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56767B1 - 동전감별 모듈의 동전걸림 방지기구 - Google Patents

동전감별 모듈의 동전걸림 방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767B1
KR101856767B1 KR1020170031184A KR20170031184A KR101856767B1 KR 101856767 B1 KR101856767 B1 KR 101856767B1 KR 1020170031184 A KR1020170031184 A KR 1020170031184A KR 20170031184 A KR20170031184 A KR 20170031184A KR 101856767 B1 KR101856767 B1 KR 101856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induction
movement path
main body
coi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1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기
이석환
강동주
Original Assignee
(주)에이텍티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텍티앤 filed Critical (주)에이텍티앤
Priority to KR1020170031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7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76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 G07D5/08Testing the magnetic or electric properti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7D9/002Coin holding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esting Of Co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전감별 모듈에서 동전의 걸림 사고를 방지하는 기구에 있어서: 동전의 이동경로를 개폐하도록 걸림홈(15)에 맞물리는 커버를 구비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이동경로에 설치되는 제1유도대(31)와 제2유도대(32)로 동전의 정렬된 통과를 유도하는 유도수단(30); 및 상기 커버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걸림홈(15)에 대한 맞물림을 단속하는 로크레버(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동전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모듈에서 다량의 동전의 안정적이고 신속한 주행을 유도하면서 걸림 상태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해소하여 관련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제고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동전감별 모듈의 동전걸림 방지기구{Coin jam prevention device for coin recognizer module}
본 발명은 동전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동전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모듈에서 동전의 걸림 상태를 해소하기 위한 동전감별 모듈의 동전걸림 방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ATM, 발권기 등에 탑재되는 동전처리장치는 금종과 위폐를 구분하여 처리하는 동전감별 모듈을 구비한다. 동전감별 모듈은 투입된 동전을 자기센서로 감별하고 정상 및 비정상 동전을 다른 경로로 보낸다. 만일 비정상 동전이 배출되는 경로에서 걸리는 경우 정상적인 동전의 입금 처리를 비롯한 전반적인 작동이 중단된다. 관리자가 공구로 경로를 개방하고 비정상 동전을 인출하려면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이러한 폐단을 해소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되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하기의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386894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156436호와 같은 선행특허를 참조할 수 있다.
전자는 주화통로와 비주화통로를 구비하고, 디스크로 주화를 이송하는 본체; 상기 디스크의 일측에 탄성력으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송되는 주화를 낱개로 통과시키는 잼방지판; 및 상기 잼방지판에 인접하여 주화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이동안내수단;을 포함한다. 이에, 주화의 겹침이나 비정상 주화에 의한 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후자는 코인통로를 개폐하는 게이트플레이트, 코인통로의 도중에 배치되고 이 코인통로를 통과하는 코인의 걸림을 검출하는 코인걸림 검출센서 및 이 검출센서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작동하고 게이트플레이트를 자동적으로 개폐시키는 게이트플레이트 확대개방수단을 구비한다. 이로 인해, 코인투입구내에 걸린 코인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빼내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에 의하면 다량의 동전을 고속으로 감별하는 모듈에서 걸림 발생을 완화하기 미흡하고 일단 걸림이 발생하면 단시간에 인출하기 곤란한 한계성을 보인다.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386894호 "대중교통 주화계수기의 걸림방지 기구" (공개일자 : 2014.03.10.)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156436호 "코인 선별장치" (공개일자 : 1998.12.15.)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전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모듈에서 다량의 동전의 안정적이고 신속한 주행을 유도하면서 걸림 상태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해소하기 위한 동전감별 모듈의 동전걸림 방지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동전감별 모듈에서 동전의 걸림 사고를 방지하는 기구에 있어서: 동전의 이동경로를 개폐하도록 걸림홈에 맞물리는 커버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이동경로에 설치되는 제1유도대와 제2유도대로 동전의 정렬된 통과를 유도하는 유도수단; 및 상기 커버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걸림홈에 대한 맞물림을 단속하는 로크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본체는 투입구에서 입수구에 이르는 이동경로를 수직부, 경사부, 수직부의 연속 형태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1유도대는 이동경로의 경사부 상단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유도대는 이동경로의 경사부 하단에 곡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유도수단은 이동경로 상에 동전의 접촉 저항을 축소하기 위한 유도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로크레버는 안내턱을 개재하여 하부커버의 안내대에 일방향 탄성력을 받도록 지지되고, 본체의 걸림홈에 맞물리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동전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모듈에서 다량의 동전의 안정적이고 신속한 주행을 유도하면서 걸림 상태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해소하여 관련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제고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전감별 모듈의 외형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모듈을 전면에서 분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도 1의 모듈을 후면에서 분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구를 부분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동전감별 모듈에서 동전의 걸림 사고를 방지하는 기구에 관하여 제안한다. ATM, 발권기 등에 탑재되는 동전처리장치의 동전감별 모듈을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동전 걸림 사고의 방지는 동전의 원활한 이동(주행)을 보장하는 구성과 일단 걸림이 발생한 동전의 신속한 인출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10)가 동전의 이동경로를 개폐하도록 걸림홈(15)에 맞물리는 커버를 구비하는 구조이다. 도 1에서 본체(10)의 전면에 상부커버(21)와 하부커버(22)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다. 동전의 이동경로는 상부커버(21)와 하부커버(22)로 구분하여 개폐하는 것이 장탈착에 편리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에서 걸림홈(15)은 본체(10)의 대향하는 일측면과 타측면에 복수로 형성된 상태를 예시한다. 커버를 걸림홈(15)에 맞물리는 구조는 볼트 등의 부재를 배제하여 개폐의 신속성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본체(10)는 투입구(11)에서 입수구(12)에 이르는 이동경로를 수직부, 경사부, 수직부의 연속 형태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투입구(11)의 하방향으로 반환구(13)가 배치되고, 반환구(13)의 측방향으로 입수구(12)가 배치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동경로의 수직부, 경사부, 수직부는 완만한 곡선 형태로 연결된다. 수직부는 동전의 신속한 낙하 이동을 유도하고, 경사부는 동전을 감속하여 감별센서(17)에서 인식률을 높인다.
한편, 이동경로에서 하측의 수직부에는 솔레노이드로 구동되는 디버터(28)가 설치된다. 디버터(28)는 정상적인 동전의 수납을 위한 입수구(12) 측 경로와 비정상적인 동전의 배출을 위한 반환구(13) 측 경로를 교번적으로 개폐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도수단(30)이 상기 본체(10)의 이동경로에 설치되는 제1유도대(31)와 제2유도대(32)로 동전의 정렬된 통과를 유도하는 구조이다. 도 4에서 제1유도대(31)는 장탈착 가능하게 볼트로 체결되고, 제2유도대(32)는 본체(10) 상에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예시한다. 투입구(11)로 다수의 동전이 유입되는 경우 유도수단(30)의 상부커버(21)와 제2유도대(32)에서 뭉침을 억제하여 걸림을 방지한다. 제1유도대(31)와 제2유도대(32)는 감별센서(17)를 중심으로 상류측과 하류측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1유도대(31)는 이동경로의 경사부 상단에 오목부(35)를 형성하고, 상기 제2유도대(32)는 이동경로의 경사부 하단에 곡면부(36)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유도대(31)의 오목부(35)는 투입구(11)를 향하도록 하측으로 배치되어 다량의 동전이 상호 부착되지 않도록 충격을 인가한다. 오목부(35) 및 그 주변으로 고탄성과 내마모성을 지닌 소재를 부가할 수 있다. 제2유도대(32)에서 하류단에 곡면부(36)를 형성하여 입수구(12) 측으로 동전의 신속한 낙하를 유도한다. 곡면부(36)는 이동경로의 동전 통과 폭을 변동하도록 가변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유도수단(30)은 이동경로 상에 동전의 접촉 저항을 축소하기 위한 유도홈(33)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에서 3줄의 유도홈(33)이 이동경로를 따라 완만한 곡선을 포함하여 형성된 상태를 예시한다. 유도홈(33)에 의하여 동전의 접촉 저항(마찰저항)이 축소되면 뭉침이나 걸림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한편, 도시에는 생략하나 유도홈(33) 상에서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테프론 수지를 충진하여 동전의 마찰저항을 더욱 축소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테프론 수지는 이동경로의 표면과 동일하거나 다소 돌출하게 설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로크레버(40)가 상기 커버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걸림홈(15)에 대한 맞물림을 단속하는 구조이다. 로크레버(40)는 하부커버(22)의 다지점에 배치된 안내대(23)를 개재하여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5에서 로크레버(40)가 좌측단으로 이동되면 하부커버(22)가 본체(10)에 로크되고, 로크레버(40)를 우측으로 밀면 하부커버(22)가 본체(10)에서 언로크된다. 도 5에서 본체(10)의 일측 걸림홈(15)에 맞물리는 하부커버(22)의 걸림턱(25)이 예시된다.
한편, 도 1처럼 로크레버(40)는 손잡이(27)와 요철편(47)이 하부커버(22)에서 드러나도록 설치된다. 요철편(47)은 하나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로크레버(40)를 미는 구조이고, 손잡이(27)는 복수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하부커버(22)를 전방으로 분리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로크레버(40)는 안내턱(43)을 개재하여 하부커버(22)의 안내대(23)에 일방향 탄성력을 받도록 지지되고, 본체(10)의 걸림홈(15)에 맞물리는 걸림턱(4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부커버(22)는 일측의 걸림턱(25)에 의하여 일측 걸림홈(15)에 맞물리는 동시에 타측에서 로크레버(40)의 걸림턱(45)에 의하여 타측 걸림홈(15)에 맞물린다. 안내턱(43)과 안내대(23)의 맞물림 부분에 단차 또는 구배를 형성하면 별도의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재료의 탄성력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로크레버(40)를 우측으로 미는 동안 탄성력이 축적되고 로크레버(40)를 놓으면 탄성력으로 복귀되는 작동을 구현할 수 있다. 도 3에서 걸림턱(45)은 요철편(47)의 상하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상태로 예시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본체 15: 걸림홈
17: 감별센서 21: 상부커버
22: 하부커버 23: 안내대
25: 걸림턱 27: 손잡이
28: 디버터 30: 유도수단
31, 32: 유도대 33: 유도홈
35: 오목부 36: 곡면부
40: 로크레버 43: 안내턱
45: 걸림턱 47: 요철편

Claims (5)

  1. 동전감별 모듈에서 동전의 걸림 사고를 방지하는 기구에 있어서:
    동전의 이동경로를 개폐하도록 걸림홈(15)에 맞물리는 커버를 구비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이동경로에 설치되는 제1유도대(31)와 제2유도대(32)로 동전의 정렬된 통과를 유도하는 유도수단(30); 및
    상기 커버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걸림홈(15)에 대한 맞물림을 단속하는 로크레버(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감별 모듈의 동전걸림 방지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투입구(11)에서 입수구(12)에 이르는 이동경로를 수직부, 경사부, 수직부의 연속 형태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감별 모듈의 동전걸림 방지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도대(31)는 이동경로의 경사부 상단에 오목부(35)를 형성하고, 상기 제2유도대(32)는 이동경로의 경사부 하단에 곡면부(36)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감별 모듈의 동전걸림 방지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도수단(30)은 이동경로 상에 동전의 접촉 저항을 축소하기 위한 유도홈(33)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감별 모듈의 동전걸림 방지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크레버(40)는 안내턱(43)을 개재하여 커버의 안내대(23)에 일방향 탄성력을 받도록 지지되고, 본체(10)의 걸림홈(15)에 맞물리는 걸림턱(4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감별 모듈의 동전걸림 방지기구.
KR1020170031184A 2017-03-13 2017-03-13 동전감별 모듈의 동전걸림 방지기구 Active KR101856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184A KR101856767B1 (ko) 2017-03-13 2017-03-13 동전감별 모듈의 동전걸림 방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184A KR101856767B1 (ko) 2017-03-13 2017-03-13 동전감별 모듈의 동전걸림 방지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6767B1 true KR101856767B1 (ko) 2018-05-10

Family

ID=62184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1184A Active KR101856767B1 (ko) 2017-03-13 2017-03-13 동전감별 모듈의 동전걸림 방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76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0227A (ja) 2003-12-25 2005-07-14 Asahi Seiko Kk コインセレクタ
KR100614784B1 (ko) 2000-02-15 2006-08-25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코인 회전형 선별기
KR101386894B1 (ko) 2012-08-31 2014-04-18 주식회사 에이텍 대중교통 주화계수기의 걸림방지 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784B1 (ko) 2000-02-15 2006-08-25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코인 회전형 선별기
JP2005190227A (ja) 2003-12-25 2005-07-14 Asahi Seiko Kk コインセレクタ
KR101386894B1 (ko) 2012-08-31 2014-04-18 주식회사 에이텍 대중교통 주화계수기의 걸림방지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41325A1 (en) Coin processing method and coin processing unit
JP5044838B2 (ja) コインセレクタ
KR920005032A (ko) 주화선별장치
EP2116979A1 (en) Coin receiving/paying machine
JP5193608B2 (ja) 硬貨処理機
US4410077A (en) Coin handling apparatus with coin retardation feature
TW202011358A (zh) 金錢處理裝置
JP2009169626A (ja) 硬貨処理機
KR101856767B1 (ko) 동전감별 모듈의 동전걸림 방지기구
US5931732A (en) Apparatus for dispensing disks
US4128157A (en) Coin testing mechanisms
JP3813474B2 (ja) 硬貨入出金機
JP3973861B2 (ja) 硬貨入出金機
KR101883312B1 (ko) 매체 집적장치 및 그를 갖는 금융기기
US5813509A (en) Coin gate
JP3290863B2 (ja) 硬貨出金処理機のカルトンロック装置
US5566808A (en) Low profile coin analyzer apparatus
US9424707B2 (en) Actuated castellation plate for a currency acceptor
JP5851351B2 (ja) 硬貨処理機
JP7677077B2 (ja) 媒体処理装置
JP4017845B2 (ja) 硬貨入出金機
JP2934981B2 (ja) 硬貨選別装置
JP3862974B2 (ja) 硬貨入出金機
JP3333073B2 (ja) 硬貨入金処理機の入金硬貨一時保留装置
JP2934980B2 (ja) 硬貨選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5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5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