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56096B1 - 에어핀 쿨러 클리너 - Google Patents

에어핀 쿨러 클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096B1
KR101856096B1 KR1020160167723A KR20160167723A KR101856096B1 KR 101856096 B1 KR101856096 B1 KR 101856096B1 KR 1020160167723 A KR1020160167723 A KR 1020160167723A KR 20160167723 A KR20160167723 A KR 20160167723A KR 101856096 B1 KR101856096 B1 KR 101856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ine
nozzle
supply pipe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채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우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우티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우티에스
Priority to KR1020160167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0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09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00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 F28G1/16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using jets of fluid for removing debris
    • F28G1/166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using jets of fluid for removing debris from external surfaces of heat exchange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5/00Details
    • F28G15/003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5/00Details
    • F28G15/02Supports for cleaning appliances, e.g.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5/00Details
    • F28G15/04Feeding and driving arrangements, e.g. power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핀 쿨러 클리너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 나란하게 연장된 제1 및 제2라인 프레임과 제1 및 제2라인 프레임의 양단을 상호 연결하는 제3 및 제4라인 프레임을 갖는 사각틀 프레임과, 사각틀 프레임을 에어핀 쿨러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되게 지지시킬 수 있게 사각틀 프레임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다리부와, 제1라인 프레임과 제2라인프레임 사이에서 제1라인 프레임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이송프레임을 사각틀의 제1 및 제2라인 프레임을 따라 이송될 수 있게 형성된 이송유닛과, 이송유닛에 장착되어 공급된 세척수를 노즐을 통해 분사하는 분사유닛을 구비하고, 분사유닛은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와, 세척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를 중계공급할 수 있게 이송프레임에 지지되어 제1라인 프레임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배관된 제1공급관과, 제1공급관의 저부에서 제1공급관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결합된 단위 공급관과, 단위 공급관의 저부에서 상기 제1공급관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제1 및 제2경사노즐을 구비하고, 제1경사노즐과 제2경사노즐은 제1경사노즐과 제2경사노즐 사이의 중심위치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기준선과 각각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토출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에어핀 쿨러 클리너{Air fin cooler cleaner}
본 발명은 에어핀 쿨러 클리너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에어핀 쿨러(Air Fin Cooler)는 석유화학플랜트에서 제품생성 및 정유 플랜트에서 정제과정 중 발생하는 뜨거운 유체를 냉각시키거나, 발전소 혹은 환경시설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스팀 또는 설비의 윤활유를 냉각시키는데 사용됩니다.
이러한 에어핀 쿨러는 유체가 이송되는 유로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메인관과 메인관 외측에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방열용으로 형성된 에어핀을 갖는 열교환기가 적용되어 있다.
이러한 에이핀 쿨러의 에어핀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장치가 국내 등록특허 제10-0870588호에 게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세척장치는 작업자가 손잡이를 잡고 하는 방식으로 방열 열교환영역이 대규모로 형성된 경우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에어핀 쿨러의 열교환기의 메인관이 수직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다층으로 적층된 구조인 경우 상방에서 세척수를 분사시 하부층에 배열된 메인관들의 청소도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는 세척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현장 설치가 가능하며 자동으로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고, 수직상으로 다층으로 배열된 메인관의 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에어핀 쿨러 클리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핀 쿨러 클리너는 유로가 형성된 메인관과, 상기 메인관의 외주면에 상기 메인관의 외경보다 확장되게 형성되되 상기 메인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방열용으로 형성된 에어핀을 갖는 에어핀 쿨러의 상부에서 상기 에어핀 쿨러의 메인관의 연장방향을 따라 노즐을 이송하면서 세척할 수 있도록 된 에어핀 쿨러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호 나란하게 연장된 제1 및 제2라인 프레임과 상기 제1 및 제2라인 프레임의 양단을 상호 연결하는 제3 및 제4라인 프레임을 갖는 사각틀 프레임과; 상기 사각틀 프레임을 상기 에어핀 쿨러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되게 지지시킬 수 있게 상기 사각틀 프레임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다리부와; 상기 제1라인 프레임과 상기 제2라인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제1라인 프레임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이송프레임을 상기 사각틀의 상기 제1 및 제2라인 프레임을 따라 이송될 수 있게 형성된 이송유닛과; 상기 이송유닛에 장착되어 공급된 세척수를 노즐을 통해 분사하는 분사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분사유닛은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와; 상기 세척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를 중계공급할 수 있게 상기 이송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제1라인 프레임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배관된 제1공급관과; 상기 제1공급관의 저부에서 상기 제1공급관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결합된 단위 공급관과, 상기 단위 공급관의 저부에서 상기 제1공급관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제1 및 제2경사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제1경사노즐과 상기 제2경사노즐은 상기 제1경사노즐과 상기 제2경사노즐 사이의 중심위치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기준선과 각각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토출하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경사노즐과 상기 제2경사노즐 사이의 중심위치상에서 수직한 하방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중앙노즐;을 더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경사노즐의 제1분사중심선과 상기 중앙 노즐의 중앙 분사중심선 및 상기 제2경사노즐의 제2분사중심선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선은 상기 제1공급관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분사유닛은 상기 세척수 공급부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도록 상기 제1공급관에 대해 상기 제1라인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상기 이송프레임에 배치되되 상기 제1공급관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 및 제3공급관과; 상기 제2공급관의 저면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수직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게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3경사노즐과; 상기 제3공급관의 저면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3경사노즐의 경사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경사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4경사노즐;을 더 구비한다.
상기 제2 및 제3공급관은 상기 이송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핀 쿨러 클리너에 의하면, 대면적을 직선이송에 의해 세척할 수 있으면서도 지그재그로 적층된 메인관의 하부층에 대한 세척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핀 쿨러 클리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단위 공급관에 설치된 노즐의 분사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단위 공급관에 설치된 노즐의 분사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2차 분사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3 및 제3경사노즐의 분사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후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핀 쿨러 클리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핀 쿨러 클리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에어핀 쿨러 클리너(100)는 사각틀 프레임(110)과, 제1 내지 제4다리(121 내지 124), 이송유닛(140) 및 분사유닛(160)을 구비한다.
사각틀(110)은 상호 나란하게 연장된 제1 및 제2라인 프레임(111)(112)과 제1 및 제2라인 프레임(111)(112)의 양단을 상호 연결하는 제3 및 제4라인 프레임(113)(114)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1 내지 제4다리(121 내지 124)는 다리부로 적용된 것으로서, 사각틀 프레임(110)을 에어핀 쿨러(10)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되게 지지시킬 수 있게 사각틀 프레임(110)의 각 모서리부분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에어핀 쿨러(10)는 도 2의 단면 형상과 같이 유체가 이동되는 유로(12)가 형성된 원형 단면형상의 메인관(11)과 메인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방열용으로 형성된 원판형상의 에어핀(14)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메인관(11)은 수직상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되 양단은 연통부재(미도시)를 통해 유로가 상호 연통될 수 있게 결합된다.
또한, 메인관(11)들은 수직상으로 다층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송유닛(140)은 제1 및 제2라인프레임(111)(112)을 따라 이송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이송유닛(140)은 제1라인 프레임(111)과 제2라인프레임(112) 사이에서 제1라인 프레임(111)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이송프레임(141)을 사각틀(110)의 제1 및 제2라인 프레임(111)(112)을 따라 이송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이송유닛(140)은 제1 및 제2라인프레임(111)(112)의 상면에 형성된 랙기어(142), 피니언(143), 제1구동모터(144), 구동기어(145), 종동기어(146), 체인(147), 연결회전축(148)을 구비한다.
랙기어(142)는 제1 및 제2라인프레임(111)(112)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피니언(143)은 이송 프레임(141)과 나란하게 연장되며 이송 프레임(141)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연결 회전축(148)에 랙기어(142)와 치합되어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제1구동모터(144)는 이송 프레임(141)에 장착되어 구동기어(145)를 회전시킨다.
종동기어(146)는 연결회전축(148)에 장착되어 구동기어(145)의 회전력을 체인(147)을 통해 전달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송프레임(141)은 제1 및 제2라인 프레임(111)(112)에 대해 수직상으로 직립된 상태에서 직선상으로 구속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게 제1 및 제2라인 프레임(111)(112)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1구동모터(144)의 정역회전에 의해 이송 프레임(141)이 제1라인프레임을 따라 진퇴된다.
분사유닛(160)은 이송유닛(140)에 장착되어 에어핀 쿨러(10)의 상부에서 에어핀 쿨러(10)의 메인관(11)의 연장방향을 따라 노즐을 이송하면서 공급된 세척수를 노즐을 통해 분사하면서 세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분사유닛(160)은 제1 내지 제3공급관(161 내지 163)), 다수의 단위 공급관(164), 세척수 공급부(165), 제1 내지 제4경사노즐(171 내지 174)을 구비한다.
제1공급관(161)은 세척수 공급부(165)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를 중계 공급할 수 있게 이송프레임(141)에 고정되게 지지되어 제1라인 프레임(111)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배관되어 있다.
제1공급관(161)의 일단은 세척수 공급부(165)와 플렉서블한 중계관에 의해 접속되고, 타단은 막혀있다.
참조부호 a는 세척수 공급부(165)로부터 제1공급관(161)으로 이어지는 중계관을 나타낸다.
단위 공급관(164)은 제1공급관(161)의 저부에서 제1공급관(161)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결합되어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 및 제2경사노즐(171)(172)은 단위 공급관(164)의 저부에서 제1공급관(161)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
중앙노즐(175)은 단위 공급관(164)의 중앙 즉, 제1 및 제2경사노즐(171)(172) 사이의 중심위치상에 설치되어 있다.
중앙노즐(175)은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기준선이 중앙분사중심선(175a)이 되게 하여 하방으로 세척수를 분사한다.
제1경사노즐(17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를 토출하는 제1분사중심선(171a)이 중앙노즐(175)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기준선인 중앙분사중심선(175a)과 각각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토출하도록 되어 있다.
제2경사노즐(172)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를 토출하는 제2분사중심선(172a)이 중앙노즐(175)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기준선인 중앙분사중심선(175a)과 각각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토출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제1분사중심선(171a)과 제2분사중심선(172a)의 중앙분사 중심선(175a)에 대한 경사각도는 최상단에 위치하는 메인관(11)의 외주면을 양측에서 각각 경사지게 분사할 수 있으면서 최상단 하부층에 적층된 메인관(11)의 외주면에 경사지게 조사될 수 있는 각도를 적용한다.
또한, 제1경사노즐(171)과 제2경사노즐(17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경사노즐(171)의 제1분사중심선(171a)과 중앙 노즐(175)의 중앙분사중심선(175a) 및 제2경사노즐(172a)의 제2분사중심선(172a)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선은 제1공급관(161)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되게 배치된다.
제3 및 제4공급관(162)(163)을 통한 분사구조는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 및 제4공급관(162)(163)은 세척수 공급부(165)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도록 제1공급관(161)에 대해 제1라인프레임(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이송프레임(141)에 배치되되 제1공급관(161)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제3 및 제4공급관(162)(163)은 제1공급관(161)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b는 세척수 공급부(165)로부터 제3 및 제4공급관(162)(163)으로 플렉서블한 관소재로 연결된 중계관이다.
제3경사노즐(173)은 제3공급관(163)의 저면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수직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게 세척수를 분사한다.
제4경사노즐(174)는 제4공급관(164)의 저면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제3경사노즐(173)의 경사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경사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세척수를 분사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경사노즐(171)(172)은 수직기준선을 기준으로 세척수 분사각도가 제3 및 제4경사노즐(173)(174)의 세척수 분사각도보다는 좁게 적용된다.
여기서, 제3 및 제4공급관(163)(164)은 이송프레임(141)에 구속되어 이송프레임(141)을 따라 직선이동되는 슬라이딩 브라켓(188)에 결합되어 이송 프레임(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참조부호 181은 제2구동모터이고, 183은 제2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이고, 참주부호 185는 이송스크류(183)의 회전에 의해 직선이동되게 스크류(183)를 수용하며 이송프레임(141)에 고정된 하우징(187)의 수용홈 내에 장착되며 슬라이딩 브라켓(188)과 결합된 너트이다.
조작부(192)는 세척 또는 중지 명령, 전진, 후진, 슬라이딩 브라켓(188)의 왕복이동 등 지원되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어부(194)는 조작부(192)의 설정기능에 따라 세척수 공급부(165)로부터 세척수가 공급 또는 중단되게 하고, 제1 및 제2구동모터(144)(181)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부(194)의 무선 제어신호에 따라 제1 및 제2구동모터(144)(181)가 무선으로 제어될 수 있게 제1 및 제2구동모터(144)(181)는 무선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가동되게 무선드라이버가 장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에어핀 쿨러 클리너에 의하면, 대면적을 직선이송에 의해 세척할 수 있으면서도 지그재그로 적층된 메인관의 하부층에 대한 세척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110: 사각틀 프레임 121 내지 124: 제1 내지 제4다리
140: 이송유닛 141: 이송프레임
160: 분사유닛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유로가 형성된 메인관과, 상기 메인관의 외주면에 상기 메인관의 외경보다 확장되게 형성되되 상기 메인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방열용으로 형성된 에어핀을 갖는 에어핀 쿨러의 상부에서 상기 에어핀 쿨러의 메인관의 연장방향을 따라 노즐을 이송하면서 세척할 수 있도록 된 에어핀 쿨러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호 나란하게 연장된 제1 및 제2라인 프레임과 상기 제1 및 제2라인 프레임의 양단을 상호 연결하는 제3 및 제4라인 프레임을 갖는 사각틀 프레임과;
    상기 사각틀 프레임을 상기 에어핀 쿨러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되게 지지시킬 수 있게 상기 사각틀 프레임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다리부와;
    상기 제1라인 프레임과 상기 제2라인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제1라인 프레임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이송프레임을 상기 사각틀의 상기 제1 및 제2라인 프레임을 따라 이송될 수 있게 형성된 이송유닛과;
    상기 이송유닛에 장착되어 공급된 세척수를 노즐을 통해 분사하는 분사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분사유닛은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와;
    상기 세척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를 중계공급할 수 있게 상기 이송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제1라인 프레임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배관된 제1공급관과;
    상기 제1공급관의 저부에서 상기 제1공급관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결합된 단위 공급관과, 상기 단위 공급관의 저부에서 상기 제1공급관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제1 및 제2경사노즐과;
    상기 제1경사노즐과 상기 제2경사노즐 사이의 중심위치상에서 수직한 하방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중앙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제1경사노즐과 상기 제2경사노즐은 상기 제1경사노즐과 상기 제2경사노즐 사이의 중심위치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기준선과 각각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토출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1경사노즐의 제1분사중심선과 상기 중앙 노즐의 중앙 분사중심선 및 상기 제2경사노즐의 제2분사중심선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선은 상기 제1공급관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핀 쿨러 클리너.
  4. 유로가 형성된 메인관과, 상기 메인관의 외주면에 상기 메인관의 외경보다 확장되게 형성되되 상기 메인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방열용으로 형성된 에어핀을 갖는 에어핀 쿨러의 상부에서 상기 에어핀 쿨러의 메인관의 연장방향을 따라 노즐을 이송하면서 세척할 수 있도록 된 에어핀 쿨러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호 나란하게 연장된 제1 및 제2라인 프레임과 상기 제1 및 제2라인 프레임의 양단을 상호 연결하는 제3 및 제4라인 프레임을 갖는 사각틀 프레임과;
    상기 사각틀 프레임을 상기 에어핀 쿨러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되게 지지시킬 수 있게 상기 사각틀 프레임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다리부와;
    상기 제1라인 프레임과 상기 제2라인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제1라인 프레임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이송프레임을 상기 사각틀의 상기 제1 및 제2라인 프레임을 따라 이송될 수 있게 형성된 이송유닛과;
    상기 이송유닛에 장착되어 공급된 세척수를 노즐을 통해 분사하는 분사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분사유닛은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와;
    상기 세척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를 중계공급할 수 있게 상기 이송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제1라인 프레임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배관된 제1공급관과;
    상기 제1공급관의 저부에서 상기 제1공급관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결합된 단위 공급관과, 상기 단위 공급관의 저부에서 상기 제1공급관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제1 및 제2경사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제1경사노즐과 상기 제2경사노즐은 상기 제1경사노즐과 상기 제2경사노즐 사이의 중심위치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기준선과 각각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토출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분사유닛은
    상기 세척수 공급부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도록 상기 제1공급관에 대해 상기 제1라인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상기 이송프레임에 배치되되 상기 제1공급관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 및 제3공급관과;
    상기 제2공급관의 저면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수직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게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3경사노즐과;
    상기 제3공급관의 저면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3경사노즐의 경사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경사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4경사노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핀 쿨러 클리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공급관은 상기 이송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핀 쿨러 클리너.



KR1020160167723A 2016-12-09 2016-12-09 에어핀 쿨러 클리너 Active KR101856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723A KR101856096B1 (ko) 2016-12-09 2016-12-09 에어핀 쿨러 클리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723A KR101856096B1 (ko) 2016-12-09 2016-12-09 에어핀 쿨러 클리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6096B1 true KR101856096B1 (ko) 2018-05-09

Family

ID=62201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723A Active KR101856096B1 (ko) 2016-12-09 2016-12-09 에어핀 쿨러 클리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0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286B1 (ko) * 2019-06-13 2019-08-05 제이아이플랜트 주식회사 분사각도가 서로 다른 노즐을 구비한 열교환기용 튜브 세척장치
KR102039916B1 (ko) * 2019-06-13 2019-11-04 제이아이플랜트 주식회사 열교환기용 튜브 세척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7412A (ja) 1999-05-13 2000-11-21 Takeuchi Techno Co Ltd 洗浄装置および車両洗浄装置
KR100898620B1 (ko) * 2008-09-18 2009-05-21 주식회사 신흥기공 공냉 응축기의 핀 튜브 자동 세척장치
JP2013029232A (ja) * 2011-07-27 2013-02-07 Kurita Engineering Co Ltd チューブバンドル洗浄装置
CN101832732B (zh) 2010-03-30 2013-03-13 张文军 空冷凝汽器清洗系统及其高压软管驱动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7412A (ja) 1999-05-13 2000-11-21 Takeuchi Techno Co Ltd 洗浄装置および車両洗浄装置
KR100898620B1 (ko) * 2008-09-18 2009-05-21 주식회사 신흥기공 공냉 응축기의 핀 튜브 자동 세척장치
CN101832732B (zh) 2010-03-30 2013-03-13 张文军 空冷凝汽器清洗系统及其高压软管驱动装置
JP2013029232A (ja) * 2011-07-27 2013-02-07 Kurita Engineering Co Ltd チューブバンドル洗浄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286B1 (ko) * 2019-06-13 2019-08-05 제이아이플랜트 주식회사 분사각도가 서로 다른 노즐을 구비한 열교환기용 튜브 세척장치
KR102039916B1 (ko) * 2019-06-13 2019-11-04 제이아이플랜트 주식회사 열교환기용 튜브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8979B2 (en) Heat exchanger cleaning tool with three axis control
US5186240A (en) Coil cleansing assembly
KR101856096B1 (ko) 에어핀 쿨러 클리너
CN106076945B (zh) 混流清洗机
US5279357A (en) Coil cleansing assembly
KR102039916B1 (ko) 열교환기용 튜브 세척장치
CN109396097B (zh) 一种用于槽型薄板螺母的清洗系统
JPH09296998A (ja) 移動式バンドル洗浄装置
JP4594274B2 (ja) 熱交換器の洗浄装置及びその洗浄法
JP4409518B2 (ja) 熱交換器の洗浄装置とその支持台
CN108940694A (zh) 一种高压铜排的自动喷塑设备及其喷塑方法
CN103759576B (zh) 一种自动清洗换热设备
CN203231662U (zh) 带清洗装置的表面蒸发式空冷器
CN105890439A (zh) 一种蒸发罐清洗设备
CN115156998A (zh) 一种主轴轴头带自调整降温系统和连接头的铣床
KR101479589B1 (ko)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튜브공급장치
CN204715264U (zh) 隧道清洗车万向刷头
KR102050413B1 (ko) 열교환기용 에어팬쿨러 핀 튜브 클리닝장치
JP2571995B2 (ja) 熱交換器外表面の自動掃除装置
CN106017206B (zh) 一种中央空调表冷器移动式自动清洗装置
CN214572114U (zh) 一种埋液淬火喷淋装置
JP4317757B2 (ja) 囲まれた空間を洗浄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2022123322A (ja) 容器洗浄装置
CN203738264U (zh) 螺旋板式换热器焊接装置
JP2007218496A (ja) 天井取付型エアコンデショナーの熱交換器の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5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5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