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47504B1 - 기능성 영양성분이 내장된 정량 스푼이 일체화 성형된 음용 스트로 - Google Patents

기능성 영양성분이 내장된 정량 스푼이 일체화 성형된 음용 스트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504B1
KR101847504B1 KR1020170090805A KR20170090805A KR101847504B1 KR 101847504 B1 KR101847504 B1 KR 101847504B1 KR 1020170090805 A KR1020170090805 A KR 1020170090805A KR 20170090805 A KR20170090805 A KR 20170090805A KR 101847504 B1 KR101847504 B1 KR 101847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n
powder
concentrate
functional
sectional sha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0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정훈
Original Assignee
손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정훈 filed Critical 손정훈
Priority to KR1020170090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5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50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47G21/181Drinking straws or the like combined with cutlery or other eating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47G21/183Drinking straws or the like with means for changing the flavour of th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65D77/2028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영양성분이 내장된 정량 스푼이 일체화 성형된 음용 스트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홍삼농축액 또는 분말, 과실농축액 또는 분말, 비타민농축액 또는 분말, 프로폴리스 농축액 또는 분말, 커피농축액 또는 분말, 식물추출농축액 또는 분말, 한방농축액 또는 분말로부터 선택되는 기능성 영양성분이 내장된 정량 스푼이 음용 스트로 일단에 일체로 성형되어 음료의 음용시 상기 스푼에 내장된 기능성 영양성분이 음료와 혼합되어 음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기능성 영양성분이 내장된 정량 스푼이 일체화 성형된 음용 스트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영양성분이 내장된 정량 스푼이 일체화 성형된 음용 스트로는 사용자의 취향과 필요에 따라 스푼에 내장된 기능성 영양성분을 선택하여 다양한 음료수를 용이하게 음용할 수 있고, 또한 스푼에 내장된 기능성 영양성분이 음료와의 혼합이 원활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간편한 구조로 형성되고, 이로 인한 생산원가의 절감 등의 비용경제적인 유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영양성분이 내장된 정량 스푼이 일체화 성형된 음용 스트로{Drinking straw formed one body with a fixed quantity spoon in packed with functional nutritive components}
본 발명은 기능성 영양성분이 내장된 정량 스푼이 일체화 성형된 음용 스트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능성 영양성분이 내장된 정량 스푼이 음용 스트로 일단에 일체로 성형되어 음료의 음용시 상기 스푼에 내장된 기능성 영양성분이 음료와 혼합되어 음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기능성 영양성분이 내장된 정량 스푼이 일체화 성형된 음용 스트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트로(straw : 빨대)는 과즙, 주스, 우유, 커피, 가공 청량음료 등, 갈증을 해소하거나 맛을 즐길수 있도록 만든 음료수를 편리하게 음용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스트로는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원통 형태이고, 또 상부 측에 신축과 굽힘이 용이하도록 벨로스(bellows) 형태의 주름을 형성하여 음료수의 음용을 보다 편리하게 이루도록 한 것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트로는 다양한 종류의 음료수를 용이하게 음용 하기 위한 기능만을 갖고 있을 뿐, 다른 특별한 기능은 할 수 없는 단순한 구성을 이루고 있다.
예컨대, 물에 녹는 성질을 갖는 수용성 식품을 첨가하여 음용 하고자 하는 음료수 즉, 블랙커피를 좋아하지 않는 사람이 커피에 설탕이나 크림을 첨가하고자 할 경우, 또는 흰 우유를 좋아하지 않는 사람이 흰 우유에 코코아 분말이나 초콜릿 분말을 첨가하고자 할 경우에는, 스트로 이외에 별도로 설탕과 크림이나 코코아 분말 또는 초콜릿 분말을 준비하고 이를 혼합한 후 스폰 등으로 교반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분말 형태의 설탕, 크림, 코코아, 초콜릿 등의 수용성 식품을 내장한 스트로가 개발되었는데, 한국등록실용신안 20-0267735(2002년02월28일)에 빨대 내부의 비어 있는 공간에 코코아 가루나 영양재 가루 등 수용성 식용 가루를 내장하고 빨대의 양 끝부분에 수용성 식용 비닐이나 수용성 식용 솜으로 입구를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이 내장된 빨대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실용신안 20-0271827(2002년03월30일)에 입구와 출구 및 이송관을 가지고 음료를 흡입해서 음용할 수 있는 빨대본체와; 상기 이송관 내에 수용되어 상기 음료와 용해될 수 있는 수용성 식용 분말 첨가제와;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에 형성되고 상기 첨가제의 외부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음료에만 선택적으로 용해되는 수용성 식용 고형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이 내장된 빨대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10-2009-0081676(2009년07월29일)에 음료수의 음용에 사용하는 스트로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의 연장된 통 형상 본체의 내부에는 음료수에 용해되며 분말로 이루어지는 작은 알갱이 형상의 수용성 식품이 내장되고, 상기 스트로의 본체 단부에는 상기 수용성 식품이 상기 스트로의 외부로 반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트로의 본체의 대향면을 서로 부착시켜 형성되는 밀봉부가 형성되고, 상기 밀봉부와 상기 스트로 본체 사이는 음료수를 이동시키기 위한 음료수 이동 통로로 형성되며, 상기 음료수 이동 통로는 상기 수용성 식품의 작은 알갱이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식품이 내장된 스트로가 공지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분말이 내장된 스토로들은 음료수의 음용시 음료수와 함께 균일하게 혼합되지 못하고, 한꺼번에 다량의 분말 형태의 식품이 입속으로 유입되어 혼합 음료수 본래의 미감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분말 형태의 식품을 스트로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내장시키기 위해서는 스트로의 양단을 밀봉하거나 또는 음료수는 이동시키고 분말 식품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필터 형태의 복잡한 구성요소를 별도로 형성시켜야 하므로 제조원가가 상승함은 물론 제조하기가 어려워 상품화하기에는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분말 형태의 성분 외에도 추출액 등을 내장하도록 구성된 스트로가 공지된 바 있는데, 미국특허 US 6,463,662(2002년8월15일)에 스트로 일단에 스쿠프 형태의 저장소가 구비되고, 상기 저장소에 유체 등을 내장하여 상기 스쿠프 상부의 유출홀을 통하여 음료와 혼합하여 음용할 수 있는 스푼과 결합된 스토로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결합된 스푼과 결합된 스토로는 상기 스트로 말단에 형성된 스쿠프의 몸체 내부 저장소에 정장된 유체가 상기 유출홀을 통하여 음료와 혼합되기에는 속도가 매우 느리고 오랜시간동안 교반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스트로 끝단부에 상기 스쿠프를 일체로 성형하기에는 구조적으로 매우 어려워 생산비용이 과다한 비용 경제걱인 불리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20-0267735(2002년02월28일) 한국등록실용신안 20-0271827(2002년03월30일) 한국공개특허 10-2009-0081676(2009년07월29일) 미국특허 US 6,463,662(2002년8월15일)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능성 영양성분이 내장된 정량 스푼이 음용 스트로 일단에 일체로 성형되어 음료의 음용시 상기 스푼에 내장된 기능성 영양성분이 음료와 혼합되어 음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기능성 영양성분이 내장된 정량 스푼이 일체화 성형된 음용 스트로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홍삼농축액 또는 분말, 과실농축액 또는 분말, 비타민농축액 또는 분말, 프로폴리스 농축액 또는 분말, 커피농축액 또는 분말, 식물추출농축액 또는 분말, 한방농축액 또는 분말로부터 선택되는 기능성 영양성분을 일정량으로 담아 저장할 수 있도록 스푼 형상의 성형체로 구비되는 정량스푼과, 상기 정량스푼 상부를 폐쇄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기능성 영양성분을 섭취하고자 할 때 상기 정량스푼으로부터 떼어내 분리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정량스푼커버와, 상기 정량스푼에 연장되어 일체 형성되되 반달단면형상 또는 사각단면형상의 흡입공으로 형성되는 스트로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능성 영양성분이 내장된 정량 스푼이 일체화 성형된 음용 스트로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정량스푼에는 상부 외면 둘레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정량스푼커버가 상기 정량스푼의 플랜지에 접합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정량스푼커버에는 상기 정량스푼으로부터 쉽게 떼어내 분리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반달단면형상 또는 사각단면형상의 흡입공으로 형성되는 스트로본체는 상기 반달단면형상 또는 사각단면형상의 흡입공이 상기 정량스푼 상부 방향으로 상부돌출 형성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반달단면형상 또는 사각단면형상의 흡입공으로 형성되는 스트로본체는 상기 반달단면형상 또는 사각단면형상의 흡입공이 상기 정량스푼 하부 방향으로 하부돌출 형성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영양성분이 내장된 정량 스푼이 일체화 성형된 음용 스트로는 사용자의 취향과 필요에 따라 스푼에 내장된 기능성 영양성분을 선택하여 다양한 음료수를 용이하게 음용할 수 있고, 또한 스푼에 내장된 기능성 영양성분이 음료와의 혼합이 원활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간편한 구조로 형성되고, 이로 인한 생산원가의 절감 등의 비용경제적인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영양성분이 내장된 정량 스푼이 일체화 성형된 음용 스트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영양성분이 내장된 정량 스푼이 일체화 성형된 음용 스트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영양성분이 내장된 정량 스푼이 일체화 성형된 음용 스트로의 단면도
본 발명은, 홍삼농축액 또는 분말, 과실농축액 또는 분말, 비타민농축액 또는 분말, 프로폴리스 농축액 또는 분말, 커피농축액 또는 분말, 식물추출농축액 또는 분말, 한방농축액 또는 분말로부터 선택되는 기능성 영양성분을 일정량으로 담아 저장할 수 있도록 스푼 형상의 성형체로 구비되는 정량스푼과, 상기 정량스푼 상부를 폐쇄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기능성 영양성분을 섭취하고자 할 때 상기 정량스푼으로부터 떼어내 분리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정량스푼커버와, 상기 정량스푼에 연장되어 일체 형성되되 반달단면형상 또는 사각단면형상의 흡입공으로 형성되는 스트로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능성 영양성분이 내장된 정량 스푼이 일체화 성형된 음용 스트로를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량스푼에는 상부 외면 둘레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정량스푼커버가 상기 정량스푼의 플랜지에 접합되는 것을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량스푼커버에는 상기 정량스푼으로부터 쉽게 떼어내 분리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달단면형상 또는 사각단면형상의 흡입공으로 형성되는 스트로본체는 상기 반달단면형상 또는 사각단면형상의 흡입공이 상기 정량스푼 상부 방향으로 상부돌출 형성되는 것을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달단면형상 또는 사각단면형상의 흡입공으로 형성되는 스트로본체는 상기 반달단면형상 또는 사각단면형상의 흡입공이 상기 정량스푼 하부 방향으로 하부돌출 형성되는 것을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능성 영양성분이 내장된 정량 스푼이 일체화 성형된 음용 스트로는 홍삼농축액 또는 분말, 과실농축액 또는 분말, 비타민농축액 또는 분말, 프로폴리스 농축액 또는 분말, 커피농축액 또는 분말, 식물추출농축액 또는 분말, 한방농축액 또는 분말로부터 선택되는 기능성 영양성분을 일정량으로 담아 저장할 수 있도록 스푼 형상의 성형체로 구비되는 정량스푼과, 상기 정량스푼 상부를 폐쇄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기능성 영양성분을 섭취하고자 할 때 상기 정량스푼으로부터 떼어내 분리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정량스푼커버와, 상기 정량스푼에 연장되어 일체 형성되되 반달단면형상 또는 사각단면형상의 흡입공으로 형성되는 스트로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기능성 영양성분이 내장된 정량 스푼이 일체화 성형된 음용 스트로는 홍삼농축액 또는 분말, 과실농축액 또는 분말, 비타민농축액 또는 분말, 프로폴리스 농축액 또는 분말, 커피농축액 또는 분말, 식물추출농축액 또는 분말, 한방농축액 또는 분말로부터 선택되는 기능성 영양성분을 일정량으로 담아 저장할 수 있도록 스푼 형상의 성형체로 구비되는 정량스푼(100)과, 상기 정량스푼(100) 상부를 폐쇄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기능성 영양성분을 섭취하고자 할 때 상기 정량스푼(100)으로부터 떼어내 분리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정량스푼커버(110)와, 상기 정량스푼(100)에 연장되어 일체 형성되되 반달단면형상 또는 사각단면형상의 흡입공으로 형성되는 스트로본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기능성 영양성분에 관하여 살펴 보면, 최근 삶의 질 향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으며, 이를 반영하듯 건강 증진을 위한 각종 기능성 영양성분 관련 제품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성 영양성분 관련 제품의 대표적인 예로서 홍삼을 들 수 있는데, 다양한 유형으로 포장되어 시중에 유통 및 판매되고 있다.
상기 홍삼은 면역력 증진, 피로 개선, 혈소판 응집억제를 통한 혈액의 흐름 개선, 항산화 효과 등의 효능을 발휘할 수 있는 기능성 영양성분이다.
또한, 기능성 영양성분의 유형에 따라 섭취하는 방식에도 차이가 있는데, 기존에 홍삼농축액 등의 식품들은 스푼(spoon)을 이용하여 일정량을 떠서 먹거나 스푼에 일정량을 담아 먹고 있다.
하지만, 종래에서와 같이, 홍삼농축액 등의 식품을 스푼으로 떠서 먹거나 담아 먹을 때에 먹는 양에 대한 용량 파악이 어렵고, 먹을 때마다 매번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야 하므로 번거로웠으며, 때론 흘리는 경우가 발생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능성 영양성분 섭취시 발생되는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홍삼농축액 등을 포함하는 각종 기능성 영양성분을 스푼 형상의 정량스푼에 담아 포장하여 간편하고 정량으로 섭취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별도의 스푼을 이용하여 매번 기능성 영양성분을 떠먹거나 담아서 먹던 불편함 및 번거로움을 개선한 것을 핵심적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기능성 영양성분은 홍삼농축액 또는 분말에 제한되지 않으며, 과실농축액 또는 분말, 비타민농축액 또는 분말, 프로폴리스 농축액 또는 분말, 커피농축액 또는 분말, 식물추출농축액 또는 분말, 한방농축액 또는 분말 등 모든 종류의 기능성 영양성분의 농축액 또는 분말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정량스푼(100)은 투명하게 구비하여 포장상태에서도 기능성 영양성분의 내용물이 담겨져 있는지를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이 때, 상기 정량스푼(100)은 투명하게 구비함과 더불어 환경호르몬을 배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 PPSU(폴리페닐설폰), PES(폴리에스테르설폰), PA(폴리아미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정량스푼(100)은 상기에서 나열한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환경호르몬을 배출하지 않으면서 내용물을 보호하기 위한 내충격성을 부여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량스푼커버(110)는 커버필름으로서, 주로 PP(폴리프로필렌) 소재로 구성할 수 있으며, 제품의 명칭이나 내용물의 종류를 기록하는 등 표면에 인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량스푼(100)에는 상부 외면 둘레에 플랜지(101)가 형성되어 상기 정량스푼커버(110)가 상기 정량스푼(100)의 플랜지(101)에 접합되어 상기 정량스폰에 이탈, 분리되지 않도록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량스푼커버(110)에는 상기 정량스푼(100)으로부터 쉽게 떼어내 분리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11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기 반달단면형상 또는 사각단면형상의 흡입공으로 형성되는 스트로본체(200)는 상기 반달단면형상 또는 사각단면형상의 흡입공이 상기 정량스푼(100) 상부 방향으로 상부돌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정량스푼(100) 하부 방향으로 하부돌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때, 상기 스트로본체(200)의 반달단면형상 또는 사각단면형상의 흡입공을 통해 기능성 영양성분이 포함된 음료를 흡입 섭취하게 된다.
상기 스트로본체(200)는 상기 정량스푼(100)에 일체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상술한 정량스푼(100)에서 사용하는 소재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정량스푼 101 : 플랜지
110 : 정량스푼커버 111 : 손잡이부
200 : 스트로본체

Claims (5)

  1. 홍삼농축액 또는 분말, 과실농축액 또는 분말, 비타민농축액 또는 분말, 프로폴리스 농축액 또는 분말, 커피농축액 또는 분말, 식물추출농축액 또는 분말, 한방농축액 또는 분말로부터 선택되는 기능성 영양성분을 일정량으로 담아 저장할 수 있도록 스푼 형상의 성형체로 구비되는 정량스푼과, 상기 정량스푼 상부를 폐쇄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기능성 영양성분을 섭취하고자 할 때 상기 정량스푼으로부터 떼어내 분리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정량스푼커버와, 상기 정량스푼에 연장되어 일체 형성되되 반달단면형상 또는 사각단면형상의 흡입공으로 형성되는 스트로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정량스푼에는 상부 외면 둘레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정량스푼커버가 상기 정량스푼의 플랜지에 접합되고,
    상기 정량스푼커버에는 상기 정량스푼으로부터 쉽게 떼어내 분리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가 형성되며,
    상기 반달단면형상 또는 사각단면형상의 흡입공으로 형성되는 스트로본체는 상기 반달단면형상 또는 사각단면형상의 흡입공이 상기 정량스푼 상부 방향으로 상부돌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정량스푼 하부 방향으로 하부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영양성분이 내장된 정량 스푼이 일체화 성형된 음용 스트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090805A 2017-07-18 2017-07-18 기능성 영양성분이 내장된 정량 스푼이 일체화 성형된 음용 스트로 Active KR101847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805A KR101847504B1 (ko) 2017-07-18 2017-07-18 기능성 영양성분이 내장된 정량 스푼이 일체화 성형된 음용 스트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805A KR101847504B1 (ko) 2017-07-18 2017-07-18 기능성 영양성분이 내장된 정량 스푼이 일체화 성형된 음용 스트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7504B1 true KR101847504B1 (ko) 2018-04-10

Family

ID=61975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0805A Active KR101847504B1 (ko) 2017-07-18 2017-07-18 기능성 영양성분이 내장된 정량 스푼이 일체화 성형된 음용 스트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5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4089A (ja) * 1998-07-12 2000-01-25 Yutaka Yoshino 散剤投与具
KR200479593Y1 (ko) * 2015-06-30 2016-02-16 김성용 식품 포장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4089A (ja) * 1998-07-12 2000-01-25 Yutaka Yoshino 散剤投与具
KR200479593Y1 (ko) * 2015-06-30 2016-02-16 김성용 식품 포장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91522A1 (en) Dissolvable and edible pods
JP4658161B2 (ja) 飲料風味付けストロ
US20170129665A1 (en) Pod shaker bottle with lid
US9289356B2 (en) Storage and mixing container
ES2364706T3 (es) Cápsula culinaria.
CN103431182B (zh) 一种改善猪肉质量的猪饲料
US7437990B2 (en) All-in-one disposable container for making coffee, tea and other mixed beverages
WO2017146933A1 (en) A single use tubular straw
CN103431242B (zh) 一种猪饲料
JP2012511991A (ja) 固形食品が内蔵されたスライディングストロー
TWM570062U (zh) Drink cup
WO2004089275A1 (en) Feeding device
KR101847504B1 (ko) 기능성 영양성분이 내장된 정량 스푼이 일체화 성형된 음용 스트로
US20070071808A1 (en) Capsule filled with honey
US20160221748A1 (en) Bakery products in tubes and method of their production
JPH069489U (ja) 茶類にコ−ヒ−等を添加した飲食物
CN215157147U (zh) 一种新型固体饮料包装袋
KR200443066Y1 (ko) 분말 또는 액상 음료의 일회용 포장용기
WO2014111489A2 (en) Sports bottle
CN208233719U (zh) 一种带有可撕口及侧挂扣的杯盖
JP3237093U (ja) 容器入りとろろスムージ―、およびとろろスムージ―調製セット
CN205574704U (zh) 速溶固体饮料颗粒内藏式免调配一次性饮料纸杯
WO2014109669A1 (ru) Устройство типа ложки для хранения, употребления, внесения и распределения среды 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питания
JP3537792B2 (ja) 嚥下補助製品および嚥下補助食品の調製方法
CN221307892U (zh) 冰淇淋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2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4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4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