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52835B1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835B1
KR101852835B1 KR1020160116746A KR20160116746A KR101852835B1 KR 101852835 B1 KR101852835 B1 KR 101852835B1 KR 1020160116746 A KR1020160116746 A KR 1020160116746A KR 20160116746 A KR20160116746 A KR 20160116746A KR 101852835 B1 KR101852835 B1 KR 101852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bracket
supporter
impeller
diffus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8841A (ko
Inventor
황은지
김성기
김병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6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835B1/ko
Priority to EP17190140.8A priority patent/EP3293862B1/en
Priority to US15/698,925 priority patent/US10916990B2/en
Priority to EP17190144.0A priority patent/EP3293865B1/en
Priority to EP17190141.6A priority patent/EP3293863B1/en
Priority to EP17190142.4A priority patent/EP3293864B1/en
Publication of KR20180028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83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0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61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73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e.g. ball bearings
    • H02K5/1732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e.g. ball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channels or ducts for flow of cooling medium
    • H02K5/207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channels or ducts for flow of cooling medium with openings in the casing specially adapted for ambient ai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02K7/0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0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 H02K9/04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 H02K9/06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with fans or impellers driven by the machine shaf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5/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2205/09Machines characterised by drain passages or by venting, breathing or pressure compens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은 모터 바디와; 모터 바디에 설치된 브래킷과; 브래킷 내부에 수용되고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고, 베어링의 외면과 브래킷의 내면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는 베어링 방열유로가 형성되고, 베어링 방열유로에는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베어링 서포터가 배치되며, 브래킷에는 다수의 기공을 통과한 공기가 브래킷 외부로 유출되는 브래킷 통공이 형성되어, 공기가 베어링 서포터에 형성된 다수의 기공을 통과하면서 베어링, 베어링 서포터 및 브래킷 각각을 방열할 수 있고, 모터의 내부가 과열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베어링의 수명을 최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모터{Motor}
본 발명은 모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어링을 갖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모터는 청소기 등의 가전기기에 설치될 수 있고, 이 경우 공기를 먼지 집진부로 흡인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모터의 일예는 모터 하우징과, 모터 하우징에 설치된 스테이터와, 스테이터에 의해 회전되는 로터와, 로터가 장착된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의 회전축은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고, 회전축은 베어링에 지지된 상태에서 고속으로 회전될 수 있다.
모터는 그 내부의 온도가 상승될 경우, 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모터 내부의 온도는 과열되지 않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어링의 열은 모터의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여러 요인 중 하나이고, 베어링은 과열되지 않게 방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회전축이 고속으로 회전되는 모터의 경우, 베어링은 과열될 수 있고, 이 경우 베어링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287468 B1(2013년07월19일 공고)
본 발명은 모터 내부에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베어링을 효율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베어링을 지지하는 베어링 서포터가 베어링의 방열을 도우면서 동시에 베어링의 위치를 정렬할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는 모터 바디와; 모터 바디에 설치된 브래킷과; 브래킷 내부에 수용되고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고, 베어링의 외면과 브래킷의 내면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는 베어링 방열유로가 형성되고, 베어링 방열유로에는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베어링 서포터가 배치되며, 브래킷에는 다수의 기공을 통과한 공기가 브래킷 외부로 유출되는 브래킷 통공이 형성된다. 브래킷 통공은 다수의 기공 중 적어도 일부를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모터 내부의 공기는 다수의 기공을 통해 베어링 방열유로를 유입될 수 있고, 베어링과 베어링 서포터와 브래킷 각각을 방열시킨 후 브래킷 통공을 통해 브래킷 외부로 유출될 수 있으며, 베어링은 베어링 서포터에 지지된 상태에서 베어링 서포터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효율적으로 방열될 수 있다.
모터는 모터 하우징과, 회전축에 연결된 임펠러와; 임펠러의 외둘레를 둘러싸며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임펠러 커버와, 임펠러 커버의 내부에 배치된 디퓨저와; 모터 하우징에 로터를 둘러싸게 설치된 스테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터 하우징은 임펠러 커버와 함께 모터 바디를 구성할 수 있다.
모터는 회전축에 로터 및 베어링이 장착될 수 있고, 회전축과 로터 및 베어링은 회전축 어셈블리를 구성할 수 있다.
브래킷은 모터 하우징과 임펠러 커버와 디퓨져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베어링 서포터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와이어가 불규칙하게 뭉친 금속 와이어 메쉬를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 서포터는 중공 원통 형상일 수 있고, 내면이 베어링의 외면에 접촉될 수 있으며, 외면이 브래킷의 내면에 접촉될 수 있다.
베어링 서포터는 로터를 마주보는 단부를 갖을 수 있다.
디퓨저에는 공기를 베어링 서포터와 로터의 사이로 안내하는 가이드베인이 형성될 수 있다.
베어링은 회전축에 고정된 내륜과; 내륜과 이격된 외륜과; 내륜과 외륜 사이에 배치된 구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브래킷은 베어링 서포터를 둘러싸는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브래킷은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에 형성되어 내륜과 외륜 사이를 덮고 임펠러를 마주보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의 외륜은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의 내경 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베어링 방열유로는 외륜의 외둘레면과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의 내둘레면 사이에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브래킷 통공은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와 커버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브래킷 통공의 일예는 커버부 중 베어링 서포터를 마주보는 영역에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와 임펠러의 사이에는 브래킷 통공을 통과한 공기가 통과하는 제1틈이 형성될 수 있고, 디퓨저와 임펠러의 사이에는 제1틈을 통과한 공기가 디퓨저와 임펠러 커버의 사이로 유출되는 제2틈이 형성될 수 있다. 브래킷 통공은 제1틈 및 베어링 서포터 각각을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어링 방열유로의 공기는 브래킷 통공을 통해 제1틈으로 빠져나올수 있고, 제1틈의 공기는 제2틈을 통해 디퓨저와 임펠러 커버의 사이로 유출될 수 있다.
브래킷 통공의 다른 예는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디퓨져에는 디퓨져와 임펠러 커버 사이와 브래킷 통공을 연통시키는 디퓨저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어링 방열유로의 공기는 브래킷 통공을 통해 디퓨저 통공으로 유동될 수 있고, 디퓨저 통공의 공기는 디퓨저와 임펠러 커버의 사이로 유출될 수 있다.
모터 하우징에는 상기 회전축 보다 큰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고, 회전축에는 상기 중공부의 내경 보다 외경이 작은 제2베어링이 장착될 수 있으며, 중공부의 내면과 제2베어링의 외면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는 모터 제2베어링 방열유로가 형성될 수 있고, 제2베어링 방열유로에는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제2베어링 서포터가 배치될 수 있다.
모터 하우징은 제2베어링 서포터를 마주보는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공기배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베어링 서포터는 로터를 마주보는 단부를 갖을 수 있다. 제2베어링 서포터는 중공 원통 형상이고, 내면이 제2베어링의 외면에 접촉되고, 외면이 중공부의 내면에 접촉될 수 있다.
브래킷 통공의 또 다른 예는 커버부에 베어링 서포터의 적어도 일부를 마주보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브래킷 통공과,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브래킷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퓨져에는 디퓨져와 임펠러 커버의 사이와 제2 브래킷 통공을 연통시키는 디퓨져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브래킷 통공과 제2브래킷 통공은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어링 방열유로의 공기 중 일부는 제1브래킷 통공과, 제1틈과 제2틈을 통해 디퓨저와 임펠러 커버 사이로 유출될 수 있고, 베어링 방열유로의 공기 중 나머지는 제2브래킷 통공과 디퓨저 통공을 통해 디퓨저와 임펠러 커버의 사이로 유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모터 내부의 공기가 베어링 서포터에 형성된 다수의 기공을 통과하면서 베어링, 베어링 서포터 및 브래킷 각각을 방열할 수 있고, 모터의 내부가 과열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베어링의 수명을 최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베어링과 브래킷 사이에 베어링 서포터가 배치되고 브래킷에 브래킷 통공이 형성되는 간단한 구조로, 베어링을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모터의 조립공차 등에 의해 베어링의 위치가 정위치에서 벗어날 경우, 베어링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베어링 서포터에 의해 베어링이 정위치로 정렬될 수 있고, 베어링의 성능이 최대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모터 하우징에 수용되는 제2베어링이 로터와 스테이터 사이를 통과한 공기에 의해 효율적으로 방열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모터 내부의 공기가 2개의 방열유로를 통해 신속하게 유동되면서 베어링의 방열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터가 도시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3는 도 1의 A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터가 베어링을 방열시킬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서포터가 베어링에 의해 탄성 변형되었을 때의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터가 베어링을 방열시킬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모터가 베어링을 방열시킬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
도 8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모터가 도시된 단면도,
도 9은 도 8의 B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모터가 제2베어링을 방열시킬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터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터가 베어링을 방열시킬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서포터가 베어링에 의해 탄성 변형되었을 때의 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모터(M)는 모터 바디(1)와, 회전축(3)과, 베어링(5)과, 브래킷(8) 및 베어링 서포터(9)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M)는 그 내부의 공기가 베어링(5)과 브래킷(8)의 사이를 통과한 후 브래킷(8)의 외부로 유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모터(M)는 베어링(5)의 외면과 브래킷(8)의 내면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는 베어링 방열유로(S6)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베어링 방열유로(S6)에는 다수의 기공(H)이 형성된 베어링 서포터(9)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브래킷(8)에는 다수의 기공(H)을 통과한 공기가 브래킷(8) 외부로 유출되는 브래킷 통공(87)이 형성될 수 있다.
베어링(5)의 열은 베어링 서포터(9)를 통해 브래킷(8)으로 전달될 수 있다. 모터(M) 내부의 공기는 베어링 서포터(9)에 형성된 다수의 기공(H)을 통해 베어링 방열유로(S6)로 유입될 수 있고, 베어링 방열유로(S6)를 통과하면서 베어링(5), 베어링 서포터(9) 및 브래킷(8)을 방열할 수 있다. 베어링 방열유로(S6)의 공기는 브래킷 통공(87)을 통과해 브래킷(8)을 빠져나올 수 있다.
모터 바디(1)는 모터(M)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모터 바디(1)에는 모터(M) 외부의 공기가 모터 바디(1)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흡입구(11)가 형성될 수 있다. 모터 바디(1)의 내부에는 스테이터(2)와, 로터(3), 회전축(3), 베어링(5) 및 브래킷(8), 임펠러(71)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모터 바디(1)에는 모터(M) 내부의 공기가 모터 바디(1)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토출구(12)가 형성될 수 있다.
모터 바디(1)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를 구성할 수 있다. 모터 바디(1)는 공기흡입구(11)가 형성된 임펠러 커버(13)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 바디(1)는 공기토출구(12)가 형성된 모터 하우징(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 커버(13)는 모터 하우징(14)과 결합될 수 있고, 모터 하우징(14)은 임펠러 커버(13)와 함께 모터 바디(1)를 구성할 수 있다.
모터 바디(1)는 임펠러 커버(13)와 모터 하우징(14) 사이에 배치된 별도의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임펠러 커버(13)와 모터 하우징(14)이 프레임에 각각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모터(M)는 브래킷(8)의 일부가 임펠러 커버(13)와 모터 하우징(14) 사이에 배치되고 임펠러 커버(13)와 모터 하우징(14)이 브래킷(8)에 각각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브래킷(8)은 모터 바디(1)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임펠러 커버(13)은 임펠러(71)의 외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임펠러 커버(13)는 임펠러(71)의 외둘레를 둘러싸서 임펠러(71)를 보호할 수 있다.
임펠러 커버(13)는 모터 하우징(14)을 마주하는 면이 개방될 수 있다. 임펠러 커버(13)는 모터 하우징(14)의 개방된 일면을 덮게 배치될 수 있다. 임펠러 커버(13)는 모터 하우징(14)이나 브래킷(8)과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결합되거나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공기흡입구(11)는 임펠러 커버(13) 중 모터 하우징(14)을 마주하는 면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임펠러 커버(13)의 내둘레면은 임펠러(71)와 이격될 수 있고, 임펠러(71)에 의해 유동된 공기는 임펠러 커버(13)의 내둘레면과 임펠러(71)의 사이를 통해 유동될 수 있다.
모터 하우징(14)은 일면이 개방된 중공 원통 형상일 수 있다. 모터 하우징(14)에는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배출구(11)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배출구(11)는 모터 하우징(14)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모터(M)는 모터 바디(1)에 장착된 스테이터(2)와, 회전축(3)에 장착된 로터(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터(2)는 모터 바디(1)에 장착될 수 있다. 스테이터(2)는 모터 하우징(14)에 장착될 수 있고, 모터 하우징(14)에 로터(4)의 외둘레를 둘러싸게 장착될 수 있다. 스테이터(2)는 모터 하우징(14)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장착될 수 있다. 스테이터(2)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테이터(2)는 로터(4)의 외둘레를 둘러싸게 장착될 수 있다.
스테이터(2)는 다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스테이터(2)는 스테이터 코어(21)와, 스테이터 코어(21)에 결합된 한 쌍의 인서레이터(22)(23)와, 인서레이터(22)(23)에 배치된 코일(24)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3)에는 로터(4) 및 베어링(5)이 장착될 수 있고, 회전축(3)은 로터(4) 및 베어링(5)과 함께 회전축 어셈블리(R)를 구성할 수 있다.
회전축(3)은 모터 하우징(14)의 내부에서 임펠러 커버(13)의 내부까지 길게 배치될 수 있다. 회전축(3)은 일부가 모터 하우징(14) 내부에 위치하고 나머지가 임펠러 커버(13)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회전축(3)는 로터(4)와 함께 회전되는 것으로서, 베어링(5)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모터 바디(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회전축(3)은 베어링(5)에 지지된 상태에서 로터(4)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회전축(3)에는 임펠러(71)가 연결될 수 있고, 회전축(3)의 회전시 임펠러(71)는 임펠러 커버(13) 내부에서 회전될 수 있다.
회전축(3)에는 임펠러(71)가 연결되는 임펠러 연결부(32)가 형성될 수 있다. 임펠러 연결부(32)는 로터(4)에 의해 둘러싸이는 부분(31)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임펠러 연결부(32)는 회전축(3)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3)에는 후술하는 제2베어링(6)이 장착되는 제2베어링 장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로터(4)는 회전축(3)의 일부를 둘러싸게 장착될 수 있다. 로터(4)는 스테이터(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로터(4)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로터(4)는 회전축(3)에 고정된 아이런 코어(41)와, 아이런 코어(41)에 설치된 마그네트(42)와, 마그네트(42)를 고정하는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43)(44)를 포함할 수 있다.
로터(4)는 회전축(3)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일부(31)을 둘러싸게 장착될 수 있다. 로터(4)는 임펠러 연결부(32)와 제2베어링 장착부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베어링(5)은 브래킷(8)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회전축(3)을 지지할 수 있다. 베어링(5)은 베어링 서포터(9)와 함께 브래킷(8)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베어링(5)은 회전축(3)에 고정된 내륜(51)과; 내륜(51)과 이격된 외륜(52)과; 내륜(51)과 외륜(52) 사이에 배치된 구름부재(53)를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5)은 롤러 베어링과 볼 베어링 중 하나일 수 있고, 구름부재(53)가 볼로 구성되어 고속 회전에 대한 성능이 높은 볼 베어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어링(5)의 외륜(52) 외경(D1)은 브래킷(8)의 후술하는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81)의 내경(D2) 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베어링 방열유로(S6)는 베어링(5)의 외륜(52) 외둘레면과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9)의 내둘레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베어링 방열유로(S6)는 베어링(5)의 외륜(52)과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9)의 사이에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모터(M)는 회전축(3)에 고정되고 베어링(5)을 구속하는 오링(54, O rin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링(54)은 회전축(3)에 고정될 수 있고, 회전축(3) 및 로터(4)와 함께 회전축 어셈블리(또는 로터 어셈블리)를 구성할 수 있다.
오링(54)은 회전축(3)의 길이 방향으로 베어링(5)과 로터(4)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베어링(5)이 로터(4)를 향해 유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베어링 스토퍼일 수 있다.
오링(54)은 베어링(5)의 일부와 접촉되게 회전축(3)에 고정될 수 있다. 오링(54)은 적어도 일부가 베어링(5)의 내륜(51)를 마주 볼 수 있다. 오링(54)은 베어링(5)의 내륜(51)에 접촉될 수 있다. 오링(54)는 베어링(5)의 내륜(51)이 로터(4)를 향해 슬라이딩되는 것을 제한하는 베어링 스토퍼일 수 있다.
오링(54)의 외경(D3)은 베어링 서포터(9)의 내경(D4) 보다 작을 수 있다.
오링(54)은 베어링 서포터(9)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오링(54)은 회전축(3)의 회전시 베어링 서포터(9)의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에서 회전될 수 있다.
오링(54)의 외둘레와 베어링 서포터(9)의 사이에는 틈(G1)이 형성될 수 있고, 오링(54)과 베어링 서포터(9)는 접촉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링(54)과 베어링 서포터(9)가 접촉될 경우, 오링(54)과 베어링 서포터(9) 중 적어도 하나는 마모될 수 있다. 반면에, 오링(54)과 베어링 서포터(9)는 접촉되지 않으면, 오링(54)과 베어링 서포터(9) 각각의 수명은 최대화될 수 있다.
오링(54)은 회전축(3)에 장착되고 베어링(5)의 내륜(51)과 접촉되며 베어링 서포터(9)와 이격될 수 있다.
오링(54)은 베어링(5)의 내륜(51)과 접촉되는 이너 링(55)과, 베어링(5)의 외륜(54)과 이격되는 아우터 링(56)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링(56)의 외둘레는 오링(54)의 외둘레일 수 있고, 아우터 링(56)의 외경은 오링(54)의 외경(D3)일 수 있다.
모터(M)는 회전축(3) 중 모터 하우징(14)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이 모터 하우징(14)에 직접 지지될 수 있다.
회전축(3)이 모터 하우징(14)에 직접 지지될 경우, 모터 하우징(14)에는 회전축(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 지지부는 모터 하우지(1)에 회전축(3)의 외둘레를 둘러싸게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3)과 회전축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둘 사이의 마모 방지를 위한 윤활유 등의 윤활매체가 구비될 수 있다.
모터(M)는 회전축(3) 중 모터 하우징(14)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이 제2베어링(6)을 통해 지지될 수 있다. 모터(M)는 회전축(3)에 설치된 제2베어링(6)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베어링(6)은 회전축(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2베어링(6)은 베어링(5)과 이격되게 회전축(3)에 설치될 수 있다. 제2베어링(6)은 회전축(3)의 길이방향으로 베어링(5)과 이격될 수 있다.
베어링(5)과 제2베어링(6)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회전축(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축(3)의 하중은 베어링(5)과 제2베어링(6)에 분산되어 작용될 수 있다.
모터(M)는 베어링(5)과 제2베어링(6)이 로터(4)와 임펠러(71)의 사이에 함께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어링(5)과 제2베어링(6)은 로터(4)와 임펠러(71) 사이 위치에서 회전축(3)의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장착될 수 있다.
반면에, 모터(M)는 베어링(5)과 제2베어링(6)이 로터(4)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게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어링(5)과 제2베어링(6)은 회전축(3)에 작용하는 하중을 보다 효율적으로 분산하여 지지할 수 있다. 베어링(5)과 제2베어링(6)이 로터(4)를 사이에 두고 배치될 경우, 베어링(5)과 제2베어링(6)에 작용하는 최대하중은 베어링(5)과 제2베어링(6)이 로터(4)와 임펠러(71)의 사이에 함께 장착되는 경우 보다 낮고, 베어링(5)과 제2베어링(6) 각각의 수명은 베어링(5)과 제2베어링(6)이 로터(4)와 임펠러(71)의 사이에 함께 장착되는 경우 보다 길 수 있다. 그리고, 베어링(5)과 제2베어링(6)이 로터(4)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게 장착될 경우, 베어링(5)과 제2베어링(6)을 이격시키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지 않고, 모터(M)는 베어링(5)과 제2베어링(6)이 로터(4)와 임펠러(71) 사이에 함께 위치하는 경우 보다 컴팩트화가 가능하다.
제2베어링(6)은 회전축(3)과 모터 하우징(14) 사이에 위치되어 회전축(3)을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베어링(48)은 로터(4)를 사이에 두고 베어링(5)과 이격될 수 있다.
모터(M)가 베어링(5)과 제2베어링(6)을 모두 포함할 경우, 베어링(5)은 임펠러(71)와 더 근접한 부하측 베어링일 수 있고, 제2베어링(6)은 임펠러(71)와 더 먼 반부하측 베어링일 수 있다.
그리고, 모터(M)가 베어링(5)과 제2베어링(6)을 모두 포함할 경우, 베어링(5)은 브래킷(8)에 의해 둘러싸이게 배치된 브래킷측 베어링일 수 있고, 제2베어링(6)은 모터 하우징(14)에 의해 둘러싸이게 배치된 모터 하우징측 베어링일 수 있다.
베어링(5)은 임펠러(71)와 제2베어링(6)의 사이 특히, 임펠러(71)와 로터(4)의 사이에 장착된 제1베어링일 수 있고, 제2베어링(6)은 회전축(3) 중 임펠러(71)의 반대편 단부에 장착된 엔드 베어링일 수 있다.
회전축(3)이 제2베어링(6)에 지지될 경우, 제2베어링(6)은 모터 하우징(14) 내부에 위치되게 회전축(3)에 장착될 수 있다. 모터 하우징(14)에는 회전축(3) 보다 큰 중공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모터 하우징(14)은 중공부(15)가 돌출된 바디부(16)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공부(15)는 제2베어링(6)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베어링(6)은 모터 하우징(14)에 직접 지지되거나 별도의 탄성부재를 사이에 두고 모터 하우징(14)에 지지될 수 있다.
제2베어링(6)이 모터 하우징(14)에 직접 지지될 경우, 제2베어링(6)의 외둘레면은 중공부(15)에 접촉되어 중공부(15)에 지지될 수 있다.
제2베어링(6)은 회전축(3)에 고정된 내륜(61)과; 내륜(61)과 이격된 외륜(62)과; 내륜(61)과 외륜(62) 사이에 배치된 구름부재(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베어링(6)은 롤러 베어링과 볼 베어링 중 하나일 수 있고, 구름부재(63)가 볼로 구성되어 고속 회전에 대한 성능이 높은 볼 베어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베어링(6)의 내륜(61)은 회전축(3)에 고정될 수 있고, 제2베어링(6)의 외륜(62)은 중공부(15)에 접촉되어 중공부(15)에 고정될 수 있다.
모터(M)는 회전축(3)에 고정되고 제2베어링(6)을 지지하는 제2 오링(6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오링(64)은 회전축(3)에 고정될 수 있고, 회전축(3) 및 로터(4)와 함께 회전축 어셈블리(또는 로터 어셈블리)를 구성할 수 있다.
제2 오링(64)은 회전축(3)의 길이 방향으로 제2베어링(6)과 로터(4)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제2베어링(6)이 로터(4)를 향해 유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2베어링 스토퍼일 수 있다.
제2 오링(64)은 제2베어링(6)의 일부와 접촉되게 회전축(3)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오링(64)은 적어도 일부가 제2베어링(5)의 내륜(61)를 마주 볼 수 있다. 제2 오링(64)은 제2베어링(6)의 내륜(61)에 접촉될 수 있다. 제2 오링(64)는 제2베어링(6)의 내륜(61)이 로터(4)를 향해 슬라이딩되는 것을 제한하는 베어링 스토퍼일 수 있다.
제2 오링(64)은 회전축(3)에 장착되고 제2베어링(6)의 내륜(61)과 접촉되며 중공부(15)와 이격될 수 있다.
제2 오링(64)은 제2베어링(6)의 내륜(61)과 접촉되는 이너 링(65)과, 제2베이링(6)의 외륜(64)과 이격되는 아우터 링(66)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임펠러(71)은 회전축(3)에 연결될 수 있다. 임펠러(71)는 회전축(3)에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축(3)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임펠러(71)는 임펠러 커버(13)와 후술하는 디퓨저(74)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임펠러(71)와 임펠러 커버(13)의 사이에는 임펠러(71)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틈(S1)이 형성될 수 있다.
모터(M)는 임펠러(71)에 의해 유동된 공기를 안내하는 디퓨져(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71)에서 유동된 공기는 디퓨져(74)에 의해 안내될 수 있고, 디퓨저74)에 의해 안내된 공기는 베어링(5)과 브래킷(8) 사이를 통과하면서 베어링(5)을 방열시킬 수 있다. 임펠러(71)에서 송풍된 공기는 디퓨저(74)에 의해 베어링 서포터(9)로 유동될 수 있고, 베어링 서포터(9)로 유동된 공기는 베어링 서포터(9)의 기공(H)으로 유입되어 베어링 방열유로(S6)를 통과하고, 베어링 방열유로(S6)에서 브래킷 통공(87)을 통해 브래킷(8)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디퓨져(74)는 임펠러 커버(13)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디퓨저(74)는 임펠러 커버(13)와 브래킷(8)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될 수 있다. 디퓨저(74)와 임펠러 커버(13)의 사이에는 디퓨저(74)에 안내되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틈(S2)이 형성될 수 있다.
디퓨저(74)는 임펠러 커버(13) 보다 크기가 작은 바디부(75)와, 바디부(75)의 외둘레에 돌출된 디퓨저 베인(76)과, 디퓨저 베인(76)에 의해 유동된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 베인(77)을 포함할 수 있다.
디퓨져 베인(76)은 임펠러(71)를 통과한 공기의 동압력을 정압력으로 전환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베인(77)은 디퓨져 베인(76)에 의해 압력이 상승된 공기를 베어링 서포터(9)와 로터(4) 중 적어도 하나를 향해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 베인(77)은 베어링 서포터(9)와 로터(4)의 사이의 틈(S4)를 향해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 베인(77)에 안내된 공기는 디퓨저(74)와 스테이터(2) 사이의 틈(S3)를 통과할 수 있고, 이러한 공기는 베어링 서포터(9)와 로터(4) 사이의 틈(S4)을 통과할 수 있다.
가이드 베인(77)에 의해 유동된 공기는 일부가 베어링 서포터(9)로 유동되어 베어링(5), 베어링 서포터(9) 및 브래킷(8)을 방열할 수 있다. 가이드 베인(77)에 의해 유동된 공기 중 베어링 서포터(9)로 유입되지 않는 공기는 로터(4)와 스테이터(2) 사이의 틈(S5)으로 유동될 수 있고, 로터(4) 및 스테이터(2)를 방열시킬 수 있다.
브래킷(8)은 모터 바디(1)에 설치될 수 있다. 브래킷(8)은 모터 바디(1)의 내부에 위치되게 모터 바디(1)에 설치될 수 있다. 브래킷(8)은 모터 하우징(14)과 임펠러 커버(13)와 디퓨져(74)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브래킷(8)은 베어링(5) 및 베어링 서포터(9)를 함께 수용할 수 있다.
브래킷(8)은 베어링 서포터(9)의 외둘레를 둘러싸는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81)를 포함할 수 있다. 브래킷(8)은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81)에 형성된 커버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브래킷(8)은 모터 하우징(14)과 임펠러 커버(13) 중 적어도 하나에 체결되는 체결부(84)를 포함할 수 있다. 브래킷(8)은 체결부(84)와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81)을 연결하는 연결부(86)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81)의 내경(D2)은 베어링(5)의 외륜(52) 외경(D1) 보다 클 수 있다.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81)는 오링(54)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브래킷(8)의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81)의 내경은 오링(54)의 외경 보다 클 수 있다. 오링(54)은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81)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서 회전될 수 있다. 브래킷(8)의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81)의 내둘레면과 오링(54)이 외둘레 사이에는 틈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틈은 베어링 서포터(9)의 두께 보다 클 수 있다.
커버부(82)는 베어링(5)의 내륜(51)과 외륜(52) 사이를 덮고 임펠러(71)를 마주볼 수 있다.
커버부(82)는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81)에서 꺽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82)는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81)의 일단에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82)에는 회전축(3)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는 회전축 관통공(83)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 관통공(83)의 직경(D5)은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81)의 내경(D2) 보다 작을 수 있다.
커버부(82)는 오링(54)과 이격될 수 있고, 오링(54) 중 베어링(5)을 마주하는 면과 커버부(82) 중 베어링(5)을 마주보는 면 사이에는 베어링(5)이 수용되는 베어링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84)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84)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85)로 모터 하우징(14)과 임펠러 커버(13) 중 적어도 하나에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84)는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81)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잇다.
한편, 커버부(83)와 임펠러(71)의 사이에는 브래킷 통공(87)을 통과한 공기가 통과하는 제1틈(S7)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디퓨저(74)와 임펠러(71)의 사이에는 제1틈(S7)을 통과한 공기가 디퓨저(75)와 임펠러 커버(13)의 사이로 유출되는 제2틈(S8)이 형성될 수 있다.
브래킷 통공(87)은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81)와 커버부(83)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브래킷 통공(87)은 다수의 기공(H) 중 적어도 일부를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브래킷 통공(87)은 커버부(83) 중 베어링 서포터(9)를 마주보는 영역에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브래킷 통공(87)은 제1틈(S7) 및 베어링 서포터(9) 각각을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베어링 서포터(9)는 중공 원통 형상일 수 있다. 베어링 서포터(9)의 내면은 베어링(5)의 외면에 접촉될 수 있고, 베어링 서포터(9)의 외면은 브래킷(8)의 내면에 접촉될 수 있다.
베어링 서포터(9)는 내부에 원기둥 형상의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베어링 서포터(9)는 베어링(5)의 외륜(52)과 브래킷(8)의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8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베어링 서포터(9)는 베어링(5)의 외륜(52)과 브래킷(8)의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81)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베어링 서포터(9)의 내면은 베어링(5)의 외륜(52) 외면에 접촉될 수 있고, 베어링 서포터(9)의 외면은 브래킷(8)의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81) 내면에 접촉될 수 있다.
베어링 서포터(9)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으면서 베어링(5)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어링 서포터(9)는 다수의 기공(H)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어링 서포터(9)은 베어링(5)에 의해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베어링(5)을 정위치로 위치 조정할 수 있다.
베어링(5)과 제2베어링(6)은 그 중심축이 일치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동심도의 오차가 클 경우, 둘 중 어느 하나의 마모가 클 수 있다.
모터(M)는 모터 하우징(14)과 브래킷(8)의 조립 공차에 의해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81)의 중심축(H1)와, 중공부(16)의 중심축이 일치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베어링(5)과 제2베어링(6)이 로터(4)를 사이에 두고 장착될 경우, 이러한 베어링(5)과 제2베어링(6)의 동심도 오차가 클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베어링 서포터(9)는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81)의 중심축(H1)와, 중공부(16)의 중심축이 일치되지 않더라도, 베어링(5)의 중심축과 제2베어링(6)의 중심축이 최대한 일치되도록 베어링(5)의 위치를 제2베어링(6)의 위치와 맞게 조정할 수 있다.
베어링 서포터(9)은 브래킷(8)과 베어링(5)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베어링(5)을 지지할 수 있다. 베어링 서포터(9)은 브래킷(8)과 베어링(5) 사이에 압입될 수 있다.
모터(M)는 모터 하우징(14)과, 브래킷(8)의 조립 공차에 의해 베어링(5)과 제2베어링(6)의 동심도가 일치되지 않을 수 있다. 베어링 서포터(9)는 이와 같이 베어링(5)과 제2베어링(6)의 동심도가 일치되지 않을 경우, 일부가 탄성 압축된 상태에서 베어링(5)의 중심축이 제2베어링(6)의 중심축이 최대한 일치되게 베어링(5)을 지지할 수 있다.
즉, 베어링(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심축(B1)이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81)의 중심축(H1)과 일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베어링 서포터(9)의 일부를 가압할 수 있고, 이때, 베어링 서포터(9)는 베어링(5)에 의해 눌린 부분이 압축된 상태에서 베어링(5)을 지지할 수 있다.
베어링 서포터(9)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와이어(91)가 불규칙하게 뭉친 금속 와이어 메쉬를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 서포터(9)의 높이(L1)는 베어링(5)의 높이(H2) 보다 높을 수 있다. 베어링 서포터(9)는 일부가 베어링(5)의 외륜(52)과 브래킷(8)의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8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베어링 서포터(9)는 그 내경(D4)이 외륜(52)의 외경(D1)과 같거나 외륜(52)의 외경(D1)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베어링 서포터(9)는 그 외경이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81)의 내경(D2)과 같거나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81)의 내경(D2)보다 작을 수 있다. 베어링 서포터(9)는 그 일부가 베어링(5)의 외륜(52)과 브래킷(8)의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81) 사이에 압입될 수 있고, 압입된 상태에서 베어링(5)의 외륜(52)과 브래킷(8)의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81)에 고정될 수 있다.
베어링 서포터(9)는 베어링(5)을 마주보는 제1영역(9A)과, 베어링(5)을 마주보지 않는 제2영역(9B)을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 서포터(9)의 제1영역(9A)은 베어링(5)의 외륜(52) 및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81)을 마주볼 수 있다. 베어링 서포터(9)의 제2영역(9B)는 오링(44)을 마주보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 서포터(9)의 제2영역(9B)는 베어링(5)의 외면 및 오링(54) 모두를 마주보지 않는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 서포터(9)는 커버부(82)에 접촉될 수 있다. 베어링 서포터(9)가 커버부(82)에 접촉되었을 때, 베어링 서포터(9)는 커버부(82)에 걸릴 수 있고, 베어링 서포터(9)의 장착 위치는 커버부(82)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베어링 서포터(9)는 베어링(5)의 외륜(52)과,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81) 및 커버부(82)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베어링(5)의 열은 금속 와이어(91)로 전달될 수 있고, 금속 와이어(91)로 전달된 열은 금속 와이어(91) 중 브래킷(8)에 접촉되는 브래킷 접촉부(92)를 통해 브래킷(8)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금속 와이어(91)로 전달된 열은 금속 와이어(91) 중 베어링(5)을 마주보지 않는 제2영역(B)에서 공랭식으로 방열될 수 있다.
즉, 베어링(5)의 열은 베어링 서포터(9)를 통해 브래킷(5)으로 전달될 수 있고, 베어링 서포터(9)를 통해 모터(M) 내의 공기로 전달될 수 있다.
다수의 기공(H)은 베어링 서포터(9)의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다수의 기공(H)은, 베어링(5)의 외륜(52)을 마주보는 적어도 하나의 제1기공와, 베어링(52)의 외륜(52)을 마주보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제2기공을 포함할 수 있다.
디퓨저(74)에 의해 안내된 공기는 제2기공을 통해 베어링 서포터(9)로 유입될 수 있고, 제1기공을 통과하면서 베어링(5), 베어링 서포터(9), 브래킷(8) 각각을 방열할 수 있다.
베어링 서포터(9)는 로터(4)를 마주보는 단부(95)를 갖을 수 있다. 모터(M) 내부의 공기 중 베어링 서포터(9)와 로터(4) 사이의 틈(S4)으로 유동된 공기는 베어링 서포터(9) 중 로터(5)를 마주보는 단부(95)를 통해 베어링 서포터(9)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터(M)의 구동시 회전축(3)은 회전될 수 있고, 임펠러(71)는 회전축(3)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임펠러(71)의 회전시, 모터(M) 외부의 공기는 공기흡입구(11)를 통해 임펠러(71)로 흡인될 수 있다.
임펠러(71)로 흡인된 공기는 임펠러(71)에 의해 디퓨저(74)로 유동될 수 있고, 디퓨저(74)로 유동된 공기는 디퓨저(74)의 안내를 받으면서 디퓨저(74)와 임펠러 커버(13) 사이의 틈(S2)을 통과할 수 있다. 디퓨저(74)에 안내되는 공기는 디퓨저 베인(76)과 가이드 베인(77)에 의해 순차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가이드 베인(77)에 의해 안내된 공기는 디퓨저(74)와 스테이터(2) 사이의 틈(S3)을 통과할 수 있다. 디퓨저(74)와 스테이터(2) 사이의 틈(S3)을 통과한 공기는 일부가 베어링 서포터(9)와 로터(4) 사이의 틈(S4)을 통과하여 베어링 서포터(9)로 유입될 수 있고, 나머지가 로터(4)와 스테이터(2) 사이의 틈(S5)으로 유동될 수 있다.
베어링 서포터(9)로 유입된 공기는 베어링 서포터(9)에 형성된 다수의 기공(H)을 통과하여 베어링 방열유로(S6)로 유입될 수 있고, 다수의 기공(H)을 통과하면서 베어링(5)과 베어링 서포터(9)와 브래킷(8) 각각과 접촉될 수 있고, 베어링(5)과 베어링 서포터(9)와 브래킷(8) 각각의 열을 흡열할 수 있다.
베어링 서포터(9)에 형성된 다수의 기공(H)을 통과한 공기는 브래킷 통공(87)을 통과하여 브래킷(87) 외부로 유출될 수 있고, 커버부(82)와 임펠러(71) 사이의 제1틈(S7)으로 유입되어 제1틈(S7)을 통과할 수 있고, 이후, 디퓨저(74)와 임펠러(71) 사이의 제2틈(S8)으로 유입되어 제2틈(S8)을 통과할 수 있다. 제2틈(S8)을 통과한 공기는 디퓨저(74)와 임펠러 커버(13) 사이의 틈(S2)으로 유동되어 임펠러(71)에서 유동된 공기와 혼합될 수 있고, 이러한 공기는 디퓨져(74)에 안내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터가 베어링을 방열시킬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이다.
본 실시예의 브래킷(8)은 베어링 서포터를 둘러싸는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81)를 포함할 수 있고, 브래킷 통공(88)은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81)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디퓨져(74)에는 디퓨져(74)와 임펠러 커버(13) 사이와 브래킷 통공(88)을 연통시키는 디퓨저 통공(78)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브래킷 통공(88)은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81)에 반경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디퓨저 통공(78)은 디퓨저(74) 특히 디퓨저 바디(75)에 반경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브래킷 통공(88)과 디퓨저 통공(78)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본 발명 제1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베어링 서포터(9)로 유입된 공기가 본 발명 제1실시예와 같이, 다수의 기공(H)을 통과하면서 베어링(5)과 베어링 서포터(9)와 브래킷(8) 각각의 열을 흡열할 수 있고, 이러한 공기는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81)에 형성된 브래킷 통공(88)과 디퓨저(74)에 형성된 디퓨저 통공(78)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디퓨저(74)와 임펠러 커버(13) 사이의 틈(S2)으로 유동될 수 있다.
디퓨저(74)와 임펠러 커버(13) 사이의 틈(S2)으로 유동된 공기는 임펠러(71)에서 유동된 공기와 혼합된 후, 디퓨져(74)에 안내될 수 있다.
도 7은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모터가 베어링을 방열시킬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이다.
본 실시예의 브래킷(8)은 본 발명 제1실시예와 같이, 베어링 서포터(9)를 둘러싸는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81)와;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81)에 형성되어 베어링(5)의 내륜(51)과 외륜(52) 사이를 덮는 커버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브래킷(8)은 커버부(82)에 본 발명 제1실시예와 같이, 베어링 서포터의 적어도 일부를 마주보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브래킷 통공(87)이 형성될 수 있고,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81)에 본 발명 제2실시예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제2 브래킷 통공(88)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디퓨져(74)에는 본 발명 제2실시예와 같이, 디퓨져(74)와 임펠러 커버(13)의 사이와 제2 브래킷 통공(88)을 연통시키는 디퓨져 통공(78)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브래킷 통공(87)과 제2브래킷 통공(88)은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제1 브래킷 통공(87)은 커버부(82)에 회전축(3)과 나란한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제2브래킷 통공(88)은 베어링 하우징 서포터(81)에 디퓨저(74)의 반경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제2브래킷 통공(88)은 베어링 하우징 서포터(81)에 회전축(3)과 직교한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베어링 방열유로(S6)와, 제1브래킷 통공(87)과, 제1틈(S7) 및 제2틈(S8)을 포함하는 제1방열유로와, 베어링 방열유로(S6)와, 제2브래킷 통공(88)과, 디퓨저 통공(78)을 포함하는 제2방열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방열유로와 제2방열유로는 베어링 방열유로(S6)에서 서로 분리될 수 있고, 모터(M) 내부의 공기는 베어링 방열유로(S6)를 보다 신뢰성 높게 통과할 수 있으며, 베어링(5)의 방열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8은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모터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9는8의 B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모터가 제2베어링을 방열시킬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 도이다.
본 실시예의 모터 하우징(13)에는 회전축(3) 보다 큰 중공부(15)가 형성될 수 있고, 회전축(3)에는 중공부(15)의 내경(D7) 보다 외경(D6)이 작은 제2베어링(6')이 장착되며, 중공부(15)의 내면과 제2베어링(6')의 외면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는 제2베어링 방열유로(S9)가 형성될 수 있고, 제2베어링 방열유로(S9)에는 다수의 기공(H)이 형성된 제2베어링 서포터(9')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제2베어링(6')과 제2베어링 서포터(9')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본 발명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베어링 서포터(9')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베어링 서포터(9)와 그 설치 위치만 상이하고, 그 상세 구조 및 기능이 본 발명 일실시예의 베어링 서포터(9)와 동일할 수 있으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베어링 서포터(9)와 제2베어링 서포터(9')를 모두 포함할 수 있고, 베어링 서포터(9)와 제2베어링 서포터(9')는 서로 상이한 위치에서 베어링(5)와 제2베어링(6') 각각의 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다. 베어링 서포터(9)에 의한 베어링(5)의 위치 정렬은 본 발명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제2 오링(64)은 회전축(3)에 장착된 이너 링(65)과, 제2베어링(6')의 외륜(64)과 이격되는 아우터 링(66)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오링(64)는 제2베어링 서포터(9')의 내부에 위치되게 회전축(3)에 장착될 수 있다.
제2오링(64)의 외둘레와 제2베어링 서포터(9')의 사이에는 틈(G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오링(64)은 제2베어링 서포터(9')의 내둘레면과 접촉되지 않고, 제2베어링 서포터(9')와 제2오링(64)의 마모는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틈(G2)는 스테이터(2)와 로터(4) 사이의 틈(S5)를 통과한 공기가 제2베어링 서포터(9')에 형성된 다수의 기공(H)으로 유입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제2베어링(6')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심축(B2)이 중공부(15)의 중심축(H2)과 일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베어링 서포터(9')의 일부를 가압할 수 있고, 이때, 제2베어링 서포터(9')는 제2베어링(6')에 의해 눌린 부분이 압축된 상태에서 제2베어링(6')을 지지할 수 있다.
즉, 모터 하우징(14)과 브래킷(8)의 조립 공차에 의해 도 10에 도시된 중공부(15)의 중심축(H2)은 도 5에 도시된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81)의 중심축(H1)과 일치되지 않을 수 있고, 이 경우, 제2베어링(6')은 제2베어링 서포터(9')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축(3)과 함께 위치 정렬될 수 있고, 베어링(6)과 제2베어링(6')의 동심도는 일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베어링 서포터(9)와 제2베어링 서포터(9') 중 적어도 하나가 탄성 변형되어 베어링(5)과 제2베어링(6')의 동심도를 일치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모터 하우징(14)과 브래킷(8)의 조립 공차에 따라 베어링 서포터(9)와 제2베어링 서포터(9') 각각이 탄성 변형되면서 베어링(5)과 제2베어링(6')의 동심도를 일치시킬 수 있다.
즉, 베어링(5)이 베어링 서포터(9)에 의해 위치 정렬될 수 있고, 제2베어링(6')이 제2베어링 서포터(9')에 의해 위치 정렬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어링(5)과 제2베어링(6')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경우 보다 원활하게 동심도가 일치될 수 있다.
제2베어링 서포터(9')는 중공 원통 형상이고, 내면이 제2베어링(6')의 외면에 접촉되고, 외면이 중공부(15)의 내면에 접촉될 수 있다.
제2 베어링 서포터(9')는 로터(4)를 마주보는 단부(95)를 갖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모터 하우징(14)은 제2베어링 서포터(9')를 마주보는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공기배출공(17)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배출공(16)은 모터 하우징(14)의 바디부(16)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배출공(16)이 형성될 경우, 스테이터(2)와 로터(4) 사이의 틈(S5)를 통과한 공기는 보다 용이하게 제2베어링 방열유로(S9)로 유입될 수 있다.
스테이터(2)와 로터(4) 사이의 틈(S5)를 통과한 공기는 제2베어링 서포터(9')에 형성된 다수의 기공(H)을 통과하면서 제2베어링(6')와, 제2베어링 서포터(9') 및 모터 하우징(14) 각각을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모터 바디 3: 회전축
5: 베어링 8: 브래킷
9: 베어링 서포터 S6: 베어링 방열유로
87: 브래킷 통공 H: 다수의 기공

Claims (19)

  1. 모터 바디와;
    상기 모터 바디에 설치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 내부에 수용되고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의 외면과 브래킷의 내면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는 베어링 방열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 방열유로에는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베어링 서포터가 배치되며,
    상기 브래킷에는 상기 다수의 기공을 통과한 공기가 상기 브래킷 외부로 유출되는 브래킷 통공이 형성된 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서포터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와이어가 불규칙하게 뭉친 금속 와이어 메쉬를 포함하는 모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서포터는 중공 원통 형상이고, 내면이 상기 베어링의 외면에 접촉되고, 외면이 상기 브래킷의 내면에 접촉된 모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통공은 상기 다수의 기공 중 적어도 일부를 마주보게 형성된 모터.
  5. 모터 하우징과;
    회전축에 로터 및 베어링이 장착된 회전축 어셈블리와;
    상기 모터 하우징에 상기 로터를 둘러싸게 설치된 스테이터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된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의 외둘레를 둘러싸며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임펠러 커버와,
    상기 임펠러 커버의 내부에 배치된 디퓨저와;
    상기 모터 하우징과 임펠러 커버와 디퓨져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된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의 외면과 브래킷의 내면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는 베어링 방열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 방열유로에는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베어링 서포터가 배치되며,
    상기 브래킷에는 상기 다수의 기공을 통과한 공기가 상기 브래킷 외부로 유출되는 브래킷 통공이 상기 다수의 기공 중 적어도 일부를 마주보게 형성된 모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서포터는 상기 로터를 마주보는 단부를 갖는 모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에는 공기를 상기 베어링 서포터와 로터의 사이로 안내하는 가이드베인이 형성된 모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상기 회전축에 고정된 내륜과;
    상기 내륜과 이격된 외륜과;
    상기 내륜과 외륜 사이에 배치된 구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베어링 서포터의 외둘레를 둘러싸는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와;
    상기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에 형성되어 상기 내륜과 외륜 사이를 덮고 상기 임펠러를 마주보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브래킷 통공은 상기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와 커버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모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통공은 상기 커버부 중 상기 베어링 서포터를 마주보는 영역에 적어도 하나 형성된 모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와 임펠러의 사이에는 상기 브래킷 통공을 통과한 공기가 통과하는 제1틈이 형성되고,
    상기 디퓨저와 임펠러의 사이에는 상기 제1틈을 통과한 공기가 상기 디퓨저와 임펠러 커버의 사이로 유출되는 제2틈이 형성된 모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통공은 상기 제1틈 및 베어링 서포터 각각을 마주보게 형성된 모터.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상기 회전축에 고정된 내륜과;
    상기 내륜과 이격된 외륜과;
    상기 내륜과 외륜 사이에 배치된 구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베어링 서포터를 둘러싸는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를 포함하며,
    상기 브래킷 통공은 상기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에 형성되고,
    상기 디퓨져에는 상기 디퓨져와 임펠러 커버 사이와 상기 브래킷 통공을 연통시키는 디퓨저 통공이 형성된 모터.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서포터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와이어가 불규칙하게 뭉친 금속 와이어 메쉬를 포함하는 모터.
  1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서포터는 중공 원통 형상이고, 내면이 상기 베어링의 외면에 접촉되고, 외면이 상기 브래킷의 내면에 접촉된 모터.
  15.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상기 회전축에 고정된 내륜과;
    상기 내륜과 이격된 외륜과;
    상기 내륜과 외륜 사이에 배치된 구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베어링 서포터를 둘러싸는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륜의 외경은 상기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의 내경 보다 작고,
    상기 베어링 방열유로는 상기 외륜의 외둘레면과 상기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의 내둘레면 사이에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모터.
  1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하우징에는 상기 회전축 보다 큰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중공부의 내경 보다 외경이 작은 제2베어링이 장착되며,
    상기 중공부의 내면과 제2베어링의 외면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는 모터 제2베어링 방열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2베어링 방열유로에는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제2베어링 서포터가 배치된 모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하우징은 상기 제2베어링 서포터를 마주보는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공기배출공이 형성된 모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베어링 서포터는 상기 로터를 마주보는 단부를 갖는 모터.
  19. 모터 하우징과;
    회전축에 로터 및 베어링이 장착된 회전축 어셈블리와;
    상기 모터 하우징에 상기 로터를 둘러싸게 설치된 스테이터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된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의 외둘레를 둘러싸며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임펠러 커버와,
    상기 임펠러 커버의 내부에 배치된 디퓨저와;
    상기 임펠러 커버와 모터 하우징과 디퓨져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과 베어링 사이에 배치되고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베어링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은
    상기 회전축에 고정된 내륜과;
    상기 내륜과 이격된 외륜과;
    상기 내륜과 외륜 사이에 배치된 구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베어링 서포터를 둘러싸는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와;
    상기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에 형성되어 상기 내륜과 외륜 사이를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베어링 서포터의 적어도 일부를 마주보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브래킷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 서포터 하우징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브래킷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디퓨져에는 상기 디퓨져와 임펠러 커버의 사이와 상기 제2 브래킷 통공을 연통시키는 디퓨져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브래킷 통공과 제2브래킷 통공은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개방된 모터.
KR1020160116746A 2016-09-09 2016-09-09 모터 Active KR101852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746A KR101852835B1 (ko) 2016-09-09 2016-09-09 모터
EP17190140.8A EP3293862B1 (en) 2016-09-09 2017-09-08 Motor
US15/698,925 US10916990B2 (en) 2016-09-09 2017-09-08 Motor with bracket
EP17190144.0A EP3293865B1 (en) 2016-09-09 2017-09-08 Motor
EP17190141.6A EP3293863B1 (en) 2016-09-09 2017-09-08 Motor
EP17190142.4A EP3293864B1 (en) 2016-09-09 2017-09-08 Rolling bearing and moto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746A KR101852835B1 (ko) 2016-09-09 2016-09-09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841A KR20180028841A (ko) 2018-03-19
KR101852835B1 true KR101852835B1 (ko) 2018-04-27

Family

ID=61560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746A Active KR101852835B1 (ko) 2016-09-09 2016-09-09 모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916990B2 (ko)
KR (1) KR1018528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247B1 (ko) * 2017-01-16 2018-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팬 모터
EP3376043B1 (en) * 2017-03-16 2020-12-09 LG Electronics Inc. Motor fan
DE102018115161A1 (de) * 2018-06-25 2020-01-02 Ebm-Papst St. Georgen Gmbh & Co. Kg Elektromotor
KR102171452B1 (ko) * 2019-06-21 2020-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CN111245159A (zh) * 2019-10-31 2020-06-05 徐州恒永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车电机端盖结构
US12119733B2 (en) * 2020-01-10 2024-10-15 Jword (Foshan) Science And Technology Co., Ltd. Motor and split fan
KR102623355B1 (ko) * 2021-02-18 2024-01-11 주식회사 로텍 베어링 냉각구조를 구비한 모터
TWI785818B (zh) * 2021-09-28 2022-12-01 東元電機股份有限公司 具有散熱支架之軸向馬達
KR102716127B1 (ko) * 2022-09-15 2024-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팬 모터
KR102691048B1 (ko) * 2022-10-05 2024-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팬 모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08715A1 (en) 2006-05-11 2009-04-30 Helmut Sopp Device for cooling an electrical machine and electrical machine having such a cooling device
KR101412591B1 (ko) 2012-06-29 2014-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기 및 이를 구비한 전기차량
JP2014220998A (ja) 2013-05-03 2014-11-20 ダイソン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圧縮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4458A (en) * 1983-11-09 1985-04-30 Lord Corporation Spring-like material formed of compressed metallic wire
JPH06311690A (ja) 1993-04-19 1994-11-04 Toyo Electric Mfg Co Ltd 回転電機のハウジング冷却装置
GB0328384D0 (en) * 2003-12-06 2004-01-14 Johnson Electric Sa Blower motor
DE102005010459A1 (de) * 2005-03-08 2006-09-14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Elektromotor
US7610671B2 (en) * 2005-10-31 2009-11-03 A.O. Smith Corporation Method for assembling an electric motor using a slip fit tolerance ring
KR101287468B1 (ko) 2006-08-25 2013-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DE102014200743A1 (de) 2014-01-16 2015-07-16 Bosch Mahle Turbo Systems Gmbh & Co. Kg Abgasturbolader
EP2899414A1 (de) * 2014-01-23 2015-07-29 Siemens Aktiengesellschaft Gedämpfte Lagerung einer Rotorwelle
KR102135647B1 (ko) 2015-02-10 2020-07-2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용 공기 블로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08715A1 (en) 2006-05-11 2009-04-30 Helmut Sopp Device for cooling an electrical machine and electrical machine having such a cooling device
KR101412591B1 (ko) 2012-06-29 2014-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기 및 이를 구비한 전기차량
JP2014220998A (ja) 2013-05-03 2014-11-20 ダイソン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16990B2 (en) 2021-02-09
KR20180028841A (ko) 2018-03-19
US20180076682A1 (en) 2018-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2835B1 (ko) 모터
AU2021201908B2 (en) Fan motor
KR101852114B1 (ko) 모터
KR101852111B1 (ko) 모터
US10415590B2 (en) Electric coolant pump
KR101896173B1 (ko) 팬 모터
US11549513B2 (en) Compressor
US9450474B2 (en) Active cooling of a motor
KR101873117B1 (ko) 모터
TW201906283A (zh) 電機裝置
KR20210142444A (ko) 팬모터
KR101915846B1 (ko) 구름 베어링 및 그를 갖는 모터
US7582997B2 (en) Arrangement for conveying fluids
US11525450B2 (en) Fan motor
KR101869159B1 (ko) 모터
EP3293862A1 (en) Motor
KR101922772B1 (ko) 모터
KR20210143548A (ko) 로터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팬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8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4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4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