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52374B1 - 실외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실외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374B1
KR101852374B1 KR1020120006965A KR20120006965A KR101852374B1 KR 101852374 B1 KR101852374 B1 KR 101852374B1 KR 1020120006965 A KR1020120006965 A KR 1020120006965A KR 20120006965 A KR20120006965 A KR 20120006965A KR 101852374 B1 KR101852374 B1 KR 101852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pipe
header
heat exchanger
du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6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5849A (ko
Inventor
김각중
사용철
김동휘
박준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6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374B1/ko
Priority to US13/742,866 priority patent/US9625217B2/en
Priority to ES13151639.5T priority patent/ES2610734T3/es
Priority to EP13151639.5A priority patent/EP2618077B1/en
Publication of KR20130085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5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37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5/00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25B39/028Evaporators having distribu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6Header boxes; End plates with static flow control means, e.g. with means for uniformly distributing heat exchange media into conduits
    • F28F9/027Header boxes; End plates with static flow control means, e.g. with means for uniformly distributing heat exchange media into conduits in the form of distribution pipes
    • F28F9/0275Header boxes; End plates with static flow control means, e.g. with means for uniformly distributing heat exchange media into conduits in the form of distribution pipes with multiple branch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50/00Arrangements for modifying the flow of the heat exchange media, e.g. flow guiding means; Particular flow patterns
    • F28F2250/06Derivation channels, e.g. byp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방 운전시와 난방 운전시 냉매의 유로가 가변되는 실외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 열교환기는, 공기조화기에 포함되어 냉방운전시 응축기로 작용되고 난방운전시 증발기로 작용되는 실외 열교환기에 있어서, 냉방운전시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유입되는 제 1 헤더파이프; 상기 제 1 헤더파이프와 연결되어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 냉방운전시 상기 열교환부에서 열교환된 냉매가 통과하는 바이패스 배관; 냉방운전시 상기 바이패스 배관을 통과한 냉매가 유입되며 상기 열교환부와 연결되는 제 2 헤더파이프; 상기 제 1 헤더파이프와 상기 열교환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 1 헤더분지배관; 및 상기 제 2 헤더파이프와 상기 열교환부를 상기 복수의 제 1 헤더분지배관과 교차하여 연결하는 복수의 제 2 헤더분지배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실외 열교환기 {Outdoor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실외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방 운전시와 난방 운전시 냉매의 유로가 가변되는 실외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실외열교환기, 팽창밸브 및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장치이다. 즉 실내를 냉방시키는 냉방기, 실내를 난방시키는 난방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가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로 구성되는 경우, 냉방운전과 난방운전에 따라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의 유로를 바꾸는 사방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냉방운전시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는 사방밸브를 통과하여 실외열교환기로 유동을 하고 실외열교환기는 응축기 역할을 한다. 그리고, 실외열교환기에서 응축된 냉매는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후, 실내열교환기로 유입된다. 이 때, 실내열교환기는 증발기로 작용을 하게 되고, 실내열교환기에서 증발된 냉매는 다시 사방밸브를 통과하여 압축기로 유입된다.
한편, 난방운전시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는 사방밸브를 통과하여 실내열교환기로 유동을 하고 실내열교환기는 응축기 역할을 한다. 그리고, 실내열교환기에서 응축된 냉매는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후, 실외열교환기로 유입된다. 이때 실외열교환기는 증발기로 작용을 하게 되고, 실외열교환기에서 증발된 냉매는 다시 사방밸브를 통과하여 압축기로 유입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냉방 운전시와 난방 운전시 냉매의 유로가 가변되는 실외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 열교환기는, 공기조화기에 포함되어 냉방운전시 응축기로 작용되고 난방운전시 증발기로 작용되는 실외 열교환기에 있어서, 냉방운전시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유입되는 제 1 헤더파이프; 상기 제 1 헤더파이프와 연결되어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 냉방운전시 상기 열교환부에서 열교환된 냉매가 통과하는 바이패스 배관; 냉방운전시 상기 바이패스 배관을 통과한 냉매가 유입되며 상기 열교환부와 연결되는 제 2 헤더파이프; 상기 제 1 헤더파이프와 상기 열교환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 1 헤더분지배관; 및 상기 제 2 헤더파이프와 상기 열교환부를 상기 복수의 제 1 헤더분지배관과 교차하여 연결하는 복수의 제 2 헤더분지배관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외 열교환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냉방 운전시 응축이 2회 이루어지는 가변형 열교환기에서 난방 운전시 각각 다른 경로로 유입되는 냉매가 골고루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서리 발생이 일부에 집중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둘째, 제상 운전시 각각 다른 경로로 유입되는 냉매가 골고루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서리 제거가 골고루 이루어지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 열교환기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실외 열교환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외기(OU) 및 실내기(IU)를 포함한다.
실외기(OU)는, 압축기(110), 실외 열교환기(140), 과냉각기(180)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1개 또는 복수의 실외기(OU)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110)는 유입되는 저온 저압의 냉매를 고온 고압의 냉매로 압축시킨다. 압축기(110)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인버터형 압축기 또는 정속 압축기가 채택될 수 있다. 압축기(110)의 토출배관(161) 상에는 토출 온도 센서(171) 및 토출 압력 센서(151)가 설치된다. 또한, 압축기(110)의 흡입배관(162) 상에는 흡입 온도 센서(175) 및 흡입 압력 센서(154)가 설치된다.
실외기(OU)는 1개의 압축기(110)를 포함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외기(OU)가 복수 개의 압축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인버터형 압축기 및 정속 압축기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110)에 액상의 냉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압축기(110)의 흡입배관(162)에는 어큐뮬레이터(187)가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110)에서 토출된 냉매 중 오일을 회수하도록 압축기(110)의 토출배관(161)에는 오일분리기(113)가 설치될 수 있다.
사방밸브(160)는 냉난방 절환을 위한 유로 절환 밸브로서, 압축기(110)에서 압축된 냉매를 냉방 운전시 실외 열교환기(140)로 안내하고, 난방 운전시 실내 열교환기(120)로 안내한다. 사방밸브(160)는 냉방 운전시 A 상태이며, 난방 운전시 B 상태이다.
실외 열교환기(140)는 실외 공간에 배치되며, 실외 열교환기(140)를 통과하는 냉매가 실외 공기와 열교환을 한다. 실외 열교환기(140)는 냉방 운전 시 응축기로 작용하고, 난방 운전 시 증발기로 작용한다.
실외 열교환기(140)는 제 1 유입배관(166)과 연결되어 액관(165)을 통하여 실내기(IU)와 연결된다. 실외 열교환기(140)는 제 2 유입배관(167)과 연결되어 사방밸브(160)과 연결된다.
과냉각기(180)는 과냉용 열교환기(184), 제2바이패스 배관(181), 과냉 팽창 밸브(182) 및 배출 배관(185)을 포함한다. 과냉용 열교환기(184)는 제 1 유입배관(166) 상에 배치된다. 냉방 운전 시, 제2바이패스 배관(181)은 과냉용 열교환기(184)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바이패스 시켜서 과냉 팽창 밸브(182)로 유입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과냉 팽창 밸브(182)는 제2바이패스 배관(181) 상에는 배치되어, 제2바이패스 배관(181)으로 유입되는 액상의 냉매를 교축시켜서, 냉매의 압력 및 온도를 낮춘 후, 과냉용 열교환기(184)로 유입시킨다. 과냉 팽창 밸브(182)는 다양한 종류가 이용될 수 있으며 사용의 편의성을 위하여 선형 팽창 밸브(Linear expansion valve)가 이용될 수 있다. 제2바이패스 배관(181) 상에는 과냉 팽창 밸브(182)에서 교축된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과냉 온도 센서(183)가 설치된다.
냉방 운전 시, 실외 열교환기(140)를 거친 응축 냉매가 제2바이패스 배관(181)을 통하여 유입된 저온의 냉매와 과냉용 열교환기(184)에서 열교환하여 과냉된 후 실내기(IU)로 유동한다.
제2바이패스 배관(181)을 통과한 냉매는 과냉 열교환기(184)에서 열교환 후, 배출 배관(185)을 통하여 어큐뮬레이터(187)로 유입된다. 배출 배관(185) 상에는 어큐뮬레이터(187)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배출 배관 온도 센서(178)가 설치된다.
과냉각기(180)와 실내기(IU)를 연결하는 액관(165) 상에는 액관 온도 센서(174) 및 액관 압력 센서(156)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실내기(IU)는, 실내 열교환기(120), 실내 송풍기(125) 및 실내 팽창 밸브(131)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1개 또는 복수의 실내기(IU)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 열교환기(120)는 실내 공간에 배치되어 실내 열교환기(120)를 통과하는 냉매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을 한다. 실내 열교환기(120)는 냉방 운전 시 증발기로 작용하고, 난방 운전 시 응축기로 작용한다. 실내 열교환기(120)에는 실내 온도를 측정하는 실내 온도 센서(176)가 설치된다.
실내 팽창 밸브(131)는 냉방 운전 시 유입되는 냉매를 교축하는 장치이다. 실내 팽창 밸브(131)는 실내기(IU)의 실내 입구 배관(163)에 설치된다. 실내 팽창 밸브(131)는 다양한 종류가 이용될 수 있으며 사용의 편의성을 위하여 선형 팽창 밸브(Linear expansion valve)가 이용될 수 있다. 실내 팽창 밸브(131)는 냉방 운전 시 설정된 개도로 개방되며, 난방 운전시 완전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내 입구 배관(163) 상에는 실내 입구 배관 온도 센서(173)가 설치된다. 실내 입구 배관 온도 센서(173)는 실내 열교환기(120)와 실내 팽창 밸브(131)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실내 출구 배관(164) 상에는 실내 출구 배관 온도 센서(172)가 설치된다.
상술한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냉매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압축기(110)로부터 토출된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는, 사방밸브(160)를 거쳐 제 2 유입배관(167)을 통하여 실외 열교환기(140)로 유입된다. 실외 열교환기(140)에서 냉매는 실외 공기와 열교환되어 응축한다. 실외 열교환기(140)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는 제 1 유입배관(166)을 통하여 과냉각기(180)로 유입된다. 유입된 냉매는 과냉용 열교환기(184)에서 과냉된 후 실내기(IU)로 유입된다.
과냉용 열교환기(184)에서 과냉된 냉매의 일부는 과냉 팽창 밸브(182)에서 교축되어 과냉용 열교환기(184)를 통과하는 냉매를 과냉시킨다. 과냉 열교환기(184) 과냉시킨 냉매는 어큐뮬레이터(187)로 유입된다.
실내기(IU)로 유입된 냉매는 설정된 개도로 개방된 실내 팽창 밸브(131)에서 교축된 후 실내 열교환기(120)에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한다. 증발된 냉매는 사방밸브(160) 및 어큐뮬레이터(187)를 거쳐 압축기(110)로 유입된다.
상술한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시 냉매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압축기(110)로부터 토출된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는, 사방밸브(160)를 거쳐 실내기(IU)로 유입된다. 실내기(IU)의 실내 팽창 밸브(131)들은 완전 개방된다. 실내기(IU)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는 제 1 유입배관(166)을 통하여 실외 열교환기(140)로 유입되고 실외 열교환기(140)에서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한다. 증발된 냉매는 제 2 유입배관(167)을 통하여 사방밸브(160) 및 어큐뮬레이터(187)를 거쳐 압축기(110)의 흡입배관(162)으로 유입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 열교환기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 열교환기(140)는, 냉방운전시 압축기(110)에서 압축된 냉매가 유입되는 제 1 헤더파이프(141a)와, 제 1 헤더파이프(141a)와 연결되어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143)와, 냉방운전시 열교환부(143)에서 열교환된 냉매가 통과하는 바이패스 배관(144)과, 냉방운전시 바이패스 배관(144)을 통과한 냉매가 유입되며 열교환부(143)와 연결되는 제 2 헤더파이프(141b)와, 제 1 헤더파이프(141a)와 열교환부(143)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 1 헤더분지배관(142a)과, 제 2 헤더파이프(141b)와 열교환부(143)를 복수의 제 1 헤더분지배관(142a)과 교차하여 연결하는 복수의 제 2 헤더분지배관(142b)을 포함한다.
제 1 헤더파이프(141a)의 일단은 제 2 유입배관(167)과 연결되어 압축기(110)와 연결된다. 제 1 헤더파이프(141a)의 타단은 바이패스 배관(144) 및 제 2 헤더파이프(141b)와 연결된다. 제 1 헤더파이프(141a)의 타단에는 체크밸브(149)가 배치된다. 체크밸브(149)는 제 1 헤더파이프(141a)로부터 제 2 헤더파이프(141b)로 냉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 2 헤더파이프(141b)로부터 제 1 헤더파이프(141a)로 냉매가 유입되는 것은 허용한다.
제 1 헤더파이프(141a)는 복수의 제 1 헤더분지배관(142a)과 연결된다. 제 1 헤더파이프(141a)는 복수의 제 1 헤더분지배관(142a)으로 분지되어 열교환부(143)의 일측과 연결된다.
복수의 제 1 헤더분지배관(142a)은 제 1 헤더파이프(141a)와 열교환부(143)를 연결한다. 복수의 제 1 헤더분지배관(142a)은 제 1 헤더파이프(141a)로부터 분지되어 열교환부(143)의 일측에 연결된다. 복수의 제 1 헤더분지배관(142a)은 복수의 제 2 헤더분지배관(142b)과 교차하여 열교환부(143)의 일측에 연결된다. 즉, 복수의 제 1 헤더분지배관(142a)은 복수의 제 2 헤더분지배관(142b)과 교대로 열교환부(143)에 연결된다. 복수의 제 1 헤더분지배관(142a)과 복수의 제 2 헤더분지배관(142b)은 하나씩 교대씩 열교환부(143)에 연결되거나 2개 이상의 군을 이루어 교대로 열교환부(143)에 연결될 수 있다.
열교환부(143)는 일측에 복수의 제 1 헤더분지배관(142a)과 복수의 제 2 헤더분지배관(142b)이 교대로 연결되고, 타측에 복수의 제 1 분배분지배관(146a)과 복수의 제 2 분배분지배관(146b)이 교대로 연결된다. 열교환부(143)는 냉매가 유동하는 복수의 냉매튜브와 복수의 전열핀으로 구성되어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한다.
열교환부(143)의 복수의 냉매튜브의 일측은 복수의 제 1 헤더분지배관(142a)과 복수의 제 2 헤더분지배관(142b)이 교대로 연결되고, 타측은 복수의 제 1 분배분지배관(146a)과 복수의 제 2 분배분지배관(146b)이 교대로 연결된다. 제 1 헤더분지배관(142a)과 연결된 냉매튜브는 제 1 분배분지배관(146a)과 연결되며, 제 2 헤더분지배관(142b)과 연결된 냉매튜브는 제 2 분배분지배관(146b)과 연결된다.
복수의 제 1 분배분지배관(146a)은 제 1 분배기(147a)와 열교환부(143)를 연결한다. 복수의 제 1 분배분지배관(146a)은 제 1 분배기(147a)로 합지된다. 복수의 제 1 분배분지배관(146a)은 복수의 제 2 분배분지배관(146b)과 교차하여 열교환부(143)의 타측에 연결된다. 즉, 복수의 제 1 분배분지배관(146a)은 복수의 제 2 분배분지배관(146b)과 교대로 열교환부(143)에 연결된다. 복수의 제 1 분배분지배관(146a)과 복수의 제 2 분배분지배관(146b)은 하나씩 교대씩 열교환부(143)에 연결되거나 2개 이상의 군을 이루어 교대로 열교환부(143)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분배기(147a)는 복수의 제 1 분배분지배관(146a)과 제 1 분배배관(148a)을 연결한다. 제 1 분배기(147a)는 복수의 제 1 분배분지배관(146a)이 합지되어 연결된다. 제 1 분배기(147a)는 복수의 제 1 분배분지배관(146a)을 통하여 열교환부(143)와 연결된다.
제 1 분배배관(148a)은 제 1 분배기(147a)와 연결된다. 제 1 분배배관(148a)은 제 1 분배기(147a) 및 복수의 제 1 분배분지배관(146a)를 통하여 열교환부(143)의 타측과 연결된다.
제 1 분배배관(148a)은 제 1 유입배관(166)과 연결된다. 제 1 분배배관(148a)과 제 2 분배배관(148b)은 제 1 유입배관(166)으로 합지된다.
제 1 분배배관(148a)에는 제 1 분배배관(148a)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 1 팽창밸브(132a)가 배치된다. 제 1 팽창밸브(132a)는 제 1 분배배관(148a)을 통과하는 냉매를 교축하거나 바이패스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바이패스 배관(144)은 일단이 제 1 분배배관(148a)과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헤더파이프(141b)와 연결된다. 바이패스 배관(144)에는 개폐되어 냉매의 흐름을 조절하는 단속밸브(145)가 배치된다. 단속밸브(145)는 개방되어 제 1 분배기(147a)로부터 제 2 헤더파이프(141b)로 냉매가 유동하도록 하고, 폐쇄되어 제 2 헤더파이프(141b)로부터 제 1 분배기(147a) 냉매가 유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바이패스 배관(144)은 제 1 분배기(147a)와 연결되거나 복수의 제 1 헤더분지배관(142a)과 연결될 수 있다.
제 2 헤더파이프(141b)는 바이패스 배관(144) 및 제 1 헤더파이프(141a)와 연결된다. 제 2 헤더파이프(141b)는 복수의 제 2 헤더분지배관(142b)과 연결된다. 제 2 헤더파이프(141b)는 복수의 제 2 헤더분지배관(142b)으로 분지되어 열교환부(143)의 일측과 연결된다.
복수의 제 2 헤더분지배관(142b)은 제 2 헤더파이프(141b)와 열교환부(143)를 연결한다. 복수의 제 2 헤더분지배관(142b)은 제 2 헤더파이프(141b)로부터 분지되어 열교환부(143)의 일측에 연결된다. 복수의 제 2 헤더분지배관(142b)은 복수의 제 1 헤더분지배관(142a)과 교차하여 열교환부(143)의 일측에 연결된다. 즉, 복수의 제 2 헤더분지배관(142b)은 복수의 제 1 헤더분지배관(142a)과 교대로 열교환부(143)에 연결된다. 복수의 제 2 헤더분지배관(142b)과 복수의 제 1 헤더분지배관(142a)은 하나씩 교대씩 열교환부(143)에 연결되거나 2개 이상의 군을 이루어 교대로 열교환부(143)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 분배분지배관(146b)은 제 2 분배기(147b)와 열교환부(143)를 연결한다. 복수의 제 2 분배분지배관(146b)은 제 2 분배기(147b)로 합지된다. 복수의 제 2 분배분지배관(146b)은 복수의 제 1 분배분지배관(146a)과 교차하여 열교환부(143)의 타측에 연결된다. 즉, 복수의 제 2 분배분지배관(146b)은 복수의 제 1 분배분지배관(146a)과 교대로 열교환부(143)에 연결된다. 복수의 제 2 분배분지배관(146b)과 복수의 제 1 분배분지배관(146a)은 하나씩 교대씩 열교환부(143)에 연결되거나 2개 이상의 군을 이루어 교대로 열교환부(143)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분배기(147b)는 복수의 제 2 분배분지배관(146b)과 제 2 분배배관(148b)을 연결한다. 제 2 분배기(147b)는 복수의 제 2 분배분지배관(146b)이 합지되어 연결된다. 제 2 분배기(147b)는 복수의 제 2 분배분지배관(146b)을 통하여 열교환부(143)와 연결된다.
제 2 분배배관(148b)은 제 2 분배기(147b)와 연결된다. 제 2 분배배관(148b)은 제 2 분배기(147b) 및 복수의 제 2 분배분지배관(146b)를 통하여 열교환부(143)의 타측과 연결된다.
제 2 분배배관(148b)은 제 1 유입배관(166)과 연결된다. 제 2 분배배관(148b)과 제 1 분배배관(148a)은 제 1 유입배관(166)으로 합지된다.
제 2 분배배관(148b)에는 제 2 분배배관(148b)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 2 팽창밸브(132b)가 배치된다. 제 2 팽창밸브(132b)는 제 2 분배배관(148b)을 통과하는 냉매를 교축하거나 바이패스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술한 실외 열교환기의 냉방 운전시 냉매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압축기(110)에서 압축된 냉매는 제 2 유입배관(167)을 통하여 제 1 헤더파이프(141a)로 유입된다. 제 1 헤더파이프(141a)로 유입된 냉매는 체크밸브(149)에 의하여 제 2 헤더파이프(141b)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 1 헤더파이프(141a)로 유입된 냉매는 복수의 제 1 헤더분지배관(142a)을 통하여 열교환부(143)로 유동된다.
열교환부(143)로 유동된 냉매는 공기와 열교환되어 응축된다. 열교환부(143)에서 응축된 냉매는 복수의 제 1 분배분지관(146a)으로 유입된 후 제 1 분배기(147a)를 거쳐 제 1 분배배관(148a)으로 유동된다. 냉방 운전시 제 1 팽창밸브(132a)는 폐쇄되므로 제 1 분배배관(148a)으로 유동된 냉매는 제 1 유입배관(166)으로 유동되지 못하고, 바이패스 배관(144)으로 유동된다.
바이패스 배관(144)을 통과한 냉매는 제 2 헤더파이프(141b)로 유입된다. 제 2 헤더파이프(141b)로 유입된 냉매는 복수의 제 2 헤더분지배관(142b)을 통하여 열교환부(143)로 유동된다.
열교환부(143)로 유동된 냉매는 공기와 열교환되어 재차 응축된다. 이 때, 복수의 제 2 헤더분지배관(142b)이 복수의 제 1 헤더분지배관(142a)과 교대로 열교환부(143)에 연결되므로, 복수의 제 2 헤더분지배관(142b)에서 열교환부(143)로 유입되는 냉매는 복수의 제 1 헤더분지배관(142a)에서 열교환부(143)로 유입되는 냉매의 사이를 유동하게 된다.
열교환부(143)에서 응축된 냉매는 복수의 제 2 분배분지관(146b)으로 유입된 후 제 2 분배기(147b)를 거쳐 제 2 분배배관(148b)으로 유동된다. 냉방 운전시 제 2 팽창밸브(149a)는 완전 개방되므로 제 2 분배배관(148b)으로 유동된 냉매는 제 1 유입배관(166)으로 유동되어 액관(165)을 통하여 실내기(IU)로 유동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술한 실외 열교환기의 난방 운전시 냉매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실내기(IU)의 실내 열교환기(120)에서 응축된 냉매는 액관(165)을 통하여 제 1 유입배관(166)으로 유동된다. 제 1 유입배관(166)으로 유동된 냉매는 제 1 분배배관(148a)과 제 2 분배배관(148b)으로 각각 유동된다.
제 2 분배배관(148b)으로 유동된 냉매는 개도가 조절된 제 2 팽창밸브(132b)에서 팽창된다 제 2 팽창밸브(132b)에서 팽창된 냉매는 제 2 분배기(147b) 및 복수의 제 2 분배분지배관(146b)을 통하여 열교환부(143)로 유동된다.
열교환부(143)로 유동된 냉매는 공기와 열교환되어 증발된다. 열교환부(143)에서 증발된 냉매는 제 1 헤더분지배관(142a)을 거쳐 제 2 헤더파이프(141b)로 유입된다.
난방 운전시 단속밸브(145)는 폐쇄되어 제 2 헤더파이프(141b)로 유입된 냉매는 바이패스 배관(144)을 통과하지 못한다. 제 2 헤더파이프(141b)로 유입된 냉매는 제 1 헤더파이프(141a)로 유입된다.
한편, 제 1 분배배관(148a)으로 유동된 냉매는 난방운전시 단속밸브(145)가 폐쇄되므로 제 2 헤더파이프(141b)로 유동되지 못하고 개도가 조절된 제 1 팽창밸브(132a)에서 팽창된다 제 1 팽창밸브(132a)에서 팽창된 냉매는 제 1 분배기(147a)를 거쳐 복수의 제 1 분배분지배관(146a)으로 유동된다.
제 1 분배분지배관(146a)으로 유입된 냉매는 열교환부(143)로 유동된다. 열교환부(143)로 유동된 냉매는 공기와 열교환되어 증발된다.
복수의 제 2 분배분지배관(146b)이 복수의 제 1 분배분지배관(146a)과 교대로 열교환부(143)에 연결되므로, 복수의 제 2 분배분지배관(146b)에서 열교환부(143)로 유입되는 냉매는 복수의 제 1 분배분지배관(146a)에서 열교환부(143)로 유입되는 냉매의 사이를 유동하게 된다.
열교환부(143)에서 증발된 냉매는 복수의 제 1 헤더분지배관(142a)을 통하여 제 1 헤더파이프(141a)로 유입된다. 제 1 헤더파이프(141a)로 유입된 냉매는 제 2 헤더파이프(141b)를 통과한 냉매와 합류한 후 제 2 유입배관(167)으로 유동되어 압축기(110)로 유동된다.
난방 운전시 열교환부(143)에서 복수의 제 1 분배분지배관(146a)을 통과한 냉매와 복수의 제 2 분배분지배관(146b)을 통과한 냉매가 순차적으로 통과하므로 열교환부(143)의 서리 발생이 일부에 집중되지 않는다.
또한, 서리 발생시 서리 제거를 위하여 냉방 사이클을 돌리는 제상 운전시 열교환부(143)에서 복수의 제 1 헤더분지배관(142a)을 통과한 냉매와 복수의 제 2 헤더분지배관(142b)을 통과한 냉매가 순차적으로 통과하므로 열교환부(143)의 서리 제거가 골고루 이루어진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40: 실외 열교환기 141a: 제 1 헤더파이프
141b: 제 2 헤더파이프 142a: 제 1 헤더분지배관
142b: 제 2 헤더분지배관 143: 열교환부
144: 바이패스 배관 145: 단속밸브
146a: 제 1 분배분지배관 146b: 제 2 분배분지배관
147a: 제 1 분배기 147b: 제 2 분배기
148a: 제 1 분배배관 148b: 제 2 분배배관
149: 체크밸브 132a: 제 1 팽창밸브
132b: 제 2 팽창밸브

Claims (8)

  1. 공기조화기에 포함되어 냉방운전 및 제상운전시 응축기로 작용되고 난방운전시 증발기로 작용되는 실외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냉방운전 및 상기 제상운전시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유입되는 제 1 헤더파이프;
    상기 냉방운전 및 상기 제상운전시 상기 제 1 헤더파이프와 연결되어 압축된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하여 응축하는 열교환부;
    상기 냉방운전 및 상기 제상운전시 상기 열교환부에서 응축된 냉매가 통과하는 바이패스 배관;
    상기 냉방운전 및 상기 제상운전시 상기 바이패스 배관을 통과한 응축된 냉매가 유입되며 상기 열교환부와 연결되는 제 2 헤더파이프;
    상기 제 1 헤더파이프와 상기 열교환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 1 헤더분지배관; 및
    상기 제 2 헤더파이프와 상기 열교환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 2 헤더분지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냉방운전 및 상기 제상운전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제 2 헤더파이프와 연결되어 응축된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하여 재응축하고,
    상기 열교환부는 냉매가 유동하는 복수의 냉매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냉방운전 및 상기 제상운전시 상기 복수의 냉매튜브는 상기 복수의 제 1 헤더분지배관과 상기 복수의 제 2 헤더분지배관이 교차하여 연결되어 냉매의 응축과 재응축이 교차하여 수행되는 실외 열교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헤더파이프는 상기 제 2 헤더파이프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헤더파이프에 배치되며 냉방운전시 상기 제 1 헤더파이프로부터 상기 제 2 헤더파이프로 냉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실외 열교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배관에 배치되며 개폐되어 냉매의 흐름을 조절하는 단속밸브를 더 포함하는 실외 열교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방운전 및 상기 제상운전시 상기 제 1 헤더파이프를 통과하여 상기 열교환부에서 열교환된 냉매가 유입되도록 상기 열교환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 1 분배분지배관; 및
    상기 냉방운전 및 상기 제상운전시 상기 제 2 헤더파이프를 통과하여 상기 열교환부에서 열교환된 냉매가 유입되도록 상기 열교환부에 상기 복수의 제 1 분배분지배관과 교차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 2 분배분지배관을 더 포함하는 실외 열교환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분배분지배관이 합지되는 제 1 분배기; 및
    상기 복수의 제 2 분배분지배관이 합지되는 제 2 분배기를 더 포함하는 실외 열교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배기와 연결되는 제 1 분배배관;
    상기 제 2 분배기와 연결되는 제 2 분배배관;
    상기 제 1 분배배관에 배치되어 개도를 조절하는 제 1 팽창밸브; 및
    상기 제 2 분배배관에 배치되어 개도를 조절하는 제 2 팽창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팽창밸브는 상기 냉방운전 및 상기 제상운전시 폐쇄되고,
    상기 제 2 팽창밸브는 상기 냉방운전 및 상기 제상운전시 개방되는 실외 열교환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팽창밸브는 난방운전시 실내 열교환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하고,
    상기 열교환부는 난방운전시 상기 제 2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하고,
    상기 제 2 헤더파이프는 상기 열교환부에서 열교환된 냉매가 유입되고,
    상기 제 1 팽창밸브는 난방운전시 실내 열교환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하고,
    상기 열교환부는 난방운전시 상기 제 1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하고,
    제 1 헤더파이프는 상기 제 1 열교환부에서 열교환된 냉매와 상기 제 2 헤더파이프로로 유입된 냉매가 유입되는 실외 열교환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배분지배관은 상기 바이패스 배관과 연결되는 실외 열교환기.
KR1020120006965A 2012-01-20 2012-01-20 실외 열교환기 Active KR101852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965A KR101852374B1 (ko) 2012-01-20 2012-01-20 실외 열교환기
US13/742,866 US9625217B2 (en) 2012-01-20 2013-01-16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same
ES13151639.5T ES2610734T3 (es) 2012-01-20 2013-01-17 Intercambiador de calor y acondicionador de aire que incluye el mismo
EP13151639.5A EP2618077B1 (en) 2012-01-20 2013-01-17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965A KR101852374B1 (ko) 2012-01-20 2012-01-20 실외 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5849A KR20130085849A (ko) 2013-07-30
KR101852374B1 true KR101852374B1 (ko) 2018-04-26

Family

ID=47563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6965A Active KR101852374B1 (ko) 2012-01-20 2012-01-20 실외 열교환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25217B2 (ko)
EP (1) EP2618077B1 (ko)
KR (1) KR101852374B1 (ko)
ES (1) ES2610734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59039B (zh) * 2013-10-25 2017-09-12 三菱电机株式会社 换热器和使用该换热器的制冷循环装置
JP5949831B2 (ja) * 2014-05-28 2016-07-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KR101550549B1 (ko) * 2014-08-01 2015-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101550550B1 (ko) * 2014-08-14 2015-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101615445B1 (ko) 2014-08-14 2016-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US20160123645A1 (en) * 2014-10-29 2016-05-05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7110577B (zh) 2015-02-27 2019-11-05 日立江森自控空调有限公司 热交换装置及具备该热交换装置的空调机
KR102491602B1 (ko) * 2015-10-23 2023-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WO2019106755A1 (ja) * 2017-11-29 2020-07-02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102447943B1 (ko) * 2018-02-05 2022-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0347A (ja) 2000-05-22 2001-11-30 Hitachi Ltd 空気調和機
KR100333814B1 (ko) 1999-05-29 2002-04-26 윤종용 냉난방 겸용 분리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상 방법
JP2003121019A (ja) * 2001-10-12 2003-04-23 Sharp Corp 空気調和機
KR100846266B1 (ko) 2006-09-07 2008-07-16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기
US20110056667A1 (en) * 2008-07-15 2011-03-10 Taras Michael F Integrated multi-circuit microchannel heat exchange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9851A (en) * 1980-01-17 1983-06-28 Carrier Corporation Method for defrosting a heat exchanger of a refrigeration circuit
US4535838A (en) * 1983-11-07 1985-08-20 American Standard Inc. Heat exchange coil and method of making
US5806585A (en) * 1995-02-27 1998-09-1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Heat exchanger, refrigeration system, air conditione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heat exchanger
JP4277373B2 (ja) * 1998-08-24 2009-06-10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ヒートポンプサイクル
AU6246799A (en) * 1999-09-27 2001-04-30 Chen, Chung-Chin Air conditioner arrangement
EP1589299A3 (en) * 2004-04-22 2007-11-21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Heat pump and compressor discharge pressure controlling apparatus for the same
JP2007218532A (ja) * 2006-02-17 2007-08-30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
JP4997004B2 (ja) * 2007-07-17 2012-08-08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KR101581466B1 (ko) * 2008-08-27 2015-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
US8037709B2 (en) * 2008-10-16 2011-10-18 Garrett Strunk Heat pump with pressure reducer
JP2010234945A (ja) * 2009-03-31 2010-10-21 Hitachi Ltd 鉄道車両用ヒートポンプ空調装置
KR101036154B1 (ko) * 2009-04-17 2011-05-23 (주)데이타비전 재난 경보 인지용 다목적 id카드
JP5474403B2 (ja) * 2009-05-20 2014-04-16 三洋電機株式会社 冷媒分流器
KR101264471B1 (ko) * 2009-12-11 2013-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매 시스템 연동 물 순환 시스템
KR101233209B1 (ko) * 2010-11-18 201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 펌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3814B1 (ko) 1999-05-29 2002-04-26 윤종용 냉난방 겸용 분리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상 방법
JP2001330347A (ja) 2000-05-22 2001-11-30 Hitachi Ltd 空気調和機
JP2003121019A (ja) * 2001-10-12 2003-04-23 Sharp Corp 空気調和機
KR100846266B1 (ko) 2006-09-07 2008-07-16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기
US20110056667A1 (en) * 2008-07-15 2011-03-10 Taras Michael F Integrated multi-circuit microchannel heat exchan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18077B1 (en) 2016-10-26
US9625217B2 (en) 2017-04-18
EP2618077A2 (en) 2013-07-24
KR20130085849A (ko) 2013-07-30
US20130192809A1 (en) 2013-08-01
ES2610734T3 (es) 2017-05-03
EP2618077A3 (en) 2015-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2374B1 (ko) 실외 열교환기
KR101872784B1 (ko) 실외 열교환기
KR101770643B1 (ko) 실외 열교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JP4704728B2 (ja) 空調機の冷媒温度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CN106225326B (zh) 热泵系统、控制方法及空调器
US11519640B2 (en) Air conditioner
JP7541101B2 (ja) 空気調和装置
WO2017138108A1 (ja) 空気調和装置
JP5235925B2 (ja) 冷凍装置
JP6246394B2 (ja) 空気調和装置
KR101872783B1 (ko) 실외 열교환기
JP7583738B2 (ja) 空気調和装置
KR101891615B1 (ko) 실외 열교환기
KR101416939B1 (ko) 실외 열교환기
KR102337394B1 (ko) 공기조화기
CN108007010B (zh) 一种热泵系统
KR101425043B1 (ko) 실외 열교환기
KR101936637B1 (ko) 실외 열교환기
KR100677267B1 (ko) 냉난 동시형 멀티 공기조화기의 분배유닛
KR101425041B1 (ko) 실외 열교환기
KR101587149B1 (ko) 공기조화기
KR101425042B1 (ko) 실외 열교환기
KR101685846B1 (ko) 공기 조화기
KR20200048378A (ko) 실외 열교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CN117663528A (zh) 热泵系统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1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4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4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