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679B1 -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48679B1 KR101848679B1 KR1020160062914A KR20160062914A KR101848679B1 KR 101848679 B1 KR101848679 B1 KR 101848679B1 KR 1020160062914 A KR1020160062914 A KR 1020160062914A KR 20160062914 A KR20160062914 A KR 20160062914A KR 101848679 B1 KR101848679 B1 KR 1018486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n
- fan cover
- housing
- heat exchanger
- ai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3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having two or more f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 F24F2001/0037—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 매입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 양측의 모터축에 제1팬과 제2팬을 설치한 구조에서 하우징측에 상기 모터축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제1팬과 제2팬의 회전시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고, 상기 제1,2팬의 둘레를 감싸는 제1,2팬커버부를 상기 하우징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부품수 및 제조비용을 절감하며, 또한 상기 하우징을 EPP재질의 상,하 분할 조립구조로 구성함에 따라 진동과 소음 및 내,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음은 물론 분해가 쉬워 청소가 용이한 천장 매입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iling embedded type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eiling embedded type air condition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first fan and a second fan are installed on motor shafts on both sides of a motor, The first fan and the second fan are prevented from vibrating and noise when rotating, and the first and second fan covers surrounding the first and second fans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and manufacturing cost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ceiling built-in type air conditioner capable of absorbing vibrations, noise, internal and external impacts, and being easy to disassemble by constituting the housing with an upper and a lower split assembly structure of EPP material.
Description
본 발명은 천장 매입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 양측의 모터축에 제1팬과 제2팬을 설치한 구조에서 하우징측에 상기 모터축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설치하여 제1팬과 제2팬의 회전시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고, 제1,2팬커버부를 하우징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부품수 및 제조비용을 절감하며, 상기 하우징을 EPP재질의 상,하 분할 조립구조로 구성하여 진동과 소음 및 내,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음은 물론 분해가 쉬워 청소가 용이한 천장 매입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가 냉매 배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폐회로를 형성하는 냉동사이클에서 폐회로를 순환하는 냉매가 기화 또는 액화됨으로써 이루어지는 흡열작용과 방열작용을 이용하여 주위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장치이다.Generally, an air conditioner uses a heat absorbing function and a heat radiating function, which are formed by vaporizing or liquefying a refrigerant circulating in a closed circuit in a refrigeration cycle in which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valve, and an evaporato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refrigerant pipe to form a closed circuit, Or heating.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와 응축기 등을 구비하여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와, 증발기 등을 구비하며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가 분리되어 구성된 분리형 타입과, 상기의 요소들이 하나의 하우징에 설치되는 일체형 타입으로 구분된다.Such an air conditioner is classified into a separable type having an outdoor unit provided with a compressor, a condenser and the like and an indoor unit provided with an evaporator and the like, and an integral type in which the above elements are installed in a single housing do.
또한, 분리형 타입의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바닥에 세워져서 설치되는 스탠드형, 실내의 벽에 부착되어 설치되는 벽걸이형, 그리고 실내의 천장에 매입되어 설치되는 천장 매입형 등이 있다.The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includes a stand type installed on the floor of a room, a wall-mounted type installed on a wall of the room, and a ceiling-mounted type installed in the ceiling of the room.
도 1은 종래의 천장 매입형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천장 매입형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Fig. 1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eiling embedded air conditioner, and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eiling embedded air conditioner.
상기 천장 매입형 공기조화기는, 외곽을 형성하는 캐비닛(1)의 뒷면(2)에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3)가 형성되고, 앞면(4)에는 열교환된 공기를 배출하는 토출구(5)가 형성되며, 상기 캐비닛(1) 앞면(4)의 토출구(5) 내측에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는 송풍기(10)가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3) 내측에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6)가 설치된다.The ceiling embedded type air conditioner is provided with a
상기 캐비닛(1) 내부의 열교환기(6)의 하측에는 열교환 과정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받아주는 드레인부(7)가 설치되고, 상기 드레인부(7)에는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한 드레인 파이프(8)가 연결된다.A
또한, 상기 송풍기(10)는 모터(11)와, 상기 모터(11)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모터축(12)에 각각 설치되는 두 개의 팬(13)과, 상기 팬(13)의 둘레를 스크롤 형태로 감싸도록 설치되어 팬(13)의 반경방향으로 송풍되는 공기를 토출구(5)측으로 가이드하는 팬커버(14)로 이루어진다.The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공기조화기는, 하절기에는 상기 열교환기(6)가 열을 흡열하는 증발기 역할을 하게 되어, 상기 흡입구(3)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기(6)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이렇게 냉각된 공기는 송풍기(10)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실내를 냉방하게 되고,The air conditioner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functions as an evaporator in which the
동절기에는 상기 열교환기(6)가 열을 방열하는 응축기 역할을 하게 되어, 상기 흡입구(3)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기(6)를 통과하면서 가열되고 이렇게 냉각된 공기는 송풍기(10)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실내를 난방하게 된다.In the winter season, the
한편, 상기 열교환기(6)가 증발기 역할을 하는 냉방시에는 상기 열교환기(6) 표면에 공기 중의 수분이 응결되어 응축수가 생성되고, 이렇게 생성된 응축수는 열교환기(6)의 표면을 따라 흘러 드레인부(7)로 모인 후, 드레인 파이프(8)를 통해 배수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heat exchanger (6) serves as an evaporator, moisture in the air condenses on th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6) to generate condensed water. The condensed water thus generated flows along th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And drained through the
그러나, 상기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상기 모터(11)의 양측으로 모터축(12)이 일정길이 연장되어 각각 팬(13)과 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모터축(12)의 단부를 지지하는 구조가 없어 팬(13)의 회전시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the
또한, 상기 팬커버(14)가 상기 캐비닛(1)과는 별도로 제작되어 캐비닛(1)의 내부에 장착되기 때문에 부품수가 증가하고 제조비용도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Also, since the
그리고, 상기 캐비닛(1)이 철재로 되어 있어 공기조화기의 작동시 떨림 등의 진동 및 소음을 흡수하지 못함은 물론 분해가 복잡하여 내부 청소가 불편한 문제도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 양측의 모터축에 제1팬과 제2팬을 설치한 구조에서 하우징측에 상기 모터축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제1팬과 제2팬의 회전시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고, 상기 제1,2팬의 둘레를 감싸는 제1,2팬커버부를 상기 하우징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부품수 및 제조비용을 절감하며, 또한 상기 하우징을 EPP재질의 상,하 분할 조립구조로 구성함에 따라 진동과 소음 및 내,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음은 물론 분해가 쉬워 청소가 용이한 천장 매입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for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to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first fan and a second fan are provided on motor shafts on both sides of a motor, The first fan and the second fan are prevented from vibrating and noise when rotating, and the first and second fan covers surrounding the first and second fans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to reduce the number of components and manufacturing cost, Also,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eiling built-in type air conditioner which can absorb vibrations, noise, internal and external impacts and is easy to disassemble by constituting the housing with an upper and a lower split assembly structure of EPP material.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제1팬커버부와 제2팬커버부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2팬커버부의 전방에는 열교환기수용실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열교환기수용실에 수용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제1팬커버부내에 배치되는 제1팬 및 상기 제2팬커버부내에 배치되는 제2팬과, 상기 하우징 내부의 제1팬커버부과 제2팬커버부의 사이에 설치되며, 양측으로 모터축이 연장되어 상기 제1팬 및 제2팬과 연결되는 모터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된 모터축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including a housing having a first fan cover portion and a second fan cover por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housing having a heat exchanger accommodating chamber formed in front of the first and second fan cover portions, A first fan disposed in the first fan cover and a second fan disposed in the second fan cover; and a second fan disposed in the first fan cover and the second fan cover inside the housing, And a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ends of the motor shafts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motor, the motor shafts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motor, the motor shaft being extended to both sides and connected to the first fan and the second fan, .
본 발명은, 모터 양측의 모터축에 제1팬과 제2팬을 설치한 구조에서 하우징측에 상기 모터축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제1팬과 제2팬의 회전시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fan and the second fan are provided on the motor shaft on both sides of the motor, a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end portion of the motor shaft is provided on the housing side, And noise can be prevented.
또한, 상기 제1,2팬의 둘레를 감싸는 제1,2팬커버부를 상기 하우징과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부품수 및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first and second fan cover portions surrounding the peripheries of the first and second fans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the number of parts and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그리고, 상기 하우징을 EPP재질의 상,하 분할 조립구조로 구성함으로써, 공기조화기의 작동시 진동과 소음 및 내,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음은 물론 분해가 쉬워 청소가 용이하다.By configuring the housing as an upper and lower split assembly structure of EPP material, it is possible to absorb vibration, noise, internal and external impacts during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nd to easily disassemble and clean.
또한, 제1,2팬커버부의 공기토출구 양측에 제1,2가이드부를 형성함으로써, 제1,2팬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열교환기의 전체영역에 균일하게 가이드하여 열교환 성능을 향상시키고 이로인해 냉,난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guide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air outlet of the first and second fan cover portions, the air blown from the first and second fans is uniformly guided to the entire region of the heat exchanger to improve heat exchange performance, , The heat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열교환기수용실 하부에 투명재질의 드레인부를 설치하고 외부에서 탈착이 용이함으로써, 상기 드레인부의 내측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이 가능하고 청소도 간편하여 드레인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drain portion of a transparent material is provided under the heat exchanger accommodating chamber of the housing and it is easily detachable from the outside, the inside of the drain portion can be easily visually confirmed and the drain portion can be cleanly maintained simply.
도 1은 종래의 천장 매입형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천장 매입형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입형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입형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에서 상부하우징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상부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eiling recreation type air conditioner,
2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eiling recessed type air conditioner,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eiling embedded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eiling embedded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housing shown in FIG. 3,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upper housing is removed in FIG. 5,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입형 공기조화기(100)는, 하우징(110)과, 열교환기(140)와, 제1팬(125) 및 제2팬(126)과, 모터(120)와, 지지수단(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ceiling embedded
상기 하우징(110)은, 천장에 매입되어 천장내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는 제1팬커버부(115)와 제2팬커버부(116)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2팬커버부(115,116)의 전방에는 열교환기수용실(113)이 형성된다.The
상기 제1팬커버부(115)는 상기 제1팬(125)의 둘레를 스크롤 형태로 감싸도록 형성되어 제1팬(125)의 반경방향으로 송풍되는 공기를 공기토출구(115b)측으로 가이드하게 된다.The first
상기 제2팬커버부(116)는 상기 제2팬(126)의 둘레를 스크롤 형태로 감싸도록 형성되어 제2팬(126)의 반경방향으로 송풍되는 공기를 공기토출구(116b)측으로 가이드하게 된다.The second
상기 제1팬커버부(115)와 제2팬커버부(116)는 상기 모터(120)의 축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The first
한편, 상기 제1팬커버부(115)와 제2팬커버부(116)와 상기 열교환기수용실(113)은 상기 제1팬커버부(115)와 제2팬커버부(116)의 공기토출구(115b,116b)를 통해 연통하게 된다. 따라서 제1팬커버부(115)와 제2팬커버부(116)의 공기토출구(115b,116b)에서 토출된 공기가 열교환기수용실(113)로 유동하게 된다.The first
그리고, 상기 제1팬(125)과 제2팬(126)의 축방향으로 상기 제1팬커버부(115)의 양측면과 제2팬커버부(116)의 양측면에는 각각 공기흡입구(115a,116a)가 형성되고,On both sides of the first
상기 제1팬(125)과 제2팬(126)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제1팬커버부(115)의 일측면과 제2팬커버부(116)의 일측면에는 각각 상기 열교환기수용실(113)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토출구(115b,116b)가 형성된다.One side surface of the first
따라서, 상기 제1팬커버부(115) 양측의 공기흡입구(115a)로 흡입된 공기는 제1팬(125)의 내측으로 흡입된 후 반경방향으로 토출되며, 이렇게 토출된 공기는 제1팬커버부(115) 내측의 스크롤면을 따라 유동한 후 공기토출구(115b)를 통해 열교환기수용실(113)로 토출된다.Therefore, the air sucked into the
상기 제2팬커버부(116) 양측의 공기흡입구(116a)로 흡입된 공기는 제2팬(126)의 내측으로 흡입된 후 반경방향으로 토출되며, 이렇게 토출된 공기는 제2팬커버부(116) 내측의 스크롤면을 따라 유동한 후 공기토출구(116b)를 통해 열교환기수용실(113)로 토출된다.The air sucked into the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는, 상기 제1팬커버부(115)의 공기흡입구(115a)와 상기 제2팬커버부(116)의 공기흡입구(116a)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구(117)가 형성되고,One end of the
상기 하우징(110)의 타측에는, 상기 열교환기수용실(113)을 통과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구(118)가 형성된다.The other end of the
상기 공기유입구(117)는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 내부에서 상기 제1팬커버부(115) 양측의 공기흡입구(115a)와 제2팬커버부(116) 양측의 공기흡입구(116a)와 연통되게 형성된다.The
한편, 상기 하우징(110)의 공기유입구(117)와 공기배출구(118)에는 덕트(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A duct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the
또한,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모터(120)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분할된 상부하우징(111)과 하부하우징(112)이 조립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하우징(111)은 천장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하우징(111)은 일측에 천장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재(101)가 구비되는데, 도 3과 같이 상기 상부하우징(111)이 천장과 와이어(도 2 참조)로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부재(101)는 와이어를 고정하는 수단일 수 있다.The
이처럼, 상기 하우징(110)이 상부하우징(111)과 하부하우징(112)으로 상,하 조립구조로 구성됨으로써, 분해가 쉬워 하우징(110) 내부의 청소가 용이하다.Since the
상기 상부하우징(111)과 하부하우징(112)은, EPP(Expanded polypropylene)재질로 형성되며, 이로인해 진동과 소음 및 내,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음은 물론 단열 및 경량화가 가능하다.The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상부하우징(111)과 하부하우징(112)은 서로 볼트 결합된다. 즉, 하부하우징(112)는 상부하우징(111)의 하측에서 볼트로 결합되며, 볼트를 결합을 해제하는 경우 하부하우징(112)을 상부하우징(111)에서 쉽게 떼어낼 수 있다. 즉 하부하우징(112)은 상부하우징(111)의 하측에서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하부하우징(112)은 가벼운 EPP 재질이고, 후술하는 경우와 같이, 무게가 무거운 모터(120)와 제1,2 팬(125, 126)은 상부하우징(111)에 결합되므로, 작업자 1인에 의한 하부하우징(112)의 분리가 가능한 것이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the
또한, 상기 제1팬커버부(115)와 제2팬커버부(116)는, 각각 상기 제1팬(125)과 제2팬(126)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분할되어 상기 상부하우징(111)과 하부하우징(112)에 일체로 형성된다.The first
즉, 종래에는 팬커버가 하우징(캐비닛)과 별도로 제작되어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는 구조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팬커버부(115)와 제2팬커버부(116)를 상,하로 분할하여 상부하우징(111)과 하부하우징(112)에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이로인해, 부품수 및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도 5와 같이, 상기 제1팬커버부(115)는 상,하로 2분할 되어 상측 부위는 상부하우징(111)과 일체로 형성되고, 하측 부위는 하부하우징(112)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팬커버부(116)도 상,하로 2분할 되어 상측 부위는 상부하우징(111)과 일체로 형성되고, 하측 부위는 하부하우징(112)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5, the first
한편, 상기 제1팬커버부(115)와 제2팬커버부(116)의 상,하 분할면은 공기가 리크되지 않도록 실링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상기 상,하 분할면에 돌기와 홈을 형성하여 서로 결합함으로써 공기의 리크를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실링구조는 상부하우징(111)과 하부하우징(112)의 전체 상,하 분할면에 적용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divided surfaces of the first
그리고, 상기 제1팬커버부(115)의 공기토출구(115b) 양측에는, 상기 제1팬(125)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140)측으로 확산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119a)가 형성되고,A
상기 제2팬커버부(116)의 공기토출구(116b) 양측에는, 상기 제2팬(126)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140)측으로 확산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119b)가 형성된다.A
이때, 상기 제1팬커버부(115)의 공기토출구(115b)와 제2팬커버부(116)의 공기토출구(116b) 사이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부(119a)와 제2가이드부(119b)는 서로 연결되어 "V"자 형태로 구성된다.The
한편, 상기 제1가이드부(119a)와 제2가이드부(119b)는 공기토출구(115b,116b)의 양단부에서 열교환기(140)를 향해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때 공기토출구(115b,116b)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확산하는 방향(공기토출구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또한, 상기 제1가이드부(119a)는 제1팬커버부(115)의 공기토출구(115b)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140)의 전체 영역 중 1/2 영역에 공기를 가이드하고, 상기 제2가이드부(119b)는 제2팬커버부(116)의 공기토출구(116b)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열교환기(140)의 나머지 1/2 영역에 공기를 가이드하게 된다.The
상기한 제1가이드부(119a)와 제2가이드부(119b)는, 상기 제1팬커버부(115) 및 제2팬커버부(116)와 상기 열교환기(140) 사이의 사공간(Dead space)에 위치하면서 사공간을 해소하여 사공간에서의 불규칙한 공기유동을 방지함은 물론 제1,2팬(125,126)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열교환기(140)의 전체영역에 균일하게 가이드하여 열교환 성능을 향상시키고 이로인해 냉,난방 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The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140)는, 상기 열교환기수용실(113)에 수용되어 세워지는 형태로 설치된다.The heat exchanger (140) is installed in the heat exchanger accommodating chamber (113) in a standing manner.
상기 열교환기(140)는, 냉동사이클의 냉매 배관과 연결되어 냉방시에는 증발기 역할의 흡열작용을 하여 공기를 냉각함으로써 냉방을 수행하고, 난방시에는 응축기 역할의 방열작용을 하여 공기를 가열함으로써 난방을 수행하게 된다.The
상기 냉동사이클은 공지된 것이므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refrigeration cycle is well known,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열교환기수용실(113)의 하부에는, 상기 열교환기(140)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모아서 배수하는 투명재질의 드레인부(150)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A
이때, 상기 열교환기수용실(113)의 하부에는 드레인공(113a)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공(113a)에 상기 드레인부(150)가 결합된다.At this time, a
이처럼, 상기 열교환기수용실(113)의 하부에 탈착이 용이한 투명재질의 드레인부(150)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드레인부(150)의 내측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이 가능하고 청소도 간편하여 드레인부(150)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재질의 드레인부(150)를 통하여 하우징(110)의 내측 또한 육안으로 쉽게 확인이 가능하다.In this way, by providing the
한편, 상기 드레인부(150)에는 드레인 호스(미도시)가 연결된다.A drain hose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그리고, 상기 제1팬(125)은 상기 제1팬커버부(115)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2팬(126)은 상기 제2팬커버부(116)내에 배치되며, 제1팬(125)과 제2팬(126)은 축방향 양측에서 공기를 흡입한 후 반경방향으로 공기를 통하는 원심팬으로 구성된다.The
또한, 상기 모터(120)는, 상기 하우징(110) 내부의 제1팬커버부(115)과 제2팬커버부(116)의 사이에 설치되며, 양측으로 모터축(121)이 연장되어 상기 제1팬(125) 및 제2팬(126)과 연결 결합된다.The
상기 모터(120)는 브라켓(120a)을 통해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 고정 설치된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브라켓(120a)은 상부하우징(111)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하우징(112)를 상부하우징(111)에서 분리했을 때 상기 모터(120)는 상부하우징(111)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The
따라서, 상기 하나의 모터(120)를 구동하여 상기 제1팬(125)과 제2팬(126)을 동시에 구동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한편, 상기 모터(120)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모터축(121)의 양단부는 상기 하우징(110)의 양측벽까지 연장되어 상기 지지수단(130)에 지지된다.Both ends of the
그리고, 상기 지지수단(130)은, 상기 하우징(110)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120)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된 모터축(121)의 단부를 지지하게 된다.The supporting means 130 supports end portions of
상기 지지수단(130)은, 상기 하우징(110)의 양측벽 내측면에 형성되는 삽입홈부(132)와, 상기 삽입홈부(132)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모터축(121)의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131)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131)는 하우징(110)과 끼움결합되므로, 상기 하부하우징(112)을 상부하우징(111)에서 분리가 손쉽게 가능해진다.The support means 130 includes an
상기 지지부재(131)는 베어링(미도시)을 구비하고 있어서 상기 모터축(121)의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The
한편, 상기 지지수단(130)은 상기 상부하우징(111)과 하부하우징(112) 중 어느 하나에만 구성할 수도 있고, 상부하우징(111)과 하부하우징(112)의 사이에서 양쪽 모두에 걸쳐지게 구성할 수도 있다.The supporting means 130 may be formed only on one of the
이와 같이, 상기 모터(120)의 모터축(121) 양단부를 상기 지지수단(130)을 통해 지지함으로써, 상기 모터(120)의 작동으로 인해 상기 제1팬(125)과 제2팬(126)의 회전시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both ends of th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입형 공기조화기(10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eiling embedded
먼저, 상기 모터(120)의 작동으로 상기 제1,2팬(125,126)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2팬커버부(115,116) 양측의 공기흡입구(115a,116a)로 공기가 흡입되고, 이 흡입된 공기는 제1,2팬의 내측으로 흡입된 후 반경방향으로 토출되며, 이렇게 토출된 공기는 제1,2팬커버부(115,116) 내측의 스크롤면을 따라 유동한 후 공기토출구(115b,116b)를 통해 열교환기수용실(113)로 토출된다.First, when the first and
상기 열교환기수용실(113)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14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하게 되는데, 냉방시에는 열교환기(140)의 흡열작용으로 인해 냉각되고, 난방시에는 열교환기(140)의 방열작용으로 인해 가열되게 된다.The air discharged into the heat
이후, 상기 열교환기(14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공기배출구(118)로 배출되어 실내로 공급됨으로써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게 된다.Then, the heat-exchanged air passing through the
한편, 냉방시 상기 열교환기(140)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는 상기 드레인부(150)로 낙하한 후 외부로 배수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아울러, 상기 모터(120)의 모터축(121) 양단부가 상기 지지수단(130)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제1,2팬(125,126)의 회전시 진동 및 소음이 방지된다.Since both ends of the
100: 공기조화기 110: 하우징
111: 상부하우징 112: 하부하우징
113: 열교환기수용실 115: 제1팬커버부
115a,116a: 공기흡입구 115b,116b: 공기토출구
116: 제2팬커버부 117: 공기유입구
118: 공기배출구 119a: 제1가이드부
119b: 제2가이드부 120: 모터
121: 모터축 125: 제1팬
126: 제2팬 130: 지지수단
131: 지지부재 132: 삽입홈부
140: 열교환기 150: 드레인부100: air conditioner 110: housing
111: upper housing 112: lower housing
113: heat exchanger accommodating chamber 115: first fan cover portion
115a, 116a:
116: second fan cover part 117: air inlet
118:
119b: second guide part 120: motor
121: motor shaft 125: first fan
126: second fan 130: support means
131: support member 132:
140: heat exchanger 150: drain part
Claims (9)
상기 열교환기수용실(113)에 수용되는 열교환기(140)와,
상기 제1팬커버부(115)내에 배치되는 제1팬(125) 및 상기 제2팬커버부(116)내에 배치되는 제2팬(126)과,
상기 하우징(110) 내부의 제1팬커버부(115)과 제2팬커버부(116)의 사이에 설치되며, 양측으로 모터축(121)이 연장되어 상기 제1팬(125) 및 제2팬(126)과 연결되는 모터(120)와,
상기 하우징(110)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모터(120)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된 모터축(121)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수단(130)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모터(120)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분할되어 상부하우징(111)과 하부하우징(112)이 조립되어 구성되고,
상기 하부하우징(112)은 상기 상부하우징(111)의 하측에서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상부하우징(111)은 천장에 고정되도록 고정부재(101)가 구비되고,
상기 모터(120)는 상부하우징(111)에 결합되도록 브라켓(120a)이 구비되어 상부하우징(111)에 결합되고,
상기 제1팬커버부(115)는 상하로 2분할되어 상측 부위는 상부하우징(111)과 일체로 형성되고, 하측 부위는 하부하우징(112)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팬커버부(116)는 상하로 2분할되어 상측 부위는 상부하우징(111)과 일체로 형성되고, 하측 부위는 하부하우징(112)과 일체로 형성되는 천장 매입형 공기조화기.A first fan cover part 115 and a second fan cover part 116 ar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first fan cover part 115 and the second fan cover part 116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heat exchanger accommodating chamber 113 is formed in front of the first and second fan cover parts 115, (110)
A heat exchanger 140 accommodated in the heat exchanger accommodation chamber 113,
A first fan 125 disposed in the first fan cover portion 115 and a second fan 126 disposed in the second fan cover portion 116,
The first fan cover part 115 and the second fan cover part 116 are provided in the housing 110 and the motor shaft 121 extends to both sides of the first fan cover part 115 and the second fan cover part 116, A motor 120 connected to the fan 126,
And support means 130 fitted in the housing 110 and supporting end portions of the motor shaft 121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motor 120,
The housing 110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with the motor 120 interposed therebetween to constitute an upper housing 111 and a lower housing 112,
The lower housing 112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111,
The upper housing 111 is provided with a fixing member 101 for fixing to the ceiling,
The motor 120 includes a bracket 120a to be coupled to the upper housing 111 and is coupled to the upper housing 111,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an cover portion 115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so that the upper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housing 111 and the lower por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housing 112,
The second fan cover part (116)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so that the upper par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housing (111), and the lower par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housing (112).
상기 지지수단(130)은,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삽입홈부(132)와, 상기 삽입홈부(132)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모터축(121)의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13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입형 공기조화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means 130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132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and a fixing portion 130 inserted and fixed in the insertion groove 132 to rotatably support the end of the motor shaft 121. [ And a support member (131) for supporting the ceiling.
상기 제1팬(125)과 제2팬(126)의 축방향으로 상기 제1팬커버부(115)의 양측면과 제2팬커버부(116)의 양측면에는 공기흡입구(115a,116a)가 형성되고,
상기 제1팬(125)과 제2팬(126)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제1팬커버부(115)의 일측면과 제2팬커버부(116)의 일측면에는 상기 열교환기수용실(113)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토출구(115b,116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입형 공기조화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ir inlet ports 115a and 116a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fan cover portion 115 and the second fan cover portion 116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fan 125 and the second fan 126, And,
One side of the first fan cover part 115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fan cover part 116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irst fan 125 and the second fan 126 are connected to the heat exchanger accommodating chamber 113 , And air discharge ports (115b, 116b) for discharging air are formed in the ceiling.
상기 제1팬커버부(115)의 공기토출구(115b) 양측에는, 상기 제1팬(125)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140)측으로 확산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119a)가 형성되고,
상기 제2팬커버부(116)의 공기토출구(116b) 양측에는, 상기 제2팬(126)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140)측으로 확산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119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입형 공기조화기.6. The method of claim 5,
A first guide portion 119a for diffusing and guiding the air blown from the first fan 125 toward the heat exchanger 14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air outlet 115b of the first fan cover portion 115 ,
A second guide portion 119b for diffusing and guiding the air blown from the second fan 126 toward the heat exchanger 14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air outlet 116b of the second fan cover portion 116 A ceiling recessed typ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by.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는, 상기 제1팬커버부(115)의 공기흡입구(115a)와 상기 제2팬커버부(116)의 공기흡입구(116a)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구(117)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타측에는, 상기 열교환기수용실(113)을 통과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구(11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입형 공기조화기.6. The method of claim 5,
An air inlet 117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air inlet 115a of the first fan cover portion 115 and the air inlet 116a of the second fan cover portion 116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110, Is formed,
Wherein an air outlet (118) for discharging air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accommodating chamber (113)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10).
상기 열교환기수용실(113)의 하부에는, 상기 열교환기(140)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모아서 배수하는 투명재질의 드레인부(150)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입형 공기조화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rain part (150) of a transparent material collecting and discharging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heat exchanger (140) is detachably installed in a lower part of the heat exchanger accommodating chamber (113).
상기 상부하우징(111)과 하부하우징(112)은, EPP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입형 공기조화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housing (111) and the lower housing (112) are made of EPP materi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2914A KR101848679B1 (en) | 2016-05-23 | 2016-05-23 |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2914A KR101848679B1 (en) | 2016-05-23 | 2016-05-23 |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1997A KR20170131997A (en) | 2017-12-01 |
KR101848679B1 true KR101848679B1 (en) | 2018-04-13 |
Family
ID=60921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62914A Active KR101848679B1 (en) | 2016-05-23 | 2016-05-23 |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4867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442380A (en) * | 2019-01-17 | 2020-07-24 |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 Air conditioner indoor unit |
DE102022003054A1 (en) * | 2022-08-22 | 2024-02-22 | Truma Gerätetechnik GmbH & Co. KG | Air conditioning unit |
-
2016
- 2016-05-23 KR KR1020160062914A patent/KR101848679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1997A (en) | 2017-1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111270A (en) |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 |
KR102341728B1 (en) | Air conditioner | |
KR20130057618A (en) | Air conditioner | |
KR20190026325A (en) | Air conditioner | |
KR20160111209A (en) |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2466274B1 (en) | Air conditioner | |
KR20130029678A (en) | A cooling apparatus for a refrigerator machine room using nacelle shape | |
KR101848679B1 (en) |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 |
KR20110107653A (en) | Refrigerator | |
CN101586846A (en) | Novel split air conditioner | |
US20060010896A1 (en) | Air-conditioning system | |
KR101911255B1 (en) | Air conditioner | |
KR20050058136A (en) | Window type air conditioner which thermal efficiency improved | |
KR102436120B1 (en) | Dehumidifier for lowering temperature of output air | |
CN103727590A (en) | Vertical air conditioning indoor machine | |
KR100977571B1 (en) | Ventilation unit with separate air conditioner | |
KR100382522B1 (en) | Convertible type indoor device of air-conditioner | |
KR100850938B1 (en) | Ceiling-installed air conditioner | |
JP2014119137A (en) | Louver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 |
KR20000004284A (en) | Inner device of separation-typed air conditioner | |
KR20050115345A (en) | Air conditioner | |
KR102538127B1 (en) | Dehumdifying apparatus | |
KR100611494B1 (en) | Ceiling air conditioners | |
KR20100065988A (en) |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20190084588A (en) | Movable air conditio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711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7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11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8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2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01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11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8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4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4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