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53704B1 - 인테리어 자재 접착용 접착층을 구비한 친환경 인테리어 시트와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자재 - Google Patents

인테리어 자재 접착용 접착층을 구비한 친환경 인테리어 시트와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3704B1
KR101853704B1 KR1020170086301A KR20170086301A KR101853704B1 KR 101853704 B1 KR101853704 B1 KR 101853704B1 KR 1020170086301 A KR1020170086301 A KR 1020170086301A KR 20170086301 A KR20170086301 A KR 20170086301A KR 101853704 B1 KR101853704 B1 KR 101853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ior
sheet
layer
melting point
melt adhesi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기현
Original Assignee
유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현 filed Critical 유기현
Priority to KR1020170086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7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70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07Heat-activated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the wall;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 C09J2201/36
    • C09J2201/61
    • C09J2201/62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layer being constituted by at least two or more adjacent or superposed adhesive layers, e.g. multilayer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heat-activatable, i.e. not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테리어 자재 접착용 접착층을 구비한 친환경 인테리어 시트와 이를 이용하여 핫멜팅시켜 제조한 인테리어 자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인테리어 필름을 구성함에 있어서 피착재에 부착시 활용되는 별도의 필름형 저융점 핫멜트 접착층을 추가 형성하여 제작함으로써, 인체 유해성 물질의 배출없이 친환경적으로 인테리어 자재에 부착하기 용이하게 구성한 인테리어 자재 접착용 접착층을 구비한 친환경 인테리어 시트와, 또 이러한 새로운 인테리어 시트가 친환경적으로 부착되어 있어서 새집증후군이 없는 인테리어 자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테리어 자재 접착용 접착층을 구비한 친환경 인테리어 시트와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자재{Eco-friendly interior sheet with adhesive layer on interior material and interior material using it}
본 발명은 인테리어 자재 접착용 접착층을 구비한 친환경 인테리어 시트와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자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인테리어 시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피착재에 부착시 활용되는 별도의 필름형 저융점 핫멜트 접착층을 추가 형성하여 제작함으로써 생산속도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인체 유해성 물질의 배출없이 친환경적으로 인테리어 자재에 부착하기 용이하게 구성한 인테리어 자재 접착용 접착층을 구비한 친환경 인테리어 시트와, 또 이러한 새로운 인테리어 시트가 친환경적으로 핫멜팅 방법으로 부착되어 있어서 새집증후군이 없는 인테리어 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테리어 마감재인 인테리어 시트는 다양한 종류의 무늬모양을 인쇄하여 시트를 제조한다, 이러한 인테리어 시트는 내부 인테리어 자재에 적용하는 경우 예컨대, 장롱, 싱크대, 탁자와 같은 각종 가구 및 몰딩, 문, 벽체 등 다양한 제품의 표면에 본드 등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함으로써, 목적하는 인테리어 효과를 부여하고 다양한 분위기 연출을 가능하게 하는데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인테리어 시트는 인테리어 자재에 부착하여 다양한 무늬 효과를 나타내는 데코시트층과 접착이 이루어지는 기재층이 접착층에 의해 접착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데코시트층은 천연무늬목, 폴리염화비닐(PVC),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인테리어 시트가 부착되는 피착재는 일반적으로는 PVC, ABS, 천연무늬목, MDF, 우레탄폼, 종이 허니컴 구조물 등이 사용되고 최근에는 금속소재의 피착재에도 부착하여 사용하며, 이때 사용되는 접착제는 주로 에폭시계, 아크릴계 등의 접착제가 사용된다.
기존에 알려진 인테리어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60224호에서는 기부층과 시트층 사이에 접착을 위해 저밀도폴리에틸렌 등의 고분자 필름층을 적용하여 열융착에 의해 인테리어 시트로서의 데코레이션 필름을 제조함으로써 필름 제조과정에서 불량품이 발생하는 것을 크게 감소시키도록 한 데코레이션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데코레이션 필름 자체의 구성에 관한 것이니 이를 인테리어 소재인 피착제에 부착하는 것에 관해서는 제안하고 있지 않다.
이러한 데코레이션 필름이나 인테리어 시트를 피착재에 부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로서는 예컨대 우레탄계 접착수지, 요소포름알데히드계 접착수지, 에폭시계 경화제, 아크릴계 접착수지 또는 이들 혼합물을 주재로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피착물에 접착할 경우 액제의 배합이 필요하며, 접착용액의 불균일한 도포로 인하여 최종시트 제품의 표면상에 공기버블이 함유되기 쉽고, 공정상 제품의 불량률이 높으며, 특히 접착제 사용에 따른 냄새 및 유해가스의 발생으로 인체 유해도가 증가하며, 또한 접착용액의 양생시간이 별도로 요구되어 제품 완성에 많은 공정시간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접착제 사용으로 인한 냄새와 유해가스는 시공 후에도 호흡기 및 피부면역이 약한 노약자들에게 가려움, 알레르기, 기침 등 새집증후군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런 문제로 인해 인테리어 자재에 표면재를 접착할 때 적용하는 접착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20835호에서는 피착재와 무늬목을 포함한 표면재를 접착함에 있어서 사용하는 핫멜트 점착제로서, 종래 접착제를 점착제로 대체 가능성을 제안하고 있는데, 여기서의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는 접착제의 한 종류로써 기존의 액상 접착제와 달리 반고체상태로 사용되는 것으로 기질고분자는 SIS 공중합체이며, 상기 점착부여수지는 DCPD 수지로 이루어진 점착제에 관하여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점착제 사용기술은 기존의 접착제 사용에 비해서는 조금 진전된 기술이기는 하지만 약간의 취급이 용이한 반 경화된 상태로 사용하는 것 이외에 점착제의 적용에 있어서는 기존의 접착제가 사용되는 경우와 별 차이가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351938호에서는 파티클 보드(PB) 또는 MDF 무기질보드 층의 한 면에 열용융 필름층 및 금속 박막이 차례대로 적층된 가구인테리어 소재에 관한 것이 제안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열용융 필름으로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에틸렌-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 수지, 초산비닐 수지,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 중 선택된 필름을 예시하고 있으며, 성형 프레스를 이용하여 온도 150∼220℃, 압력 15∼22 ㎏/㎠ 하에서 5∼30초 동안 수행하는 인테리어 소재의 제조에 관한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열용융 필름층을 적용하는 것은 기본에 합판 등 소재 제작을 위한 합지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열용융 필름을 이용하여 가열 압착에 의해 접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는 고려할 만한 가치가 있으나, 지나치게 고온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피착재 및 기재가 열에 강한 목재에만 사용이 가능하여 그 용도가 매우 한정이며, PVC 재질과는 접착이 불가하고, 열용융 필름층의 성분이 접착을 위한 필름이 아니라 기존의 일반적인 필름 소재를 활용하기 때문에 접착성능이 좋지 못하여 피착물의 종류가 매우 제한적이고 비경제적이며 대량생산도 용이하지 않아서 실제품에 적용이 어려운 문제 등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60224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20835호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35193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개선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기존의 인테리어 자재에서 나타나는 비환경적인 소재 사용으로 발생하는 새집증후군 등의 유해성 문제 해결과 보다 간편하고 경제적인 제조가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테리어 시트 접착용 접착층으로서 종래와는 다른 새로운 성분의 핫멜트 접착층을 구비한 신개념의 친환경 인테리어 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인테리어 시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핫멜트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층을 구비함으로써 종래보다 낮은 온도에서 작업이 가능하고 별도의 양생시간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작업성 및 생산속도가 향상된 인테리어 자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체 유해성 물질의 배출없이 친환경적으로 인테리어 자재에 부착하기 용이하게 구성한 인테리어 자재 접착용 접착층을 이용하여 친환경 인테리어 시트를 부착한 새집증후군이 없는 인테리어 자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인테리어 자재 접착용 접착층을 구비한 친환경 인테리어 시트를 인테리어 자재에 부착하여 매우 경제적이고 간편하게 새집증후군이 없는 인테리어 자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데코시트층과; 저융점 핫멜트 접착이 가능한 핫멜트 필름으로 이루어진 제1 저융점 핫멜트 접착층과 상기 제1 저융점 핫멜트 접착층보다 높은 온도에서 핫멜트 접착이 가능한 핫멜트 필름으로 이루어진 제2 저융점 핫멜트 접착층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저융점 핫멜트 접착층으로 구성되는 인테리어 자재 접착용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자재 접착용 접착층을 구비한 친환경 인테리어 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테리어 시트가 상기 인테리어 시트의 데코시트층과 동일하거나 다른 재질의 피착재에 핫멜팅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자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인테리어 자재 접착용 접착층을 구비한 친환경 인테리어 시트를 인테리어 시트 피착재 표면에 적층하고, 여기에 60~120℃에서 25~50kgf/cm2의 압력으로 핫멜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자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ABS, PV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천연무늬목, 인조가죽, 천연가죽 중에서 선택된 데코시트층과; 폴리올 당 수평균 분자량 500~2,000인 폴리올 A와 폴리올 당 수평균 분자량 2,500~4,000인 폴리올 B의 혼합물 50 내지 90중량 %, 디이소시아네이트 5 내지 45중량 %, 디프로필렌글리콜이 1~5중량%로 이루어지는 60℃ 이상의 온도에서 용융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제1 저융점 핫멜트 접착층과, 폴리올 당 수평균 분자량 500~2,000의 핫멜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또는 아디프산이 5~10중량%, MDI(에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가 8~40중량%, 1,4 부탄디올이 3~13 중량%, 디프로필렌글리콜이 1~5중량%, 폴리올이 40~80중량% 함유되어 있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 내지 150,000이며 90℃ 이상의 온도에서 용융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제2 저융점 핫멜트 접착층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저융점 핫멜트 접착층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공압출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인테리어 자재 접착용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자재 접착용 접착층을 구비한 친환경 인테리어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저융점 핫멜트 접착층은 MI(5Kg, 210℃ 조건)가 10~40g/10min인 핫멜트 접착필름층이고, 제2 저융점 핫멜트 접착층은 MI(2.16kg, 160℃ 조건) 4~40g/10min인 핫멜트 접착필름층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저융점 핫멜트 접착이 가능한 핫멜트 필름으로 이루어진 저융점 핫멜트 접착층은 핫멜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하는 공압출 필름으로 이루어진 단일층으로 구성하여 데코시트층에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자재 접착용 접착층을 구비한 친환경 인테리어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자재 접착용 접착층을 구비한 친환경 인테리어 시트를 인테리어 자재에 적용하는 경우 인테리어 자재 생산과정에서 접착제의 비산 및 냄새로 인한 위해성이 없으므로 친환경 제조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 실내에서 새집증후군의 염려가 없으므로 각종 인테리어 소재, 가구, 주방설비, 벽체, 사무실 인테리어 설비 등에 친환경 인테리어 자재로 널리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테리어 자재 생산 과정에서 기존의 생산 공정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착제 배합 및 별도의 공급라인, 도포과정이 불필요하고 열가소성인 필름형의 저융점 핫멜트 접착층이 열에 의해 핫멜팅(Hot-melting) 되면서 수초 내지 수십초 내에 부착이 완료되기 때문에 생산속도가 크게 향상되고, 작업환경 개선과 생산능력의 현저한 증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경화 및 양생시간도 불필요하고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어 생산 후 빠른 납기 대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인테리어 시트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따른 인테리어 시트에 적용되는 저융점 핫멜트 접착층이 단일 필름층으로 적용된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따른 인테리어 시트에 적용되는 저융점 핫멜트 접착층이 2중층의 필름층으로 적용된 경우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나의 구현예로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인터리어 시트 또는 데코레이션 시트라고 불리는 표면소재를 내장재나 가구 등 피착재에 부착하는 경우 접착제의 적용이 요구되는 부분에서 접착제의 적용을 새롭게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무늬가 인쇄되거나 천연나무로써 무늬를 나타내는 기재층이나 민무늬 또는 기타 각종 데코무늬가 형성된 시트를 ABS 도어, 몰딩, 패널의 몸체 또는 원판이 되는 피착재 부착시 기존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하고 있으며, 통상 이러한 방법으로 인테리어 부자재의 제작 시에 접착제가 두 번 사용된다. 첫번째로는 데코시트 제작시, 그리고 두번째로는 데코시트, 즉 인테리어 시트를 원판인 피착재에 부착시에 적용되는 것인데, 본 발명은 상기 두 번째의 경우로서 테코시트가 완성된 이후에 그 데코시트와 피착재 사이에 부착을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를 사용하기 아니하고 기존에 적용된 바 없는 새로운 구성의 필름형 저융점 핫멜트 접착층으로 대체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유해 가스 및 새집증후군이 발생하지 않는 친환경 인테리어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데코시트층에 저융점 핫멜트 접착층이 적층된 형태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시트와 이를 이용하여 인테리어 자재를 제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인테리어 시트를 이용하면 저융점 핫멜트 접착층에 의해 데코시트층과 피착재가 열에 의해 접착됨으로써 접착제의 사용에 의한 냄새가 없고 시공된 후 햇빛에 의해 노출이 되어도 유해물질이 방출되지 않는 친환경 제품의 제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코시트층(10)과 저융점 핫멜트 접착층(20)이 적층된 형태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시트(100)를 기본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이러한 인테리어 시트는 통상의 방법으로 데코시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데코시트층의 일면에 공압출 필름으로 제조되는 저융점 핫멜트 접착층을 열 라미네이팅하여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인테리어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인테리어 시트를 구성하는 데코시트층은 각종 외관상의 디자인이 표현된 것일 수 있는데, 그 소재로서는 ABS, PVC,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무늬목시트, 인조가죽, 천연가죽 중에서 선택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데코시트층은 인테리어 자재의 표피에서 표면의 데코레이션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전형적으로 적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데코시트층에 접착 필름층으로써 제1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층이 단독으로 저융점 핫멜트 접착층을 구성하거나, 아니면 상기 제1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층 위에 이와 다른 제2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층이 추가로 적층된 2중층의 접착 필름층 형태로 저융점 핫멜트 접착층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제1 저융점 핫멜트 접착층은 폴리올 당 수평균 분자량 500~2,000인 폴리올 A와 폴리올 당 수평균 분자량 2,500~4,000인 폴리올 B의 혼합물 50 내지 90중량 %, 디이소시아네이트 5 내지 45중량 %, 디프로필렌글리콜이 1~5중량%로 이루어지는 60℃ 이상의 온도에서 용융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이 공압출된 형태로 제조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제2 저융점 핫멜트 접착층은 폴리올 당 수평균 분자량 500~2,000의 핫멜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또는 아디프산이 5~10중량 %, MDI(에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가 8~40%, 1,4 부탄디올이 3~13 중량%, 디프로필렌글리콜이 1~5%, 폴리올이 40~80% 함유되어 있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 내지 150,000인 폴리우레탄이 공압출된 형태로 제조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층은 MI 10~40g/10min(5Kg, 210℃)인 저융점 핫멜트 접착필름층이고, 제2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층은 MI(2.16kg, 160℃)가 4-40g/10min인 저융점의 핫멜트 접착 필름층으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MI가 40을 초과하게 되면 필름의 형태로 생산이 불가하며, MI가 4보다 낮은 경우는 MDF 함침이 저하되어 접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첨부하는 도 2에서는 저융점 핫멜트 점착층(20) 구성이 예컨대 제1 저융점 핫멜트 접착층(21) 단독으로 구성된 경우를 예시한 것이고, 도 3의 경우는 제1 저융점 핫멜트 접착층(21)과 제2 저융점 핫멜트 접착층(22)이 모두 적용된 경우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단면 구조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30은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시트가 부착되는 피착재를 의미하고, 200은 본 발명에 따라 인테리어 시트가 부착된 인테리어 자재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예컨대 저융점 핫멜트 접착층이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경우로서, 제1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층과 제2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층이 모두 적층된 2중층으로 구성되는 저융점 핫멜트 접착층 구조는 2개층이 동시에 공압출되어 제조될 수 있으며, 제1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층 : 제2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층의 두께비가 1~3 : 1 또는 1 : 1~3의 비율인 경우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착층을 단일층으로 구성하는 경우 필름형태로 접착층을 형성하는데 문제가 없고, 2중층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층별 두께비가 1~3 : 1 또는 1 : 1~3의 비율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대체적으로 2중층 필름을 한번에 제조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저융점 핫멜트 접착층을 제조하는 방법은 통상의 필름 제조방법에 의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예로는 공압출 방식으로, 상향식 또는 하향식 인플레이션, T-die 압출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이들에 의해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름형태로 제조하는 통상의 방법을 적용하여 필름상으로 적층된 형태가 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적용되는 저융점 핫멜트 접착층(이하, 접착층으로 약칭될 수 있음)의 전체 두께는 10~100㎛인 것이 바람직한데, 그 접착층의 두께가 10㎛ 미만인 경우는 양호한 접착강도를 확보하기 어렵고, 필름형 접착층이 너무 얇아 제조 공정에서 주름 혼입으로 인한 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접착층의 두께가 100㎛를 초과하는 경우는 기재인 데코시트층과 피착재의 접착을 위해 100℃ 이상으로 지나치게 고온 압착 조건이 필요하여 공정 비용이 증가하는 원인이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0~8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도 3과 같은 구조를 갖는 2중층으로 저융점 핫멜트 접착층이 구성되는 전형적인 형태로서, 예컨대 핫멜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하는 공압출 필름으로 이루어진 2중층으로 구성되는 저융점 핫멜트 접착층이 데코시트층에 적층된 형태로 인테리어 시트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2중층의 핫멜트 PET로 이루어진 저융점 핫멜트 접착층을 구비한 인테리어 시트 역시 상기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피착재에 적용하여 친환경적으로 인테리어 자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인테리어 시트를 인테리어 자재에 적용하는 경우 인테리어 시트의 접착층 면을 피착재인 인테리어 자재 표면에 대로 압착시키되 필름에 가해지는 온도범위가 60~120℃에서 25~50kgf/cm2의 압력으로 수초 내지 수십 초, 예컨대 5-30초 동안 핫멜팅시키게 되면 용이하게 인테리어 시트가 접착되어 매우 간편하게 인테리어 자재를 제조할 수 있다.
인테리어 자재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통상의 필름을 이용할 경우 25~50kgf/cm2의 압력으로는 대부분 125℃ 이상의 열이 가해져야만 접착 기능을 발휘하게 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통상 접착제를 사용하는 공정에서 사용하는 비교적 낮은 온도범위에서도 필름을 이용하여 접착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만일, 접착을 위한 온도가 120℃를 초과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열손실에 따른 공정비용이 증가하고, 온도가 60℃ 미만인 경우에는 양호한 접착을 위해 접촉시간이 30초를 초과하게 되어 생산속도가 상대적으로 감소할 수 있고 너무 저온이면 접착이 불가한 문제가 있다.
상기 인테리어 자재를 제조하는 데 있어서 25~50kgf/㎠의 압력은 기재와 피착재를 부착하는데 있어 기재와 부착재에는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양호한 접착력을 얻기 위해 필요한 조건으로, 상기 압력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새로운 금형 제작 등 제조비용 증가의 원인이 된다. 또한, 상기 압력 범위보다 낮을 경우, 피착재와 기재의 양호한 접착력을 기대할 수 없다.
그러나 만일 피착재의 양면에 모두 인테리어 시트를 부착하여 인테리어 자재를 제조할 때는 100~200kgf/cm2의 압력조건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테리어 시트가 적용되는 인테리어 자재인 피착재는 PVC, ABS, 목재, MDF, 우레탄폼, 종이 허니컴 구조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1종 이상의 재질이 조합되어 있는 것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피착재는 상기 인테리어 시트와 동일한 소재로 구성될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인테리어 시트에서 저융점 핫멜트 접착층을 구성하는 접착성 필름은 주로 단일층이 사용되지만 MDF와 같이 함침성의 우려가 있는 경우는 저융점 폴리우레탄 필름 단독으로 사용시 접착효과가 감소할 염려가 있으므로 제2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층을 추가로 적층하여 2중층의 저융점 핫멜트 접착층을 구성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인테리어 시트의 구성에 새롭게 적용된 열가소성인 폴리우레탄 재질의 접착필름층으로 이루어진 접착층은 상기와 같은 온도와 압력으로 압착하게 되면 열에 의해 반고체 상태로 녹아 기재인 인테리어 시트에서 피착재로 전이된 후 압력에 의해 밀착되고, 냉각에 의해 고체 상태로 변하면서 인테리어 시트가 피착재에 부착되어 전형적으로는 약 5~30초 이내에 접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인테리어 시트가 피착재에 접착된 형태의 인테리어 자재도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인테리어 자재를 특정 온도와 압력하에 제조하는 방법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테리어 시트와 피착재 간의 접착이 용이하고, 특히 접착공정에서 발생하는 냄새 및 유해가스가 없고, 접착공정에서 발생하는 공기 버블로 인한 제품 불량률을 저하시키며, 또 접착시 별도의 양생기간을 필요로 하지 않아 제품의 품질 및 생산성을 동시에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 인테리어 자재의 제조 공정에서 인테리어 시트를 부착하기 위해 시행하여야 하는 접착제 배합, 공급라인 및 도포공정을 배제할 수 있어서 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
그뿐만 아니라, 시공 후에도 냄새나 휘발성분이 없어서 휘발 성분에 의한 유해성이 없고, 새집 증후군이 발생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인테리어 자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4, 비교예 1-2 : 인테리어 시트의 제조
PVC 수지로 구성되는 데코시트를 준비하고, 그 표면에 2중층의 접착필름층으로 구성된 접착층을 공압출 필름형태로 제공하여 인테리어 시트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저융점의 제1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층 제조를 위해 저융점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MI; 10) 30g를 사용하고, 또한 제2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층 제조를 위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MI; 23) 10g을 사용하여 blow 성형기에서 공압출하되, 전체 필름두께는 30:10=40㎛로 구성하였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층을 단층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저융점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40g으로 blow 성형기에서 공압출하여 동일 두께(40㎛)로 구성하여 1층 또는 2중층의 접착필름으로 접착층이 적층된 인테리어 시트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 표 1과 같다.
두께(㎛)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1 비교예2
제1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층 30 20 10 - 35 5
제2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층 10 20 30 40 5 35
실험예 1 : 인테리어 자재 제조
상기 실시예 1-3의 인테리어 시트를 이용하여 목재 등 다양한 종류를 기재로 하여 구성된 피착재에 압착하여 인테리어 자재를 제작하였다.
상기 인테리어 자재 제작 과정에서 인테리어 자재에 대한 인테리어 시트의 부착조건은 압력 40kgf/cm2에 80℃에서 30초간 시행을 기준으로 하여 시행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인테리어 자재에 대하여 인테리어 시트의 접착강도(kgf)는 인장시험기를 이용하여 200mm/min 속력으로 박리강도를 측정하고 최대 파괴강도를 접착강도로 표시하였다. 그 결과는 비교실험예와 비교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실험예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별도 접착층 형성 없이 데코시트만 제조하고(비교예 3) 접착제로 에폭시 수지계 접착제(2액형)를 이용하여 인테리어 시트를 부착하여 인테리어 자재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접착강도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접착강도(kgf)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3
목재 2.5 2.3 2.7 2.2 1.8
ABS 2.8 2.5 3.5 4.3 2.2
종이 소재파괴 소재파괴 소재파괴 소재파괴 소재파괴
PVC 발포폼 3.2 3.0 4.2 4.8 2.7
상기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4는 비교예 3에 비해 우수한 접착강도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2 : 접착 조건에 따른 접착력 실험
상기 인테리어 자재 제작 과정에서 인테리어 자재에 대한 인테리어 시트의 부착조건은 압력 40kgf/cm2에 80℃에서 30초간 시행을 기준으로 하여 시행하되, 온도와 압착 시간을 조절하며 압착하여 인테리어 자재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인테리어 자재에 대한 접착조건에 따른 접착강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는 다음 표 3에 나타내었다.
항목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 3
접착강도(kgf) 3.1 4.1 3.8 3.2 0.8
상기 표 3에 따르면, 동일 압력에서 접착강도가 2.0(kgf) 이하인 경우는 접착 불량으로 판정한다.
또한, 상기에서 온도조건 80℃, 접착강도가 2.0kgf 이상이 측정될 때의 압착 및 경화시간을 측정한 결과를 다음 표 4에 나타내었다.
항목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 3
압착시간 25초 20초 10초 5초 5분
경화시간 별도 경화시간 필요없음 별도 경화시간 필요없음 별도 경화시간 필요없음 별도 경화시간 필요없음 5시간
접착강도(kgf) 3.1 4.1 3.8 3.2 2.5
상기 표 4에서 나타난 결과와 같이 접착필름으로 제조된 실시예 1~4는 80℃의 온도에서 30초 이내의 압착만으로 양호한 접착강도를 얻을 수 있으나, 종래와 같이 비교예 3의 적용으로 2액형으로 조제된 에폭시 수지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인테리어 시트를 접착하는 경우 5분 압착 후에도 양호한 접착강도를 얻기 위해 5시간의 경화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로써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에는 최소 5시간은 별도의 장소에 보관된 후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압착시간은 생산속도와 상관성이 있어서 압착시간이 짧을수록 생산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생산속도는 생산량에 직결된다. 통상 수분 내에 시행되던 공정이 수십초 내에 시행되게 되면 생산속도가 10배 향상되며, 경화를 위한 별도의 대기장소 및 대기시간이 필요하지 않고 바로 납기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 3 또는 4로 제조된 필름을 이용하여 온도별 압착시간에 따른 접착강도를 비교한 결과를 다음 표 5에 나타내었다.
온도(℃) 50 60 80 100 120 130
압착시간 120sec 30sec 20sec 15sec 5sec 5sec
실시예 3
접착강도(kgf)
0.8 3.1 4.1 3.8 3.2 2.0
실시예 4
접착강도(kgf)
0.7 3.2 4.3 4.0 3.4 2.0
상기와 같은 실험결과, 실시예의 필름형 접착층 적용은 열과 압력에 의해 5초에서 30초 이내에 부착되지만, 비교예의 경우와 같이 기존의 접착제로 접착에 적용할 경우는 용제가 날아간 후 경화되어야 하므로 별도의 양생시간이 필요하다. 특히, 기존의 접착제를 2액형으로 적용하는 경우는 양생시간이 5시간 이상 소요되며, 1액형의 경우에도 빨라야 7분의 시간이 소요되므로, 제품 출하까지 별도의 대기시간이 필요하다. 그러나 실시예의 경우는 이러한 대기시간이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또는 변경은 모두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0 : 데코시트층
20 : 저융점 핫멜트 접착층
21 : 제1 저융점 핫멜트 접착층
22 : 제2 저융점 핫멜트 접착층
30 : 피착재
100 : 인테리어 시트
200 : 인테리어 자재

Claims (9)

  1. 데코시트층과; MI(5Kg, 210℃)가 10~40g/10min인 제1 저융점 핫멜트 접착필름층과 상기 제1 저융점 핫멜트 접착필름층보다 높은 온도에서 핫멜트 접착이 가능하고 MI(2.16kg, 160℃)가 4-40g/10min인 제2 저융점 핫멜트 접착필름층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저융점 핫멜트 접착필름층으로 구성되며, 60℃ 이상의 온도에서 열 접착이 가능한, 인테리어 자재 접착용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자재 접착용 접착층을 구비한 친환경 인테리어 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인테리어 시트는 ABS, 폴리염화비닐(PVC),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천연무늬목, 인조가죽, 천연가죽 중에서 선택된 데코시트층과; 폴리올 당 수평균 분자량이 500~2,000인 폴리올 A와 폴리올 당 수평균 분자량이 2,500~4,000인 폴리올 B의 혼합물 50 내지 90중량 %, 디이소시아네이트 5 내지 45중량 %, 디프로필렌글리콜이 1~5중량%로 이루어지는 60℃ 이상의 온도에서 용융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제1 저융점 핫멜트 접착필름층과, 폴리올 당 수평균 분자량 500~2,000의 핫멜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또는 아디프산이 5~10중량%, MDI(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가 8~40중량%, 1,4 부탄디올이 3~13 중량%, 디프로필렌글리콜이 1~5중량%, 폴리올이 40~80중량% 함유되어 있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 내지 150,000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제2 저융점 핫멜트 접착필름층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저융점 핫멜트 접착필름층으로 이루어지는 인테리어 자재 접착용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자재 접착용 접착층을 구비한 친환경 인테리어 시트.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제 1 저융점 핫멜트 접착필름층과 제2 저융점 핫멜트 접착필름층이 모두 적층된 2중층으로 구성되는 접착층 구조는 제 1 저융점 핫멜트 접착필름층과 제 2 저융점 핫멜트 접착필름층의 두께비가 1:1~3 또는 1~3:1의 비율로 구성되며, 전체 두께가 10-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자재 접착용 접착층을 구비한 친환경 인테리어 시트.
  5. 삭제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따른 인테리어 시트가 상기 인테리어 시트의 데코시트층과 동일하거나 다른 재질의 피착재에 핫멜팅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자재.
  7. 청구항 6에 있어서, 피착재는 PVC, ABS, 천연무늬목, MDF, 우레탄폼, 종이 허니컴 구조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1종 이상의 이종 재질이 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자재.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따른 인테리어 자재 접착용 접착층을 구비한 친환경 인테리어 시트를 피착재 표면에 적층하고, 필름에 가해지는 온도범위가 60~120℃이고, 압력이 25~50kgf/cm2 인 조건에서 핫멜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자재의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핫멜팅은 5-30초 동안 시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자재의 제조방법.
KR1020170086301A 2017-07-07 2017-07-07 인테리어 자재 접착용 접착층을 구비한 친환경 인테리어 시트와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자재 Active KR101853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301A KR101853704B1 (ko) 2017-07-07 2017-07-07 인테리어 자재 접착용 접착층을 구비한 친환경 인테리어 시트와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301A KR101853704B1 (ko) 2017-07-07 2017-07-07 인테리어 자재 접착용 접착층을 구비한 친환경 인테리어 시트와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3704B1 true KR101853704B1 (ko) 2018-05-04

Family

ID=62199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301A Active KR101853704B1 (ko) 2017-07-07 2017-07-07 인테리어 자재 접착용 접착층을 구비한 친환경 인테리어 시트와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37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400B1 (ko) * 2018-07-09 2019-05-13 (주)에스에스지코퍼레이션 접착필름이 적용된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와 이를 이용한 장식용 패널
KR20200047425A (ko) * 2018-10-25 2020-05-07 (주)엘지하우시스 인테리어 보드
GB2584110A (en) * 2019-05-21 2020-11-25 Vtec Group Ltd Warp resistant cover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476B1 (ko) * 2010-06-07 2010-12-28 (주)두하 친환경 인테리어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JP2011000810A (ja) * 2009-06-19 2011-01-06 Kaneka Corp 自動車内装材用発泡積層シートおよび自動車内装材
KR101728140B1 (ko) * 2016-09-09 2017-04-19 (주)아셈스 장식용 복합 필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0810A (ja) * 2009-06-19 2011-01-06 Kaneka Corp 自動車内装材用発泡積層シートおよび自動車内装材
KR101003476B1 (ko) * 2010-06-07 2010-12-28 (주)두하 친환경 인테리어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1728140B1 (ko) * 2016-09-09 2017-04-19 (주)아셈스 장식용 복합 필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400B1 (ko) * 2018-07-09 2019-05-13 (주)에스에스지코퍼레이션 접착필름이 적용된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와 이를 이용한 장식용 패널
KR20200047425A (ko) * 2018-10-25 2020-05-07 (주)엘지하우시스 인테리어 보드
KR102408706B1 (ko) * 2018-10-25 2022-06-14 (주)엘엑스하우시스 인테리어 보드
GB2584110A (en) * 2019-05-21 2020-11-25 Vtec Group Ltd Warp resistant cover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6742B2 (en) Method for laminating plastic films with wood-base substrates, in particular for producing high-gloss surfaces
US20120015176A1 (en) Biolaminate composite assembly and related method
KR101853704B1 (ko) 인테리어 자재 접착용 접착층을 구비한 친환경 인테리어 시트와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자재
CN103770430B (zh) 一种柔性复合装饰薄木饰面工艺
TW200402498A (en) Packaging prefinished fiber cement products
CN103753656B (zh) 一种柔性复合薄木及其加工方法
KR101469199B1 (ko) 입체 라벨 및 그 제조방법
JP7405166B2 (ja) 積層体および物品
KR100873298B1 (ko) 인테리어 장식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US9610757B2 (en) Adhesive bond using different adhesives
CN106003281A (zh) 一种家具用胶合板贴面复合工艺
KR101791941B1 (ko) 리얼우드 필름 및 그 리얼우드 필름을 적용한 리얼우드 사출물 제조방법
CN109720058A (zh) Hdpc贴面板
KR101977400B1 (ko) 접착필름이 적용된 인테리어 장식용 시트와 이를 이용한 장식용 패널
JP2013079073A (ja) 車両用成形天井
JP4324875B2 (ja) 化粧造作部材の製造方法
JP2002113995A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JP4507902B2 (ja) 化粧造作部材の製造方法
JP4626468B2 (ja) 積層体、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EP2529925B1 (en) Flexible finished wood laminate and production process
KR102829866B1 (ko) 구조용 접착제 테이프
KR20220003990A (ko) 저온융착이 가능한 접착 수지층을 포함하는 친환경 데코시트의 제조방법
JP2003082311A (ja) 木材接着用ホットメルト接着剤組成物、それを用いた木理化粧ボード及び木理化粧シート
JP2000328010A (ja) 表面化粧材の製造方法
CN119266486A (zh) 一种聚丙烯材质的塑胶地板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4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4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