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720B1 - Underwater ultrasonic remote buoy - Google Patents
Underwater ultrasonic remote buo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52720B1 KR101852720B1 KR1020170062598A KR20170062598A KR101852720B1 KR 101852720 B1 KR101852720 B1 KR 101852720B1 KR 1020170062598 A KR1020170062598 A KR 1020170062598A KR 20170062598 A KR20170062598 A KR 20170062598A KR 101852720 B1 KR101852720 B1 KR 1018527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ltrasonic
- buoyant body
- unit
- locking
- buo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2604 ultrason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092 metal group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B63B45/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devices being acoust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16—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for action on ropes or cab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04—Illuminating
- B63B2201/08—Electric ligh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18—Sonar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1—Constru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르면, 부표로 인한 해상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원격 조정에 의해 수면에 부력체가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해상에서의 정해진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수중에 위치하는 어망 등의 회수를 용이하도록 하며, 원격 조정에 의한 동작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초음파가 측방향으로 송수신되도록 함으로써, 선박이 어망 등과 같은 수중의 물체에 도달하기 전에 미리 초음파를 송신하여 어망 위치의 확인 및 부력체의 부상을 가능하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ea accident caused by a buoy, and to allow the buoyant body to be exposed to the water surface by remote control so th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sea can be easily grasp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operation by remote control and allow the ultrasonic waves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in the lateral direction so that the ultrasonic waves are transmitted in advance before the ship reaches the underwater object such as a fishing net, It is possible to injure the sieve.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중 초음파 원격 부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중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해상의 선박이나 이의 프로펠러 등과의 간섭이나 충돌을 방지함으로써, 부표로 인한 해상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원격 조정에 의해 수면에 부력체가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해상에서의 정해진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수중에 위치하는 어망 등의 회수를 용이하도록 하는 수중 초음파 원격 부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water ultrasonic remote buo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nderwater ultrasonic remote buoy capable of preventing a sea accident caused by a buoy by preventing interference or collision with a marine vessel or its propell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water ultrasonic remote buoy capable of easily grasping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sea by allowing the buoyant body to be exposed to the water surface and facilitating the recovery of a fishing net or the like located in the water.
일반적으로, 부표는 부이 또는 부구(浮具)라고도 하며, 어망이나 닻 등과 같이 수중의 물체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되는데, 이에 한하지 않고, 선박의 안전한 항해를 돕기 위하여 항로를 지시하거나, 암초나 침몰선 등 항해상 위험물의 존재를 경고하기 위해서도 설치되며, 해저와는 앵커와 체인 등으로 연결되어 떠내려가지 않도록 설치된다. In general, a buoy is also referred to as a buoy or buoy, and is used to indicate the position of an object in the water, such as a fishing net or anch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also installed to warn the existence of dangerous vessels such as shipwrecks, and is connected to the sea floor by anchors and chains so as not to float.
종래의 부표와 관련된 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795144호의 "공기주입형 어구용 부표"가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그물이나 각종 어구들을 해수 중에 소정 깊이로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공기 주입형 어구용 부표에 있어서, 어구용 부표가 플라스틱과 고무의 혼합재질로 제공되되, 혼합재질의 인장강도가 450 kg/㎠ 이상이고, 굴곡강도가 500 kg/㎠ 이상 유지되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혼합재질의 부표가 제공되어, 사용하지 않을 때는 공기를 빼고 접어서 보관하고 사용 시에는 공기량을 조절, 주입함으로 부력을 조절하여 어구나 그물망의 높, 낮이를 조절하도록 제공된다. As a technique related to conventional buoys, Korean Patent No. 10-0795144 entitled " Air Injection Type Buoy for Buoys "has been proposed. This is an air-borne buoy used for installing a net or various fishes at a predetermined depth in seawater In buoys, a buoy of mixed material satisfying the condition that the buoy for fishing is provided as a mixture of plastic and rubber, and the tensile strength of the mixed material is more than 450 kg / ㎠ and the bending strength is maintained more than 500 kg / ㎠ It is provided to regulate the height of the fish net or the daytime by controlling the buoyancy by adjusting the amount of air when it is not in use, folding the air out, storing it and using it.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수면에 부유하게 됨으로써, 선박 등에 충돌하거나, 프로펠러에 감기게 되어 해상 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such conventional techniques have been problematic in that they float on the water surface, thereby causing a collision with a vessel or the like, causing a marine accident.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다른 종래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556506호의 "어망 도난 방지 및 회수를 위한 잠수식 위치 표시용 부구"가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수중 바닥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어망과, 상기 어망에 고정된 로프의 일단이 부구와 연결, 고정되되, 상기 로프의 길이는 상기 부구가 수면 위로 상승할 수 있는 길이이며, 대기 중에 권취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로프를 권취하여 형성된 권취부와, 상기 로프의 권취 상태를 유지시키는 분리수단과, 작업선으로부터 송출되는 초음파 신호의 수신 시 상기 분리수단에 전류를 흘려주어 상기 분리수단을 파단시켜 부구를 부상시키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되되, 상기 분리수단은 로프를 상기 권취부에 묶는 결속선과 음극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결속선과 음극판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 전기 분해에 의하여 상기 결속선이 부식되어 파단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1556506 entitled " Port for submersible position indication for fishing theft prevention and recovery "has been proposed as another prior art, A rope fixed to the fishing net is connected and fixed at one end of the rope so that the length of the rope can rise above the surface of the rope so that the rope is wound up in the atmosphere A separating means for retaining the wound state of the rope; and a controller for causing a current to flow to the separating means when the ultrasonic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ork line is supplied to break the separating means to float the separating means, Is composed of a binding wir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which bind the rope to the winding section, and when a current flows in the binding wir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Whereby the binding wire is corroded and broken.
또 다른 종래 기술로서, 한국공개번호 제10-2001-0006029호의 "잠수가능하고 회수가능한 부표"가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해제가능한 유지 장치로서, 부재를 해제가능하게 유지하도록 형성된 조(jaw)를 적어도 두 개 가진 본체; 그리고 상기 본체에 형성된 밀봉 시일에 의해 상기 부재와 분리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본체내에 형성되는 변위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변위 수단은 상기 조중 적어도 하나의 조를 이동시켜 상기 부재를 해제하거나 유지시키도록 작동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는 최소한 상기 밀봉 시일의 일부를 형성한다. As another conventional technique,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1-0006029 discloses a "submersible and recoverable buoy ", which is a releasable retaining device, having a jaw formed to releasably retain a member Body with two; And displacement means substantially separated from the member by a sealing seal formed in the body and formed in the body, the displacement means being operative to move at least one of the vessels to release or maintain the member Said at least one row forming at least a portion of said seal.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송신기가 하방을 향하고, 수신기가 상방을 향하여 설치됨으로써, 통신이 위에서 아래로 이루어짐으로써, 통신 매체의 송출 각도가 약 20도 내외로서, 수면에서 약 15m 아래에 있는 부표가 수신할 수 있는 반경이 좁아, 선박의 직하방에서 부표가 부상하게 됨으로써 선박과 부표의 충돌을 야기하는 위험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in such conventional techniques, the transmitter is oriented downward and the receiver is installed upward, so that communication is carried out from top to bottom, so that a buoy having a transmission angle of about 20 degrees and a distance of about 15 meters below the water surface is received It has a problem in that it causes a risk of collision between the ship and the buoy due to the rise of the buoy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hip.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중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부표가 해상의 선박 등에 충돌하거나, 부표의 줄이 선박의 프로펠러 등에 감기게 됨으로써 유발되는 해상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원격 조정에 의해 수면에 부력체가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해상에서의 정해진 위치 파악을 용이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어망 등의 회수 등을 용이하도록 하며, 초음파가 측방향으로 송수신되도록 함으로써, 선박이 어망 등과 같은 수중의 물체에 도달하기 전에 미리 초음파를 송신하여 어망 위치의 확인 및 부력체의 부상을 가능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선박과 부력체의 충돌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occurrence of a marine accident caused by a collision of a buoy with a marine vessel or the like, , The buoyant body is exposed to the water surface by remote control, thereby making it easy to grasp the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sea, facilitating the recovery of the fishing net and the like and allowing the ultrasonic wave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ultrasonic waves are transmitted in advance before reaching the object of the fishing boat to confirm the position of the fishing net and to enable the floatation of the buoyant body, thereby preventing the accident caused by the collision between the vessel and the buoyant body.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readily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수중의 물체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가 마련되는 고정체; 상기 고정체에 설치되는 릴부; 상기 릴부에 외측으로 풀림이 가능하도록 감겨지는 연결줄; 상기 연결줄에 연결되고, 수면에 부유하기 위한 부력을 가지도록 공기챔버가 마련되며, 상기 고정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력체; 상기 부력체가 상기 고정체에 고정 및 분리되도록 하는 록킹부; 상기 부력체에 측방향으로 전송된 초음파를 수신하도록 설치되는 초음파모듈; 상기 초음파모듈에 정해진 초음파 수신시, 상기 부력체가 상기 고정체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연결줄에 의해 상기 고정체에 연결된 상태로 수면에 부유하도록 상기 록킹부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부력체에 마련되는 제어부; 및 상기 록킹부, 상기 초음파모듈 및 상기 제어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부력체에 마련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수중 초음파 원격 부표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aterproofing structure, comprising: a fixing body having a connection portion to be connected to an object in water; A reel unit installed in the fixture; A connecting line wound around the reel unit to be pulled out to the outside; A buoyant bod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ine and provided with an air chamber for buoyancy to float on the water surface and detachably installed on the fixed body; A locking part for fixing and separating the buoyant body to and from the fixed body; An ultrasonic module installed to receive ultrasonic waves transmitted laterally to the buoyant body; A control unit provided on the buoyant body for controlling the locking unit to float on the water surface while the buoyant body is detached from the fixed body and connected to the fixed body by the connecting rod upon reception of the ultrasonic wave determined by the ultrasonic module; And a battery provided on the buoyancy body to supply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locking unit, the ultrasonic module, and the control unit.
상기 부력체는, 하부몸체와 상부몸체 사이의 둘레에 내측과 연결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를 통해 조사되는 초음파를 하방으로 반사시키도록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콘미러가 마련되며, 상기 콘미러에 의해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도록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상기 초음파모듈이 설치되고, 상단에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발광부가 마련될 수 있다. Wherein the buoyant body is provided with an opening to b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periphery between the lower body and the upper body and a cone mirror is provided below the upper body to reflect the ultrasonic waves irradiated through the opening downward, The ultrasound module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to receive ultrasonic waves reflected by the cone mirror and a light emitting unit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upper body to receive power from the battery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상기 록킹부는, 상기 부력체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상기 부력체의 저면에 형성되는 홈부와 상기 홈부에 끼워지는 상기 릴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연결홀을 통시에 관통함으로써 상기 부력체가 상기 릴부에 결합되도록 매개하고, 상기 솔레노이드의 동작에 의해 상기 연결홀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상기 부력체가 상기 릴부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록킹레버; 및 상기 솔레노이드의 동작이 멈추면, 상기 록킹레버가 상기 홈부와 상기 연결홀에 동시에 관통하도록 상기 록킹레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locking portion includes: a solenoid mounted on the buoyant body; And a coupling hole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reel portion fitted in the groove portion to penetrate through the passage to mediate the buoyancy member to be coupled to the reel portion, A locking lever for releasing the buoyant body from the reel when it is released; And an elastic member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locking lever such that the locking lever simultaneously passes through the groove and the connection hole when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is stopped.
상기 부력체는, 상기 릴부의 상부에 수직되도록 마련되는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수류에 의해 상기 고정체로부터 회전하도록 외주면에 날개가 다수로 마련되며, 상기 릴부에 설치되는 영구자석인 스테이터에 대향하도록 상기 회전축의 주위에 로터가 설치됨으로써 유도기전력의 발생으로 상기 배터리에 충전용 전원을 제공하는 발전부가 마련되고, 상단에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발광부가 마련될 수 있다.The buoyant body is rotatably coupled to a rotating shaft provid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eel unit. The buoyant body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ing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rotate from the stationary body by the water stream. A power generating unit for providing a charging power source to the battery by generating an induced electromotive force by providing a rotor around the rotating shaft so as to be opposed to the power generating unit and a light emitting unit op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battery under control of the control unit, .
상기 부력체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속도를 측정하도록 회전속도감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과 상기 로터와의 사이에 상기 회전축에 마찰력을 제공함으로써 회전속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전자브레이크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속도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회전속도가 정해진 범위에 해당하도록 상기 전자브레이크를 제어할 수 있다. The buoyant body is provided with a rotation speed sensing unit for measuring a rotation speed around the rotation axis, and an electronic brake is provided between the rotation shaft and the rotor to adjust the rotation speed by providing frictional force to the rotation shaft ,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electromagnetic brake such that the rotational speed sensed by the rotational speed sensing unit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range.
상기 록킹부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서 서로 힌지 결합되는 힌지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상기 부력체 내에 고정됨으로써 각각의 일단이 상기 회전축의 상단에 형성되는 걸림부 아래를 물도록 클램핑하는 클램프; 상기 클램프 중 어느 하나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타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록킹축; 상기 록킹축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클램프 각각의 일단이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방으로 분리되도록 상기 부력체 내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및 상기 솔레노이드의 동작이 멈추면, 상기 클램프 각각의 일단이 상기 회전축에서 상기 걸림부의 아래를 물도록 클램핑함으로써 상기 클램프가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방으로 이탈이 억제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locking portion is a pair of clamps fixed to the buoyant body so as to be rotatable by a pair of hinge shafts hinged to each other so that each end of the clamping portion engages under the engaging portion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rotary shaft; A locking shaft rotatably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clamp and slid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A solenoid installed in the buoyant body such that one end of each of the clamps is separated upward from the rotation axis by moving the locking axis; And an elastic member which, when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is stopped, clamps the one end of each of the clamps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clamp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rotation axis, thereby restraining the clamp from separating upward from the rotation axis.
상기 초음파모듈은, 초음파 수신기 뿐만 아니라, 초음파 송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모듈에 정해진 초음파가 수신시, 미리 설정된 자기 위치 신호를 초음파로서 상기 초음파모듈를 통해서 송신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부력체가 정해진 제어에 의하지 않고서 수면으로 부상한 경우, 무선통신부를 통한 무선통신에 의해 미리 정해진 단말기에 알람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rein the ultrasonic module includes an ultrasonic receiver as well as an ultrasonic transmitter,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ultrasonic module to transmit a preset magnetic position signal as an ultrasonic wave through the ultrasonic module when the ultrasonic wave is received by the ultrasonic module, The controller can control to provide an alarm to a predetermined terminal by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en it floats on the water surface without depending on a predetermined control.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초음파 원격 부표에 의하면, 수중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해상의 선박이나 이의 프로펠러 등과의 간섭이나 충돌을 방지함으로써, 부표로 인한 해상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원격 조정에 의해 수면에 부력체가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해상에서의 정해진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수중에 위치하는 어망 등의 회수를 용이하도록 하며, 원격 조정에 의한 동작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초음파가 측방향으로 송수신되도록 함으로써, 선박이 어망 등과 같은 수중의 물체에 도달하기 전에 미리 초음파를 송신하여 어망 위치의 확인 및 부력체의 부상을 가능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선박과 부력체의 충돌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ubmerged ultrasonic remote bu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ea accident caused by a buoy by preventing interference or collision with an offshore vessel or its propeller by making it located in water, The buoyant body is expos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sea, to facilitate the recovery of the fishing net located in the water,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operation by the remote control, ,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position of the fishing nets and to float the buoyant body by transmitting ultrasonic waves in advance before the ship reaches the underwater object such as the fishing net and thereby prevent the accident caused by the collision between the vessel and the buoyant body .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수중 초음파 원격 부표의 사용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수중 초음파 원격 부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수중 초음파 원격 부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수중 초음파 원격 부표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수중 초음파 원격 부표의 초음파 송신 처리를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수중 초음파 원격 부표의 초음파 수신 처리를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수중 초음파 원격 부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수중 초음파 원격 부표의 요부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use of an underwater ultrasonic remote buo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nderwater ultrasonic remote buo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n underwater ultrasonic remote buo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an underwater ultrasonic remote buo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for an ultrasonic transmission process of an underwater ultrasonic remote buo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block diagram for an ultrasonic receiving process of an underwater ultrasonic remote buo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underwater ultrasonic remote buo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the essential part of an underwater ultrasonic remote buo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s to be understoo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수중 초음파 원격 부표의 사용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수중 초음파 원격 부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수중 초음파 원격 부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nderwater ultrasonic remote buo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ltrasonic remote buo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Sectional side view showing an underwater ultrasonic remote buo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수중 초음파 원격 부표(100)는 고정체(110), 릴부(120), 연결줄(130), 부력체(140), 록킹부(150), 초음파모듈(160), 제어부(170) 및 배터리(18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3, an underwater ultrasonic
고정체(110)는 수중의 물체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111)가 마련된다. 여기서 수중의 물체는 본 실시례에서처럼 어망(500)일 수 있으며, 이에 반드시 한하는 것은 아니며, 어망(500) 외에도 수중에서 사용되는 어구, 닻, 수중 구조물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수중 사용 물체일 수 있다. 어망(500)은 일례로 연결된 줄(510)을 통해서 앵커(520)에 의해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연결부(111)는 일례로 어망(500)에 연결되는 줄(510)이 묶이기 위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하지 않고 수중의 물체와의 연결을 위해 다양한 연결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고정체(110)는 본 실시례에서처럼 일례로 상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용기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릴부(120)는 고정체(110)에 설치되는데, 일례로 고정체(110)의 내측에 수직되게 설치되도록 하단이 고정체(110)의 내측 바닥에 고정되고, 외주면에 연결줄(130)이 감겨지기 위한 영역을 제공하며, 상단이 고정체(110)의 상단 개방측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연결줄(130)은 릴부(120)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풀림이 가능하도록 감겨지는데, 나이론 재질의 로프는 물론, 철 등의 금속이나 금속합금 등의 와이어를 비롯하여 다양한 재질 및 구조의 줄이 사용될 수 있다. The connecting
부력체(140)는 고정체(110)로부터 상방으로 인출되는 연결줄(130)의 끝단에 연결되고, 수면에 부유하기 위한 부력을 가지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챔버(146,147)가 마련되며, 고정체(11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부력체(140)는 하부몸체(141)와 상부몸체(142) 사이의 둘레에 내측과 연결되기 위한 개구(144)가 형성될 수 있고, 개구(144)를 통해 조사되는 초음파를 하방으로 반사시키도록 상부몸체(142)의 하부에 콘미러(145)가 마련될 수 있으며, 콘미러(145)에 의해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도록 하부몸체(141)의 상부에 초음파모듈(160)이 설치될 수 있고, 상단에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배터리(18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발광부(190)가 마련될 수 있다. The
상부몸체(142)에는 콘미러(145)에 대응하도록 콘을 이루는 공기챔버(146)가 형성되고, 하부몸체(141)에는 초음파모듈(160)의 둘레에 공기챔버(147)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몸체(141)와 상부몸체(142)는 개구(144)의 형성을 가능하도록 하면서 서로 결합되도록, 다수, 예컨대 3개 이상의 연결대(143)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하부몸체(141)의 저면에는 연결줄(130)의 끝단이 묶여서 고정되도록 연결부(148)가 마련될 수 있다. An
록킹부(150)는 부력체(140)가 고정체(110)에 고정 및 분리되도록 한다. 록킹부(150)는 본 실시례에서처럼 부력체(140)에 설치될 수 있는 솔레노이드(151)와, 부력체(140)의 저면에 형성되는 홈부(149)와 홈부(149)에 끼워지는 릴부(120)의 상단에 형성되는 연결홀(121)을 동시에 관통함으로써 부력체(140)가 릴부(120)에 결합되도록 매개할 수 있고, 솔레노이드(151)의 동작에 의해 연결홀(121)로부터 이탈됨으로써 부력체(140)가 릴부(120)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록킹레버(152)와, 솔레노이드(151)의 동작이 멈추면, 록킹레버(152)가 홈부(149)와 연결홀(121)에 동시에 관통하도록 록킹레버(15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5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솔레노이드(151)는 해수에 의한 오동작이나 손상을 방지하도록 부력체(140)의 하부몸체(141) 내측에 수평되게 설치되되, 실링부재나 커버 등에 의해 방수 처리될 수 있다. 록킹레버(152)는 홈부(149)의 일측에 형성되는 홀, 연결홀(121), 홈부(149)의 타측에 형성되는 홀을 각각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솔레노이드(151)에 수평되게 결합될 수 있다. 탄성부재(153)는 일례로 록킹레버(152)의 외측에 끼워져서 록킹레버(152)에 일체로 마련되는 지지부(152a)와 솔레노이드(151) 사이에 인장력을 발생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록킹레버(152)가 솔레노이드(151)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홈부(149)와 연결홀(121)에 동시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부력체(140)가 공기챔버(146,147)에 의한 부력을 가지더라도 릴부(120) 및 고정체(110)로부터 특히 상방으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한다. The
초음파모듈(160)은 부력체(140)에 측방향으로 전송된 초음파를 수신하도록 설치되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개구(144)를 통해 측방향으로 조사되어 콘미러(145)에 의해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도록 하부몸체(141) 상부의 중심부에 콘미러(145)의 꼭지점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측방향에서 다양한 각도로 진입하는 초음파의 수신을 가능하도록 한다. 이처럼 초음파가 측방향으로 송수신되도록 함으로써, 선박이 어망 등과 같은 수중의 물체에 도달하기 전에 미리 초음파를 송신하여 어망 위치의 확인 및 부력체(140)의 부상을 가능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선박과 부력체(140)의 충돌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The
초음파는 선박 등에 마련되는 초음파송신부(400)로부터 송신될 수 있는데, 예컨대 초음파 송신의 제어를 수행하는 송신단말기(410)와, 송신단말기(410)의 제어에 의해 초음파를 송신하도록 하는 초음파송신기(420)와, 송신단말기(410)와 초음파송신기(420)를 전기적 내지 신호적으로 연결시키는 케이블(430)을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의 송신은 도 5에서와 같이, 송신단말기(410)에 마련된 마이컴(411)의 코드 생성을 통해서 변조기(412)의 변조, 증폭기(413)의 증폭을 거쳐서 초음파송신기(420)로부터 초음파가 송신되도록 한다.The ultrasonic wave may be transmitted from an ultrasonic
제어부(170)는 초음파모듈(160)에 정해진 초음파가 수신시, 부력체(140)가 고정체(110)로부터 분리되어 연결줄(130)에 의해 고정체(110)에 연결된 상태로 수면에 부유하도록 록킹부(150)의 솔레노이드(151)를 제어하기 위해 부력체(140)에 마련된다. 초음파모듈(160)로부터 제어부(170)까지의 신호 처리는, 도 6에서와 같이, 초음파모듈(160)이 초음파를 수신받아 증폭기(171)에 의한 1차 증폭, 노이즈필터(172)에 의한 노이즈 제거, 증폭기(173)에 의한 2차 증폭, 주파수필터(174)에 의한 해당 주파수의 필터링, 증폭기(175)에 의한 3차 증폭, 복조기(176)에 의한 복조 등을 거쳐서 제어부(170)에 전달될 수 있다. When the ultrasonic wave is received by the
배터리(180)는 록킹부(150), 초음파모듈(160) 및 제어부(17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부력체(140)에 마련되는데, 해수로 인한 손상 및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자신은 물론, 전원 공급 라인을 비롯한 각종 신호 전송 라인이 방수 처리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80)는 충전지인 경우, 제어부(170)에 충전을 위한 회로가 마련될 수 있다.The
초음파모듈(160)은 초음파 수신기 뿐만 아니라, 초음파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초음파 수신 기능 뿐만 아니라, 부표에 대한 정보를 비롯하여 각종 정보를 초음파로서 송신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초음파모듈(160)에 정해진 초음파가 수신시, 미리 설정된 자기 위치 신호를 초음파로서 초음파모듈(160)을 통해서 송신되도록 제어하고, 부력체(140)가 정해진 제어에 의하지 않고서 수면으로 부상한 경우, 무선통신부(191)를 통한 무선통신에 의해 미리 정해진 휴대폰이나 PC나 태블릿 PC 등의 단말기(미도시)에 메시지 등의 알람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수중 초음파 원격 부표(100)는, 선박 등이 수중 초음파 원격 부표(100)의 설치 해역으로 이동한 후, 초음파송신기(420)로부터 정해진 초음파를 송신하면, 그 부근에서 초음파모듈(160)이 이를 수신받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초음파모듈(160)의 초음파 수신에 따라 록킹부(150)를 동작시킴으로써, 도 4에서와 같이, 부력체(140)가 릴부(120)와 고정체(110)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부력체(140)가 공기챔버(146,147)에 의한 부력에 의해 연결줄(130)로 고정체(1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수면으로 부상하게 된다. 이때 연결줄(130)은 고정체(110)의 상단 개방측을 통해서 릴부(120)로부터 자연스럽게 풀리도록 한다. 따라서, 부력체(140)의 회수에 의해 어망(500)의 회수를 용이하도록 한다. When the vessel or the like moves to the installation area of the underwater ultrasonic
또한, 처음에 어망(500)을 놓을 때, GPS 좌표를 송신단말기(410)에 입력한다. 이후 어망(500)을 걷을 때 GPS 좌표의 약 100M 전방에서 수중 초음파에 코드를 실어서 초음파송신기(420)를 통해서 초음파모듈(160)을 향해 송신한다. 이에 제어부(170)는 초음파모듈(160)을 통해 수신된 초음파 코드를 분석하고, 저장된 자신의 코드와 비교하여 동일함으로써 정해진 초음파라고 판단되면, 록킹부(150)의 솔레노이드(151)를 동작시켜서 부력체(140)가 고정체(110)로부터 분리되어 수면으로 부상하도록 한다.Also, when the
한편, 제어부(170)는 부력체(140)가 분리되어 수면에 부유시, 발광부(190)가 외부로 광을 조사하도록 함으로써, 식별력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또한, 송신단말기(410)에서 초음파송신기(420)를 통해서 초음파를 송신하면, 초음파모듈(160)이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자기 위치 신호를 송신하여, 송신 단말기(410)의 맵에 좌표를 표시해 주어서, 내 어망(500)과 남의 어망이 어느 지점에 어떻게 있는지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맵을 보고서 끌어올릴 부표를 결정하게 된다. 이때, 내 어망(500)과 남의 어망은 각자 구분 코드가 있으므로, 남의 어망을 끌어올리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만일, 남의 어망을 강제로 끌어올리게 되면, 제어부(170)는 록킹부(150) 등의 억지스러운 동작이나, 부력체(140)의 부상을 수위센서, 가속도센서, 위치센서, 조도센서, 수압센서 또는 수분센서 등과 같은 물체의 부상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통해서 확인하여, LTE나 ROLA 등의 무선통신부(191)에 의한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사용자의 정해진 단말기에 알람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transmitting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수중 초음파 원격 부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수중 초음파 원격 부표의 요부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FIG. 7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n underwater ultrasonic remote buo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n underwater ultrasonic remote buo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수중 초음파 원격 부표(200)는 제 1 실시례에 따른 수중 초음파 원격 부표(100)와 마찬가지로, 수중의 물체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211)가 마련되는 고정체(210)와, 고정체(210)에 설치되는 릴부(220)와, 릴부(220)에 외측으로 풀림이 가능하도록 감겨지는 연결줄(230)과, 연결줄(230)에 연결되고, 수면에 부유하기 위한 부력을 가지도록 공기챔버(241)가 마련되며, 고정체(21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력체(240)와, 부력체(240)가 고정체(210)에 고정 및 분리되도록 하는 록킹부(250)와, 부력체(240)에 초음파를 수신하도록 설치되는 초음파모듈(260)과, 초음파모듈(260)에 정해진 초음파가 수신시, 부력체(240)가 고정체(210)로부터 분리되어 연결줄(230)에 의해 고정체(210)에 연결된 상태로 수면에 부유하도록 록킹부(250)를 제어하기 위해 부력체(240)에 마련되는 제어부(270)와, 록킹부(250), 초음파모듈(260) 및 제어부(27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부력체(240)에 마련되는 배터리(28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 1 실시례에 따른 수중 초음파 원격 부표(100)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7 and 8, the submerged ultrasonic
부력체(240)는 릴부(220)의 상부에 수직되도록 마련되는 회전축(22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수류에 의해 고정체(210)로부터 회전하도록 외주면에 날개(242)가 다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릴부(220)에 설치되는 영구자석인 스테이터(321)에 대향하도록 회전축(221)의 주위에 로터(322)가 설치됨으로써 자기장 변화로 인해 도체에 유도기전력의 발생으로 배터리(280)에 충전용 전원을 제공하는 발전부(320)가 마련될 수 있고, 상단에 제어부(270)의 제어에 의해 배터리(28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발광부(290)가 마련될 수 있으며, 하측에 연결줄(230)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243)가 마련될 수 있다. 부력체(240)는 일례로 본 실시례에서처럼 측부에 초음파모듈(260)이 설치될 수 있는데, 수류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초음파모듈(260)이 초음파의 수신을 위한 방향에 일치하는 순간 초음파의 정확한 수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
부력체(240)는 회전축(221)을 중심으로 한 회전속도를 측정하도록 회전속도감지부(310)가 설치될 수 있고, 회전축(221)과 로터(322)와의 사이에 회전축(221)에 마찰력을 제공함으로써 회전속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전자브레이크(33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속도감지부(310)는 시간당 회전량을 감지하는데 필요한 엔코더를 비롯하여 다양한 기계식 또는 광학식 회전속도 감지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전자브레이크(330)는 일례로 전원의 공급에 의해 동작하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회전축(221) 둘레에 마련되는 마찰부재가 회전축(221)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마찰력에 의해 회전축(221)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다양한 방식의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270)는 회전속도감지부(310)에 의해 감지된 회전속도가 정해진 범위에 해당하도록 전자브레이크(330)를 제어함으로써, 부력체(240)의 과도한 회전으로 인한 손상이나 고정체(210)에 대한 나쁜 영향을 해소하도록 할 수 있다.The
록킹부(250)는 클램프(251), 록킹축(252), 솔레노이드(254) 및 탄성부재(25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클램프(251)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서 서로 힌지 결합되는 힌지축(251a)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부력체(240) 내에 고정됨으로써 각각의 일단이 회전축(221)의 상단에 형성되는 걸림부(222) 아래를 물도록 클램핑하며, 대략 가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힌지축(251a)은 예컨대 전자브레이크(330) 등에 마련됨으로써 클램프(251)를 정해진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록킹축(252)은 클램프(251) 중 어느 하나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타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솔레노이드(254)는 록킹축(252)을 이동시킴으로써, 클램프(251) 각각의 일단이 회전축(221)으로부터 상방으로 분리되도록 부력체(240) 내에 설치된다. 탄성부재(253)는 솔레노이드(254)의 동작이 멈추면, 클램프(251) 각각의 일단이 회전축(221)에서 걸림부(222)의 아래를 물도록 클램핑함으로써 클램프(251)가 회전축(221)으로부터 상방으로 이탈이 억제되도록 한다. 클램프(251)는 2개 중에서 하나만의 회동만으로도 걸림부(222)로부터 이탈 가능하도록 걸림부(222) 내지 클램프(251)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클램프(251)의 과도한 회동에 의한 동작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클램프(251)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정해진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스토퍼(251a) 등이 부력체(24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253)는 록킹축(252)의 외측에 삽입되어 클램프(251) 각각의 타단 사이에 인장력을 발생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locking
초음파모듈(260)은 이전의 실시례에서와 마찬가지로, 초음파 수신기 뿐만 아니라, 초음파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초음파 수신 기능 뿐만 아니라, 부표에 대한 정보를 비롯하여 각종 정보를 초음파로서 송신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어부(270)는 초음파모듈(260)에 정해진 초음파가 수신시, 미리 설정된 자기 위치 신호를 초음파로서 초음파모듈(260)을 통해서 송신되도록 제어하고, 부력체(240)가 정해진 제어에 의하지 않고서 수면으로 부상한 경우, 무선통신부(291)를 통한 무선통신에 의해 미리 정해진 휴대폰이나 PC나 태블릿 PC 등의 단말기(미도시)에 메시지 등의 알람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수중 초음파 원격 부표(200)는 선박 등이 수중 초음파 원격 부표(200)의 설치 해역으로 이동한 후, 초음파송신기(420; 도 1에 도시)로부터 정해진 초음파를 송신하면, 그 부근에서 초음파모듈(260)이 이를 수신받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270)는 초음파모듈(260)의 초음파 수신에 따라 록킹부(250)를 동작시킴으로써, 도 4에서와 같이, 부력체(240)가 릴부(220)와 고정체(210)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부력체(240)가 공기챔버(241)에 의한 부력에 의해 연결줄(230)로 고정체(2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수면으로 부상하게 된다. 이때 연결줄(230)은 고정체(210)의 상단 개방측을 통해서 릴부(220)로부터 자연스럽게 풀리도록 한다. The submergible ultrasonic
한편, 제어부(270)는 부력체(240)가 분리되어 수면에 부유시 발광부(290)가 외부로 광을 조사하도록 발광되도록 함으로써, 식별력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수중에서 부력체(240)는 날개(242)에 의해 수류로 인해 회전시 발전부(320)에 의해 배터리(280)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초음파모듈(260)의 자세 변경에 따른 초음파 수신율을 크게 개선시키게 되며, 제어부(270)에 의한 전자브레이크(330)의 제어에 의해 과도한 부력체(240) 회전을 회피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10 : 고정체 111 : 연결부
120 : 릴부 121 : 연결홀
130 : 연결줄 140 : 부력체
141 : 하부몸체 142 : 상부몸체
143 : 연결체 144 : 개구
145 : 콘미러 146,147 : 공기챔버
148 : 연결부 149 : 홈부
150 : 록킹부 151 : 솔레노이드
152 : 록킹레버 152a : 지지부
153 : 탄성부재 160 : 초음파모듈
170 : 제어부 171 : 증폭기
172 : 노이즈필터 173 : 증폭기
174 : 주파수필터 175 : 증폭기
176 : 복조기 180 : 배터리
190 : 발광부 210 : 고정본체
211 : 연결부 220 : 릴부
221 : 회전축 222 : 걸림부
230 : 연결줄 240 : 부력체
241 : 공기챔버 242 : 날개
243 : 연결부 250 : 록킹부
251 : 클램프 251a : 힌지축
251b : 스토퍼 252 : 록킹축
253 : 탄성부재 254 : 솔레노이드
260 : 초음파모듈 270 : 제어부
280 : 배터리 290 : 발광부
310 : 회전속도감지부 320 : 발전부
321 : 스테이터 322 : 로터
330 : 전자브레이크 400 : 초음파송신부
410 : 송신단말기 411 : 마이컴
412 : 변조기 413 : 증폭기
420 : 초음파송신기 430 : 케이블
500 : 어망 510 : 줄
520 : 앵커110: fixed body 111:
120: Reel 121: Connection hole
130: connecting line 140: buoyant body
141: lower body 142: upper body
143: connector 144: opening
145:
148: connecting portion 149:
150: Locking part 151: Solenoid
152:
153: elastic member 160: ultrasonic module
170: control unit 171: amplifier
172: Noise filter 173: Amplifier
174: Frequency filter 175: Amplifier
176: Demodulator 180: Battery
190: light emitting portion 210: fixed body
211: connection part 220:
221: rotation shaft 222:
230: connecting line 240: buoyant body
241: air chamber 242: wing
243: connection part 250:
251:
251b: Stopper 252: Locking shaft
253: elastic member 254: solenoid
260: ultrasound module 270:
280: Battery 290:
310: rotation speed sensing section 320:
321: stator 322: rotor
330: electromagnetic brake 400: ultrasonic transmitter
410: transmitting terminal 411:
412: Modulator 413: Amplifier
420: ultrasonic transmitter 430: cable
500: fishing net 510: line
520: Anchor
Claims (7)
상기 고정체에 설치되는 릴부;
상기 릴부에 외측으로 풀림이 가능하도록 감겨지는 연결줄;
상기 연결줄에 연결되고, 수면에 부유하기 위한 부력을 가지도록 공기챔버가 마련되며, 상기 고정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력체;
상기 부력체가 상기 고정체에 고정 및 분리되도록 하는 록킹부;
상기 부력체에 측방향으로 전송된 초음파를 수신하도록 설치되는 초음파모듈;
상기 초음파모듈에 정해진 초음파 수신시, 상기 부력체가 상기 고정체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연결줄에 의해 상기 고정체에 연결된 상태로 수면에 부유하도록 상기 록킹부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부력체에 마련되는 제어부; 및
상기 록킹부, 상기 초음파모듈 및 상기 제어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부력체에 마련되는 배터리;
를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모듈은,
초음파 수신기 뿐만 아니라, 초음파 송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모듈에 정해진 초음파가 수신시, 미리 설정된 자기 위치 신호를 초음파로서 상기 초음파모듈를 통해서 송신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부력체가 정해진 제어에 의하지 않고서 수면으로 부상한 경우, 무선통신부를 통한 무선통신에 의해 미리 정해진 단말기에 알람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수중 초음파 원격 부표.A fixture provided with a connection portion to be connected to an object in water;
A reel unit installed in the fixture;
A connecting line wound around the reel unit to be pulled out to the outside;
A buoyant bod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ine and provided with an air chamber for buoyancy to float on the water surface and detachably installed on the fixed body;
A locking part for fixing and separating the buoyant body to and from the fixed body;
An ultrasonic module installed to receive ultrasonic waves transmitted laterally to the buoyant body;
A control unit provided on the buoyant body for controlling the locking unit to float on the water surface while the buoyant body is detached from the fixed body and connected to the fixed body by the connecting rod upon reception of the ultrasonic wave determined by the ultrasonic module; And
A battery provided in the buoyant body to supply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locking unit, the ultrasonic module, and the controller;
Lt; / RTI >
The ultrasonic module includes:
Including an ultrasonic receiver, as well as an ultrasonic transmitter,
Wherein,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ultrasonic module to transmit a predetermined magnetic position signal as an ultrasonic wave through the ultrasonic module when the ultrasonic wave is received by the ultrasonic module and when the buoyant body floats on the water surface without being controlled, An underwater ultrasonic remote buoy that controls to provide an alarm to a given terminal.
상기 부력체는,
하부몸체와 상부몸체 사이의 둘레에 내측과 연결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를 통해 조사되는 초음파를 하방으로 반사시키도록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콘미러가 마련되며, 상기 콘미러에 의해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도록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상기 초음파모듈이 설치되고, 상단에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발광부가 마련되는, 수중 초음파 원격 부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uoyant body,
And a cone mirror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so as to reflect the ultrasonic waves irradiated through the opening downward, Wherein the ultrasonic module is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to receive ultrasonic waves to be received by the ultrasonic wave receiving portion, and a light emitting portion is provided on an upper end thereof by being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battery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상기 록킹부는,
상기 부력체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상기 부력체의 저면에 형성되는 홈부와 상기 홈부에 끼워지는 상기 릴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연결홀을 통시에 관통함으로써 상기 부력체가 상기 릴부에 결합되도록 매개하고, 상기 솔레노이드의 동작에 의해 상기 연결홀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상기 부력체가 상기 릴부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록킹레버; 및
상기 솔레노이드의 동작이 멈추면, 상기 록킹레버가 상기 홈부와 상기 연결홀에 동시에 관통하도록 상기 록킹레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수중 초음파 원격 부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solenoid mounted on the buoyant body;
And a coupling hole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reel portion fitted in the groove portion to penetrate through the passage to mediate the buoyancy member to be coupled to the reel portion, A locking lever for releasing the buoyant body from the reel when it is released; And
An elastic member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locking lever such that the locking lever simultaneously passes through the groove and the connection hole when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is stopped;
, An underwater ultrasonic remote buoy.
상기 부력체는,
상기 릴부의 상부에 수직되도록 마련되는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수류에 의해 상기 고정체로부터 회전하도록 외주면에 날개가 다수로 마련되며, 상기 릴부에 설치되는 영구자석인 스테이터에 대향하도록 상기 회전축의 주위에 로터가 설치됨으로써 유도기전력의 발생으로 상기 배터리에 충전용 전원을 제공하는 발전부가 마련되고, 상단에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발광부가 마련되는, 수중 초음파 원격 부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uoyant body,
A plurality of blades ar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rotate from the fixed body by a water stream, and a plurality of blades ar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or so as to face the stator, And a light emitting unit which is op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battery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for providing charging power to the battery due to the generation of an induced electromotive force, buoy.
상기 부력체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속도를 측정하도록 회전속도감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과 상기 로터와의 사이에 상기 회전축에 마찰력을 제공함으로써 회전속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전자브레이크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속도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회전속도가 정해진 범위에 해당하도록 상기 전자브레이크를 제어하는, 수중 초음파 원격 부표.The method of claim 4,
The buoyant body,
An electronic brake is provided between the rotating shaft and the rotor to adjust the rotating speed by providing a frictional force to the rotating shaft between the rotating shaft and the rotor,
Wherein,
And the electronic brake is controlled such that the rotational speed sensed by the rotational speed sensing unit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range.
상기 록킹부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서 서로 힌지 결합되는 힌지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상기 부력체 내에 고정됨으로써 각각의 일단이 상기 회전축의 상단에 형성되는 걸림부 아래를 물도록 클램핑하는 클램프;
상기 클램프 중 어느 하나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타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록킹축;
상기 록킹축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클램프 각각의 일단이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방으로 분리되도록 상기 부력체 내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및
상기 솔레노이드의 동작이 멈추면, 상기 클램프 각각의 일단이 상기 회전축에서 상기 걸림부의 아래를 물도록 클램핑함으로써 상기 클램프가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방으로 이탈이 억제되도록 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수중 초음파 원격 부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Wherein,
A clamp which is fixed in the buoyant body so as to be rotatable by a pair of hinge shafts hinged to each other so as to clamp under one end of each of the engaging portion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rotary shaft;
A locking shaft rotatably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clamp and slid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A solenoid installed in the buoyant body such that one end of each of the clamps is separated upward from the rotation axis by moving the locking axis; And
And an elastic member for restraining the clamp from separating upward from the rotation shaft by clamping one end of each of the clamps so that the one end of each of the clamps engages under the engagement portion on the rotation axis when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is stopped,
, An underwater ultrasonic remote buo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2598A KR101852720B1 (en) | 2017-05-19 | 2017-05-19 | Underwater ultrasonic remote buo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2598A KR101852720B1 (en) | 2017-05-19 | 2017-05-19 | Underwater ultrasonic remote buo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3473A KR20170063473A (en) | 2017-06-08 |
KR101852720B1 true KR101852720B1 (en) | 2018-04-27 |
Family
ID=59221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2598A Active KR101852720B1 (en) | 2017-05-19 | 2017-05-19 | Underwater ultrasonic remote buo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5272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4069B1 (en) * | 2017-10-31 | 2019-11-12 | 경원산업 주식회사 | Remote fishing gear monitoring system |
KR102212720B1 (en) * | 2018-11-12 | 2021-02-05 | 경원산업 주식회사 | Remote fishing gear monitoring system with optimized active pingers |
CN110588894B (en) * | 2019-09-20 | 2021-02-23 | 河南城建学院 | Anticollision water quality monitoring buoy |
KR102248602B1 (en) | 2020-11-25 | 2021-05-06 | 광주과학기술원 | Maritim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
KR102627623B1 (en) * | 2021-02-19 | 2024-01-19 |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Smart buoy and Phrase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buoy |
KR102514622B1 (en) * | 2021-04-21 | 2023-03-27 | 강민석 | Apparatus collecting submerged waste |
IT202100012857A1 (en) * | 2021-05-18 | 2021-08-18 | Pme Mare S R L | Automatic immersion buoy and radio-controlled ascent with monitoring and position detectio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9254Y1 (en) * | 2004-12-22 | 2005-03-17 | 남대근 | A fishing net robbery prevention and the fishing net easily collect for buoyancy means |
KR101029188B1 (en) * | 2010-07-26 | 2011-04-12 | 김경일 | Marine Window Wipers |
WO2013024258A1 (en) * | 2011-08-18 | 2013-02-21 | Atlas Elektronik Uk Ltd | Communication buoy and method of deployment |
-
2017
- 2017-05-19 KR KR1020170062598A patent/KR10185272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9254Y1 (en) * | 2004-12-22 | 2005-03-17 | 남대근 | A fishing net robbery prevention and the fishing net easily collect for buoyancy means |
KR101029188B1 (en) * | 2010-07-26 | 2011-04-12 | 김경일 | Marine Window Wipers |
WO2013024258A1 (en) * | 2011-08-18 | 2013-02-21 | Atlas Elektronik Uk Ltd | Communication buoy and method of deploym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3473A (en) | 2017-06-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52720B1 (en) | Underwater ultrasonic remote buoy | |
KR101167685B1 (en) | Ocean observing buoy | |
US9834284B2 (en) | Autonomous submersible vehicle and method for pulling in same | |
CN110520352B (en) | System for fixing a submerged buoy | |
JP2016129514A (en) | Water quality monitoring device for aquaculture tank and aquaculture system using the same | |
CN108327854B (en) | Drift anchor system buoy for detecting underwater acoustic signals | |
JP5948335B2 (en) | Anchor data communication system | |
ES2896337T3 (en) | Battery pack for marine subsurface | |
CN106965905B (en) | Marine acoustics measures buoyage | |
EP2334544A2 (en) | Anchor containing a self deploying mooring system and method of automatically deploying the mooring system from the anchor | |
CN110696965A (en) | Remote control lifting buoy | |
KR20110127935A (en) | Positioning device for sinking ship | |
CN110274580A (en) | A kind of preventing seabed base | |
KR101291133B1 (en) | Anchoring apparatus for ship | |
CN110435822A (en) | An underwater submarine buoy observation breaking device | |
JP5813025B2 (en) | Underwater observation equipment collection facility and underwater observation equipment collection method | |
EP2990323B1 (en) | Remote-controlled buoy | |
KR20120032124A (en) | A ocean buoy | |
CN209945342U (en) | Seabed base | |
JP2003048594A (en) | Intelligent buoy | |
KR102116400B1 (en) | Survival Apparatus for Distress Rescue Ship | |
KR200379254Y1 (en) | A fishing net robbery prevention and the fishing net easily collect for buoyancy means | |
US20240109622A1 (en) | Submersible buoy | |
RU90040U1 (en) | Pop-up buoy | |
US5774421A (en) | Underwater measurement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4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4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