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52542B1 -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 - Google Patents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542B1
KR101852542B1 KR1020170094611A KR20170094611A KR101852542B1 KR 101852542 B1 KR101852542 B1 KR 101852542B1 KR 1020170094611 A KR1020170094611 A KR 1020170094611A KR 20170094611 A KR20170094611 A KR 20170094611A KR 101852542 B1 KR101852542 B1 KR 101852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unit
supply unit
air circulation
pow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3754A (ko
Inventor
강현호
Original Assignee
강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현호 filed Critical 강현호
Priority to PCT/KR2017/00804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021822A1/ko
Priority to KR1020170125588A priority patent/KR20190012086A/ko
Publication of KR20180013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542B1/ko
Priority to US16/244,733 priority patent/US11363913B2/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47J37/0676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electrically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A47J37/07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steam- or hot ai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5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blowers providing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0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 A47J37/0709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6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 plates or analogous hot-pl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6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 plates or analogous hot-plates
    • H05B3/681Plates having mobile part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kettles, pan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는 몸체부, 최소한 하나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밑판 및 밑판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복수의 통기공을 포함하는 제1 측면판과 제2 측면판을 포함하는 공기분산판부, 제1 전원공급부 및 제2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 제1 전원공급부와 연결되는 제1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는 가열부,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몸체부의 일측면의 내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제2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제2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는 공기순환부, 몸체부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일측에 장착되어, 제2 전원연결부와 연결되고 제2 전원공급부와 접촉 가능한 연결단자를 포함하는 몸체결합부, 및 가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가열되는 조리부를 구비하고, 전원공급부는 몸체결합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전원공급부가 몸체결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 전원공급부에 포함된 단자와 제1 전원연결부에 포함된 단자가 접촉함으로써 전원공급부와 가열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전원공급부에 포함된 단자와 연결단자가 접촉함으로써 전원공급부와 공기순환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Description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 {AIR-CIRCULATED ELECTRIC ROASTER}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로스터는 본체에 조리부(조리판)와 히터를 구비하여, 전원을 인가해서 히터를 가열함으로써 조리부에서 육류, 어패류, 야채류 등의 식재료를 조리하기 위한 기기이다.
종래의 전기 로스터에서는 본체 하부의 일측에 장형의 팬을 배치하고, 상부에는 조리부를 배치한다. 조리 시에는 팬을 작동시켜 전기 로스터의 내부에 균일한 공기 흐름을 형성시킨다 (특허문헌 1 참조). 이에 따라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내부에서 열풍 산화되어, 외부에서 냄새가 많이 나지 않을 뿐 아니라 조리부에서 구워지는 고기류에 훈연의 효과도 있다.
이와 같이, 팬을 작동시키는 경우 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의 구동에 필요한 별도의 직류 전원을 공급하고, 조리부를 가열하기 위해서는 히터에 교류 전원을 공급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인증 및 안전장치 등의 문제로 인해 두 계통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복잡한 회로로 구성된 전원공급장치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전기 로스터에서는 히터와 전원공급장치가 일체화되어 사용에 불편함이 있었을 뿐 아니라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DC 전원과 히터를 구동하기 위한 AC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복잡한 구조를 취해야 했다.
또한, 종래의 전기 로스터에서 전원을 투입하려면 마이크로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 안전장치가 필수적인 요소였으나, 이는 필요한 부품 및 배선 수를 증가시켜 제조 시뿐 아니라 사후관리 측면에서도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부품 및 배선 수를 최대한 줄일 필요가 있다.
또한, 종래의 전기 로스터에서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구이용 조리부와 관통홀이 없는 일반 조리부를 조리하는 식재료에 따라 교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구이용 조리부의 경우 넓은 면적에 걸쳐서 기름이 떨어지도록 거의 조리부 전면에 걸쳐서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넓은 범위에 걸쳐 상하로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게 되므로 이를 통한 공기의 흐름으로 인해 공기분산판부 측면의 배출부와 흡입부 간의 송풍 밸런스가 흐트러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공기분산판부의 측면에 형성된 통기공의 크기 및 개수를 배출부와 흡입부 간에 서로 다르게 형성할 필요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공기분산판부의 배출부와 흡입부 간의 배출압력과 흡입압력의 차이로 인해 조리 시에 배출부 측에서는 거의 냄새가 나지 않으나 흡입부 측에서는 미소하나마 냄새가 나는 경우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08383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전원공급부와 히터를 분리하여 조리부와 공기순환부에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안전장치에 필요한 부품 및 배선의 수를 감소시켜 제조 시뿐 아니라 사후관리 측면에서도 문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구이용 조리부와 관통홀이 없는 일반 조리부의 두 개의 조리부를 하나로 통합하여 식재료에 따라 조리부를 교환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공기분산판부의 배출부와 흡입부 간의 송풍 밸런스를 안정시켜 조리 시에 배출부와 흡입부 양측에서 동등한 정도로 거의 냄새를 발생시키지 않는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몸체부, 몸체부에 안착되며, 최소한 하나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밑판 및 밑판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복수의 통기공을 포함하는 제1 측면판과 제2 측면판을 포함하는 공기분산판부, 제1 전원공급부 및 제2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 제1 전원공급부와 연결되는 제1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는 가열부,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몸체부의 일측면의 내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제2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제2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 공기순환부, 몸체부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일측에 장착되어, 제2 전원연결부와 연결되고 제2 전원공급부와 접촉 가능한 제1 연결단자를 포함하는 몸체결합부, 및 가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가열되는 조리면을 포함하는 조리부를 구비하고, 전원공급부는 몸체결합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전원공급부가 몸체결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 전원공급부에 포함된 단자와 제1 전원연결부에 포함된 단자가 접촉함으로써 전원공급부와 가열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전원공급부에 포함된 단자와 제1 연결단자가 접촉함으로써 전원공급부와 제1 공기순환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전원공급부는 교류를 공급하고, 몸체결합부는 제2 전원공급부에서 공급되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변환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전원공급부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변환기를 포함하여 몸체결합부를 통해 제2 전원연결부로 직류를 공급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공급부는 가열부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공기분산판부는, 전원공급부가 몸체결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 전원공급부에 포함된 단자와 제1 전원연결부에 포함된 단자가 접촉하도록 제1 전원연결부의 상하방향의 위치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조리부는 조리면의 최소한 일부에 형성된 최소한 하나의 관통홀을 포함하고,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 최소한 하나의 관통홀을 개폐 가능한 개폐부재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관통홀은 내주면이 너트부로 형성되고, 개폐부재는 일측에 외주면이 볼트부로 형성되어 관통홀의 너트부로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타측에 개폐부재를 돌리기 위한 손잡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개폐부재의 손잡이의 단부 또는 볼트부의 단면에 십자 또는 일자의 드라이버용 홈 또는 다각형의 렌치용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몸체부의 타측면의 내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제2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제3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는 제2 공기순환부를 더 구비하고, 몸체결합부는 제3 전원연결부와 연결되고 제2 전원공급부와 접촉 가능한 제2 연결단자를 더 포함하고, 전원공급부가 몸체결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2 전원공급부에 포함된 단자와 제2 연결단자가 접촉함으로써 전원공급부와 제2 공기순환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공기순환부와 제2 공기순환부는 제2 전원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전력에 따라 서로 같은 세기 또는 서로 다른 세기로 구동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몸체부, 몸체부에 안착되며, 최소한 하나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밑판 및 밑판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복수의 통기공을 포함하는 제1 측면판과 제2 측면판을 포함하는 공기분산판부, 제1 전원공급부 및 제2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 제1 전원공급부와 연결되는 제1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는 가열부,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몸체부의 일측면의 내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제2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제2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는 공기순환부, 몸체부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일측에 장착되어, 제2 전원연결부와 연결되고 제2 전원공급부와 접촉 가능한 연결단자를 포함하는 몸체결합부, 및 가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가열되는 조리부를 구비하고, 제1 및 제2 전원공급부는 교류를 공급하고, 몸체결합부는 제2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변환기를 포함하는,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몸체부, 몸체부에 안착되며, 최소한 하나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밑판 및 밑판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복수의 통기공을 포함하는 제1 측면판과 제2 측면판을 포함하는 공기분산판부, 제1 전원공급부 및 제2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 제1 전원공급부와 연결되는 제1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는 가열부,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몸체부의 일측면의 내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제2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제2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는 공기순환부, 몸체부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일측에 장착되어, 제2 전원연결부와 연결되고 제2 전원공급부와 접촉 가능한 연결단자를 포함하는 몸체결합부, 및 가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가열되는 조리부를 구비하고, 제1 전원공급부는 가열부로 교류를 공급하고, 제2 전원공급부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변환기를 포함하여 제2 전원연결부로 직류를 공급하는,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몸체부, 몸체부에 안착되며, 최소한 하나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밑판 및 밑판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복수의 통기공을 포함하는 제1 측면판과 제2 측면판을 포함하는 공기분산판부, 제1 전원공급부 및 제2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 제1 전원공급부와 연결되는 제1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는 가열부,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몸체부의 일측면의 내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제2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제2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는 공기순환부, 몸체부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일측에 장착되어, 제2 전원연결부와 연결되고 제2 전원공급부와 접촉 가능한 연결단자를 포함하는 몸체결합부, 및 가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가열되는 조리부를 구비하고, 공기분산판부는, 전원공급부가 몸체결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 전원공급부에 포함된 단자와 제1 전원연결부에 포함된 단자가 접촉하도록 제1 전원연결부의 상하방향의 위치를 결정하는,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몸체부, 몸체부에 안착되며, 최소한 하나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밑판 및 밑판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복수의 통기공을 포함하는 제1 측면판과 제2 측면판을 포함하는 공기분산판부, 제1 전원공급부 및 제2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 제1 전원공급부와 연결되는 제1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는 가열부,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몸체부의 일측면의 내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제2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제2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는 공기순환부, 몸체부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일측에 장착되어, 제2 전원연결부와 연결되고 제2 전원공급부와 접촉 가능한 연결단자를 포함하는 몸체결합부, 및 가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가열되는 조리면을 포함하는 조리부를 구비하고, 조리부는 조리면의 최소한 일부에 형성된 최소한 하나의 관통홀을 포함하고, 최소한 하나의 관통홀을 개폐 가능한 개폐부재를 더 구비하는,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몸체부, 몸체부에 안착되며, 최소한 하나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밑판 및 밑판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복수의 통기공을 포함하는 제1 측면판과 제2 측면판을 포함하는 공기분산판부, 제1 전원공급부 및 제2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 제1 전원공급부와 연결되는 제1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는 가열부,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몸체부의 제1 측면의 내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제2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제2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 공기순환부,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몸체부의 제2 측면의 내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제2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제3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는 제2 공기순환부, 몸체부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일측에 장착되어, 제2 전원연결부와 연결되고 제2 전원공급부와 접촉 가능한 제1 연결단자 및 제3 전원연결부와 연결되고 제2 전원공급부와 접촉 가능한 제2 연결단자를 포함하는 몸체결합부, 및 가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가열되는 조리부를 구비하고, 제1 공기순환부와 제2 공기순환부는, 제2 전원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전력에 따라 서로 같은 세기 또는 서로 다른 세기로 구동되는,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는 가열부의 하부를 감싸는 하부덮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는 몸체부의 내부에 안착되어 조리부로부터 배출되는 기름을 받기 위한 기름받이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에서 전원공급부와 히터를 분리하여 단순화된 구조로 조리부와 공기순환부에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에서 안전장치에 필요한 부품 및 배선의 수를 감소시켜 제조 시뿐 아니라 사후관리 측면에서도 문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에서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구이용 조리부와 관통홀이 없는 일반 조리부의 두 개의 조리부를 하나로 통합하여 식재료에 따라 조리부를 교환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에서 공기분산판부의 배출부와 흡입부 간의 송풍 밸런스를 안정시켜 조리 시에 배출부와 흡입부 양측에서 동등한 정도로 거의 냄새를 발생시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의 조립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의 조리부, 가열부, 및 하부덮개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의 조리부, 가열부, 및 하부덮개부의 하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의 전원공급부와 제1 및 제2 전원연결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의 분해사시도 및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는 몸체부(10), 공기순환부(40), 조리부(60), 가열부(히터)(70), 하부덮개부(80), 공기분산판부(50), 기름받이부(15), 전원공급부(30), 및 몸체결합부(20)로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몸체부(10)는 테이블이나 마루 등의 바닥에 안착되고, 각종 부품을 내부에 포함하여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한다.
몸체부(10)의 하부 일측에 공기순환부(40)가 설치되고, 아래로부터 위로 기름받이부(15), 공기분산판부(50), 하부덮개부(80), 가열부(70), 및 조리부(60)가 차례로 안착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몸체부(10)의 내부에 장착된 공기순환부(40)에는 팬(43)이 내장되어, 팬(43)의 작동을 통해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조리 시에 발생하는 기름 분자 등이 몸체부(10)의 외부로 새어 나가지 않도록 한다.
몸체부(10)는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세척시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탈부착이 가능한 상부(10a) 및 하부(10b)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공기순환부(40)는 장형으로 형성되어 몸체부(10)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고, 케이싱(41), 팬(43), 및 제2 전원연결부(45)를 포함한다.
장형의 공기순환부(40)의 케이싱(41) 내부에 팬(43)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팬(43)은 몸체부(10)의 저면에 위치된 저면부(17)를 개폐함으로써 삽입 및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저면부(17)를 개폐하는 이외에 몸체부(10)의 안쪽을 통해 팬(43)을 삽입 및 분리할 수도 있다. 팬(43)에는 모터(미 도시)가 연결되어 전원공급부(30)로부터의 전원을 공급받아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팬(43)을 회전시킬 수 있다.
팬(43)의 회전으로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여 내부에서 순환되도록 한다. 공기순환부(40)를 몸체부(10)의 하부에 장착하고, 제2 전원연결부(45)를 몸체결합부(20)의 내부 변환기(미도시)의 출력부와 연결시킨다. 이와 같이, 제2 전원연결부(45)를 통해 DC 전원을 공급받아 팬(43)이 작동하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부(60), 가열부(70), 및 하부덮개부(80) 및 이들의 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조리부(60)는 육류, 어패류, 채소류 등의 각종 식재료를 조리하기 위한 영역을 제공한다. 또한, 조리부(60) 에는 중심부에 관통홀(6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조리부(60)의 바닥면(조리면)은 가장자리부터 중심부의 관통홀(63)까지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조리 시에 발생하는 기름이 바닥면을 따라 관통홀(63)로 흐르기 쉽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는 하나의 관통홀(63)이 도시되어 있으나 형성하는 관통홀(63)의 개수 및 형상은 특정 개수나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관통홀(63)에 끼워지는 개폐부재(65)를 이용하여, 관통홀(63)을 개폐할 수 있다. 기름을 제거해야 하는 육류 등의 구이에는 개폐부재(65)를 제거하여 기름을 배출할 수 있는 관통홀(63)을 형성하고, 기름을 배출할 필요가 없는 식재료를 조리할 경우에는 개폐부재(65)로 관통홀(63)을 막고 조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폐부재(65)를 이용하는 경우 조리부(60)를 용도에 따라 변경하여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관통홀(63)의 내측면이 너트부로 형성되고 개폐부재(65)의 관통홀(63)에 삽입되는 부분의 외측면이 볼트부로 형성되어 볼트부의 반대쪽 단부에 형성된 손잡이를 돌려서 드라이버 등의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개폐부재(65)로 관통홀(63)을 막을 수 있다. 이 경우, 개폐부재(65)로 관통홀(63)을 막고 나면 손잡이 부분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손잡이 부분의 돌출로 인해 조리에 불편함을 초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때때로 개폐부재(65)로 관통홀(63)을 막은 상태에서 조리를 시작하여 도중에 개폐부재(65)를 제거하여 관통홀(63)을 열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를 위해 손잡이의 상부에 십자 또는 일자의 드라이버용 홈 또는 다각형의 렌치용 홈을 형성하여 드라이버나 렌치 등의 기구를 사용하여 개폐부재(65)를 후진시켜 분리하거나 끝까지 전진시켜 아래에 위치한 공기분산판부(50) 위로 낙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관통홀(63)의 내측면을 너트부로 형성하고 개폐부재(65)의 관통홀(63)에 삽입되는 부분의 외측면을 볼트부로 형성하여, 개폐부재(65)를 돌리기 위한 손잡이를 형성하는 대신에 볼트부의 반대쪽 단부에 십자 또는 일자의 드라이버용 홈 또는 다각형의 렌치용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개폐부재(65)로 관통홀(63)을 막기 위해서는 드라이버나 렌치 등의 기구를 사용해야 하지만 손잡이와 같은 돌출부가 없으므로 조리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개폐부재(65)로 관통홀(63)을 막은 상태에서 조리를 시작하여 도중에 개폐부재(65)를 제거하여 관통홀(63)을 열어야 하는 필요가 있을 때는 드라이버나 렌치 등의 기구를 사용하여 개폐부재(65)를 후진시켜 제거하거나 끝까지 전진시켜 아래에 위치한 공기분산판부(50) 위로 낙하시킬 수 있다.
도 4에는 조리부(60)의 위쪽에서 개폐부재(65)로 관통홀(63)을 막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조리부(60)의 아래쪽에서 관통홀(63)을 막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개폐부재(65)를 끝까지 전진시켰을 때 개폐부재(65)가 조리부(60)의 바닥면(조리면) 이상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개폐부재(65)의 길이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조리부(60)의 바닥면(조리면)으로 노출되는 개폐부재(65)의 단부에 십자 또는 일자의 드라이버용 홈 또는 다각형의 렌치용 홈을 형성하여, 개폐부재(65)로 관통홀(63)을 막은 상태에서 조리를 시작하여 도중에 개폐부재(65)를 제거하여 관통홀(63)을 열어야 하는 필요가 있을 때는 드라이버나 렌치 등의 기구를 사용하여 개폐부재(65)를 끝까지 후진시켜 아래에 위치한 공기분산판부(50) 위로 낙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관통홀(63)의 내측면이 위에서 아래로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고 개폐부재(65)의 관통홀(63)에 삽입되는 부분의 외측면이 관통홀(63)의 내측면에 들어맞도록 동일한 테이퍼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개폐부재(65)를 관통홀(63)에 맞춰서 그대로 놓기만 함으로써 콜크 마개와 같이 간단하게 관통홀(63)을 막을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개폐부재(65)로 관통홀(63)을 막았을 때 조리부(60)의 위쪽 판면 위로 개폐부재(65)가 돌출하지 않는 길이로 개폐부재(65)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개폐부재(65)를 분실하지 않도록 몸체부(10)의 일부에 개폐부재(65) 보관용 홈(미 도시)을 형성하여 개폐부재(65)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보관용 홈에 끼워서 보관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가열부(70)는 선형의 발열체가 평면상에 배열되어 있다. 선형의 발열체가 평면상에 가능한 한 넓게 배열되는 경우 조리부(60)에 골고루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가열부(70)의 형상은 지그재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가열부(70)의 일측에는 전원공급을 받을 수 있는 제1 전원연결부(71)를 포함한다. 이 때 제1 전원연결부(71)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부(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67)는 전원공급부(30)를 조리부(60)와 연결하는 과정에서, 내부에 형성된 단턱에 걸리도록 하여 전원공급부(3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 전원연결부(71)를 통해 흐르는 전류에 대한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 때, 조리부(60)의 하부에 가열부(70)가 부착 형성될 수 있으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조리부(60)와 가열부(70)가 부착 형성될 경우에는 부품수가 간소화되어, 수납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조리부(60)와 가열부(70)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경우에는 세척에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4 및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하부덮개부(80)가 조리부(60)의 하단에 위치하여 가열부(70)의 하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부덮개부(80)는 가열부(70)의 하부를 감싸는 판형의 형상으로 가열부(70)의 열을 차단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의 내부의 열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하부덮개부(80)의 중심부에는 도 4와 같이 조리부(60)에 형성된 관통홀(63)과 수직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 하부덮개부홀(81)이 형성되어, 조리부(60)에서 흐르는 기름을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조리부(60)의 하측 바닥면에 복수의 연결부재(69)가 형성되고, 하부덮개부(80)에는 복수의 결합공(84) 및 복수의 환기공(83)이 형성된다. 이 때 복수의 연결부재(69)의 길이는 조리부(60)와 하부덮개부(80) 사이에 가열부(70)를 안착시킬 수 있을 정도의 폭을 확보할 정도가 적절하다.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조리부(60)의 하측 바닥면에 네 개의 연결부재(69)를 90도 간격으로 배열할 수 있다. 하부덮개부(80)에는 네 개의 연결부재(69)의 위치에 대응하는 네 개의 결합공(84)이 형성되어, 연결부재(69)가 결합공(84)을 관통해 고정부재(85)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결합공(84)을 관통한 연결부재(69)와 고정부재(85)를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덮개부(80)에는 결합공(84) 이외에 환기공(83)이 형성되어, 환기공(83)을 통해 환기를 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공기분산판부(50)는 몸체부(10) 위에 안착되고, 위에 하부덮개부(80), 가열부(70), 및 조리부(60)가 차례로 안착된다.
도 1 및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공기분산판부(50)는 제1 측면판(51), 제2 측면판(52) 및 밑판(57)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밑판(57)은 하부 바닥면을 형성하며, 양측에 제1 측면판(51) 및 제2 측면판(52)이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1 측면판(51) 및 제2 측면판(52)은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통기공(54)이 형성되어 공기가 유출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측면판(51) 및 제2 측면판(52)은 공기분산판부(50)의 밑판(57)과 탈부착 되도록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밑판(57)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제1 측면판(51) 및 제2 측면판(52)의 상단부에는 플랜지부(51a, 52a)가 형성되어, 플랜지부(51a, 52a) 가 몸체부(10)의 상부에 위치한 단턱부(17a, 17b)의 형상에 맞추어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서, 제1 측면판(51) 및 제2 측면판(52)은 밑판(57)의 길이방향의 양측에 형성되어 모서리부에서 길이 반대방향으로 만곡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서, 제1 측면판(51) 및 제2 측면판(52)의 양 단부가 판형으로 형성되어 몸체부(10)의 모서리부(13)와 맞닿도록 안착될 수 있다. 이 때, 제1 측면판(51) 및 제2 측면판(52)이 판형일 경우, 양 단부가 만곡된 형상을 가지는 경우에 비하여 공정이 간편하고, 가공비용이 적게 들어 경제성 면에서 유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밑판(57)에는 배출공(53) 및 안착홀(55)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밑판(57)은 가장자리부터 중심부에 형성된 배출공(53)까지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공(53)은 공기분산판부(50)의 밑판(57)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배출공(53)을 통해 공기가 유출입 되는 이외에, 조리부(60)의 관통홀(63)으로 배출된 기름이 배출공(53)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배출공(53)은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원형 또는 사각형이나 그 이외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배출공(53)은 공기분산판부(50)의 밑판(57)의 중심부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배출공(53)의 위치는 아래에 위치한 기름받이부(15)의 위치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안착홀(55)은 밑판(57)의 가장자리에 위치되며, 조리부(60)의 하측에 위치된 연결부재(69)가 안착되어, 안정적인 고정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 때 안착홀(55)이 밑판(57)에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조리부(60)은 판면 전체에 걸쳐 복수의 관통홀을 통해 기름이 낙하하는 종래의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와는 달리 중앙에 위치한 관통홀(63)을 통해 기름이 집중되어 아래로 떨어지게 되므로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 내부의 상하 방향의 공기 유로가 작아져서 공기분산판부(50)의 배출부와 흡입부 간의 송풍 밸런스에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도1, 도2, 및 도 6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공기분산판부(50)의 제1 측면판(51) 및 제2 측면판(52)의 상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51a, 52a)가 몸체부(10)의 상부에 위치한 단턱부(17a, 17b)에 안착되면, 몸체결합부(20)를 결합했을 때 제1 전원연결부(71)가 몸체결합부(20)의 상단 홈을 통해 전원공급부(3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부덮개부(80), 가열부(70), 및 조리부(60)를 지지해서 제1 전원연결부(71)의 상하방향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공기분산판부(50)가 장착되지 않거나 제대로 장착되지 않았을 때는 하부덮개부(80), 가열부(70), 및 조리부(60)를 장착하더라도 높이가 맞지 않아서 몸체결합부(20)의 상단 홈을 통해 전원공급부(30)와 제1 전원연결부(71)를 연결할 수 없게 되므로 별도의 안전장치 없이도 위험한 상황에서의 전원투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기름받이부(15)는 몸체부(10)의 내부에 안착되어 조리부(60)로부터 배출된 기름이 수납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름받이부(15)는 몸체부(10)와 탈부착 되어 폐유의 수거 및 세척 시의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기름받이부(15)가 몸체부(10)와 일체로 형성되어, 기름받이부(15)에 별도의 폐유배출구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기름받이부(15)는 몸체부(10)의 하단을 통해 외부로 폐유를 배출하도록 서랍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보이는 바와 같이, 몸체결합부(20)는 몸체부(10)의 일측에 삽입 장착될 수 있으며,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변환기(미 도시)를 내부에 포함하고 있다. 몸체결합부(20)는 전원공급부(30)와 연결되어, 몸체부(10)의 일측에 삽입 장착된다.
또한, 전원공급부(30)는 온도감지핀(31), 제1 전원공급부(32), 제2 전원공급부(33), 온도조절부(35) 및 전원플러그(37)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30)의 온도감지핀(31)은 전원공급부(30)와 조리부(60) 하면에 부착된 연결홈(64)에 삽입된다. 이 때, 온도감지핀(31)은 조리부(60)와 전원공급부(30)를 서로 연결하여 조리부(60)의 온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조리부(60)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높아지면 전원공급부(30) 내부의 바이메탈(bimetal)의 작동으로 전원이 차단되고, 일정 온도 이하로 낮아지면 전원이 연결된다. 이 때, 전원공급부(30)는 온도 변화에 따른 바이메탈의 작동에 따라 아날로그 방식으로 온도를 감지하거나, 온도감지핀(31)에 전류 혹은 전압변화를 감지하는 디지털 방식으로 온도를 감지하여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30)에는 온도조절부(35)를 포함할 수 있어, 조리부(60)의 온도를 직접 조절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30)는 본체결합부(20)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전원공급부(30)가 본체결합부(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 전원공급부(32)에 포함된 단자와 제1 전원연결부(71)에 포함된 단자가 접촉함으로써 전원공급부(30)와 가열부(7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2 전원공급부(33)에 포함된 단자와 제1 연결단자인 연결핀(21)이 접촉함으로써 전원공급부(30)와 공기순환부(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는 전원공급부(30)의 제1 전원공급부(32)와 가열부(70)의 일측에 연결된 제1 전원연결부(71)가 연결된다.
또한, 전원공급부(30)의 제2 전원공급부(33)는 몸체결합부(20)의 연결핀(21)과 연결되어, 결합판(47) 및 제2 전원연결부(45)와 연결된다. 이 때 몸체결합부(20)의 내부에는 제2 전원공급부(33)를 통해 공급된 교류 전원을 직류로 변환하는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변환기를 통해 변환된 직류 전원이나, 교류 전원이 제2 전원연결부(45)를 통해 팬(43)의 모터를 구동 시키게 된다. 이 때, 전원공급부(30)에는 제2 전원공급부(33)와 제2 전원연결부(45)를 연결시키는 전원을 온/오프(on/ off) 시킬 수 있는 별도의 스위치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전원공급부(30)에 전원을 공급하여 제1 전원공급부(32)를 통해서는 조리부(60)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2 전원공급부(33)를 통해서는 몸체결합부(20)를 거쳐 팬(43)의 구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전원공급부(30)와 가열부(70)가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제1 전원공급부(32)에 포함된 단자와 제1 전원연결부(71)에 포함된 단자의 접촉을 통해 전원공급부(30)와 가열부(7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종래의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에는 복잡한 회로구성을 가지며 히터와 분리되지 않은 전원공급장치를 이용하여 팬에 전원을 공급하였던 것과 비교할 때 간소화된 구성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는 몸체결합부(20)의 하단부가 몸체부(10)의 안착부(11)에 삽입 고정되고, 몸체결합부(20)의 일측에 전원공급부(30)를 삽입 고정시켜 조립한다.
이 때 몸체결합부(20)는 몸체부(10)와 별도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별도 형성시에는 청소나 세척 시의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고, 일체로 형성 시에는 부품이 간소화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몸체결합부(20)가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변환기(미 도시)를 내부에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변환기(미 도시)는 전원공급부(3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몸체결합부(20)에서부터 전원계통이 완전히 분리되므로 전원공급부(30)과 공기순환부(40)만 분리하면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 전체를 하나하나 분리하지 않고도 손쉽게 세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전원공급부(30)이 몸체결합부(20)를 통해 직접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서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전원플러그(37)의 반대 측으로도 소정의 길이의 전선을 연결하여 전원공급부(30)을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떨어뜨릴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고열을 발생시키는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로부터 전원공급부(30)를 완전히 분리시켜, 한층 더 안전하게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는,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조리부(60)에서 육류 등을 조리할 경우, 공기분산판부(50)의 제1 측면판(51)에 형성된 통기공(54)을 통해 외부의 공기 및 연기가 공기순환부(40) 측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어, 몸체부(10) 하부의 내부 공간에 유입된다.
이와 같이 유입된 외부 공기의 일부는 공기분산판부(50)의 중심부의 배출공(53)을 통과하여 조리부(60)의 관통홀(63)을 따라 올라가며, 나머지 일부는 공기분산판부(50)의 제2 측면판(52)의 통기공(54)을 통해 배출되어 일정한 속도로 몸체부(10)의 상부로 올라간다.
공기분산판부(50)의 제2 측면판(52)의 통기공(54)으로 배출된 공기는 다시 팬(43)의 작동에 의하여 제1 측면판(51)의 통기공(54)으로 강제 유입된다. 이와 같이 동일한 공기 흐름을 반복한다.
따라서, 상술한 공기의 흐름으로 몸체부(10)의 상부에 자연적인 에어커튼이 형성되어 육류가 구워지면서 발생되는 기름 연기 및 냄새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억제된다.
도 1, 도 2, 및 도 6에는 몸체부(10)의 하부 일측에만 공기순환부(40)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공기순환부(40)는 몸체부(10)의 하부 일측 및 반대편의 타측 두 곳에 설치되어 하나는 흡입 기능을 주로 담당하고 다른 하나는 배출 기능을 주로 담당한다. 이 경우, 몸체부(10)의 하부 타측에 설치되는 공기순환부(40)는 제2 전원공급부(33)와 연결되는 제3 전원연결부(미 도시)를 포함하고, 배출 측의 공기순환부(40)와 흡입 측의 공기순환부(40)를 동등한 세기로 구동하거나, 배출 측의 공기순환부(40)보다 흡입 측의 공기순환부(40)를 더 강하게 구동함으로써 조리 시에 배출부와 흡입부 양측에서 동등한 정도로 거의 냄새를 발생시키지 않는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몸체부
20: 몸체결합부
30: 전원공급부
40: 공기순환부
43: 팬
50: 공기분산판부
60: 조리부
65: 덮개부재
70: 가열부
80: 하부덮개부

Claims (28)

  1.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안착되며, 최소한 하나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밑판 및 상기 밑판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복수의 통기공을 포함하는 제1 측면판과 제2 측면판을 포함하는 공기분산판부;
    제1 전원공급부 및 제2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제1 전원공급부와 연결되는 제1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는 가열부;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의 내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제2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 공기순환부;
    상기 몸체부의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2 전원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전원공급부와 접촉 가능한 제1 연결단자를 포함하는 몸체결합부; 및
    상기 가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가열되는 조리면을 포함하는 조리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몸체결합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를 상기 몸체결합부의 일측에 결합하고 상기 가열부를 상기 몸체결합부의 타측에 결합하면, 상기 제1 전원공급부에 포함된 단자와 상기 제1 전원연결부에 포함된 단자가 접촉함으로써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가열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전원공급부에 포함된 단자와 상기 제1 연결단자가 접촉함으로써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제1 공기순환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원공급부는 교류를 공급하고,
    상기 몸체결합부는 상기 제2 전원공급부에서 공급되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변환기를 포함하는,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원공급부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변환기를 포함하여 상기 몸체결합부를 통해 상기 제2 전원연결부로 상기 직류를 공급하는,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가열부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산판부는,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몸체결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결합부를 상기 몸체부에 결합했을 때, 상기 제1 전원공급부에 포함된 상기 단자와 상기 제1 전원연결부에 포함된 상기 단자가 접촉하도록 상기 제1 전원연결부의 상하방향의 위치를 결정하는,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는 상기 조리면의 최소한 일부에 형성된 최소한 하나의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최소한 하나의 관통홀을 개폐 가능한 개폐부재를 더 구비하는,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내주면이 너트부로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는 일측에 외주면이 볼트부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의 너트부로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타측에 상기 개폐부재를 돌리기 위한 손잡이를 포함하는,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의 상기 손잡이의 단부 또는 상기 볼트부의 단면에 십자 또는 일자의 드라이버용 홈 또는 다각형의 렌치용 홈이 형성된,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부의 타측면의 내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제3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는 제2 공기순환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몸체결합부는 상기 제3 전원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전원공급부와 접촉 가능한 제2 연결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몸체결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전원공급부에 포함된 단자와 상기 제2 연결단자가 접촉함으로써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제2 공기순환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공기순환부와 상기 제2 공기순환부는 상기 제2 전원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전력에 따라 서로 같은 세기 또는 서로 다른 세기로 구동되는,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
  10.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안착되며, 최소한 하나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밑판 및 상기 밑판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복수의 통기공을 포함하는 제1 측면판과 제2 측면판을 포함하는 공기분산판부;
    제1 전원공급부 및 제2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제1 전원공급부와 연결되는 제1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는 가열부;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의 내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제2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는 공기순환부;
    상기 몸체부의 상기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일측에 장착되어, 일측에 상기 전원공급부가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가열부가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전원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전원공급부와 접촉 가능한 연결단자를 포함하는 몸체결합부; 및
    상기 가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가열되는 조리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원공급부는 교류를 공급하고,
    상기 몸체결합부는 상기 제2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변환기를 포함하여 상기 제2 전원연결부로 직류를 공급하는,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
  11.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안착되며, 최소한 하나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밑판 및 상기 밑판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복수의 통기공을 포함하는 제1 측면판과 제2 측면판을 포함하는 공기분산판부;
    제1 전원공급부 및 제2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제1 전원공급부와 연결되는 제1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는 가열부;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의 내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제2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는 공기순환부;
    상기 몸체부의 상기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일측에 장착되어, 일측에 상기 전원공급부가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가열부가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전원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전원공급부와 접촉 가능한 연결단자를 포함하는 몸체결합부; 및
    상기 가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가열되는 조리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전원공급부는 상기 제1 전원연결부로 교류를 공급하고,
    상기 제2 전원공급부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변환기를 포함하여 상기 제2 전원연결부로 직류를 공급하는,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
  12.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안착되며, 최소한 하나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밑판 및 상기 밑판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복수의 통기공을 포함하는 제1 측면판과 제2 측면판을 포함하는 공기분산판부;
    제1 전원공급부 및 제2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제1 전원공급부와 연결되는 제1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는 가열부;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의 내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제2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는 공기순환부;
    상기 몸체부의 상기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일측에 장착되어, 일측에 상기 전원공급부가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가열부가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전원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전원공급부와 접촉 가능한 연결단자를 포함하는 몸체결합부; 및
    상기 가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가열되는 조리부
    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분산판부는,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몸체결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원공급부에 포함된 단자와 상기 제1 전원연결부에 포함된 단자가 접촉하도록 상기 제1 전원연결부의 상하방향의 위치를 결정하는,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
  13.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안착되며, 최소한 하나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밑판 및 상기 밑판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복수의 통기공을 포함하는 제1 측면판과 제2 측면판을 포함하는 공기분산판부;
    제1 전원공급부 및 제2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제1 전원공급부와 연결되는 제1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는 가열부;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의 내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제2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는 공기순환부;
    상기 몸체부의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일측에 장착되어, 일측에 상기 전원공급부가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가열부가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전원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전원공급부와 접촉 가능한 연결단자를 포함하는 몸체결합부; 및
    상기 가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가열되는 조리면을 포함하는 조리부
    를 구비하고,
    상기 조리부는 상기 조리면의 최소한 일부에 형성된 최소한 하나의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최소한 하나의 관통홀을 개폐 가능한 개폐부재를 더 구비하는,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
  14.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안착되며, 최소한 하나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밑판 및 상기 밑판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복수의 통기공을 포함하는 제1 측면판과 제2 측면판을 포함하는 공기분산판부;
    제1 전원공급부 및 제2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제1 전원공급부와 연결되는 제1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는 가열부;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부의 제1 측면의 내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제2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 공기순환부;
    상기 몸체부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부의 제2 측면의 내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제3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는 제2 공기순환부;
    상기 몸체부의 상기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일측에 장착되어, 일측에 상기 전원공급부가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가열부가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전원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전원공급부와 접촉 가능한 제1 연결단자 및 상기 제3 전원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전원공급부와 접촉 가능한 제2 연결단자를 포함하는 몸체결합부; 및
    상기 가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가열되는 조리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공기순환부와 상기 제2 공기순환부는 상기 제2 전원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전력에 따라 서로 같은 세기 또는 서로 다른 세기로 구동되는,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의 하부를 감싸는 하부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안착되어 상기 조리부로부터 배출되는 기름을 받기 위한 기름받이부를 더 구비하는,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안착되어 상기 조리부로부터 배출되는 기름을 받기 위한 기름받이부를 더 구비하는,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조리부의 하부에 부착되는,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조리부와 일체로 구성된,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조리부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연결부를 감싸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
  2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산판부는, 상기 제1 측면판과 상기 제2 측면판의 상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부에 상기 플랜지부에 대응하는 단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단턱부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몸체결합부를 결합했을 때 상기 제1 전원공급부에 포함된 상기 단자와 상기 제1 전원연결부에 포함된 상기 단자가 접촉하도록 상기 제1 전원연결부의 상하방향의 위치를 결정하는,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결합부는 상단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단턱부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몸체결합부를 결합했을 때 상기 제1 전원공급부와 상기 제1 전원연결부가 상기 상단 홈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가열부가 상기 몸체결합부에 의해 공간적으로 분리되는,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와 별도로 형성되는,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몸체결합부에 직접 결합되는,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
  28. 삭제
KR1020170094611A 2016-07-28 2017-07-26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 Active KR101852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8047 WO2018021822A1 (ko) 2016-07-28 2017-07-26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
KR1020170125588A KR20190012086A (ko) 2016-07-28 2017-09-27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
US16/244,733 US11363913B2 (en) 2016-07-28 2019-01-10 Air circulation-type electric roas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96406 2016-07-28
KR1020160096406 2016-07-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754A KR20180013754A (ko) 2018-02-07
KR101852542B1 true KR101852542B1 (ko) 2018-04-27

Family

ID=59969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611A Active KR101852542B1 (ko) 2016-07-28 2017-07-26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63913B2 (ko)
EP (1) EP3491980A4 (ko)
JP (1) JP6203981B1 (ko)
KR (1) KR101852542B1 (ko)
CN (1) CN10766103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7109A (ko) 2021-01-24 2022-08-02 주식회사 위더연 공기순환식 구이 테이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8006409U1 (de) 2017-08-09 2020-04-23 Sharkninja Operating Llc Kochgerät und Komponenten davon
JP6480633B1 (ja) * 2018-07-16 2019-03-13 カン、ヒョンホ 電気ロースター
KR102319351B1 (ko) * 2018-07-16 2021-11-02 (주)디앤더블유 전기 로스터
CN109259617A (zh) * 2018-11-07 2019-01-25 陆流 一种新型无烟烤炉
CN109691902A (zh) * 2018-11-14 2019-04-30 陶红 一种具有吸烟功能的电烤盘
US11033146B2 (en) 2019-02-25 2021-06-15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1751710B2 (en) 2019-02-25 2023-09-12 Sharkninja Operating Llc Guard for cooking system
US11134808B2 (en) 2020-03-30 2021-10-05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EP4018892A1 (en) * 2020-12-22 2022-06-29 Koninklijke Philips N.V. Cooking apparatus
KR102305605B1 (ko) * 2021-05-27 2021-09-28 유영길 전기그릴
JP7438586B1 (ja) 2023-01-05 2024-02-27 ディーエヌダブリュー リミテッド 空気循環式電気ロースター
US11882961B1 (en) 2023-01-18 2024-01-30 Sharkninja Operating Llc Cover plate for cooking device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441Y1 (ko) * 2003-05-28 2003-09-03 주식회사 자연 전기구이기용 불판
KR100719854B1 (ko) * 2006-12-27 2007-05-21 강규석 전기구이기
JP2007252456A (ja) 2006-03-22 2007-10-04 Tiger Vacuum Bottle Co Ltd ホットプレート
KR100760790B1 (ko) 2006-12-27 2007-10-04 강규석 절전형 열산화 공기순환식 전기프라이팬
JP2012170303A (ja) * 2011-02-16 2012-09-06 Ricoh Co Ltd 交流・直流両給電型ic搭載電気製品、その電源供給方法及び電源回路
KR101680521B1 (ko) 2016-06-03 2016-12-06 (주)헤움 에어순환식 로스터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61865U (ko) * 1977-05-25 1978-12-18
JPH0348874Y2 (ko) 1984-10-05 1991-10-18
JP3573714B2 (ja) * 1998-03-10 2004-10-06 ユハ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肉類ロースター
JP3090918B1 (ja) * 1999-08-06 2000-09-25 アルコ工業株式会社 加熱調理装置
PL1768535T3 (pl) * 2004-06-08 2011-02-28 Seb Sa Urządzenie do pieczenia/gotowania w strumieniu powietrza
KR20050002677A (ko) * 2004-08-12 2005-01-10 (주)윤창 전기구이기의 공기순환구조
KR100743347B1 (ko) * 2005-07-12 2007-07-26 강규석 로스터의 공기 순환시스템
JP2007289649A (ja) * 2006-04-20 2007-11-08 Kyu Suk Kang ロースターの空気循環システムおよびロースター
JP5195029B2 (ja) * 2008-05-28 2013-05-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リレー制御装置および調理機器
CN201318716Y (zh) * 2008-11-11 2009-09-30 漳州灿坤实业有限公司 煎烤器的电热管组件
KR20100102810A (ko) * 2009-03-12 2010-09-27 강규석 공기순환식 전기 프라이팬
KR20110052362A (ko) * 2009-11-12 2011-05-18 김혜경 전기 구이기
CN202981678U (zh) * 2012-11-09 2013-06-12 德昌电机(深圳)有限公司 烹饪装置
CN203693371U (zh) * 2013-12-21 2014-07-09 张顺 一种空气炸锅
KR20150146028A (ko) * 2014-06-20 2015-12-31 김현준 구역으로 나누어진 열판을 이용한 최적온도 음식 데움 장치 및 방법
WO2018105942A1 (ko) * 2016-12-07 2018-06-14 김봉수 순환커버가 구비된 에어순환식 로스터
WO2019022296A1 (ko) * 2017-07-26 2019-01-31 강현호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441Y1 (ko) * 2003-05-28 2003-09-03 주식회사 자연 전기구이기용 불판
JP2007252456A (ja) 2006-03-22 2007-10-04 Tiger Vacuum Bottle Co Ltd ホットプレート
KR100719854B1 (ko) * 2006-12-27 2007-05-21 강규석 전기구이기
KR100760790B1 (ko) 2006-12-27 2007-10-04 강규석 절전형 열산화 공기순환식 전기프라이팬
JP2012170303A (ja) * 2011-02-16 2012-09-06 Ricoh Co Ltd 交流・直流両給電型ic搭載電気製品、その電源供給方法及び電源回路
KR101680521B1 (ko) 2016-06-03 2016-12-06 (주)헤움 에어순환식 로스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7109A (ko) 2021-01-24 2022-08-02 주식회사 위더연 공기순환식 구이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63913B2 (en) 2022-06-21
JP6203981B1 (ja) 2017-09-27
CN107661031A (zh) 2018-02-06
US20190142219A1 (en) 2019-05-16
EP3491980A4 (en) 2020-07-29
EP3491980A1 (en) 2019-06-05
KR20180013754A (ko) 2018-02-07
JP2018015568A (ja) 2018-02-01
CN107661031B (zh) 2019-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2542B1 (ko)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
US20090250452A1 (en) Steam Convection Oven
US6362459B1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roaster oven with digital control assembly
US6872921B1 (en) Programmable slow-cooker appliance
KR100760790B1 (ko) 절전형 열산화 공기순환식 전기프라이팬
US12193603B2 (en) Air fryer and cleaning method thereof
US6418835B1 (en) Rotisserie oven structure
JP3805770B2 (ja) 電気焼き器
KR20110090407A (ko) 가정용 조리기구 커버
KR100719854B1 (ko) 전기구이기
KR101864077B1 (ko) 순환커버가 구비된 에어순환식 로스터
KR101114290B1 (ko) 전기 로스터
CN110652222A (zh) 空气炸锅
KR20090015217A (ko) 공기 순환식 전기 프라이팬
KR20190012086A (ko)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
KR101117330B1 (ko) 근적외선 전기 오븐
KR101207988B1 (ko) 분리형 전기 구이기
KR20200008518A (ko) 전기 로스터
KR102030312B1 (ko) 회전식 오븐 구조를 갖는 조리기
KR102319351B1 (ko) 전기 로스터
KR20040025059A (ko) 세라믹 유리판의 가열부를 갖춘 전기조리장치
KR200383250Y1 (ko) 전기오븐의 팬어셈블리
KR100403305B1 (ko) 전기구이기의 모터 조립구조
CN212650725U (zh) 烹饪器具
CN210810618U (zh) 一种装配简单的空气炸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3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4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4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