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50145B1 - 결선 작업이 쉬운 모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결선 작업이 쉬운 모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145B1
KR101850145B1 KR1020160095676A KR20160095676A KR101850145B1 KR 101850145 B1 KR101850145 B1 KR 101850145B1 KR 1020160095676 A KR1020160095676 A KR 1020160095676A KR 20160095676 A KR20160095676 A KR 20160095676A KR 101850145 B1 KR101850145 B1 KR 101850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odule
terminal block
longitudinal direction
conta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2617A (ko
Inventor
안덕중
정완석
Original Assignee
(주)미경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경전자 filed Critical (주)미경전자
Priority to KR1020160095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145B1/ko
Publication of KR20180012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14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8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H2001/5866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 내부에서 매설 구조체에 결선되는 전선이 연선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단선으로 구성되더라도, 이에 구애받지 않고 쉬운 결선을 할 수 있는 결선 작업이 쉬운 모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폭 방향으로 양측에 폭 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고리체결탭이 형성되고, 고리체결탭으로부터 길이방향 일측으로 이격되어 상하로 관통된 버튼삽입구가 형성되고, 버튼삽입구로부터 길이방향 일측으로 이격되어 상하로 관통된 전선관통구가 형성되고, 버튼삽입구로부터 상부로 이격되어 전선관통구를 향하도록 하향 경사지면서 상향으로 오목하게 스프링홈이 형성된 블럭뭉치, 상기 고리체결탭을 축으로 하여 고리체결탭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가압고리와, 상기 가압고리로부터 길이방향 일측으로 연장되어 접점연장판에 접촉되는 판 형상의 가압판과, 일측은 상기 스프링홈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가압판에 접촉되어 상기 가압판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가압스프링을 포함하는 전선가압부 및 상기 버튼삽입구에 삽입되어 가압판의 하부에 접촉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해제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결선 작업이 쉬운 모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위치 장치{Module Apparatus to Connect Wires easily and Switch Apparatus using thereof}
본 발명은 결선 작업이 쉬운 모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면 내부에서 매설 구조체에 결선되는 전선이 연선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단선으로 구성되더라도, 이에 구애받지 않고 쉬운 결선을 할 수 있는 결선 작업이 쉬운 모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원 스위치는 일반적으로 등화를 점등시키는 등 전원의 ON/OFF를 제어할 수 있도록 벽면에 매립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매립 설치되는 전원 스위치는 벽면에 일정부분 매립된 상태로 소정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어 스위치의 ON/OFF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일정한 규격으로 이루어진 소켓과, 상기 소켓이 고정되도록 소켓을 지지한 상태에서 양측 선단이 케이싱에 나사 등으로 고정되는 브라켓과, 이와 같이 벽면에 일정부분 매립된 상태에서 설치된 전원 스위치의 전면에 미관을 수려하게 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커버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전원 스위치는 등화 등에 연결되어 벽면 내부로 연장된 전선에 연결되는데, 상기 전선이 연선으로 구성되면, 전원 스위치에 연선을 연결할 때, 연선을 이루는 전선 가닥들의 결합이 느슨해지면, 전원 스위치와 연선의 전기적 접촉이 불완전하게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39717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벽면에 매설되는 구조체에서 전선에 연결되는 모듈에 버튼의 조작으로 가압되거나 또는 가압이 해제되는 전선가압부를 구비하여, 외부의 등화장치 등으로부터 벽면의 내부로 연장된 전선이 연선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단선으로 구성되더라도, 이에 구애받지 않고 쉬운 결선을 할 수 있는 결선 작업이 쉬운 모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결선 작업이 쉬운 모듈 장치는 폭 방향으로 양측에 폭 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고리체결탭이 형성되고, 고리체결탭으로부터 길이방향 일측으로 이격되어 상하로 관통된 버튼삽입구가 형성되고, 버튼삽입구로부터 길이방향 일측으로 이격되어 상하로 관통된 전선관통구가 형성되고, 버튼삽입구로부터 상부로 이격되어 전선관통구를 향하도록 하향 경사지면서 상향으로 오목하게 스프링홈이 형성된 블럭뭉치, 상기 고리체결탭을 축으로 하여 고리체결탭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가압고리와, 상기 가압고리로부터 길이방향 일측으로 연장되어 접점연장판에 접촉되는 판 형상의 가압판과, 일측은 상기 스프링홈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가압판에 접촉되어 상기 가압판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가압스프링을 포함하는 전선가압부 및 상기 버튼삽입구에 삽입되어 가압판의 하부에 접촉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해제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듈 장치에는 블럭뭉치의 상부에 제1단자판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1단자판의 길이방향 일측은 판 형상의 접점연장판이 하부로 연장되어 블럭뭉치의 내측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단자판의 상면에는 고정접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장치에는 상기 블럭뭉치의 상부에 제2단자판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2단자판의 길이방향 일측은 판 형상의 접점연장판이 하부로 연장되어 블럭뭉치의 내측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단자판의 길이방향 타측은 길이방향 타측으로 연장부가 연장 구비되고,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상부로 지지탭이 돌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장치에는 상기 블럭뭉치의 내측에 제3단자판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3단자판의 상부는 외부로 연장되어 길이방향 일측으로 절곡 연장된 후,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부로 절곡 연장된 접지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장치에는 상기 블럭뭉치의 내측에 제4단자판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4단자판의 상부는 외부로 연장되어 길이방향 일측으로 절곡 연장된 후, 중공을 감싸도록 연장된 전극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결선 작업이 쉬운 모듈 장치를 이용한 스위치 장치는 하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이며, 상면에 폭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노브가 구비된 상부모듈,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 전선삽입구가 관통 형성된 박스형상이며, 상기 상부모듈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모듈, 상기 하부모듈에 내장되는 것으로 외부의 전선이 삽입되어 연결되며, 고정접점이 구비된 제1단자블럭, 상기 하부모듈에 내장되어 상기 제1단자블럭과 길이방향으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것으로, 외부의 전선이 삽입되어 연결되며, 상부로 돌출된 지지탭이 구비된 제2단자블럭 및 상기 지지탭의 상부에 적층 구비되어 폭 방향을 축으로 하여 상기 노브의 회전에 따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접점에 전기적으로 접촉이 이루어지는 가동접점이 구비된 개폐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접속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노브의 하부는 상부모듈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노브의 하면에는 상부 방향으로 핀스프링이 삽입되고, 상기 핀스프링의 하부에는 표고핀이 체결되며, 상기 표고핀의 단부는 상기 개폐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개폐체의 상부와 상부모듈 사이에는 동작램프가 장착된 회로판이 적층 구비되며, 상기 동작램프는 상부모듈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개폐체는 상기 지지탭의 상부에 접촉되는 판 형상의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의 길이방향 양단으로 절곡 연장된 판 형상의 날개부가 형성되며, 일측의 날개부에 가동접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단자블럭은 폭 방향으로 양측에 폭 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고리체결탭이 형성되고, 고리체결탭으로부터 길이방향 일측으로 이격되어 상하로 관통된 버튼삽입구가 형성되고, 버튼삽입구로부터 길이방향 일측으로 이격되어 상하로 관통된 전선관통구가 형성되고, 버튼삽입구로부터 상부로 이격되어 전선관통구를 향하도록 하향 경사지면서 상향으로 오목하게 스프링홈이 형성된 블럭뭉치와, 상기 블럭뭉치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길이방향 일측은 판 형상의 접점연장판이 하부로 연장되어 블럭뭉치의 내측으로 구비되고, 상면에는 고정접점이 구비된 제1단자판과, 상기 고리체결탭을 축으로 하여 고리체결탭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가압고리와, 상기 가압고리로부터 길이방향 일측으로 연장되어 접점연장판에 접촉되는 판 형상의 가압판과, 일측은 상기 스프링홈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가압판에 접촉되어 상기 가압판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가압스프링을 포함하는 전선가압부와, 상기 버튼삽입구에 삽입되어 가압판의 하부에 접촉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해제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단자블럭은 폭 방향으로 양측에 폭 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고리체결탭이 형성되고, 고리체결탭으로부터 길이방향 타측으로 이격되어 상하로 관통된 버튼삽입구가 형성되고, 버튼삽입구로부터 길이방향 타측으로 이격되어 상하로 관통된 전선관통구가 형성되고, 버튼삽입구로부터 상부로 이격되어 전선관통구를 향하도록 하향 경사지면서 상향으로 오목하게 스프링홈이 형성된 블럭뭉치와, 상기 블럭뭉치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길이방향 타측은 판 형상의 접점연장판이 하부로 연장되어 블럭뭉치의 내측으로 구비되고, 길이방향 일측은 길이방향 일측으로 연장부가 연장 구비되고,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상부로 지지탭이 돌출 구비된 제2단자판과, 상기 고리체결탭을 축으로 하여 고리체결탭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가압고리와, 상기 가압고리로부터 길이방향 타측으로 연장되어 접점연장판에 접촉되는 판 형상의 가압판과, 일측은 상기 스프링홈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가압판에 접촉되어 상기 가압판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가압스프링을 포함하는 전선가압부와, 상기 버튼삽입구에 삽입되어 가압판의 하부에 접촉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해제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모듈에는 지지탭의 폭방향 양측으로 판 형상의 이탈방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결선 작업이 쉬운 모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위치 장치에 따르면, 벽면에 매설되는 구조체에서 전선에 연결되는 모듈에 버튼의 조작으로 가압되거나 또는 가압이 해제되는 전선가압부를 구비하여, 외부의 등화장치 등으로부터 벽면의 내부로 연장된 전선이 연선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단선으로 구성되더라도, 이에 구애받지 않고 쉬운 결선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결선 작업이 쉬운 스위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결선 작업이 쉬운 스위치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결선 작업이 쉬운 스위치 장치를 이루는 접속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결선 작업이 쉬운 스위치 장치를 이루는 접속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결선 작업이 쉬운 스위치 장치를 이루는 접속 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결선 작업이 쉬운 스위치 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며,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결선 작업이 쉬운 스위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단자블럭의 구조가 콘센트에 응용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결선 작업이 쉬운 스위치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플레이트(110), 핸들블록(130), 모듈브라켓(150) 및 접속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시공면에 마련되는 매입 구멍(미도시)에 접속모듈(300)의 후단부를 매입하는 형태로 매설된다.
상기 모듈브라켓(150)은 접속모듈(300)을 포함하고 매입 구멍의 내부에 배치되는 매입 박스(미도시)에 부착되고, 덮개플레이트(110)는 통공을 형성하면서, 상기 모듈브라켓(150)을 덮도록 구비되며, 상기 핸들블록(130)은 후술하는 노브(301)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덮개플레이트(110)의 통공에 구비된다.
상기 핸들블록(130)을 회전함에 따라 상기 노브(301)도 동일하게 회전하므로, 상기 핸들블록(130)의 조작으로 후술하는 고정접점(515)과 가동접점(347)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접속모듈(300)은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브(301), 상부모듈(310), 하부모듈(350), 회로판(330), 개폐체(340), 제1단자블럭(510) 및 제2단자블럭(5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모듈(310)은 하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이며, 상면에 폭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노브(301)가 구비된다.
상기 노브(301)의 하부는 상부모듈(310)를 관통하여 상부모듈(310)에 폭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노브(301)의 하면에는 상부 방향으로 핀스프링(303)이 삽입되고, 상기 핀스프링(303)의 하부에는 표고핀(305)이 체결된다.
상기 표고핀(305)의 단부는 상기 개폐체(340)의 상면에 접촉되어, 상기 노브(301)의 회전에 따른 회전력을 개폐체(340)로 전달한다.
상기 하부모듈(350)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 전선삽입구가 일측에 한 쌍, 타측에 한 쌍으로 관통 형성된 박스형상이며, 상기 상부모듈의 하부에 결합된다.
상기 회로판(330)은 상기 개폐체(340)의 상부와 상부모듈(310) 사이에는 구비되어 내장되는 것으로, 동작램프(L)가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하는 전자회로가 구비된다.
상기 동작램프(L)는 상부모듈(310)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개폐체(340)는 후술하는 지지탭(557)의 상부에 적층 구비되어 폭 방향을 축으로 하여 상기 노브(301)의 회전에 따라 노브(301)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탭(557)의 상부에 접촉되는 판 형상의 평탄부(341)와, 상기 평탄부(341)의 길이방향 양단으로 절곡 연장된 판 형상의 날개부(343, 345)가 형성되며, 일측의 날개부(343)에 가동접점(347)이 구비된다.
상기 가동접점(347)은 후술하는 고정접점(515)에 전기적으로 접촉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2단자블럭(550)은 상기 하부모듈(350)에 내장되는 것으로, 하부모듈(350)의 전선삽입구를 통하여 삽입된 외부의 전선이 연결되는 것으로, 블럭뭉치(551)와 제2단자판(553)과 전선가입부(600)와 해제버튼(P)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블럭뭉치(551)는 폭 방향으로 양측에 폭 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고리체결탭(563)이 형성되고, 고리체결탭(563)으로부터 길이방향 타측으로 이격되어 상하로 관통된 버튼삽입구(561)가 형성되고, 버튼삽입구(561)로부터 길이방향 타측으로 이격되어 상하로 관통된 전선관통구(567)가 형성되고, 버튼삽입구(561)로부터 상부로 이격되어 전선관통구(567)를 향하도록 하향 경사지면서 상향으로 오목하게 스프링홈(565)이 형성된다.
상기 제2단자판(553)은 블럭뭉치(551)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길이방향 타측은 판 형상의 접점연장판(559)이 하부로 연장되어 블럭뭉치(551)의 내측으로 구비되고, 길이방향 일측은 길이방향 일측으로 연장부(555)가 연장 구비되고, 연장부(555)의 단부로부터 상부로 지지탭(557)이 돌출 구비된다.
상기 전선가압부(600)는 상기 고리체결탭(563)을 축으로 하여 고리체결탭(563)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가압고리(610)와, 상기 가압고리(610)로부터 길이방향 타측으로 연장되어 접점연장판(559)에 접촉되는 판 형상의 가압판(630)과, 일측은 상기 스프링홈(565)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가압판(630)에 접촉되어 상기 가압판(63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가압스프링(6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해제버튼(P)은 상기 버튼삽입구(561)에 각각 삽입되어 가압판(630)의 하부에 접촉되며, 외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가압판(630)을 가압한다.
상기 제1단자블럭(510)은 상기 하부모듈(350)에 내장되어 상기 제2단자블럭(550)과 길이방향으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며, 하부모듈(350)의 전선삽입구를 통하여 삽입된 외부의 전선이 연결되는 것으로, 블럭뭉치와 제1단자판(513)과 전선가입부와 해제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단자블럭(510)에서 블럭뭉치와, 전선가압부와, 해제버튼은 제2단자블럭(550)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제1단자판(513)에 대하여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단자판(513)은 블럭뭉치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길이방향 일측은 판 형상의 접점연장판이 하부로 연장되어 블럭뭉치의 내측으로 구비되고, 상면에는 고정접점(515)이 구비된다.
이어서, 하부모듈(350)에 형성된 전선삽입구와 제1단자블럭(510) 및 제2단자블럭(550)에 형성된 전선관통구가 연통되도록 하여 제1단자블럭(510) 및 제2단자블럭(550)을 하부모듈(350)에 삽입시킨다.
이어서, 개폐체(340)의 평탄부(341)가 제2단자블럭(550)의 지지탭(557)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개폐체(340)를 적층하고, 이어서, 개폐체(340)의 회전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면서 제1단자블럭(510) 및 제2단자블럭(550)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하여 회로판(330)을 적층한다.
상기 하부모듈(350)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탭(557) 및 평탄부(341)의 폭방향 양측으로 판 형상의 이탈방지부가 상부로 연장 구비되어, 지지탭(557) 및 평탄부(341)를 감싸도록 구비되므로, 지지탭(557)의 상부에서 개폐부(340)가 회전하더라도,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어서, 상부모듈(310)과 하부모듈(350)을 결합시킨다.
이때, 상부모듈(310)에는 폭 방향 양측에 하부로 연장된 조립각(313)이 형성되고, 조립각(313)에는 폭 방향으로 관통된 조립구멍(315)이 형성되며, 하부모듈(350)에는 폭 방향 양측에 폭 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조립돌기(35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립돌기(351)가 조립구멍(315)에 걸어서 끼워지도록 하여, 상부모듈(310)과 하부모듈(350)을 일체로 결합시킴으로써 접속모듈(300)이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접속모듈(300)로 단선 또는 연선의 전선(C)을 연결하기 위하여, 전선관통구로 전선(C)을 삽입할 때, 해제버튼(P)에 외력을 가하여 누르면, 해제버튼(P)이 가압판을 가압하면서 가압판이 상부로 이동하며, 이때, 전선(C)을 쉽게 블럭뭉치 내부로 삽입할 수 있다.
이때, 해제버튼(P)의 가압력으로 가압판이 상부로 이동되어 전선(C)이 삽입되는 공간이 넓어지는 동시에 전선(C) 삽입에 방해되는 가압판이 상부로 이동되므로, 접속모듈(300)로 연결하고자 하는 전선(C)이 연선일 경우라도, 연선을 구성하는 가느다란 전선들의 꼬임이 느슨해지는 등 손상되지 않으면서 접속모듈(300)로 삽입될 수 있다.
이어서, 해제버튼(P)에 가해지는 외력을 제거하면, 가압스프링이 가압판을 가압하게 되며, 이어서, 가압판이 전선(C)을 가압함으로써 전선(C)은 접점연장판에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이어서, 접속모듈(300)로부터 전선(C)을 제거하고자 할 때, 해제버튼(P)에 외력을 가하여 누르면, 가압판이 전선(C)을 가압하는 힘이 느슨해짐으로 이때 전선을 잡아 당기면, 접속모듈(300)로부터 전선(C)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결선 작업이 쉬운 스위치 장치는 2 접점 스위치에 해당하는 것을 기준으로 구성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3 접점 스위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3 접점 스위치는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단자블럭(810) 및 제2단자블럭(850)과 개폐체 사이에 3접점 브라켓(710)이 추가로 구비되고, 제2고정접점(817)이 구비된 제1단자블럭(810) 및 절곡탭(859)이 구비된 제2단자블럭(850) 외에 나머지는 2 접점 스위치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제1단자블럭(810)은 제1단자판(813)의 폭 방향 일측에 상부로 돌출되며 그 단부가 폭 방향 타측으로 절곡 연장된 추가돌출부가 더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추가돌출부의 하면에 제2고정접점(817)이 구비된다.
상기 제2고정접점(817)은 제1고정접점(815)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제2단자블럭(850)은 제2단자판(853)이 길이방향 일측으로 연장부(855)가 연장 구비되고, 연장부(855)의 단부로부터 상부로 지지탭(857)이 돌출 구비되며, 지지탭(857)의 단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탭(859)이 구비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벽면에 매설되는 2 접점 스위치 또는 3 접접 스위치 등에서 전선에 연결되는 모듈에 버튼의 조작으로 가압되거나 또는 가압이 해제되는 전선가압부를 구비하여, 외부의 등화장치 등으로부터 벽면의 내부로 연장된 전선이 연선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단선으로 구성되더라도, 이에 구애받지 않고 쉬운 결선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스위치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제1단 자블럭 또는 제2단자블럭은 벽체에 매설되는 스위치뿐만 아니라,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센트 등의 벽체에 매설되어 전선이 결선되는 구조체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센트에 내장되는 단자블럭은 블럭뭉치의 내측에 제3단자판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3단자판의 상부는 외부로 연장되 어 길이방향 일측으로 절곡 연장된 후, 폭 방향 양단으로 연장되어 상부로 절곡 연장된 접지단자가 구비되고,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센트에 내장되는 다른 단자블럭은 블럭뭉치의 내측에 제4단자판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4단자판의 상부는 외부로 연장되어 길이방향 일측으로 절곡 연장된 후, 중공을 감싸도록 연장된 전극단자가 구비된다.
이때, 콘센트에 내장되는 다른 단자블럭은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콘센트에 플러그가 끼워지면, 플러그의 접지단자는 상기 콘센트에 내장되는 단자블럭에 구비된 접지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한 쌍의 플러그 단자는 상기 콘센트에 내장되는 다른 단자블럭에 형성된 전극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이어서, 콘센트에 단선 또는 연선의 전선을 연결하기 위하여, 해제버튼에 외력을 가하여 누르면, 스위치 구조와 마찬가지로, 콘센트 또는 소켓에 연결하고자 하는 전선이 연선일 경우라도, 연선을 구성하는 가느다란 전선들의 꼬임이 느슨해지는 등 손상되지 않으면서 콘센트 또는 소켓에 연결할 수 있다.
이어서, 콘센트로부터 전선을 제거하고자 할 때도, 해제버튼에 외력을 가하여 누르면, 스위치 구조와 마찬가지로, 가압판이 전선을 가압하는 힘이 느슨해짐으로 이때 전선을 잡아당기면, 콘센트로부터 전선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300: 접속모듈 301: 노브
310: 상부모듈 350: 하부모듈
510; 제1단자블럭 550: 제2단자블럭
340: 개폐체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하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이며, 상면에 폭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노브가 구비된 상부모듈;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 전선삽입구가 관통 형성된 박스형상이며, 상기 상부모듈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모듈;
    상기 하부모듈에 내장되는 것으로 외부의 전선이 삽입되어 연결되며, 고정접점이 구비된 제1단자블럭;
    상기 하부모듈에 내장되어 상기 제1단자블럭과 길이방향으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것으로, 외부의 전선이 삽입되어 연결되며, 상부로 돌출된 지지탭이 구비된 제2단자블럭; 및
    상기 지지탭의 상부에 적층 구비되어 폭 방향을 축으로 하여 상기 노브의 회전에 따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접점에 전기적으로 접촉이 이루어지는 가동접점이 구비된 개폐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접속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1단자블럭 및 제2단자블럭과 개폐체 사이에 3접점 브라켓이 더 구비되고;
    제1단자블럭은 폭 방향으로 양측에 폭 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고리체결탭이 형성되고, 고리체결탭으로부터 길이방향 일측으로 이격되어 상하로 관통된 버튼삽입구가 형성되고, 버튼삽입구로부터 길이방향 일측으로 이격되어 상하로 관통된 전선관통구가 형성되고, 버튼삽입구로부터 상부로 이격되어 전선관통구를 향하도록 하향 경사지면서 상향으로 오목하게 스프링홈이 형성된 제1블럭뭉치와, 상기 제1블럭뭉치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길이방향 일측은 판 형상의 접점연장판이 하부로 연장되어 제1블럭뭉치의 내측으로 구비되고, 제1단자판(813)의 길이방향 타측은 길이방향 타측으로 연장부가 연장 구비되고, 연장부의 상면에는 제1고정접점(815)이 구비되고, 연장부의 폭 방향 일측에 상부로 돌출되며 그 단부가 폭 방향 타측으로 절곡 연장된 추가돌출부가 구비되고, 추가돌출부의 하면에 제2고정접점(817)이 구비된 제1단자판(813)과, 고리체결탭을 축으로 하여 고리체결탭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가압고리와, 가압고리로부터 길이방향 일측으로 연장되어 접점연장판에 접촉되는 판 형상의 가압판과, 일측은 스프링홈에 삽입되고 타측은 가압판에 접촉되어 가압판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가압스프링을 포함하는 전선가압부와, 버튼삽입구에 삽입되어 가압판의 하부에 접촉되며, 외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가압판을 가압하는 해제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단자블럭은 폭 방향으로 양측에 폭 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고리체결탭이 형성되고, 고리체결탭으로부터 길이방향 타측으로 이격되어 상하로 관통된 버튼삽입구가 형성되고, 버튼삽입구로부터 길이방향 타측으로 이격되어 상하로 관통된 전선관통구가 형성되고, 버튼삽입구로부터 상부로 이격되어 전선관통구를 향하도록 하향 경사지면서 상향으로 오목하게 스프링홈이 형성된 제2블럭뭉치와, 상기 제2블럭뭉치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길이방향 타측은 판 형상의 접점연장판이 하부로 연장되어 블럭뭉치의 내측으로 구비되고, 길이방향 일측은 길이방향 일측으로 연장부(855)가 연장 구비되고, 연장부(855)의 단부로부터 상부로 지지탭(857)이 돌출 구비되고, 지지탭(857)의 단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탭(859)이 구비된 제2단자판(853)과, 고리체결탭을 축으로 하여 고리체결탭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가압고리와, 가압고리로부터 길이방향 타측으로 연장되어 접점연장판에 접촉되는 판 형상의 가압판과, 일측은 스프링홈에 삽입되고 타측은 가압판에 접촉되어 가압판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가압스프링을 포함하는 전선가압부와, 버튼삽입구에 삽입되어 가압판의 하부에 접촉되며, 외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가압판을 가압하는 해제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개폐체의 평탄부가 제2단자블럭의 지지탭(857)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개폐체를 적층하고, 개폐체의 회전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면서 제1단자블럭(510) 및 제2단자블럭(550)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하여 회로판(330)을 적층하고, 하부모듈에는 지지탭(857) 및 평탄부의 폭방향 양측으로 판 형상의 이탈방지부가 상부로 연장 구비되어, 지지탭(857) 및 평탄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므로, 지지탭(857)의 상부에서 개폐부가 회전하더라도,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상부모듈과 하부모듈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결선 작업이 쉬운 모듈 장치를 이용한 스위치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노브의 하부는 상부모듈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노브의 하면에는 상부 방향으로 핀스프링이 삽입되고, 상기 핀스프링의 하부에는 표고핀이 체결되며, 상기 표고핀의 단부는 상기 개폐체에 접촉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결선 작업이 쉬운 모듈 장치를 이용한 스위치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개폐체의 상부와 상부모듈 사이에는 동작램프가 장착된 회로판이 적층 구비되며, 상기 동작램프는 상부모듈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결선 작업이 쉬운 모듈 장치를 이용한 스위치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개폐체는 상기 지지탭의 상부에 접촉되는 판 형상의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의 길이방향 양단으로 절곡 연장된 판 형상의 날개부가 형성되며, 일측의 날개부에 가동접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결선 작업이 쉬운 모듈 장치를 이용한 스위치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부모듈에는 지지탭의 폭방향 양측으로 판 형상의 이탈방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결선 작업이 쉬운 모듈 장치를 이용한 스위치 장치.
KR1020160095676A 2016-07-27 2016-07-27 결선 작업이 쉬운 모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위치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850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676A KR101850145B1 (ko) 2016-07-27 2016-07-27 결선 작업이 쉬운 모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676A KR101850145B1 (ko) 2016-07-27 2016-07-27 결선 작업이 쉬운 모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617A KR20180012617A (ko) 2018-02-06
KR101850145B1 true KR101850145B1 (ko) 2018-05-31

Family

ID=61228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676A Expired - Fee Related KR101850145B1 (ko) 2016-07-27 2016-07-27 결선 작업이 쉬운 모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1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690B1 (ko) * 2020-02-14 2020-06-04 주식회사 틸인스(Tilins) 스위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55237B (zh) * 2021-08-23 2025-05-13 广州创锐车用电器有限公司 一种开关自锁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564Y1 (ko) * 2002-08-13 2002-11-18 주식회사 에코 앤 테크 푸쉬버튼 스위치
KR101517386B1 (ko) * 2013-12-02 2015-05-04 이숙희 스위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564Y1 (ko) * 2002-08-13 2002-11-18 주식회사 에코 앤 테크 푸쉬버튼 스위치
KR101517386B1 (ko) * 2013-12-02 2015-05-04 이숙희 스위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690B1 (ko) * 2020-02-14 2020-06-04 주식회사 틸인스(Tilins) 스위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617A (ko) 2018-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90237B2 (ja) 連結接続装置
CN104508910A (zh) 带有用于操作弹簧件的按压件的连接端子或接线端子
CN103262348A (zh) 用于接线装置的端子结构
EP2202853B1 (en) Electrical cable connector
CN103928785B (zh) 显式模块化插座
CN103915712A (zh) 隐式模块化插座
CN104953522B (zh) 电气安装设备的暗装嵌件
KR101850145B1 (ko) 결선 작업이 쉬운 모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위치 장치
CN206313200U (zh) 电连接器
KR101234349B1 (ko)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
CN203674459U (zh) 显式插座
US3001168A (en) Wiring device
CN105531876A (zh) 插拔连接器
CA2594016C (en) Contact termination member for an electrical receptacle
KR101483011B1 (ko) 플러그 단자 고정구조를 갖는 원터치 전원 개폐형 콘센트
KR102121044B1 (ko) 공동주택 실내벽면용 전기 콘센트박스
CN216054384U (zh) 一种自动复位接线开关
US3036285A (en) Wiring device
US10777984B1 (en) Pre-wired junction box with quick-connect clip electrical wire connectors
KR101803796B1 (ko) 전원전선 연결용 커넥터
US6872089B1 (en) Puncturing type cable coupling apparatus
KR100726367B1 (ko) 전선 연결용 커넥터
US10490927B2 (en) Self-enclosed electrical assembly with wire crimping structure
US8038469B2 (en)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KR20100100102A (ko) 케이블 연결이 용이한 파워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8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4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4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