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518B1 - Lighting system - Google Patents
Lighting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46518B1 KR101846518B1 KR1020160149533A KR20160149533A KR101846518B1 KR 101846518 B1 KR101846518 B1 KR 101846518B1 KR 1020160149533 A KR1020160149533 A KR 1020160149533A KR 20160149533 A KR20160149533 A KR 20160149533A KR 101846518 B1 KR101846518 B1 KR 1018465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rol
- signal
- unit
- circuit
- nois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4
- 230000007274 generation of a signal involved in cell-cell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79 elim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05B37/0272—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 H04M1/72533—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 설치되어 있는 조명기기에 간편하게 제어모듈을 설치하여 스마트폰을 통해 누구나, 쉽게, 무선으로, 온/오프는 물론 예약 및 타이머 제어 등 다양한 조명기기의 제어가 가능한 조명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벽스위치, 등기구 및 상기 벽스위치와 상기 등기구 사이에 구비된 제1커넥터를 구비한 조명기기, 그리고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등기구 사이에 구비되는 제2커넥터, 그리고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 사이에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조명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모듈,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과 통신하는 스마트폰에 탑재되고, 상기 조명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클라이언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llumination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various lighting devices such as a reservation and timer control as well as on / off, as well as anyone, easily and wirelessly, by installing a control module in an already installed lighting device,
A wall switch, a luminaire, and a first connector provided between the wall switch and the luminaire, and a second connector provided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luminaire, and a second connector provided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illuminator through a control signal. The client may be mounted on a smart phone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module and controlling the illuminator.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폰 제어 기능을 구비한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system having a smartphone control function,
보다 상세하게는 이미 설치되어 있는 조명기기에 간편하게 제어모듈을 설치하여 스마트폰을 통해 누구나, 쉽게, 무선으로, 온/오프는 물론 예약 및 타이머 제어 등 다양한 조명기기의 제어가 가능한 조명시스템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llumination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various lighting devices such as a reservation, a timer, and the like by installing a control module on a lighting device that is already installed and allowing anyone to easily, wirelessly, .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특히 이동통신망의 발달은 전자기기들을 스마트폰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고, 이에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전자기기, 특히 그 중에서도 조명기기를 제어하여, 조명기기의 온/오프, 밝기, 색상을 포함, 다양한 조명기기의 제어가 가능하게 되었다.With the development of network technology,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particular, has enabled electronic devices to be controlled by smart phones, and smart phones are used to control electronic devices, especially lighting devices, , It is possible to control various lighting devices including color.
스마트폰을 이용한 조명기기의 제어를 위해, 종래에는 조명기기와 스마트폰, 그리고 조명기기와 스마트폰을 중계하는 중계모듈을 필요로 하였다.In order to control a lighting device using a smartphone, conventionally, a relay module for relaying a lighting device, a smartphone, a lighting device, and a smartphone was required.
스마트폰을 이용한 종래의 기술로, 등록특허 제10-1625627호(2016년05월24일)[스마트 폰을 이용한 조명 제어 시스템](이하 종래기술)이 있는데, 종래기술은 컨버터에 무선 통신 방식을 적용하여 원격의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조명 장치를 제어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0004] There is a lighting control system using a smart pho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 a conventional technology ") with a conventional technology using a smart phone, And a lighting device is controlled through a remote user terminal.
그러나 종래기술을 포함한 종래의 기술들은 조명기기를 스마트폰으로 제어하기 위해서 중계장치(종래기술에서는 컨버터 장치와 중계 변환 장치)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중계장치를 별도의 공간에 설치하거나 또는 조명 시스템이 중계장치를 포함할 수 있도록 새로 시공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technologies including the related art, a relay device (a converter device and a relay conversion device in the prior art) must be separately provided in order to control the lighting device with a smartphone. To this end, the relay device is installed in a separate space, There was an inconvenience that the system had to be newly constructed so as to include the relay device.
이에 따라 종래의 기술들에서는 중계장치의 별도 구비를 위한 비용 부담 문제, 추가 설치 및 공사에 관한 부담, 그리고 기존 조명기기를 폐기해야 하는 문제, 아울러 시스템 구축을 위한 전문 기술자의 공임 문제 등이 있었다.Accordingly, in the related art, there has been a problem of cost burden for the additional installation of the relay device, a burden of additional installation and construction, a problem of disposing of the existing lighting device, and a problem of labor of a professional engineer for building a system.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이미 설치되어 있는 조명기기에 간편하게 제어모듈을 설치하여 스마트폰을 통해 누구나, 쉽게, 무선으로, 온/오프는 물론 예약 및 타이머 제어 등 다양한 조명기기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imed to enable control of various lighting devices such as reservation, timer control, as well as on / off, as well as anyone, easily, wirelessly, with a smart phone by installing a control module in a lighting device already installed.
특히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조명기기의 커넥터에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가격이 저렴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추가 공사비가 없고, 기존 조명기기들과의 호환이 훌륭한 조명 시스템의 구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easily connect to a connector of a lighting device which has been installed in advanc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construct a lighting system which is inexpensive, easy to install, has no additional construction cost and is compatible with existing lighting devices The purpose.
아울러 다양한 이벤트 동작에 따른 조명기기의 제어를 제공함은 물론, 기존의 벽스위치 누름 방식에 의해서도 조명기기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조작이 미숙한 사용자도 어려움을 느끼지 않고 종래의 방식 그대로 조명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illumin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various event operations, and also to control the illuminating device by the conventional wall switch pressing method, so that the inexperienced user can feel the difficulty of using the illuminating device To be able to do so.
상기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object
벽스위치, 등기구 및 상기 벽스위치와 상기 등기구 사이에 구비된 제1커넥터를 구비한 조명기기, 그리고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등기구 사이에 구비되는 제2커넥터, 그리고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 사이에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조명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모듈,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과 통신하는 스마트폰에 탑재되고, 상기 조명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클라이언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 wall switch, a luminaire, and a first connector provided between the wall switch and the luminaire, and a second connector provided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luminaire, and a second connector provided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illuminator through a control signal. The client may be mounted on a smart phone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module and controlling the illuminator.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스마트폰과의 근거리 통신 페어링을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에는 상기 통신부에서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및 패킷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컨트롤부를 구현하는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고,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조명기기의 수와 동일한 수로 구비되어, 상기 통신부와 상기 스마트폰과의 통신 방식은 멀티-블루투스(MULTI-BLUETOOTH)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for short-distance communication pairing with the smartphone, wherein the client receives and stores data and packets periodically transmit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and transmits a control command to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 control application for implementing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unit is mounted, and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in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the lighting devices, and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smartphone is made of multi-bluetooth do.
아울러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클라이언트의 특정 이벤트 동작 시,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이벤트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이벤트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조명기기를 제어하는 이벤트기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과의 페어링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벽스위치와 상기 제1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module may further include an event function unit for receiving an event signal from the smartphone and controlling the lighting device through the control unit to perform a corresponding event function when a specific event of the client is operated, When the pairing of the wall switch is not maintained, the wall switch and the first connector are electrically connected.
나아가 DC 신호용 전원을 증폭하는 노이즈증폭부, 증폭된 신호용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 검출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 노이즈 검출 시에만 필터부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으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 및, 생성된 상기 제어신호의 클린 여부를 확인하여 출력하는 신호출력부를 갖는 신호생성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A filter unit for removing the detected noise, a filter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filter unit only when the noise is detected, and a noise canceling unit for removing the noise from the noise canceled signal. The signal generat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from the power source, and a signal generator for checking whether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is clean or not and outputting the signal.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미 설치되어 있는 조명기기에 간편하게 제어모듈을 설치하여 스마트폰을 통해 누구나, 쉽게, 무선으로, 온/오프는 물론 예약 및 타이머 제어 등 다양한 조명기기의 제어가 가능하고, 특히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조명기기의 커넥터에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가격이 저렴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추가 공사비가 없고, 기존 조명기기들과의 호환이 훌륭한 조명 시스템의 구축이 가능하며, 아울러 다양한 이벤트 동작에 따른 조명기기의 제어를 제공함은 물론, 기존의 벽스위치 누름 방식에 의해서도 조명기기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조작이 미숙한 사용자도 어려움을 느끼지 않고 종래의 방식 그대로 조명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It is possible to control various lighting devices such as reservation and timer control as well as on / off, anyone, easily, wirelessly, smartphone installed,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lighting system which is easy to connect to the connector of the device, low cost, easy installation, no additional construction cost, compatibility with existing lighting device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lighting apparatus by the conventional wall switch pushing method, and it is possible to use the lighting apparatus as it is in the conventional system without feeling any difficulty even for an inexperienced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일반 조명 시스템과의 비교 및 적용예.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제어모듈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멀티-블루투스 통신 방식에 대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이벤트 기능부).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신호생성모듈).1 is a comparison and application example with the general illumin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 control module which is a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ulti-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4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t function).
5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gnal generation module).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본 발명은 이미 설치되어 있는 조명기기에 간편하게 제어모듈을 설치하여 스마트폰을 통해 누구나, 쉽게, 무선으로, 온/오프는 물론 예약 및 타이머 제어 등 다양한 조명기기의 제어가 가능한 조명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llumination system capable of easi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lighting devices such as a timer, a timer, and the like by installing a control module on a lighting device that is already installed and allowing anyone to easily and wirelessly turn on / off the device through a smart phon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P) 제어 기능을 구비한 조명 시스템(이하 본 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illumination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ystem) having a smartphone (P)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시스템의 일반 조명 시스템과의 비교 및 본 발명의 적용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A]는 종래의 일반 조명 시스템을, 도 1 [B]는 본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 [A] 및 [B]는 각각 왼쪽부터 전자식 형광등, 일반식 형광등, 엘이디 조명에 관한 실시를 도시하고 있다.1 shows a comparison with the general illumination system of the present system and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A] shows a conventional general illumination system, and Fig. 1 [B] shows the present system. 1 (A) and 1 (B) show the implementation of the electronic fluorescent lamp, the general fluorescent lamp, and the LED illumination from the left side, respectively.
도 1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조명기기(1)는 등기구(13), 벽스위치(11), 안정기(12) 및 제1커넥터(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A), the
등기구(13)는 발광 소자를 구비하여 조명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형광등, 엘이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벽스위치(11)는 실내 공간 벽면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조명기기(1)를 온/오프 조작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구성이다.The
안정기(12)는 등기구(13)가 형광등일 경우에 구비되는 필수 구성으로, 형광등의 형광방전과의 방전에 필요한 높은 전압을 순간적으로 일으키고, 방전을 개시한 뒤 전류를 안정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제1커넥터(10)는 다양한 사용 목적을 갖는 전선, 특히 그 중에서도 벽스위치(11)와 연결된 전선과 등기구(13)를 연결시키는 연결 단자를 제공한다. 즉 제1커넥터(10)는 벽스위치(11)와 등기구(13)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구성인 것이다.The
만일 등기구(13)가 형광등인 경우, 제1커넥터(10)는 안정기(12)와 벽스위치(11)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이러한 구성들은 일반적인 조명기기(1)에 구비되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여도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These configurations are provided in a
한편, 본 발명은 도 1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조명기기(1)의 제1커넥터(10)와 등기구(13) 사이에 제2커넥터(20)와 제어모듈(3)을 삽입함으로써, 사용자의 스마트폰(P)을 활용하여 조명기기(1)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1 (B), the
도 1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은 상기한 조명기기(1)를 비롯하여, 제2커넥터(20), 제어모듈(3) 및 클라이언트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B, the present system further includes the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제2커넥터(20)는 제어모듈(3)을 기존 조명기기(1)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제어모듈(3)과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구비되어 상호 결합될 수도 있는데, 이는 실시자의 선택에 따르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제2커넥터(20)는 제1커넥터(10)와 등기구(13) 사이에 구비되는데, 이에 따라 제1커넥터(10)에서 등기구(13)(또는 안정기(12))로 연결되는 전선을 빼서 제2커넥터(20)에 연결하면 제어모듈(3)의 설치가 완료된다.The
이러한 제2커넥터(20)는 전선이 삽입되는 소켓부와 이 소켓부를 개폐하는 버튼개폐부와 소켓부 내부에 구비된 단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따라서 버튼개폐부의 누름 및 누름 해제 동작에 의해 소켓부가 개폐되고, 개폐되는 소켓부에 전선이 삽입되어 고정되거나 또는 분리되며, 전선의 노출된 부분(피복으로 감싸지 않은 부분)이 단자부에 접촉하면서 [벽스위치(11)-제1커넥터(10)-제어모듈(3)-제2커넥터(20)-등기구(13)]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안정기(12)의 구성은 필수 구성이 아니므로 생략하기로 함)Accordingly, the socket portion is opened and closed by the pushing and unclamping operation of the butto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the electric wire is inserted or fixed to the socket portion to be opened and closed, and the exposed portion of the electric wire (the portion not wrapped with the cover) The
이러한 제2커넥터(20)를 통해 본 발명은 본 시스템의 설치 용이성을 제공하는데, 조명기기(1)를 제어하기 위해 새로운 조명 시스템을 시공할 필요가 없이 기존에 구비되어 있던 조명기기(1)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고, 특히 특별한 시공이나 전문적인 지식 없이도 누구나 본 시스템을 실내 공간에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With this
다음으로, 제어모듈(3)은 스마트폰(P)으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조명기기(1)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구성으로,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 사이에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통해 조명기기(1)를 제어하는 제어부(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제어모듈(3)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다음으로, 클라이언트는 제어모듈(3)과 통신하는 스마트폰(P)에 탑재되고, 조명기기(1)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데, 스마트폰(P)의 경우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는 일명 '앱(App)'이라 불리는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제공되게 된다.(도 2 참조)Next, the client is mounted on the smartphone P that communicates with the
이러한 클라이언트는 스마트폰(P)의 조작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조명기기(1)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고, 이를 위해서는 스마트폰(P)의 화면에 출력되어야 하는 바, 스마트폰(P)에서 활용되는 대표적인 인터페이스인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에 의해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lient receives the control command for the
따라서 사용자는 본인의 스마트폰(P)에 설치된 클라이언트를 구동하여 제어모듈(3)로 조명기기(1)에 대한 제어 명령을 보내고, 제어모듈(3)은 이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해당 명령에 따라 조명기기(1)를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사용자가 별도의 조명 설비 시공 없이도 사용하던 조명기기(1)를 자신의 스마트폰(P)으로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drives a client installed in his / her smartphone P and sends a control command to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제어모듈(3)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은 제어모듈(3)이 앞서 언급한 제어부(31)를 포함, 통신부(32), 이벤트 기능부(33), 중앙처리부(34), 저장부(35) 및 전원부(3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2, the present system includes a
각 부 별로, 먼저 통신부(32)는 스마트폰(P)과의 근거리 통신 페어링을 위한 구성으로, 특히 이러한 통신부(32)와 스마트폰(P)과의 통신 방식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블루투스는 가격이 저렴하고 저 전력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 여러 주파수에 걸쳐 분할 전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서로의 장치 간 간섭과 오류가 없다는 장점 등을 갖기 때문에, 스마트폰(P) 제어에 있어서 가장 적합한 통신 방식인 바, 본 발명은 스마트폰(P)과 제어모듈(3) 간의 통신을 블루투스 방식으로 구성하여 누구나 쉽게 스마트폰(P)으로 조명기기(1)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Bluetooth has advantages such as low price and low power consumption, and the advantage of no interference and error between devices because it can be divided and transmitted over several frequencies. Therefore, the most suitable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martphone P and the
이러한 통신부(32)를 통한 스마트폰(P)과 제어모듈(3) 간의 페어링은 [스마트폰(P)의 클라이언트 설치 및 실행-블루투스 활성화-벽스위치(11) 온-고유 아이디 검색 및 연결-이름 및 비밀번호 설정] 등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질 수 있다.The pairing between the smartphone P and the
본 발명의 핵심 특징은 상기한 스마트폰(P)과 제어모듈(3) 간의 통신이 멀티-블루투스(Multi-Bluetooth) 통신 방식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A key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martphone P and the
멀티-블루투스 통신 방식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 도 3을 참조하여 상기한 블루투스 방식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실시를 설명하기로 한다.3, which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ulti-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a more concrete implementation of the Bluetooth method will be described.
멀티-블루투스 방식을 위해, 본 장치는, 클라이언트에는 통신부(32)에서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및 패킷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통신부(32)를 통해 제어부(31)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컨트롤부를 구현하는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고, 또한 컨트롤부는 조명기기(1)의 수와 동일한 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or the multi-Bluetooth system, the present apparatus implements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and stores data and packets periodically transmitted from the
구체적으로, 일반적인 블루투스 통신 방식은 일반 액서스 프로파일(Generic Access Profile, 이하 GAP)이라는 장치가 있어서 게시(Advertising)와 연결(Connection)을 제어한다.Specifically, a general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includes a device called a generic access profile (GAP), which controls advertising and connection.
GAP는 게시를 할 때, Advertising Data Payload와 Scan Response Payload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중앙장치(예: 스마트폰)와 주변장치(예: 조명기기)는 Advertising Data Payload를 사용하여 서로가 인식될 수 있도록 계속해서 데이터를 송출한다.GAP can selectively use Advertising Data Payload and Scan Response Payload when publishing. In general, central devices (eg, smartphones) and peripherals (eg, lighting devices) So that the data can be transmitted continuously.
따라서 주변장치는 일정한 주기마다 Advertising Packet(이하 패킷)을 전송하고 중앙장치는 이를 수신한다. 즉 주변장치가 일방적으로 데이터를 실어서 게시하고, 이를 중앙장치가 수신(방송(Broadcasting))하는 것이며, 이 경우에는 장치 간의 페어링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Therefore, the peripheral device transmits Advertising Packe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acket") every predetermined period, and the central device receives the advertisement packet. In other words, the peripheral device unilaterally loads and posts data, and the central device receives (broadcasts) the data. In this case, pairing between devices is not required.
그러나 예를 들면, 조명기기(1)의 제어를 위해 스마트폰(P)에서 제어 명령을 조명기기(1)로 전송하는 경우와 같이, 두 장치(1)(P) 간의 상호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는 반드시 페어링을 거쳐야 하는데, 이 때 두 장치가 연결(Connection)되면 게시가 종료되어 더 이상 다른 장치를 찾거나 연결할 수 없게 되는 바, 일반적인 블루투스 방식에서는 하나의 중앙장치가 하나의 주변장치만을 제어할 수밖에 없다.However, for mutual data transfer between the two devices 1 (P), for example, in the case of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from the smartphone P to the
따라서 조명기기(1)가 하나인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나, 다수의 조명기기(1)에 대한 제어는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고,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 대부분의 실내공간에는 복수의 조명기기(1)가 구비된다는 것을 감안할 때, 상기 문제점을 더욱 부각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case where the number of the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이하 중앙장치는 스마트폰(P)으로, 주변장치는 조명기기(1)로 특정하고, 특히 제어모듈(3)은 조명기기(1)에 구비되는 것으로 조명기기(1)와 제어모듈(3) 간의 구분을 생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entral device is referred to as a smartphone P and the peripheral device is referred to as a
그러나 본 발명의 멀티-블루투스 방식은 GAP를 활용하여 스마트폰(P)과 조명기기(1) 간의 게시 및 연결을 제공하는 것은 동일하되, Scan Response Payload를 활용하여 게시와 연결을 제어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However, the multi-Bluetooth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providing the publication and connection between the smartphone P and the
따라서 GAP는 조명기기(1)에 대한 정보를 스마트폰(P), 정확히는 클라이언트에 탑재된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받거나 또는 조명기기(1)의 스캔을 통해 획득한 다음, 입력된 아이디(ID)의 조명기기(1)만을 선택적으로 스캔하게 된다.Therefore, the GAP receives the information about the
여기에서, 각각의 조명기기(1)는 통신부(32)를 통해 임의의 주기(호핑 주기)로 데이터(조명기기에 관한 정보)와 함께 패킷을 전송하며, 스마트폰(P)은 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데, 이렇게 통신부(32)에서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및 패킷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상기한 컨트롤부에서 수행하며, 이러한 컨트롤부는 제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스마트폰(P)에서 구현된다.Here, each
이러한 컨트롤부는 조명기기(1)의 수에 맞게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컨트롤부는 각각의 조명기기(1)에 대한 데이터 및 패킷을 저장하고 있게 된다.Since these control units are provided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the
가령 스마트폰(P)을 통한 특정 조명기기(1)의 제어를 필요로 하는 경우, 컨트롤부는 일반속성 프로파일 클라이언트(GATT Client)로 동작하여, GATT server로 동작하는 통신부(32)로 데이터 요청을 전송하는데, 두 장치(1)(P)가 연결될 때, 통신부(32)는 연결 간격(Connection interval)을 전달하고, 또한 ATT Lookup data, Service, characteristic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unit operates as a general property profile client (GATT Client) and transmits a data request to the
이 후 컨트롤부는 특정 조명기기(1)의 제어부(31)로 제어 명령을 전송한 후 특정 조명기기(1)와의 페어링을 해제한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control command to the
스마트폰(P)의 각 컨트롤부와 조명기기(정확히는 제어모듈)의 제어부(32)는 위와 같은 동작을 빠르게는 1초당 50번부터, 몇 초 간격으로 반복하고, 이에 다수의 컨트롤부를 스마트폰에 구현시킴으로써, 하나의 스마트폰(P)으로 다수의 조명기기(1)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다음으로, 이벤트 기능부(33)는 클라이언트의 특정 이벤트 동작 시, 스마트폰(P)으로부터 이벤트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이벤트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부(31)를 통해 조명기기(1)를 제어하는 구성이다.Next, the
도 4에는 이러한 이벤트 기능부(33)에 관한 실시예(제1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이벤트 기능부(33)는 점등제어부(331)(31), 모션제어부(332)(31), 자동점등설정부(333), 취침예약부(334), 모니터링부(335), 방범기능부(336)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4 shows an embodiment (first embodiment) of such an
도 4를 참고하여 각 이벤트 기능부(33)들을 하나씩 살펴보면, 먼저 점등제어부(331)(31)는 클라이언트의 온/오프 이벤트 동작 시, 조명기기(1)를 온/오프하는 기능을 제공한다.Referring to FIG. 4, the
예를 들면, 사용자가 스마트폰(P)으로 클라이언트를 실행시키고, 점등버튼을 누르는 경우에는 조명기기(1)를 점등하고, 소등버튼을 누르면 조명기기(1)를 소등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user executes the client with the smartphone P, the
다음, 모션제어부(332)(31)는 클라이언트의 모션제어 이벤트 동작 시, 조명기기(1)를 온/오프하는 기능을 제공한다.Next, the
예를 들면, 사용자가 스마트폰(P)으로 클라이언트를 실행시키고, 스마트폰(P)을 바로 놓을 때 조명기기(1)를 점등하고 뒤집어 놓을 때 소등하거나, 또는 스마트폰(P)을 흔들 때마다 점등과 소등을 교차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user executes the client with the smartphone P and turns off the
다음, 자동점등설정부(333)는 클라이언트의 자동 온/오프 이벤트 동작 시, 조명기기(1)를 설정된 시간에 온/오프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Next, the automatic lighting setting unit 333 provides a function of turning on / off the
예를 들면, 사용자가 스마트폰(P)으로 클라이언트를 실행시키고, 조명기기(1)의 점등시간과 소등시간을 설정하면, 해당 시간에 조명기기(1)를 점등 및 소등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user executes the client with the smartphone P and sets the lighting time and the light-off time of the
다음, 취침예약부(334)는 클라이언트의 취침예약 이벤트 동작 시, 선택된 조명기기(1)를 설정된 시간에 소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Next, the sleeping
예를 들면, 사용자가 스마트폰(P)으로 클라이언트를 실행시키고, 소등을 원하는 조명기기(1)를 선택한 다음 취침 예약을 설정하면, 해당 시간에 해당 조명기기(1)가 소등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user executes the client with the smartphone P and selects the
다음, 모니터링부(335)는 클라이언트의 모니터링 이벤트 동작 시, 조명기기(1)의 점등 상태를 파악하여 스마트폰(P)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한다.Next, the
예를 들면, 사용자가 스마트폰(P)으로 클라이언트를 실행시키고, 모니터링 메뉴를 선택하면, 각 조명기기(1)의 점등 또는 소등 상태를 파악하여 사용자의 스마트폰(P) 화면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전체 조명기기(1)의 점등 상태를 한눈에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는 상기한 다른 이벤트 기능부(33)와 조합하여 모니터링 후에 선택된 조명을 점등 또는 소등한다거나 또는 조명의 전등 제어에 대한 락(Lcok) 기능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when the user executes the client with the smartphone P and selects the monitoring menu, the lighting / lighting state of each
다음, 방범기능부(336)는 클라이언트의 방범 이벤트 동작 시, 조명기기(1)의 조명기기(1)를 설정된 시간에 온/오프하는 기능을 제공한다.Next, the crime
예를 들면, 사용자가 스마트폰(P)으로 클라이언트를 실행시키고, 방범기능 메뉴를 선택한 후, 장기간 외출(부재)하면, 각각 설정된 시간에 점등과 소등을 수행하여 마치 집에 사람이 있는 것처럼 위장하고, 이를 통해 도난을 방지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user executes the client with the smartphone P, selects the crime prevention function menu, and goes out for a long time (absence), the user lights and lights off at the set time, , Thereby preventing theft.
여기에서, 방범기능부(336)와 같이 제어모듈(3)이 시간을 체크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제어모듈(3)은 타이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when it is necessary for the
다음으로, 중앙처리부(34)는 중앙처리장치(CPU, MCU 등)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제어모듈(3)의 전체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구성이다.Next, the
또한 저장부(35)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제어모듈(3)의 각 부 동작을 위해서 필요한 각 종 데이터의 저장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아울러 전원부(36)는 제어모듈(3)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는 구성이다.In addition, the
이러한 중앙처리부(34), 저장부(35) 및 전원부(36)는 일반적인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또한 제어모듈(3)은 필요에 따라 다른 기능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The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핵심 특징은, 기존의 일반 조명 시스템과 혼용이 가능하다는 것인데, 이를 위해 본 시스템은 제어모듈(3)이 스마트폰(P)과의 페어링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 벽스위치(11)와 제1커넥터(1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0030] In the meantime,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apable of being used in combination with a conventional general lighting system. For this purpose, in the present system, when the
상기 특징으로 인해 본 시스템은 제어모듈(3)과 스마트폰(P) 간의 페어링이 끊어지면, 일반 조명 시스템과 동일한 방식으로 벽스위치(11)를 통한 점등 및 소등이 이루어진다.With this feature, when the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또는 본 시스템을 벽스위치(11)를 통한 조명기기(1)의 제어가 스마트폰(P)을 통한 조명기기(1)의 제어보다 우선순위를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Or the present system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control of the
이러한 일반 조명 시스템과의 혼용 사용이 가능한 특징을 통해 본 발명은 스마트폰(P) 조작이 미숙한 사용자도 어려움을 느끼지 않고 종래의 방식 그대로 조명기기(1)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aking it possible to use the
상기한 구성들 및 특징들을 갖는 본 발명은 종래의 조명 시스템에 비해 다양한 장점을 갖는데, 기존의 조명기기(1)에 제2커넥터(20)와 제어모듈(3)만을 설치하면 되기 때문에 가격이 저렴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추가 공사비가 없고, 기존 조명기기(1)들과의 호환이 훌륭하다. 또한 사용방법이 쉽고, 사용이 편리하며, 에너지 절약 효과를 제공한다는 장점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and features has various advantages over the conventional lighting system. Since only the
한편, 본 발명에서, 제어부(31)는 제어신호를 통해 조명기기(1)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신호에는 고주파에 의한 영향, 전원부(36)의 강한 전계장에 의한 간섭, 외부 환경(온도, 습도, 먼지 등)에 의한 영향 등, 각종 외부요인에 의해 노이즈가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는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급증 또는 급감시켜 각 구성의 불안정한 동작을 야기하고, 나아가 오작동 및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The noise introduced into the control signal rapidly increases or decreases the voltage level of the control signal, causing unstable operation of each structure, and further, it may cause malfunction and failure.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노이즈의 유입 가능성을 원천 배제한 클린 상태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모듈(100)을 구비하여, 제어신호에 유입될 노이즈를 사전에 검출 및 제거하고, 이를 통해 안정된 동작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gnal generation module (100)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in a clean state from which the possibility of noise is excluded, thereby detecting and removing noise to be introduced into the control signal in advance, Operation control is enabled.
본 발명의 신호생성모듈(100)은 여러 단계를 거쳐 노이즈를 검출 및 제거하며, 최종적으로 제어신호 출력에 앞서 제어신호의 노이즈 포함 여부를 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이하 첨부된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제2실시예)에 따른 신호생성모듈(10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소자 단위의 명명은 구분하지 않았다. 따라서 각 소자가 포함되는 해당 회로를 통해 유추하거나 또는 도면참조부호를 통해 구분지어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the sake of convenience, it is not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names of the device uni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deduce through the corresponding circuit including each element,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모듈(3)은 신호생성모듈(100)을 더 포함하고, 신호생성모듈(100)은 DC 신호용 전원을 증폭하는 노이즈증폭부(110), 증폭된 신호용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120), 검출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130), 노이즈 검출 시에만 필터부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140),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150) 및, 생성된 제어신호를 안정화하여 출력하는 신호출력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5, the
이러한 신호생성모듈(100)은 노이즈증폭부(110)에서 DC 신호용 전원을 증폭함으로써 이에 포함된 노이즈 역시 증폭시켜 검출이 용이하도록 하고, 노이즈검출부(120)에서 증폭된 신호용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며, 필터부(130)에서 검출된 노이즈를 제거하되, 필터구동부(140)를 통해 노이즈 검출 시에만 노이즈 제거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 및 동작 과부하를 방지하고, 신호생성부(150)에서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으로부터 클린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이를 신호출력부(160)에서 클린 여부를 확인하여 출력한다.The
이하 도 5를 참고하여 신호생성모듈(100)의 각 부 구성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 및 동작 과정에 대한 설명, 그리고 그에 따른 효과에 대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sub-configuration of the
노이즈증폭부(110)는 신호용 전원을 1차 증폭하는 제1증폭회로(111) 및, 2차 증폭하는 제2증폭회로(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제1증폭회로(111)와 제2증폭회로(112)는 동일 구조로 이루어지고, 각각 앰프(A101)(A102), 앰프(A101)(A102)의 (+)단에 연결된 분배저항(R101)(R102)(R103)(R104) 및 캐패시터(C101)(C102), 앰프(A101)(A102)의 출력단과 (-)단 사이에 상호 병렬로 연결된 피드백 저항(R105)(R106) 및 캐패시터(C105)(C106)를 포함한다.The
제1증폭회로(111) 및 제2증폭회로(112)의 동작 및 효과를 제1증폭회로(111)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앰프(A101)는 분배저항(R101)(R102)과 피드백저항(R106), 그리고 접지 저항에 의해 비반전 증폭기로 동작하여 신호용 전원의 전압 레벨을 증폭시킴에 따라 노이즈 역시 함께 증폭시켜 노이즈의 검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때 피드백 캐패시터(C105)는 앰프(A101)의 발진을 방지한다.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제2증폭회로(112)에서도 동일한 과정을 거쳐 신호용 전원의 증폭이 이루어진다.In the
또한 노이즈증폭부(110)는 제1증폭회로(111)의 앰프 출력단과 제2증폭회로(112)의 앰프 (+)단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해 신호용 전원이 제1증폭회로(111)에서 1차로 증폭되고, 그 출력이 제2증폭회로(112)로 전송되어 2차 증폭됨에 따라 신호용 전원을 2중으로 보다 현저하게 증폭시켜 노이즈 검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다음으로, 노이즈검출부(120)는 비교기(121), 이 비교기(121)의 (-)단에 연결된 인가회로(122), 비교기(121)의 (+)단에 연결된 기준회로(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Next, the
보다 구체적으로, 인가회로(122)는 상호 직렬 배치된 직류성분 제거용 저항(R201) 및 캐패시터(C201)와 노이즈확인용 저항(R202)을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또한 기준회로(123)는 상호 병렬 배치되어 노이즈 판단을 위한 기준전압을 제공하는 바이어스 저항들(R203)(R204)(R205)을 포함한다.The reference circuit 123 also includes bias resistors R203 (R204) (R205)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to provide a reference voltage for noise determination.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노이즈검출부(120)의 동작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인가회로(122)는 노이즈증폭부(110)에서 증폭된 신호용 전원을 저항(R201) 및 캐패시터(C201)를 통해 직류성분을 제거하고 노이즈 성분만 남긴다. 이 후 노이즈 성분을 저항(R202)에 인가한다.The
이 후 기준회로는 바이어스 저항들(R203)(R204)(R205)에 의해 기준전압을 생성하고, 비교기(121)가 기준전압과 저항(R202)에 인가된 노이즈 전압을 비교함으로써 노이즈 발생 여부를 검출하고, 노이즈 검출 시 필터구동부(140)에 구동신호를 전송하여 필터부(130)를 구동함으로써 신호용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고, 노이즈 미 검출 시 필터구동부(140)에 비구동신호를 전송하거나 또는 신호를 전송하지 않아 필터부(130)를 구동시키지 않고, 신호용 전원이 바로 신호생성부로 전달되도록 한다.(비구동신호를 전송하거나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실시의 선택은 필터구동부(140)의 사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Thereafter, the reference circuit generates a reference voltage by the bias resistors R203 (R204) and R205, and the
(필터구동부(140)의 구체적인 회로 구성은 이미 널리 공지된 사항인 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여도 통상의 기술자의 실시에 무리가 없을 것이다.)(The specific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추가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이즈검출부(120)는 릴레이로 전송하는 신호를 지연시키는 딜레이회로(12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딜레이회로(124)는 상호 병렬 배치되는 역방향 다이오드(D201) 및 저항(R206)과, 이에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C2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이러한 딜레이회로(124)의 구비를 통해 필터구동부(14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노이즈는 연속적, 주기적으로 발생하지 않고 간헐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필터구동부(140)가 구동 및 비구동을 반복하면서 수명 저하가 발생하게 되므로, 딜레이회로(124)를 구비하여 필터구동부(140)의 작동 후 일정 시간 경과 전까지는 계속하여 필터구동부(140)를 구동하도록 하여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ife of the
다음으로, 필터부(130)는 각각의 출력단과 입력단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내지 제3필터링회로(131)(132)(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Next, the
제1필터링회로(131)는 서로의 에미터와 컬렉터가 연결되어 있는 npn타입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301)(Q302)를 포함하되,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301)(Q302)의 베이스에는 각각 상호 병렬 배치된 스위칭다이오드(D301)(D302) 및 캐패시터(C301)(C302)가 연결되고, 제1트랜지스터(Q301)의 베이스와 제2트랜지스터(Q302)의 베이스 사이에는 상호 병렬 배치된 두 개의 캐패시터(C303)(C304)와, 캐패시터(C304)와 직렬을 이루는 두 저항(R303)(R304)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또한 제2필터링회로(132)는 제1필터링회로(131)와 동일 구조를 갖는다.The
아울러 제3필터링회로(133)는 상호 병렬 배치된 두 개의 캐패시터(C305)(C306)와, 캐패시터(C306)와 직렬로 연결된 두 저항(R305)(R306)을 포함하되, 제2필터링회로(132)와 제3필터링회로(133) 사이에는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D30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필터부(130)를 통해, 3단에 걸쳐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어 종래의 노이즈필터에 비해 노이즈 제거 효과가 우수하고, 노이즈의 제거 후 직류에 가까운 일정한 파형을 갖는 신호용 전원을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정류나 직류화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noise can be removed in three stages through the
다음으로, 신호생성부(150)는 제어신호 생성을 위한 전압 강하를 제공하는 복수의 다이오드(D501)(D502), 이에 직렬 연결된 필터링용 인덕터(L501) 및, 다이오드들(D501)(D502)과 인덕터(L501)에 병렬 연결된 필터링용 캐패시터들(C501)(C02)(C503)(C50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Next, the
상기한 전압 강하용 다이오드(D501)(D502)는 도 5에서는 2개 구비한 것을 도시하였지만, 복수로만 구비하면 되고, 필요한 전압 강하 정도에 따라 2개 이상 구비할 수 있다.Although the two voltage drop diodes D501 and D502 are shown in FIG. 5, the voltage drop diodes D501 and D502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voltage drop diodes D502 and D502, respectively.
신호생성부(150)의 동작 및 특징에 대해 설명하면,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이 전압 강하용 다이오드(D501)(D502)를 통과하면서 제어신호에 알맞은 전압 레벨로 변환되고, 변환 과정에서 유입 또는 생성되는 잡음에 대해서는 필터링용 인덕터(L501)와 필터링용 캐패시터들(C501)(C02)(C503)(C504)에 의해 제거되어, 클린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신호출력부(160)로 전송한다.The ope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다음으로, 신호출력부(160)는 제어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제어소자(161), 이 출력제어소자(161)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는 안정화회로(162), 출력제어소자(161)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의 상태를 감지하고 출력제어소자(161)로 피드백하는 감지회로(163) 및, 출력제어소자(16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회로(1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Next, the signal output section 160 includes an
각 회로 별로 동작 및 특징을 살펴보면, 먼저 안정화회로(162)는 직렬 연결된 저항(R601) 및 다이오드(D601)와, 이에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C601)를 포함한다.The ope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each circuit are as follows. First, the
이러한 안정화회로(162)는 전달된 제어신호를 저항(R601) 및 다이오드(D601)를 통해 캐패시터(C601)에 저장함으로써 신호 유입에 대한 완충을 제공하여 제어신호의 끊김을 억제하고, 출력제어소자(161)의 과부하를 방지한다.The
다음 감지회로(163)는 전압 변환용 저항(R602)과 저항(R603) 및 필터링용 캐패시터(C602)(C603)를 포함한다.The
이러한 감지회로(163)는 제어신호의 전류를 저항(R602)을 통해 전압으로 변환하고, 저항(R603)에 인가되며, 캐패시터(C602)(C603)를 통해 필터링되어 출력제어소자(161)로 전달한다. 이 후 출력제어소자(161)는 감지회로(163)를 통해 최종적으로 출력될 제어신호의 노이즈 포함 여부를 확인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거나 또는 제어신호의 재 필터링을 명령하게 된다.This
다음 전원공급회로(164)는 전압 변환용 저항(R604)(R605), 이에 병렬 연결된 충전용 캐패시터(C604)(C605)(C606) 및, 이에 직렬 연결된 방전 방지용 다이오드(D6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Next, the
출력제어소자(161)는 제어신호의 출력 상태를 최종적으로 점검하고 출력하기 위한 소자로 항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제품 전체에 공급되는 전원은 물론 비상상황을 대비한 추가적인 전원 공급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전원공급회로(164)가 신호용 전원을 적절하게 처리하여 출력제어소자(161)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별도로 공급하게끔 구비되는 것이다.The
이러한 전원공급회로(164)는 전압 변환용 저항(R604)(R605)을 통해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을 캐패시터(C604)(C605)(C606)에 저장함으로써 비상 상황 발생 시에도 출력제어소자(161)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이 때 다이오드(D604)를 통해 캐패시터(C604)(C605)(C606)에 충전된 전원이 방전되지 않도록 하고, 비상 상황 발생 시에는 출력제어소자(161)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This
이상의 설명에서 각 회로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소자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이는 통상의 기술자의 실시에 따라 설계 변경 가능한 것이다.Although the description of the additional elements constituting each circuit is omitted in the above description,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design according to the practice of the ordinary artisan.
또한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조명기기
10: 제1커넥터 11: 벽스위치
12: 안정기 13: 등기구
20: 제2커넥터
3: 제어모듈
31: 제어부 32: 통신부
33: 이벤트 기능부
P: 스마트폰 100: 신호생성모듈1: Lighting equipment
10: first connector 11: wall switch
12: ballast 13: luminaire
20: second connector
3: Control module
31: control unit 32:
33: Event Function
P: Smartphone 100: Signal generation module
Claims (4)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등기구 사이에 구비되는 제2커넥터;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 사이에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조명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과 통신하는 스마트폰에 탑재되고, 상기 조명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클라이언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DC 신호용 전원을 증폭하는 노이즈증폭부, 증폭된 신호용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 검출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 노이즈 검출 시에만 필터부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으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 및, 생성된 상기 제어신호의 클린 여부를 확인하여 출력하는 신호출력부를 갖는 신호생성모듈;
을 더 포함하되,
상기 노이즈증폭부는 신호용 전원을 1차 증폭하는 제1증폭회로 및, 2차 증폭하는 제2증폭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제1증폭회로 및 상기 제2증폭회로는 각각 앰프(A101)(A102), 앰프(A101)(A102)의 (+)단에 연결된 분배저항(R101)(R102)(R103)(R104) 및 캐패시터(C101)(C102), 앰프(A101)(A102)의 출력단과 (-)단 사이에 상호 병렬로 연결된 피드백 저항(R105)(R106) 및 캐패시터(C105)(C106)를 포함하며, 상기 제1증폭회로의 앰프 출력단과 상기 제2증폭회로의 앰프 (+)단은 서로 연결되고,
상기 노이즈검출부는 비교기, 이 비교기의 (-)단에 연결된 인가회로, 비교기의 (+)단에 연결된 기준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인가회로는 상호 직렬 배치된 직류성분 제거용 저항(R201) 및 캐패시터(C201)와 노이즈확인용 저항(R202)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회로는 상호 병렬 배치되어 노이즈 판단을 위한 기준전압을 제공하는 바이어스 저항들(R203)(R204)(R205)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각각의 출력단과 입력단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내지 제3필터링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제1필터링회로는 서로의 에미터와 컬렉터가 연결되어 있는 npn타입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301)(Q302)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301)(Q302)의 베이스에는 각각 상호 병렬 배치된 스위칭다이오드(D301)(D302) 및 캐패시터(C301)(C302)가 연결되고, 상기 제1트랜지스터(Q301)의 베이스와 상기 제2트랜지스터(Q302)의 베이스 사이에는 상호 병렬 배치된 두 개의 캐패시터(C303)(C304)와, 캐패시터(C304)와 직렬을 이루는 두 저항(R303)(R304)이 연결되고,
상기 제2필터링회로는 상기 제1필터링회로와 동일 구조를 갖고,
상기 제3필터링회로는 상호 병렬 배치된 두 개의 캐패시터(C305)(C306)와, 캐패시터(C306)와 직렬로 연결된 두 저항(R305)(R306)을 포함하되, 상기 제2필터링회로(132)와 상기 제3필터링회로(133) 사이에는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D303)가 구비되고,
상기 신호생성부는 상기 제어신호 생성을 위한 전압 강하를 제공하는 복수의 다이오드(D501)(D502), 이에 직렬 연결된 필터링용 인덕터(L501) 및, 다이오드들(D501)(D502)과 인덕터(L501)에 병렬 연결된 필터링용 캐패시터들(C501)(C502)(C503)(C504)을 포함하여 전압 강하 과정에서 유입 또는 생성되는 노이즈를 제거하고,
상기 신호출력부(160)는 제어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제어소자(161), 이 출력제어소자(161)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는 안정화회로(162), 출력제어소자(161)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의 상태를 감지하고 출력제어소자(161)로 피드백하는 감지회로(163) 및, 출력제어소자(16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회로(164)를 포함하되,
상기 안정화회로(162)는 상기 신호출력부(160)에서 전달된 제어신호가 통과하는 직렬 연결된 저항(R601) 및 다이오드(D601)와, 이에 병렬 연결되어 상기 제어신호가 저장되는 캐패시터(C601)를 포함하여, 제어신호의 끊김을 억제하고, 상기 출력제어소자(161)의 과부하를 방지하며,
상기 감지회로(163)는 전압 변환용 저항(R602)(R603) 및 필터링용 캐패시터(C602)(C603)를 포함하여, 출력되는 제어신호의 노이즈 포함 여부를 확인하여 제어신호를 최종 출력하거나 또는 제어신호에 대한 재 필터링을 명령하고,
상기 전원공급회로(164)는 전압 변환용 저항(R604)(R605), 이에 병렬 연결된 충전용 캐패시터(C604)(C605)(C606) 및, 이에 직렬 연결된 방전 방지용 다이오드(D604)를 포함하여, 상기 출력제어소자(161)의 항시 구동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
A lighting device having a wall switch, a luminaire, and a first connector provided between the wall switch and the luminaire;
A second connector provided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luminaire;
A control modul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nd controlling the lighting device through a control signal; And
A client mounted on a smart phone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module, the client performing control over the lighting device;
, ≪ / RTI >
A filter unit for removing the detected noise, a filter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filter unit only when the noise is detected, a power supply for the signal for which the noise is removed, A signal generating module having a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and a signal output for checking whether the control signal is cleaned and outputting the signal;
, ≪ / RTI >
Wherein the noise amplifying unit includes a first amplifying circuit for first amplifying the signal power source and a second amplifying circuit for secondarily amplifying the signal power,
The first amplifying circuit and the second amplifying circuit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resistors R101, R102, R103 and R104 connected to the (+) terminals of the amplifiers A101, A102, A101, A feedback resistor R105 R106 and a capacitor C105 C106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output terminal and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capacitors C101 and C102 and the amplifiers A101 and A102, 1 amplifier circuit and the amplifier (+) terminal of the second amplifying circui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noise detection unit includes a comparator, an application circuit connected to the (-) terminal of the comparator, and a reference circuit connected to the (+) terminal of the comparator. The application circuit includes a DC component removal resistor R201, (R205) for providing a reference voltage for judging noise, the bias resistors (R203) and the noise checking resistor (R202) being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The first filtering circuit includes npn-type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Q301 and Q302) having emitters and a collector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filtering circui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switching diodes D301 and D302 and the capacitors C301 and C302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base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Q301 and Q302, Two capacitors C303 and C304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between the base of the first transistor Q301 and the base of the second transistor Q302 and two resistors R303 and R304 in series with the capacitor C304, Lt; / RTI >
The second filtering circuit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filtering circuit,
The third filtering circuit includes two capacitors C305 and C306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two resistors R305 and R306 connected in series with a capacitor C306. A reverse current prevention diode D303 is provided between the third filtering circuits 133,
The signal generator includes a plurality of diodes D501 and D502 for providing a voltage drop for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a filtering inductor L501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diodes D501 and D502, and a diode D501 and D502 connected in series to the inductor L501. (C501), (C502), (C503), and (C504) connected in parallel to remove noise introduced or generated in the voltage drop process,
The signal output unit 160 includes an output control element 161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control signal, a stabilization circuit 162 connected to the output control element 161 to remove the noise included in the control signal, A sensing circuit 163 connected to the element 161 for sensing the state of the control signal and feeding back the output signal to the output control element 161 and a power supply circuit 164 for supplying power to the output control element 161 ,
The stabilization circuit 162 includes a resistor R601 and a diode D601 connected in series through which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output unit 160 passes and a capacitor C601 connected in parallel thereto to store the control signal The output control element 161 is prevented from being disconnected, the output control element 161 is prevented from being overloaded,
The sensing circuit 163 includes resistors R602 and R603 for voltage conversion and capacitors C602 and C603 for filtering to check whether or not the output control signal contains noise to finally output the control signal, Command to re-filter the signal,
The power supply circuit 164 includes a voltage-converting resistor R604 (R605), a charging capacitor C604 (C605) and a capacitor C606 connected in parallel thereto, and a discharge preventing diode D604 connected in series thereto. And provides constant driving of the output control element (161).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스마트폰과의 근거리 통신 페어링을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에는 상기 통신부에서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및 패킷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컨트롤부를 구현하는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고,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조명기기의 수와 동일한 수로 구비되어, 상기 통신부와 상기 스마트폰과의 통신 방식은 멀티-블루투스(Multi-Bluetooth)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for short-distance communication pairing with the smartphone,
A control application for implementing a control unit for implementing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and stores data and packets periodically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and transmits a control command to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in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the lighting devices, and the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smartphone is multi-bluetooth.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클라이언트의 특정 이벤트 동작 시,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이벤트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이벤트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조명기기를 제어하는 이벤트기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과의 페어링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벽스위치와 상기 제1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module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n event function unit for receiving an event signal from the smartphone and controlling the lighting device through the control unit to perform a corresponding event function when a specific event of the client is operated,
And electrically connects the wall switch and the first connector when the pairing with the smartphone is not maintain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49533A KR101846518B1 (en) | 2016-11-10 | 2016-11-10 | Lighting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49533A KR101846518B1 (en) | 2016-11-10 | 2016-11-10 | Lighting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46518B1 true KR101846518B1 (en) | 2018-04-09 |
Family
ID=61977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49533A Expired - Fee Related KR101846518B1 (en) | 2016-11-10 | 2016-11-10 | Lighting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46518B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76596B1 (en) | 2018-09-11 | 2019-05-09 | 여운남 | BURIED TYPE IoT LIGHTING SWITCH DEVICE |
KR102016652B1 (en) | 2018-06-29 | 2019-08-30 | 여운남 | Internet of things lighting switch module for building smart home |
KR20200002712A (en) | 2019-08-26 | 2020-01-08 | 여운남 | Internet of things lighting switch module for building smart home |
KR20200029977A (en) | 2019-05-02 | 2020-03-19 | 여운남 | BURIED TYPE IoT LIGHTING SWITCH DEVICE |
KR102121193B1 (en) | 2019-08-19 | 2020-06-10 | 주식회사 다원디엔에스 | Internet of things lighting switch module for preventing flicker |
KR102121194B1 (en) | 2019-08-21 | 2020-06-26 | 주식회사 다원디엔에스 | Internet of things lighting switch module with overheat protection |
KR102149047B1 (en) | 2019-08-23 | 2020-08-28 | 주식회사 다원디엔에스 | Internet of things lighting switch module withcharge amount check function of super capacito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235795A (en) * | 2013-05-31 | 2014-12-15 | 矢崎エナジーシステム株式会社 | Illumination system |
KR101661582B1 (en) * | 2016-06-17 | 2016-10-10 | (주)두씽 | Iot relay apparatus |
-
2016
- 2016-11-10 KR KR1020160149533A patent/KR10184651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235795A (en) * | 2013-05-31 | 2014-12-15 | 矢崎エナジーシステム株式会社 | Illumination system |
KR101661582B1 (en) * | 2016-06-17 | 2016-10-10 | (주)두씽 | Iot relay apparatus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16652B1 (en) | 2018-06-29 | 2019-08-30 | 여운남 | Internet of things lighting switch module for building smart home |
KR101976596B1 (en) | 2018-09-11 | 2019-05-09 | 여운남 | BURIED TYPE IoT LIGHTING SWITCH DEVICE |
KR20200029977A (en) | 2019-05-02 | 2020-03-19 | 여운남 | BURIED TYPE IoT LIGHTING SWITCH DEVICE |
KR102121193B1 (en) | 2019-08-19 | 2020-06-10 | 주식회사 다원디엔에스 | Internet of things lighting switch module for preventing flicker |
KR102121194B1 (en) | 2019-08-21 | 2020-06-26 | 주식회사 다원디엔에스 | Internet of things lighting switch module with overheat protection |
KR102149047B1 (en) | 2019-08-23 | 2020-08-28 | 주식회사 다원디엔에스 | Internet of things lighting switch module withcharge amount check function of super capacitor |
KR20200002712A (en) | 2019-08-26 | 2020-01-08 | 여운남 | Internet of things lighting switch module for building smart ho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46518B1 (en) | Lighting system | |
US6924732B2 (en) | Camera for monitoring utilizing power line communication | |
CN101854763B (en) | Lighting Control Assembly | |
US8519560B2 (en) | Power line communication device | |
CN105766067A (en) | Automated system for lighting control | |
KR20110129906A (en) | Lighting control network | |
CN104360599A (en) | Smart home control method, equipment and system based on LED lighting devices | |
KR20160023885A (en) | Lighting controller | |
CN108174501B (en) | Scene linkage control intelligent wall switch | |
US9912487B2 (en) | DC power distrubution system | |
WO2014077333A1 (en) | Illumination device | |
JP2009017267A (en) | Lighting system, lighting control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 |
WO2010099644A1 (en) | Device used for eliminating standby power consumption of the infrared remote control electrical appliance | |
JP2004180260A (en) | Signal converting apparatus | |
CN110798942A (en) | Induction lamp control equipment and system thereof | |
US11397693B2 (en) | Peripheral device, system including the peripheral device and method | |
JP3551774B2 (en) | Power saving system | |
JP2003347066A (en) | Lighting control system | |
CN202257016U (en) | Projector curtain controller | |
KR102200603B1 (en) | Control device and system for standby pow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JP2006067417A (en) | Network control terminal equipment | |
KR100631796B1 (en) | Home Network System and Learning Method Using Learning Remote Control Repeater | |
CN110708816A (en) | Induction lamp control equipment and system thereof | |
KR101773524B1 (en) | State information notification module and management system for elder who lives alone using the same | |
KR20170006189A (en) | LED LIGHTING CONTROL SYSTEM With Camer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7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0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4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4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