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38168B1 - 지방흡입술 연습장치 - Google Patents

지방흡입술 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8168B1
KR101838168B1 KR1020150097418A KR20150097418A KR101838168B1 KR 101838168 B1 KR101838168 B1 KR 101838168B1 KR 1020150097418 A KR1020150097418 A KR 1020150097418A KR 20150097418 A KR20150097418 A KR 20150097418A KR 101838168 B1 KR101838168 B1 KR 101838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nula
liposuction
sensor
practice
coup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7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6581A (ko
Inventor
김남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50097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168B1/ko
Publication of KR20170006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16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8Lipo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gebr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방흡입술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캐뉼라; 상기 캐뉼라와 이격되어 결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면에 결합되는 연습패드; 상기 캐뉼라와 결합하는 센서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결합되는 저장부; 및 상기 본체의 일면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여 지방 흡입술의 경험이 적은 의사 또는 지방 흡입술의 연습이 필요한 초보자가 캐뉼라를 이용하여 쉽게 연습하여 지방 흡입술을 능숙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습한 데이터를 기록하여 비교 및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시술하는 과정에서 캐뉼라의 왕복운동으로 인해 일정 시술부위를 벗어나는 것을 의사에게 알려 부작용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술 사고를 예방하며, 시술 데이터를 저장하여 의사별 시술 능숙도를 비교 및 분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방흡입술 연습장치{LIPOSUCTION OPERATIVE PRACTICE EQUIPMENT}
본 발명은 지방흡입술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방 흡입술의 경험이 적은 의사 또는 지방 흡입술의 경험이 부족하여 연습이 필요한 초보자가 캐뉼라를 이용하여 쉽게 연습할 수 있어 지방 흡입술에 대한 경험을 쌓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습한 데이터를 기록하여 비교 및 분석할 수 있는 지방흡입술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식생활이 서구화되면서 비만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늘어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생활수준이 향상하면서 육류의 섭취가 늘어나고, 보행 등의 운동이 줄어들어 체내에 지방이 축적되어 비만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생활 습관으로 인하여 아동비만 및 성인비만 등의 비만 문제로 합병증 및 스트레스 등이 사회적 문제로 자주 거론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성형, 뷰티 및 다이어트 등 외모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는 대중매체를 쉽게 접하게 되면서 건강과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비만은 동맥경화, 당뇨 등 각종 질명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피하의 지방조직이나 장기의 표면에 축적되어 체형을 변화시킨다.
하지만, 평소 여과시간이 부족한 현대인들은 운동으로 다이어트를 하는 것이 아닌 약물, 시술 등의 도움을 받아 빠른 시간 내에 체형을 변화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다.
여러 종류의 약물, 시술 등의 방법 중 많이 시행되고 있는 방법이 지방흡입술이다.
이러한 지방흡입술이 많이 시행되면서 시술에 의한 사고 또한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증가하는 수요에 따라 경험이 부족한 의사들의 지방흡입술 시술로 인해 부작용으로 고생하는 사람도 증가하고 있는 문제점도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95553호(발명의 명칭: 힘센서를 이용한 수술 훈련 시뮬레이터, 공개일자: 2013년 08월 28일) 및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9794호(발명의 명칭: 가상 관절경 수술 시뮬레이션장치, 공개일자: 2013년 10월 08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시술 경험이 부족한 초보자들이 연습을 통하여 시술 사고나 실수를 줄일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습한 데이터를 통하여 연습자들의 실력을 비교하고 분석하여 실제 지방 흡입술 시, 사고를 줄일 수 있는 시술 연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지방흡입술 연습장치는, 캐뉼라; 상기 캐뉼라와 결합하는 센서부; 상기 캐뉼라와 이격되어 결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면에 결합되는 연습패드; 상기 본체의 내부에 결합되는 저장부; 및 상기 본체의 일면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지방흡입술 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캐뉼라는 다른 종류의 캐뉼라로 교체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방흡입술 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습패드는 신체의 일부분과 비슷한 모양이다.
본 발명에 따른지방흡입술 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움직임센서, 각도센서, 변위센서 중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방흡입술 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데이터 송신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해 지방 흡입술의 경험이 적은 의사 또는 지방 흡입술의 연습이 필요한 초보자가 캐뉼라를 이용하여 쉽게 연습하여 지방 흡입술을 능숙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습한 데이터를 기록하여 비교 및 분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방흡입술 연습장치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지방흡입술 연습장치의 종류별 캐뉼라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지방흡입술 연습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지방흡입술 연습장치의 예시를 나타내는 사시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방흡입술 연습장치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지방흡입술 연습장치의 종류별 캐뉼라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지방흡입술 연습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지방흡입술 연습장치의 예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방흡입술 연습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뉼라(110), 센서부(120), 본체(130), 연습패드(140), 저장부(150), 디스플레이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캐뉼라(110)는 몸속에 삽입하는 튜브로서, 내부가 비어있는 관(Pipe)형상으로 형성되며, 선단부는 밀폐되고, 후단부는 개방되어 캐뉼라(110)를 지방층에 삽입한 후 이를 전/후방향으로 움직으로써 지방세포를 분리 및 파괴하여 지방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캐뉼라(110)는 액체나 공기를 통하게 하기 위한 의료기구이며, 흉강이나 복강에 삽입하여 액체를 흡입 또는 혈관 내에 삽입하여 채혈(採血)하거나, 기관절개술(氣管切開術)때 기관 내에 삽입하여 호흡을 시키기 위한 것 등 여러 가지 용도로 쓰인다.
캐뉼라(110)는 다른 종류의 캐뉼라(110)로 교체가 가능하다.
캐뉼라(110)는 홀의 사이즈와 갯수 및 모양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시술 부위 및 용도에 따라 선택하여 시술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캐뉼라(110)는 연습패드(140)에 삽출하는 움직임을 감지하고, 지방흡입술을 연습하는 용도로 쓰이므로 실제로 지방을 흡입하지는 않는다.
캐뉼라(110)의 손잡이 부분에 돌기를 형성되어 미끄럼 방지가 가능하며, 돌기는 손잡이 전체 또는 일부에 형성된다.
또한, 캐뉼라(110)의 손잡이 부분은 합성소재 및 고무 등의 마찰력이 큰 소재를 사용하여 미끄러움을 방지한다.
센서부(120)는 캐뉼라(110)와 결합한다.
센서부(120)는 캐뉼라(110)의 끝단에 결합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 캐뉼라(110) 일면에 결합이 가능하다.
센서부(120)는 연습패드(140)에 전/후 방향으로 입출되며 움직이는 캐뉼라(110)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센서부(120)에 감지된 움직임은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연습결과, 다른 연습자와의 비교, 분석 등이 가능하다.
센서부(120)는 자이로센서, 각도센서, 변위센서 중 어느 하나로 한다.
자이로센서(gyro sensor)는 각속도를 검출하는 센서이며, 운동하고 있는 물체가 회전하면, 그 속도방향과 수직으로 코리올리의 힘이 일한다는 물리현상을 이용하여 각속도를 검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이로의 출력형태는 아날로그 신호이며, 이 아날로그 신호를 AD컨버터(AD converter)를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처리를 한다.
자이로센서의 종류는 진동식, 기계식, 유체식, 광학식 및 링 레이저가 있다.
진동식 자이로센서는 케이스 내에서 질량을 자력으로 진동시켜 케이스의 회전시에 일어나는 코리올리효과의 또 다른 방향의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여 각속도 정보로 변환한다.
진동식 자이로센서는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 예민하지만, 소형으로 수명이 긴 것이 특징이다.
기계식 자이로센서는 팽이가 돌고 있는 형태로, 프레임을 손으로 기울이면 직교방향으로 힘이 걸리는 것을 응용하여 각도변위를 감지하는 것이며, 기계식 자이로센서는 정밀기계이므로 유지관리가 중요하다.
유체식 자이로센서는 케이스 내부에서 가스를 열선에 스프레이하는 방식으로, 케이스가 돌면서 스프레이가 구부러지는 것을 열선온도로 감지한다. 유체식 자이로센서는 열선에 대한 스프레이양의 변화가 매우 미세해서 별도의 보정이 필요하며 스프레이 펌프의 안정성의 경년변화 등으로 보편적으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광학식 자이로센서는 케이스가 방향을 바꾸면 내부에서 돌고 있는 중에 레이저의 발광에서부터 수광의 타이밍이 변화하는 것을 이용한 자이로센서이다.
광학식 자이로센서는 레이저와 광섬유에 수명이 있어 유지보수가 필요하다.
링 레이져 자이로센서는 광 자이로센서의 일종이다.
각도센서(angle sensor)에는 미세각도의 측정에 사용하는 경우와 축의 회전각도와 같은 비교적 큰 각도의 측정에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변환원리는 달라진다. 전자의 경우에는 광지레(optical lever)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아래의 그림과 같이 거울이 미세각 θ만큼 회전하면 반사각이 2Lθ만큼 변화하기 때문에 그 양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편광식 각도센서도 아래의 그림에 설명되어 있다. 2개의 편광판을 사용하여 1개의 편광자를 통한 직선편광을 검광자(檢光子)로 받는 경우, 둘의 편광면이 θ만큼 벗어나 있을 때 광량이 cos2θ에 비례하여 변화한다. 광량을 측정함으로써 각도를 검출한다.
Figure 112015066327576-pat00001
변위센서(displacement sensor)는 물체가 이동한 거리 또는 위치를 계측하는 것은 여러 가지 역학량을 측정하는 기초가 되는 것으로서 역학량을 일단 변위로 변화시키고 변위측정에서 역학량을 구하는 것도 있다. 변위를 전기량으로 변환하는 데 정전용량 변화나 감응 계수(inductance) 변화, 전기저항 변화, 발생 기전력 변화를 이용하는 것이 많다. 수많은 변위센서가 일상에서 사용되고 있다. 변위센서는 아래의 그림과 같이 직선 변위센서와 회전변위센서로 대별할수 있다. 직선 변위센서로써는 수십 ㎜ 이상의 계측에는 스케일이 사용되고, 수 ㎜의 범위에서는 각종의 포텐셔미터, 차동변압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회전 변위센서로써는 싱크로, 리졸버, 로터리 인코더, 펄스 제너레이터도 많이 사용된다.
Figure 112015066327576-pat00002
본체(130)는 캐뉼라(110)와 이격되어 결합된다.
본체(130)의 높이는 수술대 높이와 비슷하게 하여 실제 지방흡입술 시, 의사가 환자를 시술하는 것과 동일한 행위를 할 수 있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 본체(130)의 높이는 달라질 수 있다.
연습패드(140)는 본체(130)의 일면에 결합된다.
연습패드(140)는 상황에 따라 본체(130)와 이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습패드(140)를 본체(130)에 복수개를 결합하게 되는 경우, 한정된 본체(130)에 결합된 복수개의 연습패드(140)를 사용하는 각각의 사용자 간의 충돌, 연습 방해 등의 상황을 예방할 수 있다.
연습패드(140)는 신체의 일부분과 비슷한 모양이다.
지방흡입술 연습장치(100)는 지방흡입술을 능숙하게 하기 위하여 연습하는 장치로 연습패드(140)를 실제 신체와 비슷한 모양으로 형성하여 실제 지방흡입술과 비슷한 환경에서 연습할 수 있도록 한다.
연습자가 연습하고자 하는 복부, 허벅지, 팔 등의 특정부위 형태로 형성된 연습패드(140)로 연습하게 되면, 실제 지방흡입 시술에서도 능숙하게 시술할 수 있다.
연습패드(140)는 고무, 실리콘 등의 부드러운 소재의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연습패드(140)의 탄성 및 내구성은 인체의 피부와 같은 정도로 하여 실제 시술시 연습자가 캐뉼라(110)를 피부에 삽입하기 위한 강도 및 정확도를 연습을 할 수 있으며, 연습패드(140)에 일정한 힘을 가해 캐뉼라(110)가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캐뉼라(110)를 삽출하는 연습이 가능하다.
또한, 연습패드(140)의 색깔을 표피, 지방층, 진피 등의 피부의 층별로 다르게 하여 연습자가 캐뉼라(110)를 정확하게 지방층에 삽입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본체(130)의 내부에 결합된다.
저장부(150)는 본체(130)의 내부에 결합되어 캐뉼라(110)에 결합된 센서부(120)가 감지한 캐뉼라(110)의 움직임을 데이터화 하여 저장한다.
저장부(150)는 데이터 송신이 가능하여 다수의 지방흡입술 연습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 간의 정보교환, 연습결과 비교, 데이터 분석 등이 가능하여 연습자의 지방흡입술 실력향상에 도움을 준다.
저장부(150)는 데이터 송신 외에 외부 저장장치에 데이터를 옮길 수 있어 다른 기기를 통하여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본체(130)의 일면에 결합된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데이터를 나타내고, 연습자가 연습하는 동안의 캐뉼라(110)의 움직임, 센서부(120)에 감지된 정보 등을 나타낸다.
지방흡입술 연습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하여 저장된 데이터, 캐뉼라(110)의 움직임, 센서부(120)에 감지된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지만, USB, 하드디스크, CD 등의 외부 저장장치에 데이터를 저장하여 다른 기기를 통하여 데이터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지방흡입술 연습장치
110 : 캐뉼라
120 : 센서부
130 : 본체
140 : 연습패드
150 : 저장부
160 : 디스플레이부

Claims (5)

  1. 캐뉼라;
    상기 캐뉼라와 이격되어 결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면에 결합되는 연습패드;
    상기 캐뉼라와 결합하는 센서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결합되는 저장부; 및
    상기 본체의 일면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캐뉼라는 다른 종류의 캐뉼라로 교체가 가능하고,
    상기 연습패드는 신체의 복부, 다리, 팔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모양이며,
    상기 센서부는 움직임센서, 각도센서, 변위센서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캐뉼라의 움직임을 데이터화 하여 저장하며,
    상기 저장부는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여 상기 저장된 사용자 간의 데이터를 교환하고 비교하여 상기 캐뉼라의 삽출 움직임을 분석하되,
    상기 연습패드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된 피부의 표피, 지방층, 진피층과 같은 형태이며, 피부와 같은 탄성 및 내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흡입술 연습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097418A 2015-07-08 2015-07-08 지방흡입술 연습장치 Active KR101838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418A KR101838168B1 (ko) 2015-07-08 2015-07-08 지방흡입술 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418A KR101838168B1 (ko) 2015-07-08 2015-07-08 지방흡입술 연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581A KR20170006581A (ko) 2017-01-18
KR101838168B1 true KR101838168B1 (ko) 2018-03-13

Family

ID=57992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7418A Active KR101838168B1 (ko) 2015-07-08 2015-07-08 지방흡입술 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816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4778A2 (ko) 2009-12-16 2011-06-23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외선 오피오레이저를 이용한 지방제거 방법 및 장치
KR101352293B1 (ko) * 2012-09-25 2014-01-23 최건 척추수술 시뮬레이션 시스템, 시뮬레이션 판단장치 및 그 판단방법
US20150031008A1 (en) * 2013-07-24 2015-01-29 Applied Medical Resources First entry model
KR101529813B1 (ko) * 2014-01-02 2015-06-1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흡입부의 위치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지방 흡입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4778A2 (ko) 2009-12-16 2011-06-23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외선 오피오레이저를 이용한 지방제거 방법 및 장치
KR101352293B1 (ko) * 2012-09-25 2014-01-23 최건 척추수술 시뮬레이션 시스템, 시뮬레이션 판단장치 및 그 판단방법
US20150031008A1 (en) * 2013-07-24 2015-01-29 Applied Medical Resources First entry model
KR101529813B1 (ko) * 2014-01-02 2015-06-1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흡입부의 위치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지방 흡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581A (ko) 201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0311B2 (en) Tactile sensing and needle guidance device
KR101709494B1 (ko) 시술 추적장치
US12089958B2 (en) Personal health data collection
US9326703B2 (en) Therapeutic manipulation device
US20160278665A1 (en) Finger segment tracker and digitizer
JP4768567B2 (ja) マッサージ手技評価システム
JP2002502058A (ja) 血管アクセスシミレーションシステムへの器具の接続のための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及び方法
EP3700446B1 (en) Tactile sensing and needle guidance device
US20160104393A1 (en) Embedded system and method for needle tracking during medical training and testing
CN112071149A (zh) 一种可穿戴式医学仿真穿刺技能训练系统及方法
US20170278432A1 (en) Medical procedure simulator
KR101838168B1 (ko) 지방흡입술 연습장치
Salim et al. Knee joint movement monitoring device based on optical fiber bending sensor
CN101554323A (zh) 无线传输中医脉象仪
KR101297075B1 (ko) 맥파 시뮬레이팅 장치
Kumar et al. A sensor system to assess the ocular digital massage in an ophthalmic anaesthesia training system
Silva Wearable sensors systems for human motion analysis: sports and rehabilitation
Psychouli et al. Home-based training support for stroke patients using the leap motion and StandInExercise stand
CN201375513Y (zh) 新型中医脉象仪
Wells A Sensor Based Approach to Analyzing Motion in Medical Applications: AV Fistula Cannulation and Rett Syndrome
Bae Haptic Feedback System Design for MR-Guided Needle Intervention
Matsuoka et al. A novel approach to evaluate skills in Endotracheal Intubation using biomechanical measurement system
Reswick Physical Measurements on the Human Body
BR102013010971B1 (pt) Dispositivo para reabilitar a força e a mobilidade da língua
BR102017000981A2 (pt) dinamômetro biomédico eletrônico para ser utilizado por pessoas de qualquer faixa etária para a medição, análise e registro de forças manuais quaisquer realizadas durante exercícios isométricos, isotônicos ou isocinétic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9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3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3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