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45672B1 - 자전거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672B1
KR101845672B1 KR1020170107915A KR20170107915A KR101845672B1 KR 101845672 B1 KR101845672 B1 KR 101845672B1 KR 1020170107915 A KR1020170107915 A KR 1020170107915A KR 20170107915 A KR20170107915 A KR 20170107915A KR 101845672 B1 KR101845672 B1 KR 101845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icycle
lock
locking
ri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성
Original Assignee
김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성 filed Critical 김민성
Priority to KR1020170107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6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67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5/14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preventing wheel rotation
    • B62H5/141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preventing wheel rotation by means of sliding 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판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자전거 휠의 테두리를 이루는 림; 양측이 두 포크에 고정되고, 양측에 림의 통공과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는 제1·2관통홀이 각각 형성된 잠금몸체; 및 주행시에는 잠금몸체의 제1관통홀에 지지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휠 잠금시에는 노출부위를 밀어 일측(좌측단)이 잠금몸체의 제1관통홀에 지지된채 타측(우측단)이 림의 통공을 가로질러 잠금몸체의 제2관통홀에 삽입 걸림될 수 있는 잠금바;를 포함하는 자전거용 잠금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자전거 포크에 일체로 설치되어 번거롭게 휴대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락 또는 언락)이 쉽고 간편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전거용 잠금장치 {Locking device for bicycles}
본 발명은, 자전거 휠의 회전을 방지하여 자전거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자전거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자전거는, 녹색성장이 가능한 친환경적인 이동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즉, 21세기 사회의 주된 문제인 비만과 부족한 운동량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교통수단으로 교통비 절감의 효과까지 있어 더욱 이용자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러한 자전거는, 무게가 가볍고 크기도 작으며, 실내에 보관할 공간이 마땅치 않아 주로 실외에 보관하게 함에 따라 도난사고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자전거용 잠금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예로, 특허문헌1에 개시된 종래의 자전거용 잠금장치는, 운행 중 가방 등에 수납 또는 자전거에 거치된 상태로 휴대하며, 필요시 휠에 장착되어 도난을 방지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자전거용 잠금장치는, 휴대가 번거롭고 사용(락 또는 언락)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08648호, (공고일자: 2012년 01월 31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휴대 또는 자전거에 거치할 필요없이 자전거에 일체로 설치되어 휴대성 및 사용성이 개선된 자전거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전거용 잠금장치는, 판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자전거 휠의 테두리를 이루는 림; 양측이 두 포크에 고정되고, 양측에 림의 통공과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는 제1·2관통홀이 각각 형성된 잠금몸체; 및 주행시에는 잠금몸체의 제1관통홀에 지지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휠 잠금시에는 노출부위를 밀어 일측(좌측단)이 잠금몸체의 제1관통홀에 지지된채 타측(우측단)이 림의 통공을 가로질러 잠금몸체의 제2관통홀에 삽입 걸림될 수 있는 잠금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잠금몸체는, 양측이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잠금바는, 다중 관절 형상으로 형성되어 접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잠금몸체의 제2관통홀에 삽입 고정되며, 잠금바의 타측을 구속시킬 수 있도록 열쇠에 의해 회전 가능한 키홀이 형성된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잠금장치에 의하면, 자전거 포크에 일체로 설치되어 번거롭게 휴대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락 또는 언락)이 쉽고 간편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자전거용 잠금장치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우측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좌측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잠금장치의 작용(휠 잠금)을 보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잠금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잠금장치는, 림(10, Rim); 잠금몸체(20); 잠금바(30); 및 잠금수단(4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림(10)은, 허브(H)와 연결되는 링 형상으로서 그 판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10a)이 형성되어 자전거 휠(W)의 테두리를 이루며, 그 외측으로 고무 재질의 전륜 타이어(T)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통공(10a)은, 잠금바(30)가 쉽게 드나들 수 있도록 장홀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도 1의 자전거용 잠금장치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잠금몸체(20)는, 양측이 두 포크(F)에 고정되고, 양측에 림(10)의 통공(10a)과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는 제1·2관통홀(20a)(20b)이 각각 형성된다.
잠금몸체(20)는, '∩' 형상으로 두 포크(F)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쇼바(S)가 설치될 경우 본 발명의 잠금몸체(20)는, 쇼바(S)에 일체로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잠금몸체(20)의 형상은, U자 형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그 양측이 잠금바(30)와 잠금수단(40)을 각각 지지할 수 있으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잠금바(30)는, 일직선의 원형 봉 형상으로 사용자가 잡고 수평 방향으로 전후진 시켜서 락 혹은 언락 작동을 구현하게 되는바, 주행시에는 잠금몸체(20)의 제1관통홀(20a)에 지지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휠(W) 잠금시에는 일측(좌측단)이 잠금몸체(20)의 제1관통홀(20a)에 지지되어 타측(우측단)이 림(10)의 통공(10a)을 가로질러 잠금몸체(20)의 제2관통홀(20b)에 삽입 걸림될 수 있도록 하여 자전거의 도난을 방지하게 된다.
잠금바(30)는, 연결핀(도시 생략)을 이용한 다중 관절 형상으로 형성되어 주행간에 신체와 간섭되지 않게 수직(포크(F)와 나란한 방향)으로 접을 수 있다. 또한, 잠금바(30)는, 일직선의 원형 봉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단면을 가질 수 있는 타원형,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도 2의 우측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좌측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잠금수단(40)은, 잠금몸체(20)의 제2관통홀(20b)에 삽입 고정되며, 잠금바(30)의 타측을 구속시킬 수 있도록 열쇠(K)에 의해 회전 가능한 키홀(40a)이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잠금장치의 작용(휠 잠금)을 보인 정면도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자전거용 잠금장치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이에 앞서, 도 1 내지 도 4는 주행 시의 자전거용 잠금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주행 시에는 잠금바(30)가 잠금몸체(20)의 제1관통홀(20a)에 지지되어 외부(좌측방향)로 노출된 상태이므로 휠(W)의 회전이 간섭되지 않는다.
이때, 주행을 멈추고 휠(W)을 잠금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휠(W)을 회전시켜서 림(10)의 통공(10a)을 잠금몸체(20)의 제1·2관통홀(20a)(20b)들과 일직선 상에 배치시킨다.
그런 다음, 잠금바(30)의 일측 노출부위를 잡고 림(10)을 향해 밀어 넣어 잠금바(30)의 타측을 림(10)의 통공(10a)을 통과시킨 후 잠금몸체(20)의 제2관통홀(20b)에 삽입시킨다.
이때, 잠금몸체(20)의 제2관통홀(20b)에 삽입된 잠금바(30)의 타측을 끝까지 밀어넣어 딸깍 소리가 나면, 잠금수단(40)에 의한 잠금바(30)의 구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반대로 주행을 위해서는 열쇠(K)를 키홀(40a)에 삽입하여 잠금수단(40)을 회전시켜서 잠금바(30)의 구속을 해제시킨 후, 잠금바(30)를 잡아당겨서 도 2와 같이 외부(좌측방향)로 노출시킴으로써 휠(W)의 회전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자전거용 잠금장치에 의하면, 자전거 포크에 일체로 설치되어 번거롭게 휴대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락 또는 언락)이 쉽고 간편한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림 10a: 통공
20: 잠금몸체 20a: 제1관통홀
20b: 제2관통홀 30: 잠금바
40: 잠금수단 40a: 키홀
F: 포크 H: 허브
K: 열쇠 S: 쇼바
T: 타이어 W: 휠

Claims (4)

  1. 판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자전거 휠의 테두리를 이루는 림;
    양측이 두 포크에 고정되고, 양측에 상기 림의 통공과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는 제1·2관통홀이 각각 형성된 잠금몸체; 및
    주행시에는 상기 잠금몸체의 제1관통홀에 지지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휠 잠금시에는 노출부위를 밀어 일측(좌측단)이 상기 잠금몸체의 제1관통홀에 지지된채 타측(우측단)이 상기 림의 통공을 가로질러 상기 잠금몸체의 제2관통홀에 삽입 걸림될 수 있는 잠금바;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몸체는, '∩' 형상으로 상기 두 포크에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잠금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바는,
    다중 관절 형상으로 형성되어 접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잠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몸체의 제2관통홀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잠금바의 타측을 구속시킬 수 있도록 열쇠에 의해 회전 가능한 키홀이 형성된 잠금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잠금장치.
KR1020170107915A 2017-08-25 2017-08-25 자전거용 잠금장치 Active KR101845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915A KR101845672B1 (ko) 2017-08-25 2017-08-25 자전거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915A KR101845672B1 (ko) 2017-08-25 2017-08-25 자전거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5672B1 true KR101845672B1 (ko) 2018-04-04

Family

ID=61975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915A Active KR101845672B1 (ko) 2017-08-25 2017-08-25 자전거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6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8913A (ko) 2021-04-06 2022-10-14 (주)위넥트 개인이동수단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712B1 (ko) * 2009-12-01 2010-06-11 광주광역시 남구 원 핸드 자전거용 잠금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712B1 (ko) * 2009-12-01 2010-06-11 광주광역시 남구 원 핸드 자전거용 잠금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8913A (ko) 2021-04-06 2022-10-14 (주)위넥트 개인이동수단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6419B1 (ko) 잠금 기능을 갖는 자전거 브레이크 장치
US3910081A (en) Locking means for bicycles and the like
US8904831B2 (en) Locking arrangements
WO2015161365A1 (en) Scooter with integral lock
US8196945B2 (en) Bicycle pedal with integrated cable lock
GB2039840A (en) Vehicle Anti-theft Device
KR20170000735U (ko) 체인 로크
US20120318028A1 (en) Bipod lock
KR101845672B1 (ko) 자전거용 잠금장치
US6076381A (en) Bicycle locking system
KR100999649B1 (ko) 접이형 자전거
CN108100085A (zh) 一种自行车脚撑锁
US8752407B2 (en) Cable lock
CN204548296U (zh) 车用插孔式自动寻位前轮定向锁及其定位件
KR101287623B1 (ko) 잠금기능을 구비한 자전거 페달장치
US6880375B1 (en) Wheel lock device
KR101503477B1 (ko) 자전거 잠금장치
KR101290345B1 (ko) 잠금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기둥
JP3199471U (ja) 多種連結施錠可能な自転車用錠
CN207999146U (zh) 一种可折叠拉伸的车锁
CN102991454B (zh) 直插式汽车踏板锁
CN104802884B (zh) 一种具有防盗功能的自行车龙头
CN204623522U (zh) 一种折叠购物车的车轮翻转与锁定机构
US2464683A (en) Cycle lock
CN204548297U (zh) 车用前轮定向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2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0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3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3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