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50218B1 - 실링제 및 이를 구비한 방수 커넥터 - Google Patents

실링제 및 이를 구비한 방수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218B1
KR101850218B1 KR1020160163137A KR20160163137A KR101850218B1 KR 101850218 B1 KR101850218 B1 KR 101850218B1 KR 1020160163137 A KR1020160163137 A KR 1020160163137A KR 20160163137 A KR20160163137 A KR 20160163137A KR 101850218 B1 KR101850218 B1 KR 101850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ble
hole
insertion groove
sealing ag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현경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63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2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21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aterial, e.g. gels or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0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2003/1087Material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specific u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 덮개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에서 제1 케이블이 인입되는 제1 케이블 삽입 홈 또는 구멍; 상기 제1 케이블 삽입 홈 또는 구멍의 반대쪽에 형성되고 제2 케이블이 인입되는 제2 케이블 삽입 홈 또는 구멍; 둘 이상의 블레이드가 브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은 각각상기 브이 형상의 블레이드에 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 및 제2 거치대로서, 제1 및 제2 거치대는 전도성이며, 전기적인 소통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1 및 제2 거치대 ; 상기 덮개의 내측에 상기 제1 및 제2 거치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덮개가 상기 하우징을 덮게 되는 경우 상기 각각의 거치대에 거치된 케이블이 상기 각각의 거치대의 두 블레이드에 가압되어 피복이 벗겨지고 상기 케이블 내 전도체가 상기 두 블레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돌기; 및 점성 및 가소성을 갖는 분말 페이스트 타입의 방수 및 절연성 실링제로서, 상기 하우징에 케이블이 위치하고 상기 덮개가 덮어진 경우 하우징의 내부 부피보다 많은 양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및 상기 덮개의 내측에 가득 채워진 실링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실링제 및 이를 구비한 방수 커넥터를 사용하면, 기존 방수커넥터에 적용되던 와이어 씰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온도 및 자외선 등에 의한 손상에서 자유로울 수 있고, 본 발명은 하우징 및 실링제로만 구성됨으써 구조가 간단해지며 이로 인해 생산단가를 절감될 수 있으며, 실링제를 하우징의 내부에 하우징의 내부 부피보다 많은 양으로 가득 채우고 그 일부가 하우징의 외부로 확산됨으로써 보다 완벽한 기밀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실링제 및 이를 구비한 방수 커넥터{SEALING MATERIALS AND WATERPROOF CONNECTOR}
본 발명은 실링제 및 이를 구비한 방수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보다상세하게 설명하면 수분 또는 전자기파 등 외부 조건으로부터 케이블의 접촉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충분한 양의 실링제를 구비한 방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전기 기구와 코드, 또는 코드와 코드를 연결하여 전기 회로를 구성하기 위한 접속 기구로서, 자동차의 배선이나 전자장비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에는 많은 전자 장치들이 있으며 이들은 케이블이나 와이어를 통해 다른 전자 장치나 전원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때, 케이블이나 와이어를 전자 장치나 다른 전원 및 기기에 직접 접속하는 경우, 작업이 번잡할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보통 커넥터를 이용하여 접속하게 된다. 이러한 커넥터는 커넥터의 외관 및 골격을 이루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단자가 설치되는 단자수용실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단자가 연결된 와이어는 하우징의 뒤쪽으로부터 삽입되어 하우징 내부의 단자수용실에 고정되는 구조로 조립된다. 그리고, 이렇게 와이어가 결속되어 있는 커넥터는 다른 커넥터 또는 기기에 상호 체결됨으로써,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에는 수분 또는 전자파로 인한 기기의 오작동 및 사고 방지를 위해 방수 및 차폐 부품들이 장착된다. 예를 들면, 자동차에 사용되는 커넥터의 경우, 수분에 취약한 환경에 많이 노출되는 관계로 대부분 커넥터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타입의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방수타입의 커넥터에는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는 와이어 씰이나 더미 씰 등과 같은 방수용 씰이 갖추어져 있으며, 따라서 방수용 씰에 의해서 커넥터 내부의 단자가 수분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형태로, 2개 이상의 케이블을 케이스 또는 클로우져 내부에 연결할 때는 케이블 코어(심선)을 노출시키기 위해 케이블로부터 케이블 외피를 제거하고 2개 이상의 노출된 케이블 코어를 연결함으로써 서로 연결한다. 이 경우, 물과 외력으로부터 케이블 접속점을 보호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기밀 구조의 케이블 케이싱 또는 클로우져가 케이블 접속점에 부착된다. 또한, 케이블과 케이블 케이싱 또는 클로우져는 방수신뢰성 및 절연신뢰성이 있어야 하며, 각기 다른 직경의 케이블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 케이싱 또는 클로우져는 다양한 직경의 케이블의 접속점에도 적용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케이블이 옥외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방수신뢰성 및 절연신뢰성 외에 충분한 내구성, 조립 및 분해작업의 용이성, 높은 강도 등이 요구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수능력을 갖는 기존의 커넥터들은 커넥터 구조의 형상에 따라 제조되는 고무재질의 패킹을 구조들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기밀성을 확보하지만 고무 재질의 패킹의 두께가 얇고 반복되는 커넥터의 재조립 과정을 거치면서 고무 패킹의 성능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 내부에 하우징의 내부 부피보다 많은 양의 실링제를 충분히 구비하고, 덮개가 하우징의 테두리 상에 포개어져 덮인 상태에서 실링제가 케이블의 접촉부위를 덮으며 이와 동시에 실링제가 하우징에 형성된 틈새를 통해 하우징의 외부로 확산되어 완벽한 기밀을 구현하는 방수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제 및 이를 구비한 방수 커넥터는,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 덮개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에서 제1 케이블이 인입되는 제1 케이블 삽입 홈 또는 구멍; 상기 제1 케이블 삽입 홈 또는 구멍의 반대쪽에 형성되고 제2 케이블이 인입되는 제2 케이블 삽입 홈 또는 구멍; 둘 이상의 블레이드가 브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은 각각이 상기 브이 형상의 블레이드에 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서로 이격 위치하는 제1 및 제2 거치대로서, 제1 및 제2 거치대는 전도성이며, 전기 소통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1 및 제2 거치대; 상기 덮개의 내측에 상기 제1 및 제2 거치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덮개가 상기 하우징을 덮게 되는 경우 상기 각각의 케이블 거치대에 거치된 케이블이 상기 거치대의 두 블레이드에 가압되어 피복이 벗겨지고 상기 케이블 내 전도체가 상기 두 블레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돌기; 및 점성 및 가소성을 갖는 분말 페이스트 타입의 방수 및 절연성 실링제로서, 상기 하우징에 케이블이 위치하고 상기 덮개가 덮어진 경우 하우징의 내부 부피보다 많은 양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및 상기 덮개의 내측에 가득 채워진 실링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의 저면에는 하우징의 양 측면에서 마주보며 인입 되는 케이블의 위치를 인도하고 케이블의 인입 상태를 고정 및 유지시키기 위해 케이블을 감싸는 형태의 케이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거치대, 제2 거치대 및 돌기는 덮개를 하우징의 테두리 상에 포개었을 때, 돌기가 제1 거치대 및 제2 거치대 내부에 일정 깊이 이상 삽입되어 제1 거치대 및 제2 거치대에 거치되는 케이블을 제1 거치대 및 제2 거치대의 블레이드에 접촉시킴으로써 피복의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실링제는 하우징 및 덮개가 상호 결속되었을 때, 하우징의 내부를 가득 메움과 동시에 하우징의 내부에서 하우징의 외부로 확산되어 하우징의 모든 틈새를 메움으로써 완벽한 기밀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방수커넥터에 적용되던 와이어 씰 또는 더미 씰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온도 및 자외선 등에 의한 손상에서 자유로울 수 있고, 본 발명은 하우징 및 실링제로만 구성됨으써 구조가 간단해지며 이로 인해 생산단가가 절감될 수 있으며, 실링제가 하우징의 내부 부피보다 많은 양이 구비되어 그 일부가 하우징의 외부로 확산됨으로 인해 보다 완벽한 기밀 성능이 구현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가이드부의 적용 예를 개략적으
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피복의 일부가 제거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에 실링제가 적용되는 형태
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서,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실링제 및 이를 구비한 방수커넥터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가이드부의 적용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피복의 일부가 제거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에 실링제가 적용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는 케이블 삽입 홈 또는 구멍으로 케이블이 수용되는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실링제를 하우징의 외부로 확산시킴으로써, 전체적으로 완벽한 방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방수 커넥터는 개폐 가능한 덮개(200)를 구비한 하우징(100) 및 실링제(5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제1 케이블 삽입 홈 또는 구멍(110), 제2 케이블 삽입 홈 또는 구멍(120), 케이블 가이드부(130), 제1 거치대(140), 제2 거치대(150) 및 잠금장치(16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제1 케이블 삽입 홈 또는 구멍(110) 및 제2 케이블 삽입 홈 또는 구멍(120)이 형성될 수 있는 면적을 가지며 예를 들어, 제1 케이블 삽입 홈 또는 구멍(110) 및 제2 케이블 삽입 홈 또는 구멍(120)을 통해 하우징(100)의 양측으로 인입 되는 케이블이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진다. 예를 들어,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일 수 있고, 하나의 저면 및 다수의 측면을 포함한다.
덮개(200)는 하우징(100)의 상부를 개폐하기 위해 하우징(100)의 일측면에 맞닿아 구비될 수 있고 덮개(200)의 내측에 하나 이상의 돌기(210)를 포함한다. 덮개(200)의 테두리는 하우징(100)의 테두리 형태와 동일한 형상일 수 있고, 덮개(200)의 테두리와 하우징(100)의 테두리가 맞닿아 하우징(100)의 상부를 덮어 밀폐하거나 덮개(200)를 하우징(100)로부터 분리함으로써 하우징(100)의 상부를 개방시킬 수 있다.
하우징(100) 및 덮개(200)는 하우징(100)의 테두리의 일부 및 덮개(200)의 테두리의 일부가 접하는 상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하우징(100) 및 덮개(200)가 상호 맞닿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힌지(미도시)를 구비함으로써 하우징(100) 및 덮개(200)를 연결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하우징(100) 및 덮개(200)의 맞닿는 부위는 나사 체결 또는 클램프 체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00) 및 덮개(200)의 테두리의 다수에 나사 체결부(미도시)가 구비되고, 나사 체결부에 나사를 체결함으로써 하우징(100) 및 덮개(2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하우징(100)의 테두리에 형성된 나사 체결부 및 덮개(200)의 테두리에 형성된 나사 체결부는 서로 통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제1 케이블 삽입 홈 또는 구멍(110)은 하우징(100)의 다수의 측면(102)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케이블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 예를 들어 원형일 수 있다. 또한 인입 되는 케이블의 개수와 대응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인입 되는 케이블이 한 개인 경우 케이블 삽입 홈 또는 구멍도 한 개가 형성될 수 있고, 다수의 케이블이 인입 되는 경우 케이블 삽입 홈 또는 구멍도 다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다수의 케이블이 다발을 이루어 인입 되는 경우에는 케이블 삽입 홈 또는 구멍이 다발로 이루어진 케이블들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케이블 삽입 홈 또는 구멍(120)은 제1 케이블 삽입 홈 또는 구멍(110)이 형성된 일측면을 제외한 타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케이블 삽입 홈 또는 구멍(110)이 형성된 일측면과 반대되는 타측면일 수 있다. 제2 케이블 삽입 홈 또는 구멍(120)의 형상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1 케이블 삽입 홈 또는 구멍(110)과 동일할 수 있다.
케이블 가이드부(130)는 제1 케이블 삽입 홈 또는 구멍(110) 및 제2 케이블 삽입 홈 또는 구멍(120)으로부터 인입된 케이블이 하우징(100) 내측에 정확하게 위치를 잡도록 유도하고, 케이블이 정확하게 위치한 경우, 케이블이 자리한 위치에서 케이블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케이블이 지나가는 경로 상에 하나 이상이 위치하고, 케이블 가이드부(130)의 내면이 케이블의 외면과 맞닿으며 케이블 가이드부(130)의 바닥면은 하우징(100)의 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케이블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고 케이블 가이드부(130)의 내면은 아치 또는 반원 또는 일부가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단된 타원의 형태로 구비되어 하우징(100)의 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거치대(140) 및 제2 거치대(150)는 제1 케이블(300) 및 제2 케이블(400)을 각각 거치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거치대는 특정한 위치로 수렴하는 복수의 블레이드(141)를 포함하며 복수의 블레이드(141)가 특정한 위치로 수렴함으로 인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케이블이 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거치대(140) 및 제2 거치대(150)의 하부에 각각 접하고 하우징(100)의 저면을 향해 길이가 연장된 기둥(1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거치대(140) 및 제2 거치대(150)의 블레이드(141)는 케이블의 피복을 벗길 수 있을 정도의 예리함을 가지며 복수의 블레이드(141)는 수렴하는 형태이므로 전체적으로 브이 형상일 수 있다. 기둥(142)의 상부는 제1 거치대(140) 및 제2 거치대(150)의 하단에 접하고 기둥(142)의 하부는 하우징(100)의 저면에 접하거나 하우징(100)의 저면 내부로 소정 깊이 이상 삽입 될 수 있다. 제1 거치대(140), 제2 거치대(150) 및 기둥(142)은 전기저항성이 낮고 특정한 어느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전기를 쉽게 전달하는 전도체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철, 구리와 같은 금속일 수 있다.
또한, 제1 거치대(140) 및 제2 거치대(150)는 제1 케이블 삽입 홈 또는 구멍(110) 및 제2 케이블 삽입 홈 또는 구멍(120)을 통해 인입 되고 케이블 가이드부(130)의 구멍을 통과하여 하우징(100)의 내부로 수납된 케이블을 거치하며 하우징(100)의 저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길이라 함은, 제1 케이블 삽입 홈 또는 구멍(110) 및 제2 케이블 삽입 홈 또는 구멍(120)을 통해 인입된 케이블이 케이블 가이드부(130)를 통과하면서 하우징(100)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된 높이와 동일한 높이임을 의미할 수 있다. 즉, 하우징(100)의 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된 제1 거치대(140) 및 제2 거치대(150)는 케이블과 동일축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거치대(140) 및 제2 거치대(150)의 블레이드(141)의 내측으로 케이블이 위치하고 블레이드(141)의 내측에 케이블을 감싸고 있는 피복이 접촉할 수 있다. 블레이드(141)의 단면은 피복을 제거 할 수 있을 정도의 예리함을 가지고 있으므로 블레이드(141)의 단면에 피복이 접촉함으로써 피복의 일부가 제거될 수 있다. 이때, 피복 내부에 위치한 전도체로 이루어진 코어 및 전도체로 이루어진 제1 거치대(140) 및 제2 거치대(150)의 블레이드(141)가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며 케이블에 전류를 인가하는 경우 케이블과 각각의 거치대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블(300) 및 제2 케이블(400)이 각각 거치되는 제1 거치대(140) 및 제2 거치대(1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제1 케이블(300)에 전류를 인가하는 경우 인가된 전류가 제1 케이블(300)을 거쳐 제2 케이블(400)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제2 케이블(400)에 전류를 인가하는 경우 인가된 전류가 제2 케이블(400)을 거쳐 제1 케이블(300)로 이동할 수 있다.
잠금장치(160)는 덮개(200)가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면의 테두리 상으로 포개어 맞닿은 상태가 되었을 때, 덮개(200) 및 하우징(100)의 맞닿은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잠금장치(160)는 암수 한 쌍으로 구성되어 하우징(100) 및 덮개(200)에 각각 하나씩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에 걸림쇠가 구비되면 덮개(200)에는 다른 하나인 걸림고리가 구비되어 걸림쇠를 걸림고리에 삽입하는 경우, 하우징(100) 및 덮개(200)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걸림쇠에 소정의 힘을 가해 걸림 고리로부터 걸림쇠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돌기(210)는 덮개(200)의 내측 면에 외부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덮개(200)가 하우징(100)을 덮는 경우, 돌기(210)가 제1 거치대(140) 및 제2 거치대(150)의 복수의 블레이드(141)가 수렴함으로써 형성하는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다. 이때, 돌기(210)는 제1 거치대(140) 및 제2 거치대(150)의 복수의 블레이드(141)가 수렴함으로써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케이블에 외압을 가함으로써 케이블을 제1 거치대(140) 및 제2 거치대(150)의 안쪽으로 밀어 넣을 수 있으며 따라서, 돌기(210)의 직경은 제1 거치대(140) 및 제2 거치대(15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직경, 예를 들어 제1 거치대(140) 및 제2 거치대(150)의 개방된 상면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실링제(500)는 점성 및 가소성을 가진 소재, 예를 들어 실리콘 또는 우레탄 또는 찰흙과 같은 성분을 가진 소재일 수 있다. 실링제(500)는 하우징(100)의 내측 또는 덮개(200)의 내측 또는 하우징(100)의 내측 및 덮개(200)의 내측에 하우징(100)의 내부 부피보다 많은 양이 구비될 수 있다. 가소성 갖기 때문에, 하우징(100) 및 덮개(200)의 내측 어느 곳에 실링제(500)를 구비해도 하우징(100)의 형상이 변형 되지 않으므로 하우징(100)을 개폐하는 것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점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하우징(100) 또는 덮개(200)의 어느 곳에 구비되어도 접촉면에서 떨어지지 않고 잘 붙어 있을 수 있다. 덮개(200)를 하우징(100)의 테두리 상에 덮는 과정으로 인해 실링제(500)에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실링제(500)는 가압에 의해 부피가 증가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하우징(100)의 외부로 넓게 퍼지는 형태로 실링제(500)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에어컨 마감제로 쓰이는 탄산칼슘 및 고무가 혼합된 소재일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소재는 반영구적으로 연성이 유지됨으로써, 실링제(500)를 적용한 후 제거 시에도 흔적이 남지 않아 깔끔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케이블의 기밀은 실링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실링제(500)는 하우징(100)의 내측 또는 덮개(200)의 내측 또는 하우징(100) 및 덮개(200)의 내측에 하우징(100)의 내부 부피보다 많은 양이 구비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의 테두리 및 덮개(200)의 테두리가 맞닿는 경우 하우징(100)의 내측 또는 덮개(200)의 내측 또는 하우징(100) 및 덮개(200)의 내측에 하우징(100)의 내부 부피보다 많은 양이 구비된 실링제(500)는 하우징(100) 및 덮개(200)의 결합으로 인해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눌려지게 되어 부피가 증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피가 증가한 실링제(500)는 하우징(100)의 내부를 가득 채우게 되며 이와 같은 과정에서 첫번째로, 제1 케이블(300)이 제1 거치대(140)의 블레이드(141)와 접촉하는 접촉부위 및 제2 케이블(400)이 제2 거치대(150)의 블레이드(141)와 접촉하는 접촉부위를 감싸고 두번째로, 하우징(100)에 형성된 모든 구멍 및 틈새, 예를 들어, 하우징(100) 및 덮개(200)의 접촉부위, 제1 케이블 삽입 홈 또는 구멍(110) 및 제2 케이블 삽입 홈 또는 구멍(120)을 통해 하우징(100)의 외부로 확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모든 구멍 및 틈새를 통해 하우징(100)의 외부로 확산되는 실링제(500)에 의해서 하우징(100)의 모든 구멍 및 틈새는 실링제(500)로 막히게 되고 이로 인해, 습기나 물 또는 전자파에 의한 외부적인 손상에서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제1 케이블(300) 및 제2 케이블(400)이 서로 마주보며 인입 한다. 이때, 제1 케이블(300)은 제1 케이블 삽입 홈 또는 구멍(110)을 통해 하우징(100)의 내부로 인입 되고, 제2 케이블(400)은 제2 케이블 삽입 홈 또는 구멍(120)을 통해 하우징(100)의 내부로 인입 된다. 또한,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케이블 가이드부(130)가 구비되는데, 제1 케이블 삽입 홈 또는 구멍(110) 및 제2 케이블 삽입 홈 또는 구멍(120)을 통해 하우징(100)의 내부로 인입된 제1 케이블(300) 및 제2 케이블(400)이 케이블 가이드부(130)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케이블 가이드부(130)에 형성되는 공간의 직경은 삽입되는 케이블의 직경에 비해 크게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케이블 가이드부(130)는 케이블이 제1 거치대(140) 및 제2 거치대(150)로 향하는 이동경로 상에 다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케이블 가이드부(130)의 내면에 형성된 공간에 케이블이 삽입됨으로써 인입된 케이블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케이블을 고정시킨 이후에, 하우징(100)의 내측 또는 덮개(200)의 내측 또는 하우징(100)의 내측 및 덮개(200)의 내측에 하우징(100)의 내부 부피보다 많은 양의 실링제(500)를 채운다. 사용하기 전의 실링제(500)는 비닐과 같이 실링제(500)를 보호할 수 있는 소재가 실링제(500)의 외면을 감싸고 있을 수 있으며 실링제(500)를 사용하기 직전에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링제(500)가 구비된 이후에는 하우징(100)의 테두리를 향해 덮개(200)가 이동하여 하우징(100)을 완전하게 덮음으로써 하우징(100) 및 덮개(200)가 결합되고 잠금장치(160)에 의해 하우징(100) 및 덮개(200)의 결합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잠금장치(160)는 나사 또는 클램프 또는 걸림쇠 및 걸림고리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덮개(200)의 내측에 형성된 돌기(210)가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된 제1 거치대(140) 및 제2 거치대(15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내측으로 삽입되고 이때, 돌기(210)는 제1 거치대(140) 및 제2 거치대(150)의 내측에 위치한 제1 케이블(300) 및 제2 케이블(400)의 상부에서 제1 케이블(300) 및 제2 케이블(400)을 지면방향으로 누르게 된다. 케이블이 지면방향으로 압력을 받으므로 케이블이 제1 거치대(140) 및 제2 거치대(150)의 복수의 블레이드(141)가 수렴함으로써 생성되는 공간의 내측으로 점점 들어가고 블레이드(141)와 접촉함으로써 케이블의 피복이 일부 제거된다. 피복이 일부 제거되면 피복 내에 위치한 전도체로 이루어진 코어가 드러나게 되며 코어는 전도체로 이루어진 제1 거치대(140) 및 제2 거치대(150)의 블레이드(141)와 접촉하게 됨으로써 케이블에 전류를 인가하는 경우, 제1 케이블(300)에서 제2 케이블(400)로 전류가 흐르거나 제2 케이블(400)에서 제1 케이블(300)로 전류가 흐를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진다.
또한, 덮개(200)가 하우징(100)을 덮는 과정에서 하우징(100)의 내측 또는 덮개(200)의 내측 또는 하우징(100) 및 덮개(200)의 내측에 하우징(100)의 내부 부피보다 많은 양이 구비되는 실링제(500)는 덮개(200) 및 하우징(100)의 결합에 따라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그 형태가 눌림으로써 부피가 팽창한다. 이때, 실링제(500)에 의해 제1 케이블(300)과 제1 거치대(140)의 블레이드(141)가 접촉하는 부위 및 제2 케이블과 제2 거치대(150)의 블레이드(141)가 접촉하는 부위가 실링제(500)로 덮이게 되며, 이와 동시에 실링제(500)의 일부는 하우징(100)의 모든 구멍 및 틈새, 예를 들어, 덮개(200) 및 하우징(100)의 테두리가 맞닿는 부분, 제1 케이블 삽입 홈 또는 구멍(110)에 제1 케이블(300)이 인입된 상태에서 발생하는 유격부위 및 제2 케이블 인입 홈 또는 구멍(120)에 제2 케이블(400)이 인입된 상태에서 발생하는 유격부위를 통해 하우징(100)의 외부로 확산될 수 있다. 즉, 실링제(500)는 하우징(100)의 내부를 가득 채움과 동시에 하우징(100)의 모든 구멍 및 틈새를 메움으로써 하우징(100)은 완벽한 방수 능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에 따르면, 기존 방수 커넥터에 적용되던 와이어 씰 또는 더미 씰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온도 및 자외선 등에 의한 손상에서 자유로울 수 있고, 본 발명은 하우징 및 실링제로만 구성됨으써 구조가 간단해지며 이로 인해 생산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점성 및 가소성이 있는 실링제를 하우징의 내측에 하우징의 내부 부피보다 많은 양으로 구비하여 실링제가 하우징의 내측을 가득 메움과 동시에 실링제는 하우징의 구멍 및 틈새를 통해 외부로 확산됨으로써 수분 또는 전자기파 등 외부 조건으로부터 케이블 접촉부위를 보호하는 완벽한 방수 능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상술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하우징
110 : 제1 케이블 삽입 홈 또는 구멍 120 : 제2 케이블 삽입 홈 또는 구멍
130 : 케이블 가이드부 140 : 제1 거치대
141 : 블레이드 142 : 기둥
150 : 제2 거치대 160 : 잠금장치
200 : 덮개 210 : 돌기
300 : 제1 케이블 400 : 제2 케이블
500 : 실링제

Claims (4)

  1.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 덮개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에서 제1 케이블이 인입되는 제1 케이블 삽입 홈 또는 구멍;
    상기 제1 케이블 삽입 홈 또는 구멍의 반대쪽에 형성되고 제2 케이블이 인입되는 제2 케이블 삽입 홈 또는 구멍;
    둘 이상의 블레이드가 브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은 각각상기 브이 형상의 블레이드에 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 및 제2 거치대로서, 제1 및 제2 거치대는 전도성이며, 전기적인 소통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1 및 제2 거치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케이블 삽입 홈 또는 구멍과 상기 제2 케이블 삽입 홈 또는 구멍을 통해 인입되는 케이블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케이블 삽입 홈 또는 구멍과 상기 제1 거치대의 사이 및 상기 제2 케이블 삽입 홈 또는 구멍과 상기 제2 거치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인입되는 케이블을 상기 제1 거치대 및 제2 거치대 방향으로 인도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인입되는 케이블을 감싸도록 아치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된 케이블의 인입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케이블 가이드부;
    상기 덮개의 내측에 상기 제1 및 제2 거치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덮개가 상기 하우징을 덮게 되는 경우 상기 각각의 거치대에 거치된 케이블이 상기 각각의 거치대의 두 블레이드에 가압되어 피복이 벗겨지고 상기 케이블 내 전도체가 상기 두 블레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돌기; 및
    점성 및 가소성을 갖는 분말 페이스트 타입의 방수 및 절연성 실링제로서, 상기 하우징에 케이블이 위치하고 상기 덮개가 덮어진 경우 하우징의 내부 부피보다 많은 양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및 상기 덮개의 내측에 가득 채워진 실링제를 포함하는,
    방수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거치대는,
    케이블의 피복을 벗길 수 있는 예리한 단면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의 외압에 의해 블레이드에 케이블의 피복이 닿아 피복의 일부가 제거되며 블레이드와 케이블 피복 내부의 전도체인 코어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제는 상기 하우징의 테두리 상으로 상기 덮개가 맞닿아 결속되었을 때,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가득 채움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외부로 확산되어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모든 구멍 및 틈새를 메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KR1020160163137A 2016-12-02 2016-12-02 실링제 및 이를 구비한 방수 커넥터 Expired - Fee Related KR101850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137A KR101850218B1 (ko) 2016-12-02 2016-12-02 실링제 및 이를 구비한 방수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137A KR101850218B1 (ko) 2016-12-02 2016-12-02 실링제 및 이를 구비한 방수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0218B1 true KR101850218B1 (ko) 2018-04-19

Family

ID=62087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137A Expired - Fee Related KR101850218B1 (ko) 2016-12-02 2016-12-02 실링제 및 이를 구비한 방수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2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23923A (zh) * 2020-09-28 2022-04-12 神讯电脑(昆山)有限公司 一种线缆sr测试治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7929A (ja) * 2001-11-22 2003-05-30 Yonezawa Densen Kk 圧接ジョイント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20329309A1 (en) * 2011-06-24 2012-12-27 eQED, LLC Solar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7929A (ja) * 2001-11-22 2003-05-30 Yonezawa Densen Kk 圧接ジョイント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20329309A1 (en) * 2011-06-24 2012-12-27 eQED, LLC Solar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23923A (zh) * 2020-09-28 2022-04-12 神讯电脑(昆山)有限公司 一种线缆sr测试治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9413B2 (en) Partially compound-filled power supply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CN104756325B (zh) 连接器
US3557299A (en) Sealed cable closure
EP3177119B1 (en) Waterproof case, power supply, and assembly method
US20060180333A1 (en) Insulating cover for electrical connectors
US20160056585A1 (en) Connector module with cable exit region gasket
US10027077B2 (en) Contact point for connecting a flat conductor to a conductor element
US7955121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a cable retention element
US10630008B2 (en) Electric connecting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1019275A (zh) 装有绝缘去除元件的连接器组件
KR101850218B1 (ko) 실링제 및 이를 구비한 방수 커넥터
KR102739069B1 (ko) 누출 테스트들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0020628B2 (en) Method for producing a water-tight plug connector
CN109149230A (zh) 防水端子板
US20060134965A1 (en) Cord connector having a water-resistant seal
WO2005089260A3 (en) Overmolded, ultra-small form factor
US20050020131A1 (en) Sealing device for an electrical terminal
KR101252008B1 (ko) 전선연결장치
KR20150004828A (ko) 신속 일방향 연결 시스템
CN117353089A (zh) 水密性连接装置及水下机器人
EP3633793B1 (en) Package for electrical connectors
US20130174418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cable assembly
EP4156416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ealing
CN206546378U (zh) 加速度传感器组装体
CN118975065A (zh) 密封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24041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0413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