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46119B1 - 창호용 사춤재, 사춤재가 삽입된 창호 및 이의 사춤방법 - Google Patents

창호용 사춤재, 사춤재가 삽입된 창호 및 이의 사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6119B1
KR101846119B1 KR1020170015333A KR20170015333A KR101846119B1 KR 101846119 B1 KR101846119 B1 KR 101846119B1 KR 1020170015333 A KR1020170015333 A KR 1020170015333A KR 20170015333 A KR20170015333 A KR 20170015333A KR 101846119 B1 KR101846119 B1 KR 101846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weight
shape
lacquer
windo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운주
Original Assignee
황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운주 filed Critical 황운주
Priority to KR1020170015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1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11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2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arrangements reducing the heat transmission, other than an interruption in a metal s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춤재는 창틀 프레임의 단면이 이루는 형태에 대응하여 내측에 삽입할 수 있도록 단면이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형, 사다리형, 마름모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지고, 상기 가로바 또는 세로바의 길이에 따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는 바(Bar) 형상인 내피부와; 상기 내피부에 코팅되어 상기 내피부의 외부면을 일정 두께로 감싸며, 재질이 서로 상이한 상기 내피부와의 코팅 결합 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연질성과 기포성을 가지며, 상기 내피부의 내화성과 내열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내화성과 내열성을 갖는 재질로 된 외피부로 구성되고, 상기 사춤방법은 상기 창틀 프레임의 가로바와 세로바의 단면을 확인하여 필요 사춤재의 종류를 선택하는 사춤재 선택단계와; 상기 가로바와 세로바의 길이에 따른 사춤재 종류별로 각각 필요한 길이를 계산하여 종류별로 일정 길이를 준비하는 사춤재 준비단계와; 각각 모양의 사춤재를 상기 가로바와 세로바의 종류별 길이별로 절단하여 사춤재를 재단하는 사춤재 재단단계와; 상기 가로바와 세로바의 길이에 따라 재단된 사춤재를 상기 가로바와 세로바의 내부로 삽입하기 쉽게 1/2로 절단하여 2개로 분리시키는 사춤재 1/2 절단단계와; 상기 가로바와 세로바의 일측 내부로 사춤재를 삽입한 후 타측 내부로 사춤재를 삽입하는 사춤재 삽입단계와; 사춤재가 완전히 삽입되었는지 확인하고 남은 길이는 절단하는 사춤마무리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창호용 사춤재, 사춤재가 삽입된 창호 및 이의 사춤방법에 따르면 사춤재가 압축 EPS에 기포몰탈을 코팅한 것이므로 중량감을 일반 습식사춤보다 약 70% 감소시킨 경량이고, 절단성 및 가공성이 간편하며 건식작업이 가능하여 취부가 용이하고, 창틀 프레임에 사춤재를 삽입하여 단열, 차음, 방화, 결로방지 및 수밀성 충족할 수 있는 창호를 제공할 수 있어 창호 제작비 및 창호 설치비가 저렴하다.

Description

창호용 사춤재, 사춤재가 삽입된 창호 및 이의 사춤방법{Pointing Material for Windows and Doors, Windows and Doors Used Pointing Material and Poin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창호용 사춤재, 사춤재가 삽입된 창호 및 이의 사춤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 현장에서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開口部)에 설치되는 각종의 창이나 문인 창호를 만드는 창호틀에서 마감 후 내부에 생기는 공간을 메워 누수, 단열, 방음, 방습, 방화, 방진, 결로 등 하자 방지하는 사춤재와 사춤재가 삽입된 창호 및 이의 사춤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서 부재와 부재 사이에 접합부위는 틈이 생기게 마련이며, 나아가 구조체의 개구부에 창호틀이나 각종 파이프를 설치하는 경우 구조체와 창호틀 또는 구조체와 파이프 사이에 틈이 생기게 된다.
건축 현장에서 건축재료 마감 후 내부에 생기는 공간을 메우는 공정을 일반적으로 사춤이라 하며, 누수, 단열, 방음, 방습, 방화, 방진, 결로 등 하자 방지를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건물 내부의 공기순환과 적절한 조명을 위하여 창호를 설치하고 있으며 창호의 개폐구조는 여닫이 형태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창호의 종류로서 목재 창호의 경우 단순히 바람막이용으로만 사용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목재의 단조로운 제작으로 인해 방음이나 보온기능에 별다른 효과를 얻지 못하였다.
또한, 알루미늄 창호의 경우에는 내구성과 강도가 우수하고, 창호의 색상 및 형태를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재질 특성에 따른 높은 열전도 효율로 인하여 내열기능이 낮으며 조립시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상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목재와 알루미늄이 복합된 복합 창호가 개발되었고, 이는 알루미늄 프레임에 공기실을 형성하여 겨울철 외기에 의한 결로수 발생을 줄이며, 창문의 유리를 고정시키는 목재를 쉽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조립구조를 개선한 목재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복합 창호가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복합 창호는 목재의 변형 및 미세한 건물 지각변동에 의해 외부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이로 인한 외기와 내기의 마찰로 결로가 생겨 창호의 변형이 심해지고 실내의 열 손실이 크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유리창에서 생겨난 결로는 창 하부로 흐르게 되어 목재의 유리 고정대 부위에 맺혀 목재를 섞게 하고, 이에 따라 상기 목재 창호의 외적 미관을 훼손할 뿐만 아니라 그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는 등의 제반 문제점이 있었다.
창틀사춤이란 다양한 형재의 창틀 구조물 안쪽을 메우는 작업공정으로 마감후 균열방지, 방수, 방습, 차음 단열, 결로방지등 2차 하자 방지를 위해 꼭 필요한 작업공정이다.
기존 사춤 공법 및 종류는 아래와 같다.
1. 몰탈사춤은 시멘트, 모래 배합하여 공간메움을 하는 것이다.
2. 단열몰탈사춤은 시멘트, 모래, EPS(스치로폼 알갱이) 배합하여 공간메움을 하는 것이다.
3. 암면사춤은 암면을 적당한 규격으로 잘라 공간메움을 하는 것이다.
4. 기타사춤은 유리섬유나 신문지 등으로 적당히 단순하게 공간메움을 하는 것이다.
창틀사춤 작업 방식은 아래와 같다.
1. 습식 작업 방식은 몰탈사춤, 단열몰탈사춤에 적용된다.
2. 건식 작업 방식은 암면사춤, 기타사춤에 적용된다.
※ 현재 대부분 일선 건축 현장에서는 습식사춤 작업 방식을 고수하며, 특히 단열 몰탈사춤 작업 방식을 선호한다.
비능율적인 습식 작업 방식을 고수하는 이유는 하자방지를 충족하는 건축 재료가 아직 없기 때문에 타성과 답습으로 고수한다.
몰탈사춤과 단열 몰탈사춤에 적용되는 습식 작업 방식은 넓은 공간 확보(창틀적재, 작업공간, 양생공간)이 필요하고, 대형 믹싱용기로 시멘트, 모래, 물을 배합하여 형재의 공간에 수작업으로 충진하여 24시간 양생 과정을 거치며 시공 장소로 운반하여 지정된 곳에 창틀을 취부하는데 양생된 몰탈의 중량감으로 소운반 및 취부 작업에 힘들며, 사춤작업 또한 수작업이라 많은 인력, 많은 시간이 소요 되므로 비능률적, 비효율적이며 몰탈의 수작업 공정이라 작업자들의 기피공정이다.
암면사춤과 기타사춤에 적용되는 건식 작업 방식은 번거롭고 기피하는 습식 작업공정을 피해 건식작업으로 다소 능률적으로 작업 진행은 되나, 자재 선정의 한계로 법적 요구 조건을(압면강도, 입면강도, 차음, 결로방지, 방화 등) 충족치 못하여 2차 하자 우려가 있으므로 별로 사용하지 않는 작업방식으로, 사춤의 개념이 안착되기 전의 방식으로 사춤의 기능과 효율을 무시한 단순히 공간 메우기 작업공정이다.
하지만 사춤의 기능을 이해하고 품질 좋은 자재를 찾고 하자방지 요구 조건 기준을 충족하는 기능성 자재 개발이 된다면 기존의 습식방식(몰탈사춤)의 번거롭고 힘들고 고비용 저효율의 구도를 획기적으로 대체할 방식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우수한 사춤공법으로 현장발포공법이 있다. 현장발포공법은 현장에서 액상 발포제를 발포하여 부피를 팽창시킴으로써 틈을 채우는 방식이다.
액상 발포제는 석유화학 계열인 2종류의 화학제품 A&B액으로 구성되며, 이와 같은 2종류의 화학제품을 반응시키면 부풀어지면서 경화되어 기포폼을 형성하게 된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화학제품으로는 폴리우레탄 계열의 발포제(A: 이소시아네이트, B: 폴리올)가 있다. 이와같은 현장발포공법은 구체적인 방법에 따라 다시 1액형 발포제를 이용하는 공법과 2액형 발포제를 이용하는 공법으로 나눌 수 있다.
1액형 발포제는 A&B액을 한 캔 안에 넣어 가반응을 시켜놓고 습기를 만나면 발포하게 되는 습기경화형 제품으로, 공기 중의 습기를 만나 경화하게 된다. 이러한 1액형 발포제는 사용상의 편의성이 있지만, 발포속도가 늦어 수직부 시공이 어려우며 발포된 폼의 셀이 엉성하게 형성되어 기밀성이 저하되는 등 적용상 및 성능상 문제를 갖는다.
또한, 1액형 발포제는 습기경화형 제품이므로 먼저 반응이 일어나는 표면에서부터 천천히 발포가 진행되면서 경화가 이루어지므로, 표면 발포가 끝나고 나서야 진행되는 내부 발포가 비이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문제를 가진다.
이와 같은 1액형 발포제의 문제를 해결한 것이 2액형 발포제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2액형 발포제는 완전 분리한 상태에 있는 A&B액을 현장시공에서 혼합 반응시켜 뿜칠하여 사용하게 되며, 이와 같은 2액형 발포제는 현장 적용성과 품질 면에서 1액형 발포제가 갖는 문제를 모두 해결한다.
하지만, 시공성 면에서는 1액형 발포제에 비하여 현저히 떨어진다는 단점을 가진다.
그 이유는 대형의 원료드럼, 혼합 및 발포장비, 동력장비(에어콤프레샤, 전기 등) 등의 장비를 현장으로 이송해야 한다.
이러한 장비의 이송이 어렵기 때문에 운송비가 많이 들고 현장에서 많은 작업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시공시에는 반드시 보양을 해야 하는 불편을 가지게 된다.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288815 (등록일자 : 2013년 07월 17일) 사춤재, 창호 및 사춤방법 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325925 (등록일자 : 2013년 10월 31일) 사춤재가 구비된 창호틀 3.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0773154 (등록일자 : 2007년 10월 29일) 결로처리수단을 갖는 창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창틀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내부 공간을 채우고 경량이며 내열성과 내화성이 있는 사춤재와, 사춤재가 삽입된 창호를 제공하여 창틀 부분의 차음 단열, 결로방지를 할 수 있고, 습식사춤의 번거러움이나 어려움 없이 건식으로 창틀 시공장소에서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는 사춤방법을 제공하는 함에 있다.
본 발명의 사춤재는 창호를 이루는 다양한 형재(形材)의 창틀 프레임 내부에 삽입되어 방화, 방습, 차음, 단열 및 결로방지를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창틀 프레임은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부재인 가로바와, 상기 가로바와 결합되며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부재인 세로바로 구성된다.
상기 사춤재는 다량의 공기층으로 구성되어 단열성, 완충성, 방수성 및 방음성을 가지며, 상기 가로바 또는 세로바의 단면이 이루는 형태에 대응하여 내측에 삽입할 수 있도록 단면이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형, 사다리형, 마름모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지고, 상기 가로바 또는 세로바의 길이에 따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는 바(Bar) 형상인 내피부와; 상기 내피부에 코팅되어 상기 내피부의 외부면을 일정 두께로 감싸며, 재질이 서로 상이한 상기 내피부와의 코팅 결합 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연질성과 기포성을 가지며, 상기 내피부의 내화성과 내열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내화성과 내열성을 갖는 재질로 된 외피부로 구성된다.
상기 내피부는 경량성과 단열성을 확보하기 위해 열가소성수지인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이 포함된 내피부 조성물을 발포해서 만든 압축 EPS(Expandable Polystyrene)이며, 상기 외피부는 시멘트와 모래 및 기포액을 포함하여 조성되는 외피부 조성물로 제조된 연질 기포모르타르이다.
상기 압축 EPS는 밀도가 30kg/m2 이상이며, 열전도율 0.027 w/mk 이하이고, 굴곡하중 25N 이상이며, 압축강도 30N/m2 이상이고, 투습계수는 164Ng/M2 이하이며, 연소성은 3초 이내에 불꽃이 꺼져서 찌끼가 없고 연소 한계선을 초과하여 연소하지 않는 것이다.
상기 내피부 조성물은 발포폴리스티렌(EPS: expanded polystyrene) 입자 100중량부에 대하여 난연성을 위해 이산화규소(SiO2) 1~10 중량부와, 산화알루미늄(Al2O3) 0.05~1.0 중량부와, 산화철(Fe2O3) 0.05~1.0 중량부 및 산화칼슘(CaO) 0.08~0.1중량부가 포함되어 조성된다.
상기 외피부 조성물은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모래 300~400 중량부와, 물 60~95 중량부와, 기포액 2~3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된다.
상기 기포액은 지방산 알콜 50~60 중량%와, 수산화알루미늄 4~8 중량%와, 황산알루미늄 15~25 중량%와, 폴리비닐알콜 2~3 중량%와, 코코넛오일 10~15 중량%와, 포름알데히드 0.5~2 중량%와, 폴리에틸렌글리콜 1~2 중량%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창호는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해 창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창틀 프레임과, 상기 창틀 프레임 내부에 삽입되어 방화, 방습, 차음, 단열 및 결로방지를 하는 사춤재를 포함하는 된다.
상기 사춤방법은 상기 가로바와 세로바의 단면을 확인하여 필요 사춤재의 종류를 선택하는 사춤재 선택단계와; 상기 가로바와 세로바의 길이에 따른 사춤재 종류별로 각각 필요한 길이를 계산하여 종류별로 일정 길이를 준비하는 사춤재 준비단계와; 각각 모양의 사춤재를 상기 가로바와 세로바의 종류별 길이별로 절단하여 사춤재를 재단하는 사춤재 재단단계와; 상기 가로바와 세로바의 길이에 따라 재단된 사춤재를 상기 가로바와 세로바의 내부로 삽입하기 쉽게 1/2로 절단하여 2개로 분리시키는 사춤재 1/2 절단단계와; 상기 가로바와 세로바의 일측 내부로 사춤재를 삽입한 후 타측 내부로 사춤재를 삽입하는 사춤재 삽입단계와; 사춤재가 완전히 삽입되었는지 확인하고 남은 길이는 절단하는 사춤마무리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사춤재 삽입단계는 병렬로 3가지 이상의 사춤재가 삽입될 때 상기 가로바와 세로바의 사이드 부분을 먼저 삽입한 후 사이드 부분의 사춤재 사이로 중앙부분의 사춤재를 삽입한다.
상술한 사춤재, 사춤재가 삽입된 창호 및 이의 사춤방법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창호용 사춤재, 사춤재가 삽입된 창호 및 이의 사춤방법에 따르면 사춤재가 압축 EPS에 기포몰탈을 코팅한 것이므로 중량감을 일반 습식사춤보다 약 70% 감소시킨 경량이고, 절단성 및 가공성이 간편하며 건식작업이 가능하여 취부가 용이하고, 창틀 프레임에 사춤재를 삽입하여 단열, 차음, 방화, 결로방지 및 수밀성 충족할 수 있는 창호를 제공할 수 있어 창호 제작비 및 창호 설치비가 저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형상의 사춤재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형상의 사춤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춤재를 다양한 창틀 프레임에 설치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춤재가 설치될 창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사춤재가 삽입되지 않은 창호의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사춤재가 삽입된 창호의 단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창틀 프레임 및 사춤재가 삽입된 창틀 프레임 예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사춤재 사춤방법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사춤재 사춤방법 순서 예시도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사춤재, 사춤재가 삽입된 창호 및 이의 사춤방법"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사춤재, 사춤재가 삽입된 창호 및 이의 사춤방법"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의 실시 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형상의 사춤재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형상의 사춤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사춤재를 다양한 창틀 프레임에 설치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사춤재가 설치될 창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사춤재가 삽입되지 않은 창호의 단면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사춤재가 삽입된 창호의 단면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창틀 프레임 및 사춤재가 삽입된 창틀 프레임 예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사춤재 사춤방법 순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사춤재 사춤방법 순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사춤재(2)는 창호(A)를 이루는 다양한 형재(形材)의 창틀 프레임(1) 내부에 삽입되어 방화, 방습, 차음, 단열 및 결로방지를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창틀 프레임(1)은 도 4와 같이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부재인 가로바(11)와, 상기 가로바(11)와 결합되며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부재인 세로바(12)로 구성된다.
상기 사춤재(2)는 다량의 공기층으로 구성되어 단열성, 완충성, 방수성 및 방음성을 가지며, 상기 가로바(11) 또는 세로바(12)의 단면이 이루는 형태에 대응하여 내측에 삽입할 수 있도록 단면이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형, 사다리형, 마름모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지고, 상기 가로바(11) 또는 세로바(12)의 길이에 따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는 바(Bar) 형상인 내피부(21)와; 상기 내피부(21)에 코팅되어 상기 내피부(21)의 외부면을 일정 두께로 감싸며, 재질이 서로 상이한 상기 내피부(21)와의 코팅 결합 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연질성과 기포성을 가지고, 상기 내피부(21)의 내화성과 내열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내화성과 내열성을 갖는 재질로 된 외피부(22)로 구성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사춤재는 상기 가로바(11) 또는 세로바(12)의 단면이 이루는 형태에 대응하여 내측에 삽입할 수 있도록 단면이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형, 사다리형, 마름모형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를 가지며, 상기 가로바(11) 또는 세로바(12)의 단면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하여 상기 가로바(11) 또는 세로바(12)가 형성하는 공간을 채워 방화, 방습, 차음, 단열 및 결로방지를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내피부(21)은 다량의 공기층으로 구성되어 단열성, 완충성, 방수성 및 방음성을 가지며, 상기 가로바(11) 또는 세로바(12)의 단면이 이루는 형태에 대응하여 내측에 삽입할 수 있도록 단면이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형, 사다리형, 마름모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지고, 상기 가로바(11) 또는 세로바(12)의 길이에 따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는 바(Bar) 형상으로, 상기 내피부(21)는 경량성과 단열성을 확보하기 위해 열가소성수지인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이 포함된 내피부 조성물을 발포해서 만든 압축 EPS(Expandable Polystyrene)이다.
상기 내피부 조성물은 발포폴리스티렌(EPS: expanded polystyrene) 입자 100중량부에 대하여 난연성을 위해 이산화규소(SiO2) 1~10 중량부와, 산화알루미늄(Al2O3) 0.05~1.0 중량부와, 산화철(Fe2O3) 0.05~1.0 중량부 및 산화칼슘(CaO) 0.08~0.1중량부가 포함되어 조성된다.
상기 압축 EPS는 밀도가 30kg/m2 이상이며, 열전도율 0.027 w/mk 이하이고, 굴곡하중 25N 이상이며, 압축강도 30N/m2 이상이고, 투습계수는 164Ng/M2 이하이며, 연소성은 3초 이내에 불꽃이 꺼져서 찌끼가 없고 연소 한계선을 초과하여 연소하지 않아야 한다.
상기 외피부(22)는 상기 내피부(21)에 코팅되어 상기 내피부(21)의 외부면을 일정 두께로 감싸며, 재질이 서로 상이한 상기 내피부(21)와의 코팅 결합 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연질성과 기포성을 가지고, 상기 내피부(21)의 내화성과 내열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내화성과 내열성을 갖는 재질이며, 시멘트와 모래 및 기포액을 포함하여 조성되는 외피부 조성물로 제조된 연질 기포모르타르이다.
상기 외피부 조성물은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모래 300~400 중량부와, 물 60~95 중량부와, 기포액 2~3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된다.
상기 기포액은 지방산 알콜 50~60 중량%와, 수산화알루미늄 4~8 중량%와, 황산알루미늄 15~25 중량%와, 폴리비닐알콜 2~3 중량%와, 코코넛오일 10~15 중량%와, 포름알데히드 0.5~2 중량%와, 폴리에틸렌글리콜 1~2 중량%로 조성된다.
상기 외피부(22)는 300~500kg/M3의 밀도와, 열전도율 0.07~0.3kcal/mh℃ 와, 압축강도 5~20kgf/cm2 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사춤재(2)는 상기 가로바(11) 또는 세로바(12)의 단면이 이루는 형태에 대응하여 내측에 삽입할 수 있도록 단면이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형, 사다리형, 마름모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지고, 상기 가로바(11) 또는 세로바(12)의 길이에 따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는 바(Bar) 형상이며, 외부면을 일정 두께로 감싸고, 상기 외피부(22)는 재질이 서로 상이한 상기 내피부(21)와의 코팅 결합 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연질성과 기포성을 가지고, 상기 내피부(21)의 내화성과 내열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내화성과 내열성을 갖는 재질이어야 한다.
도 3-1, 도 3-2, 도 3-3 및 도 3-6 에서 사춤재(2)의 내부에 표기된 숫자는 2종류 이상의 사춤재(2)를 조합하여 삽입할 시 삽입 순서를 나타낸 것으로, 사이드 부분의 사춤재(2)를 먼저 삽입하고 중앙부분의 사춤재(2)를 삽입하는 순서이며, 2종류의 사춤재(2)를 사용할 때는 폭이 넓은 사춤재(2)를 먼저 삽입하고 나중에 폭이 좁은 사춤재(2)를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2종류의 사춤재(2)를 사용할 때는 순서가 중요한 사항이 아니고 작업이 쉬운 순서로 작업하면 된다.
상기 사춤재(2)는 상기 가로바(11) 또는 세로바(12)의 단면이 이루는 형태에 대응하여 여러 가지 형상의 사춤재가 삽입되어 상기 가로바(11) 또는 세로바(12)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창호용 사춤재는 상기 사춤재(2)가 압축 EPS에 기포몰탈을 코팅한 것이므로 중량감을 일반 습식사춤보다 약 70% 감소시킨 경량이고, 절단성 및 가공성이 간편하며 건식작업이 가능하여 취부가 용이하고, 창틀 프레임에 사춤재를 삽입하여 단열, 차음, 방화, 결로방지 및 수밀성 충족할 수 있는 창호를 제공할 수 있어 창호 제작비 및 창호 설치비가 저렴하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사춤재가 삽입된 창호(A)는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해 창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창틀 프레임(1)과, 상기 창틀 프레임(1) 내부에 삽입되어 방화, 방습, 차음, 단열 및 결로방지를 하는 사춤재(2)와, 상기 창틀 프레임(1)의 내부에 삽입되는 윈도우 글라스(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창틀 프레임(1)은 도 4와 같이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부재인 가로바(11)와, 상기 가로바(11)와 결합되며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부재인 세로바(12)로 구성된다.
도 4의 창호(A)의 창틀 프레임(1)은 예시도이며, 다양한 종류의 창틀 프레임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창틀 프레임(1)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을 본 발명의 상기 사춤재(2)를 삽입하여 채워 방화, 방습, 차음, 단열 및 결로방지를 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창틀 프레임(1)에 본 발명의 상기 사춤재(2)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글라스(3)은 페어글라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춤재(2)는 다량의 공기층으로 구성되어 단열성, 완충성, 방수성 및 방음성을 가지며, 상기 가로바(11) 또는 세로바(12)의 단면이 이루는 형태에 대응하여 내측에 삽입할 수 있도록 단면이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형, 사다리형, 마름모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지고, 상기 가로바(11) 또는 세로바(12)의 길이에 따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는 바(Bar) 형상인 내피부(21)와; 상기 내피부(21)에 코팅되어 상기 내피부(21)의 외부면을 일정 두께로 감싸며, 재질이 서로 상이한 상기 내피부(21)와의 코팅 결합 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연질성과 기포성을 가지고, 상기 내피부(21)의 내화성과 내열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내화성과 내열성을 갖는 재질로 된 외피부(22)로 구성되며, 상세한 내용은 상술한 것과 동일하므로 본 발명의 창호(A)에서는 상술한 것을 적용한다.
도 5는 사춤재가 삽입되지 않은 창호의 단면도이며, 도 6은 상기 가로바(11)과 세로바(12)의 내부가 이루는 공간에 상기 사춤재(2)를 삽입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창틀 프레임(1) 및 사춤재(2)가 삽입된 상기 가로바(11)와 세로바(12)의 예시 사시도이며, 상기 가로바(11)와 세로바(12)는 용접으로 결합된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사춤재의 사춤방법은 상기 가로바(11)와 세로바(12)의 단면을 확인하여 필요 사춤재(2)의 종류를 선택하는 사춤재 선택단계와; 상기 가로바(11)와 세로바(12)의 길이에 따른 사춤재 종류별로 각각 필요한 길이를 계산하여 종류별로 일정 길이를 준비하는 사춤재 준비단계와; 각각 모양의 상기 사춤재(2)를 상기 가로바(11)와 세로바(12)의 종류별 길이별로 절단하여 사춤재(2)를 재단하는 사춤재 재단단계와; 상기 가로바(11)와 세로바(12)의 길이에 따라 재단된 사춤재(2)를 상기 가로바(11) 또는 세로바(12)의 내부로 삽입하기 쉽게 1/2로 절단하여 2개로 분리시키는 사춤재 1/2 절단단계와; 상기 가로바(11) 또는 세로바(12)의 일측 내부로 1/2로 절단된 사춤재(2)를 삽입한 후 타측 내부로 1/2로 절단된 사춤재(2)를 삽입하는 사춤재 삽입단계와; 사춤재(2)가 완전히 삽입되었는지 확인하고 남은 길이는 절단하는 사춤 마무리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사춤재 삽입단계는 병렬로 3가지 이상의 사춤재(2)가 삽입될 때 상기 가로바(11)와 세로바(12)의 사이드 부분에 상기 사춤재(2)를 먼저 삽입하는 사이드부분 사춤재 삽입단계와; 사이드 부분의 사춤재(2) 사이로 중앙부분의 사춤재(2)를 삽입하는 중앙부분 사춤재 삽입단계로 구성된다.
도 9는 사춤재의 삽입방법 및 삽입 순서를 표시하였고, 수직화살표는 수직이나 수평을 삽입 장착하는 것이고, 사선의 화살표는 비스듬히 각도를 주어 삽입하는 것을 표시한 것이며, 도 9의 오른쪽 도면에서와 같이 병렬로 3가지 이상의 사춤재(2)가 삽입될 때의 상기 사춤재 삽입단계는 상기 가로바(11)와 세로바(12)의 사이드 부분에 상기 사춤재(2)를 먼저 삽입하는 사이드부분 사춤재 삽입단계와; 사이드 부분의 사춤재(2) 사이로 중앙부분의 사춤재(2)를 삽입하는 중앙부분 사춤재 삽입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창호용 사춤재는 상기 사춤재(2)가 압축 EPS에 기포몰탈을 코팅한 것이므로 중량감을 일반 습식사춤보다 약 70% 감소시킨 경량이고, 절단성 및 가공성이 간편하며 건식작업이 가능하여 취부가 용이하고, 창틀 프레임에 사춤재를 삽입하여 단열, 차음, 방화, 결로방지 및 수밀성 충족할 수 있는 창호를 제공할 수 있어 창호 제작비 및 창호 설치비가 저렴하다.
A : 창호
1 : 창틀 프레임 11 : 가로바
12 : 세로바
2 : 사춤재 21 : 내피부
22 : 외피부
3 : 윈도우글라스(페어글라스)

Claims (6)

  1. 창호(A)를 이루는 형재(形材)의 창틀 프레임(1) 내부에 삽입되어 방화, 방습, 차음, 단열 및 결로방지를 하는 사춤재(2)에 있어서,
    상기 창틀 프레임(1)은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부재인 가로바(11)와, 상기 가로바(11)와 결합되며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부재인 세로바(12)로 구성되고,
    상기 사춤재(2)는 단열성, 완충성, 방수성 및 방음성을 가지며, 상기 가로바(11) 또는 세로바(12)의 단면이 이루는 형태에 대응하여 내측에 삽입할 수 있도록 단면이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형, 사다리형, 마름모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지고, 상기 가로바(11) 또는 세로바(12)의 길이에 따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는 바(Bar) 형상인 내피부(21)와;
    상기 내피부(21)에 코팅되어 상기 내피부(21)의 외부면을 일정 두께로 감싸며, 재질이 서로 상이한 상기 내피부(21)와의 코팅 결합 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연질성과 기포성을 가지고, 상기 내피부(21)의 내화성과 내열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내화성과 내열성을 갖는 재질로 된 외피부(22)로 구성되며,
    상기 내피부(21)는 경량성과 단열성을 확보하기 위해 열가소성수지인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이 포함된 내피부 조성물을 발포해서 만든 압축 EPS(Expandable Polystyrene)이며,
    상기 외피부(22)는 시멘트와 모래 및 기포액을 포함하여 조성되는 외피부 조성물로 제조된 연질 기포모르타르이고,
    상기 내피부 조성물은 발포폴리스티렌(EPS: expanded polystyrene) 입자 100중량부에 대하여 난연성을 위해 이산화규소(SiO2) 1~10 중량부와, 산화알루미늄(Al2O3) 0.05~1.0 중량부와, 산화철(Fe2O3) 0.05~1.0 중량부 및 산화칼슘(CaO) 0.08~0.1중량부가 포함되어 조성되고,
    상기 외피부 조성물은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모래 300~400 중량부와, 물 60~95 중량부와, 기포액 2~3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되며,
    상기 기포액은 지방산 알콜 50~60 중량%와, 수산화알루미늄 4~8 중량%와, 황산알루미늄 15~25 중량%와, 폴리비닐알콜 2~3 중량%와, 코코넛오일 10~15 중량%와, 포름알데히드 0.5~2 중량%와, 폴리에틸렌글리콜 1~2 중량%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사춤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EPS는 밀도가 30kg/m2 이상이며, 열전도율 0.027 w/mk 이하이고, 굴곡하중 25N 이상이며, 압축강도 30N/m2 이상이고, 투습계수는 164Ng/M2 이하이며, 연소성은 3초 이내에 불꽃이 꺼져서 찌끼가 없고 연소 한계선을 초과하여 연소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사춤재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015333A 2017-02-03 2017-02-03 창호용 사춤재, 사춤재가 삽입된 창호 및 이의 사춤방법 Active KR101846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333A KR101846119B1 (ko) 2017-02-03 2017-02-03 창호용 사춤재, 사춤재가 삽입된 창호 및 이의 사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333A KR101846119B1 (ko) 2017-02-03 2017-02-03 창호용 사춤재, 사춤재가 삽입된 창호 및 이의 사춤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6119B1 true KR101846119B1 (ko) 2018-04-05

Family

ID=61977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333A Active KR101846119B1 (ko) 2017-02-03 2017-02-03 창호용 사춤재, 사춤재가 삽입된 창호 및 이의 사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611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869Y1 (ko) * 2005-06-23 2005-09-06 김권식 창호틀
KR101325925B1 (ko) 2011-09-08 2013-11-11 임정환 사춤재가 구비된 창호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869Y1 (ko) * 2005-06-23 2005-09-06 김권식 창호틀
KR101325925B1 (ko) 2011-09-08 2013-11-11 임정환 사춤재가 구비된 창호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58889A (en) Prefabricated stud panel with foam insulation connector
US20050064145A1 (en) Composite building components
US7658990B2 (en) Super light weight ceramic panel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KR200415142Y1 (ko) 건축용 복합보드
CN107435385A (zh) 一种耐火轻质颗粒和聚氨酯填充的墙板及生产方法
Saver Types of insulation
KR101846119B1 (ko) 창호용 사춤재, 사춤재가 삽입된 창호 및 이의 사춤방법
US20170204655A1 (en) Prefabricated window sill
KR20110114342A (ko) 단열·경량콘크리트 건축자재 및 그 제조방법
CN107989253A (zh) 带保温隔热自由造型的预制混合结构墙板及其制造方法
JP2002242324A (ja) 建築物の湿式外断熱通気工法
JPH0243437A (ja) 軽量ブロック、軽量ブロック構築物および簡易建築物ならびに軽量ブロック構築物の構築方法
JPS6233378B2 (ko)
KR100682541B1 (ko) 무석면 섬유보강 칼슘실리케이트 시멘트보드 월패널 및이를 이용한 비내력벽체의 시공방법
JPS6153494B2 (ko)
RU24481U1 (ru) Ограждающая конструкция многоэтажного строения
KR102663513B1 (ko) 이동식 모듈유닛과 이를 이용한 이동식 건축물
GB2450994A (en) A structural insulated panel
US20050284100A1 (en) Wall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KR100803513B1 (ko) 초경량 세라믹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20072Y1 (ko) 건축용 조립식 방화 판넬
KR100639482B1 (ko) 단열 강화 보드를 이용한 주거용 건물의 발코니
KR200397738Y1 (ko) 단열 강화 보드를 이용한 주거용 건물의 발코니
KR102632267B1 (ko) 건축 패널용 난연성 복합 단열재의 제조방법
KR102811636B1 (ko) 노후 건축물의 화재확산방지구조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3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3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3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