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360B1 -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lane departur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lane depar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48360B1 KR101848360B1 KR1020150153947A KR20150153947A KR101848360B1 KR 101848360 B1 KR101848360 B1 KR 101848360B1 KR 1020150153947 A KR1020150153947 A KR 1020150153947A KR 20150153947 A KR20150153947 A KR 20150153947A KR 101848360 B1 KR101848360 B1 KR 1018483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lane
- vibration
- tire
- steer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1
- 206010039203 Road traffic accid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35278 mandibuloacral dysplasia progeroid syndrom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4994 dea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517 death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0—Path keeping
- B60W30/12—Lane keep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steering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50/16—Tactile feedback to the driver, e.g. vibration or force feedback to the driver on the steering wheel or the accelerator ped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0—Path keeping
- B60Y2300/12—Lane keep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4—Vibration sens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5—Forc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차선이탈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차선이탈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은 요철이 형성된 차선으로부터 차량의 이탈을 방지하는 차량의 이탈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타이어에 가해지는 진동을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진동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차량의 차선 이탈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조향부; 및 상기 판정부로부터 이탈정보를 수신 시 상기 타이어에 가해진 진동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조향부를 조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차량이 요철이 형성된 차선을 이탈하게 되면 차선 이탈여부를 판단하여 조향을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차선이탈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e departure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for a vehicle, and a lane departure avoidance system and method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 lane departure prevention system for a vehicle that prevents departure of the vehicle from an uneven lane, A sensor unit for measuring a vibration applied to the tire; A judging unit which receives vibration information from the sensor unit and judges whether or not the vehicle leaves the lane; A steering unit for controlling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a control unit for steering the steering uni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vibration applied to the tire when the devi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determination unit. Thereby, there is provided a lane departure avoidance system and method for a vehicle capable of preventing departure of a vehicle 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lane departure occurs when the vehicle leaves the lane on which the concavity and the convexity are formed, and controlling the steer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차선이탈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요철이 형성된 차선으로부터 차량의 이탈여부를 판단하여 조향을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차선이탈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e departure avoidance system and method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ne departure avoidance system and a lane departure prevention system for a vehicle, ≪ / RTI >
운전자의 장시간 운전이나 졸음운전 또는 휴대전화 등의 사용에 의한 전방 주시 태만으로 차선이탈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차선이탈은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A lane departure may occur due to a driver's long-time driving, drowsy driving, or the use of a mobile phone or the like, and such lane departure often leads to a major accident.
최근 자동차 업계에서는 자동차 교통사고가 자동차간 사고로 인한 승차자 사망증가를 보이고 있는 점에 착안하여 교통사고의 방지와 사고 시 승차자의 보호를 위한 자동차 안전장치의 도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는 세계적인 추세로서, 선진국을 중심으로 한 세계 각국들은 교통사고 증가에 대한 대책으로 자동차 안전장치의 개발 및 도입을 서두르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안전장치, 운전의 편의를 위한 부가장치, 및 각종 주행제어장치들이 자동차에 적용되고 있다.Recently, the automobile industry is spurring on the introduction of automobile safety devices for prevention of traffic accidents and protection of passengers in accidents, considering that automobile traffic accidents are showing an increase in passenger deaths due to car accidents. As a global trend, countries around the world, especially in developed countries, are hurrying to develop and introduce automobile safety devices as a countermeasure against traffic accidents. In accordance with this trend, a safety device for safety of the driver, an additional device for convenience of operation, and various travel control devices are applied to automobiles.
이 중 주행제어장치에 적용되는 기술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차량의 좌측차선과 우측차선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조향장치(즉, 핸들)의 조향각을 도로의 기하학적인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하는 자율 조향제어기술과 차량이 주행 중에 좌측차선 또는 우측차선을 이탈하여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차량의 차선이탈 방지경보 기술 등이 있다.Among the technologies applied to the driving control device, there are a technique in which the steering angle of the steering device (i.e.,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is automat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geometrical state of the road using the left lane and the right lane information of the vehicle obtained using the camera And a lane departure prevention alarm technology of a vehic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caused when a vehicle leaves the left lane or the right lane while the vehicle is traveling.
종래 카메라를 이용한 주행제어기술은 차량의 주행방향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역광으로 인해 영상이 제대로 촬영되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이로 인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차선을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여 조향제어를 할 수 없게 되거나 오인식에 의한 오작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Conventionally, a driving control technique using a camera often fails to properly capture an image due to backlight that may occur depending on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s a result, the lane can not be accurately recognized from the photographed image, so that the steering control can not be performed or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a malfunction due to a mistaken expression occurs.
구체적으로 차선이탈 여부 판단의 기초 자료가 되는 차선에 관한 정보의 제공이 불안정하다. 실질적으로 도로 상의 차선은 실선이 아닌 점선으로 이루어진 경우가 대다수이고, 예를 들어, 직선뿐만 아니라 곡선 구간이 많이 있으며, 직선구간일지라도 노면 상 차선의 도색 상태와 우천시 등의 노면의 상태에 따라 제어부에 영상신호가 안정적으로 입력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러한 불안정한 영상신호의 입력은 차선이탈 여부에 관한 판단의 불안정성을 야기하고 결국 차선이탈 방지시스템의 신뢰성 및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Specifically, it is unstable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lane that serves as a basis for judging whether or not a lane departure occurs. For example, there are a lot of curved sections as well as a straight line, and even if the section is a straight line, the lane on the road is not a solid line but a curved section. The video signal is not stably input frequently. This unstable input of the video signal causes instability of the judgment as to whether or not the lane departure occurs and thus affects the reliability and stability of the lane departure prevention system.
종래의 일반적인 제어시스템에서는 이와 같이 영상신호로부터의 차선의 미인식 또는 오인식 부분을 그대로 포함한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차선이탈 여부가 판단되므로 차선이탈 방지시스템의 신뢰성 및 안정성이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general control system,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lane departure is determined based on the input signal including the unidentified portion or the unrecognized portion of the lane from the video signal. Thus, the reliability and stability of the lane departure avoidance system can not be secured.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차선이탈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은, 요철이 형성된 차선으로부터 차량의 차선 이탈여부를 판단하여 조향을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차선이탈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lane departure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lane departure avoidance system and method for a vehicle capable of preventing departure of a vehicle 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lane departure .
또한, 복수의 단계를 거쳐 차량의 차선 이탈 여부를 판정하므로 차량의 차선이탈 여부의 오판독의 가능성이 낮은 차량의 차선이탈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ane departure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for a vehicle which is less likely to misread a lane departure or departure of a vehicle because a lane departure of the vehicle is judged through a plurality of steps.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요철이 형성된 차선으로부터 차량의 이탈을 방지하는 차량의 이탈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타이어에 가해지는 진동을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진동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차량의 차선 이탈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조향부; 및 상기 판정부로부터 이탈정보를 수신 시 상기 타이어에 가해진 진동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조향부를 조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차선이탈 방지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departure prevention system for preventing a vehicle from departing from a lane formed with unevenness, comprising: a sensor unit for measuring a vibration applied to a tire of the vehicle; A judging unit which receives vibration information from the sensor unit and judges whether or not the vehicle leaves the lane; A steering unit for controlling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a control section for steering the steering sec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direction of the vibration applied to the tire upon receiving the departure information from the judging section.
여기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타이어 하중의 2배 이상의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또는 상기 차량 하중의 절반 이상의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차선과의 접촉으로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judging section judges that the vehicle is in contact with the lane when a vibration equal to or greater than twice the load of the tire occurs, or when a vibration equal to or more than half the load of the vehicle occurs.
여기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타이어에 3회 이상의 진동이 감지되면 차선 이탈로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lane departure occurs when the tire is detected three or more times of vibration.
여기서, 상기 판정부는, 소정 시간 내에 좌측과 우측 타이어에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일반 주행으로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judging unit judges that the vehicle is running when the left and right tires are vibrating within a predetermined time.
여기서, 상기 센서부는 가속도 또는 힘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ensor unit may be at least one of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force sensor.
여기서, 상기 조향부는, 조향장치와 조향 보조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teering unit preferably includes a steering device and a steering assist device.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센서부가 타이어에 가해지는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 측정단계; 판정부가 상기 센서부로부터 진동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의 차선이탈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단계; 제어부가 상기 판정부로부터 이탈정보 수신시 조향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차선 이탈을 방지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차선이탈 방지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objects can be accomplished by a vibration measuring method comprising: a vibration measuring step of measuring a vibration applied to a tire of a sensor unit; A judging step of judging whether or not the lane departure of the vehicle is detected by receiving the vibration information from the sensor unit; And a control step of controlling the steering apparatus when the departur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judging unit to prevent the lane departure of the vehicle.
여기서, 상기 판정단계는, 상기 타이어 하중의 2배 이상의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또는 상기 차량 하중의 절반 이상의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차선과의 접촉으로 판정하는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etermining step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in contact with the lane when vibration of at least twice the tire load occurs, or when vibration of at least half of the vehicle load occurs.
여기서, 상기 타이어에 3회 이상의 진동이 감지되면 차선 이탈로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when the tire is detected three or more vibrations, it is preferable that the lane departure is determined.
여기서, 상기 판정단계는 소정 시간 내에 좌측과 우측 타이어에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일반 주행으로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when the left and right tires are vibrating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running normally.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이 요철이 형성된 차선을 이탈하게 되면 차선 이탈여부를 판단하여 차량의 조향을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차선이탈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ane departure avoidance system and method for a vehicle capable of preventing departure of a vehicle 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lane departure occurs when the vehicle leaves the lane where the road is formed, and controlling the steering of the vehicle.
또한, 복수의 단계를 거쳐 차량의 차선 이탈 여부를 판정하므로 차량의 차선이탈 여부의 오판독의 가능성이 낮은 차량의 차선이탈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Further, a lane departure avoidance system and method for a vehicle is provided which is less likely to misread a lane departure or departure of a vehicle because the lane departure determination of the vehicle is made through a plurality of steps.
또한, 진동을 통해 차량의 차선 이탈 여부를 판정하되 노면의 상황을 고려하여 차선 이탈 여부를 판정하므로 정확도가 우수한 차량의 차선이탈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Also, a lane departure avoidance system and method for a vehicle having excellent accuracy are provided 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lane departure of the vehicle is caused by vibration,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lane departure is taking into account the situation of the road surfa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차선이탈 방지 시스템에서 차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차선이탈 방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장치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차선이탈 방지 시스템의 센서부가 측정한 진동 크기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차선이탈 방지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차선이탈 방지 방법의 알고리즘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ane in a lane departure prevention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lane departure prevention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graph showing a magnitude of vibration measured by a sensor unit of a lane departure prevention system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of a lane departure avoidance method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algorithm of a lane departure avoidance method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차선이탈 방지 시스템이 적용되는 차선에 대하여 설명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a lane to which the lane departure prevention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차선이탈 방지 시스템에서 차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차선이탈 방지 시스템(100)이 적용되는 차선(L)은 차량의 타이어와 접촉시 차량에 진동이 가해지도록 요철이 형성된다. 이때 차선(L)에 형성된 요철의 철부 간의 간격은 10mm 일 수 있다. 이러한 차선(L)은 일반 도로보다는 고속도로의 양 끝차선에 주로 형성된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ane in a lane departure prevention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lane L to which a lan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차선이탈 방지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lane departure prevention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차선이탈 방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장치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차선이탈 방지 시스템(100)은, 센서부(110)와, 판정부(120)와, 조향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lane departure prevention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 lane
센서부(110)는 차량의 타이어에 가해지는 진동을 측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센서부(110)는 타이어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 또는 힘 센서로 마련되거나 또는 가속도와 힘 모두를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다. 타이어가 노면과 접촉하여 일반주행을 하는 경우와 요철이 형성된 차선(L)과 접촉하는 경우 진동에 의해 차량에 가해지는 가속도 또는 힘이 달라지게 되며 센서부(110)는 이러한 가속도와 힘을 측정한다.The
센서부(110)에는 스위치가 구비되어 필요시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즉, 차선이탈 방지 시스템(100)는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The
판정부(120)는 센서부(110)로부터 타이어에 가해진 진동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이 차선(L)을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구성이다.The determining
본 실시예에서 판정부(120)는 두 단계를 거쳐 차량의 차선(L) 이탈 여부를 판단하며, 오판정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차선이탈 방지 시스템의 센서부가 측정한 진동 크기 그래프이다.3 is a graph showing a magnitude of vibration measured by a sensor unit of a lane departure prevention system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판정부(120)는 센서부(110)에 차량의 좌측 또는 우측의 타이어 중 하나에 차량 하중의 1/4의 2배 이상의 진동이 가속도 변화나 힘 변화를 통해 감지되거나 또는 타이어 하중의 2배 이상 크기의 진동이 감지되는 경우 타이어와 차선(L)이 접촉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차선(L)에 형성된 요철의 철부 간의 간격이 10mm인 경우 차량이 40km/h의 속도로 주행을 하면 타이어 하중의 2배 크기의 진동이 발생한다. Referring to FIG. 3, first, the
또한, 판정부(120)는 차량 하중의 1/4의 2배 이상의 진동 또는 타이어 하중의 2배 이상 크기의 진동이 타이어에 3회 이상 감지되면 차선 이탈로 판정한다. 1 ~ 2회의 진동이 감지되는 경우 이는 차량과 차선(L)간의 접촉외에 노면 상의 돌 기타 물질이나 다른 요철일 수 있으므로 최소 3회 이상 감지되면 차선 이탈로 판정함으로서 오판정을 최소화시킨다.Further, the
한편, 판정부(120)는 소정 시간 내에 차량의 좌측 타이어와 우측 타이어 모두에 일정크기 이상의 진동이 감지되는 경우 일반 주행으로 판정 즉, 차선(L) 이탈로 판정하지 않는다. 이때 소정 시간은 차량의 주행 속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차량의 속도에 의해 거의 동시간 대이다. 즉, 거의 유사한 시점에 차량의 좌측 타이어와 우측 타이어 모두에 진동이 감지되는 경우 차선(L)을 이탈하여 어느 한 타이어에 진동이 감지되는 경우와 달리 이는 노면 배수를 위한 그루브나 톨게이트 진입로 등의 일반주행으로 판단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즉, 판정부(120)는 두 단계를 거쳐 차선(L) 이탈 여부를 판단하며, 소정 시간 내에 차량의 좌측 타이어와 우측 타이어 모두에 일정크기 이상의 진동이 감지되는 경우 일반 주행으로 판단하므로, 차선(L) 이탈 여부에 대한 오판정의 가능성이 최소화된다.That is, the
조향부(130)는 차량의 주행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향장치(131)와 조향 보조장치(132)를 포함한다. 조향장치(131)는 일반 차량의 파워 스티어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가볍고 신속한 조향을 위해 별도의 펌프를 장착하고 이 펌프의 오일 압력으로 운전자의 핸들조작을 돕는 스티어링일 수 있다. 조향 보조장치(132)는 파워 스티어링의 작동을 보조하는 구성으로서 전동식 파워스티어링(MDPS : Motor-Driven Power Steering 또는 EPS : Electric Power Steering)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조향장치(131)는 조향 보조장치(132)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차선(L) 이탈방지는 제어부(140)가 조향 보조장치(132)가 제어됨으로써 수행된다.The
제어부(140)는 차량이 차선(L)을 이탈한 경우 조향부(130)를 제어함으로써 차선(L)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차량의 좌측 타이어 또는 우측 타이어에 차량 하중의 1/4의 2배 이상의 진동 또는 타이어 하중의 2배 이상 크기의 진동이 타이어에 3회 이상 감지되면 판정부(120)는 차량이 차선(L)을 이탈한 것을 감지하고 이러한 정보를 제어부(140)에 제공한다. 제어부(140)는 이러한 정보를 제공받아 조향부(130)를 제어하여 차량이 차선(L)을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좌측 타이어에 상술한 진동이 감지되었다는 정보를 판정부(120)로부터 제공받으면 조향 보조장치(132)인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MDPS 또는 EPS를 제어하여 스티어링 토크를 차선 이탈 방향과 반대방향인 우측으로 발생시킨다. 조향 보조장치(132)가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되면 조향장치(131)가 제어되어 차선(L) 이탈이 방지된다.The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차선이탈 방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preventing lane depar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차선이탈 방지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차선이탈 방지 방법(S100)은 진동 측정단계(S110)와, 판정단계(S120) 및 제어단계(S130)를 포함한다.4 is a flowchart of a lane departure avoidance method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a lane departure avoidance method S100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bration measurement step S110, a determination step S120, and a control step S130.
진동 측정단계(S110)는 차량의 타이어에 설치되며 가속도 센서 또는 힘 센서로 마련되거나 또는 가속도와 힘 모두를 측정하는 센서부(110)를 통해 타이어에 가해지는 진동을 측정하는 단계이다. 이때 센서부(110)는 스위치가 구비되어 필요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vibration measurement step S110 is a step of measuring the vibration applied to the tire through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차선이탈 방지 방법의 알고리즘이다. 5 is an algorithm of a lane departure avoidance method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판정 단계(S120)는 진동 측정단계(S110)에서 측정된 진동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이 차선(L)을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이다.The determining step S120 i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has left the lane L by receiving the vibration information measured in the vibration measuring step S110.
판정 단계(S120)는 판정부(120)를 통해 차선(L)이탈 여부를 판단한다. 먼저, 판정부(120)는 차량의 좌측 또는 우측의 타이어 중 하나에 차량 하중의 1/4의 2배 이상의 진동이 가속도 변화나 힘 변화를 통해 감지되거나 또는 타이어 하중의 2배 이상 크기의 진동이 감지되는 경우 타이어와 차선(L)이 접촉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차선(L)에 형성된 요철의 철부 간의 간격이 10mm인 경우 차량이 40km/h의 속도로 주행을 하면 타이어 하중의 2배 크기의 진동이 발생한다. The determination step S12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lane L is released through the
도 5를 참조하면, 다음으로 판정부(120)는 차량 하중의 1/4의 2배 이상의 진동 또는 타이어 하중의 2배 이상 크기의 진동이 타이어에 3회 이상 감지되면 차선 이탈로 판정한다. 1 ~ 2회의 진동이 감지되는 경우 이는 차량과 차선(L)간의 접촉외에 노면 상의 돌 기타 물질이나 다른 요철일 수 있으므로 최소 3회 이상 감지되면 차선 이탈로 판정함으로서 오판정을 최소화시킨다.Referring to FIG. 5, the judging
한편, 판정부(120)는 소정 시간 내에 차량의 좌측 타이어와 우측 타이어 모두에 일정크기 이상의 진동이 감지되는 경우 일반 주행으로 판정 즉, 차선(L) 이탈로 판정하지 않는다. 이때 소정 시간은 차량의 주행 속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차량의 속도에 의해 거의 동시간 대이다. 즉, 거의 유사한 시점에 차량의 좌측 타이어와 우측 타이어 모두에 진동이 감지되는 경우 이는 차선(L)을 이탈하여 어느 한 타이어에 진동이 감지되는 경우와 달리 이는 노면 배수를 위한 그루브나 톨게이트 진입로로 판단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즉, 판정 단계(S120)는 두 단계를 거쳐 차선(L) 이탈 여부를 판단하며, 소정 시간 내에 차량의 좌측 타이어와 우측 타이어 모두에 일정크기 이상의 진동이 감지되는 경우 일반 주행으로 판단하므로, 차선(L) 이탈 여부에 대한 오판정의 가능성이 최소화된다.That is, the judgment step S120 judges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departing from the lane L through two steps. If the vehicle is judged to be in a normal traveling state when vibrations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or more are detected in both the left tire and the right tire of the vehicl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L) The possibility of misjudgment of the deviation is minimized.
제어단계(S130)는 차량이 차선(L)을 이탈한 경우 조향부(130)를 제어함으로써 차선(L)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단계이다. 차량의 좌측 타이어 또는 우측 타이어에 차량 하중의 1/4의 2배 이상의 진동 또는 타이어 하중의 2배 이상 크기의 진동이 타이어에 3회 이상 감지되면 판정부(120)는 차량이 차선(L)을 이탈한 것을 감지하고 이러한 정보를 제어부(140)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좌측 타이어에 상술한 진동이 감지되었다는 정보를 판정부(120)로부터 제공받으면 조향 보조장치(132)인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MDPS 또는 EPS를 제어하여 스티어링 토크를 차선 이탈 방향과 반대로 발생시킨다. 조향 보조장치(132)가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되면 조향장치(131)가 제어되어 차선(L) 이탈이 방지된다.The control step S130 is a step for preventing the lane departure L by controlling the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이 요철이 형성된 차선을 이탈하게 되면 차선 이탈여부를 판단하여 조향을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차선이탈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ane departure avoidance system and method for a vehicle capable of preventing departure of a vehicle 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lane departure occurs when a vehicle departs from a lane on which the road is formed.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차량의 차선이탈 방지 시스템 110 : 센서부
120 : 판정부 130 : 조향부
140 : 제어부
S110 : 차량의 차선이탈 방지 방법 S110 : 진동 측정단계
S120 : 판정단계 S130 : 제어단계100: vehicle lane departure prevention system 110:
120: Judgment section 130: Steering section
140:
S110: Method of preventing lane departure of the vehicle S110: Vibration measurement step
S120: Judgment step S130: Control step
Claims (10)
상기 센서부(110)로부터 진동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차량의 차선 이탈 여부를 판정하되, 상기 센서부(110)에 차량의 좌측 또는 우측의 타이어 중 하나에 차량 하중의 1/4의 2배 이상의 진동이 가속도 변화나 힘 변화를 통해 감지되는 경우 타이어와 차선이 접촉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판정부(120);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되, 조향장치와 조향 보조장치로 구성되는 조향부(130); 및
상기 판정부(120)로부터 이탈정보를 수신 시 상기 타이어에 가해진 진동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조향부(130)를 조향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되,
상기 판정부(120)는,
타이어 하중의 2배 이상의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또는 상기 차량 하중의 절반 이상의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센서부(110)로부터 타이어에 가해진 진동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의 타이어가 차선(L)과 접촉한 것으로 판정하도록 하고,
오판정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1~2회의 진동이 감지되는 경우 노면 상의 돌, 기타 물질이나 다른 요철일 수 있으므로 상기 타이어에 3회 이상의 진동이 감지되면 차선 이탈로 판정하도록 하며,
상기 두 단계의 판정을 거쳐 차선(L) 이탈 여부를 판단한 후, 차량의 속도에 의해 동시간대에 좌측과 우측 타이어 모두에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노면 배수를 위한 그루브나 톨게이트 진입로 등의 일반 주행으로 판정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차선이탈 방지 시스템.A vehicle anti-departure prevention system (100) for preventing a vehicle from departing from an uneven road, comprising: at least one of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force sensor, which measures a vibration applied to a tire of the vehicle, A sensor unit 110 selectively drive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he sensor unit 110 may be provided with vibration information from the sensor unit 110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has departed from the lane. The sensor unit 110 may be provided with one or more tires A determination unit (120) that determines that the tire and the lan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acceleration is detected through a change in acceleration or a change in force;
A steering unit (130) configured to control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steering unit comprising a steering device and a steering assist device; And
And a control unit (140) for steering the steering unit (13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vibration applied to the tire when the devi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determination unit (120)
The determining section (120)
In the case where vibration of two times or more of the load of the tire occurs or vibration of more than half of the load of the vehicle occurs, vibration information given to the tire from the sensor unit 110 is received and it is judged that the tire of the vehicle is in contact with the lane L However,
If vibration is detected one or two times in order to minimize erroneous determination, it may be a stone on the road surface, other material, or other unevenness. Therefor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L is deviated from the lane L after the two-stage determination, if vibration occurs in both the left and right tires during the same period of time, it is judged that the vehicle is running on a groove or a toll road for road drainage Of the lane departure prevention system of the vehic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3947A KR101848360B1 (en) | 2015-11-03 | 2015-11-03 |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lane depar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3947A KR101848360B1 (en) | 2015-11-03 | 2015-11-03 |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lane departu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2748A KR20170052748A (en) | 2017-05-15 |
KR101848360B1 true KR101848360B1 (en) | 2018-05-29 |
Family
ID=58739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53947A Active KR101848360B1 (en) | 2015-11-03 | 2015-11-03 |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lane depar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4836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0127B1 (en) | 2017-04-25 | 2020-07-3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preparation methode thereof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mprising the sam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62044A (en) * | 2003-12-03 | 2005-06-23 | Nissan Motor Co Ltd | Lane departure preventing device |
JP2005313880A (en) * | 2004-03-29 | 2005-11-10 |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 Rumble strip responsive system |
JP2005315675A (en) * | 2004-04-28 | 2005-11-10 | Japan Science & Technology Agency | Road surface flatness measuring device |
JP2012066732A (en) * | 2010-09-24 | 2012-04-05 | Nissan Motor Co Ltd | Vehicle control apparatus |
-
2015
- 2015-11-03 KR KR1020150153947A patent/KR10184836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62044A (en) * | 2003-12-03 | 2005-06-23 | Nissan Motor Co Ltd | Lane departure preventing device |
JP2005313880A (en) * | 2004-03-29 | 2005-11-10 |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 Rumble strip responsive system |
JP2005315675A (en) * | 2004-04-28 | 2005-11-10 | Japan Science & Technology Agency | Road surface flatness measuring device |
JP2012066732A (en) * | 2010-09-24 | 2012-04-05 | Nissan Motor Co Ltd | Vehicle control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2748A (en) | 2017-05-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169761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warning a single track car driver before leaving the lane | |
JP6266491B2 (en) | Automatic operation control device | |
KR102455835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deviation of wheel alignment of vehicle | |
EP1884449B1 (en) | Vehicle deviation preventing apparatus | |
KR101309508B1 (en) | Lane change assist system of vehicle and assisting method for changing lane thereof | |
KR101478068B1 (en) | Apparatus for preventing collision in vehicle and method thereof | |
KR20190118943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e of vehicle | |
US11560126B2 (en) | Method for emergency response to a transportation vehicle tire pressure loss and transportation vehicle | |
EP3495240B1 (en) | Steering assistance device and steering assistance method | |
JP6137979B2 (en) | Lane departure prevention support device | |
KR101795240B1 (en) | Alarm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alignment failure for vehicle | |
JP4244811B2 (en) | Rollover judging device | |
CN106068215A (en) | Route deviation protection system | |
KR20140061180A (en) | Apparatus for determining lane position of vehicle via vehicular communication | |
KR20020097357A (en) |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a lane secession of vehicle | |
WO2018025750A1 (en) | Steering assistance device and steering assistance method | |
JP6398951B2 (en) | Lane maintenance control device | |
KR101848360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lane departure | |
JP4009935B2 (en) | How to warn of danger when cornering on the downhill of an automobile | |
JP2006331323A (en) | Vehicle departure warning device | |
KR20190062154A (en) | Control apparatus for safe driving of automatic driving vehicle | |
KR20220094298A (en) | Vehicle and vehicle driving assistance control method | |
KR101991734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driving mode of vehicle | |
KR102382091B1 (en) | Traffic Lane Break Away Preventing System Using a Ultrasonic Wave Sensor Fusion for a Vehicle | |
JP5471906B2 (en) | Vehicle width understanding judgment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5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4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4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