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50114B1 - Bypass/blocking apparatus for replacing of actuator control valve - Google Patents

Bypass/blocking apparatus for replacing of actuator control val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114B1
KR101850114B1 KR1020170002694A KR20170002694A KR101850114B1 KR 101850114 B1 KR101850114 B1 KR 101850114B1 KR 1020170002694 A KR1020170002694 A KR 1020170002694A KR 20170002694 A KR20170002694 A KR 20170002694A KR 101850114 B1 KR101850114 B1 KR 101850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valve
actuator
fluid
valve
communic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26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철우
최기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에스티앤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에스티앤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에스티앤랩
Priority to KR1020170002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11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11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01Valve members; Fluid interconnectio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3/00Auxiliary closure means in valves, which in case of repair, e.g. rewashering, of the valve, can take over the function of the normal closure means; Devices for temporary replacement of parts of valves for the same purpo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40Flow control
    • F15B2211/405Flow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flow control means or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40Flow control
    • F15B2211/42Flow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ion
    • F15B2211/421Flow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ion mechan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80Other types of control related to particular problems or conditions
    • F15B2211/875Control measures for coping with fail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ypass/blocking apparatus to replace an actuator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luid lines are formed inside a main body (10) installed on an actuator (1). A direction control valve (20), an electronic blocking valve (30), first and second pilot check valves (33, 33′), and first and second manual valves (40, 50) ar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The first manual valve (40) supplies a fluid from a fluid supply source to the direction control valve (20) or directly supplies the fluid to the actuator (1). The second manual valve (50) supplies or blocks the fluid between the actuator (1) and the direction control valve (20). The electronic blocking valve (30) is able to be operated in a remote plate and controls the operation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pilot check valves (33, 33′). As such, provided are advantages capable of replacing valves related to the actuator during operation of a power generation plant, and operating the electronic blocking valve (20) in a remote place to maintain the operation state of the actuator (1) continuously.

Description

엑츄에이터 제어밸브 교체용 바이패스/블록킹 장치{Bypass/blocking apparatus for replacing of actuator control valv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ypass / blocking apparatus for replacing an actuator control valve,

본 발명은 엑츄에이터 제어밸브 교체용 바이패스/블록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엑츄에이터의 동작중에 엑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밸브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엑츄에이터 제어밸브 교체용 바이패스/블록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ypass / blocking device for replacing an actuator control valv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ypass / blocking device for replacing an actuator control valve to replace a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an actuator during operation of the actuator .

발전설비는 동작이 시작되어 실제로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정상적인 동작이 이루어지기 까지의 시간 또는 가동을 하다가 오프되어 동작이 멈추어져 유지보수 작업을 할 수 있을 때까지의 시간이 많이 필요하다. 따라서, 발전설비의 동작을 멈추고 다시 가동하는 것은 시간과 비용이 엄청나게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발전설비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이 고장나게 되면, 이를 교체하기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부품의 교체가 진행되는 동안에 실제로 발전을 하지 못하는 것까지 고려하면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requires a long time until the normal operation is performed so that the operation is started and the actual power generation is performed, or the operation is stopped after the operation is performed and the maintenance operation can be perform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and restarting the operation of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causes an enormous amount of time and cost. Therefore, if various components constituting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are broken, it takes a lot of time to replace them, and it takes a lot of cost to consider that the power generation can not be actually performed while parts are being replaced.

따라서, 특정한 부품이 고장나더라도 전체 발전설비의 가동을 멈추지 않고 해당되는 부품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엑츄에이터의 경우에는 발전설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품이고, 엑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밸브를 분리하게 되면,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유체가 공급포트로부터 누출되어 버리기 때문에, 설비 전체를 정지하고 고장난 제어밸브를 교체하여야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이 하게 되면, 엑츄에이터 제어밸브 하나의 교체를 위해 전체 설비의 가동을 중단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Therefore, even if a specific part fails,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replace the corresponding part without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entire power generation facility. 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actuator, since the fluid used for the control leaks from the supply port when the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the actuator is separated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Replace it. However, in this case,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of the entire facility must be stopped in order to replace one actuator control valve.

한편, 발전설비의 경우 전체 장비의 규모가 커서 많은 제어밸브 들이 사용된다. 따라서, 각각의 제어밸브 등을 수동조작 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원을 배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 large number of control valves are used because the entire equipment is large.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a large number of personnel must be disposed in order to manually operate each control valve and the lik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9017호Korean Patent No. 10-1319017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1995-0019761호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5-001976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설비를 계속하여 가동하면서 엑츄에이터를 제어하는 고정난 제어밸브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place a fixed egg control valve that controls an actuator while continuously operating an apparatu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전 설비의 엑츄에이터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하여 특정한 상태로 유지되면서 발전설비가 동작되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motely control an actuator operation of a power generation facility so that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is operated while being maintained in a specific stat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체라인이 내부에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유체를 엑츄에이터로 공급하고 회수하는 것을 제어하는 방향제어밸브와, 상기 방향제어밸브로 공급되는 유체의 일부를 받아 구동되는 전자차단밸브와, 상기 전자차단밸브의 구동에 의해 상기 방향제어밸브와 엑츄에이터 사이에서의 유체 유동을 제어하는 제1 및 제2 파일롯트체크밸브와, 유체공급원에서 상기 엑츄에이터로 유체가 전달되는 것을 것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방향제어밸브로 유체를 전달하거나 상기 엑츄에이터로 직접 전달하는 제1수동밸브와, 상기 엑츄에이터와 방향제어밸브 사이에서 유체의 유동을 차단하거나 연결하도록 동작되는 제2수동밸브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uid supply device comprising: a main body in which a fluid line is formed; An electromagnetic shutoff valve that is driven to receive a portion of the fluid supplied to 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and a first and a second control valve that controls fluid flow between 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and the actuator by driving the electromagnetic shut- A pilot valve, a first manual valve for controlling the delivery of fluid from the fluid supply source to the actuator and delivering the fluid to 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or delivering the fluid directly to the actuator, And a second passive valve operative to shut off or connect fluid flow.

상기 제1 및 제2 파일롯트체크밸브는 평상시에는 상기 방향제어밸브와 엑츄에이터 사이의 유체 유동을 자유롭게 유지하고 상기 전자차단밸브의 구동에 의해 상기 엑츄에이터에서 상기 방향제어밸브를 향하는 유체유동을 차단한다.The first and second pilot check valves normally maintain fluid flow between 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and the actuator and block fluid flow from the actuator to 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by driving the electromagnetic shut-off valve.

상기 제1수동밸브는 내부에 제1내부공간이 형성된 제1하우징과, 유체공급원에서 공급된 유체를 상기 엑츄에이터로 직접 전달하거나 상기 방향제어밸브로 전달하는 것으로 상기 제1내부공간에 설치되고 회전에 의해 전달방향을 절환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하우징의 선단으로 돌출된 상기 제1몸체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몸체의 회전을 위한 힘을 전달받는 제1핸들을 포함한다.The first passive valve may include a first housing having a first internal space formed therein and a second housing which is installed in the first internal space by directly transmitting the fluid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 source to the actuator or transmitting the fluid to 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And a first handle installed on the first body protruded from the front end of the first housing and receiving a force for rotating the first body from the user.

상기 제1몸체의 내부에는 제1내부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내부유로와 각각 연통되고 일정 각도간격을 가지는 공급포트연통공과 유입라인연통공 그리고 상기 제1내부유로와 각각 연통되고 일정 각도간격을 가지는 바이패스유입공과 바이패스유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의 후단부 외면에는 상기 방향제어밸브측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1제어밸브라인연통부와 상기 엑츄에이터 측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1포트연통부가 소정 구간에 걸쳐 형성된다.A supply port communicating hole and an inlet line communicat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internal flow passage and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interval and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internal flow passage, A first control valve line communicating part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first body and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direction control valve side, and a first port communicating part selectively communicating with the actuator side, Is formed over a predetermined section.

상기 제1하우징에는 상기 바이패스유입공이나 제1몸체의 공급포트연통공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공급포트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방향제어밸브측과 연통되는 유입라인연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제어밸브라인연통부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1제어밸브라인연통공과 제1포트연통부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1포트연통공이 형성된다.The first housing is formed with a supply port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selectively with the bypass inlet hole or the supply port communication hole of the first body, an inlet line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direction control valve side is formed, A first port communication hole selectively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ontrol valve line communicating hole and a first port communicating portion selectively communicating with the line communicating portion is formed.

상기 제2수동밸브는 내부에 제2내부공간이 형성된 제2하우징과, 유체공급원에서 공급된 유체를 상기 엑츄에이터로 직접 전달하거나 상기 엑츄에이터에서 나온 유체를 상기 방향제어밸브 쪽으로 전달하도록 회전에 의해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2몸체와, 상기 제2하우징의 선단으로 돌출된 상기 제2몸체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몸체의 회전을 위한 힘을 전달받는 제2핸들을 포함한다.The second passive valve includes a second housing having a second internal space formed therein and a second housing having a second fluid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fluid passage, And a second handle installed on the second body protruding from the tip of the second housing and receiving a force for rotating the second body from the user.

상기 제2하우징에는 상기 방향제어밸브측과 연통되는 제2제어밸브라인연통공이 제2내부공간과 연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엑츄에이터 측과 연통되는 제2포트연통공이 제2내부공간과 연통되어 형성된다.A second port communicat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direction control valve is formed in the second housing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internal space and a second port communicat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actuator side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internal space .

상기 제2몸체에는 상기 제2제어밸브라인연통공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2제어밸브라인연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포트연통공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2포트연통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2제어밸브라인연통부와 제2포트연통부는 상기 제2몸체의 외면에서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2몸체의 회전에 의해 유체의 흐름을 제어한다.The second body is formed with a second control valve line communication part selectively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control valve line communication hole and a second port communication part selectively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port communication hole, The communication portion and the second port communication portion are formed at positions opposite to each oth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to control the flow of the fluid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body.

본 발명에 의한 엑츄에이터 제어밸브 교체용 바이패스/블록킹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bypass / blocking apparatus for replacing the actuator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서는 원격지에서 조작이 가능한 전자차단밸브와 상기 전자차단밸브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파일롯트체크밸브가 있어 발전설비의 엑츄에이터를 특정한 위치에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 원격지에서의 조작에 의해 가능하게 되어 엑츄에이터의 동작상태를 원하는 대로 원격지에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엑츄에이터에 있는 피스톤이 특정 위치에 정지되어 있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다양한 운전상태에 대한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ctuator of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so that it is located at a specific position by operating an electronic shutoff valve that can be operated at a remote location and first and second pilot check valves driven by the electromagnetic shutoff valve So that the operation state of the actuator can be controlled at a remote site as desired.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make the piston in the actuator to be stopped at a specific posi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cope with various operation states.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 수동밸브를 두어서 유체공급원에서 공급된 유체를 평상시에는 엑츄에이터와 방향제어밸브 사이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유동시키고, 상기 방향제어밸브 등을 유지보수할 경우에는 상기 제1수동밸브를 통해 유체를 직접 엑츄에이터로 공급하고 엑츄에이터에서 방향제어밸브쪽으로 유체가 유동되는 것을 제2수동밸브로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발전설비의 동작중에 방향제어밸브 등의 유지보수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passive valves are disposed so that the fluid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 source is normally flowed in a desired direction between the actuator and 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and when 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is maintained, 1 fluid is directly supplied to the actuator through the manual valve, and the fluid flowing from the actuator to 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is blocked by the second manual valve. By doing so, the maintenance of 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or the like is enabl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엑츄에이터 제어밸브 교체용 바이패스/블록킹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외관 구성을 다른 방향에서 보인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유압 회로 구성을 보인 유압회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수동밸브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수동밸브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6는 본 발명 실시례의 제1수동밸브를 구성하는 제1몸체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바이패스상태로 동작되는 제1수동밸브의 동작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정상상태로 동작되는 제1수동밸브의 동작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수동밸브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2수동밸브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정상상태로 동작되는 제2수동밸브의 동작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bypass / blocking device for replacing an actuator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other direction. Fig.
3 is a hydraulic circuit diagram showing a hydraulic circuit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manual valv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manual valve shown i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body constituting a first manual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a first manual valve operated in a bypass stat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a first manual valve operated in a steady stat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econd manual valv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manual valve shown in FIG. 9; FIG.
11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a second manual valve operated in a steady stat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understanding wh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interpre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 장치의 실시례의 골격을 본체(10)가 형성한다. 상기 본체(10)는 대략 육면체 블럭 형상으로 된다. 상기 본체(10)에는 유압라인이 형성되고 각종 밸브 들이 장착된다.According to the drawings, the main body 10 forms the framework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10 has a substantially hexahedral block shape. A hydraulic line is formed in the main body 10 and various valves are mounted.

상기 본체(10)의 일측 외면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포트(11)와 제2포트(12)가 개구되어 있다. 상기 제1포트(11)와 제2포트(12)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엑츄에이터(1)에 연결된다. 상기 엑츄에이터(1)는 내부에 있는 피스톤(도시되지 않음)이 상기 제1포트(11)와 제2포트(12)를 통해 유체가 입출되면서 이동하여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고 엑츄에이터(1)의 외부로 돌출된 구동로드(3)를 동작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포트(11)를 통해 유체가 엑츄에이터(1) 내부로 들어가고, 상기 제2포트(12)를 통해 엑츄에이터(1) 내부의 유체가 유출되면 상기 구동로드(3)가 도면을 기준으로 하부로 돌출된다.As shown in FIG. 2, the first port 11 and the second port 12 are opened at one side of the body 10. The first port 11 and the second port 12 are connected to the actuator 1 as shown in FIG. A piston (not shown) inside the actuator 1 moves while a fluid flows in and out through the first port 11 and the second port 12 to be connected to the piston and to the outside of the actuator 1 So that the projected driving rod 3 is operated. For example, when the fluid enters the actuator 1 through the first port 11 and the fluid in the actuator 1 flows out through the second port 12, As shown in FIG.

상기 본체(10)에는 유압공급포트(14)와 유압회수포트(16)가 타측 외면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유압공급포트(14)로는 유압공급원으로부터 유체가 공급되어 상기 본체(10) 내부의 라인으로 들어가게 되고, 상기 유압회수포트(16)에서는 상기 엑츄에이터(1)에서 나온 유체가 본체(10) 내부의 라인을 거쳐서 회수된다.The main body 10 is formed with a hydraulic pressure supply port 14 and a hydraulic pressure recovery port 16 which are open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side. A fluid is supplied from the hydraulic pressure supply source to the hydraulic pressure supply port 14 and enters a line inside the main body 10. In the hydraulic pressure recovery port 16, Line. ≪ / RTI >

상기 본체(10)를 도면에서 상하로 관통하여서 상기 제1포트(11)와 제2포트(12)가 형성된 외면으로 개구되게 다수개 체결공(18)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18)은 상기 엑츄에이터(1)에 상기 본체(10)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가 관통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4개의 체결공(18)이 형성되어 있다.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8 are formed in the body 10 so as to penetrate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ody 10 and open to the outer surface where the first port 11 and the second port 12 are formed. The fastening hole 18 is a portion through which a fastener for fastening the main body 10 to the actuator 1 passes. In the present embodiment, four fastening holes 18 are formed.

상기 본체(10)의 일측 외면에는 테스트포트(19)가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스트포트(19)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라인들에 연통되어 상기 본체(10)에 설치된 밸브들의 동작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테스트포트(19)는 상기 제1포트(11)와 제2포트(12)가 형성된 외면을 제외한 다른 면들에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est ports 19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The test port 19 may communicate with the lines formed in the main body 10 to detect an operation state of the valves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The test port 19 may be formed on other surfaces except the outer surface where the first port 11 and the second port 12 are formed.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방향제어밸브(20)가 설치된다. 상기 방향제어밸브(20)는 유체가 유체공급원에서 공급되어 상기 엑츄에이터(1)의 내부 어느쪽(피스톤으로 나누어진 양측의 공간중 어느 쪽)으로 들어가고 나오는 것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방향제어밸브(20)는 비례제어밸브가 사용될 수 있는데, 유체가 공급되는 방향, 속도, 유량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방향제어밸브(20)의 동작을 위해 양측에 구동부(22)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부(22)는 일반적으로 솔레노이드가 사용된다.A direction control valve 20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20 controls the supply of fluid from the fluid supply source to the inside of the actuator 1 (either of the spaces on either side of the piston). 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20 can be a proportional control valve, and it can control the direction, speed, flow rate, etc. of the fluid. A driving part 22 is installed on both sides for the operation of 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20. The driving unit 22 generally uses a solenoid.

상기 방향제어밸브(20)에는 상기 유압공급포트(14)와 연통되는 제1유입라인(24)과 유압회수포트(16)와 연통되는 제1회수라인(24')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유입라인(24)과 제1회수라인(24')은 상기 본체(10)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방향제어밸브(20)에는 또한 제1방향제어밸브라인(25)과 제2방향제어밸브라인(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방향제어밸브라인(25)은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상기 제1포트(11)와 연결되고 상기 제2방향제어밸브라인(25')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2포트(12)와 연결된다. 물론, 상기 제1방향제어밸브라인(25)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파일롯트체크밸브(33)와 제1수동밸브(40)가 설치되고, 상기 제2방향제어밸브라인(25')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파일롯트체크밸브(33')와 제2수동밸브(50)가 설치된다.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20 is connected to a first inflow line 24 communicating with the hydraulic pressure supply port 14 and a first recovery line 24 'communicated with the hydraulic pressure recovery port 16. The first inflow line 24 and the first withdrawal line 24 'are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0. 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20 is also formed with a first directional control valve line 25 and a second directional control valve line 25 '. The first directional control valve line 25 is connected to the first port 11 substantially as seen in FIG. 3 and the second directional control valve line 25 'is substantially connected to the second port 12). Of course, the first pilot check valve 33 and the first manual valve 40 are installed in the first direction control valve line 25 and the second pilot control valve line 25 ' A second pilot check valve 33 'and a second manual valve 50 to be described below are installed.

상기 본체(10)의 일측 외면에는 전자차단밸브(30)가 설치된다. 상기 전자차단밸브(30)는 전자적으로 동작될 수 있어서, 원격지에서의 제어가 가능하다. 상기 전자차단밸브(30)는 상기 유압공급포트(14) 및 유압회수포트(16)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유압공급포트(14)로부터 오는 유체를 공급받아 아래에서 설명될 제1파일롯트체크밸브(33)와 제2파일롯트체크밸브(33')를 구동시킨다. 즉, 평상시에는 제1파일롯트체크밸브(33)와 제2파일롯트체크밸브(33')가 상기 제1방향제어밸브라인(25)과 제2방향제어밸브라인(25')에서 밸브로서의 역할을 하지 않도록 하다가, 필요시에는 제1파일롯트체크밸브(33)와 제2파일롯트체크밸브(33')가 체크밸브로서의 기능, 즉 일방향으로만 유체가 흐르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한다.An electromagnetic cutoff valve (30)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The electromagnetic shut-off valve 30 can be electronically operated so that it can be controlled remotely. The electromagnetic shutoff valve 30 is connected to the hydraulic pressure supply port 14 and the hydraulic pressure recovery port 16 so as to receive the fluid from the hydraulic pressure supply port 14 and to receive the first pilot check valve 33 and the second pilot check valve 33 '. That is, normally, the first pilot check valve 33 and the second pilot check valve 33 'function as a valve in the first direction control valve line 25 and the second direction control valve line 25' The first pilot check valve 33 and the second pilot check valve 33 'perform a function as a check valve, that is, a function of allowing fluid to flow only in one direction.

상기 전자차단밸브(30)는 상기 유압공급포트(14)와 제2유입라인(31)을 통해 연통되고, 상기 유압회수포트(16)와 제2회수라인(31')을 통해 연통된다. 참고로, 상기 제2유입라인(31) 및 제2회수라인(31')은 상기 제1유입라인(24) 및 제1회수라인(24')과 일부가 겹친다. 상기 전자차단밸브(30)는 또한 파일롯트라인(32)을 통해 아래에서 설명될 제1파일롯트체크밸브(33) 및 제2파일롯트체크밸브(33')와 연통된다.The electromagnetic shut-off valve 30 communicates with the hydraulic pressure supply port 14 through the second inlet line 31 and communicates with the hydraulic return port 16 through the second recovery line 31 '. For reference, the second inflow line 31 and the second recovery line 31 'partially overlap with the first inflow line 24 and the first recovery line 24'. The electron cutoff valve 30 also communicates with the first pilot check valve 33 and the second pilot check valve 33 ',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via the pilot lot line 32.

상기 파일롯트라인(32)을 통해 상기 전자차단밸브(30)와 연통되어 동작되게 제1파일롯트체크밸브(33)와 제2파일롯트체크밸브(33')가 있다. 상기 제1파일롯트체크밸브(33)는 상기 제1방향제어밸브라인(25)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2파일롯트체크밸브(33')는 상기 제2방향제어밸브라인(25')에 설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파일롯트체크밸브(33.33')는 평상시에는 밸브로서의 기능을 하지 않아, 상기 제1방향제어밸브라인(25)과 제2방향제어밸브라인(25')을 통해서 유체가 자유롭게 유동되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 전자차단밸브(30)에 의해 동작되어 일방향으로만 유체가 흐르도록 상기 제1파일롯트체크밸브(33)와 제2파일롯트체크밸브(33')가 설정된다. 즉, 상기 제1파일롯트체크밸브(33)는 상기 방향제어밸브(20)에서 상기 엑츄에이터(1)로만 유체가 유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2파일롯트체크밸브(33)도 상기 방향제어밸브(20)에서 상기 엑츄에이터(1)로 유체가 유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전자차단밸브(30)에 의해 구동되면 상기 제1파일롯트체크밸브(33)와 제2파일롯트체크밸브(33')는 상기 엑츄에이터(1)에서 상기 방향제어밸브(20)로 유체가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파일롯트체크밸브(33,33')는 상기 전자차단밸브(30)를 통해 전달되는 유체에 의해 구동되었을 때만, 일방향으로만 유체가 흐르도록 하는 일종의 체크밸브로서의 기능을 한다. 상기 전자차단밸브(30)에 의해 구동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밸브로서의 기능을 하지 않고 유체가 어느 방향으로든 자유롭게 유동된다. There is a first pilot check valve 33 and a second pilot check valve 33 'in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magnetic shut-off valve 30 through the pilot lot line 32. The first pilot check valve 33 is installed on the first direction control valve line 25 and the second pilot check valve 33 'is installed on the second direction control valve line 25'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pilot check valves 33.33 'do not normally function as valves and fluid is freely flowed through the first direction control valve line 25 and the second direction control valve line 25' Flow. However, the first pilot check valve 33 and the second pilot check valve 33 'are set so as to be operated by the electromagnetic shut-off valve 30 so that the fluid flows only in one direction. That is, the first pilot check valve 33 allows the fluid to flow from the direction control valve 20 to the actuator 1 only, and the second pilot check valve 33 also controls the direction control valve 20 To the actuator (1). Therefore, when driven by the electromagnetic shut-off valve 30, the first pilot check valve 33 and the second pilot check valve 33 'are operated by the direction control valve 20 from the actuator 1, Thereby preventing the fluid from flowing. The first and second pilot check valves 33 and 33 'function as a kind of check valve that allows the fluid to flow only in one direction only when it is driven by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electromagnetic shut-off valve 30 . In a state not driven by the electromagnetic shut-off valve 30, as described above, the fluid can freely flow in any direction without functioning as a valve.

참고로, 도 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외면을 기준으로 상기 전자차단밸브(30)의 양 옆에는 제1파일롯트체크밸브(33)와 제2파일롯트체크밸브(33')가 설치된다.1, a first pilot check valve 33 and a second pilot check valve 33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electromagnetic shut-off valve 30 on the basi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33 '.

한편, 상기 1방향제어밸브라인(25)에서 상기 엑츄에이터(1)에 인접한 위치에는 제1수동밸브(40)가 설치되고, 상기 제2방향제어밸브라인(25')에서 상기 엑츄에이터(1)에 인접한 위치에는 제2수동밸브(50)가 설치된다. A first manual valve 40 is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actuator 1 in the one-way control valve line 25 and a second manual valve 40 is provided at the second direction control valve line 25 ' And a second manual valve 50 is provided at an adjacent position.

상기 제1수동밸브(40)는 유체를 평상시에는 상기 방향제어밸브(20)와 엑츄에이터(1) 사이에서 유동되도록 하다가, 필요시에는 바로 상기 액츄에이터(1)로 유체를 보낸다. 이때는 바이패스라인(40')을 통해서 상기 유압공급포트(14)에서 엑츄에이터(1)로 유체를 보내게 된다.The first manual valve 40 allows the fluid to flow between 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20 and the actuator 1 at normal times and then sends the fluid to the actuator 1 immediately if necessary. At this time, the fluid is sent from the hydraulic pressure supply port 14 to the actuator 1 through the bypass line 40 '.

상기 제2수동밸브(50)는 평상시에는 상기 방향제어밸브(20)와 엑츄에이터(1) 사이에서 유체가 유동되도록 하다가, 필요시에는 이들 사이의 유동을 차단하도록 동작된다.The second manual valve 50 is normally operated to allow fluid to flow between 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20 and the actuator 1, and to block the flow between them if necessary.

상기 제1수동밸브(40)는 제1하우징(42)과 제1몸체(45) 그리고 제1핸들(45')로 구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42)은 제1수동밸브(40)의 외관을 구성하는 것으로,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몸체(45)가 위치되는 제1내부공간(42')이 있다. 상기 제1내부공간(42') 내에 상기 제1몸체(45)가 설치된다.The first manual valve 40 includes a first housing 42, a first body 45, and a first handle 45 '. The first housing 42 constitutes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manual valve 40 and has a first internal space 42 'through which the first body 45 is positioned. The first body 45 is installed in the first inner space 42 '.

상기 제1하우징(42)의 일측 외면에는 공급포트연통공(43)이 있다. 상기 공급포트연통공(43)은 상기 유압공급포트(14)와 연통되어 유체가 유동되도록 한다. 상기 공급포트연통공(43)이 형성된 위치에서 90도 회전되고 제1하우징(4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된 위치에는 유입라인연통공(43')이 형성된다. 상기 유입라인연통공(43')은 상기 제1유입라인(24)과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포트연통공(43)을 통해 유입된 유체는 상기 제1몸체(45)를 통과해서 상기 유입라인연통공(43')으로 들어가서 상기 제1유입라인(24)으로 유동된다.A supply port communication hole (43)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first housing (42). The supply port communication hole (43) communicates with the hydraulic pressure supply port (14) to allow fluid to flow. An inlet line communication hole 43 'is formed at a position which is rotated 90 degrees from the position where the supply port communication hole 43 is formed and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ousing 42. The inlet line communication hole 43 'communicates with the first inlet line 24. Therefore, the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supply port communication hole 43 flows into the first inflow line 24 through the first body 45 and into the inflow line communication hole 43 '.

상기 제1하우징(42)에는 제1제어밸브라인연통공(44)이 상기 제1내부공간(42')과 연통되게 상기 유입라인연통공(43')에서 제1하우징(4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1제어밸브라인연통공(44)은 상기 제1방향제어밸브라인(25)과 연통된다. 상기 제1제어밸브라인연통공(44)에서 90도 회전된 위치에는 제1포트연통공(44')이 상기 제1내부공간(42')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포트연통공(44')은 상기 제1포트(11)와 연통되어 엑츄에이터(1) 내외부로의 유체유동이 일어나도록 한다.The first control valve line communication hole 44 communicates with the first internal space 42 'in the first housing 42 so that the first control valve line communication hole 44 communicates with the first internal space 42' As shown in Fig. The first control valve line communication hole (44) communicates with the first direction control valve line (25). A first port communication hole 44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internal space 42' at a position rotated by 90 degrees from the first control valve line communication hole 44. The first port communicating hole 44 'communicates with the first port 11 so as to cause fluid flow to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actuator 1.

상기 제1하우징(42)의 제1내부공간(42')에 위치되는 상기 제1몸체(45)의 일단부중 상기 제1하우징(42)의 선단 전방으로 돌출된 위치에는 제1핸들(45')이 설치된다. 상기 제1핸들(45')은 작업자가 직접 상기 제1몸체(45)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핸들(45')은 상기 제1몸체(45)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게 설치된다.A first handle 45 'is provided at a position protruding forward from the tip end of the first housing 42 in one end of the first body 45 positioned in the first inner space 42' of the first housing 42. [ ) Is installed. The first handle 45 'allows the operator to rotate the first body 45 directly. The first handle 45 'is installed orthogonally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45.

상기 제1몸체(45)의 내부에는 제1내부유로(46)가 있다. 상기 제1내부유로(46)는 가공시에 상기 제1몸체(45)의 일단부로 개방되어 있으나, 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마개(46')가 설치된다. 상기 제1몸체(45)에는 공급포트연통공(47)이 상기 제1내부유로(46)와 연통되게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공급포트연통공(47)은 상기 제1하우징(42)의 공급포트연통공(43)과 선택적으로 연통된다. 상기 제1몸체(45)에는 또한 상기 공급포트연통공(47)에서 90도 회전되고 상기 제1몸체(45)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된 위치에 유입라인연통공(47')이 형성된다. 상기 유입라인연통공(47')도 상기 제1내부유로(46)와 연통된다. 상기 유입라인연통공(47')은 상기 제1하우징(42)의 유입라인연통공(43')과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제1유입라인(24)과 연결된다.A first internal flow path 46 is formed in the first body 45. The first internal flow path 46 is open to one end of the first body 45 at the time of processing, but a first stopper 46 'is provided as shown in FIG. A supply port communication hole 47 is formed in the first body 45 at one side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internal flow path 46. The supply port communicating hole 47 is selectively communicated with the supply port communicating hole 43 of the first housing 42. An inlet line communication hole 47 'is formed in the first body 45 at a position rotated 90 degrees from the supply port communication hole 47 and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45. The inflow line communication hole 47 'is also communicated with the first internal flow path 46. The inflow line communication hole 47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inflow line communication hole 43' of the first housing 42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inflow line 24.

상기 제1몸체(45)의 상기 공급포트연통공(47)에서 90도 회전된 위치에는 바이패스유입공(4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이패스유입공(48)은 상기 제1내부유로(46)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42)의 공급포트연통공(43)과 선택적으로 연통된다. 상기 바이패스유입공(48)에 대해서 90도 회전되고 상기 제1몸체(45)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된 위치에는 바이패스유출공(48')이 형성된다. 상기 바이패스유출공(48')은 상기 제1하우징(42)의 제1포트연통공(44')과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바이패스되는 유체가 상기 엑츄에이터(1)로 제1포트(11)를 통해 들어가도록 한다. 상기 바이패스유출공(48')은 상기 제1내부유로(46)와 연통된다.A bypass inflow hole 48 is formed at a position rotated by 90 degrees from the supply port communicating hole 47 of the first body 45. The bypass inflow hole 48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internal flow path 46 and selectively communicated with the supply port communication hole 43 of the first housing 42. A bypass outlet hole 48 'is formed at a position which is rotated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bypass inlet hole 48 and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45. The bypass outlet hole 48 'selectively communicates with the first port communicating hole 44' of the first housing 42 so that fluid bypassed from the first port communicates with the first port 11 through the actuator 1 . The bypass outlet hole 48 'communicates with the first internal flow passage 46.

상기 유입라인연통공(47')에서 제1몸체(45)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몸체(45)의 후단부에는 일정 구간에 걸쳐서 제1제어밸브라인연통부(49)가 형성되고, 180도 회전된 위치에는 제1포트연통부(49')가 제1몸체(45)의 후단부에 일정 구간에 걸쳐서 형성된다. 상기 제1제어밸브라인연통부(49)와 제1포트연통부(49')는 일단부가 상기 제1하우징(42)에서 돌출된 위치까지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하우징(42)의 제1내부공간(42') 내에 위치한다. 상기 제1제어밸브라인연통부(49)는 상기 제1몸체(45)의 길이방향으로 볼 때 상기 제1제어밸브라인연통공(44)과 선택적으로 연통된다. 상기 제1포트연통부(49')는 상기 제1포트연통공(44')과 대응되는 위치까지 연통되어 선택적으로 연통된다.A first control valve line communicating portion 49 is formed at a rear end portion of the first body 45 for a predetermined period by being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45 in the inflow line communication hole 47 ' And the first port communicating portion 49 'is formed at a rear end portion of the first body 45 over a predetermined interval at a position rotated by 180 degrees. One end of the first control valve line communicating part 49 and the first port communicating part 49 'are 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first housing 42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trol valve line communicating part 49 and the first port communicating part 49' And is located in the first inner space 42 '. The first control valve line communication portion 49 selectively communicates with the first control valve line communication hole 44 when vie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45. The first port communicating portion 49 'communicates with the first port communicating hole 44' to selectively communicate with the first port communicating port 49 '.

따라서, 상기 제1제어밸브라인연통부(49)는 상기 제1하우징(42)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에서 상기 제1포트연통부(49')와 연통된다. 물론, 상기 제1하우징(42)에서 외부로 돌출된 부분은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 내에 위치된다.Accordingly, the first control valve line communicating part 49 communicates with the first port communicating part 49 'at a portion protruding outward of the first housing 42. Of course, the portion protruding outward from the first housing 42 is located in the space formed inside the body 10.

다음으로, 제2수동밸브(5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제2수동밸브(50)의 외관을 제2하우징(52)이 형성한다. 상기 제2하우징(52)의 내부에는 제2내부공간(52')이 전후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하우징(52)에는 제2제어밸브라인연통공(54)이 일측에 형성되고, 180도 회전된 위치에 제2포트연통공(54')이 상기 제2내부공간(52')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제어밸브라인연통공(54)은 상기 제2방향제어밸브라인(25')과 연통되는 부분이고, 상기 제2포트연통공(54')은 상기 제2포트(12)와 연통되는 부분이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manual valve 50 will be described. And the second housing 52 forms an outer appearance of the second manual valve 50. [ A second inner space 52 'is formed in the second housing 52 so as to pass therethrough. The second housing 52 has a second control valve line communication hole 54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a second port communication hole 54 ' Respectively. The second control valve line communication hole 54 is a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direction control valve line 25 'and the second port communication hole 54' is communicated with the second port 12 ' Section.

상기 제2하우징(52)의 제2내부공간(52')에는 제2몸체(55)가 설치된다. 상기 제2몸체(55)는 상기 제2하우징(52)을 전후로 관통하여 선단과 후단이 각각 상기 제2하우징(52)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제2몸체(55)의 선단 일측에는 제2핸들(55')이 설치되어 상기 제2몸체(55)를 작업자가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핸들(55')는 상기 제2하우징(52)의 전면에 있는 스토퍼(도면부호 부여않음)들에 의해 이동행정이 규제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2핸들(55')이 90도만큼 회전될 수 있다. 참고로 제1수동밸브(40)의 제1핸들(45')도 동일하게 회전이 규제된다.A second body 55 is installed in the second inner space 52 'of the second housing 52. The second body 55 penetrates the second housing 52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second body 55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housing 52, respectively. A second handle 55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ip of the second body 55 to allow the operator to rotate the second body 55. The second handle 55 'is restricted in its movement stroke by a stopper (not show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52.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handle 55 'may be rotated by 90 degrees. For reference, the rotation of the first handle 45 'of the first manual valve 40 is also restricted.

상기 제2몸체(55)의 후단에는 제2제어밸브라인연통부(59)가 일정 구간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제2제어밸브라인연통부(59)는 상기 제2하우징(52)의 제어밸브라인연통공(54)을 통해 상기 제2방향제어밸브라인(25')과 연통된다. 상기 제2제어밸브라인연통부(59)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제2몸체(55)의 후단 외면에는 제2포트연통부(59')가 일정 구간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제2포트연통부(59')도 상기 제2몸체(55)의 외부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2내부공간(52)의 내부에 위치되는 부분은 상기 제2하우징(52)의 제2포트연통공(54')과 선택적으로 연통된다. 참고로 상기 제2몸체(55)의 내부에는 유로가 형성되지 않는다.A second control valve line communicating portion 59 is formed at a rear end of the second body 55 over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second control valve line communication portion 59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direction control valve line 25 'through the control valve line communication hole 54 of the second housing 52. A second port communicating part 59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second body 55 opposite to the second control valve line communicating part 59 over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second port communicating portion 59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body 55 and the portion located inside the second internal space 52 is communicated with the second port communicating portion 59' And is selectively in communication with the hole 54 '. For reference, no flow path is formed inside the second body 55.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엑츄에이터 제어밸브 교체용 바이패스/블록킹 장치가 동작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bypass / blocking device for replacing the actuator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3에 도시된 회로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장치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체결공(18)을 관통한 체결구가 상기 엑츄에이터(1)에 체결됨에 의해 엑츄에이터(1)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제1포트(11)와 제2포트(12)는 각각 상기 엑츄에이터(1)에 연결되어 유체가 엑츄에이터(1) 내부의 피스톤 양측으로 입출되도록 한다. 상기 유압공급포트(14)와 유압회수포트(16)에는 유체공급원에 연결된 호스 또는 파이프가 연결된다.First,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ircuit diagram shown in Fig. The main body 10 is attached to the actuator 1 by fastening a fastener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 18 to the actuator 1. At this time, the first port 11 and the second port 12 are connected to the actuator 1, respectively, so that the fluid is allowed to flow into and out of both sides of the piston in the actuator 1. A hose or pipe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source is connected to the hydraulic pressure supply port 14 and the hydraulic pressure recovery port 16.

위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수동밸브(40)는 도 8에 도시된 상태로 되도록 제1핸들(45')이 위치하고, 제2수동밸브(50)는 도 11에 도시된 상태로 되도록 제2핸들(55')이 위치한다.In this state, the first handle 45 'is positioned so that the first manual valve 40 is in the state shown in FIG. 8, and the second manual valve 50 is placed in the state shown in FIG. A handle 55 'is located.

즉, 도 8의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제1하우징(42)의 공급포트연통공(43)에 상기 제1몸체(45)에 있는 공급포트연통공(47)이 일치한다. 상기 제1몸체(45)의 유입라인연통공(47')은 제1하우징(42)의 유입라인연통공(43')과 일치하게 되어 유압공급포트(14)를 통해 들어온 유체가 상기 제1내부유로(45)를 거쳐 제1유입라인(24)으로 전달된다.8, the supply port communicating hole 47 of the first body 45 is aligned with the supply port communicating hole 43 of the first housing 42. As shown in FIG. The inlet line communication hole 47 'of the first body 45 is aligned with the inlet line communication hole 43' of the first housing 42 so that the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hydraulic pressure supply port 14 flows into the first And is transferred to the first inflow line 24 via the inner flow path 45.

이와 같이 상기 제1유입라인(24)으로 전달된 유체는 상기 방향제어밸브(20)로 가서, 상기 방향제어밸브(20)의 구동에 의해 제1방향제어밸브라인(25) 또는 제2방향제어밸브라인(24')으로 유동된다. 여기서는 상기 제1방향제어밸브라인(25)으로 전달되는 경우를 설명한다.The fluid delivered to the first inflow line 24 is directed to 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20 and is then directed by 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20 to the first directional control valve line 25, Valve line 24 '. Here, the case of being transmitted to the first direction control valve line 25 will be described.

상기 제1방향제어밸브라인(25)을 통해 유체가 유동되면, 상기 제1파일롯트체크밸브(33)를 거치고, 상기 제1수동밸브(40)를 거쳐서 상기 제1포트(11)를 통해 엑츄에이터(1)의 일측으로 들어간다. 이와 같이 엑츄에이터(1)로 상기 제1포트(11)를 거쳐서 유체가 공급되면 상기 구동로드(3)는 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된다.When the fluid flows through the first direction control valve line 25, the fluid flows through the first pilot check valve 33 and the first port 11 through the first manual valve 40, (1). When the fluid is supplied to the actuator 1 through the first port 11, the driving rod 3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여기서, 상기 제1수동밸브(40)를 거쳐서 유체가 상기 엑츄에이터(1)로 들어가는 것을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방향제어밸브라인(25)을 따라 이동된 유체는 상기 제1수동밸브(40)의 제1제어밸브라인연통공(44)을 통해 상기 제1제어밸브라인연통부(49)로 들어가고, 상기 제1하우징(42)의 외측을 통해 상기 제1포트연통부(49')를 거쳐서 제1포트연통공(44')을 지나서 제1포트(11)를 통해 엑츄체이터(1)로 간다.Here, the introduction of the fluid into the actuator 1 via the first manual valve 4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fluid moved along the first directional control valve line 25 enters the first control valve line communication portion 49 through the first control valve line communication hole 44 of the first manual valve 40 Through the first port communicating hole 44 'through the first port communicating portion 49' through the outside of the first housing 42 to the actuator 1 via the first port 11, Goes.

상기 제1포트(11)를 통해 유체가 엑츄에이터(1)로 들어가는 경우에는 상기 제2포트(12)를 통해서는 유체가 흘러나와 상기 제2수동밸브(50)를 거쳐서 제2방향제어밸브라인(25'), 방향제어밸브(20)를 통과해서 제1회수라인(24')을 거쳐 유압회수포트(16)로 들어간다.When the fluid enters the actuator 1 through the first port 11, fluid flows through the second port 12 and flows through the second directional control valve line 25 'through 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20 and into the hydraulic return port 16 via the first recovery line 24'.

한편, 상기 방향제어밸브(20)에서의 제어에 따라 유체는 상기 제2방향제어밸브라인(25')으로 공급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압공급포트(14)를 통해 공급된 유체가 상기 제2방향제어밸브라인(25'), 제2파일롯트체크밸브(33'), 제2수동밸브(50), 제2포트(12)를 거쳐서 엑츄에이터(1)로 들어간다. 이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수동밸브(50)에서 유체의 흐름이 발생한다. 즉, 상기 제2제어밸브라인연통공(54)으로 상기 제2방향제어밸브라인(25')에서 나온 유체가 유동되어, 상기 제2제어밸브라인연통부(59), 제2하우징(52)의 외부를 거쳐 다시 제2포트연통부(59')을 통해 제2포트연통공(54')과 제2포트(12)를 지나서 엑츄에이터(1)로 들어간다. 이때, 상기 제1수동밸브(40)에서는 도 8에 도시된 것의 역방향으로 흐름이 발생하면서 엑츄에이터(1)에서 유체가 나와 상기 유압회수포트(16)로 간다.On the other hand, fluid may be supplied to the second directional control valve line 25 'under the control of 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20. That is, the fluid supplied through the hydraulic pressure supply port 14 flows through the second directional control valve line 25 ', the second pilot check valve 33', the second manual valve 50, the second port 12 into the actuator 1.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1, a flow of the fluid occurs in the second manual valve 50. That is, the fluid from the second directional control valve line 25 'flows into the second control valve line communication hole 54 and flows through the second control valve line communication portion 59, the second housing 52, Through the second port communicating hole 54 'and the second port 12 via the second port communicating portion 59' through the outside of the second port communicating portion 59 '. At this time, in the first manual valve 40, a flow is gener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at shown in FIG. 8, and the fluid flows out of the actuator 1 to the hydraulic return port 16.

한편, 상기 엑츄에이터(1)의 구동로드(3)가 특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전자차단밸브(30)를 구동시킨다. 상기 전자차단밸브(30)는 전자적으로 동작되므로 원격지에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전자차단밸브(30)가 구동되면, 상기 유압공급포트(14)를 통해 공급된 유압중 일부가 상기 전자차단밸브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파일롯트체크밸브(33,33')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파일롯트체크밸브(33,33')는 체크밸브로서의 기능을 하게 되어, 예를 들어 유체가 상기 엑츄에이터(1) 방향으로는 유동될 수 있지만 그 반대로는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it may be necessary to fix the driving rod 3 of the actuator 1 at a specific position. In this case, the electromagnetic shut-off valve 30 is driven. Since the electromagnetic shut-off valve 30 is operated electronically, it can be operated at a remote place. When the electromagnetic shut-off valve 30 is driven, part of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through the hydraulic pressure supply port 14 is transm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pilot check valves 33 and 33 'through the electromagnetic shut- do. 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pilot check valves 33 and 33 'function as check valves, so that, for example, the fluid can flow in the direction of the actuator 1 but not vice versa do.

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 제2파일롯트체크밸브(33')가 엑츄에이터(1)에서 상기 방향제어밸브(20)쪽으로 유체가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고, 상기 방향제어밸브(20)가 상기 제1방향제어밸브라인(25)을 통해 유체가 상기 제1파일롯트체크밸브(33)와 제1수동밸브(40)를 통과해서 엑츄에이터(1)로 공급되게 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2포트(12)를 통해 엑츄에이터(1) 외부로 유체가 유동되는 것이 상기 제2파일롯트체크밸브(33')에 의해 차단되어 있으므로, 상기 구동로드(3)는 특정한 위치에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엑츄에이터(1)에 의해 구동되는 또 다른 밸브 등에 대한 동작을 특정한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참고로 이와 같은 동작은 역으로 되어도 마찬가지이다. 즉, 엑츄에이터(1)에서 제1포트(11)를 통해 유체가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면서 상기 제2포트(12)를 통해서서는 상기 엑츄에이터(1)로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구동로드(3)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us, for example, the second pilot check valve 33 'blocks the flow of fluid from the actuator 1 to 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20, and 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20 is closed by the first The fluid can be supplied to the actuator 1 through the first pilot check valve 33 and the first manual valve 40 through the direction control valve line 25. [ However, since the flow of fluid to the outside of the actuator 1 through the second port 12 is blocked by the second pilot check valve 33 ', the driving rod 3 is stopped at a specific position So that the operation of another valve or the like driven by the actuator 1 can be brought into a specific state. Note that the same operation is performed in reverse. That is, the fluid is supplied to the actuator 1 through the second port 12 while preventing the fluid from escaping from the actuator 1 through the first port 11, so that the driving rod 3 is moved to a desired position As shown in Fig.

한편, 상기 방향제어밸브(20) 또는 상기 전자차단밸브(30) 등의 유지보수가 필요할 때에는 상기 제1수동밸브(40)의 제1핸들(45')과 제2수동밸브(50)의 제2핸들(55')을 도 7에 도시된 상태로 하면 된다. 즉, 도 1이나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90도 만큼 회전시킨 상태로 한다.When maintenance of 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20 or the electromagnetic shut-off valve 30 is required, the first handle 45 'of the first manual valve 40 and the second manual valve 50' The handle 55 'may be in the state shown in Fig. That is, it is rotated by 90 degrees in the state shown in Fig. 1 or Fig.

상기 제1수동밸브(40)는 도 7의 상태가 되면, 유압공급포트(14)를 통해 공급된 유체를 상기 방향제어밸브(20) 쪽으로 유동시키지 않고, 바로 공급포트연통공(43), 바이패스유입공(48), 제1내부유로(46), 바이패스유출공(48') 그리고 제1포트연통공(44')을 거쳐 엑츄에이터(1)로 공급한다.7, the first manual valve 40 does not flow the fluid supplied through the hydraulic pressure supply port 14 toward 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20 but directly flows through the supply port 43, To the actuator 1 via the path inflow hole 48, the first inner flow path 46, the bypass outflow hole 48 'and the first port communication hole 44'.

상기 제2수동밸브(50)는 도 11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2핸들(55')이 90도 회전하여 상기 제2몸체(55)가 90도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제어밸브라인연통공(54)과 제2제어밸브라인연통부(59)가 연통되지 않게 되고, 상기 제2포트연통공(54')도 제2포트연통부(59')와 연통하지 않게 되어 유체의 흐름이 없도록 한다.In the state shown in FIG. 11, the second handle 55 'is rotated 90 degrees and the second body 55 is rotated 90 degrees. Accordingly, the second control valve line communication hole 54 is not communicated with the second control valve line communication portion 59, and the second port communication hole 54 'is also communicated with the second port communication portion 59' So that the fluid does not flow.

따라서, 이는 위에서 상기 전자차단밸브(30)가 구동되는 것과 같은 결과를 나타내고, 상기 엑츄에이터(1)의 구동로드(3)를 특정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상태가 된다. 발전설비에 본 발명의 장치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엑츄에이터(1)의 상태가 발전설비를 그대로 동작시키는 상태로 유지시키면, 상기 방향제어밸브(20), 전자차단밸브(30) 등을 상기 몸체(10)에서 분리하더라도 유체의 누설이 없게 된다.This results in the same result as when the electromagnetic shut-off valve 30 is driven from above, and the driving rod 3 of the actuator 1 is fixed at a specific position. When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power generation facility, when the state of the actuator 1 is maintained in a state in which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remains operating, the direction control valve 20, the electromagnetic shutoff valve 30, 10), there is no leakage of the flui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엑츄에이터 3: 구동로드
10: 본체 11: 제1포트
12: 제2포트 14: 유압공급포트
16: 유압회수포트 18: 체결공
19: 테스트포트 20: 방향제어밸브
24: 제1유입라인 24': 제1회수라인
25: 제1방향제어밸브라인 25': 제2방향제어밸브라인
30: 전자차단밸브 31: 제2유입라인
31': 제2회수라인 32: 파일롯트라인
33: 제1파일롯트체크밸브 33': 제2파일롯트체크밸브
40: 제1수동밸브 42: 제1하우징
42': 제1내부공간 43: 공급포트연통공
43': 유입라인연통공 44: 제1제어밸브라인연통공
44': 제1포트연통공 45: 제1몸체
45': 제1핸들 46: 제1내부유로
47: 공급포트연통공 47': 유입라인연통공
48: 바이패스유입공 48': 바이패스유출공
49: 제1제어밸브라인연통부 49': 제1포트연통부
50: 제2수동밸브 52: 제2하우징
52': 제2내부공간 54: 제2제어밸브라인연통공
54': 제2포트연통공 55: 제2몸체
55': 제2핸들 59: 제2제어밸브라인연통부
59': 제2포트연통부
1: Actuator 3: Drive rod
10: main body 11: first port
12: second port 14: hydraulic pressure supply port
16: Hydraulic recovery port 18:
19: Test port 20: Directional control valve
24: first inflow line 24 ': first withdrawal line
25: first direction control valve line 25 ': second direction control valve line
30: electron cutoff valve 31: second inflow line
31 ': second recovery line 32: pilot lot line
33: first pilot check valve 33 ': second pilot check valve
40: first manual valve 42: first housing
42 ': first internal space 43: supply port communicating hole
43 ': Inflow line communication hole 44: First control valve line communication hole
44 ': first port communicating hole 45: first body
45 ': first handle 46: first inner flow path
47: supply port communicating hole 47 ': inflow line communicating hole
48: Bypass Inlet Ball 48 ': Bypass Outlet Ball
49: first control valve line communicating portion 49 ': first port communicating portion
50: second manual valve 52: second housing
52 ': second internal space 54: second control valve line communicating hole
54 ': Second port communicating hole 55: Second body
55 ': second handle 59: second control valve line communication part
59 ': second port communicating portion

Claims (8)

유체라인이 내부에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유체를 엑츄에이터로 공급하고 회수하는 것을 제어하는 방향제어밸브와,
상기 방향제어밸브로 공급되는 유체의 일부를 받아 구동되는 전자차단밸브와,
상기 전자차단밸브의 구동에 의해 상기 방향제어밸브와 엑츄에이터 사이에서의 유체 유동을 제어하는 제1 및 제2 파일롯트체크밸브와,
유체공급원에서 상기 엑츄에이터로 유체가 전달되는 것을 것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방향제어밸브로 유체를 전달하거나 상기 엑츄에이터로 직접 전달하는 제1수동밸브와,
상기 엑츄에이터와 방향제어밸브 사이에서 유체의 유동을 차단하거나 연결하도록 동작되는 제2수동밸브를 포함하는 엑츄에이터 제어밸브 교체용 바이패스/블록킹 장치.
A main body in which a fluid line is formed,
A direction control valv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control supply and recovery of fluid to be supplied to the actuator,
An electromagnetic shutoff valve that is driven by receiving a part of the fluid supplied to 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First and second pilot check valves for controlling fluid flow between 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and the actuator by driving the electromagnetic shut-off valve,
A first manual valve for controlling the delivery of fluid from the fluid supply source to the actuator and delivering the fluid to 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or directly to the actuator,
And a second passive valve operative to block or connect fluid flow between the actuator and 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파일롯트체크밸브는 평상시에는 상기 방향제어밸브와 엑츄에이터 사이의 유체 유동을 자유롭게 유지하고 상기 전자차단밸브의 구동에 의해 상기 엑츄에이터에서 상기 방향제어밸브를 향하는 유체유동을 차단하는 엑츄에이터 제어밸브 교체용 바이패스/블록킹 장치.
2.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pilot check valves are adapted to freely hold fluid flow between 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and the actuator and to move the actuator from the actuator to the directional control valve A bypass / blocking device for replacing an actuator control valve to block fluid flow.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동밸브는 내부에 제1내부공간이 형성된 제1하우징과, 유체공급원에서 공급된 유체를 상기 엑츄에이터로 직접 전달하거나 상기 방향제어밸브로 전달하는 것으로 상기 제1내부공간에 설치되고 회전에 의해 전달방향을 절환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하우징의 선단으로 돌출된 상기 제1몸체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몸체의 회전을 위한 힘을 전달받는 제1핸들을 포함하는 엑츄에이터 제어밸브 교체용 바이패스/블록킹 장치.
[3]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2, wherein the first passive valve comprises: a first housing having a first internal space formed therein; A first body installed in the space and adapted to switch the transmission direction by rotation; a first body installed on the first body protruding from the front end of the first housing and receiving a force for rotating the first body from the user, And an actuator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the actuato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의 내부에는 제1내부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내부유로와 각각 연통되고 일정 각도간격을 가지는 공급포트연통공과 유입라인연통공 그리고 상기 제1내부유로와 각각 연통되고 일정 각도간격을 가지는 바이패스유입공과 바이패스유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의 후단부 외면에는 상기 방향제어밸브측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1제어밸브라인연통부와 상기 엑츄에이터 측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1포트연통부가 소정 구간에 걸쳐 형성되는 엑츄에이터 제어밸브 교체용 바이패스/블록킹 장치.
[5]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body is provided with a first internal flow passage, a supply port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internal flow passage and a predetermined angle interval, an inlet line communication hole, A first control valve line communicating part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first body and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direction control valve side, and a second control valve line communicating part selectively communicating with the actuator side, Wherein the first port communicating portion is formed over a predetermined sec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에는 상기 바이패스유입공이나 제1몸체의 공급포트연통공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공급포트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방향제어밸브측과 연통되는 유입라인연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제어밸브라인연통부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1제어밸브라인연통공과 제1포트연통부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1포트연통공이 형성되는 엑츄에이터 제어밸브 교체용 바이패스/블록킹 장치.
5. 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housing is formed with a supply port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bypass inlet hole or the supply port communication hole of the first body, and an inlet line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direction control valve side is formed And a first port communication hole selectively communicating with a first control valve line communication hole and a first port communication line selectively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ontrol valve line communication portion.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동밸브는 내부에 제2내부공간이 형성된 제2하우징과, 유체공급원에서 공급된 유체를 상기 엑츄에이터로 직접 전달하거나 상기 엑츄에이터에서 나온 유체를 상기 방향제어밸브 쪽으로 전달하도록 회전에 의해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2몸체와, 상기 제2하우징의 선단으로 돌출된 상기 제2몸체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몸체의 회전을 위한 힘을 전달받는 제2핸들을 포함하는 엑츄에이터 제어밸브 교체용 바이패스/블록킹 장치.
6. The flui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second passive valve comprises: a second housing having a second internal space formed therein; a second housing having a second fluid passageway for directing the fluid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 source to the actuator, A second body protruding from a tip of the second housing for transmitting a force for rotating the second body from a user to the second body, And a second handle for receiving an actuator control valv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에는 상기 방향제어밸브측과 연통되는 제2제어밸브라인연통공이 제2내부공간과 연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엑츄에이터 측과 연통되는 제2포트연통공이 제2내부공간과 연통되어 형성되는 엑츄에이터 제어밸브 교체용 바이패스/블록킹 장치.
7.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second control valve line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direction control valve side is formed in the second housing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internal space, and a second port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actuator side is formed in the second interior A bypass / blocking device for replacing an actuator control valv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a spac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에는 상기 제2제어밸브라인연통공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2제어밸브라인연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포트연통공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2포트연통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2제어밸브라인연통부와 제2포트연통부는 상기 제2몸체의 외면에서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2몸체의 회전에 의해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엑츄에이터 제어밸브 교체용 바이패스/블록킹 장치.
[8] The apparatus of claim 7, wherein the second body is formed with a second port communicating portion having a second control valve lin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control valve line communicating hole and selectively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port communicating hole, Wherein the second control valve line communication portion and the second port communication portion are formed at positions opposite to each oth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so as to control the flow of the fluid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body, Blocking device.
KR1020170002694A 2017-01-09 2017-01-09 Bypass/blocking apparatus for replacing of actuator control valve Active KR1018501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694A KR101850114B1 (en) 2017-01-09 2017-01-09 Bypass/blocking apparatus for replacing of actuator control val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694A KR101850114B1 (en) 2017-01-09 2017-01-09 Bypass/blocking apparatus for replacing of actuator control valv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0114B1 true KR101850114B1 (en) 2018-04-19

Family

ID=62087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2694A Active KR101850114B1 (en) 2017-01-09 2017-01-09 Bypass/blocking apparatus for replacing of actuator control val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114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017B1 (en) * 2013-07-16 2013-10-16 (주)제이에스티앤랩 Blocking block
KR101381072B1 (en) * 2009-11-10 2014-04-04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Hydraulic pressure control device
US9243640B2 (en) * 2007-07-13 2016-01-26 Ingersoll-Rand Company Integrated rotary valve
KR101604367B1 (en) * 2015-11-04 2016-03-17 주식회사 제이에스티앤랩 Bypass/blocking apparatus for replaceing of control valve
KR20160115035A (en) * 2015-03-25 2016-10-06 (주)제이에스티앤랩 Blocking valve for EHPC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43640B2 (en) * 2007-07-13 2016-01-26 Ingersoll-Rand Company Integrated rotary valve
KR101381072B1 (en) * 2009-11-10 2014-04-04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Hydraulic pressure control device
KR101319017B1 (en) * 2013-07-16 2013-10-16 (주)제이에스티앤랩 Blocking block
KR20160115035A (en) * 2015-03-25 2016-10-06 (주)제이에스티앤랩 Blocking valve for EHPC
KR101604367B1 (en) * 2015-11-04 2016-03-17 주식회사 제이에스티앤랩 Bypass/blocking apparatus for replaceing of control val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7644B1 (en) Bypass valve for water treatment system
CA2837100A1 (en) Automatic speed searching device and method for a partial stroke test of a control valve
CN103711961A (en) Pilot operated relief valve with dual pilot regulators
RU2012129358A (en) DEVICE FOR INCREASING REINFORCEMENT ACTUATOR WITH LOCKING DEVICE
CA2560318A1 (en) Valve, actuator and control system therefor
KR101850114B1 (en) Bypass/blocking apparatus for replacing of actuator control valve
US4471805A (en) Control valve
JPH05202909A (en) Supply circuit for 2-line hydraulic mechanism
JP5289810B2 (en) Emergency shut-off valve device
CN107206533B (en) Device for supplying a coolant, control system for such a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coolant supply system
JP3370721B2 (en) Safety valve device
US11504561B2 (en) Fire extinguishing system valve, in particular wet alarm valve, dry alarm valve or spray water valve and control module for the same and fire extinguishing system utilizing the same
KR970017750A (en) Fluid pressure drive device of circuit breaker and circuit breaker using same
KR101307245B1 (en) Gas dissolving apparatus that a liquid supply valve and a gas valve are operated simultaneously
US4187882A (en) Diverter-valve apparatus
US3892381A (en) Fail-safe valve
KR101604367B1 (en) Bypass/blocking apparatus for replaceing of control valve
KR101888558B1 (en) Emergency valve unit of valve assembly
RU2634165C1 (en) Valve
JP3538466B2 (en) Main steam stop valve switchgear
KR102138090B1 (en) Piston type valve with controller
AU2007222881C1 (en) A valve
RU2734590C9 (en) Intermittent air-generating device
US1078252A (en) Faucet.
RU2285180C1 (en) Cut-off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4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4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