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39577B1 - 자동차용 잭의 스크류 너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잭의 스크류 너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577B1
KR101839577B1 KR1020160122256A KR20160122256A KR101839577B1 KR 101839577 B1 KR101839577 B1 KR 101839577B1 KR 1020160122256 A KR1020160122256 A KR 1020160122256A KR 20160122256 A KR20160122256 A KR 20160122256A KR 101839577 B1 KR101839577 B1 KR 101839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jack
screw nut
head
expand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2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태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정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정기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정기공
Priority to KR1020160122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5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57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64Making machine elements nuts
    • B21K1/68Making machine elements nuts from round or profiled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HMAKING PARTICULAR METAL OBJECTS BY ROLLING, e.g. SCREWS, WHEELS, RINGS, BARRELS, BALLS
    • B21H3/00Making helical bodies or bodies having parts of helical shape
    • B21H3/08Making helical bodies or bodies having parts of helical shape internal screw-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6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for performing particular operations
    • B21J5/10Piercing bi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6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for performing particular operations
    • B21J5/12Forming profiles on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64Making machine elements nuts
    • B21K1/70Making machine elements nuts of special shape, e.g. self-locking nuts, wing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2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made of thin sheet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타이어 교환시 또는 차체 하부 점검 및 수리시에 차체의 일부를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리고 내리는데 사용되는 잭의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잭구동용 스크류에 나사 결합되어 좌우 이동되게 하는 스크류 너트의 경량화, 재료절감,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잭의 스크류 너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지지대, 받침대, 마름모꼴로 연결된 복수개의 링크, 잭구동용 스크류와, 상기 잭구동용 스크류에 나사 결합되는 자동차용 잭의 스크류 너트에 있어서, 지지관체로 된 소재의 길이방향 일측에 헤드부를 형성하기 위한 헤드부 경계지점은 1단 절곡부가 형성되게 확관하고, 헤드부의 중간부는 호형면으로 형성되게 확관하는 제1공정과; 상기 제1공정을 거친 소재의 헤드부 경계지점은 2단 절곡부가 형성되게 확관하고, 헤드부는 원형단면으로 확관하는 제2공정과; 상기 제2공정을 거친 소재의 헤드부 경계지점은 테이퍼면으로 확관하고, 헤드부는 사각단면으로 1차 확관하며, 지지관체의 길이방향 타측의 선단부를 형성하는 부분은 지지관체에 비해 작은 외경을 갖도록 축관하는 제3공정과; 상기 제3공정을 거친 소재의 헤드부는 사각단면으로 2차 확관하는 제4공정;으로 만들어진 스크류 너트 몸체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자동차용 잭의 스크류 너트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잭의 스크류 너트 제조방법 {Jack screw nut for lifting a car of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동차용 잭의 스크류 너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의 타이어 교환시 또는 차체 하부 점검 및 수리시에 차체의 일부를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리고 내리는데 사용되는 잭의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잭구동용 스크류에 나사 결합되어 좌우 이동되게 하는 스크류 너트의 경량화, 재료절감,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잭의 스크류 너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잭(jack)은 물건을 들어올릴 때 사용하는 기구로서 나사식과 유압식이 있으며, 보통 자동차에서는 타이어를 교환할 때 지면에서 타이어가 위로 들어올려 지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종래의 통상적인 나사식 자동차용 잭은, 잭을 바닥에 지지하는 지지대와, 자동차 차체를 받치게 되는 받침대와, 상기 지지대 및 받침대에 마름모꼴로 연결된 복수개의 링크와, 상기 링크를 높이 조절하는 잭구동용 스크류와, 상기 잭구동용 스크류에 나사 결합되어 좌우 이동되게 하는 스크류 너트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잭구동용 스크류의 일측 선단부에 구비되는 소켓에 잭핸들을 끼워 회전시키면 좌우로 이동되게 하는 수단으로 마름모꼴로 연결된 복수개의 링크 각도가 변하게 되어 잭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되고, 이로써 잭은 링크의 각도변화에 따른 지지력으로 자동차를 들어올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기존의 자동차용 잭은 비상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필수적인 공구로서 항상 자동차의 트렁크에 비치해두고 사용하는 것이므로 경량성과 원가절감으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자동차용 잭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하나인 스크류 너트는 종래에는 환봉을 절삭 가공하는 작업공정으로 일정 크기의 외경을 가진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일측에 지지봉의 외경에 비해 돌출된 사각단면이 형성되어 있는 헤드부와, 상기 지지봉의 타측은 지지봉에 비해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어 있는 선단부와, 상기 지지봉에 중공부를 형성하되 헤드부 내측은 지지봉에 비해 내경이 작은 중공부가 형성되고 선단부의 내측은 지지봉에 비해 내경이 작은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 너트 몸체를 이용하여 스크류 너트 제품이 완성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스크류 너트의 제조시에 환봉을 이용하여 절삭 가공 및 중공부 성형 등이 복합 공정이 다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재료의 낭비와 불필요한 공정의 추가 및 공정상의 번거로움이 있고 이로 인해 경제적, 시간적 손실을 주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용 잭의 경량성을 줄이는 데도 지장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공개문헌 0001) KR 제10-1998-051422호 (실용등록문헌 0002) KR 제20-0250835호 (실용등록문헌 0003) KR 제20-0111941호 (실용공개문헌 0003) 제20-1997-005248호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자동차용 잭의 구성요소인 잭구동용 스크류에 나사 결합되어 좌우 이동되게 하는 스크류 너트로 이루어지되 파이프가 일정 길이로 절단된 지지관체로 된 소재를 구비한 다음 상기 지지관체의 길이방향 일측에 지지관체의 외경에 비해 돌출된 사각단면이 형성되어 있는 헤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관체의 길이방향 타측은 지지관체에 비해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는 선단부를 갖는 스크류 너트 몸체를 구비하게 되며 이렇게 구비되는 스크류 너트 몸체를 이용하여 스크류 너트를 제조하게 되어 작업 공정을 크게 줄이면서 재료절감 및 경량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잭의 스크류 너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지지대, 받침대, 마름모꼴로 연결된 복수개의 링크, 잭구동용 스크류와, 상기 잭구동용 스크류에 나사 결합되는 자동차용 잭의 스크류 너트에 있어서, 지지관체로 된 소재의 길이방향 일측에 헤드부를 형성하기 위한 헤드부 경계지점은 1단 절곡부가 형성되게 확관하고, 헤드부의 중간부는 호형면으로 형성되게 확관하는 제1공정과; 상기 제1공정을 거친 소재의 헤드부 경계지점은 2단 절곡부가 형성되게 확관하고, 헤드부는 원형단면으로 확관하는 제2공정과; 상기 제2공정을 거친 소재의 헤드부 경계지점은 테이퍼면으로 확관하고, 헤드부는 사각단면으로 1차 확관하며, 지지관체의 길이방향 타측의 선단부를 형성하는 부분은 지지관체에 비해 작은 외경을 갖도록 축관하는 제3공정과; 상기 제3공정을 거친 소재의 헤드부는 사각단면으로 2차 확관하는 제4공정;으로 만들어진 스크류 너트 몸체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자동차용 잭의 스크류 너트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공정 내지 제4공정은 냉간 단조에 의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 너트 몸체의 헤드부에 형성된 사각단면과 직교로 천공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천공부를 내측으로 버링 가공하여 버링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버링부에 나사탭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쳐 힌지연결부를 구성하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 너트 몸체의 선단부에 위치하는 소구경의 중공부에 스크류가 나사결합되는 스크류결합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용 잭의 스크류 너트는 파이프가 일정 길이로 절단된 지지관체를 소재로 이용하여 지지관체의 길이방향 일측에 사각단면으로 형성되는 헤드부와 지지관체의 길이방향 타측에 형성되는 선단부의 성형 공정으로 스크류 너트 몸체를 구비하여 스크류 너트를 제조하게 되므로 재료절감 및 경량화를 이룰 수 있게 되어 경쟁력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상기 스크류 너트 몸체의 성형 공정에 의해 헤드부의 중공부는 지지관체에 위치한 중공부에 비해 대구경으로 형성되어 힌지연결부를 구성하기 위한 버링부의 성형이 용이하고, 선단부의 중공부는 지지관체에 위치한 중공부에 비해 소구경으로 형성되어 스크류결합부의 성형이 용이하도록 하므로 작업공정을 크게 줄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나사식 자동차용 잭을 나타낸 일부 절개 전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잭의 스크류 너트에 스크류가 나사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확대 사시도.
도 3의 (가) 내지 (마)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잭의 스크류 너트에 적용되는 스크류 너트 몸체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 및 헤드부의 평면도.
도 4는 상기 도 3의 (가) 내지 (마)의 제조 공정에 따른 스크류 너트 몸체 헤드부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잭의 스크류 너트에 적용되는 스크류 너트 몸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의 (가) 내지 (다)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잭의 스크류 너트에 적용되는 스크류 너트 몸체를 이용하여 헤드부의 힌지연결부 및 선단부의 나사탭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잭은, 잭을 바닥에 지지하는 지지대(10)와, 자동차 차체를 받치게 되는 받침대(12)와, 상기 지지대(10) 및 받침대(12)에 마름모꼴로 연결된 복수개의 링크(14)와, 상기 링크(14)를 높이 조절하고 작동 핸들이 끼워질 수 있는 결합구멍(18)을 가진 잭구동용 스크류(16)와, 상기 잭구동용 스크류(16)에 나사 결합되고 힌지연결부(230)를 가진 스크류 너트(20)로 이루어진 통상의 나사식 자동차용 잭에 해당된다.
본 발명에 의한 스크류 너트(20)는 일정 길이의 지지관체(210)와, 지지관체(210)의 일측에 지지관체(210)의 외경에 비해 돌출된 사각단면(227)이 형성되어 있는 헤드부(220)와, 상기 지지관체(210)의 타측은 지지관체(210)에 비해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어 있는 선단부(240)로 된 스크류 너트 몸체(200)로 구비되고, 이러한 상기 스크류 너트 몸체(200)에서 헤드부(220)에 힌지연결부(230)가 형성되고 선단부(240)에 위치한 소구경의 중공부(250)에 나사탭(233)이 형성되어 스크류 너트(20)를 구성하게 된다.
또, 상기에서 헤드부(220)에 위치한 중공부(250)는 확장되어 지지관체(210)의 중공부(250)에 비해 대구경으로 구비하고, 선단부(240)에 위치한 중공부(250)는 지지관체(210)의 중공부(250)에 비해 소구경으로 구비하게 된다.
본 발명은 파이프가 일정길이로 절단된 지지관체(210)를 이용하여 스크류 너트(20)를 제조하여 작업 공정을 크게 줄이면서 재료절감 및 경량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스크류 너트 몸체(200)의 제조시에는, 파이프를 일정길이로 절단하여서 된 지지관체(210)로 소재를 구비한 다음 상기 지지관체(210)의 길이방향 일측에 헤드부(220)를 형성하기 위한 헤드부 경계지점은 1단 절곡부(221)가 형성되게 확관하고, 헤드부의 중간부는 호형면(225)으로 형성되게 확관하는 제1공정(S1)과; 상기 제1공정을 거친 소재의 헤드부 경계지점은 2단 절곡부(222)가 형성되게 확관하고, 헤드부는 원형단면(226)으로 확관하는 제2공정(S2)과; 상기 제2공정을 거친 소재의 헤드부 경계지점은 테이퍼면(223)으로 확관하고, 헤드부는 사각단면(227)으로 1차 확관하며, 지지관체(210)의 길이방향 타측의 선단부(240)를 형성하는 부분은 지지관체(210)에 비해 작은 외경을 갖도록 축관하는 제3공정(S3)과; 상기 제3공정을 거친 소재의 헤드부는 사각단면(227)으로 2차 확관하는 제4공정(S4);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4 및 도 4는 상기 제1공정(S1) 내지 제4공정(S4)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공정별로 다이스 및 펀치로 이루어진 금형을 이용하여 냉간 단조로 다단계 성형되어 인장강도 및 내구성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한 스크류 너트 몸체(200)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스크류 너트 몸체(200)를 이용하여 스크류 너트(20)를 제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공정(S1)에서는 도 3의 (나)와 같이 지지관체(210)의 길이방향 일측에 헤드부(220)를 형성하기 위한 헤드부 경계지점에 테이퍼면(223)을 형성하기 위해 경사진 1단 절곡부(221)가 형성 되게 확관함과 아울러 헤드부는 중간부가 호형면(225)으로 확관되어 후공정의 원형단면(226) 성형이 용이하도록 하는 과정으로 확관 부위가 좌굴되지 않도록 하는 1차 헤드부 성형공정에 해당된다.
상기 제2공정(S2)에서는 도 3의 (다)와 같이 소재의 헤드부 경계지점은 테이퍼면(223)을 형성하기 위한 1단 절곡부(221)와 인접된 위치에 경사진 2단 절곡부(222)가 형성되게 확관하는 것으로, 이러한 1,2단 절곡부(221)(222)에 의해 후공정의 테이퍼면(223) 성형이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헤드부는 호형면(225) 부분을 기준으로 확관하여 원형단면(226)이 원활하게 성형될 수 있게 하는 2차 헤드부 성형공정에 해당된다.
상기 제3공정(S3)에서는 도 3의 (라)와 같이 소재의 헤드부 경계지점은 경사진 1단 절곡부(221)와 2단 절곡부(222)의 돌출부위에 위치하도록 확관하여 테이퍼면(223)을 형성하고, 헤드부는 원형단면(226)의 직경에 접하는 형태로 확관시켜 사각단면(227)을 형성하되 사각단면(227)의 모서리 부분은 완만한 곡면을 갖는 3차 헤드부 성형공정에 해당됨과 아울러 지지관체(210)의 길이방향 타측의 선단부(240)는 축관되어 지지관체(210)에 비해 작은 외경을 갖게 되면서 지지관체(210)의 중공부(250)에 비해 선단부(240)에 위치한 중공부(250)는 소구경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제4공정(S4)에서는 도 3의 (마)와 같이 완만한 곡면 모서리를 가진 사각단면(227)을 확관시켜 모서리 부분이 직각에 가까운 사각단면(227)으로 된 4차 헤드부 성형공정에 의해 스크류 너트 몸체(200)를 완성한다.
이렇게 파이프를 일정길이로 절단하여서 된 지지관체(210)를 다단 성형하는 고정으로 만들어지는 스크류 너트 몸체(200)를 이용하여 스크류 너트(20)를 제조하게 되므로 스크류 너트의 경량화, 재료절감,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스크류 너트 몸체(200)의 성형 공정에 의해 헤드부(220)의 중공부(250)는 지지관체(210)에 위치한 중공부(250)에 비해 대구경으로 형성되어 힌지연결부(230)를 구성하기 위한 버링부(232)의 성형이 용이하도록 하며, 선단부(240)의 중공부(250)는 지지관체(210)에 위치한 중공부(250)에 비해 소구경으로 형성되어 스크류결합부(260)의 성형이 용이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조된 스크류 너트 몸체(200)는 도 6의 (가) 내지 (다)와 같은 과정으로 스크류 너트(20)를 완성하게 된다.
즉, 스크류 너트 몸체(200)의 헤드부(220)에 형성된 사각단면(227)과 직교로 천공부(231)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천공부(231)를 내측으로 버링 가공하여 버링부(232)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버링부(232)에 나사탭(233)을 형성하는 단계로 힌지연결부(230)를 구성하게 된다.
또, 스크류 너트 몸체(200)의 선단부(240)에 위치하는 소구경의 중공부(250)에 스크류결합부(26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스크류 너트(20)의 스크류결합부(260)에 스크류(16)가 좌우 이동되게 나사 결합이 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파이프가 일정 길이로 절단된 지지관체(210)를 이용하여 지지관체(210)의 길이방향 일측에 사각단면(227)으로 된 헤드부(220)가 형성되고 지지관체(210)의 길이방향 타측에 선단부(240)를 형성하는 공정으로 중공부(250)를 가진 스크류 너트 몸체(200)를 구비하게 되므로 이러한 스크류 너트 몸체(200)에 의해 스크류 너트(20)의 작업 공정을 크게 줄이면서 재료절감 및 경량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지지대 12 : 받침대
14 : 링크 16 : 스크류
18 : 결합구멍 20 : 스크류 너트
200 : 스크류 너트 몸체 210 : 지지관체
220 : 헤드부 221 : 1단 절곡부
222 : 2단 절곡부 223 : 테이퍼면
225 : 호형면 226 : 원형단면
227 : 사각단면 230 : 힌지연결부
231 : 천공부 232 :버링부
233 : 나사탭 240 : 선단부
250 : 중공부 260 : 스크류결합부

Claims (5)

  1. 잭을 바닥에 지지하는 지지대, 자동차 차체를 받치게 되는 받침대, 상기 지지대 및 받침대에 마름모꼴로 연결된 복수개의 링크, 상기 링크를 높이 조절하는 잭구동용 스크류와, 상기 잭구동용 스크류에 나사 결합되는 자동차용 잭의 스크류 너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지지관체로 된 소재의 길이방향 일측에 헤드부를 형성하기 위한 헤드부 경계지점은 1단 절곡부가 형성되게 확관하고, 헤드부의 중간부는 호형면으로 형성되게 확관하는 제1공정과;
    상기 제1공정을 거친 소재의 헤드부 경계지점은 2단 절곡부가 형성되게 확관하고, 헤드부는 원형단면으로 확관하는 제2공정과;
    상기 제2공정을 거친 소재의 헤드부 경계지점은 테이퍼면으로 확관하고, 헤드부는 사각단면으로 1차 확관하며, 지지관체의 길이방향 타측의 선단부를 형성하는 부분은 지지관체에 비해 작은 외경을 갖도록 축관하는 제3공정과;
    상기 제3공정을 거친 소재의 헤드부는 사각단면으로 2차 확관하는 제4공정;으로 만들어진 스크류 너트 몸체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잭의 스크류 너트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정 내지 제4공정은 냉간 단조에 의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잭의 스크류 너트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너트 몸체의 헤드부에 형성된 사각단면과 직교로 천공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천공부를 내측으로 버링 가공하여 버링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버링부에 나사탭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쳐 힌지연결부를 구성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잭의 스크류 너트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너트 몸체의 선단부에 위치하는 소구경의 중공부에 스크류가 나사결합되는 스크류결합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잭의 스크류 너트 제조방법.
  5. 삭제
KR1020160122256A 2016-09-23 2016-09-23 자동차용 잭의 스크류 너트 제조방법 Active KR101839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256A KR101839577B1 (ko) 2016-09-23 2016-09-23 자동차용 잭의 스크류 너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256A KR101839577B1 (ko) 2016-09-23 2016-09-23 자동차용 잭의 스크류 너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9577B1 true KR101839577B1 (ko) 2018-04-26

Family

ID=62082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2256A Active KR101839577B1 (ko) 2016-09-23 2016-09-23 자동차용 잭의 스크류 너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95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31501B1 (ko) * 2023-11-30 2024-11-18 주식회사 엔와이티 서스펜션 부싱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부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31501B1 (ko) * 2023-11-30 2024-11-18 주식회사 엔와이티 서스펜션 부싱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부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1251B2 (ja) 曲げ加工用金型、これを用いた自動車用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の製造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244075B2 (ja) 筒状部材の製造方法
WO2011102357A1 (ja) 車両用ホイールリムの製造方法
CN1856377A (zh) 复合式转向齿条
JP2010149182A5 (ko)
KR101839577B1 (ko) 자동차용 잭의 스크류 너트 제조방법
JP5915937B2 (ja) 鍛造材の製造方法
KR101323186B1 (ko) 자동차용 일체형 스크루 너트
JP5246588B2 (ja) 歯車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H08168814A (ja) Al合金製自動車構造用中空部材の製造方法
JP2014198346A (ja) 異径筒状成形体の冷間鍛造による製造方法、及びガスセンサ用主体金具の製造方法
JP2001105087A (ja) 予備成形方法と型構造
JP4647964B2 (ja) 中空なステアリングラック軸の製造方法
CN113245818A (zh) 控制臂组装机及控制臂组装方法
US20100003105A1 (en) Method for producing a locking ring bolt and locking ring bolt
US6558263B1 (en) Forging method of a hollow part
JP2002235727A (ja) 内面にセレーションを有する中空管とそのセレーション成形方法及びセレーション成形装置
JP2015039716A (ja) バーリング加工方法及びバーリング加工装置
CN102601291A (zh) 一种轮胎螺栓冷镦成型模具
WO2008091134A1 (en) Yoke manufacturing method
CN216575404U (zh) 六角法兰螺栓的成型模具
JP5622157B2 (ja) ブリーダスクリューの製造方法
JP6201509B2 (ja) バーリング加工装置
US1375767A (en) Method of forming wrench-sockets
JP4616102B2 (ja) 据え込み加工方法及び据え込み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609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612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8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3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3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