비한다. 또한, 각 탄성층(34)은 그립 본체(3)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도부, 즉 파지되는 부분에 있어서, 그립 본체(3)가 파지되었을 때에 각 탄성부(341)가 둘레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촉진시키는 변형 촉진부(342, …)를 구비한다.Each of the
그리고 각 탄성층(34)은, 그립 외층(31)과 그립 내층(32)과 가교부(33, 33)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각 탄성층(34)은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탄성층(34)은 그립 본체(3)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절단한 단면에 있어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탄성층(34)은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각 단부(34a)가 각 돌출부(22, 23)를 향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있다.Each of the
복수의 탄성부(341, …)는 그립 본체(3)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도부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병렬되어 있다. 그리고 각 탄성부(341)는, 그립 외층(31)보다도 저경도이며, 탄성을 갖는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The plurality of
각 변형 촉진부(342)는 각 탄성부(341)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에 연속 형성되어,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중도부(342a)가 돌출부[22, (23)]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변형 촉진부(342)는 그립 본체(3)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절단한 단면에 있어서, 직경 방향의 각 단부(342b)보다도 중도부(342a)가 후육의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탄성층(34)의 단부(34a)[혹은, 돌출부(22, 23)]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Each of the
또한, 각 그립 외층(31), 각 그립 내층(32) 및 각 가교부(33)는 탄성층(34)의 탄성부(341)보다 고경도이고, 또한 코어(2)보다 저경도이며, 탄성을 갖는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각 그립 외층(31), 각 그립 내층(32) 및 각 가교부(33)는 탄성층(34)의 변형 촉진부(342)와 동일한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Each of the grip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그립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상과 같고,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그립의 작용에 대해, 도 7을 참작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7에 있어서는 절단면의 해칭(평행사선)을 생략하고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gri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s described above. Next, the operation of the gri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n Fig. 7, hatching (parallel diagonal lines) of the cut surfaces is omitted.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립 본체(3)를 파지하면, 그립 본체(3)에는 직경 방향 내측의 힘(파지력) P1이 가해진다. 그러면, 탄성층(34)의 각 변형 촉진부(342)에는 각 단부(342b, 342b)끼리를 접근시키는 힘 P11이 가해지므로, 탄성층(34)의 각 탄성부(341)가 둘레 방향으로 압축되어 변형된다. 이에 의해, 그립 본체(3)에는 탄성층(34)이 배치되어 있는 방향, 즉 둘레 방향을 따른 힘 P12, P13이 가해지게 된다.As shown in Fig. 7 (a), when the
그리고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립 본체(3)를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시키면, 그립 외층(31)에는 둘레 방향의 힘(회전 토크) P2가 가해진다. 그러면 돌출부(23)와 그립 외층(31)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회전 토크 P2를 돌출부(23)에서 받을 수 있고, 그 결과 회전 토크 P2를 확실하게 코어(2)에 전달할 수 있다. 게다가, 파지력 P1에 의해 발생하는 둘레 방향을 따른 힘 P12도 돌출부(23)에서 받으므로, 코어(2)에 가해지는 회전 토크(P12+P2)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b), when the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그립의 작용에 대해서는 이상과 같고,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그립의 제조 방법에 대해, 도 8 및 도 9를 참작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gri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s described above. Next,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gri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Fig.
우선,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립을 제조하기 위한 그립 제조 장치(8)를 설명한다. 이러한 그립 제조 장치(8)는, 내부에 그립 성형용의 형 공동(811)이 형성되어 있는 금형(81, 81)을 한 쌍 구비한다. 그리고 그립 제조 장치(8)는, 각 금형(81)에 형성되는 주입구(812)를 통해, 금형(81)의 내부에 2종류의 수지(3c, 3d)를 사출하는 사출 수단(도시하고 있지 않음)(82)을 구비한다.First, as shown in Figs. 8 and 9, a
각 금형(81)은 형 공동(811) 내에 코어(2)를 배치하여 보유 지지하였을 때에, 코어(2)의 돌출부(22, 23)와 접촉하도록, 내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접촉부(813, 813)를 구비한다. 그리고 한 쌍의 금형(81)은, 코어 본체(21)의 길이 방향의 단부(211, 212)를 끼움 지지하여 코어(2)를 보유 지지하는 동시에, 코어 본체(21)의 단부(212)의 오목부(212a, 212b)에 의해, 코어(2)의 둘레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한다.Each of the
주입구(812, 812)는 돌출부(22, 23)의 수와 동일한 수로 형성되어 있다(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두 개). 그리고 각 주입구(812)는, 각 금형(81)의 둘레 방향(폭 방향)에 있어서, 접촉부(813, 813)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주입구(812)는 각 금형(81)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의 모두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The
사출 수단(82)은 금형(81)의 주입구(812)에 접속되는 혼색 성형 노즐(도시하고 있지 않음)(821)을 구비한다. 그리고 사출 수단(82)은, 혼색 성형 노즐(821)로부터 기본 재료인 제1 수지(3c)를 사출하고, 그 제1 수지(3c) 내에 별도의 계통을 흘러 온 제2 수지(3d)를 사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injection means 82 has a mixed color forming nozzle (not shown) 821 connected to the
그리고 이러한 그립 제조 장치(8)에 의해 그립을 제조하기 위해, 우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형(81)의 형 공동(811) 내에 공구축(1)의 무늬부(11)에 고정된 코어(2)를 배치한다. 이때, 각 돌출부(22, 23)의 선단부(22a, 23a)가 형 공동(811)의 내면, 즉 접촉부(813, 813)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형 공동(811)에는 돌출부(22, 23)와 동일한 수인 두 개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그 구획된 공간 하나에 대해 하나의 주입구(812)가 배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8, in order to manufacture the grip by the
그리고 제1 수지(3c)를 금형(81)의 내부에 일정량 사출한다. 그 후, 제1 수지(3c)의 사출을 단속적으로 행하고, 제1 수지(3c)의 사출을 정지하였을 때에만 제2 수지(3d)를 금형(81)의 내부에 사출한다.Then, the
이와 같이, 제1 수지(3c)와 제2 수지(3d)를 교대로 사출함으로써, 각 주입구(812)로부터 형 공동(811) 내에 들어간 제1 수지(3c)가 풍선 형상으로 팽창되어, 코어(2)에 충돌하여 코어(2)의 둘레에서 둘레 방향의 양 방향으로 유동한다. 또한, 풍선 형상으로 팽창된 제1 수지(3c) 내에, 제2 수지(3d)가 들어가는 동시에, 제2 수지(3d)도 풍선 형상으로 팽창된다.As described above, the
그리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첫 번째로 사출된 제1 수지(3c)가 형 공동(811) 및 코어(2)에 밀착됨으로써, 그립 외층(31), 그립 내층(32) 및 가교부(33, 33)가 형성된다. 이때, 형 공동(811) 내의 각 공간이 돌출부(22, 23)에 의해 구획되어 있으므로, 한쪽의 주입구(812)로부터 첫 번째로 사출된 제1 수지(3c)와, 다른 쪽의 주입구(812)로부터 첫 번째로 사출된 제1 수지(3c)가 합류되지 않는다. 따라서 그립 본체(3)에는, 웰드부[그립 외층(31)에는, 웰드 라인]가 형성되지 않는다.9, the
또한, 제2 수지(3d)에 의해 탄성층(34)의 일부, 즉 탄성층(34)의 각 탄성부(341)가 형성되는 동시에, 2번째 이후에 사출된 제1 수지(3c)에 의해 탄성층(34)의 변형 촉진부(342)가 형성된다. 즉, 제1 수지(3c)의 사출과 제2 수지(3d)의 사출을 순차 행하고, 제2 수지(3d)가 사출되는 동안에 사출한 제1 수지(3c)로 각 변형 촉진부(342)를 형성한다.A part of the
따라서 그립 본체(3)의 각 부분(3a, 3b)은, 제1 수지(3c)로 제2 수지(3d)를 덮고, 또한 그 제2 수지(3d)로 제1 수지(3c)를 덮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또한, 제1 수지(3c)는 비교적 단단한 수지이고, 사출 성형이 가능한 열가소성의 엘라스토머, 예를 들어 올레핀계나, 스티렌계 등의 반발성이 풍부한 엘라스토머나 고무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JIS-A 경도로 60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수지(3d)는 비교적 연한 수지이고, 상기 엘라스토머와 동일한 것이 사용가능하고, JIS-A 경도로 10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그립에 따르면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선단부[22a, (23a)]가 노출되도록, 돌출부[22, (23)]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그립 본체(3)에 회전 토크 P2를 가하였을 때에, 탄성층(34)이 둘레 방향으로 변형하였다고 해도, 돌출부[22, (23)]와 그립 외층(31)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그립 외층(31)과 코어(2) 사이에서의 둘레 방향의 상대 변위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gri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truding portions 22 (23) are extended so that the
따라서 그립 외층(31)의 내측에 배치되는 탄성층(34)에 의해, 그립 외층(31)의 파지 변형이 가능하므로, 그립 본체(3)를 파지하기 쉽고, 또한 그립 본체(3)에 회전 토크 P2를 가하였을 때에, 회전 토크 P2가 효율적으로 코어(2)에 전달될 수 있다.The
게다가,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선단부(22a, 23a)가 노출되도록, 돌출부(22, 23)가 연장 형성되어 있으므로, 돌출부(22, 23)가 탄성층(34)이나 그립 외층(31)의 일부보다도 외측까지 연장 형성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그립 외층(31)이나 탄성층(34)에 둘레 방향을 따라 작용하는 힘을 돌출부(22, 23)에서 확실하게 받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그립에 따르면 선단부[22a, (23a)]가 노출되어 있는 돌출부(22, 23)를 복수 구비하고 있으므로, 그립 본체(3)를 복수의 부분(3a, 3b)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그립 본체(3)의 각 부분(3a, 3b)에 가해지는 힘을 대응하는 돌출부(22, 23)에서 확실하게 받을 수 있다.Since the gri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plurality of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그립에 따르면 탄성층(34)이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므로, 그립 본체(3)를 파지하면[그립 본체(3)에 파지력 P1을 가하면), 탄성층(34)이 압축 변형되므로, 그립 본체(3)에는 탄성층(34)이 배치되어 있는 방향, 즉 둘레 방향을 따른 힘 P12, P13이 가해진다. 그리고 그립 본체(3)에 회전 토크 P2를 가하면, 당해 둘레 방향을 따른 힘 P12(P13)이 돌출부[23, (22)]에서 받게 되어, 코어(2)에 가해지는 회전 토크(P12(P13)+P2)를 크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gri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그립에 따르면, 제1 돌출부(22)에는 둘레 방향으로 폭이 넓은 광폭부(222)가 코어(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타측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길이 방향의 이러한 위치에 있어서, 그립 본체(3)의 둘레 방향의 폭이 다른 위치와 비교하여 작으므로, 그립 본체(3)의 변형량이 작아진다. 따라서 드라이버에 있어서, 나사를 돌리기 시작할(조이기 시작할) 때는, 나사를 빨리 돌리고자 하므로, 그립 본체(3)의 변형이 작은 이러한 위치를 조작함으로써, 빠른 나선 돌림 조작에도 대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gri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protruding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그립에 따르면 각 금형(81)의 형 공동(811)의 내면에 돌출부(22, 23)가 접촉한 상태에서, 돌출부(22, 23)의 수와 동일한 수로 형성되는 주입구(812, 812)로부터 형 공동(811) 내에 각 수지(3c, 3d)가 사출되어 제조되어 있다. 이에 의해, 그립 본체(3)에 웰드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그립 본체(3)의 기계 강도를 높일 수 있고, 또한 그립 외층(31)에 웰드 라인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의장의 미관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gri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state where the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드라이버용 그립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하기의 각종 변경 예에 관한 구성이나 방법 등을 임의로 선택하여, 상기한 실시 형태에 관한 구성이나 방법 등에 채용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driver gr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constitution and the method according to the various modifications described below may be arbitrarily selected and employed in the constitution and the method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드라이버용 그립에 있어서는, 공구축(1)과 코어(2)가 별도의 부재인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공구축과 코어는 일체적으로 형성되는(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구성이어도 된다.In the driver grip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structure in which the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드라이버용 그립에 있어서는 돌출부(22, 23)가 코어(2)의 길이 방향에 걸쳐 배치되는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돌출부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 구체적으로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 탄성층(34)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구성이면 된다.In the driver grip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드라이버용 그립에 있어서는, 광폭부(222)가 코어(2)[돌출부 본체(22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타측에 배치되는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광폭부(222)는 코어(2)[돌출부 본체(22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에 배치되는 구성이어도 되고, 또한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2)[돌출부 본체(22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구성이어도 된다.In the driver grip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드라이버용 그립에 있어서는, 광폭부(222)가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광폭부(222)는 다각 형상, 구체적으로는 다이아몬드형 형상, 육각 형상, 또는 도 15 내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이어도 되고, 또한 도 20 내지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장척으로 형성되는 구성이어도 된다.In the driver grip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드라이버용 그립에 있어서는, 광폭부(222)가 한쪽의 돌출부(22)에 하나 형성되는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광폭부는 형성되어 있지 않은 구성이어도 되고, 또한 복수의 돌출부에 각각 형성되는 구성이어도 되고, 또한 하나의 돌출부에 복수 형성되는 구성이어도 된다.In the driver grip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드라이버용 그립에 있어서는, 그립 본체(3)의 둘레 방향의 변형량을 작게 하기 위해, 둘레 방향으로 폭이 넓은 광폭부(222)가 코어(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타측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에 걸쳐 배치되는 돌출부(22, 23)의 외에, 소정 위치[코어(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타측의 위치]에만 배치되는 돌출부(24, …)를 구비함으로써, 이러한 소정 위치에 있어서 그립 본체(3)의 둘레 방향의 변형량을 작게 하는 구성이어도 된다.In the driver grip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deforma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드라이버용 그립에 있어서는, 그립 본체(3)는 그립 외층(31)과, 그립 내층(32)과, 가교부(33, 33)와, 탄성층(34)을 구비하는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그립 본체(3)는 가교부(33, 33)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구성이어도 되고, 또한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립 내층(32) 및 가교부(33, 33)가 형성되지 않고, 그립 외층(31) 및 탄성층(34)만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어도 된다.In the driver grip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드라이버용 그립에 있어서는, 탄성층(34)이 변형 촉진부(342, …)를 구비하는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탄성층(34)은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341)만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어도 된다.In the driver gri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드라이버용 그립에 있어서는, 제1 수지(3c)의 사출을 단속적으로 행하고, 제1 수지(3c)의 사출이 정지된 동안에 제2 수지(3d)를 사출하여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수지(3c)의 사출을 연속적으로 행하고, 제2 수지(3d)만을 단속적으로 사출하여 제조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또한, 그립 본체(3)를 개별로 성형한 후에 그립 본체(3)를 코어(2)에 고정(접착)시켜 제조하는 방법이어도 된다.In the driver grip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injection of the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드라이버용 그립은 변형 촉진부(342)의 일단부(342b)가 그립 외층(31)에 연결되는 동시에, 변형 촉진부(342)의 타단부(342b)가 그립 내층(32)에 연결됨으로써, 변형 촉진부(342)가 그립 외층(31)과 그립 내층(32)을 연결하는 가교부로서 기능하는 구성이어도 된다.In the driver gr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ne
1 : 공구축(공구)
2 : 코어
3 : 그립 본체
3a : 그립 본체의 부분
3b : 그립 본체의 부분
11 : 무늬부
22 : (제1)돌출부
22a : 선단부
23 : (제2)돌출부
23a : 선단부
31 : 그립 외층
34 : 탄성층
81 : 금형
222 : 광폭부
341 : 탄성부
342 : 변형 촉진부
811 : 형 공동
812 : 주입구1: Tooling (tool)
2: Core
3: grip body
3a: part of the grip body
3b: part of the grip body
11:
22: (first) protrusion
22a:
23: (second) protrusion
23a:
31: outer grip layer
34: elastic layer
81: Mold
222: wide portion
341:
342:
811: Mold joint
812:
Claims (6)
그립 본체는 외주부를 형성하는 그립 외층과, 그립 외층의 내측에 배치되어, 그립 외층의 파지 변형을 가능하게 하는 탄성층을 구비하고,
코어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코어 본체를 구비하는 동시에, 코어 본체로부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또한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돌출부를 한 쌍만 구비하는 드라이버용 그립이며,
한쪽의 돌출부는 다른 쪽의 돌출부가 코어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고,
각 돌출부는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그립 본체를 두 개의 부분으로 분할하기 위해 선단부가 노출되도록 연장 형성되고,
탄성층은 그립 본체에 직경 방향 내측에 가해진 힘이 돌출부를 향하여 작용하기 위해, 둘레 방향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배치되고, 또한 각 단부가 돌출부를 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용 그립.A rigid core which is elongatedly formed and fixed to the fringe portion of the tool, and an elastic grip body which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fix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re,
The grip body includes a grip outer layer forming an outer peripheral portion and an elastic layer disposed inside the grip outer layer and capable of grasping the grip outer layer,
Wherein the core is a driver grip having a core bod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having a pair of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core bod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e projecting portion is projec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direction in which the other projecting portion projects from the core body,
Each protrusion is formed so as to exten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distal end portion is exposed so as to divide the grip body into two portion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layer is arranged in an arc 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a force radially inwardly applied to the grip body acts toward the protruding portion and each end portion is extended so as to face the protruding portion.
금형의 형 공동의 내면에 돌출부가 접촉하도록, 형 공동 내에 코어를 배치하는 공정과,
형 공동의 내면에서 그립 내층과 그립 외층과 가교부를 형성하기 위해, 돌출부의 수와 동일한 수로 형성되는 주입구로부터 형 공동 내에 제1 수지를 단속적으로 사출하는 공정과,
그립 내층과 그립 외층과 가교부 사이에 탄성층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기 위해, 주입구로부터 형 공동 내에 제1 수지보다 연한 제2 수지를 제1 수지의 사출이 정지되는 동안에 사출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용 그립의 제조 방법.The grip for a driv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grip body includes an inner grip layer forming an inner peripheral portion, and a cross link portion connecting the outer grip layer and the inner grip layer, wherein the elastic layer comprises a grip inner lay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river grip,
A step of disposing the core in the mold cavity so that the protrusion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mold cavity of the mold;
A step of intermittently injecting the first resin into the mold cavity through the injection port formed at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the projections to form the grip inner layer, the grip outer layer, and the cross-
And a step of injecting a second resin, which is tighter than the first resin, from the injection port into the mold cavity while the injection of the first resin is stopped, in order to form at least a part of the elastic layer between the inner grip layer and the grip outer layer and the cross-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금형의 형 공동의 내면에 돌출부가 접촉하도록, 형 공동 내에 코어를 배치하는 공정과,
형 공동의 내면에서 그립 내층과 그립 외층과 가교부를 형성하기 위해, 돌출부의 수와 동일한 수로 형성되는 주입구로부터 형 공동 내에 제1 수지를 연속적으로 사출하는 공정과,
그립 내층과 그립 외층과 가교부 사이에 탄성층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기 위해, 주입구로부터 형 공동 내에 제1 수지보다 연한 제2 수지를 제1 수지가 연속 사출되는 동안에 사출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용 그립의 제조 방법.The grip for a driv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grip body includes an inner grip layer forming an inner peripheral portion, and a cross link portion connecting the outer grip layer and the inner grip layer, wherein the elastic layer comprises a grip inner lay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river grip,
A step of disposing the core in the mold cavity so that the protrusion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mold cavity of the mold;
Continuously injecting the first resin into the mold cavity through the injection port formed in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the projections, in order to form the inner grip layer, the grip outer layer, and the cross-
And a step of injecting a second resin, which is tighter than the first resin, from the injection port into the mold cavity during the continuous injection of the first resin so as to form at least a part of the elastic layer between the inner grip layer and the grip outer layer and the cross- Of the grip por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0274622A JP4813620B1 (en) | 2010-12-09 | 2010-12-09 | Driver grip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JPJP-P-2010-274622 | 2010-12-0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64629A KR20120064629A (en) | 2012-06-19 |
KR101856782B1 true KR101856782B1 (en) | 2018-05-10 |
Family
ID=45044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30721A Active KR101856782B1 (en) | 2010-12-09 | 2011-12-08 | Grip for driv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4813620B1 (en) |
KR (1) | KR10185678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813620B1 (en) | 2010-12-09 | 2011-11-09 | 株式会社ベッセル工業 | Driver grip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JP5998899B2 (en) * | 2012-12-11 | 2016-09-28 | 株式会社デンソー | Insert resin molding |
JP6219162B2 (en) * | 2013-12-26 | 2017-10-25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Decorative synthetic resin molded product |
CN110450353B (en) * | 2019-08-23 | 2021-07-09 | 鹤山市明晟精密科技有限公司 | Injection mold capable of being used in a deformable mode |
JP7365091B1 (en) * | 2023-07-28 | 2023-10-19 | 株式会社岐阜多田精機 | Manufacturing method for insert molding mold parts, insert molding molds, and insert resin molded product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21103A (en) | 2010-12-09 | 2012-06-28 | Vessel Industrial Co Ltd | Grip for driv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2010
- 2010-12-09 JP JP2010274622A patent/JP4813620B1/en active Active
-
2011
- 2011-12-08 KR KR1020110130721A patent/KR10185678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21103A (en) | 2010-12-09 | 2012-06-28 | Vessel Industrial Co Ltd | Grip for driv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2121103A (en) | 2012-06-28 |
JP4813620B1 (en) | 2011-11-09 |
KR20120064629A (en) | 2012-06-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56782B1 (en) | Grip for driv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JP3569658B2 (en) | Assembly method of coaxial multipolar plug and coaxial multipolar plug | |
US6402494B1 (en) | Apparatus for producing a toothbrush | |
US8414460B2 (en) | Connector for jungle gym and jungle gym using same | |
JP6591988B2 (en) | toothbrush | |
CN107106272A (en) | The manufacture method of teeth space burnisher | |
JP7166372B2 (en) | toothbrush | |
WO2009046236A1 (en) | Flexible grip and method of making same | |
CN104364112A (en) | Break-off-resistant control device | |
JP4929245B2 (en) | Tool grip | |
CN108136812B (en) | Writing implement | |
JP5011153B2 (en) | Protrusion urethane belt manufacturing method and protrusion urethane belt | |
WO2008001552A1 (en) | Grip for tool or the lik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 |
JP3262783B1 (en) | Shaft barrel with grip and method of forming the barrel | |
WO2009084265A1 (en) | Grip for too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3691731B2 (en) | Commutator and commutator manufacturing method | |
JP4587455B2 (en) | fishing rod | |
JP2002310267A (en) | Resin worm wheel,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3214213U (en) | Golf club grip | |
JP3240406U (en) | pet leash grip | |
JP4607088B2 (en) | lamp | |
JP3122169U (en) | Pre-formed interdental brush structure | |
JP3640305B2 (en) | Hose connection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5279736B2 (en) | Joining processing tool | |
JP2971375B2 (en) | Injection molding of pipe join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0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12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12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5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5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