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43134B1 - Method for waiting mode service to connect between lines - Google Patents

Method for waiting mode service to connect between lin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134B1
KR101843134B1 KR1020160084005A KR20160084005A KR101843134B1 KR 101843134 B1 KR101843134 B1 KR 101843134B1 KR 1020160084005 A KR1020160084005 A KR 1020160084005A KR 20160084005 A KR20160084005 A KR 20160084005A KR 101843134 B1 KR101843134 B1 KR 101843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erminal
waiting
call waiting
calling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0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04451A (en
Inventor
이동원
Original Assignee
이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원 filed Critical 이동원
Priority to KR1020160084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134B1/en
Publication of KR20180004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4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13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04M1/72522
    • H04M1/7258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통화대기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발신 단말로부터 호(Call) 수신을 하는 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화 대기가 선택된 경우, 호 연결은 지속하되 통화는 연결하지 않는 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화 연결이 선택된 경우, 발신 단말과 수신 단말의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providing a call waiting service, comprising the steps of: receiving a call from a calling terminal; maintaining a call connection but not a call if a call waiting is selected through a user interface; And if so, connecting the call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Description

통화대기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WAITING MODE SERVICE TO CONNECT BETWEEN LINES}METHOD FOR WAITING MODE SERVICE TO CONNECT BETWEEN LINES < RTI ID = 0.0 >

본 발명은 통화대기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호 연결 후 통화가 연결되기 전 통화대기 모드를 가지게 하여 통화가 끊어지지 않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 call waiting ser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eventing a call from being interrupted by having a call waiting mode before a call is connected after a call connection.

최근, 이동 단말 간의 통화가 빈번해지면서, 통화를 거절하거나 수신하도록 선택하는 인터페이스가 대중화되고 대부분의 단말에서 채용하고 있으나, 호는 연결하되 통화는 대기하는 모드가 존재하지 않아 몇 초 또는 몇 분 후의 통화를 원하는 사람들은 다시 전화를 걸거나 해야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In recent years, as the number of calls between mobile terminals has increased, an interface for selecting or rejecting a call has become popular and adopted by most terminals. However, Those who wanted to have a phone call or had to make a hassle.

이때, 통화대기 서비스는 통화중 발신자 또는 수신자가 상대방의 통화대기를 요청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 2015-0090641호(2015.08.06 공개)에는, 호 요청이 발생하면, 발신자의 발신 이력을 분석하여 착신자와 연관관계에 있는 연관 통화자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연관 통화자 정보를 통화대기중에 전송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call waiting service is performed in such a manner that a caller or a receiver in the call requests a call of the other party. In this regar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5-0090641 (published on Aug. 20, 2015) discloses a method of generating caller information related to a called party by analyzing a calling history of a caller when a call request is generated, And transmitting the associated caller information during call waiting.

다만, 통화가 몇 초 내에 이루어질 수 있으나, 당장은 응답할 수가 없는 상황인 경우에도, 통화 거절 또는 통화 수신 밖에는 인터페이스가 존재하지 않아서, 도서관에서 전화를 받고 나가다가 끊겨 다시 전화를 해야하거나, 회의실에서 응답을 할 수 없는 분위기에서 전화를 받는 경우, 착신자가 소리를 내지 않아도, 상대방 측에서 소리를 내어 회의 분위기를 망치는 경우가 많아, 사용자들은 대부분 전화받기를 포기하거나 다시 나가서 전화를 하는 등의 불편함이 많았다.However, even if the call can be made within a few seconds, but the situation can not be answered right now, the interface does not exist except for the call rejection or call reception, so the library must receive the call, In many cases, when a call is received in an atmosphere in which an answer can not be made, the called party often makes a sound from the other party to ruin the atmosphere of the meeting. Therefore, most of the users abandon the call, There were many.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통화가 연결되기 전 통화대기모드를 제공함으로써, 몇 초 이내에 응답은 가능하나 지금 당장은 응답이 불가한 상태에서, 상대방이 전화를 끊기를 원하지 않고, 호 연결은 지속하고자 하는 경우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고, 발신자도 상대방이 응답하기만을 지속적으로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발신 단말에서 이용가능한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도록 멀티태스킹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발신자 및 수신자 모두 호 연결률을 높이고,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대기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ll standby mode before a call is connected so that the call can be answered within a few seconds but the caller does not want the call to be disconnected The calling party can not only wait for the other party to respond but also provides a multitasking interface so that the calling terminal can use a program available in the calling terminal so that both the calling party and the called party can increase the call connection rate , And can provide a method of providing a call waiting service, which enables efficient use of time.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발신 단말로부터 호(Call) 수신을 하는 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화 대기가 선택된 경우, 호 연결은 지속하되 통화는 연결하지 않는 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화 연결이 선택된 경우, 발신 단말과 수신 단말의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transmitting a call from a calling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when a call waiting is selected through a user interface, And connecting a call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when the call connection is selec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통화가 연결되기 전 통화대기모드를 제공함으로써, 몇 초 이내에 응답은 가능하나 지금 당장은 응답이 불가한 상태에서, 상대방이 전화를 끊기를 원하지 않고, 호 연결은 지속하고자 하는 경우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고, 발신자도 상대방이 응답하기만을 지속적으로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발신 단말에서 이용가능한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도록 멀티태스킹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발신자 및 수신자 모두 호 연결률을 높이고,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통화대기모드를 통화 연결 후에는 통화중 대기모드 기능으로 자동전환되도록 하여, 통화중에는 언제든지 통화중 대기모드를 이용하여 통화를 잠시 멈출 수 있게 함으로써, 통화의 끊김으로 인한 불필요한 시간 허비를 없앨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mentioned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all standby mode before a call is connected, so that a response can be made within a few seconds. However, By providing a multitasking interface that allows the calling party to use the available programs at the calling terminal instead of waiting for the other party to respond, the caller and recipient It can increase the call connection rate, use the time efficiently, and automatically switch the call standby mode to the call standby mode after the call connection, so that you can pause the call at any time during the call By doing so, you can eliminate unnecessary time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신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대기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대기 서비스가 구현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대기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all waiting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eceiving terminal shown in 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 call wait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a call wait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call waiting ser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as other elements, And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The terms "about "," substantially ", etc. used to the extent that they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used in their numerical value or in close proximity to their numerical values when the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stated meanings are presented, Accurate or absolute numbers are used to help prevent unauthorized exploitation by unauthorized intruders of the referenced disclosure. The word " step (or step) "or" step "does not mean" step for. &Quot;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 part "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by using both. Further, one unit may be implemented using two or more hardware, or two or more units may be implemented by one hardware.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a terminal, a device, or a device may be performed instead in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device, or device. Likewise,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also be performed in a terminal, device or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in the mapping or matching with the terminal are mapping or matching the unique number of the terminal, which is the identification data of the terminal, o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ndividual . ≪ / RTI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화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수신 단말(100), 통화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발신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통화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all waiting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Referring to FIG. 1, a call waiting service providing system 1 may include a receiving terminal 100, a call wai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a calling terminal 400. However, since the call waiting service providing system 1 of FIG. 1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FIG.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통화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수신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발신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통화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수신 단말(100), 및 발신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발신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수신 단말(100)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발신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통화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고, 통화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또는 직접 수신 단말(100)과 연결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FIG. 1 are generall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2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receiving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the call wai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The receiving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the calling terminal 400 through the network 200. [ Here, the call wai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connected to the receiving terminal 100 and the calling terminal 400 through the network 200. In addition, the calling terminal 400 can be connected to the receiving terminal 100 through the network 200. The calling terminal 400 may be connected to the call wai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and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receiving terminal 100 via the call wai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

여기서, 네트워크(200)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0)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수신 단말(100), 통화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발신 단말(400)은, 도 1에 도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network 200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nodes such as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servers. One example of such a network 200 is a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network, A 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 network, a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network, an Internet, a LAN (Local Area Network), a Wireless LAN (Local Area Network) But are not limited to, a wide area network (PAN), a personal area network (PAN), a Bluetooth network, a satellite broadcast network, an analog broadcast network, and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network. The receiving terminal 100, the call wai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the calling terminal 400 shown in FIG. 1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FIG.

수신 단말(100)은, 통화대기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수신 단말(100)은, 발신 단말(400)로부터 호(Call) 수신을 하는 경우, 통화대기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수신 단말(100)은, 발신 단말(400)과 통화중인 경우에도 통화대기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수신 단말(100)은, 통화대기 서비스를 이용할 때, 수신 인터페이스로부터 통화대기 인터페이스 측으로 슬라이드하는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고, 통화대기 해제를 할 때에는 통화대기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 인터페이스 측으로 슬라이드하는 터치를 입력받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수신 단말(100)은, CS 망 또는 LTE 망을 이용하여 호(Call) 수신을 하는 경우에도 모두 통화대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The receiving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of a user using a call waiting service. The receiving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using a call waiting service when receiving a call from the calling terminal 400. [ Also, the receiving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using a call waiting service even when the calling terminal 400 is in a call. When using the call waiting service, the receiving terminal 100 can receive a touch sliding from the receiving interface to the call waiting interface side. When the call waiting release is performed, the receiving terminal 100 inputs a touch sliding from the call waiting interface to the receiving interface side Lt; / RTI > Also, the receiving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that can use a call waiting service even when receiving a call using the CS network or the LTE network.

여기서, 수신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신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수신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receiving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connecting to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200. [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notebook,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on which a WEB browser is installed. At this time, the receiving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connecting to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200. [ The receiving terminal 100 i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guaranteed to be portable and mobility, for example, as a navigation device, 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a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2000,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A handheld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martphone, a smartpad, a tablet PC, and the like.

통화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통화대기 서비스 웹 페이지,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앱 페이지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신 단말(100) 및 발신 단말(4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통화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발신 단말(400)로부터 수신 단말(100)로부터 호 발신이 수신되거나, 수신 단말(100)에서 통화중인 경우, 통화대기 서비스가 실행될 수 있도록 호는 연결하되 통화는 정지하는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는, 통화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통화대기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만을 수신 단말(100) 및 발신 단말(400)로 전송하고, 업데이트되는 데이터를 수신 단말(100) 및 발신 단말(4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통화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통신사 서버일 수도 있고, 단말 제조사 서버일 수도 있다. 또는, 통화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서버인 경우, 수신 단말(100)의 호 수신은 유지하되, 통화만 연결되지 않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도 있다. 이때, 통화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ll wai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for transmitting a call waiting service web page, a program, an application, an application page, and a user interface to the receiving terminal 100 and the calling terminal 400. When the call origin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receives a call origination call from the calling terminal 400 or is calling from the calling terminal 100, the call wai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ransmits a call connection request However, the call may cause an event to stop. Alternatively, the call wai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ransmits only the call waiting service providing program or application to the receiving terminal 100 and the calling terminal 400, and transmits the updated data to the receiving terminal 100 and the calling terminal 400, Lt; / RTI > At this time, the call wai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or a terminal manufacturer server. Alternatively, when the call wai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s a server providing an application or a program, the server may be a server that maintains call recep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100 but provides a service for not connecting only the call. At this time, the call wai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connecting to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200. [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notebook,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on which a WEB browser is installed.

발신 단말(400)은, 수신 단말(100)로 발신 호를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수신 단말(100)에서 통화대기가 이루어진 경우, 호 연결 이외에도 발신 단말(400)에서 사용가능한 기능을 멀티태스킹으로 가능하도록 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발신 단말(400)은, 수신 단말(100)에서 통화대기 해제가 된 경우, 통화대기 해제에 대한 알림 콘텐츠를 출력하고, 알림 콘텐츠를 터치하는 경우, 통화 화면으로 복귀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발신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발신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발신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lling terminal 400 may be a terminal that transmits an outgoing call to the receiving terminal 100. When a call is queued in the receiving terminal 100, it may be a terminal that enables a function available in the calling terminal 400 by multitasking in addition to a call connection. The calling terminal 400 may be a terminal that outputs a notification content for canceling call waiting when the call waiting release is canceled at the receiving terminal 100 and returns to the call screen when the notification content is touched. Here, the calling terminal 400 can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that can access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200. [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notebook,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on which a WEB browser is installed. At this time, the calling terminal 400 can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connecting to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200. [ For example, the calling terminal 400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guaranteed portability and mobility, such as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2000,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A handheld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martphone, a smartpad, a tablet PC, and the lik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신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대기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대기 서비스가 구현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 call wait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nd 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all wait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a call wait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100)은, 수신부(110), 연결 대기부(120), 연결대기 해제부(130), 통화대기 관리부(140), 콘텐츠 출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receiving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ing unit 110, a connection waiting unit 120, a connection waiting releasing unit 130, a call waiting managing unit 140, (15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 또는 통화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수신 단말(100) 또는 발신 단말(400)로 통화대기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수신 단말(100) 또는 발신 단말(400)은, 통화대기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수신 단말(100) 또는 발신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The call wai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or the other server (not shown) operating in cooperation with the call wai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call to the receiving terminal 100 or the calling terminal 400 When transmitting a standby service providing application, a program, an application page, a web page, etc., the receiving terminal 100 or the calling terminal 400 can install or open a call waiting service providing application, a program, an app page, have. Also, a service program may be executed in the receiving terminal 100 or the calling terminal 400 using a script executed in a web browser. Here, a web browser is a program that enables a WWW (World Wide Web) service, and is a program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hypertext described in hypertext mark-up language (HTML), for example, Netscape (Netscape) An Explorer, chrome, and the like. Further, the application refers to an application on the terminal, for example, an app (app) running on a mobile terminal (smart phone).

이때, 네트워크(200)의 연결은, 수신 단말(100), 통화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발신 단말(400)이, 네트워크(200)로 연결되어 있는 단말과 통신을 위해 통신 접점에 통신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통화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통신 객체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of the network 200 can be established by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object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network 200, the receiving terminal 100, the call wai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the calling terminal 400. [ ≪ / RTI > The call wai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can exchange data with each other through a communication object.

이하에서는, 수신 단말(100)에서 구현되는 통화대기 서비스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call waiting service implemented in the receiving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수신부(110)는, 발신 단말(400)로부터 호(Call) 수신을 할 수 있다.The receiving unit 110 can receive a call from the calling terminal 400. [

연결 대기부(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화 대기가 선택된 경우, 호 연결은 지속하되 통화는 연결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도서관이어서 바로 응답을 하지 못하는 경우나, 세미나 또는 회의중이어서 바로 응답은 못하지만, 도서관 또는 회의실에서 나가는 시간이 필요한 경우, 모바일로의 호 발신 시간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나가는 도중에 전화가 끊기는 경우가 많다. 또한, 수신을 했다고 할지라도, 바로 응답을 하지 않는 경우, 상대방에서 응답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음성이 크게 울릴 수 있고, 응답이 없는 경우 통화를 끊어버리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대기 서비스는, 호 연결은 유지하되, 통화대기 상태로 돌려둠으로써, 몇 초 또는 몇 분 간 상대방으로 하여금 착신자가 통화는 원하되, 통화가 이루어지기까지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도록 함으로써, 다시 전화를 걸지 않아도 통화가 유지되도록 한다.When the call waiting is selec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the connection waiting unit 120 may continue the call connection but not connect the call. In other words, if you can not answer immediately because you are in the library, you can not answer immediately because you are in a seminar or meeting, but you need time to leave the library or conference room. many. In addition, even if the reception is made, in the case of not responding immediately, a voice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a response is made in the other party may be made loud, and a call is often disconnected in the absence of a response. Accordingly, the call wait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a call connection, but returns it to a call waiting state, thereby allowing the other party to call the called party for a few seconds or several minutes until the call is made So that the call is maintained without having to call again.

덧붙여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대기 서비스는, 통화가 연결되기 전에도 통화대기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통화중에도 통화대기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통화 전에는 호는 연결하되 통화는 연결하지 않는 상태로 통화가 시작하지 않았지만, 통화가 시작하고 난 후, 통화와 호 모두 연결된 상태일지라도, 통화 전 통화대기 서비스는 자동으로 통화중 통화대기 서비스로 변경됨으로써, 통화를 잠시 멈추기 위한 통화대기 모드를 제공하고, 상사의 컨펌이 필요하거나 통화를 잠시 멈춰야하지만 통화를 종료하는 상태가 아닌 경우의 통화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all wait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ll waiting service even before a call is connected, but provides a call waiting service even during a call. That is, before the call, the call is connected but the call is not connected. However, even if both the call and the call are connected after the call starts, the call waiting service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call waiting service Thereby providing a call waiting mode for pausing the call and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the call when the supervisor needs to confirm or stop the call but does not end the call.

이때, 호 연결은 수신 단말(100)에서 발신 단말(400)의 호(Call) 요청에 응답하여 수신 단말(100)과 발신 단말(400)의 CS 망 또는 LTE 망 통화가 연결된 상태이고, 통화 연결은, 발신 단말(400)에서 수신 단말(100)과 음성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상태의 연결일 수 있다. 이때, 직접 CS 망을 이용한 통화 이외에도, 데이터를 이용한 통화도 있을 수 있으므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통화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다만, LTE 망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어떠한 속도의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것과 상관없이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가능하다는 것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In this case, the call connection is a state in which the CS network or the LTE network call of the receiving terminal 100 and the calling terminal 400 are connected in response to a call request of the calling terminal 400 in the receiving terminal 100, May be a conn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calling terminal 400 can exchange voice data with the receiving terminal 100. [ At this time, in addition to the call using the direct CS network, there may be a call using data,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all using an applica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LTE network, and it will be obvious that the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rrespective of the network at any speed.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수신 인터페이스 및 거절 인터페이스 사이에 통화대기 인터페이스를 의미하고, 호 연결은 지속하되 통화는 연결하지 않는 통화대기 인터페이스는, 수신 인터페이스로부터 통화대기 인터페이스로 슬라이드하는 터치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이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user interface means a call waiting interface between the receiving interface and the refusal interface, and the call waiting interface that continues the call connection but does not connect the call may be a touch sliding from the receiving interface to the call waiting interface.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other user interfaces may be used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연결대기 해제부(1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화 연결이 선택된 경우, 발신 단말(400)과 수신 단말(100)의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수신 인터페이스 및 거절 인터페이스 사이에 통화대기 인터페이스를 의미하고, 통화는 연결하지 않는 상태에서 통화 연결을 선택하는 경우의 통화대기 인터페이스는, 통화대기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 인터페이스로 슬라이드하는 터치이고, 호 연결이 지속된 상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선택된 경우, 통화 화면으로 전환되지 않을 수 있다.The connection waiting releasing unit 130 can connect the call of the calling terminal 400 and the receiving terminal 100 when the call connection is selec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At this time, the user interface means a call waiting interface between the receiving interface and the refusal interface, and the call waiting interface in the case of selecting the call connection without connecting the call is a touch sliding from the call waiting interface to the receiving interface , If the user interface is selected while the call connection is continued, the call screen may not be switched.

즉, 통화대기 모드에서 통화대기 해제 모드로 전환될 때에는, 통화중일지라도 할지라도 수신 인터페이스 및 통화대기 인터페이스가 화면에 표시가 되어야, 통화대기를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통화는 연결하지 않는 상태, 즉 통화중 통화대기 모드를 선택한 후, 통화 연결을 선택하는 경우, 즉 통화대기 해제를 원하는 경우에는, 통화대기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 인터페이스로 슬라이드하는 터치에 의해 통화대기 해제를 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인터페이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도 있다.That is, when switching from the call waiting mode to the call waiting release mode, the receiving interface and the call waiting interface must be displayed on the screen to release the call waiting even if the call is in progress. Therefore, when the call connection is selected after selecting the call standby mode during the call, that is, when the call waiting release is desired, the call waiting is canceled by the touch sliding from the call waiting interface to the reception interface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interface, but may be implemented by other interfaces.

통화대기 관리부(140)는, 연결대기 해제부(130)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화 연결이 선택된 경우, 발신 단말(400)과 수신 단말(100)의 통화를 연결한 이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오버레이하고, 오버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선택된 경우, 호 연결은 지속하되, 통화는 연결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통화대기 관리부(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화 연결이 선택되어 통화 대기가 해제된 경우, 발신 단말(400)과 수신 단말(100)의 통화를 재연결할 수 있다. 즉, 통화를 하는 도중, 다른 사람의 결제가 필요하거나 의견이 필요한 경우, 상대방을 대기모드로 전환할 경우가 있다. 이때, 통화중일지라도 통화대기를 선택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통화중 대기모드는 통화전 통화대기 서비스에서 통화가 연결된 경우 자동으로 전환될 수 있고, 사용자는 언제든지 통화중 대기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When the call connection is selec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in the connection waiting releasing unit 130, the call waiting management unit 140 displays the user interface on the screen after connecting the call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400 and the receiving terminal 100 If overlaid and the overlaid user interface is selected, the call connection may continue but the call may not be connected. The call waiting management unit 140 can reconnect the call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400 and the receiving terminal 100 when the call connection is selec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and the call waiting is canceled. In other words, in the middle of a call, when another person needs a payment or needs an opinion, the person may be put into a standby mode. At this time, the call waiting can be selected even during the call. At this time, the call waiting mode can be automatically switched when a call is connected in the call waiting service before the call, and the user can select the call waiting mode at any time.

여기서, 통화대기 관리부(140)는, 오버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선택된 경우, 호 연결은 지속하되, 통화는 연결하지 않은 이후, 발신 단말(400)은 통화는 연결되지 않는 상태에서 다른 단말로의 호 발신, 다른 단말로부터의 호 수신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고, 수신 단말(100)에서 통화 대기가 해제된 경우, 발신 단말(400)의 실행 화면 상에 통화 대기 해제라는 아이콘을 오버레이(Overlay)하고, 오버레이된 아이콘을 터치하는 경우, 수신 단말(100)과의 통화 화면으로 전환되고, 통화 대기와 통화 대기 해제 사이의 발신 단말(400)에서 발생되는 소리 데이터는 수신 단말(100)로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Here, when the overlayed user interface is selected, the call waiting management unit 140 keeps the call connection, but after the call is not connected, the calling terminal 400 transmits a call to another terminal while the call is not connected , An icon indicating that call waiting is canceled is overlaid on the execution screen of the calling terminal 400 when the calling terminal is switched to a state capable of receiving a call and data communication from another terminal and the calling terminal is released from the calling terminal 100. [ When the overlaid icon is touched, the call screen is switched to the call receiving terminal 100, and the sound data generated at the calling terminal 400 between the call waiting and the call waiting release is not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terminal 100 I may not

즉, 상대방 단말인 발신 단말(400)은, 기다리기가 지루하거나, 기다리는 시간 동안 언제 상대방이 돌아올지 모르기 때문에, 자신의 일에 몰두할 수 없거나, 하염없이 상대방을 기다리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통화대기 모드 중에는 발신 단말(400)에서 다른 호 발신이나 메세지 발신 또는 수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기다리는 사람의 편의를 제공하도록 한다. 다만, 상대방이 돌아오는 것은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발신 단말(400)에서 다른 기능이 구현되고 있을지라도, 해당 화면 상에 통화대기가 해제되었다는 것을 출력함으로써, 발신 단말(400)도 다시 통화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calling terminal 400, which is the other party's terminal, may be inconvenient to wait for the other party because the caller terminal 400 can not be absorbed in his / her work because he or she does not know when the other party will return during the waiting period. Therefore, during the call standby mode, the calling terminal 400 is enabled to make another call origination or message transmission or reception, thereby providing the convenience of a waiting person. However, since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at the other party is returning, even if another function is implemented in the calling terminal 400, the calling terminal 400 also returns to the calling state by outputting that the call waiting is released on the corresponding screen .

콘텐츠 출력부(150)는, 연결 대기부(120)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화 대기가 선택된 경우, 호 연결은 지속하되 통화는 연결하지 않은 후, 발신 단말(400)로 통화 대기를 알리는 콘텐츠를 화면 또는 스피커로 출력하도록 통화 대기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When the call waiting is selec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at the connection standby unit 120, the content output unit 150 displays a content for notifying call waiting to the calling terminal 400 after the call connection is continued but the call is not connected, Or send call waiting content to output to a speaker.

그리고, 콘텐츠 출력부(150)는, 연결대기 해제부(130)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화 연결이 선택된 경우, 발신 단말(400)과 수신 단말(100)의 통화를 연결한 후, 발신 단말(400)로 통화 대기 해제를 알리는 콘텐츠를 화면 또는 스피커로 출력하도록 통화 대기 해제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call connection is selec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at the connection waiting releasing unit 130, the content output unit 150 connects the call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400 and the receiving terminal 100, ) To transmit the call waiting release content to the screen or the speaker to output the content informing the call waiting release.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대기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 method for providing a call wait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도 3을 참조하면, (a) 호 수신이 되는 경우의 수신 단말(100)은, 수신, 거절 및 대기 버튼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b) 수신 단말(100)에서 수신 인터페이스로부터 대기 인터페이스측으로 슬라이드하는 터치가 발생한 경우, (c) 수신 단말(100)과 발신 단말(400)의 호 연결은 된 상태이지만 통화는 가능하지 않은 통화대기 상태가 되며, 수신 단말(100) 및 발신 단말(400)에 모두 통화대기중임을 알리는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receiving terminal 100 in the case of (a) receiving a call can output a receiving, rejecting, and standby button. At this time, (b) when a touch to slide from the reception interface to the standby interface occurs in the reception terminal 100, (c) when the call connection between the reception terminal 100 and the transmission terminal 400 is established but the call is not possible It is possible to output a content indicating that the receiving terminal 100 and the calling terminal 400 are all waiting for a call.

그리고 나서, (d) 수신 단말(100)에서 대기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 인터페이스측으로 슬라이드하는 터치가 발생한 경우, (e) 통화대기가 해제되어 통화 및 호 연결이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f) 언제든지 통화대기 모드로 진입할 수 있도록, (e)의 화면에 통화대기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Then, (d) when a touch to slide from the standby interface to the receiving interface occurs in the receiving terminal 100, (e) the standby for the call is released, and a state of being able to establish a call and a call connection is possible. At this time, (f) the call waiting interface may be outputted on the screen of (e) so that the user can enter the call standby mode at any time.

또한, 도 4의 (a)를 참조하면, 수신 단말(100)은, 통화중 통화대기 인터페이스가 터치되는 경우, (b) 통화대기중이라는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고, 이때 호 수신이 처음된 상태와 같은 인터페이스가 출력되거나 또는 (c) 통화대기해제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수도 있다. 이때, (d) 발신 단말(400)은, 통화대기중인 경우, 다른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바로가기를 제공하고, (e) 통화대기중임을 알리되, 다른 기능은 사용하도록 하되, (f) 통화대기가 해제된 경우, 통화대기해제임을 알리고 통화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 및 출력할 수 있다.4 (a), when the call waiting interface is touched during the call, the receiving terminal 100 can output the content (b) calling waiting, and at this time, Or (c) a call waiting release interface may be output. At this time, (d) the calling terminal 400 provides a shortcut to use another function when it is in a call waiting state, (e) notifies that it is waiting for a call and uses another function, (f) When the standby is releas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d output an interface for notifying that the call waiting is canceled and returning to the call screen.

이와 같은 도 2 내지 4의 통화대기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통화대기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Since the method of providing the call waiting service of FIGS. 2 to 4 is not described, it can be easily deduced from the same or explained contents of the method of providing the call waiting service through FIG. 1,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대기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call waiting ser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수신 단말은, 발신 단말로부터 호 수신을 하고(S5100),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화 대기가 선택된 경우, 호 연결은 지속하되 통화는 연결하지 않는다(S5200).Referring to FIG. 5, the receiving terminal receives a call from the calling terminal (S5100). When the call waiting is selec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the call connection is continued but the call is not connected (S5200).

그리고 나서, 수신 단말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화 연결이 선택된 경우, 발신 단말과 수신 단말의 통화를 연결한다(S5300).Then, if the call connection is selec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the receiving terminal connects the call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S5300).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The order between the above-described steps S5100 to S5300 is merely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order between the above-described steps S5100 to S5300 may be mutually varied, and some of the steps may be executed or deleted at the same time.

이와 같은 도 5의 통화대기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통화대기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Since the method of providing the call waiting service shown in FIG. 5 can be easily derived from the same or described contents of the method of providing the call waiting service through FIGS. 1 to 4, Omit it.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대기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The call wait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an application executed by a computer or a command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 program module.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both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Communication media typically includes any information delivery media, including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in a modulated data signal such as a carrier wave, or other transport mechanism.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대기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대기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The method of providing a call wait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terminal (which may include a program included in a platform or an operating system basically installed in the terminal) (I.e., a program) directly installed on a master terminal by a user via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such as an application store server, an application, or a web server associated with the service. In this regard, the call wait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terminal or directly installed by a user (i.e., a program) Can be recorded on the medium.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Claims (7)

수신 단말에서 실행되는 통화 대기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로부터 호(Call) 수신을 하는 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화 대기가 선택된 경우, 호 연결은 지속하되 통화는 연결하지 않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화 연결이 선택된 경우, 상기 발신 단말과 수신 단말의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화 대기가 선택된 경우, 호 연결은 지속하되 통화는 연결하지 않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발신 단말로 통화 대기를 알리는 콘텐츠를 화면 또는 스피커로 출력하도록 통화 대기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 및
통화대기중인 경우 상기 발신 단말로 다른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바로가기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이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화 연결이 선택된 경우, 상기 발신 단말과 수신 단말의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발신 단말로 통화 대기 해제를 알리는 콘텐츠를 화면 또는 스피커로 출력하고 통화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통화대기해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통화 대기 서비스 제공 방법.
A call waiting service providing method executed by a receiving terminal,
Receiving a call from a calling terminal;
When call waiting is selec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the call connection is continued but the call is not connected;
And connecting a call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when a call connection is selec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If call waiting is selec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after the step of continuing the call connection but not connecting the call,
Transmitting call waiting content to the calling terminal to output a content informing the call waiting to a screen or a speaker;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a shortcut to use a different function with the calling terminal when a call is waiting,
If a call connection is selec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after connecting the call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And outputting a content informing the calling terminal of the call waiting release to a screen or a speaker and providing a call waiting release interface so as to return to the call scree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연결은 상기 수신 단말에서 발신 단말의 호(Call)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 단말과 발신 단말의 CS 망 또는 LTE 망 통화가 연결된 상태이고,
상기 통화 연결은, 상기 발신 단말에서 수신 단말과 음성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상태의 연결인 것인, 통화 대기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ll connection is a state in which the receiving terminal and the calling terminal are connected to the CS network or the LTE network in response to a call request from the calling terminal in the receiving terminal,
Wherein the call connection is a conn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calling terminal can exchange voice data with the receiving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수신 인터페이스 및 거절 인터페이스 사이의 통화대기 인터페이스를 의미하고,
상기 호 연결은 지속하되 통화는 연결하지 않는 통화대기는, 상기 수신 인터페이스로부터 통화대기 인터페이스로 슬라이드하는 터치를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인, 통화 대기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interface means a call waiting interface between the receiving interface and the rejecting interface,
Wherein the call waiting that continues the call connection but does not connect the call is performed by performing a touch to slide from the receive interface to the call waiting interf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084005A 2016-07-04 2016-07-04 Method for waiting mode service to connect between lines Active KR1018431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005A KR101843134B1 (en) 2016-07-04 2016-07-04 Method for waiting mode service to connect between lin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005A KR101843134B1 (en) 2016-07-04 2016-07-04 Method for waiting mode service to connect between lin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451A KR20180004451A (en) 2018-01-12
KR101843134B1 true KR101843134B1 (en) 2018-03-28

Family

ID=61000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005A Active KR101843134B1 (en) 2016-07-04 2016-07-04 Method for waiting mode service to connect between lin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134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451A (en) 2018-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29889B1 (en) Method for instant messaging and device thereof
US8548509B2 (en) System and method of automatically generating and sending text messages
US9609126B2 (en) User device detection and integration for an IVR system
KR101712064B1 (en)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Device SystemPROGRAM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US20130003951A1 (en) On-hold visual menu from a user's communications device
JP2016530818A (en) CALL METHOD, CALL DEVICE, CALL SYSTEM,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2052699B1 (en) Method for displaying contact information in electronic device
US844702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f-learning and building web contents via a rich call center service
JP2007251332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rived call management apparatus, and program
KR101954801B1 (en) Message service apparatus, and automatic answering service method thereof
CN104301556A (en) Phone interac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KR101843134B1 (en) Method for waiting mode service to connect between lines
WO2012173200A1 (e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message notification method
KR101205815B1 (en) Device supporting text conversation and text conversation control method
KR2011010850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messag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70054719A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hecking whether call is recorded
KR101823100B1 (en) User terminal having receive-only phone number and application for same
KR101479256B1 (en) Call Connect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all connecting service thereof
KR101525163B1 (en) Communication for setting ringback tone and method therefor
KR101022792B1 (en) How devices and text chat services support text chat
KR101521967B1 (en) Device,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group calling service
US2017005265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mmunication devices
KR20190098788A (en) A message management apparatus using user terminal and a system comprising the same
JP4527772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portable terminal
KR100640425B1 (en) How to manage the sending and receiving of short messages on a task ba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9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3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3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