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468B1 - Tumbler having changable function of glass and bottle for drinking tea - Google Patents
Tumbler having changable function of glass and bottle for drinking tea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43468B1 KR101843468B1 KR1020150150056A KR20150150056A KR101843468B1 KR 101843468 B1 KR101843468 B1 KR 101843468B1 KR 1020150150056 A KR1020150150056 A KR 1020150150056A KR 20150150056 A KR20150150056 A KR 20150150056A KR 101843468 B1 KR101843468 B1 KR 1018434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n forest
- tumbler
- tea
- glass
- cov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curved cross-section
- B65D11/04—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01—Supporting means fixed to the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12—Means for the attachment of smaller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4—External fittings for spacing bases of containers from supporting surfaces, e.g. le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를 우려내어 리필하여 음용할 수 있고 글라스 및 용기 형태로 전환이 가능한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는, 상단 보다 하단 폭이 크고, 상기 하단은 개구되며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바디와; 상기 하단의 나사산에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대와; 티백이나 차잎을 담고 액체에 우려지도록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우림망이 형성되어 상기 바디의 하단 내부에 안착되는 우림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umb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umbler that can be refilled while drinking a car, and can be converted into a glass and a container form.
The glass and bottle switching type tumb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having a bottom width larger than that of the upper end, a lower end opened, a thread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and capable of receiving contents; A cover coupled to the lower thread; A pedestal detachably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cover; And a rain forest formed by a rain forest net containing a tea bag or a tea leaf and having a plurality of holes formed therein so as to be disturbed by the liquid, and is mounted inside the lower end of the body.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를 우려내어 리필하여 음용할 수 있고 글라스 및 용기 형태로 전환이 가능한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umb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umbler that can be refilled while drinking a car, and can be converted into a glass and a container form.
텀블러는 보통 말하는 컵과 같은 원통형의 것으로서, 물 ·맥주 ·주스 등 음료를 마실 때 외에 하이볼 ·진 피즈 등 롱드링크류를 마실 때도 사용되며, 주로 휴대용 컵으로 사용된다.The tumbler is a cylindrical type of cup, which is usually called a cup. It is also used when drinking beverages such as water, beer, juice, and drinking long drinks such as highball jinpei, and is mainly used as a portable cup.
하지만, 텀블러를 활용한 컵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휴대용이라는 점 이외는 매우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은 사실이다.However, although cups using a tumbler are widely used, they are used only in a very limited manner except that they are portable.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58422에는 '차 음용을 위한 물병 마개형 휴대용 인퓨저'가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58422, published in Korea, discloses a water bottle plug type portable infuser for drinking tea.
이 등록실용은 직접적으로 텀블러라 칭하고 있지는 않지만 휴대용 용기 내지 컵의 형태로서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면서, 물이나 음료수가 담기는 각종 페트병이나 물병에 적용될 수 있어 활용성과 휴대성을 증대시키고, 다구세트나 별도의 차용기를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티백이나 찻잎이 구비되면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각종 페트병이나 물병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에서나 각종 차를 즐길 수 있는 물병 마개형 휴대용 인퓨저를 개시하고 있다.Although this registration practice is not directly referred to as a tumbler,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kinds of PET bottles and water bottles having a similar shape as a form of a portable container or a cup and containing water or beverage, thereby increasing the usability and portability, Discloses a water bottle stopper type portable infuser that can enjoy various kinds of tea anytime and anywhere by using various PET bottles and water bottles that are readily available in the vicinity if a tea bag or tea leaves are provided.
하지만, 이 등록실용은 티백용 차와 찻잎용 차를 우려내는 데 있어 각각 다른 인퓨져를 사용해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고, 차를 음용할 때 인퓨져를 제거시켜야 음용이 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으며, 차를 병채 마셔야 한다는 부담감을 가지고 있다.
However, this registration practice has a disadvantage that different infuser should be used for tea bag tea and tea leaf tea. When drinking tea,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infuser to drink it. I have a feeling of burden.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는, 티백이나 찻잎을 채우고 우려내어 음용할 수 있는 휴대용 텀블러를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umbler which can be filled with a tea bag or tea leaves and can be used for drinking.
또한, 티백이나 찻잎을 넣어둔 상태에서 우려낸 후 티백이나 찻잎을 제거하는 일 없이 그대로 음용이 가능한 휴대용 텀블러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portable tumbler which can be used as it is without removing the tea bag or the tea leaves after the tea bag or the tea leaves have been put in the state.
또한, 티백이나 찻잎을 우려낼 때에는 용기의 형태를 취하고, 다 우려낸 후 음용시에는 글라스나 컵의 형태로 전환시켜 음용이 가능한 휴대용 텀블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when a tea bag or a tea leaf is to be disturbed, it is desired to provide a portable tumbler which can take the form of a container and convert it into a glass or a cup shape for drinking after drinking.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는, 상단 보다 하단 폭이 크고, 상기 하단은 개구되며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바디와; 상기 하단의 나사산에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대와; 티백이나 차잎을 담고 액체에 우려지도록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우림망이 형성되어 상기 바디의 하단 내부에 안착되는 우림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lass and bottle switching type tumbler for drinking water, comprising: a body having a lower end width larger than an upper end thereof, Wow; A cover coupled to the lower thread; A pedestal detachably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cover; And a rain forest formed by a rain forest net containing a tea bag or a tea leaf and having a plurality of holes formed therein so as to be disturbed by the liquid, and is mounted inside the lower end of the body.
여기서, 상기 우림망은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반구 형태이며, 상기 바디의 하단 측 방향으로 개구된 형태일 수 있다.Here, the rain forest net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may have a hemispherical shape and open in the lower end direction of the body.
여기서, 상기 차 우림체는 상기 우림망이 결합되는 원통형의 우림망 지지체와, 상기 바디에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우림망 지지체와 상기 안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car body may include a cylindrical rain forest net support to which the rain forest net is coupled, a mount portion that is seated on the body, and a connection portion that connects the rain forest net support and the mount portion.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다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소정의 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다.Here, a plurality of the connection portion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여기서, 상기 우림망의 일측은 개구되며, 개구된 부분은 상기 우림망의 개폐가 되도록 덮개가 탈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one side of the rain forest net is opened, and a lid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opened portion so that the rain forest net can be opened and closed.
여기서, 상기 받침대의 중심에는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중심 및 상기 바디의 상단은 상기 요홈부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a recess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edestal, and a center of the cover and an upper end of the body are formed with projections which can be fixed by being coupled with the reces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는, 상단 보다 하단 폭이 크고, 상기 하단은 개구되며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바디와; 상기 바디 하단의 나사산에 결합되거나 상기 바디의 상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와; 티백이나 차잎을 담고 액체에 우려지도록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우림망이 형성되어 상기 바디의 하단 내부에 안착되는 우림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glass and bottle switching tumb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 car has a body having a bottom width larger than that of the upper end, a lower end opened, a thread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and capable of receiving contents; A cover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body or detachably coupled to the top of the body; And a rain forest formed by a rain forest net containing a tea bag or a tea leaf and having a plurality of holes formed therein so as to be disturbed by the liquid, and is mounted inside the lower end of the body.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티백이나 찻잎을 채우고 우려내어 음용할 수 있고, 티백이나 찻잎을 넣어둔 상태에서 우려낸 후 티백이나 찻잎을 제거하는 일 없이 그대로 음용이 가능하며, 티백이나 찻잎을 우려낼 때에는 용기의 형태를 취하고 다 우려낸 후 음용시에는 글라스나 컵의 형태로 바꾸는 것이 가능한 휴대용 텀블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rink a tea bag or a tea leaf, and to drink it without worrying, and it is possible to drink without removing the tea bag or the tea leaves after the tea bag or the tea leaves are left in the state of putting i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rtable tumbler which can take the form of a container and take it out and change it into a glass or a cup when drinking.
또한, 용기의 형태를 글라스 와이잔의 형태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하여 심미감을 더할 수 있고, 심플한 구성으로 저비용의 생산이 가능하며, 언제 어디에서 반복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잇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container can be converted into the shape of a glass wedge so that aesthetic sense can be added, and a simple structure can be produced at a low cost, and it can be used repeatedly at any place at any time.
또한, 망사형 티백 케이스를 사용하여 티백이나 찻잎의 우려내는 시간 및 우려나는 양의 정도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using the mesh-type tea bag cas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carry out the time and concern amount of concern about the tea bag or the tea lea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의 차 우림체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따른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의 차 우림체 단면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의 사용 동작 예시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lass and bottle switching type tumbler for car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lass and bottle switching type tumbler for use in a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etailed view of a car body of a glass and bottle switching type tumbler for car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ehicle body of a glass and bottle switching type tumbler for a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using a glass and a bottle switching type tumbler for a ca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의 구조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첨부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그에 수반하는 도면들과 연관하여 읽히게 되며, 도면은 전체 발명의 설명에 대한 일부로 간주된다. 방향이나 지향성에 대한 언급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의도를 갖지 않는다.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read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considered a part of the description of the entire invention. The reference to direction or orientation i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ny way.
구체적으로, "아래, 위, 수평, 수직, 상측, 하측, 상향, 하향, 상부, 하부" 등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나, 이들의 파생어(예를 들어, "수평으로, 아래쪽으로, 위쪽으로" 등)는, 설명되고 있는 도면과 관련 설명을 모두 참조하여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이러한 상대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장치가 특정 방향으로 구성되거나 동작해야 함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Specifically, terms indicating positions such as "lower, upper, horizontal, vertical, upper, lower, upper, lower, upper, lower ", or their derivatives (e.g.," horizontally, Etc.) should be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both the drawings and the associated description. In particular, such a peer is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es not require that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be constructed or operated in a specific direction.
또한, "장착된, 부착된, 연결된, 이어진, 상호 연결된" 등의 구성 간의 상호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개별 구성들이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부착 혹은 연결되거나 고정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고, 이는 이동 가능하게 부착, 연결, 고정된 상태뿐만 아니라, 이동 불가능한 상태까지 아우르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the term " attached, attached, connected, connected, interconnected ", or the like,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individual components are directly or indirectly attached, And it should be understood as a term that encompasses not only a movably attached, connected, fixed state but also a non-movable stat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lass and a bottle switching type tumb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lass and bottle switching type tumbler for a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100)는 바디(110), 커버(120), 받침대(130) 및 우림체(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1 and 2, a glass and bottle
"아래, 위, 수평, 수직, 상측, 하측, 상향, 하향, 상부, 하부" 등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는 도 1의 (A)를 기준으로 설명된다.The terms indicating positions such as "lower, upper, horizontal, vertical, upper, lower, upward, downward, upper, lower" and the like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의 (A)는 용기의 형태를 갖으며, 도 1의 (B)는 글라스(또는 컵)의 형태를 갖을 때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서는 (A)에서 (B)로, 또는 (B)에서 (A)로 전환되는 것이 가능한 텀블러를 제공한다.1 (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a glass (or cup), and FIG. 1 (A) ) To (A). ≪ / RTI >
바디(100)는 일반적인 용기와 같은 액체를 담을 수 있는 형태이며, 재질은 합성수지재일 수 있다. 다만, 바디(100)는 용기이면서 한편으론 컵의 형태로 전환되므로 와인잔을 뒤집어 놓은 형태의 형상을 갖는 것이 본 발명을 구현하는 데 있어 바람직할 것이다.The
커버(120)는 바디(100)의 하단에 탭 체결되어 바디(100)의 하단 개구부를 밀폐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또한 받침대(130)를 임시적으로 홀딩할 수 있도록 한다.The
받침대(130)는 커버(13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임시적으로 커버(130)에 장착된 상태에서, 글라스로 전환할 때 바디(100)의 뾰족한 선단부분에 끼워져 컵 받침 형태로 기능을 한다.The
우림체(140)는 바디(100)의 하단 내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며, 티백이나 차잎을 담아 물에 우려낼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The
티백이나 차를 우릴 때에는 도 1의 (A)와 같은 위치로 놓여지고, 다 우려낸 차를 음용할 때는 도 1의 (B)와 같은 위치로 방향을 전환하여 사용하게 된다.When the tea bag or tea is used, it is placed in the same position as shown in FIG. 1 (A). When drinking the tea that has been taken out, the direction is switched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도 1 (A)는 용기의 디자인 형태를 갖으며, 도 1 (B)는 글라스 형태의 디자인을 갖도록 형성된다. 물론, 용기나 글라스의 모양은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Fig. 1 (A) has a container design and Fig. 1 (B) is a glass design. Of course, the shape of the container or glass can be varied.
도 2를 참조하면, 바디(110)의 하단부에는 커버(120)를 탭 체결할 수 있는 탭(112)이 형성되며, 상단부는 받침대(13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요철 돌기 형태의 선단 돌기부(111)로 이루어진다.2, a
커버(120)는 외측 중심에 받침대(130)와 체결될 수 있는 돌기 형태의 중앙 돌기부(121)가 형성되며, 내측에는 바디(110)의 탭(112)과 체결될 수 있는 탭(미도시)이 형성된다.The
중앙 돌기부(121)는 선단 돌기부(111)와 그 외곽 형상이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요홈부(131)에 결합되므로 돌기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요홈부(131)에 셀프 락킹되도록 돌기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받침대(130) 중심에 형성된 요홈부(131)가 번갈아 끼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의 차 우림체의 세부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따른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의 차 우림체 단면 구조도이다.FIG. 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view of a tea tumbler of a glass and a bottle switching type tumb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ea- It is a structural diagram.
도시된 바와 같이, 차 우림체(140)는 안착부(210), 덮개(220) 및 우림망(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the
안착부(210)는 바디(110)의 하단 내측 탭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외주연으로 단차가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120)의 내측가 맞닿도록 내주연에 단차가 형성된 단차라인(212)을 포함하는 고정체(211)와, 우림망(230)을 고정시키기 위한 우림망 지지체(213)와, 고정체(211)와 우림망 지지체(213)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214)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연결부(214)는 서로 이격되어 다수개로 형성되며, 연결부(214) 간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을 통해 액체가 용기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또한 용기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The
우림망(230)은 우림망 지지체(213)의 하단에 결합 또는 접합에 의해 고정되며, 우림망(230)은 재질은 금속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수의 홀이 형성된다.The
우림망(230)을 합성수지재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나, 다수의 홀을 형성함에 있어 금속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홀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최소화된 홀은 차잎의 작은 찌꺼기들을 배출시키지 않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Although the
우림망(230) 반구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측 부분은 개구된 상태이고 개구된 부분을 통해 티백이나 차잎이 투입될 수 있다.The
개구된 부분은 티백이나 차잎이 투입된 후 덮개(220)에 의해 닫혀지며, 덮개(220)는 탈부착이 가능하여 언제든지 티백이나 차잎을 교환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opened portion is closed by the
도 1 내지 도 4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받침대(130)를 별개로 형성하여 컵 받침대로 사용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구현하는 데 있어서 받침대를 생략하고 커버(120) 자체를 받침대로 활용할 수도 있다.1 to 4, an example in which the
이때에는 커버가 바디(110)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덮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바디(110)의 선단 돌기부(111)와 체결되어 컵 받침대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렇게 하려면, 커버의 중심에는 중앙 돌기부(121)가 아닌 받침대(130)의 요홈부(131)와 같은 요홈이 형성되어야 할 것이며, 받침대 모양을 갖는 형태로 변환될 수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the cover serves not only to cover the opening of 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의 사용 동작 예시도이다.5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using a glass and a bottle switching type tumbler for a ca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텀블러의 사용 예를 살펴본다. 텀블러(100)가 (B) 상태로 놓인 경우를 기준으로 바디(110)의 윗 부분을 상측, 아랫 부분을 하측으로 설명한다.5, a use example of the tumb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upper portion of the
먼저, 우림망(230) 내부로 티백이나 차잎(240)을 담는다. 티백이나 차잎(240)을 담을 때에는 커버(120)를 연 상태에서 투입되며, 바디(110)는 상하가 뒤집힌 상태로 놓이게 된다(A).First, the tea bag or the tea leaves 240 are put into the
티백이나 차잎(240)이 투입된 후 물을 넣은 후 커버(120)를 닫는다. 그 후 티백이나 차잎(240)이 우려나도록 바디(110)를 180도 뒤집어 원위치로 세워 놓는다(B). After the tea bag or
어느 정도 티백이나 차잎(240)이 물에 우려난 경우, 커버(120)로부터 받침대(130)를 분리시킨 후 다시 바디(110)를 180도 회전을 시킨다(C).When the tea bag or the
그리고, 바디(110)의 선단 돌기부(111)를 받침대(130)의 요홈부(131)에 끼워 세운다(D). The
커버(120)를 돌려 바디(110)를 개봉한 후 음용을 한다(E). (E)상태는 텀블러(100)가 글라스(또는 컵) 형태로 전환된 모양을 취한다.Rotate the
이로서, 본 발명의 텀블러(100)는 (B)의 상태에서는 용기(병)의 형상을 갖게 되고, (E)의 상태에서는 글라스(컵)의 형상을 갖게 되어 용기(병)에서 글라스(컵)으로 전환이 가능하고 반대로 글라스(컵)에서 용기(병)으로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As a result, the
용기에서 글라스로, 글라스에서 용기로 전환하는 것은 사용자의 사용 목적에 맞게 얼마든 지 자유자재로 변경이 가능하다.Switching from container to glass or from glass to container can be changed freely to suit your need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s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ing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It is intende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텀블러 110 : 바디
120 : 커버 130 : 받침대
140 : 우림체 210 : 안착부
220 : 덮개 230 : 우림망 100: Tumbler 110: Body
120: cover 130: pedestal
140: rain body 210: seat part
220: cover 230: rain forest
Claims (7)
상기 하단의 나사산에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면 또는 상기 바디의 상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대와;
티백이나 차잎을 담고 액체에 우려지도록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우림망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하단 내부에 안착되는 우림체;를 포함하고,
상기 우림망과 상기 바디의 연결을 매개하는 연결부가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다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소정의 공간을 형성시키며, 상기 공간을 통해 액체가 용기 내외부로 출입될 수 있는,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A body having a lower end width larger than the upper end, a lower end opened, a thread formed on an outer periphery, and capable of receiving contents;
A cover coupled to the lower thread;
A pedestal detachably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cover or an upper end of the body;
And a rainforest body formed with a rain forest net containing a tea bag or a tea leaf and having a plurality of holes so as to be disturbed by the liquid,
Wherein a plurality of the connecting port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and the liquid is allowed to flow into and out of the container through the space, And a bottle switching type tumbler.
상기 우림망은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반구 형태이며,
상기 바디의 하단 측 방향으로 개구된 형태인,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ain forest network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has a hemispherical shape,
Wherein the tumbler is opened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상기 우림체는 상기 우림망이 결합되는 원통형의 우림망 지지체와, 상기 바디에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우림망 지지체와 상기 안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in forest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rain forest net support to which the rain forest net is connected, a seat portion that is seated on the body, and a connection portion that connects the rain forest net support and the seat portion, .
상기 우림망의 일측은 개구되며, 개구된 부분은 상기 우림망의 개폐가 되도록 덮개가 탈부착되는,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ne side of the rain forest net is open and the open portion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rain forest net so as to open and close the rain forest net.
상기 받침대의 중심에는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중심 및 상기 바디의 상단은 상기 요홈부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recess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edestal,
Wherein the center of the cover and the upper end of the body are formed with protrusions which can be fixedly engaged with the recessed portions.
상기 바디 하단의 나사산에 결합되거나 상기 바디의 상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와;
티백이나 차잎을 담고 액체에 우려지도록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우림망이 형성되어 상기 바디의 하단 내부에 안착되는 우림체;를 포함하고,
상기 우림망과 상기 바디의 연결을 매개하는 연결부가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다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소정의 공간을 형성시키며, 상기 공간을 통해 액체가 용기 내외부로 출입될 수 있는,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A body having a lower end width larger than the upper end, the lower end opened, a thread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and capable of receiving contents;
A cover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body or detachably coupled to the top of the body;
And a rainforest formed by a rain net having a plurality of holes formed therein to receive a tea bag or tea leaves so as to be disturbed by the liquid and to be seated inside the lower end of the body,
Wherein a plurality of the connecting port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and the liquid is allowed to flow into and out of the container through the space, And a bottle switching type tumbl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0056A KR101843468B1 (en) | 2015-10-28 | 2015-10-28 | Tumbler having changable function of glass and bottle for drinking tea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0056A KR101843468B1 (en) | 2015-10-28 | 2015-10-28 | Tumbler having changable function of glass and bottle for drinking tea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49109A KR20170049109A (en) | 2017-05-10 |
KR101843468B1 true KR101843468B1 (en) | 2018-04-03 |
Family
ID=58743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50056A Expired - Fee Related KR101843468B1 (en) | 2015-10-28 | 2015-10-28 | Tumbler having changable function of glass and bottle for drinking tea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4346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56099B1 (en) | 2021-12-31 | 2022-10-18 | 성도테크 주식회사 | The bottle container which can distribute wat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688945A (en) * | 2018-07-18 | 2018-10-23 | 安顺市平坝区高山云雾茶有限公司 | A kind of tea packaging box of tealeaves easy to carry and water |
-
2015
- 2015-10-28 KR KR1020150150056A patent/KR10184346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56099B1 (en) | 2021-12-31 | 2022-10-18 | 성도테크 주식회사 | The bottle container which can distribute wat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49109A (en) | 2017-05-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05589B2 (en) | Two-in-one drinking vessel | |
KR20150074521A (en) | Receipt case of a tea bag for mineral water case | |
KR101450181B1 (en) | Cup lid for mounting of the capsule | |
KR101843468B1 (en) | Tumbler having changable function of glass and bottle for drinking tea | |
JP3185488U (en) | Portable beverage container | |
KR20090005514U (en) | Portable tea containers | |
KR101903859B1 (en) | Vehicle holder | |
CN203753520U (en) | Vessel | |
CN202489436U (en) | Shaking cup with storage function | |
US11058248B2 (en) | Beverage brewing apparatus and container including a fragile inner container | |
JP2007244541A (en) | Vessel | |
US10899528B2 (en) | Fluid dispensing bottle cap and bottle system | |
CN103300671B (en) | A kind of cup lid of beverage cup | |
KR20170123187A (en) | Tumbler | |
KR101956915B1 (en) | Multi funtional plastic bottle | |
KR200491426Y1 (en) | Take-out A disposable receptacle | |
CN209058244U (en) | A kind of Portable cup | |
KR200474750Y1 (en) | The container having different beverages in it located on the top of a cup | |
KR200358174Y1 (en) | A folding cup | |
KR101391783B1 (en) | Double cup | |
JP3197073U (en) | Drip equipment | |
KR200425832Y1 (en) | Multistructure | |
KR200429845Y1 (en) | Portable Cup Storage Container with Bottle Opener | |
CN211022043U (en) | Cup with cup body | |
KR102192860B1 (en) | Tumbl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E0801 | Dismissal of amend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2-nap-PE0801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2103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
|
K11-X000 | Ip right revival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0324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3-oth-PR04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2203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
|
K11-X000 | Ip right revival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0324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3-oth-PR04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2303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K11-X000 | Ip right revival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0324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3-oth-PR04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P15-X000 | Request for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jec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5-nap-X000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
|
Q16-X000 |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
|
S14-X000 | Exclusive voluntary licens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S10-S14-lic-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