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45063B1 - Folding sport shoes easy to wear - Google Patents

Folding sport shoes easy to we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063B1
KR101845063B1 KR1020170105508A KR20170105508A KR101845063B1 KR 101845063 B1 KR101845063 B1 KR 101845063B1 KR 1020170105508 A KR1020170105508 A KR 1020170105508A KR 20170105508 A KR20170105508 A KR 20170105508A KR 101845063 B1 KR101845063 B1 KR 101845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midsole
user
adhered
b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5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류광록
Original Assignee
류광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광록 filed Critical 류광록
Priority to KR1020170105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06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063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1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with a part of the sole being flexible, e.g. permitting articulation or tors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43B3/248Collapsible, e.g. foldable for travell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1/00Footwear with arrangements to facilitate putting-on or removing, e.g. with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95Pieced upp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08Combined fastenings, e.g. to accelerate undoing or fastening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이 용이한 접이식 운동화에 관한 것으로, 지면과 닿을 수 있는 중창부; 상기 중창부 상부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발이 안착될 수 있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에 안착된 사용자의 발을 덮을 수 있고, 상기 중창부로부터 상향 연장되며, 사용자의 발을 삽입할 수 있는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창부는, 제1중창부와, 상기 제1중창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중창부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제2중창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1중창부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제1덮개부와, 상기 제2중창부로부터 상향 연장되며, 상기 제1덮개부와 절단되어 분리되어 있는 제2덮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부는, 상기 제1중창부 상부에 접착고정되어 있는 접착부와, 상기 제2중창부 상부에서, 상기 제2중창부 상부와 접착되지 않고 분리되어 있는 비접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비접착부 하면에는, 상기 비접착부 하면에서부터 돌출되는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진 막대부와, 상기 막대부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고정막대가 마련되며, 상기 제2중창부 내부에는, 상기 고정막대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과, 상기 고정막대의 상기 걸림부가 걸릴 수 있는 고정지지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sneaker which is easy to wear, A bottom portion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iddle portion and capable of receiving a user's foot; And a lid part covering the foot of the user seated on the bottom part and extending upward from the middle part and provided with an opening through which a user's foot can be inserted, the middle part including a first middle part and a second middle part, And a second middle portion hinged to the first middle portion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middle portion, the lid portion including a first lid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first middle portion and a second lid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first middle portion, And a second lid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middle lid and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lid portion and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lid portion. The bottom portion includes a bonding portion adhered and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middle portion, And a non-adhesive portion separat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middle portion without being adher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non-adhesive portion,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astening bar can be inserted and a fastening support for fastening the fastening part of the fastening bar are provided inside the second fastening part It is characterized by.

Description

착용이 용이한 접이식 운동화 {Folding sport shoes easy to wear}{Folding sport shoes easy to wear}

본 발명은 착용이 용이한 접이식 운동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동화를 두 부분으로 분리하여 힌지를 통해 결합시키고, 일 부분의 운동화를 힌지를 통하여 회전시킴에 따라 사용자의 발을 용이하게 착용시킬 수 있는 착용이 용이한 접이식 운동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sneaker which is easy to wear, more specifically, a sneaker is divided into two parts and coupled through a hinge, and a sneaker of one part is rotated through a hinge to easily wear a user's foo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sneaker which can be easily worn.

일반적으로 운동화를 신을 때 사용자는 운동화 끈을 풀고 신발을 신게 되며, 신발을 착용한 후 운동화 끈을 다시 묶게 된다. 구두와 같은 경우도 사용자의 발이 잘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구두 주걱을 사용하여 구두를 착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운동화 또는 구두 등의 신발은 신발 끈을 묶고 풀거나 구두 주걱을 사용해야 하는 등 착용에 번거로움이 있었다. In general, when wearing a sneaker, the user loosens the sneaker strap and wears the shoes. After wearing the shoes, the sneaker strap is re-tied. In the case of a shoe, the shoe is worn using a shoe shoe because the user's foot does not fit easily. As described above, conventional shoes such as running shoes or shoes have been troublesome to wear and tie a shoelace and to use a shoehorn.

특히, 종래의 신발은 신발 착용에 있어서 허리를 구부려야 하며, 손을 사용하지 않고 착용하기가 쉽지 않았다. 이에 허리가 안 좋은 사용자는 신발 착용이 불편한 점이 있었으며, 신발을 착용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particular, the conventional shoes have to bend their waist in wearing shoes, and it is not easy to wear them without using their hands. Therefore, a wearer who has a bad back is inconvenient to wear shoes and takes a long time to wear shoes.

한국공개특허 공보 제10-2011-0083188호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신발을 제공한다. 한국공개특허 공보 제10-2011-0083188호의 신발은 "신발 뒤꿈치 개방을 이용한 작동착화신발"에 관한 것으로, 발뒤꿈치 갑피가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신발은 쉽게 착용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신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1-0083188 provides a shoe for solving such a problem.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1-0083188 discloses a shoe for an active ignition boot using a shoe heel. The shoe is rotatable so that the shoe can be easily worn by the user. However, such shoe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이와 같은 신발은 사용자의 발이 신발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운동화끈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발뒤꿈치 갑피의 회동을 느슨하게 하면 사용자의 발이 신발에서 이탈할 위험성이 있다. 반대로, 발뒤꿈치 갑피의 회동을 조이게 되면, 사용자의 발뒤꿈치에 물집이 생길 수 있는 등 사용자의 신발 사용에 불편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Such a shoe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ecessary to use a motion hot spring so that the user's foot does not deviate from the shoe. Also, loosening the rotation of the heel upper may put the user's foot away from the shoe. On the contrary, if the heel upper is pivoted, blisters may be formed on the user's heel, which may cause inconvenience to the user's use of the sho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동화를 두 부분으로 분리하여 힌지를 통해 결합시키고, 일 부분의 운동화를 힌지를 통하여 회전시킴에 따라 사용자의 발을 용이하게 착용시킬 수 있는 착용이 용이한 접이식 운동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sepie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sneaker which can be easily worn.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착용이 용이한 접이식 운동화는, 지면과 닿을 수 있는 중창부; 상기 중창부 상부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발이 안착될 수 있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에 안착된 사용자의 발을 덮을 수 있고, 상기 중창부로부터 상향 연장되며, 사용자의 발을 삽입할 수 있는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창부는, 제1중창부와, 상기 제1중창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중창부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제2중창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1중창부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제1덮개부와, 상기 제2중창부로부터 상향 연장되며, 상기 제1덮개부와 절단되어 분리되어 있는 제2덮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부는, 상기 제1중창부 상부에 접착고정되어 있는 접착부와, 상기 제2중창부 상부에서, 상기 제2중창부 상부와 접착되지 않고 분리되어 있는 비접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비접착부 하면에는, 상기 비접착부 하면에서부터 돌출되는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진 막대부와, 상기 막대부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고정막대가 마련되며, 상기 제2중창부 내부에는, 상기 고정막대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과, 상기 고정막대의 상기 걸림부가 걸릴 수 있는 고정지지대가 마련되며, 사용자가 발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2중창부는 상기 제1중창부에 대하여 회전되어 있고, 상기 비접착부는 상기 제2중창부와 분리되어 돌출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돌출되어 있는 상기 비접착부를 밟으면서 상기 제2중창부를 회전시켜 사용자의 발을 착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0006]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ldable sneaker which can be easily worn, A bottom portion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iddle portion and capable of receiving a user's foot; And a lid part covering the foot of the user seated on the bottom part and extending upward from the middle part and provided with an opening through which a user's foot can be inserted, the middle part including a first middle part and a second middle part, And a second middle portion hinged to the first middle portion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middle portion, the lid portion including a first lid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first middle portion and a second lid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first middle portion, And a second lid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middle lid and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lid portion and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lid portion. The bottom portion includes a bonding portion adhered and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middle portion, And a non-adhesive portion separat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middle portion without being adher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non-adhesive portion,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astening bar can be inserted and a fastening support for fastening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fastening bar are provided inside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does not wear his or her foot, the second midsole portion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midsole portion, the non-adhered portion is protruded separately from the second midsole portion, So that the user can wear his or her feet by rotating the second midportion.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착용이 용이한 접이식 운동화의 상기 걸림부의 일단은, 상기 막대부의 측면에서부터 돌출되며, 상기 걸림부의 하면에서 상면을 향하여 상향 경사를 이루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부의 타단은, 상기 막대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걸림부 타단의 상, 하부에서 상기 막대부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1돌출부와, 상기 제1돌출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막대부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2돌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제2돌출부 보다 길게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부의 제2돌출부와 상기 막대부는 제1탄성체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걸림부는 상기 막대부 내부를 수평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지지대는, 상기 제2중창부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중창부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지지대의 타단은 상기 제2중창부의 측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고정지지대는 상기 제2중창부 내부를 수평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one end of the latching part of the foldable sneaker which is easy to 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trudes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rod part and has a shape inclining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atching part toward the upper surface, The other end of the rod is disposed inside the rod and has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other end of the rod toward the inside of the rod, and a second protrusion provided between the first protrusions, Wherein the first protrusion is protruded longer than the second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of the protrusion and the rod are coupled by the first elastic body so that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protrusion of the protrusion is horizontally moved Wherein the fixed support is provided inside the second midsole and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midsole, And the other end of the fixed support protrudes to the side of the second midportion, and the fixed support is horizontally movable in the second midportion.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착용이 용이한 접이식 운동화의 상기 고정지지대는, 상기 제2중창부 측면에서 돌출되는 누름부와, 상기 고정지지대의 상면에서 하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를 이루며 상기 고정막대의 상기 걸림부가 걸릴수 있는 잠금부와, 상기 고정막대의 상기 걸림부가 걸리지 않도록 방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방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중창부 상부와 상기 비접착부 하부 사이에는 토션 스프링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fixed support of the wearable folding sn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ushing part protruding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middle part; and a fixing part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support, And a discharge part having a discharge hole formed therein to prevent the latching part of the fixing rod from being caught. A torsion spring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middle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non-adhesive part, .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착용이 용이한 접이식 운동화의 상기 비접착부 밑면과, 상기 비접착부 밑면에 대응되는 상기 제2중창부 상부에는 자석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중창부와 상기 제2중창부 사이에는 절개홈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절개홈은 'ㅅ'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ㅅ' 형상의 경사면에는 자석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t is preferable that a magnet is provided on the underside of the non-adhesive portion of the foldable sneaker which is easy to wear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middl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ndersurface of the non-adhesive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t-off groove may be formed in a shape of 'g', and a magnet may be provided on the 'g' -shaped slop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착용이 용이한 접이식 운동화의 상기 제1덮개부와 상기 제2덮개부 측면에는 상기 제1덮개부와 상기 제2덮개부를 연결 시키는 결합장치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제1덮개부 측면에 마련되는 제1버클과, 상기 제2덮개부 측면에 마련되어 있는 제2버클과, 일단이 상기 제2덮개부 측면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제1버클 및 제2버클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일단에 마련되어 있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고정 띠로 이루어지며, 상지 제1덮개부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제1버클은, 상기 고정 띠의 일단과 수평방향으로 나란한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제2덮개부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제2버클은, 상기 고정 띠의 일단과 수직방향으로 나란한 방향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lid part and the second lid part side of the wearable folding sn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with a coupling device for connecting the first lid part and the second lid part to each other Wherein the engaging device comprises a first buckle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lid part, a second buckle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lid part, one end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lid part, And the first buckle provided on the upper first lid part is connected to the first buckle and the second buckl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buckle provided on the second lid part is loc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one end of the fixed band.

본 발명은 운동화를 두 부분으로 분리하여 힌지를 통해 결합시키고, 일 부분의 운동화를 힌지를 통하여 회전시킴에 따라 사용자의 발은 운동화에 용이하게 착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a user's foot can be easily worn on a sneaker as the sneaker is separated into two parts and coupled through a hinge and a sneaker of one part is rotated through a hinge.

또한, 본 발명은 접혀있는 운동화에 의하여 사용자의 발은 운동화에 쉽게 넣을 수 있으며, 신발 끈이나 구두주걱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운동화를 접어서 보관함에 따라 운동화의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user's feet can be easily put into sneakers by folding sneakers, and no shoelaces or shoe spatulas are used.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neakers can be easily stored according to the folded sneaker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중창부가 열려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중창부가 닫혀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막대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막대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지지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지지대의 탄성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2중창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고정띠가 제2버클과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고정띠가 제1버클과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midsole is ope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midsole is 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B is a sectional view of a fixing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fixed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elastic part of a fixed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top view of a second mid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that the fixing belt is engaged with the second buck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the fastening band coupled with the first buck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착용이 용이한 접이식 운동화에 관한 것으로, 운동화를 두 부분으로 분리하여 힌지를 통해 결합시키고, 일 부분의 운동화를 힌지를 통하여 회전시킴에 따라 사용자의 발을 용이하게 착용시킬 수 있는 착용이 용이한 접이식 운동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착용이 용이한 접이식 운동화는, 운동화로 서술하지만 운동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두, 샌들 등 다른 신발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sneaker which can be easily worn, and is composed of a sneaker divided into two parts and coupled through a hinge, and a part of sneakers rotated through a hinge, Easy folding sneakers. The foldable sneaker which is easy to 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a sneaker, but it is not limited to sneakers, and may be applied to other shoes such as shoes, sandals, and the like.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착용이 용이한 운동화는 중창부(110), 바닥부(120), 덮개부(130), 고정막대(140), 고정지지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후술할 제1중창부(111)에 힌지(113) 결합되어 있는 제2중창부(112)의 회전에 의해 사용자가 운동화를 용이하게 작용할 수 있는 것으로, 도 1은 상기 제2중창부(112)가 열려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상기 제2중창부(112)가 회전하여 닫혀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and 2, the wearable sn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ddle portion 110, a bottom portion 120, a lid portion 130, a fixing rod 140, and a fixing support 150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pplied to a sneaker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middle portion 112 coupled to the first middle portion 111 of the hinge 113,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middle portion 112 is rotated and closed. FIG.

상기 중창부(110)는 지면과 닿을 수 있는 부분으로 운동화의 밑창 부분을 나타낸다. 상기 중창부(110)는 상기 제1중창부(111)와 상기 제1중창부(1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중창부(111)에 힌지(113)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2중창부(1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중창부(112)는 상기 제1중창부(11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여 열려있는 상태 또는 닫혀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The middle portion 110 is a portion that can touch the ground and represents the sole portion of the running shoes. The middle section 110 includes the first middle section 111 and the second middle section 111 coupled to the first middle section 111 by a hinge 113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middle section 111. [ 112). The second middle portion 112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middle portion 111 and can be opened or closed.

상기 제1중창부(111)와 상기 제2중창부(112) 사이에는 절개홈(114)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중창부(112)는 상기 제1중창부(111)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는데, 상기 제2중창부(112)가 회전할 때 상기 제1중창부(111)와 간섭이 일어날 위험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중창부(111)와 상기 제2중창부(112)가 힌지(113) 결합되는 하부에 상기 절개홈(114)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 cutout groove 114 is formed between the first middle portion 111 and the second middle portion 112. The second midportion 112 may rotate relative to the first midpoint 111 and the risk of interference with the first midpoint 111 as the second midpoint 112 rotates have. In order to prevent this, it is preferable that the cutout groove 114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middle portions 111 and 112 are coupled to the hinge 113.

상기 절개홈(114)은 상기 제1중창부(111)와 상기 제2중창부(112)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ㅅ'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중창부(112)는 'ㅅ'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절개홈(114)을 우측 경사면을 따라 접힐 수 있고, 이를 통해 간섭을 피할 수 있다. 'ㅅ' 형상의 경사면 안쪽 양측면에는 자석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석은 상기 제2중창부(112)가 상기 제1중창부(111)에 대하여 회전되어 있는 열려있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자석은 상기 제2중창부(112)가 회전한 이후 열려있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힘을 제공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cutout groove 114 is formed in a 'g' shape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between the first middle portion 111 and the second middle portion 112. The second middle portion 112 may be folded along the right side slope of the cut-away groove 114 to avoid interference. It is preferable that magnet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side of the slanting face of the 'g' shape. The magnet may be used to maintain an open state in which the second midsole portion 112 is rotated relative to the first midsole portion 111. That is, the magnet provides a force to maintain an open state after the second middle portion 112 is rotated.

상기 바닥부(120)는 상기 중창부(110) 상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발이 안착될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바닥부(120)는 상기 제1중창부(111) 상부에 접착고정되는 접착부(121)와 상기 제2중창부(112) 상부에서 상기 제2중창부(112) 상부와 접착되지 않고 분리되어 있는 비접착부(122)로 이루어진다. The bottom part 120 is provided on the middle part 110 and is a part where the user's feet can be seated. The bottom part 120 is separat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middle part 112 without being adhered to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middle part 112 by a bonding part 121 adhered and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first middle part 111, And a non-adhered portion 122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구체적으로, 상기 접착부(121)는 상기 제1중창부(111)와 접착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중창부(111)와 함께 움직이게 된다. 상기 비접착부(122)는 상기 제2중창부(112) 상부에서 상기 제2중창부(112)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중창부(112)와 함께 움직이지 않게 된다.Specifically, since the adhesive portion 121 is adhered and fixed to the first middle portion 111, the adhesive portion 121 moves together with the first middle portion 111. Since the non-adhesive portion 122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middle portion 112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middle portion 112, the non-adhesive portion 122 does not move together with the second middle portion 112.

즉, 상기 제2중창부(112)가 상기 제1중창부(111)에 대해 회전하여도 상기 비접착부(122)는 상기 제2중창부(112)와 함께 움직이지 않게 되고, 상기 비접착부(122)는 상기 제2중창부(112)에 대하여 분리되어 돌출된다. 도 1은 상기 제2중창부(112)가 상기 제1중창부(111)에 대하여 회전하여 열려있는 상태가 된 것으로, 이 때 상기 비접착부(122)는 상기 제2중창부(112)와 분리되어 돌출되어 있는 상태로 된다. That is, even if the second middle portion 112 rotates with respect to the first middle portion 111, the non-adhered portion 122 does not move together with the second middle portion 112, 122 are protruded separately from the second middle portion 112. [ 1, the non-adhesive portion 122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middle portion 112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middle portion 112, And is in a protruded state.

상기 비접착부(122)는 구부러지지 않는 강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비접착부(122) 내부에 강성이 있는 지지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중창부(112)가 회전할 때, 상기 비접착부(122)가 분리되어 돌출되기 위해서는 구부러지지 않은 상태에서 펴져 있어야 된다. 따라서 상기 비접착부(122)는 구부러지지 않는 강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비접착부(122) 내부에 강성이 있는 지지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non-adhered portion 122 may be made of a rigid material that does not bend or a rigid support may be provided in the non-adhered portion 122. When the second midsole 112 is rotated, the non-adhered portion 122 must be unfolded in order to separate and protrud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non-adhered portion 122 is made of a rigid material that does not bend or a rigid support is provided in the non-adhered portion 122.

구체적으로, 상기 비접착부(122) 내부에 강성이 있는 지지대가 마련되는 것이 좋다. 상기 비접착부(122)는 사용자가 운동화를 신을 때 발과 접촉될 수 있는 부분이므로, 사용자의 착용감을 위해 상기 비접착부(122)는 푹신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비접착부(122) 내부에 쇠살과 같은 상기 지지대를 삽입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쇠살과 같은 상기 지지대는 상기 비접착부(122)가 구부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며, 상기 지지대가 고정되기 위해서는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접착부(121)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좋다.(즉,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접착부(121)에서 상기 비접착부(122)까지 연장되는 복수 개의 쇠살일 수 있다.)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a support having rigidity is provided in the non-adhered portion 122. Since the non-adhered portion 122 is a portion that can be in contact with the foot when the user wears the sneakers, the non-adhered portion 122 is made of a fluffy material for the wearer's comfort, It is preferable to insert the same support member. In this case, the supporting member such as a tumbler supports the non-bonding portion 122 so that the non-bonding portion 122 is not bent. In order to fix the supporting member, the supporting member may extend to the bonding portion 121 And may be a plurality of metal pieces extending from the bonding portion 121 to the non-bonding portion 122.)

상기 덮개부(130)는 상기 바닥부(120)에 안착된 사용자의 발을 덮을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중창부(110)로부터 상향 연장되며, 사용자의 발을 삽입할 수 있는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덮개부(130)는 운동화의 외피가 되는 것으로, 상기 중창부(110)와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는 것이다. The lid part 130 may cover a user's foot that is seated on the bottom part 120 and extends upward from the middle part 110 and has a hole through which a user's foot can be inserted. The lid 130 is an outer shell of a running shoe, and is continuous with the middle lid 110.

상기 덮개부(130)는 상기 제1중창부(111)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제1덮개부(131)와, 상기 제2중창부(112)로부터 상향 연장되며, 상기 제1덮개부(131)와 절단되어 분리되어 있는 제2덮개부(132)로 이루어진다. 상기 덮개부(130)는 상기 제1덮개부(131), 상기 제2덮개부(132) 두 부분으로 분리되어, 상기 중창부(110)와 함께 움직이게 된다. The lid part 130 includes a first lid part 131 extending upward from the first middle part 111 and a second lid part 132 extending upward from the second middle part 112, And a second lid part 132 which is cut and separated. The lid part 130 is separated into two parts of the first lid part 131 and the second lid part 132 and moves together with the middle part 110.

즉, 상기 제1덮개부(131)는 상기 제1중창부(111)와 함께 움직이게 되고, 상기 제2덮개부(132)는 상기 제2중창부(112)와 함께 움직여, 상기 제2중창부(112)가 상기 제1중창부(111)에 대하여 회전할 때 상기 제2덮개부(132)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That is, the first lid part 131 moves together with the first middle part 111 and the second lid part 132 moves together with the second middle part 112, The second lid part 132 also rotates when the first lid part 112 rotates with respect to the first middle part 111.

상기 고정막대(140)는 상기 비접착부(122) 하면에 마련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막대(140)는 상기 비접착부(122) 하면에서 돌출되는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진 막대부(141)와 상기 막대부(141)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부(1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fixed bar 140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non-adhered portion 122. The fixed bar 140 includes a rod portion 141 protruding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non-adhered portion 122 and a locking portion 142 protrude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rod portion 141.

구체적으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걸림부(142)의 일단은 상기 막대부(14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걸림부(142)의 하면에서 상면을 향하여 상향 경사를 이루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걸림부(142)의 일단 형상이 상향 경사를 갖는 것은, 후술할 상기 고정지지대(150)의 잠금부(153)가 하향 경사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상기 걸림부(142)의 일단 형상이 상향 경사를 이루는 부드러운 곡선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잠금부(153)의 하향 경사를 타고 내려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걸림부(142)의 일단이 쉽게 걸림 상태로 위치할 있게 된다. 3A and 3B, one end of the latching part 142 protrudes from a side surface of the rod 141 and has a shape inclining upward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atching part 142 toward the upper surface. Lt; / RTI > This is because one end of the locking part 142 has an upward inclination because the locking part 153 of the fixing support 150 to be described later is inclined downward. Since the one end of the locking part 142 is formed as a soft curve having an upward inclination, the locking part 153 can be lowered downwardly, so that one end of the locking part 142 can be easily engaged Will be located.

상기 걸림부(142)의 타단은 상기 막대부(141)의 내부에 배치된다. 즉, 상기 걸림부(142)는 상기 막대부(141) 내부에서 상기 막대부(141) 측면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걸림부(142)의 타단은 상기 걸림부(142) 타단의 상, 하부에서 상기 막대부(141)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1돌출부(143)와 상기 제1돌출부(143)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막대부(141)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2돌출부(144)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142) 타단의 상, 하부에 마련된 상기 제1돌출부(143)와 상기 제2돌출부(144)의 단면은 도 3b와 같이 삼지창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다. The other end of the latching part 142 is disposed inside the rod 141. That is, the latching part 142 protrudes from the side of the bar 141 in the side of the bar 141.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part 142 is provided between a first protrusion 143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part 142 toward the inside of the rod 141 and the first protrusion 143 And a second protrusion 144 protru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rod 141 are provided. The first protrusion 143 and the second protrusion 144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part 142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trident as shown in FIG. 3B.

상기 제1돌출부(143)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143)는 상기 걸림부(142) 타단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좋다. The first protrusion 143 may have various shapes. The first protrusion 143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or a quadrangular prism shape extending continuously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part 142, and preferably has a cylindrical shape.

구체적으로, 상기 제1돌출부(143)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돌출부(143)가 돌출되어 있는 길이는 상기 제2돌출부(144) 보다 길게 돌출되어 있다. (즉, 원기둥 형상으로 되어 있는 상기 제1돌출부(143) 내부에 상기 제1돌출부(143)다 짧게 돌출되어 있는 상기 제2돌출부(144)가 배치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protrusion 143 has a cylindrical shape, and the first protrusion 143 protrudes longer than the second protrusion 144. (That is,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144 protruding from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143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143 in a cylindrical shape).

상기 제1돌출부(143)가 상기 제2돌출부(144)보다 더 길게 돌출되며, 상기 제1돌출부(143)를 원기둥 형상으로 하는 것은 돌림힘을 상쇄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부(142)가 후술할 상기 고정지지대(150)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걸림부(142)가 상기 막대부(141) 내부로 들어간 이후에 다시 돌출되는데, 이때 상기 걸림부(142)의 하부가 상기 고정지지대(150)에 먼저 접촉하기 때문에 상기 걸림부(142)가 회전할 수 있는 돌림힘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돌림힘을 상쇄시키기 위해 상기 제1돌출부(143)는 상기 제2돌출부(144) 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돌출부(143)가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제1돌출부(143)가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모든 방향에 대한 돌림힘을 상쇄시킬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좌, 우 운동 이외의 상기 걸림부(142)가 꺽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irst protrusion 143 protrudes longer than the second protrusion 144 and the first protrusion 143 has a cylindrical shape to offset the protrusion. Specifically, when the engaging portion 14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xed support 1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engaging portion 142 projects again after entering the bar portion 141, 142 may contact with the fixed support 150, so that the rotation of the locking part 142 may occur. The first protrusion 143 is longer than the second protrusion 144, and the first protrusion 143 has a cylindrical shape. In particular, since the first protrusion 143 is formed in a columnar shape, it is possible to offset the rotation of the first protrusion 143 in all directions, thereby preventing the engagement portion 142 other than the left and right movement from being bent .

상기 제2돌출부(144)는 상기 막대부(141)와 제1탄성체(145)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탄성체(145)의 일단은 상기 제2돌출부(144)에 끼워지며, 타단은 상기 막대부(141)에 끼워진다. 상기 막대부(141) 내부에도 상기 제1탄성체(145)가 끼워지기 위한 돌기(146)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막대부(141) 내부의 돌기(146)와 상기 제2돌출부(144) 사이의 거리와 상기 걸림부(142)의 일단이 상기 막대부(141)에서 돌출되어 있는 거리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protrusion 144 is coupled to the rod 141 by the first elastic body 145. One end of the first elastic body 145 is fitted in the second projection 144 and the other end is fitted in the rod 141. The rod 141 may be provided with a protrusion 146 for the first elastic body 145 to be fitted therein. The distance between the protrusion 146 and the second protrusion 144 in the rod 141 and the distance of the protrusion of one end of the protrusion 142 from the rod 141 are the same .

상기 걸림부(142)의 상기 제2돌출부(144)는 상기 막대부(141)와 상기 제1탄성체(145)에 의해 결합됨에 따라 상기 걸림부(142)가 상기 막대부(141) 내부를 수평이동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부(142)의 일단을 누르면 상기 걸림부(142)는 상기 막대부(141) 내부로 들어가게 되고, 상기 걸림부(142)를 누르는 힘이 사라지면, 상기 제1탄성체(14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림부(142)는 다시 상기 막대부(141)에 대하여 돌출된다.(여기서, 상기 걸림부(142)의 일단을 누르는 힘은 후술할 상기 고정지지대(150)를 통해 발현된다.) The second protrusion 144 of the locking part 142 is coupled to the rod 141 by the first elastic body 145 so that the locking part 142 is horizontally It becomes movable. The first elastic body 145 is inserted into the rod 141 and the first elastic body 145 is inserted into the rod 141. When the first elastic body 145 is inserted into the rod 141, The force of pressing the one end of the locking part 142 is transmitted through the fixed support 150 to be described later, do.)

상기 고정지지대(150)는 상기 제2중창부(112) 내부에 마련되는 것이다. 상기 제2중창부(112)에는 상기 고정막대(140)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115)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115)에 상기 고정지지대(150)가 마련된다. 상기 고정지지대(150)는 상기 관통공(115)으로 삽입된 상기 고정막대(140)가 걸릴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2중창부(112)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다. The fixed support 150 is provided inside the second midsole 112. The second middle portion 112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115 into which the fixing bar 140 can be inserted and the fixing support 150 is provided in the through hole 115. The stationary support 150 may be engaged with the fixing bar 140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15 and may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middle portion 112.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지지대(150)는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중창부(112) 내부를 폭방향으로 수평이동 가능한 것이다. 상기 고정지지대(150)의 타단은 상기 제2중창부(112) 측면으로 돌출되어 있는데, 사용자가 상기 제2중창부(112)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누름부(151)를 누르면 상기 고정지지대(150)는 상기 제2중창부(112) 내부로 수평이동하게 된다. 상기 고정지지대(150)의 일단 또는 상기 고정지지대(150) 내부에는 제2탄성체(1541)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누름부(151)를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고정지지대(150)는 상기 제2탄성체(1541)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4, the stationary support 150 is rod-shaped and horizontally movab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midsole 112. As shown in FIG. The other end of the fixed support 150 protrudes to the side of the second midway part 112. When the user presses the pushing part 151 projecting to the side of the second middle part 112, 150 are horizontally mov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midsole 112. A second elastic body 1541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xed support 150 or inside the fixed support 150. When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ing part 151 is removed, The elastic body 1541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상기 고정지지대(150)는 상기 제2중창부(112) 측면에서 돌출되는 상기 누름부(151)와 상기 고정지지대(150)의 상면에서 하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를 이루며, 상기 고정막대(140)의 상기 걸림부(142)가 걸릴 수 있는 잠금부(153)와 상기 고정막대(140)의 상기 걸림부(142)가 걸리지 않도록 방출공(1521)이 형성되어 있는 방출부(152)로 이루어져 있다. The fixed support 150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part 151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second middle part 112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ixed support 150, And a discharge part 152 formed with a discharge hole 1521 to prevent the latching part 153 of the latching part 142 from being caught and the latching part 142 of the latching bar 140 from being caught.

상기 잠금부(153)는 상기 고정막대(140)의 상기 걸림부(142)가 상기 제2중창부(112)의 상기 관통공(115)을 관통할 때, 상기 고정막대(140)의 하부 바로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잠금부(153)는 상기 고정지지대(150)의 상면에서 하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상기 걸림부(142)가 하향 경사를 타고 내려오게 된다. 이때, 상기 잠금부(153)는 상기 걸림부(142)에 힘을 가하게 되고, 상기 걸림부(142) 이 힘에 의해 상기 막대부(141) 내부로 들어간다. 상기 걸림부(142)가 상기 잠금부(153) 하부까지 내려가면, 상기 걸림부(142)는 다시 돌출되고, 이를 통해 상기 고정막대(140)는 상기 잠금부(153)에 걸리게 된다. The locking part 153 is fixed to the bottom part of the fixing bar 140 when the locking part 142 of the fixing bar 14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15 of the second middle part 112. [ . Since the locking portion 153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support 150 toward the lower surface thereof, the locking portion 142 descends downward. At this time, the locking part 153 applies a force to the locking part 142, and the locking part 142 enters into the bar part 141 by the force. When the latching part 142 descends to the lower side of the locking part 153, the latching part 142 is again projected so that the locking rod 140 is caught by the locking part 153.

상기 방출부(152)는 상기 잠금부(153) 측면에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방출공(15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사용자가 상기 누름부(151)를 누르면, 상기 고정지지대(150)는 수평이동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고정막대(140)는 상기 잠금부(153)에서 상기 방출부(152)로 옮겨지게 된다. 상기 방출부(152)에는 상기 방출공(152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막대(140)는 상기 방출공(1521)을 통하여 상기 고정지지대(150)에 걸리지 않고 나올 수 있게 된다. The discharge part 152 is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locking part 153 and has the discharge hole 1521 formed therein. When the user presses the pushing part 151, the fixed support 150 moves horizontally, and the fixing rod 140 is transferred from the locking part 153 to the discharging part 152. Since the discharge hole 1521 is formed in the discharge part 152, the fixing rod 140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1521 without being caught by the fixed support 150.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지지대(150)에는 상기 제2탄성체(1541)가 마련되는 탄성부(154)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154)는 상기 제2탄성체(1541)가 마련될 수 있는 부분으로 상기 고정지지대(150)의 일단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지지대(150)의 일단과 상기 제2중창부(112) 측면 내부 사이에 상기 제2탄성체(1541)가 마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fixed support 150 further includes an elastic portion 154 provided with the second elastic body 1541. The elastic part 154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xed support 150 as a part where the second elastic body 1541 can be provided. That is, the second elastic body 1541 may be provided between one end of the fixed support 150 and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midsole 112.

상기 누름부(151)를 누르면 상기 고정지지대(150)는 상기 제2탄성체(1541)를 누르면서 상기 제2탄성체(1541)가 압축되고, 상기 고정지지대(150)는 수평이동하게 된다. 상기 누름부(151)의 힘을 제거하면, 상기 고정지지대(150)는 상기 제2탄성체(1541)의 탄성 복원력으로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The second elastic body 1541 is compressed while pressing the second elastic body 1541 and the fixed support 150 is moved horizontally when the pressing part 151 is pressed. When the force of the pressing portion 151 is removed, the fixed support 15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due to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econd elastic body 1541.

상기 제2중창부(112) 상부와 상기 비접착부(122) 하부 사이에는 토션 스프링(160)이 더 포함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토션 스프링(160)은 상기 제2중창부(112)가 회전하는 힘을 제공한다. 상술한 상기 고정막대(140)가 상기 방출부(152)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고정막대(140)가 상기 방출부(152)의 상기 방출공(1521)을 통해 이탈할 수 있는 힘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힘은 상기 토션 스프링(160)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토션 스프링(160)은 상기 제2중창부(112)를 회전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며, 이는 상기 고정막대(140)가 상승되는 힘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다. A torsion spring 160 is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middle portion 112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non-adhered portion 122.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torsion spring 160 provides a force for rotating the second middle portion 112. When the fixing bar 140 described above is positioned at the discharging portion 152, a force is required that the fixing bar 140 can be released through the discharging hole 1521 of the discharging portion 152 do. This force is provided by the torsion spring 160. An elastic force acts on the torsion spring 160 in a direction to rotate the second middle part 112, which is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xing rod 140 is lifted.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비접착부(122) 밑면과, 상기 비접착부(122) 밑면에 대응되는 상기 제2중창부(112) 상부에는 자석(170)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자석(170)은 상기 제2중창부(112)가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비접착부(122)와 접촉할 수 있는 힘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중창부(112)가 닫힌 상태는 사용자가 운동화를 착용한 상태로, 사용자의 발이 빠지지 않도록 상기 제2중창부(112)가 닫힌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상기 자석(170)이 배치되는 위치는 상기 토션 스프링(160)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상기 비접착부(122) 밑면과 상기 제2중창부(112) 상부 일부에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a magnet 170 is provided on the underside of the non-adhesive portion 122 and on the second middle portion 112 corresponding to the underside of the non-adhesive portion 122. The magnet 170 serves to assist a force that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non-adhesive portion 122 in a state where the second middle portion 112 is closed.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midsole portion 112 is closed requires that the second midsole portion 112 be kept closed so that the user does not fall off while the user wears the sneakers.) [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posing position is disposed only on the underside of the non-adhering portion 122 and a par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middle portion 112 to avoid interference of the torsion spring 160.

상술한 본 발명의 착용이 용이한 접이식 운동화는 다음과 같이 작동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wearable folding sn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as follows.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발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2중창부(112)는 상기 제1중창부(111)에 대하여 회전되어 있고, 상기 비접착부(122)는 상기 제2중창부(112)와 분리되어 돌출되어 있다. 이때가 열려있는 상태이다. 열려있는 상태는 열려있는 상태로 돌아가기 위한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는 상기 토션 스프링(160)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1,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does not wear his or her foot, the second middle portion 112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middle portion 111, and the non-adhered portion 122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middle portion 111, And is protruded separately from the portion 112. This time is open. The open state can be maintained by the torsion spring 160, which is acted upon by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return to the open state.

사용자는 돌출되어 있는 상기 비접착부(122)를 밟으면서 상기 제2중창부(112)를 회전시켜 사용자의 발을 착용하게 되며, 이 때 사용자의 발로 상기 비접착부(122)를 누르는 힘에 의하여 상기 제2중창부(112)가 회전된다. 이때가 닫혀있는 상태이다. The user presses the protruding non-adhered portion 122 to rotate the second middle portion 112 to wear the user's foot. At this time, the user presses the non- The second middle portion 112 is rotated. This state is closed.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비접착부(122)를 밟으면 상기 비접착부(122) 하부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고정막대(140)는 상기 관통공(115)을 통해 상기 고정지지대(150)가 위치한 곳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막대(140)의 하부 바로 아래에는 상기 고정지지대(150)의 상기 잠금부(153)가 위치하여 있다. 상기 고정막대(140)의 상기 걸림부(142)는 상기 잠금부(153)의 하향경사를 따라 내려가면서 눌려 상기 막대부(141) 내부로 들어가게 되고, 상기 잠금부(153)를 통과하면 다시 상기 막대부(141)에서부터 돌출되어 상기 잠금부(153)에 걸리게 된다. 6, when the user presses the non-adhering portion 122, the fixing rod 140 provided under the non-adhering portion 122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115 to a position where the fixed support 150 is located . Here, the locking part 153 of the fixed support 150 is positioned just under the lower part of the fixed bar 140. The engaging portion 142 of the fixing bar 140 is pressed down along the downward inclination of the locking portion 153 and enters the inside of the bar portion 141. When the locking portion 153 passes through the locking portion 153, And protrudes from the rod 141 to be caught by the lock 153.

이와 같이 상기 잠금부(153)에 상기 걸림부(142)가 걸림에 따라 사용자의 발은 운동화에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용이 용이한 접이식 운동화는 운동화의 일부가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사용자가 운동화를 사용하는 경우에 운동화가 회전해서는 안된다. (회전하게 되면 사용자의 발이 운동화에서 이탈할 위험성이 있다.) 이와 같은 회전 방지는 상술한 상기 고정막대(140)와 상기 고정지지대(150)를 통해 가능하며, 상기 자석 등이 이와 같은 힘을 보조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user's feet may not be separated from the running shoes due to the engagement of the engaging portion 142 with the lock portion 153. The wearable folding sn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art of the sneaker is rotatable, but the sneaker should not be rotated when the user uses the sneaker. (The rotation of the user may cause the feet of the user to separate from the running shoes.) Such rotation prevention is possible through the above-mentioned fixed rod 140 and the fixed support 150, .

사용자가 운동화를 사용하고 난 이후 운동화를 착탈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 사용자는 상기 고정지지대(150)의 상기 누름부(151)를 누르면서 발을 들게 된다. 상기 누름부(151)를 누르면 상기 고정지지대(150)의 수평이동으로 인하여, 상기 고정막대(140)의 하부는 상기 잠금부(153)의 위치에서 상기 방출부(152)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방출부(152)에는 상기 방출공(1521)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막대(140)는 상기 방출공(1521)을 통해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토션 스프링(160)이 상기 고정막대(140)가 상기 방출공(1521)을 통해 빠져나가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토션 스프링(160)은 열린 상태로 돌아가려는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상기 비접착부(122) 하부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고정막대(140)가 상기 제2중창부(112)에서 멀어지는 힘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상기 누름부(151)를 누르면서 발을 운동화로부터 착탈할 수 있게 된다. In order to remove the sneakers after the user uses the sneakers, the following process is performed. The user presses the pushing part 151 of the fixed support 150 and lifts the foot. The lower part of the fixing rod 140 moves to the discharging part 152 from the position of the locking part 153 due to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fixing support 150 when the pressing part 151 is pressed. Since the discharge part 152 is provided with the discharge hole 1521, the fixing rod 140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1521. At this time, the torsion spring 160 can provide a force for the fixing rod 140 to escape through the discharge hole 1521. Since the torsion spring 160 is acted by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return to the open state, the fixing rod 140 provided below the non-adhesive portion 122 provides a force to move away from the second middle portion 112 . Through this process, the user can attach and detach the foot from the sneaker while pressing the pusher 151.

상술한 본 발명의 착용이 용이한 접이식 운동화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above-described foldable sneaker which is easy to 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은 운동화를 두 부분으로 분리하여 힌지를 통해 결합시키고, 일 부분의 운동화를 힌지를 통하여 회전시킴에 따라 사용자의 발은 운동화에 용이하게 착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a user's foot can be easily worn on a sneaker as the sneaker is separated into two parts and coupled through a hinge and a sneaker of one part is rotated through a hinge.

특히, 제2중창부가 열려있는 상태는 신발이 세워져 있으므로, 신발을 신기 위해 발을 들면 중력의 영향으로 발을 쉽게 운동화에 넣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Particularly, in the state where the second midsole is open, since the shoes are erec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oot can be easily put into the sneaker due to the influence of gravity when the foot is put on the shoe.

또한, 본 발명은 신발 끈이나 구두 주걱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신발 끈의 경우 신발을 조이기 위한 것으로, 신발을 조인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발을 넣기 어렵기 때문에 신발 끈 형태로 조이고 풀릴 수 있게 만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운동화를 조여 있는 상태로 제작하여도 사용자의 발을 운동화에 넣는데 어려움이 없기 때문에 신발 끈을 사용하지 않는 운동화를 제작하는데 유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두에 적용시키면, 구두 주걱을 사용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발을 쉽게 구두에 삽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not necessary to use a shoelace or a shoehorn. In the case of a shoelace, it is for tightening the shoe. In the state of joining the shoe, it is difficult to put the user's foot, so that the shoelace can be tightened and loosen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for manufacturing a sneaker which does not use a shoelace because it is not difficult to insert a user's foot into a sneaker even if the sneaker is manufactured in a tight state.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when applied to a shoe, a user's foo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a shoe without using a shoe spatula.

이와 함께 본 발명은 운동화를 세워서 보관할 수 있음에 따라 공간활용이 용이하다. 종래의 운동화는 신발을 눕혀서 보관함에 따라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운동화 보관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운동화를 세워서 보관함에 따라 운동화가 차지하는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운동화 저장공간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store sneakers upright, space utilization is easy. Conventional sneakers occupy a lot of space due to the fact that the shoes are laid down and stored, which makes it difficult to store sneakers.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volume occupied by the sneakers according to the storage of the sneakers, and thus the sneaky storage space can be easily utilized.

상술한 본 발명의 착용이 용이한 접이식 운동화는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덮개부(131)와 상기 제2덮개부(132) 측면에서는 상기 제1덮개부(131)와 상기 제2덮개부(132)를 연결시키는 결합장치(19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결합장치(190)는 운동화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운동을 할 때와 같이 격한 운동을 할 경우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wearable folding sn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s follows. 7 and 8, a coupling device for connecting the first lid part 131 and the second lid part 132 on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lid part 131 and the second lid part 132, (190) may be provided. The coupling device 190 is provided to prevent the sneaker from rotating, and can be easily used when performing a heavy exercise such as a motion.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장치(190)는 상기 제1덮개부(131) 측면에 마련되는 제1버클(191)과 상기 제2덮개부(132) 측면에 마련되는 제2버클(192)과 일단이 상기 제2덮개부(132) 측면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제1버클(191) 및 제2버클(192)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일단에 마련되어 있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고정 띠(19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Specifically, the coupling device 190 includes a first buckle 191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lid part 131, a second buckle 192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lid part 132, The other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lid part 132 and can be engaged with the first buckle 191 and the second buckle 192 and a fixed band 193 rotatable about an axis provided at the one end .

도 7과 같이 평상시에는 상기 고정 띠(193)는 상기 제2버클(192)에 결합 되어 있다. 그러나 운동을 하는 경우와 같이 사용자의 발을 심하게 움직이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 띠(193)를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버클(191)에 결합시킨다.(도 8) 이와 같이 상기 고정 띠(193)를 상기 제1버클(191)에 결합함에 따라 상기 제1덮개부(131)와 상기 제2덮개부(132)를 연결시키는 힘을 제공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운동화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7, the fixed band 193 is coupled to the second buckle 192. [ However, when the user's foot is severely moved as in the case of exercise, the fixed band 193 is rotated around the axis to be coupled to the first buckle 191. (See Fig. 8) Is coupled to the first buckle 191,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orce for connecting the first lid 131 and the second lid 132, .

사용자가 상기 고정 띠(193)와 상기 제1버클(191) 및 상기 제2버클(192)을 용이하게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제1덮개부(131)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제1버클(191)은 상기 고정 띠(193)의 일단과 수평방향으로 나란한 방향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덮개부(132)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제2버클(192)은, 상기 고정 띠(193)의 일단과 수직방향으로 나란한 방향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buckle 191 provided on the first lid portion 131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buckle 191 and a second buckle 192 to easily engage the fixed band 193 with the first buckle 191 and the second buckle 192, And the second buckle 192 provided on the second lid portion 132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one end of the fixed band 193 It is preferable to be locat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vertical direction.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and many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10...중창부 111...제1중창부
112...제2중창부 113...힌지
114...절개홈 115...관통공
120...바닥부 121...접착부
122...비접착부 130...덮개부
131...제1덮개부 132...제2덮개부
140...고정막대 141...막대부
142...걸림부 143...제1돌출부
144...제2돌출부 145...제1탄성체
146...돌기 150...고정지지대
151...누름부 152...방출부
1521...방출공 153...잠금부
154...탄성부 1541...제2탄성체
160...토션 스프링 170...자석
180...절개홈 190...결합장치
191...제1버클 192...제2버클
193...고정띠
110 ... middle section 111 ... first middle section
112 ... second middle portion 113 ... hinge
114 ... incision groove 115 ... through hole
120 ... bottom portion 121 ... adhesive portion
122 ... non-adhesive portion 130 ... lid portion
131 ... first lid part 132 ... second lid part
140 ... fixed bar 141 ... bar portion
142 ... engaging portion 143 ... first protrusion
144 ... second protrusion 145 ... first elastic member
146 ... projection 150 ... fixed support
151 ... pushing portion 152 ... releasing portion
1521 ... release ball 153 ... lock part
154 ... elastic portion 1541 ... second elastic member
160 ... Torsion spring 170 ... magnet
180 ... incision groove 190 ... engaging device
191 ... first buckle 192 ... second buckle
193 ... fixed band

Claims (10)

운동화에 있어서,
지면과 닿을 수 있는 중창부;
상기 중창부 상부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발이 안착될 수 있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에 안착된 사용자의 발을 덮을 수 있고, 상기 중창부로부터 상향 연장되며, 사용자의 발을 삽입할 수 있는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창부는,
제1중창부와, 상기 제1중창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중창부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제2중창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1중창부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제1덮개부와, 상기 제2중창부로부터 상향 연장되며, 상기 제1덮개부와 절단되어 분리되어 있는 제2덮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부는,
상기 제1중창부 상부에 접착고정되어 있는 접착부와,
상기 제2중창부 상부에서, 상기 제2중창부 상부와 접착되지 않고 분리되어 있는 비접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비접착부 하면에는,
상기 비접착부 하면에서부터 돌출되는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진 막대부와, 상기 막대부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고정막대가 마련되며,
상기 제2중창부 내부에는, 상기 고정막대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과, 상기 고정막대의 상기 걸림부가 걸릴 수 있는 고정지지대가 마련되며,
사용자가 발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2중창부는 상기 제1중창부에 대하여 회전되어 있고, 상기 비접착부는 상기 제2중창부와 분리되어 돌출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돌출되어 있는 상기 비접착부를 밟으면서 상기 제2중창부를 회전시켜 사용자의 발을 착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용이한 접이식 운동화.
In running shoes,
A midsole that can touch the ground;
A bottom portion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iddle portion and capable of receiving a user's foot;
And a lid portion covering the foot of the user seated on the bottom portion and extending upward from the middle portion and provided with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user's foot can be inserted,
The mid-
And a second middle portion hinged to the first middle portion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middle portion,
The lid portion
A first lid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first midportion and a second lid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second midportion and being cut and separated from the first lid portion,
The bottom portion
An adhesive portion adhered and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middle portion,
And a non-adhesive portion separat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middle portion without being adher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middle portion,
On the non-bonding portion,
A rod portion having a rod shape projecting from a lower surface of the non-bonding portion, and a holding rod including a holding portion projecting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rod portion,
A through hole into which the fixing bar can be inserted and a fixing support to which the fixing part of the fixing bar can be attached are provided in the second midsole,
The second midportion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midportion while the non-adhered portion is protruded separately from the second midportion,
Wherein the user is able to wear the user's foot by rotating the second middle part while depressing the protruding non-adhered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일단은,
상기 막대부의 측면에서부터 돌출되며, 상기 걸림부의 하면에서 상면을 향하여 상향 경사를 이루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부의 타단은,
상기 막대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걸림부 타단의 상, 하부에서 상기 막대부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1돌출부와, 상기 제1돌출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막대부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2돌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제2돌출부 보다 길게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부의 제2돌출부와 상기 막대부는 제1탄성체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걸림부는 상기 막대부 내부를 수평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용이한 접이식 운동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end of the latching portion
And protrudes from a side surface of the bar portion and has a shape inclining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toward the upper surface,
The other end of the engaging portion
A first protrusion disposed inside the bar and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other end toward the inside of the bar; a second protrusion provided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and protru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bar; Wherein the first protrusions protrude longer than the second protrusions,
Wherein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of the latching portion and the rod portion are coupled by the first elastic body so that the latching portion is horizontally movable within the rod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대는,
상기 제2중창부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중창부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지지대의 타단은 상기 제2중창부의 측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고정지지대는 상기 제2중창부 내부를 수평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용이한 접이식 운동화.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xed support includes:
A second midsol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midsole,
Wherein the other end of the fixed support protrudes to the side of the second midsole, and the fixed support is horizontally movable inside the second midso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대는,
상기 제2중창부 측면에서 돌출되는 누름부와,
상기 고정지지대의 상면에서 하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를 이루며 상기 고정막대의 상기 걸림부가 걸릴수 있는 잠금부와,
상기 고정막대의 상기 걸림부가 걸리지 않도록 방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방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용이한 접이식 운동화.
The method of claim 3,
The fixed support includes:
A pressing part protruding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midsole,
A locking portion which is inclined down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fixed support to a lower surface of the fixed support,
And a discharge part formed with a discharge hole so as not to catch the latching part of the fixed ba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중창부 상부와 상기 비접착부 하부 사이에는 토션 스프링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용이한 접이식 운동화.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torsion spring is provided between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midsole and a lower portion of the non-adhered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착부 밑면과,
상기 비접착부 밑면에 대응되는 상기 제2중창부 상부에는 자석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용이한 접이식 운동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bottom surface of the non-
And a magnet i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middle portion corresponding to a bottom surface of the non-adhered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창부와 상기 제2중창부 사이에는 절개홈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용이한 접이식 운동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incision groove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midsole and the second midso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홈은 'ㅅ'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ㅅ' 형상의 경사면에는 자석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용이한 접이식 운동화.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ncision groove is formed in a shape of 'g', and a magnet is provided on the inclined surface of 'g'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덮개부와 상기 제2덮개부 측면에는 상기 제1덮개부와 상기 제2덮개부를 연결 시키는 결합장치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용이한 접이식 운동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upling device for connecting the first lid part and the second lid part to the first lid part and the second lid part side surfa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제1덮개부 측면에 마련되는 제1버클과, 상기 제2덮개부 측면에 마련되어 있는 제2버클과,
일단이 상기 제2덮개부 측면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제1버클 및 제2버클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일단에 마련되어 있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고정 띠로 이루어지며,
상지 제1덮개부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제1버클은, 상기 고정 띠의 일단과 수평방향으로 나란한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제2덮개부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제2버클은, 상기 고정 띠의 일단과 수직방향으로 나란한 방향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용이한 접이식 운동화.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upling device includes:
A first buckle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lid unit, a second buckle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lid unit,
And a fixed band which is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lid part at one end and is coupled to the first buckle and the second buckle at the other end and is rotatable around an axis provided at the one end,
The first buckle provided on the upper first lid part is position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one end of the fixed ba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buckle provided on the second lid portion is locat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one direction of the one end of the fastening band.
KR1020170105508A 2017-08-21 2017-08-21 Folding sport shoes easy to wear Expired - Fee Related KR1018450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508A KR101845063B1 (en) 2017-08-21 2017-08-21 Folding sport shoes easy to we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508A KR101845063B1 (en) 2017-08-21 2017-08-21 Folding sport shoes easy to we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5063B1 true KR101845063B1 (en) 2018-04-03

Family

ID=61973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508A Expired - Fee Related KR101845063B1 (en) 2017-08-21 2017-08-21 Folding sport shoes easy to we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06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5493A (en) * 2020-02-18 2021-08-27 윤주철 Foot wear for impact absorption and rolling walking
CN115153149A (en) * 2022-07-16 2022-10-11 吉林大学 Automatic intelligent shoes of wearing to take off of adjustable width
WO2025049089A1 (en) * 2023-08-31 2025-03-06 Nike Innovate C.V. Device for an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a frame with a footwear plat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96124A1 (en) * 2004-10-27 2006-05-11 Moseley Marshall G Sand walking sandal
KR100781008B1 (en) * 2006-12-11 2007-11-30 이영은 Foldable Ladies Shoes
US7448148B2 (en) * 2005-02-04 2008-11-11 Viamerica Enterprises Llc Articulated foldable sandals
JP2010516366A (en) * 2007-01-30 2010-05-20 ザ バックアップ シュ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Folding footwear
KR20120087390A (en) * 2011-01-28 2012-08-07 이복규 Easy-to-wear shoes
KR101396758B1 (en) * 2012-11-28 2014-05-19 임성섭 Adjustable height type sho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96124A1 (en) * 2004-10-27 2006-05-11 Moseley Marshall G Sand walking sandal
US7448148B2 (en) * 2005-02-04 2008-11-11 Viamerica Enterprises Llc Articulated foldable sandals
KR100781008B1 (en) * 2006-12-11 2007-11-30 이영은 Foldable Ladies Shoes
JP2010516366A (en) * 2007-01-30 2010-05-20 ザ バックアップ シュ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Folding footwear
KR20120087390A (en) * 2011-01-28 2012-08-07 이복규 Easy-to-wear shoes
KR101396758B1 (en) * 2012-11-28 2014-05-19 임성섭 Adjustable height type sho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5493A (en) * 2020-02-18 2021-08-27 윤주철 Foot wear for impact absorption and rolling walking
KR102321805B1 (en) * 2020-02-18 2021-11-05 윤주철 Foot wear for impact absorption and rolling walking
CN115153149A (en) * 2022-07-16 2022-10-11 吉林大学 Automatic intelligent shoes of wearing to take off of adjustable width
WO2025049089A1 (en) * 2023-08-31 2025-03-06 Nike Innovate C.V. Device for an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a frame with a footwear pl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42004B2 (en) Articles of footwear transitional between a foot insertion or removal configuration and a foot supporting configuration
US10912348B2 (en) Easy access articles of footwear
US11589640B2 (en) Article of footwear for soccer
US11311072B2 (en) Footwear with removable midsole and outsole
CN113260269B (en) Quick-access footwear with expandable openings
US8146273B2 (en) Dance shoe
CN100525731C (en) Sports shoes and similar articles with integral supinator device
EP2319340B1 (en) Adjustable ankle support for an article of footwear
KR101845063B1 (en) Folding sport shoes easy to wear
TWI701002B (en) Article of footwear with sole system having carrier member and sensory node elements
JP2017527420A (en) Adaptable shoes
AU6553401A (en) Shoe with a pivotal counter portion
CN107404966B (en) Footwear and foot support member configured to allow relative heel/forefoot motion
JP3653633B2 (en) Footwear bottom
JPWO2003024262A1 (en) footwear
KR200418045Y1 (en) Shoes with shoelace tightening
KR200401548Y1 (en) Ballet boots
JP2015047266A (en) Shoe
JP6992178B2 (en) Shoes with wraparound closure system and / or foot wrap fixing straps
KR200181824Y1 (en) A coupling structure of a strap for sandal shoes
CA2750906A1 (en) Goalie skate
JPH033201Y2 (en)
JP2014118660A (en) Walking assist plate and sock including the same
JP2001017201A (en) Shoe
Healy et al. Windlass" sho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3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3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