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398B1 -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36398B1 KR101836398B1 KR1020110004541A KR20110004541A KR101836398B1 KR 101836398 B1 KR101836398 B1 KR 101836398B1 KR 1020110004541 A KR1020110004541 A KR 1020110004541A KR 20110004541 A KR20110004541 A KR 20110004541A KR 101836398 B1 KR101836398 B1 KR 1018363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cket
- frame
- display panel
- disposed
- cov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4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8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2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9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6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2858 crystal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01000854908 Homo sapiens WD repeat-containing protein 11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100020705 WD repeat-containing protein 1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86 memory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55 metalwor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4569 Blind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76 Phragmites commun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23 metal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307 optical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41 toughened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5—Assembling proces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기판과 후면기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후면기판의 배면(Rear Surface)에 부착(Sticking)되는 브라켓(Bracket) 및 상기 브라켓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커버(Back Cover)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including a front substrate and a rear substrate, a bracket sticking to a rear surface of the rear substrate, And may include a back cover.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LCD의 액정 패널은 액정 패널은 액정층 및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 기판 및 컬러 필터 기판을 포함하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PDP), Electro Luminescent Display (ELD), Vacuum Fluorescent Display (VFD), and the like have been developed in recent years in response to the demand for display devices. Display) have been studied and used. Among them, a liquid crystal panel of an LCD includes a TFT substrate and a color filter substrate which are opposed to each other with a liquid crystal layer and a liquid crystal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n image can be displayed using light provided from the backlight uni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기판의 전면(Front Surface)의 가장자리(Edge)가 노출되거나 전면기판의 측면 가장자리(Side Edge)가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in which an edge of a front surface of a front substrate of a display panel is exposed or a side edge of the front substrate is exposed.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기판과 후면기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후면기판의 배면(Rear Surface)에 부착(Sticking)되는 브라켓(Bracket) 및 상기 브라켓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커버(Back Cover)을 포함할 수 있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including a front substrate and a rear substrate, a bracket sticking to a rear surface of the rear substrate, And may include a back cover.
또한, 상기 후면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에 배치되는 광학층(Optical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may further include an optical layer disposed between the rear cover and the display panel.
또한, 상기 광학층은 상기 브라켓에 배치될 수 있다.Further, the optical layer may be disposed on the bracket.
또한, 상기 후면기판과 상기 광학층은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ar substrate and the optical layer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또한,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보조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학층은 상기 보조 브라켓에 배치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bracket fixed to the bracket, and the optical layer may be disposed on the auxiliary bracket.
또한,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보조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학층은 상기 브라켓과 상기 보조 브라켓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bracket fixed to the bracket, and the optical layer may include a portion located between the bracket and the auxiliary bracket.
또한, 상기 광학층과 상기 후면커버의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Frame)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ptical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frame disposed between the optical layer and the rear cover.
또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홀(Hole)을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bracket may include a protrusion protru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display panel, and the frame may include a hol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또한,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보조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브라켓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홀(Hole)을 포함할 수 있다.The auxiliary bracket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protru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display panel, and the frame may include a hol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
또한, 상기 프레임과 상기 브라켓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에 체결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홀(Hole)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frame connecting the frame and the bracket, wherein the connection frame is fastened to the frame, and the bracket includes a protrusion protru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display panel, And may include a hol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또한, 상기 프레임과 상기 브라켓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 및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보조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에 체결되고, 상기 보조 브라켓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홀(Hole)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frame connecting the frame and the bracket, and an auxiliary bracket fixed to the bracket, wherein the connection frame is fastened to the frame, and the auxiliary bracket has a protrusion And the connection frame may include a hol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또한, 상기 광학층과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보조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에 체결될 수 있다.Further, it may further comprise an auxiliary frame disposed between the optical layer and the frame, and the auxiliary frame may be fastened to the frame.
또한, 상기 보조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와 두 개의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xiliary fram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display panel and a depression disposed between the protrusions.
또한, 상기 보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을 향해 체결되는 제 1 체결수단 및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보조 프레임을 향해 체결되는 제 2 체결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first fastening means fastened from the subframe toward the frame, and second fastening means fastened from the frame toward the subframe.
또한, 상기 보조 프레임에는 엣지타입(Edge Type) 광원이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n edge type light source may be disposed in the auxiliary frame.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측면커버(Side Cov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may further include a side cover including a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또한, 상기 측면커버는 고리(Hook)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커버는 상기 고리에 대응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de cover may include a hook, and the rear cover may include a hole corresponding to the ring.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측면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커버와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may further include a side cover including a portion positioned on a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cover for connecting the side cover to the frame.
또한, 상기 연결커버는 상기 프레임에 체결되고, 상기 측면커버는 고리(Hook)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커버는 상기 고리에 대응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connection cover may be fastened to the frame, the side cover may include a hook, and the connection cover may include a hole corresponding to the loop.
또한, 상기 후면커버의 끝단은 상기 측면커버와 상기 연결커버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an end of the rear cover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side cover and the connection cover.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기판의 전면(Front Surface)의 가장자리(Edge)가 노출되거나 전면기판의 측면 가장자리(Side Edge)가 노출됨으로써, 불필요한 화면 가림을 방지하여 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테두리 및 글라스 기판의 제거에 따른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dge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substrate of the display panel are exposed, or the side edges of the front substrate are exposed,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screen blindness and enhancing aesthetics And there is a cost reduction effect due to removal of the rim and the glass substrate.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1 내지 도 6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3 내지 도 9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100 내지 도 101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to 3 are views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to 30 are views for explain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31 to 62 are views for explaining anoth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63 to 99 are views for explaining anoth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100 to 101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broadcast signal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change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may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onl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 " and / or " may include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Can be understood.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can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interchangeably to designate one or more of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xplain more fully to the average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shapes and sizes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like can be exaggerated for clarity.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액정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에),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인 것도 가능하다.Hereinafte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display panel. However, the display panel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liquid crystal panel, but may be a plasma display panel, P),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to 3 are views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브라켓(Bracket, 140), 광학층(Optical Layer, 110), 백 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120) 및 후면커버(Back Cover, 130)를 포함할 수 있다.1,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서로 대항되게 배치되는 전면기판과 후면기판을 포함하고, 브라켓(14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기판의 배면(Rear Surface)에 부착(Sticking)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광학층(110)은 후면기판과 후면커버(1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광학층(110)은 브라켓(140)에 고정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도 백라이트 유닛(120)과 후면기판이 가하는 압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The
또는, 광학층(110)은 브라켓(140)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광학층(110)은 복수의 시트(Sheet)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층(110)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프리즘 시트 및 확산 시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Alternatively, the
아울러, 백 라이트 유닛(120)은 광학층(1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백 라이트 유닛(120)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Light Source)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에는 다양한 형태의 광원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칩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칩이 구비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중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광원은 적색, 청색, 녹색 등과 같은 컬러 중에서 적어도 한 컬러를 방출하는 유색 LED이거나 백색 LED로 구성될 수 있다.Various types of light sources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light source may be one of a light emitting diode (LED) chip or a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having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chip. In this case, the light source may be a colored LED or a white LED that emits at least one color among colors such as red, blue, green, and the like.
백 라이트 유닛(120)의 후방에는 후면커버(130)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The
후면커버(130)는 백 라이트 유닛(120) 및 광학층(110)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The
여기서, 광학층(1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밀착될 수 있다. 또는, 백 라이트 유닛(120)은 광학층(110)에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Here, the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도 2의 경우와 같이, 서로 대향하여 균일한 셀 갭이 유지되도록 합착된 전면 기판(101) 및 후면 기판(111)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전면기판(101)과 후면기판(111)의 사이에는 액정층(Liquid Crystal Layer, 104)이 형성될 수 있다.2, the
또한, 전면기판(101)과 후면기판(111)의 사이에는 액정층(104)을 밀봉하기 위한 실부(Seal Portion, 200)가 배치될 수 있다.A sealing
전면기판(101)에는 R, G, B 컬러를 구현하기 위한 컬러필터(102)가 배치될 수 있다.A
이러한, 컬러 필터(102)는 레드(R), 그린(G) 및 블루(B) 서브 픽셀(Sub-pixel)로 이루어진 복수의 픽셀(Pixel)들을 포함하며, 광이 인가되는 경우 레드, 그린 또는 블루의 색에 해당 하는 이미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픽셀들은 레드, 그린 및 블루 서브 픽셀로 구성될 수 있으나, 레드, 그린, 블루 및 화이트(W) 서브 픽셀이 하나의 픽셀을 구성하는 등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pixels may be composed of red, green, and blue subpixels, but the red, green, blue, and white (W) subpixels constitute one pixel,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후면기판(111)에는 화소별로 액정을 온/오프(On/Off) 시키기 위한 소정의 트랜지스터(Transistor, 103), 예컨대 TFT(Thin Film transistor)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기판(101)을 컬러 필터 기판(101)이라 하고, 후면기판(111)을 TFT(Thin Film transistor) 기판(111)이라 하는 것도 가능하다.A predetermined transistor (Transistor) 103, for example, a TFT (Thin Film Transistor), may be formed on the
또한, 전면기판(1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통과한 광을 편광시키는 위한 전면 편광 필름(3400)이 배치되고, 후면기판(111)의 후면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후면기판(111)의 후방에 배치되는 광학층(110)을 통과한 광을 편광시키는 후면 편광 필름(3410)이 배치될 수 있다.A front
액정층(104)은 복수의 액정 분자들로 이루어져 있고, 액정 분자들은 트랜지스터(103)에 의해 공급되는 구동신호에 의해 배열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백 라이트 유닛(120)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은 액정층(104)의 분자 배열의 변화에 상응하여 컬러 필터(102)에 입사될 수 있다.The
그러면, 컬러 필터(102)에 의해 적어도 R, G, B 광이 구현됨으로써, 소정의 영상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기판(101)에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Then, at least R, G, and B light are realized by the
도 3을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픽셀들 각각은 데이터라인(300)과 게이트라인(310)이 교차되고, 그 교차부에 접속된 TFT(10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each of the pixels of the
TFT(103)는 게이트라인(106)으로부터의 게이트펄스에 응답하여 데이터라인(105)을 통해 공급되는 데이터전압을 액정셀(Clc)의 화소전극(320)에 공급한다. 액정셀(Clc)은 화소전극(320)의 전압과 공통전극(330)에 인가되는 공통전압(Vcom)의 전압차에 따라 발생되는 전계에 의해 회동하여 편광판을 통과하는 광양을 조절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액정셀(Clc)의 화소전극에 접속되어 액정셀(Clc)의 전압을 유지한다.The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구조 및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에서 실시예의 변경, 추가, 삭제가 가능할 것이다.The structure and configuration of the
도 4 내지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4 to 30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arts described in detail above will be omitted.
먼저, 도 4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기판(111)의 후면과 브라켓(140)의 사이에는 접착층(4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층(400)에 의해 브라켓(140)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기판(111)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4, an
이처럼, 접착층(400)을 이용하여 후면기판(111)의 후면에 브라켓(140)을 부착시키게 되면 팸넛(Pemnut), 보스(Boss) 등의 지지수단 및 스크류(Screw) 등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고정을 단순하게 할 수 있고,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으며, 아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If the
브라켓(140)과 후면기판(111)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브라켓(140)의 후면기판(111)을 향하는 일면에는 홈(141)이 형성되고, 이러한 홈(141)에 접착층(40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A
이러한 경우, 접착재료가 브라켓(14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서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dhesive material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out of the
상기와 같이, 브라켓(140)을 후면기판(111)의 후면에 부착하게 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길이방향(LD)으로 브라켓(140)보다 더 연장되는 부분(W1)을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도 5를 살펴보면, 홈(141)은 깊이가 서로 다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자세하게는, 접착층(400)의 접착재료가 홈(141)에 보다 효과적으로 위치하도록 하면서도 후면기판(111)과 브라켓(140)의 접착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브라켓(140)은 폭 방향(WD)으로 홈(141)의 깊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부분(A1, A2)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예를 들면, 홈(141)의 중앙부분의 깊이(t1)는 홈(141)의 가장자리부분의 깊이(t2)와 다를 수 있다. 아울러, 홈(141)의 가장자리부분에서는 홈(141)의 길이가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The depth t1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다르게 표현하면, 홈(141)에 형성되는 접착층(400)은 두께가 서로 다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접착층(400)은 중앙부분의 폭이 가장자리부분의 폭보다 클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도 6을 살펴보면, 브라켓(140)의 내측(Inner Area, IA)에 광학층(110)이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브라켓(140)의 외측(Outter Area, OA)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연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바람직하게는, 광학층(110)은 브라켓(140)의 내측에서 브라켓(14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광학층(110)에 브라켓(140)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광학층(110)의 일부는 브라켓(140)과 중첩(Overlap)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광학층(110)의 일부는 브라켓(140)에 내부(Inside)에 위치하거나 혹은 브라켓(140)과 접촉할 수 있다.Preferably, the
브라켓(140)에 광학층(110)을 고정하기 위해, 도 7과 같이, 브라켓(140)에 홈(70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홈(700)에 광학층(110)을 삽입함으로써 브라켓(140)에 광학층(110)을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In order to fix the
이러한 홈(700)은 브라켓(140)의 측면에는 형성되며, 아울러 홈(7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The
도 8을 살펴보면, 광학층(110)과 브라켓(14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홈(700)을 갈고리(Hook)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광학층(110)에도 홈(700)에 대응되는 돌출부(111)를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돌출부(111)를 홈(700)에 삽입함으로써 광학층(110)을 브라켓(140)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8, the
또는, 도 9의 경우와 같이, 브라켓(140)에 돌출부(900)를 형성하고, 광학층(110)에는 홀(Hole, 112)을 형성하고, 브라켓(140)의 돌출부(900)를 광학층(110)의 홀(112)에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광학층(110)을 브라켓(140)에 고정할 수 있다.9, a
또는, 도 10의 경우와 같이, 광학층(110)에 홀(112) 및 브라켓(140)의 돌출부(900)가 지날 수 있는 가이드부(Guide Portion, 113)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브라켓(140)의 돌출부(900)를 가이드부(113)를 통과시켜 홀(112)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10, it is possible to form a
도 11을 살펴보면, 광학층(110)의 후방에는 백 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120)이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11, a back
이러한 백 라이트 유닛(120)은, 도 12의 경우와 같이, 광학층(110)의 후면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광학층(110)과 백 라이트 유닛(120)의 사이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또는, 도 12와는 다르게, 백 라이트 유닛(120)이 광학층(110)과 소정 거리 이격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Alternatively, unlike FIG. 12,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도 13을 살펴보면, 백 라이트 유닛(120)의 후방에 후면커버(1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커버(130)는 브라켓(140)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13, the
이를 위해, 브라켓(14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된 홀(1300)이 형성되고, 이러한 홀(1300)에 후면커버(130)의 끝단(Edge)이 삽입됨으로써, 브라켓(140)에 후면커버(130)가 고정될 수 있다.A
도 14를 살펴보면, 브라켓(140)에 후면커버(130)가 고정되는 경우에 후면커버(130)와 백 라이트 유닛(120)이 소정 거리(d1) 이격될 수 있다.14, when the
아울러, 브라켓(140)에 후면커버(130)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전면기판(101)의 전면(Front Surface)의 가장자리(Edge)가 노출되거나 전면기판(101)의 측면의 가장자리(Side Edge)가 노출되는 것이 가능하다.Even when the
여기서, 전면기판(101)의 전면의 가장자리(Edge)가 노출된다는 것은 관찰자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정면에서 전면기판(101)의 전면을 바라봤을 때 즉, 관찰자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정면에서 D2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바라봤을 때, 관찰자는 전면기판(101)의 전면의 가장자리를 관찰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e edg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아울러, 전면기판(101)의 측면의 가장자리(Side Edge)가 노출된다는 것은 관찰자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서 전면기판(101)의 전면을 바라봤을 때 즉, 관찰자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서 D1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바라봤을 때, 관찰자는 전면기판(101)의 측면의 가장자리를 관찰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e side edges of the
이와 같이, 후면커버(130)가 장착된 이후에도 전면기판(101)의 전면의 가장자리가 노출되거나 전면기판(101)의 측면의 가장자리가 노출되는 경우에는 적어도 전면기판(101)은 강화유리인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전면기판(101)의 전면의 가장자리가 노출되거나 전면기판(101)의 측면의 가장자리가 노출되더라도 전면기판(101)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f the edg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아울러, 전면기판(101)의 강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전면기판(101)의 두께는 후면기판(111)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면기판(101)이 노출되더라도 전면기판(101)이 손상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rigidity of the
도 15a를 살펴보면, 후면커버(130)의 폭(L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폭(L1)보다 작을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후면커버(130)의 폭(L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기판(101) 및 후면기판(111) 중 적어도 하나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A, the width L2 of the
이러한 경우에는 관찰자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바라봤을 때, 실질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대부분의 영역을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외관상 미려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 또 다른 테두리가 보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화면 영역이 보다 커져 보이는 시각적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observer looks at the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측(①) 및 하측(②)에서 각각 전면기판(101)의 전면의 가장자리 및 전면기판(101)의 측면의 가장자리가 노출될 수 있다.The edg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또한, 도 15a를 살펴보면, 브라켓(140)의 내측(IA)에 광학층(110)이 배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15A,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전면기판(101)의 전면의 가장자리(Edge)에는 블로킹부(Blocking members, 1500)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블로킹부(1500)는 전면기판(101)의 전면의 가장자리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블로킹부(15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영역(유효영역, Active Area)의 외곽의 더미영역(Dummy Area)을 가림으로써 화면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이 더욱 두드러져 보이도록 할 수 있다.Blocking
이러한 블로킹부(1500)는 주위보다 낮은 명도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블로킹부(1500)의 명도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명도보다 낮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블로킹부(1500)는 실질적으로 검은색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블로킹부(1500)는 실질적으로 검은색 테잎(Tape)일 수 있으며, 검은색 테잎을 전면기판(101)의 전면에 부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Such a blocking
이러한, 블로킹부(1500)는 블랙층(Black Layer)이라고 할 수 있다.The blocking
블로킹부(1500)는 전면기판(101)의 전면에 배치되며, 아울러 전면기판(101)의 전면의 가장자리가 노출되기 때문에, 도 15b와 같이, 블로킹부(1500)의 거의 모든 부분이 노출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관찰자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바라봤을 때, 관찰자는 블로킹부(1500)의 거의 모든 부분을 관찰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즉, 블로킹부(1500)의 거의 모든 부분은 관찰될 수 있다.The blocking
한편, 브라켓(140)은 영상을 표시하지 않기 때문에 화면 영역 외곽의 더미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아울러, 브라켓(140)은 블로킹부(1500)에 의해 가려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5a와 같이, 블로킹부(1500)는 브라켓(140)과 중첩(Overlap)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브라켓(140)은 블로킹부(1500)와 전체 중첩(Full Overlap)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블로킹부(1500)의 폭(W10, W20)은 브라켓(140)의 폭(W11, W12)보다 큰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블로킹부(1500)는 브라켓(140)보다 전면기판(101)의 중심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부분(P1, P2)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아울러 블로킹부(1500)는 브라켓(140)보다 전면기판(101)의 외곽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부분(W1, W2)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여기서, 블로킹부(1500)의 폭(W10, W20) 및 브라켓(140)의 폭(W11, W1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단면에서의 폭이다.The widths W10 and W20 of the blocking
도 16을 살펴보면, 백 라이트 유닛(120)의 후방에는 프레임(Frame, 1600)이 더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백 라이트 유닛(120)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광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백 라이트 유닛(120)의 후면에 프레임(1600)이 부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it is possible to further arrange a
이러한 프레임(1600)은 강도가 크고 열 전도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1600)은 금속 재질,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Al)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Such a
이러한 경우, 프레임(1600)은 브라켓(14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7의 경우와 같이, 브라켓(140)에는 안착부(1700)가 형성되고, 프레임(1600)에는 체결홀(1610)이 형성되고, 체결수단(1720)이 프레임(1600)의 체결홀(1610)을 관통하여 브라켓(140)의 안착부(17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1600)이 브라켓(140)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이러한 경우에도, 도 18의 경우와 같이, 백 라이트 유닛(120)과 광학층(110)은 밀착될 수 있다.Even in such a case, as in the case of Fig. 18, the
또는, 도 18의 경우와는 다르게, 백 라이트 유닛(120)과 광학층(110)은 서로 이격되는 것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unlike the case of FIG. 18, the
아울러, 백 라이트 유닛(120)의 후방에 프레임(1600)이 배치되는 경우에는 후면커버(130)가 생략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또는, 백 라이트 유닛(120)의 후방에 프레임(1600)이 배치되는 경우에는 후면커버(130)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또는, 프레임(1600)은 백라이트 유닛(120)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프레임(1600)과 백라이트 유닛(120)의 사이에 또 다른 구조물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도 19의 경우와 같이, 프레임(1600)의 후면의 일부 영역에 후면커버(130)를 배치하고, 후면커버(130)와 프레임(1600)의 사이에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구동보드(1900)를 배치할 수 있다.19, the
이러한 경우에는 후면커버(130)의 폭(L2)은 프레임(1600)의 폭(L3)보다 작을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폭, 예컨대 전면기판(101)의 폭(L1)은 후면커버(130)의 폭(L3) 및 프레임(1600)의 폭(L2)보다 클 수 있다.In this case, the width L2 of the
도 20a를 살펴보면, 브라켓(140)과 후면커버(130)의 사이에는 보조 브라켓(2300)이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보조 브라켓(2300)을 사용하게 되면 브라켓(140)의 형상은 변경하지 않으면서도 외부로 노출되는 보조 브라켓(2300)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자인을 용이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자세히 설명하면, 보조 브라켓(2300)을 사용하게 광학층(110) 또는 백 라이트 유닛(120)의 배치구조를 변경하지 않으면서도 후면커버(130)의 연결구조 등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본 구조는 변경하지 않으면서도 후면커버(130)의 연결구조 등의 외형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20A, an
이러한 보조 브라켓(2300)의 일측은 브라켓(140)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보조 브라켓(2300)의 타측에는 후면커버(130)가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One side of the
보조 브라켓(2300)에 후면커버(130)를 고정하기 위해, 보조 브라켓(2300)에 브라켓(140)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된 홈(2310)이 형성되고, 홈(2310)에는 후면커버(130)의 끝단(Edge)이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A
보조 브라켓(2300)에 후면커버(130)가 고정되는 경우에 후면커버(130)와 백 라이트 유닛(120)이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이는 앞선 도 14 내지 도 1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브라켓(140)에 후면커버(130)가 고정되는 경우 후면커버(130)와 백 라이트 유닛(120)이 소정거리 이격되는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When the
아울러, 보조 브라켓(2300)에 후면커버(130)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전면기판(101)의 전면(Front Surface)의 가장자리(Edge)가 노출되거나 전면기판(101)의 측면의 가장자리(Side Edge)가 노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앞선 도 14 내지 도 15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다.Even when the
도 20b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길이방향으로 보조 브라켓(2300)보다 더 연장되는 부분(W200)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다.Referring to FIG. 20B, the
한편, 브라켓(140)은 복수개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1의 경우와 같이, 브라켓(140)은 가로 브라켓(140A1, 140A2)과 세로 브라켓(140B1, 140B2)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가로 브라켓(140A1, 140A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기판(111)의 배면(Rear Surface)의 장변(LS1, LS2)측에 부착되고, 세로 브라켓(140B1, 140B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기판(111)의 배면의 단변(SS1, SS2)측에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다.Here, the horizontal brackets 140A1 and 140A2 are attached to the long side LS1 and LS2 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아울러, 가로 브라켓(140A1, 140A2) 및 세로 브라켓(140B1, 140B2)은 소정 간격(d10) 이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로 브라켓(140A1, 140A2)과 세로 브라켓(140B1, 140B2)은 후면기판(111)의 배면의 코너(Corner) 부분에서 서로 이격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brackets 140A1 and 140A2 and the vertical brackets 140B1 and 140B2 may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10. The lateral brackets 140A1 and 140A2 and the vertical brackets 140B1 and 140B2 may be spaced from each other at a corn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이러한 경우, 가로 브라켓(140A1, 140A2) 및 세로 브라켓(140B1, 140B2)을 후면기판(111)에 부착하는 공정이 용이해질 수 있으며, 브라켓(140)의 단가를 낮춤으로써 총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horizontal brackets 140A1 and 140A2 and the vertical brackets 140B1 and 140B2 to the
아울러, 광학층(110)은 가로 브라켓(140A1, 140A2) 및 세로 브라켓(140B1, 140B2)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2의 경우와 같이, 광학층(110)은 가로 브라켓(140A1, 140A2) 및 세로 브라켓(140B1, 140B2) 중 가로 브라켓(140A1, 140A2)에는 고정되고, 세로 브라켓(140B1, 140B2)에는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광학층(110)은 가로 브라켓(140A1, 140A2)과는 중첩하거나 접촉할 수 있고, 세로 브라켓(140B1, 140B2)과는 중첩하지 않고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러한 경우, 가로 브라켓(140A1, 140A2)의 폭(A10)은 세로 브라켓(140B1, 140B2)의 폭(A20)과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23의 경우와 같이, 광학층(110)이 고정되는 가로 브라켓(140A1, 140A2)의 폭(A10)이 세로 브라켓(140B1, 140B2)의 폭(A20)보다 클 수 있다. 세로 브라켓(140B1, 140B2)은 광학층(110)이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그 폭(A20)이 작아도 관계없다.In this case, the width A10 of the horizontal brackets 140A1 and 140A2 may be different from the width A20 of the vertical brackets 140B1 and 140B2. The width A10 of the horizontal brackets 140A1 and 140A2 to which the
또는, 도 24의 경우와 같이, 광학층(110)은 가로 브라켓(140A1, 140A2) 및 세로 브라켓(140B1, 140B2)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세로 브라켓(140B1, 140B2)의 길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갖는 가로 브라켓(140A1, 140A2)이 광학층(110)에 대한 주요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로 브라켓(140A1, 140A2)의 폭(A10)이 세로 브라켓(140B1, 140B2)의 폭(A20)보다 큰 것이 가능하다.Alternatively, as in the case of FIG. 24, the
또한, 가로 브라켓(140A1, 140A2)과 세로 브라켓(140B1, 140B2)은 소정의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5의 경우와 같이, 서로 이격된 가로 브라켓(140A1, 140A2)과 세로 브라켓(140B1, 140B2)의 사이에는 연결부(3100)가 배치될 수 있고, 연결부(3100)는 소정의 체결수단(3110)에 의해 가로 브라켓(140A1, 140A2) 및 세로 브라켓(140B1, 140B2)에 연결됨으로써 가로 브라켓(140A1, 140A2) 및 세로 브라켓(140B1, 140B2)이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brackets 140A1 and 140A2 and the vertical brackets 140B1 and 140B2 may be connected by a predetermined connecting means. 25, a connecting
도 26을 살펴보면, 가로 브라켓(140A1, 140A2)과 세로 브라켓(140B1, 140B2)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브라켓(140)에서 후면기판(111)의 장변(LS1, LS2)에 배치되는 부분을 가로 브라켓(140A1, 140A2)이라하고, 후면기판(111)의 단변(SS1, SS2)에 배치되는 부분을 세로 브라켓(140B1, 140B2)이라 하는 것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26, the horizontal brackets 140A1 and 140A2 and the vertical brackets 140B1 and 140B2 may be integrally formed. In this case, the portions disposed on the long sides LS1 and LS2 of the
이러한 경우에도, 가로 브라켓(140A1, 140A2)의 폭(A10)이 세로 브라켓(140B1, 140B2)의 폭(A20)보다 큰 것이 가능하다.Even in this case, the width A10 of the horizontal brackets 140A1 and 140A2 can be larger than the width A20 of the vertical brackets 140B1 and 140B2.
도 27을 살펴보면, 보조 브라켓(2300)은 가로 브라켓(140A1, 140A2) 및 세로 브라켓(140B1, 140B2)에는 단일(Single) 보조 브라켓(2300)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가로 브라켓(140A1, 140A2) 및 세로 브라켓(140B1, 140B2)에 보조 브라켓(2300)이 연결된 상태에서 가로 브라켓(140A1, 140A2)과 세로 브라켓(140B1, 140B2)의 사이에는 빈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27, a single
도 28을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기판(101)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 편광 필름(3400)의 폭(L10)과 후면기판(111)의 후면에 배치되는 후면 편광 필름(3410)의 폭(L11)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여기서, 전면 편광 필름(3400)의 폭(L10)과 후면 편광 필름(3410)의 폭(L1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단면에서의 폭이다.The width L10 of the front
바람직하게는, 전면 편광필름(3400)의 폭(L10)은 후면 편광필름(3410)의 폭(L11)보다 클 수 있다.Preferably, the width L10 of the front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도 29a의 경우와 같이, 전면 편광필름(3400)은 브라켓(140)과 중첩되는 부분(A30)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브라켓(140)은 후면기판(11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후면 편광필름(3410)과 소정 거리(d11) 이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브라켓(140)은 후면기판(111)에 직접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브라켓(140)과 후면기판(111)의 부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in the case of FIG. 29A, it is possible that the front
아울러, 전면 편광필름(3400)은 전면기판(101)의 전면의 끝단과 소정 거리(d12)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면 편광필름(3400)을 전면기판(101)에 부착하는 공정이 용이해질 수 있고, 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도 29b를 살펴보면, 블로킹부(1500)와 전면 편광필름(3400)은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로킹부(1500)는 전면 편광필름(3400)의 상부에 배치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9B, the blocking
아울러, 전면 편광필름(34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외곽방향으로 블로킹부(1500)에 비해 더 연장되는 부분(Y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9b에서는 블로킹부(1500)가 전면 편광필름(340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경우만을 도시하였지만, 블로킹부(1500)가 전면 편광필름(3400)과 전면기판(101)의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도 가능하면, 이러한 경우에도 전면 편광필름(34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외곽방향으로 블로킹부(1500)에 비해 더 연장되는 부분(Y1)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또는, 도 29c와 같이, 블로킹부(15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외곽방향으로 전면 편광필름(3400)에 비해 더 연장되는 부분(Y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블로킹부(1500)는 전면 편광필름(3400)과도 접촉하고, 전면기판(101)과도 접촉할 수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29C, the blocking
도 29c에서는 블로킹부(1500)가 전면 편광필름(340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경우만을 도시하였지만, 블로킹부(1500)가 전면 편광필름(3400)과 전면기판(101)의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도 가능하면, 이러한 경우에도 블로킹부(15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외곽방향으로 전면 편광필름(3400)에 비해 더 연장되는 부분(Y2)을 포함할 수 있다.29C shows only the case where the blocking
또는, 도 29d와 같이, 블로킹부(1500)와 전면 편광필름(3400)은 동일한 층(Layer)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블로킹부(1500)는 전면 편광필름(3400)의 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29D, the blocking
도 30의 (a), (b)를 살펴보면, 전면기판(101)의 단변(SS1, SS2)은 후면기판(111)의 단변(SS1, SS2)보다 더 연장되고, 전면기판(101)의 장변(LS1, LS2)은 후면기판(111)의 장변(LS1. LS2)보다 더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30A and 30B, the short sides SS1 and SS2 of the
예를 들면, 전면기판(101)의 단변(SS) 중 제 1 단변(SS1)은 전면기판(101)의 제 1 단변(SS1)에 대응되는 후면기판(111)의 제 1 단변(SS1)보다 제 1 길이(S1)만큼 연장되고, 전면기판(101)의 단변 중 제 2 단변(SS2)은 전면기판(101)의 제 2 단변(SS2)에 대응되는 후면기판(111)의 제 2 단변(SS2)보다 제 2 길이(S2)만큼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the first short side SS1 of the short side SS of the
여기서, 제 1 길이(S1)와 제 2 길이(S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가능할 수 있다.Here, the first length S1 and the second length S2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또는, 제 1 길이(S1)와 제 2 길이(S2)는 서로 다른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기판(101)의 제 1 단변(SS1)과 제 2 단변(SS2)에서의 구조를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Alternatively, the first length S1 and the second length S2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make the structures of the first short side SS1 and the second short side SS2 of the
예를 들면, 전면기판(101)의 제 1 단변(SS1)측에 대응되는 후면기판(111)의 제 1 단변(SS1)에 게이트 드라이버를 실장하기 위해 후면기판(111)의 제 1 단변(SS1)측에 충분히 큰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 1 길이(S1)가 제 2 길이(S2)보다 작아질 수 있다.The first short side SS1 of the
또는, 전면기판(101)의 장변(LS) 중 제 1 장변(LS1)은 전면기판(101)의 제 1 장변(LS1)에 대응되는 후면기판(111)의 제 1 장변(LS1)보다 제 10 길이(S10)만큼 연장되고, 전면기판(101)의 장변(LS) 중 제 2 장변(LS2)은 전면기판(101)의 제 2 장변(LS2)에 대응되는 후면기판(111)의 제 2 장변(LS2)보다 제 20 길이(S20)만큼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first long side LS1 of the long side LS of the
여기서, 제 20 길이(S20)와 제 10 길이(S10)는 서로 다른 것이 가능하다.Here, the twentieth length S20 and the tenth length S1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도 31 내지 도 6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이하에서는 보조 브라켓이 생략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브라켓에 연결되는 보조 브라켓을 포함하는 경우도 이하의 내용에 적용될 수 있다.Figs. 31 to 62 are views for explaining anoth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arts described in detail above will be omitted. For examp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case where the auxiliary bracket is omitted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case including the auxiliary bracket connected to the bracket can also be applied to the following contents.
도 31을 살펴보면, 광학층(110)은 브라켓(140)에 고정되지 않고, 브라켓(140)의 일면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광학층(110)은 브라켓(140)의 상부에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1, the
여기서, 브라켓(140)의 형상이 앞서 설명한 경우와 다르지만, 도 31의 브라켓(140)의 형상은 예컨대 도 4의 경우와 동일한 경우도 가능하다. 브라켓(140)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Here, although the shape of the
이러한 구조에서는 광학층(110)을 단순히 브라켓(140)의 상부에 놓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단순해질 수 있다. 아울러, 광학층(110)의 크기를 브라켓(140)의 크기에 대응되게 설계한다면 광학층(110)을 단순히 브라켓(140)의 상부에 올려놓는 경우에도 브라켓(140)의 상부에서 광학층(11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structure, since the
이처럼, 브라켓(140)의 상부에 광학층(110)이 배치되면, 광학층(110)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기판(111)이 소정 거리(Z1)이 이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 32의 경우와 같이, 후면기판(111)과 광학층(110)의 사이에 에어층(Air Gap, 6500)이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이처럼, 후면기판(111)과 광학층(110)의 사이에 에어층(Air Gap, 6500)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에어층(6500)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학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In this way, when an
도 33을 살펴보면, 브라켓(140)의 일면에는 고정부(6600)가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고정부(6600)에 광학층(11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66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33, a fixing
이처럼, 광학층(110)에 고정부(6600)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광학층(110)과 고정부(6600)의 접촉면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광학층(110)의 손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아울러, 광학층(110)이 움직이는 것을 억제하고 광학층(110)의 손상을 충분히 방지하기 위해 광학층(110)과 접촉하는 고정부(6600)는 브라켓(140)보다 무른 성질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고정부(6600)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hat the fixing
광학층(110)의 후방에는 도광판(7000)이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는 백라이트 유닛(120)이 직하타입(Direct Type)이 아니고 엣지 타입(Edge Type)인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And the
여기서, 광학층(1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후면기판(111)의 배면으로부터 측정한 광학층(110)의 최대 높이(Z2)는 브라켓(140)의 높이(Z3)보다 작을 수 있다.The maximum height Z2 of the
아울러, 광학층(110)의 후방에 도광판(7000)이 배치되는 경우에도 도광판(70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후면기판(111)의 배면으로부터 측정한 도광판(7000)의 최대 높이(Z4)는 브라켓(140)의 높이(Z3)보다 작을 수 있다.The maximum height Z4 of the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엣지형 백라이트 유닛(7010)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고, 직하형 백 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 엣지형 및 직하형이 모두 가능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dge
도 34를 살펴보면, 프레임(1600)의 후방에는 후면커버(130)가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4, the
아울러, 후면커버(10)는 브라켓(14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4의 경우와 같이, 브라켓(140)의 돌출부(145)에 후면커버(130)가 도시하지 않은 소정의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브라켓(140)의 돌출부(145)의 일측에는 프레임(1600)이 연결되고, 돌출부(145)의 타측에는 후면커버(130)가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프레임(1600)의 일부와 후면커버(130)의 일부는 브라켓(140)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또한, 도 35와 같이, 프레임(1600)과 후면커버(130)의 사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구동보드(7210)가 배치될 수 있다.35, a driving
아울러, 프레임(1600)과 후면커버(130)의 사이에는 에어층(72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층(7200)은 프레임(1600)과 후면커버(130)의 사이에 구동보드(7210)를 배치할 공간을 마련함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
여기서, 광학층(110)과 후면기판(111) 사이에 형성되는 에어층(6500)을 제 1 에어층(First Air Gap)이라 하고, 프레임(1600)과 후면커버(130)의 사이에 형성되는 에어층(7200)을 제 2 에어층(Second Air Gap)이라 할 때, 제 2 에어층(7200)의 두께(Z5)는 제 1 에어층(6500)의 두께(Z1)보다 큰 것이 가능하다.The
이러한 경우에도, 브라켓(140)에 보조 브라켓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후면커버(130)가 보조 브라켓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보조 브라켓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기 때문에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Even in this case, the auxiliary bracket can be connected to the
또는, 도 36의 경우와 같이, 후면커버(130)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후면커버(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132)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Alternatively, as in the case of Fig. 36, the
도 37을 살펴보면, 후면커버(130)의 일부는 브라켓(140)에 단순히 끼워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7의 (B)의 경우와 같이, 브라켓(140)에는 홈(3700)이 형성되고, 후면커버(130)에는 홈(3700)에 대응되는 돌출부(371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브라켓(140)에 형성된 홈(3700)을 레일(Rail)이라고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브라켓(140)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을 향해 함몰되어 형성된 홈(3700)을 외곽 레일(Outer Rail)이라고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7, a part of the
여기서, 후면커버(130)에 형성된 돌출부(3710)는 브라켓(140)에 형성된 외곽 레일(3700)에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후면커버(130)는 브라켓(140)과 연결되어 접촉하는 부분을 포함하지만 체결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후면커버(130)는 브라켓(140)에 연결되지만 고정되지는 않을 수 있다.Here, the
예를 들면, 도 37의 (A)의 경우와 같이, 후면기판(111)의 제 1 장변(LS1)에는 가로 브라켓(140A)이 배치되고, 후면기판(111)의 제 1 단변(SS1) 및 제 2 단변(SS2)에는 세로 브라켓(140B1, 140B2)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후면기판(111)의 제 1 장변(LS1)을 제 1 영역이라 하고, 제 2 장변(LS2)을 제 2 영역이라 하고, 제 1 단변(SS1)을 제 3 영역이라 하고, 제 2 단변(SS2)을 제 4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37A, the first long side LS1 of the
여기서, 가로 브라켓(140A)에 후면커버(130)의 일부가 끼워질 수 있고, 세로 브라켓(140B1, 140B2)에도 후면커버(130)의 일부가 끼워질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영역에서는 브라켓(140)과 후면커버(130)가 연결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영역과 마주보는 제 2 영역에서는 브라켓(140)과 후면커버(130)가 연결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과 인접한 제 3 영역에서는 브라켓(140)과 후면커버(130)가 연결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3 영역과 마주보는 제 4 영역에서도 브라켓(140)과 후면커버(130)가 연결될 수 있다.Here, a part of the
이러한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3, 4 영역에서 전면기판(101)의 전면(Front Surface)의 가장자리(Edge)가 노출되는 것이 가능하다.Even in such a case, it is possible to expose the edge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상기와 같이, 후면커버(130)에 형성된 돌출부(3710)가 브라켓(140)에 형성된 외곽 레일(3700)에 끼워짐으로서 후면커버(130)와 브라켓(140)이 연결되는 경우에는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후면커버(130)를 브라켓(140)에 연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예를 들면, 도 38의 경우와 같이, 후면커버(130)의 돌출부(3710)를 브라켓(140)에 형성된 외곽 레일(370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후면커버(130)와 브라켓(140)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38, the
또는, 도 39의 경우와 같이, 후면기판(110)의 제 1 장변(LS1)에 가로 브라켓(140A), 제 1 단변(SS1) 및 제 2 단변(SS2)에 세로 브라켓(140B1, 140B2)을 설치하고, 후면커버(130)의 제 1 장변(LS1), 제 1 단변(SS1) 및 제 2 단변(SS2)에 각각 돌출부(3710)를 형성할 수 있다.39, vertical brackets 140B1 and 140B2 are provided on the first long side LS1 of the
여기서, 세로 브라켓(140B1, 140B2)은 후면커버(130)의 제 1 단변(SS1) 및 제 2 단변(SS2)에 형성된 돌출부(3710)와 슬라이딩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vertical brackets 140B1 and 140B2 may be connected to the
아울러, 가로 브라켓(140A)은 후면커버(130)의 제 1 장변(LS1)에 형성된 돌출부(3710)와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이러한 구조에서는 후면커버(130)의 연결공정이 보다 단순해질 수 있다. 아울러, 후면커버(130)와 브라켓(140)을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체결하지 않아도 후면기판(130)과 브라켓(140)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제조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다.In this structure, the connection process of the
아울러, 후면커버(130)의 일부를 브라켓(140)에 단순히 끼워서 넣는 방식으로 후면커버(130)를 브라켓(140)에 연결하기 때문에 후면커버(130)가 온도 등에 의해 변형되더라도 브라켓(140)에 고정된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예를 들어, 후면커버(130)가 뒤틀리는 경우에, 후면커버(130)의 일부를 브라켓(140)에 단순히 끼워서 넣는 방식으로 후면커버(130)를 브라켓(140)에 연결하기 때문에, 후면커버(130)가 뒤틀리면서 발생한 힘이 브라켓(140)으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Since the
따라서 외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액정층의 분자 배열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 원하지 않는 빛이 새어나가는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현되는 영상의 화질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molecular arrangement of the liquid crystal layer of the
한편, 이상에서는 후면커버(130)의 일부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브라켓(140)에 연결되는 경우만을 설명하였지만, 후면커버(130)에 소정의 구조물이 배치되고, 이러한 구조물을 이용하여 후면커버(130)를 브라켓(140)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only the case where a part of the
예를 들면, 도 40의 경우와 같이, 후면커버(130)에는 브라켓(140)에 대응되는 고정 브라켓(3800)이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40, a
도 40의 (B)를 살펴보면, 고정 브라켓(3800)은 소정의 체결수단(3803)에 의해 후면커버(130)에 고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0 (B), the fixing
아울러, 고정 브라켓(3800)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801, 380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 브라켓(3800)은 제 1 돌출부(3801)와 제 2 돌출부(380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후면커버(130)에 밀착되는 제 1 돌출부(3801)의 길이(R1)는 후면커버(130)와 접촉하지 않는 제 2 돌출부(3802)의 길이(R2)보다 길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또한, 고정 브라켓(3800)은 홈(3805)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고정 브라켓(3800)에 형성되는 홈(3805)도 레일이라고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고정 브라켓(3800)에 형성된 홈(3805)을 고정 레일(3805)이라고 칭한다.It is also possible for the
또는, 도 41의 경우와 같이, 고정 브라켓(3800)과 후면커버(130)의 사이에는 접착층(3804)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접착층(3804)에 의해 고정 브라켓(3800)이 후면커버(130)에 부착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갖는 제 1 돌출부(3801)와 후면커버(130)의 사이에 접착층(3804)이 배치될 수 있다.Alternatively, an
이러한 구조에서, 도 42의 경우와 같이, 후면커버(130)에 배치된 고정 브라켓(3800)의 제 2 돌출부(3802)를 브라켓(140)에 형성된 외곽 레일(370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후면커버(130)와 브라켓(140)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외곽 레일(37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42, the
상기와 같이, 고정 브라켓(3800)은 브라켓(140)과 접촉하는 부분을 포함하지만 체결되지는 않을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또는, 후면커버(130)에 배치된 고정 브라켓(3800)의 고정 레일(3805)에 브라켓(140)에 형성된 돌출부(3720)가 끼워짐으로써 후면커버(130)와 브라켓(140)이 연결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The
또는, 위치에 따라 고정 브라켓(3800)과 브라켓(140)의 연결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Alternatively, the direction of connection between the fixing
예를 들어, 도 43의 (A)의 경우와 같이, 후면기판(111)의 제 1 장변(LS1)에 배치되는 가로 브라켓(140A)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제 2 방향(DR2)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홈(37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브라켓(140)에서 제 2 방향(DR2)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홈(3740)을 내측 레일(Inner Rail, 3740)이라고 칭한다. 아울러, 내측 레일(3740)은 세로 브라켓(140B1, 140B2)에도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43A, the
아울러, 후면커버(130)에 배치되는 고정 브라켓(3800)도 제 2 돌출부(3802)가 후면커버(130)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제 2 방향(DR2)으로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fixing
이러한 내측 레일(3740)에는 고정 브라켓(3800)의 제 2 돌출부(3802)가 끼워질 수 있다. 또는, 고정 브라켓(3800)의 고정 레일(3805)에 브라켓(140)에 형성된 돌출부(3730)가 끼워짐으로써 후면커버(130)와 가로 브라켓(140A)이 연결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The
이러한 구조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장변(LS1), 즉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부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고정 브라켓(3800)이 브라켓(140)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강한 지지력의 제공이 가능하다.In this structure, the fixing
또는, 도 43의 (B)의 경우와 같이, 후면기판(111)의 제 1 단변(SS1) 및 제 2 단변(SS2)에 배치되는 세로 브라켓(140B1, 140B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 즉 제 1 방향(DR1)으로 형성된 외곽 레일(3700)을 포함할 수 있다.The vertical brackets 140B1 and 140B2 disposed on the first short side SS1 and the second short side SS2 of the
아울러, 후면커버(130)에 배치되는 고정 브라켓(3800)도 제 2 돌출부(3802)가 후면커버(13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 즉 제 1 방향(DR1)으로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fixing
여기서 외곽 레일(3700)에는 고정 브라켓(3800)의 제 2 돌출부(3802)가 끼워질 수 있다.Here, the second projecting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장변(LS1)에 배치되는 가로 브라켓(140)과 그에 대응하는 고정 브라켓(3800)의 형상을 다른 영역에 배치되는 브라켓(140)과 그에 대응하는 고정 브라켓(380)의 형상과 다를 수 있다.The
예를 들어, 도 44의 (A)의 경우와 같이, 고정 브라켓(3800)에는 제 2 방향(DR2)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4010)가 형성되고, 가로 브라켓(140A)에는 제 2 방향(DR2)과 반대인 제 1 방향(DR1)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000)가 형성될 수 있다.44A, for example, a
이러한 경우, 도 44의 (B)의 경우와 같이, 고정 브라켓(3800)의 돌출부(4010)와 가로 브라켓(140A)의 돌출부(4000)가 서로 맞물리면서 고정 브라켓(3800)과 가로 브라켓(140A)이 연결될 수 있다.44B, the projecting
이와 같이, 브라켓(140) 및 고정 브라켓(380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As such, the shape of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부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하는 하부 바(Bottom Bar)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ottom bar for supporting the
예를 들면, 도 45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영역(LS1)에서는 브라켓(140)과 고정 브라켓(3800)이 연결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영역(LS1)과 마주보는 제 2 영역(LS2)에서는 브라켓(140)과 고정 브라켓(3800)이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영역(LS1) 및 제 2 영역(LS2)과 인접한 제 3 영역(SS1)에서는 브라켓(140)과 고정 브라켓(3800)이 연결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3 영역(SS1)과 마주보는 제 4 영역(SS4)에서도 브라켓(140)과 고정 브라켓(3800)이 연결될 수 있다.45, the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영역(LS2)의 하부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하는 하부 바(Bottom Bar, 4110)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
여기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영역(LS1)에 배치되는 브라켓(140)을 제 1 가로 브라켓(140A1), 제 2 영역(LS2)에 배치되는 브라켓(140)을 제 2 가로 브라켓(140A2), 제 3 영역(SS1)에 배치되는 브라켓(140)을 제 1 세로 브라켓(140B1), 제 4 영역(SS2)에 배치되는 브라켓(140)을 제 2 세로 브라켓(140B2)이라 칭한다.Here, the
아울러, 후면커버(130)의 제 1 영역(LS1)에 배치되는 고정 브라켓(3800)을 제 1 고정 브라켓(3800A), 제 3 영역(SS1)에 배치되는 고정 브라켓(3800)을 제 3 고정 브라켓(3800B1), 제 4 영역(SS2)에 배치되는 고정 브라켓(3800)을 제 4 고정 브라켓(3800B2)이라 칭한다.The fixing
아울러, 후면커버(130)의 제 1 영역(LS1)과 마주보는 제 2 영역(LS2)에는 고정 브라켓(3800)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후면커버(130)에 배치된 고정 브라켓(3800)과 후면기판(111)에 배치되는 브라켓(140)을 연결하기 위한 입구를 확보하기 위함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이처럼, 슬라이딩 방식으로 후면커버(130)에 배치된 고정 브라켓(3800)과 후면기판(111)에 배치되는 브라켓(140)을 연결한 이후에, 도 46의 경우와 같이, 후면커버(130)의 제 2 영역(LS2)측에 하부 바(4110)를 배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After the
도 46을 살펴보면, 하부 바(41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하면서도, 후면기판(111)의 제 2 영역(LS2)에 배치되는 제 2 가로 브라켓(140A2)을 지지하기 위한 하부 브라켓(4200)이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하부 바(4110)에는 제 2 가로 브라켓(140A)에 대응되는 하부 브라켓(4200)이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46, the
이러한 하부 브라켓(4200)은 소정의 체결 수단에 의해 하부 바(4110)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고, 혹은 접착층에 의해 하부 바(4110)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브라켓(4200)은 후면커버(130)에는 체결되지 않을 수 있다.The
아울러, 도 45의 경우와 같이, 후면기판(111)의 제 2 영역(LS1)에는 브라켓(140)과 다른 체결 브라켓(4100)이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다.45, it is possible to attach the
이러한 체결 브라켓(4100)은, 도 47의 경우와 같이, 하부 바(411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의 체결수단(4120)에 의해 하부 바(4110)와 체결 브라켓(4100)은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체결 브라켓(4100)에는 홈(4101)이 형성되고, 하부 바(4110)에는 홀(Hole, 4111)이 형성되고, 체결수단(4120)이 홈(4111)을 관통하여 홈(4101)에 고정될 수 있다.This
아울러, 체결 브라켓(4100)과 후면기판(111)의 사이에는 접착층(400A)이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n
도 48을 살펴보면, 후면기판(111)에 부착되는 제 1 가로 브라켓, 제 1 세로 브라켓, 제 2 세로 브라켓 브라켓(140A1, 140B1, 140B2)에 대응되는 고정 브라켓(380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브라켓(3800)은 "ㄷ"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48, the fixing
이상에서는 후면기판(111)의 후면에 브라켓(140)을 부착하기 위해 접착층(400)을 사용하는 경우만을 설명하였지만, 이와는 다르게 후면기판(111)의 후면에 브라켓(140)을 부착하기 위해 벨크로(Velcro)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Although the
예를 들면, 도 49의 경우와 같이, 브라켓(140)과 후면기판(111)의 배면 사이에는 벨크로부(4300)부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49, it is possible to dispose the
자세하게는, 벨크로부(4300)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제 1 벨크로부분(4310)과 제 2 벨크로부분(4320)을 포함할 수 있다.In detail, the
여기서, 제 1 벨크로부분(4310)과 브라켓(140)의 사이에는 제 1 접착층(4330)이 배치되어 제 1 벨크로부분(4310)을 브라켓(140)에 부착시키고, 제 2 벨크로부분(4320)과 브라켓(140)의 사이에는 제 2 접착층(4340)이 배치되어 제 2 벨크로부분(4320)을 브라켓(140)에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A
아울러, 도 50의 경우와 같이, 제 1 벨크로부분(4310)은 복수의 제 1 층(4311)과 제 1 층(4311)에 형성된 복수의 제 1 돌기(4312)들을 포함하고, 제 2 벨크로부분(4320)은 제 2 층(4321)과 제 2 층(4321)에 형성된 복수의 제 2 돌기(432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제 1 돌기(4312)들과 복수의 제 2 돌기(4322)들은 서로 맞물리면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돌기(4312)는 고리(Hook) 형상을 갖고, 제 2 돌기(4322)는 링(Ring) 형상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50, the
이러한 경우, 후면커버(130)가 뒤틀리면서 외력이 브라켓(140)에 가해지더라도 브라켓(140)에 가해진 압력이 벨크로부(4300)에서 상쇄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한편, 후면커버(130)에 배치되는 고정 브라켓들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Meanwhile, the shape of the fixing brackets disposed on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백라이트 유닛(120)이 직하타입 백라이트 유닛이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면, 또는 엣지타입 백라이트 유닛이 적용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여기서, 엣지타입 백라이트 유닛은 하부 엣지형 백 라이트 유닛, 측면 엣지형 백 라이트 유닛으로 구분할 수 있다.Here, the edge type backlight unit can be classified into a bottom edge type backlight unit and a side edge type backlight unit.
하부 엣지형 백 라이트 유닛(7010)은, 도 51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장변(Long Side, LS) 측에 배치되어 도시하지 않는 도광판으로 광을 발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장변(First Long Side, LS1)과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중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 2 장변(LS2) 측에 하부 엣지형 백 라이트 유닛(7010)이 배치될 수 있다.51, the lower edge-
측면 엣지형 백 라이트 유닛(7010)은, 도 52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단변(Short Side, SS) 측에 배치되어 도시하지 않는 도광판으로 광을 발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SS1)에 제 1 측면 엣지형 백 라이트 유닛(7010A)이 배치되고,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에 제 2 측면 엣지형 백 라이트 유닛(7010B)이 배치될 수 있다.The side edge
이하에서 설명할 엣지형 백 라이트 유닛은, 앞서 설명한, 측면 엣지형 백 라이트 유닛 및 하부 엣지형 백 라이트 유닛 모두 해당될 수 있다.The edge-type backlight unit described below may be applicable to both the side-edge-type backlight unit and the bottom-edge-type backlight unit described above.
예를 들면, 도 53의 경우와 같이, 브라켓(14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D30)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45)를 포함하고, 프레임(1600)은 돌출부(145)와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프레임(1600)과 광학층(110)의 사이에 도광판(7000)이 배치될 수 있고, 도광판(7000)의 측면에 엣지형의 백 라이트 유닛(701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엣지형의 백 라이트 유닛(7010)은 기판(7011)과 기판(7011)에 배치되는 LED 등의 광원(7012)을 포함할 수 있다.53, the
또는, 도 54의 경우와 같이, 도광판(7000)과 엣지형 백 라이트 유닛(7010)은 소정 거리(U1) 이격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백 라이트 유닛(7010)의 광원(7012)과 도광판(7000)이 소정 거리(U1) 이격될 수 있는 것이다.Alternatively, as in the case of Fig. 54, the
이러한 경우, 도광판(7000)에 의한 백 라이트 유닛(70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백 라이트 유닛(7010)에서 발생한 광이 도광판(7000)에 진입하기 이전에 에어층을 이동하면 보다 넓게 퍼질 수 있기 때문에 광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this case, damage to the
또한, 프레임(1600)과 브라켓(140)의 사이에 보조 프레임(8000)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소정의 체결수단(8010)에 의해 보조 프레임(8000)이 브라켓(140)에 연결될 수 있고, 프레임(1600)은 보조 프레임(8000)에 배치될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the
이러한 구조에서 보조 프레임(8000)에 기판(7011)과 기판(7011)에 배치되는 LED 등의 광원(7012)을 포함하는 엣지형의 백 라이트 유닛(701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엣지형의 백 라이트 유닛(7010)에서 발생하는 열이 보조 프레임(8000)을 통해 효과적으로 방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엣지형의 백 라이트 유닛(7010)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In such a structure, an edge-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보조 프레임(8000)과 프레임(1600)의 사이에는 열전달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열전달층은 금속 입자를 포함하는 접착층일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 heat transfer layer may be formed between the
한편, 도 55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브라켓(14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유효 영역(Active Area, AA) 외곽의 더미 영역(Dummy Area, DA)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폭 방향으로 브라켓(140)과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브라켓(14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유효 영역(AA)의 끝단(P10)으로부터 소정거리(F2) 이격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55,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처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유효 영역(AA)으로부터 소정거리(F2) 이격된 위치에 브라켓(140)을 부착시키는 것은 화면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The
만약,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서 사선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바라보는 경우에 유효 영역(AA)과 더미 영역(DA)의 경계부분의 영상이 왜곡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유효 영역(AA)으로부터 소정거리(F2) 이격된 위치에 브라켓(140)을 부착시키게 되면 화면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If the user views the display panel in a diagonal direction on the side of the display panel, the image of the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effective area AA and the dummy area DA may be distor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creen distortion by attaching the
아울러, 후면기판(111)과 광학층(110) 사이의 간격(F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유효 영역(Active Area, AA)의 끝단(P10)으로부터 브라켓(140)까지의 간격(F2)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The interval F1 between the
도 55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영상이 표시되는 유효 영역(AA)과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더미 영역(Dummy Area, DA)의 경계라인(BL)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기판(111)이 만나는 지점이 P10이라 할 때, P10지점, 즉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유효 영역(AA)의 끝단(P10)으로부터 브라켓(140)까지의 간격(F2)은 후면기판(111)과 광학층(110) 사이의 간격(F1)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The boundary line BL between the effective area AA in which the image of the
이러한 경우,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더미 영역(DA)의 크기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ize of the dummy area DA from being excessively increased.
또한, 유효 영역(AA)과 더미 영역(DA)의 경계부분에서 화면 왜곡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도 더미 영역(DA)의 크기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유효 영역(AA)의 끝단(P10)으로부터 브라켓(140)과 접하는 법선(TL)을 설정했을 때, 법선(TL)과 경계라인(BL) 사이의 각도(θ1)는 대략 15ㅀ~30ㅀ로 설정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screen distortion more effectively at the boundary between the effective area AA and the dummy area DA and to prevent the size of the dummy area DA from increasing excessively, The angle? 1 between the normal line TL and the boundary line BL can be set to approximately 15 to 30 mm when the normal line TL that contacts the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기판(101)과 후면기판(111)의 사이에 배치되는 실부(미도시)에 의해 더미 영역(DA)과 유효 영역(AA)이 구분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실부의 외곽은 더미 영역(DA), 실부의 내측은 유효 영역(AA)으로 구분되는 것이 가능하다. 자세하게는, 실부의 단면의 내측면, 즉 액정층과 접하는 면을 기준으로 유효 영역(AA)과 더미 영역(DA)을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 the dummy area DA and the effective area AA can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y a seal part (not shown) disposed between the
더미 영역(DA)과 유효 영역(AA)을 구분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method of distinguishing the dummy area DA from the effective area AA is not limited to this.
도 56을 살펴보면, 엣지 타입 백라이트 유닛에서 광학층(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도광판(7000)은 광학층(110)에 비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외곽방향으로 소정 길이(F3)만큼 더 돌출될 수 있다.56, the
이러한 경우에는, 도 57의 경우와 같이, 도광판(7000)의 총길이(L30)가 광학층(110)의 총길이(L310)보다 길 수 있다.In such a case, the total length L30 of the
이처럼, 도광판(7000)의 길이(L30)가 광학층(110)의 길이(L31)보다 긴 경우에는 더미 영역(DA)과 유효 영역(AA)의 경계부분에서 화면의 왜곡을 방지하면서도 광학층(110)의 길이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제조단가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length L30 of the
도 56을 살펴보면, 광학층(110)이 도광판(7000)의 하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광학층(110)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유효 영역(AA)의 끝단(P10)을 지나고 브라켓(140)에 접하는 법선(TL)이 광학층(110)과 도광판(7000)을 모두 지나는 것을 알 수 있다.56, since the
도 58을 살펴보면, 브라켓(140)의 폭(W3)은 접착층(400)의 폭(W4)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브라켓(140)에 홈(141)이 형성되고, 홈(141)에 접착층(400)이 형성된 경우일 수 있다.58, the width W3 of the
또한, 도 58의 경우와 같이, 브라켓(140)의 단면에서 홈(141)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D34)으로 홈(141)의 끝단부터 브라켓(140)의 끝단까지의 간격(W5)을 제 1 간격(W5)이라 할 때, 제 1 간격(W5)은 홈(141)의 폭(W4)보다 작을 수 있다.58, from the end of the
또한, 브라켓(140)의 단면에서 홈(141)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D35)으로 홈(141)의 끝단부터 브라켓(140)의 끝단까지의 간격(W6)을 제 2 간격(W6)이라 할 때, 제 2 간격(W6)은 홈(141)의 폭(W4)보다 작을 수 있다.The distance W6 from the end of the
이러한 경우, 브라켓(140)에 형성되는 홈(141)의 크기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브라켓(140)과 후면기판(111)의 부착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case, since the size of the
또한, 제 1 간격(W5)과 제 2 간격(W6)의 합(W5+W6)은 홈(141)의 폭(W4)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브라켓(140)에 형성되는 홈(141)의 크기를 더욱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브라켓(140)과 후면기판(111)의 부착력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e sum W5 + W6 of the first gap W5 and the second gap W6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W4 of the
또한, 제 1 간격(W5)은 제 2 간격(W6)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브라켓(140)의 강도는 유지하면서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유효 영역(AA)의 끝단(P10)으로부터 브라켓(140)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킬 수 있어서 화면 왜곡을 더욱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Also, the first interval W5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second interval W6.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istance between the
또한, 접착층(400)의 폭(W4)은 접착층(400)의 두께(W7)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브라켓(140)과 후면기판(111)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width W4 of the
이러한 접착층(400)은 UV 접착제 또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재질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The
UV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층(400)을 형성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A case of forming the
도 59를 살펴보면, 브라켓(140)의 일면은 사선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브라켓(140)의 단면 중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D34)의 브라켓(140)의 측면은 후면기판(111)을 기준으로 볼 때, 사선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59, one surface of the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유효 영역(AA)의 끝단(P10)으로부터 브라켓(140)까지의 간격(F2)은 브라켓(140)과 후면기판(111)이 인접하는 영역에서 브라켓(140)과 광학층(111)의 인접하는 영역에서보다 작을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유효 영역(AA)의 끝단(P10)으로부터 브라켓(140)까지의 간격(F2)은 후면기판(111)으로부터 광학층(110)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The distance F2 from the end P10 of the effective area AA of the
이러한 경우, 브라켓(140)에 의해 광이 차단되는 것을 줄임으로써 화면 왜곡을 줄일 수 있다. 도 59를 살펴보면, 앞선 도 55의 경우의 법선(TL)이 도 59의 경우에는 브라켓(140)이 접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In this case, screen distortion can be reduced by reducing the blocking of light by the
이러한 경우는, 브라켓(140)이 단면의 높이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중심방향(D34)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도 59에서, 브라켓(140)의 단면의 높이가 T11에서 T10으로 감소한 부분으로 확인할 수 있다.In this case, it can be seen that the
도 60을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폭 방향으로 접착층(400)은 광학층(110)과 중첩할 수 있다. 이처럼, 접착층(400)이 광학층(110)과 중첩할 수 있는 이유는 브라켓(140)의 일측이 사선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브라켓(140)을 보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에 근접하게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Referring to FIG. 60, the
도 60과 같이, 브라켓(140)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폭 방향으로 광학층(110)과 중첩하는 부분을 제 1 부분(F5)이라 할 때, 제 1 부분(F5)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방향(D34)으로 갈수록 높이(TB)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제 2 부분(F6)을 포함할 수 있다.60, a portion of the
여기서, 제 2 부분(F6)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폭 방향으로 접착층(400)의 일부(F7)와 중첩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 the second portion F6 can overlap the portion F7 of the
아울러, 화면 왜곡을 저감시키면서도 더미 영역(DA)의 크기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2 부분(F6)의 폭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유효 영역의 끝단(P10)으로부터 브라켓(140)까지의 최단 간격(F2)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width of the second portion F6 is set to be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또는, 도 61의 경우와 같이, 브라켓(140)의 제 2 부분(F6)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폭 방향으로 접착층(400)과 중첩하지 않고, 접착층(400)과 소정거리(F8) 이격될 수 있다.61, the second portion F6 of the
또는, 도 62의 경우와 같이, 브라켓(140)의 일측은 사선형태가 아닌 계단형태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as in the case of FIG. 62, one side of the
도 63 내지 도 9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63 to 99 are views for explaining anoth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arts described in detail above will be omitted.
광학층(110)은 브라켓(140)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광학층(110)은, 후면커버(130)와 유사하게, 슬라이딩 방식으로 브라켓(140)에 연결될 수 있다.The
예를 들면, 도 63의 경우와 같이, 광학층(110)은 후면기판(111)의 제 3 영역(SS1)에 배치된 제 1 세로 브라켓(140B1)과 후면기판(111)의 제 4 영역(SS2)에 배치된 제 2 세로 브라켓(140B2)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63, the
이러한 경우, 광학층(110)을 브라켓(140)에 단단히 고정하면서도 제조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time required for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reduced while firmly fixing the
도 64의 (A)를 살펴보면, 슬라이딩 방식으로 브라켓(140)에 광학층(110)이 배치된 구조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이처럼, 슬라이딩 방식으로 광학층(110)이 브라켓(140)에 연결되면 광학층(110)이 후면기판(111)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4 (A), an exampl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아울러, 슬라이딩 방식으로 광학층(110)이 브라켓(140)에 연결되기 위해 브라켓(140)은 레일(Rail)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브라켓(14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되는 내측 레일(Inner Rail)을 포함하고, 광학층(110)은 내측 레일에 배치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브라켓(14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되는 외측 레일(Outer Rail)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예를 들면, 도 64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세로 브라켓(140B1)은 제 2 세로 브라켓(140B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제 1 방향(DR1)으로 함몰된 제 1 세로 내측 레일(3740B2)을 포함하고, 제 2 세로 브라켓(140B2)은 제 1 세로 브라켓(140B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제 2 방향(DR2)으로 함몰된 제 2 세로 내측 레일(3740B1)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64 (B), the first vertical bracket 140B1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vertical bracket 140B2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vertical inner rail (DR1) 3740B2 and the second vertical bracket 140B2 may include a second vertical inner rail 3740B1 that is recessed in a second direction DR2 away from the first vertical bracket 140B1.
아울러, 광학층(110)은 제 1 세로 내측 레일(3740B1)에 위치하는 부분 및 제 2 세로 내측 레일(3740B2)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for the
자세하게는, 제 1 세로 브라켓(140B1)은 후면기판(111)에 배치되는 제 1 베이스부(3750B1), 제 1 베이스부(3750B1)에 배치되는 제 1 기둥부(3770B1) 및 제 1 기둥부(3770B1)로부터 제 2 세로 브라켓(140B2)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 1 머리부(3730B1)를 포함할 수 있다.In detail, the first vertical bracket 140B1 includes a first base portion 3750B1 disposed on the
아울러, 제 2 세로 브라켓(140B2)은 후면기판(111)에 배치되는 제 2 베이스부(3750B2), 제 2 베이스부(3750B2)에 배치되는 제 2 기둥부(3770B2) 및 제 2 기둥부(3770B2)로부터 제 1 세로 브라켓(140B1)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 2 머리부(3730B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vertical bracket 140B2 includes a second base portion 3750B2 disposed on the
여기서, 제 1 세로 내측 레일(3740B1)은 제 1 베이스(3750B1)와 제 1 머리부(3730B1)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 2 세로 내측 레일(3740B2)은 제 2 베이스(3750B2)와 제 2 머리부(3730B2)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first longitudinal inner rail 3740B1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base 3750B1 and the first head 3730B1 and the second longitudinal inner rail 3740B2 is located between the second base 3750B2 and the second head 3750B2. (3730B2). ≪ / RTI >
여기서,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제 1 베이스(3750B1)의 폭(R11)은 제 1 머리부(3730B1)의 폭(R10)보다 크고, 제 2 베이스(3750B2)의 폭(R11)은 제 2 머리부(3730B2)의 폭(R10)보다 큰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Here, for structural stability, the width R11 of the first base 3750B1 is greater than the width R10 of the first head 3730B1 and the width R11 of the second base 3750B2 is greater than the width R10 of the second head 3750B2 3730B2 may be greater than the width R10 of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3730B2, 3730B2.
또한, 제 1 세로 브라켓(140B1)은 제 1 기둥부(3770B1)로부터 제 2 세로 브라켓(140B2)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제 2 방향(DR2)으로 돌출된 제 3 머리부(3760B1)를 포함하고, 제 2 세로 브라켓(140B2)은 제 2 기둥부(3770B2)로부터 제 1 세로 브라켓(140B1)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제 1 방향(DR1)으로 돌출된 제 4 머리부(3760B)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first vertical bracket 140B1 includes a third head portion 3760B1 protruding from the first column portion 3770B1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econd vertical bracket 140B2 in a second direction DR2, The second vertical bracket 140B2 can include a fourth head portion 3760B protruding from the second column portion 3770B2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vertical bracket 140B1, that is, in the first direction DR1 .
여기서, 제 1 베이스(3750B1)와 제 3 머리부(3760B1) 사이는 제 2 세로 브라켓(140B2)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되는 제 1 세로 외곽 레일(3741B1)이 형성되고, 제 2 베이스(3750B2)와 제 4 머리부(3760B2) 사이는 제 1 세로 브라켓(140B1)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되는 제 2 세로 외곽 레일(3741B2)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A first vertical outer rail 3741B1 is formed between the first base 3750B1 and the third head 3760B1 in a direction toward the second vertical bracket 140B2 and a second vertical outer rail 3741B1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base 3750B2 And a second vertical outer rail 3741B2 can be formed between the fourth head portions 3760B2 so as to be recessed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vertical bracket 140B1.
이러한 경우, 광학층(110)이 제 1 세로 내측 레일(3740B1)에 위치하는 부분과 제 2 세로 내측 레일(3740B2)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도 65의 경우와 같이, 제 1 머리부(3730B1)와 제 2 머리부(3730B2) 사이의 간격(R1)은 광학층(110)의 폭(R2)보다 작을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아울러, 제 1 베이스부(3750B1)와 제 2 베이스부(3750B2) 사이의 간격(R3)도 광학층(110)의 폭(R1)보다 작을 수 있다.The distance R3 between the first base portion 3750B1 and the second base portion 3750B2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R1 of the
여기서, 제 1 베이스부(3750B1)와 제 2 베이스부(3750B2)의 폭(R11)이 제 1 머리부(3730B1)와 제 2 머리부(3730B2)의 폭(R10)보다 크기 때문에 제 1 베이스부(3750B1)와 제 2 베이스부(3750B2) 사이의 간격(R3)은 제 1 머리부(3730B1)와 제 2 머리부(3730B2) 사이의 간격(R1)보다 작을 수 있다.Since the width R11 of the first base portion 3750B1 and the second base portion 3750B2 is greater than the width R10 of the first head portion 3730B1 and the second head portion 3730B2, The interval R3 between the second head portion 3750B1 and the second base portion 3750B2 may be smaller than the interval R1 between the first head portion 3730B1 and the second head portion 3730B2.
또한, 브라켓(140)에는 후면커버(13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6의 경우와 같이, 후면커버(130)는 제 1 세로 외곽 레일(3741B1)에 위치하는 부분 및 제 2 세로 외곽 레일(3741B2)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Also, the
한편, 후면커버(130)와 연결되는 측면커버(Side Cover, 4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커버(44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side cover (4400) connected to the rear cover (130). This
아울러, 측면커버(44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에서 측면커버(4400)는, 도 67의 경우와 같이, 제 1 세로 외곽 레일(3741B1)에 위치하는 부분 및 제 2 세로 외곽 레일(3741B2)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슬라이딩 방식으로 측면커버(4400)를 브라켓(140)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는, 도 68의 경우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120)도 브라켓(140)에 배치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as in the case of FIG. 68, the
예를 들면, 백라이트 유닛(120)이 제 1 세로 내측 레일(3740B1)에 위치하는 부분과 제 2 세로 내측 레일(3740B2)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백라이트 유닛(120)을 브라켓(14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the
또는, 도 69의 경우와 같이, 제 1 세로 브라켓(140B1)은 제 1 기둥부(3770B1)로부터 제 2 세로 브라켓(140B2)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 5 머리부(3780B1)를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as in the case of FIG. 69, the first vertical bracket 140B1 may include a fifth head portion 3780B1 protruding from the first column portion 3770B1 toward the second vertical bracket 140B2 .
아울러, 제 2 세로 브라켓(140B2)은 제 2 기둥부(3770B2)로부터 제 1 세로 브라켓(140B1)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 6 머리부(3780B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vertical bracket 140B2 may include a sixth head portion 3780B2 protruding from the second column portion 3770B2 toward the first vertical bracket 140B1.
여기서, 제 3 세로 내측 레일(3790B1)은 제 5 머리부(3780B1)와 제 1 머리부(3730B1)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 4 세로 내측 레일(3790B2)은 제 6 머리부(3780B2)와 제 2 머리부(3730B2)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 the third longitudinal inner rail 3790B1 is located between the fifth head 3780B1 and the first head 3730B1, the fourth longitudinal inner rail 3790B2 is located between the sixth head 3780B2 and the second longitudinal inner rail 3790B2, It is possible to locate between the head portions 3730B2.
이러한 경우, 광학층(110)은 제 1 세로 내측 레일(3740B1)에 위치하는 부분 및 제 2 세로 내측 레일(3740B2)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백라이트 유닛(120)은 제 3 세로 내측 레일(3790B1)에 위치하는 부분 및 제 4 세로 내측 레일(3790B2)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한편, 측면커버(4400)는 후면기판(111)과 브라켓(140)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광학층(110) 및/또는 백라이트 유닛(120)은 브라켓(14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Meanwhile, the
도 70의 (A)를 살펴보면, 측면커버(4400)는 후면커버(130)에 연결되고, 아울러 측면커버(4400)의 일부는 브라켓(140)과 후면기판(11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70A, the
이러한 경우, 도 70의 (B)의 경우와 같이, 후면기판(111)에 접착층(400)에 의해 부착된 브라켓(140)에 측면커버(4400)가 연결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In this case, it can be seen that the
다르게 표현하면, 측면커버(4400)는 후면커버(130)와 연결되고, 브라켓(140) 및/또는 후면기판(111)과 접촉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이러한 경우, 측면커버(4400)는 브라켓(140)에 체결되지는 않고 단순히 브라켓(140)과 후면기판(111) 사이에 마련된 공간에 측면커버(4400)가 끼워지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In this case, the
이에 따라, 후면커버(130)에 가해지는 힘이 측면커버(4400)를 통해 브라켓(140)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서 빛샘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orce applied to the
도 71을 살펴보면, 후면기판(111)의 제 1 영역(LS1)에 배치되는 가로 브라켓(140A)에 대응하여 가로 측면커버(4400A)가 배치될 수 있다. 즉, 가로 측면커버(4400A)의 일부는 가로 브라켓(140A)과 후면기판(11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후면기판(111)의 제 3 영역(SS1)에 배치된 제 1 세로 브라켓(140B1)에 대응하여 제 1 세로 측면커버(4400B1)가 배치되고, 후면기판(111)의 제 4 영역(SS2)에 배치된 제 2 세로 브라켓(140B2)에 대응하여 제 2 세로 측면커버(4400B2)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71, the lateral side cover 4400A may be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이러한 경우, 측면커버(4400)를 브라켓(140)에 단단히 연결하면서도 빛샘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고, 아울러 제조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light leakage phenomenon can be reduced while firmly connecting the
또한, 도 72를 살펴보면, 측면커버(4400)에서 브라켓(140)과 후면기판(111)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제 1 부분(4401)이라 할 때, 제 1 부분(4401)과 브라켓(140)의 사이 또는 제 1 부분과 후면기판(111)의 사이에는 가스켓(Gasket, 4500)이 배치될 수 있다.72, when a portion of the
이러한 경우, 측면커버(4400)의 제 1 부분(4401)이 브라켓(140) 혹은 후면기판(111)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구조적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tructural reliability by preventing the
여기서, 가스켓(4500)을 탄성을 갖는 탄성부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가스켓(4500)을 대체하여 점착성을 갖는 접착재 재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Here, it is also possible to replace the
한편, 도 73의 경우와 같이, 측면커버(4400)는 브라켓(140)과 후면기판(111)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4401)을 포함하면서도, 후면기판(111)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4402)을 포함할 수 있다.73, the
여기서, 후면기판(111)의 폭방향(DRV)으로 측면커버(4400)의 브라켓(140)과 후면기판(111)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4401)의 폭(T20)은 후면기판(111)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4402)의 폭(T21)보다 작을 수 있다.The width T20 of the
한편, 후면기판(111)의 폭방향(DRV)으로 측면커버(4400)와 브라켓(140)이 중첩(Overlap)하는 부분의 길이는 측면커버(4400)와 후면기판(111)이 중첩하는 부분의 길이와 다를 수 있다.The length of a portion where the
예를 들면, 도 74의 경우와 같이, 후면기판(111)의 폭방향(DRV)으로 측면커버(4400)와 브라켓(140)이 중첩(Overlap)하는 부분의 길이(X1)는 측면커버(4400)와 후면기판(111)이 중첩하는 부분의 길이(X2) 보다 작을 수 있다.74, the length X1 of the overlap portion of the
이러한 경우에는, 후면기판(111)은 브라켓(140)보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외곽 방향(DRH)으로 소정 길이(X3) 만큼 더 연장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아울러, 후면기판(111)은 측면커버(4400)보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외곽 방향으로 더 연장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방에서 관찰할 때, 측면커버(44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는 전면기판(101)의 전면의 끝단 및 측면이 노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는, 도 75의 경우와 같이, 후면기판(111)의 폭방향으로 측면커버(4400)와 브라켓(140)이 중첩(Overlap)하는 부분의 길이(X1)는 측면커버(4400)와 후면기판(111)이 중첩하는 부분의 길이(X2)보다 길 수 있다.75, the length X1 of the portion where the
이러한 경우, 브라켓(140)은 후면기판(111)보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외곽 방향으로 소정 길이(X3) 만큼 더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측면커버(4400)는 후면기판(111)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또는, 도 76의 경우와 같이, 측면커버(4400)는 브라켓(140)과 접촉하는 부분을 포함하면서도, 후면기판(111)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as in the case of Fig. 76, the
이러한 경우에는 후면기판(111)과 측면커버(4400)의 사이에 가스켓(4500)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this case, it may be desirable to dispose the
한편, 측면커버(4400)가 브라켓(140)과 후면기판(111)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도 77의 경우와 같이, 후면커버(130)와 브라켓(140)의 사이에는 프레임(Frame, 1600)이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Even in the case where the
이러한 경우, 프레임(1600)은 브라켓(140)에 연결되고, 후면커버(130)는 측면커버(4400)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아울러, 프레임(1600)과 브라켓(140)은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연결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the
예를 들면, 도 78의 경우와 같이, 브라켓(14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45)가 형성되고, 프레임(1600)은 돌출부(145)와 연결될 수 있다.78, a
여기서, 프레임(16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나란한 바디부(Body Portion, 9200) 및 바디부(9200)의 끝단에 위치하고 브라켓(140)의 돌출부(145)와 나란한 연결부(Connection Portion, 92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아울러, 프레임(1600)의 연결부(9210)와 브라켓(140)의 돌출부(145)는 접촉할 수 있다.The
또한, 프레임(1600)의 연결부(9210)에는 브라켓(140)의 돌출부(145)를 향해 돌출되는 제 1 고리(9600)가 형성되고, 브라켓(140)의 돌출부(145)에는 연결부(9210)를 향해 돌출되는 제 2 고리부(9610)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 1 고리부(9600)는 프레임(1600)의 일부를 판금 작업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 2 고리부(9610)는 브라켓(140)의 돌출부(145)의 일부를 판금 작업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A
이러한 경우, 제 1 고리부(9600)와 제 2 고리부(9610)를 서로 맞물도록 배치하게 되면, 도 79의 경우와 같이, 프레임(1600)과 브라켓(140)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레임(1600)이 브라켓(140)에 고정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프레임(1600)이 뒤틀리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빛샘 현상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case, if the
또는, 도 80 및 도 81의 경우와 같이, 측면커버(44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리부(9211)를 포함하고, 프레임(1600), 예컨대 프레임(1600)의 연결부(9210)에는 고리부(9211)에 대응되는 홀(9220)이 형성될 수 있다.Alternatively, as in the case of FIGS. 80 and 81, the
이러한 경우, 고리부(9211)가 홀(9220)에 끼워짐으로써 프레임(1600)과 브라켓(140)이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case, it is possible for the
이러한 구조에서는 프레임(1600)과 브라켓(140)의 연결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In this structu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the connection process between the
여기서는 고리부(9211)에 대응되는 홀(9220)이 프레임(1600)에 형성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프레임(1600)에는 고리부(9211)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는 경우도 가능하다.Although only the case where the
이러한 경우에, 프레임(1600)은 브라켓(140)과 측면커버(4400)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1600)의 연결부(9210)는 브라켓(140)과 측면커버(4400)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또는, 도 82의 AR1에서와 같이, 브라켓(140)과 측면커버(4400) 사이의 간격(K10)이 충분히 작은 경우에 프레임(1600)의 일부는 브라켓(140)과 측면커버(4400)의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1600)의 연결부(9210)가 브라켓(140)과 측면커버(4400)의 사이에 끼워질 수 있는 것이다.Alternatively, when the interval K10 between the
이러한 경우, 프레임(1600)이 브라켓(140)과 측면커버(4400)의 사이공간에 단단히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스크류 등의 체결 수단 혹은 도 80과 같은 고리(9211) 및 홀(9220)이 생략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또한, 측면커버(4400)는 후면커버(130)에 소정의 체결수단(9610)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는, 후면커버(130)와 측면커버(4400)를 연결하기 위한 또 다른 구조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Alternatively, it may be possible to use another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예를 들면, 도 83의 경우와 같이, 후면커버(130)와 측면커버(4400)의 사이에는 후면커버(130) 및 측면커버(4400)에 연결되는 구조물(4700)이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구조물(4700)을 연결커버(Connecting Cover)라고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물(4700)은 소정의 체결수단94620)에 의해 후면커버(130)에 체결될 수 있다.83, it is possible to arrange a
아울러, 구조물(4700)의 일부는 측면커버(4400)에 형성된 홈(4403)에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a part of the
또는, 도 84의 경우와 같이, 구조물(4700)의 일부는 측면커버(4400)에 형성된 홀(4404)을 관통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Alternatively, as in the case of Fig. 84, a part of the
이러한 경우, 후면커버(130)가 뒤틀어지더라도 후면커버(130)의 변형력이 측면커버(4400)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서 빛샘 현상을 더욱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case, even if the
한편, 브라켓(140)에는 보조 브라켓(4800)이 연결되고, 광학층(110)은 브라켓(140)과 보조 브라켓(4800)의 사이에 배치되거나 혹은 보조 브라켓(4800)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The
도 85를 살펴보면, 브라켓(140)에 배치되는 보조 브라켓(48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부분(480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브라켓(4800)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부분(4803)을 수평부(4803)라고 칭한다.Referring to FIG. 85, the
아울러, 보조 브라켓(4800)은 수평부(4803)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교차하는 방향, 자세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801) 및 수평부(4803)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교차하는 방향, 자세하게는 후면커버(13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80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브라켓(4800)에서 수평부(4803)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801)를 제 1 수직부(4801)라 칭하고, 수평부(4803)로부터 후면커버(13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802)를 제 2 수직부(4802)라고 칭한다.The
여기서, 보조 브라켓(4800)은 브라켓(140)에 부착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고, 또는 도시하지 않은 체결수단에 의해 브라켓(140)에 체결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Here, the
이러한 경우, 도 86의 경우와 같이, 광학층(110)은 브라켓(140)과 보조 브라켓(4800)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in the case of FIG. 86, the
예를 들면, 보조 브라켓(4800)의 수평부(4803)와 브라켓(140)의 사이에 광학층(11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a part of the
또는, 도 87의 경우와 같이, 광학층(110)은 보조 브라켓(4800)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Alternatively, as in the case of FIG. 87, the
이러한 경우, 후면기판(111)과 광학층(110) 간의 간격(K2)은 후면기판(111)과 보조 브라켓(4800)의 수평부(4803) 사이의 간격(K1)보다 클 수 있다. 아울러, 광학층(110)은 브라켓(140)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The distance K2 between the
이러한 구조에서 프레임(1600)은 보조 브라켓(4800)과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structure, the
예를 들면, 도 88의 경우와 같이, 광학층(110)과 후면커버(130)의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1600)은 보조 브라켓(4800)과 접촉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88, a
이를 위해, 도 89의 경우와 같이, 프레임(1600)에는 보조 브라켓(4800)의 제 1 수직부(4801)에 대응되는 홀(4810)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 수직부(4801)는 프레임(1600)에 형성된 홀(4810)에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 브라켓(4800)과 프레임(1600)이 연결될 수 있다.89, a
이러한 경우, 프레임(1600)의 변형력이 보조 브라켓(4800)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빛샘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light leakage phenomenon can be reduced by suppressing the transmission of the deformation force of the
아울러, 프레임(1600)이 보조 브라켓(4800)의 제 2 수직부(4802)에 지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프레임(1600)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사이에 광학층(110), 백라이트 유닛(120) 등이 배치될 수 있는 충분히 넓은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The
또는, 보조 브라켓(4800)이 생략되고, 프레임(1600)이 브라켓(140)에 연결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예를 들면, 도 90의 경우와 같이, 브라켓(14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 10 수직부(4901) 및 프레임(160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 11 수직부(4902)를 포함할 수 있다.90, the
이러한 경우, 프레임(1600)은 제 11 수직부(4902)에 지지될 수 있으며, 아울러 브라켓(140)의 제 10 수직부(4901)는 프레임(1600)에 형성된 홀(4810)에 끼워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한편, 프레임(1600)과 보조 브라켓(4800) 혹은 프레임(1600)과 브라켓(140)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Connecting Frame, 5000)을 포함할 수 있다.A
여기서, 연결 프레임(5000)은 소정의 체결수단(4630)에 의해 프레임(1600)에 체결될 수 있다.Here, the
아울러, 연결 프레임(5000)은 보조 브라켓(4800)의 제 2 수직부(4802)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아울러 연결 프레임(5000)은 보조 브라켓(4800)의 제 1 수직부(4801)에 대응되는 홀(4811)을 포함할 수 있다.The
아울러, 보조 브라켓(4800)은, AR2 영역에서와 같이, 프레임(1600)과 연결 프레임(5000)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러한 경우, 보조 브라켓(4800)과 프레임(1600)을 체결하지 않거나 혹은 보조 브라켓(4800)과 연결 프레임(5000)을 체결하지 않아도 보조 브라켓(4800), 프레임(1600), 연결 프레임(5000)을 단단하게 연결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또는, 연결 프레임(500)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보조 브라켓(4800)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omit the
예를 들면, 도 92의 경우와 같이, 연결 프레임(5000)은 브라켓(140)의 제 11 수직부(4902)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아울러 연결 프레임(5000)은 브라켓(140)의 제 10 수직부(4901)에 대응되는 홀(4811)을 포함할 수 있다.92, the
아울러, 브라켓(140)은 프레임(1600)과 연결 프레임(5000)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러한 경우, 브라켓(140)과 프레임(1600)을 체결하지 않거나 혹은 브라켓(140)과 연결 프레임(5000)을 체결하지 않아도 브라켓(140), 프레임(1600), 연결 프레임(5000)을 단단하게 연결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한편, 프레임(1600)과 광학층(110)의 사이에는 보조 프레임(5100)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프레임(5100)은 프레임(1600)에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an
이처럼, 프레임(1600)과 광학층(110)의 사이에 보조 프레임(5100)이 배치되는 경우에, 엣지 타입 백라이트 유닛이 적용되면, 엣지타입(Edge Type) 광원이 보조 프레임(5100)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In a case where the
예를 들면, 도 93의 경우와 같이, 보조 프레임(5100)에는 기판(7011)과 기판(7011)에 배치되는 LED 등의 광원(7012)을 포함하는 엣지타입 백라이트 유닛(7010)이 배치될 수 있다.93, an edge
이처럼, 보조 프레임(5100)에 엣지타입 백라이트 유닛(7010)이 배치되는 경우에는 광학층(110)과 보조 프레임(5100)의 사이에 도광판(7000)이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edge
아울러, 도광판(7000)과 보조 프레임(5100)의 사이에는 완충부(520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완충부(5200)는 탄성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도광판(7000)과 보조 프레임(5100)이 충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도광판(70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또한, 보조 프레임(51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50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돌출부(5010)의 사이에는 함몰부(5020)가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5020)에는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이 관통할 수 있는 체결홀(5021)이 형성될 수 있다.Also, at least one
또한, 보조 프레임(5100)과 프레임(1600)을 연결하기 위해 복수의 체결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Further, a plurality of fastening means may be used to connect the
예를 들면, 도 95의 경우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체결수단은 프레임(1600)으로부터 보조 프레임(5100)을 향하는 방향, 즉 제 10 방향(DR10)으로 프레임(1600)과 보조 프레임(5100)을 체결할 수 있다. 나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체결수단은 보조 프레임(5100)으로부터 프레임(1600)을 향하는 방향, 즉 제 11 방향(DR11)으로 보조 프레임(5100)과 프레임(1600)을 체결할 수 있다.95, at least one fastening means is provided for fastening the
여기서, 보조 프레임(5100)으로부터 프레임(1600)을 향하는 방향, 즉 제 11 방향(DR11)으로 보조 프레임(5100)과 프레임(1600)을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제 1 체결수단(4640)이라 하고, 프레임(1600)으로부터 보조 프레임(5100)을 향하는 방향, 즉 제 10 방향(DR10)으로 프레임(1600)과 보조 프레임(5100)을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제 2 체결수단(4630)이라고 할 수 있다.Here, the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the
여기서, 제 1 체결수단(4640)은 보조 프레임(5100)의 함몰부(5020)를 관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체결수단(4640)은 보조 프레임(5100)의 함몰부(5020)에 형성된 체결홀(5021)을 관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체결수단(4640)의 일부는 두 개의 돌출부(501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Here, the first fastening means 4640 can penetrate the
또한, 제 2 체결수단(4630)은 보조 프레임(5100)의 돌출부(5010)와 중첩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Further, the second fastening means 4630 can be disposed at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아울러, 보조 프레임(5100)과 도광판(7000)의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부(5200)는 보조 프레임(5100)의 돌출부(5010)와 도광판(700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완충부(5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부(5010)와 중첩할 수 있는 것이다.The
이러한 구조에서도 측면커버(4400)와 후면커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Such a structure may also include a
예를 들면, 도 96의 경우와 같이, 측면커버(44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96, the
아울러, 측면커버(4400)는 후면커버(130)가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예를 들면, 도 96의 경우와 같이, 측면커버(4400)는 고리(Hook, 5300)를 포함하고, 후면커버(130)는 고리(5300)에 대응되는 홀(531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측면커버(4400)의 고리(5300)는 후면커버(130)의 홀(5310)에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측면커버(4400)와 후면커버(130)가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96, the
또는, 도 97의 경우와 같이, 프레임(1600)과 후면커버(130)의 사이에 배치되며, 측면커버(4400)와 프레임(1600)을 연결하는 연결커버(5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Or may include a
이러한 연결커버(5400)는 프레임(1600)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체결수단(4630)이 연결커버(5400), 프레임(1600) 및 보조 프레임(5100)을 체결할 수 있다.The
이러한 경우, 측면커버(4400)는 고리(5300)를 포함하고, 연결커버(5400)는 고리(5300)에 대응되는 홀(5320)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측면커버(4400)의 고리(5300)는 연결커버(5400)의 홀(5320)에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측면커버(4400)와 연결커버(5400)가 연결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측면커버(4400)가 프레임(1600)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아울러, 후면커버(130)는 측면커버(4400)와 연결커버(5400)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97의 AR3 영역에서와 같이, 후면커버(130)의 끝단이 측면커버(4400)와 연결커버(5400)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또는, 도 98의 AR4 영역의 경우와 같이, 후면커버(130)의 끝단은 말린(Roll) 상태로 측면커버(4400)와 연결커버(5400)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측면커버(4400)와 후면커버(130)를 보다 단단히 연결할 수 있다. 아울러,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아도 측면커버(4400)와 후면커버(130)를 단단히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Alternatively, as in the case of the AR4 region of FIG. 98, the end of the
또한,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미관을 미려하기 위해 후면커버(130)의 끝단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말릴 수 있다.In addition, the end of the
또는, 도 99의 경우와 같이, 연결커버(5400)는 측면커버(4400)를 향해 돌출되는 제 1 고리(5410)를 포함하고, 측면커버(4400)는 연결커버(5400)를 향해 돌출되는 제 2 고리(5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고리(5410)와 제 2 고리(5330)가 맞물리면서 측면커버(4400)와 연결커버(5400)가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측면커버(4400)가 프레임(1600)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Alternatively, as in the case of FIG. 99, the
도 100 내지 도 101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즉, 이하에서 디스플레이부(180Q)는 앞선 도 1 내지 도 99에서 상세히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될 수 있는 것이다.100 to 101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broadcast signal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arts described in detail above will be omitted. That is, the display unit 180Q may correspond to the display devic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9 below.
아울러,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방송신호 수신기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방송신호 수신기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telligent broadcast signal receiver that adds a computer support function to a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for example, is added to the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while an internet function is add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terface that is more convenient to use than the above. Also, it can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a computer by the support of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function, and can perform functions such as e-mail, web browsing, banking or game. A standardized general-purpose OS can be used for these various functions.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방송신호 수신기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방송신호 수신기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Accordingly,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various user-friendly functions because various applications can be freely added or deleted on a general-purpose OS kernel, for example. More specifically,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may be, for example, a network TV, an HBBTV, a smart TV, or the like, and may be applied to a smartphone in some cases.
도 100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방송 수신부(105Q),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 저장부(140Q),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 제어부(170Q), 디스플레이부(180Q), 오디오 출력부(185Q), 전원공급부(190Q), 및 촬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Q)는, 튜너(110Q), 복조부(120Q),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를 포함할 수 있다.100, a
물론, 필요에 따라, 튜너(110Q)와 복조부(120Q)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를 구비하면서 튜너(110Q)와 복조부(120Q)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the tuner 110Q and the
튜너(110Q)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The tuner 110Q selects an RF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or all pre-stored channels among RF (Radio Frequency)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lso,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s converted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a baseband image, or a voice signal.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110Q)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모두 처리할 수 있다. 튜너(110Q)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Q)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s a digital broadcast signal, it is converted into a digital IF signal (DIF). If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s an analog broadcast signal, it is converted into an analog baseband image or voice signal (CVBS / SIF). That is, the tuner 110Q can process both a digital broadcast signal and an analog broadcast signal. The analog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CVBS / SIF) output from the tuner 110Q can be directly input to the
또한, 튜너(110Q)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uner 110Q can receive an RF broadcast signal of a single carrier according to an 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ATSC) scheme or an RF broadcast signal of a plurality of carriers according to a DVB (Digital Video Broadcasting) scheme.
한편, 튜너(110Q)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uner 110Q sequentially selects RF broadcast signals of all the broadcast channels stored through the channel memory function among RF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nd converts the RF broadcast signals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a baseband image, or a voice signal have.
복조부(120Q)는, 튜너(110Q)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The
예를 들어, 튜너(110Q)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Q)는 예컨대,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Q)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Q)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igital IF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110Q is of the ATSC scheme, the
예를 들어, 튜너(110Q)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Q)는 예컨대,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Q)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Q)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igital IF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110Q is a DVB scheme, the
복조부(120Q)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The
한편, 상술한 복조부(120Q)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ATSC 복조부와, DVB 복조부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Meanwhile, the
복조부(120Q)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Q)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Q)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80Q)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Q)로 음성을 출력한다.The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외부 장치와 방송신호 수신기(100Q)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제어부(170Q)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방송신호 수신기(100Q)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A / V input / output unit includes a USB terminal, a CVBS (Composite Video Banking Sync) terminal, a component terminal, an S-video terminal (analog), a DVI (Digital Visual Interface) terminal, an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terminal, an RGB terminal, a D-SUB terminal, and the like.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n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The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Also, the external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Q) 또는 저장부(140Q)로 전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xternal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특히, 방송신호 수신기(100Q)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방송신호 수신기(100Q)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The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실시 예에 따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영상표시기기에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영상표시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와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게임 스코어를 저장하는 서버와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en the game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video display device, the
저장부(140Q)는, 제어부(170Q)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The
또한, 저장부(140Q)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Q)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또한, 저장부(140Q)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저장부(140Q)는, 후술하여 설명하는 다양한 플랫폼을 저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저장부(140Q)는, 방송신호 수신기에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함에 있어서, 게임 컨트롤러로 사용된 사용자 단말기의 고유 정보 및 게임 플레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저장부(140Q)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저장부(140Q)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도 100은 저장부(140Q)가 제어부(170Q)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Q)는 제어부(170Q)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100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Q)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Q)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transmits a signal input by the user to the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Q)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Q)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Q)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may turn on / off the power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Q, select a channel, select a channel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Q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an RF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method, Or a control signal from the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Q)에 전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can transmit a control signal input from a local key (not shown) such as a power key, a channel key, a volume key, and a set value to the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Q)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Q)로부터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input from a sensing unit (not shown) that senses a user's gesture to the
여기서, 원격제어장치(200Q)는 디스플레이부(180Q)에 터치 위치를 선택/표시하기 위한 터치 수단(Touch Means)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제어장치(200Q)는 디스플레이부(180Q)의 소정 위치에서 발생하는 광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부(180Q)의 화면상의 터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광 감지부일 수 있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Q)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Q may be a touch means for selecting / displaying the touch position on the display unit 180Q. For example,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Q may be a light sensing unit for sensing light gener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180Q and displaying a touch position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80Q.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Q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제어부(170Q)는, 튜너(110Q) 또는 복조부(120Q)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The
제어부(170Q)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Q)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The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Q)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The audio signal processed in the
도 100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Q)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Although not shown in FIG. 100, the
아울러, 제어부(170Q)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Q)는, 튜너(110Q)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제어부(17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방송신호 수신기(100Q)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방송신호 수신기(100Q)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예를 들어, 제어부(17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110Q)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170Q)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Q)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Q)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the
다른 예로, 제어부(17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Q)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Q)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the
한편, 제어부(170Q)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Q)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Q)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Q)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Meanwhile, the
또한, 제어부(170Q)는,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컨텐츠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일 수 있다.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Also, the
또한, 원격제어장치(200Q)가 디스플레이부(180Q)의 화면상에 터치 위치를 표시/선택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80Q)의 소정 위치에서 발생하는 광을 감지하는 터치 수단인 경우에, 제어부(170Q)는 원격제어장치(200Q)가 감지한 광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80Q)의 화면상에 터치 위치를 표시하거나 터치된 오브젝트(Object)를 선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Q is the touching means for sensing light gener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180Q for displaying / selecting the touch position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80Q, May use the information about the light sensed by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Q to display a touch position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80Q or to select a touched object.
한편, 제어부(170Q)는,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에 진입하는 경우, 방송신호 수신기(100Q) 내부 또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entering the application view item, the
제어부(170Q)는,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아울러, 제어부(170Q)는, 방송신호 수신기에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경우, 소정의 사용자 단말기에 플레이어 식별자를 할당하고,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게임 실행 정보를 생성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을 통하여 상기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할당된 플레이어 식별자에 해당하는 게임 실행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게임 실행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providing a game application in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the
또한, 제어부(170Q)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를 통하여 방송신호 수신기와 네트워크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사용자 단말기 목록을 디스플레이부(180Q)를 통하여 출력하고,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하여 상기 검색된 사용자 단말기 목록 중 사용자 컨트롤러로 사용한 사용자 단말기의 선택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80Q)는,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The display unit 180Q converts an image signal, a data signal, an OSD signal processed by the
디스플레이부(180Q)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펜 터치 방식을 이용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80Q)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인 것이 가능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80Q may be a PDP, an LCD, an OLED, a flexible display, a 3D display, or the like. Preferably, the display unit 180Q may be a plasma display panel (PDP) to use the pen-touch method.
오디오 출력부(185Q)는, 제어부(170Q)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85Q)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The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방송신호 수신기(100Q)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해 제어부(170Q)로 전달될 수 있다.In order to detect the gesture of the user, a sensing unit (not shown) having at least one of a touch sensor, a voice sensor, a position sensor, and an operation sensor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한편,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Q)에 입력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for photographing a user may be further provided.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may be input to the
제어부(170Q)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도 있다.The
전원 공급부(190Q)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The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Q)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180Q),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Q)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Particularly, a power supply is provided to a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190Q)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80Q)가 다수의 백라이트 램프를 구비하는 액정패널로서 구현되는 경우, 휘도 가변 또는 디밍(dimming) 구동을 위해, PWM 동작이 가능한 인버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To this end, the
원격제어장치(200Q)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device 200Q transmits the user input to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To this end, the
또한, 원격제어장치(20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Q)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Als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Q can receive the video, audio, or data signal output from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and display it o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Q or output voice or vibration.
상술한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고정형으로서 ATSC 방식(8-VSB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T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ISDB-T 방식(BST-OFDM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The
한편,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도 100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10Q)와 복조부(120Q)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해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100, the
한편,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장치 내에 저장된 영상 또는 입력되는 영상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일예이다.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다른 예로는, 도 100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부(180Q)와 오디오 출력부(185Q)가 제외된 셋탑 박스, 상술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게임기기, 컴퓨터 등이 더 예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이러한 구성의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방송국, 네트워크 서버 또는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The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방송국에서 전송하는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신호 수신기는 방송신호에 포함되는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 또는 데이터신호를 방송신호 수신기에서 출력하기에 적합하도록 처리(process)할 수 있다.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처리한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 또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The
한편,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네트워크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는 임의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방송신호 수신기(100Q)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서버는 유선 또는 무선 기지국을 통하여 방송신호 수신기(100Q)와 연결될 수 있는 휴대전화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서버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방송신호 수신기(100Q)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는 네트워크 서버를 이용하여 방송신호 수신기(100Q)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
한편,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방송신호 수신기(100Q)와 직접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일예로, 외부장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미디어 저장장치 또는 재생장치일 수 있다. 즉, 외부장치는 예를 들어 카메라, DVD 또는 블루레이 플레이어, 퍼스널 컴퓨터 등에 해당한다.Meanwhile, the
방송국, 네트워크 서버, 또는 외부장치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로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입력되는 신호에 포함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방송국 또는 네트워크 서버에서 방송신호 수신기(100Q)로 전송하는 신호를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에서 방송신호 수신기(100Q)로 전송하는 신호를 방송국 또는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방송국, 네트워크 서버 및 외부장치에서 전송하는 신호에 포함되는 컨텐츠를 방송신호 수신기(100Q)에서 직접 재생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이를 전달하는 기능도 포함한다.A broadcast station, a network server, or an external device can transmit a signal including a video signal to the
도 101은 도 100에 도시된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FIG. 101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unit shown in FIG.
도 101을 살펴보면, 제어부(170Q)는, 역다중화부(310Q), 영상 처리부(320Q), OSD 생성부(340Q), 믹서(350Q),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Q), 및 포맷터(360Q)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음성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101, the
역다중화부(310Q)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Q)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110Q) 또는 복조부(120Q)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The demultiplexer 310Q demultiplexes the input stream. For example, when an MPEG-2 TS is input, it can be demultiplexed into video, audio, and data signals, respectively. The stream signal input to the demultiplexer 310Q may be a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110Q or the demodulator 120Q or the external
영상 처리부(320Q)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Q)는, 영상 디코더(325Q), 및 스케일러(335Q)를 구비할 수 있다.The
영상 디코더(325Q)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35Q)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부(180Q)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The video decoder 325Q decodes the demultiplexed video signal and the scaler 335Q performs scaling so that the resolution of the decoded video signal can be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180Q.
영상 디코더(325Q)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video decoder 325Q can be equipped with decoders of various standards.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MPEG-2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demultiplexed video signal is an MPEG-2 standard encoded video signal, it can be decoded by an MPEG-2 decoder.
또한,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H.264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H.264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Also, for example, if the demultiplexed video signal is an encoded video signal of the H.264 standard according to the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cheme or DVB-H, it can be decoded by the H.264 decoder.
한편, 영상 처리부(320Q)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믹서(350Q)로 입력되게 된다.Meanwhile, the image signal decoded by the
OSD 생성부(340Q)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80Q)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OSD 생성부(340Q)는, 방송 영상의 자막 또는 EPG에 기반한 방송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OSD 생성부(340Q)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커서(Cursor)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the
믹서(350Q)는, OSD 생성부(340Q)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처리부(220Q)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믹싱된 신호는 포맷터(360Q)에 제공된다. 복호화된 방송 영상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와 OSD 신호가 믹싱됨으로 인하여,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 가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OSD 생성부(340Q)가 생성한 커서가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될 수 있다.The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FRC)(355Q)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 또는 240Hz로 변환한다.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로 변환하는 경우,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제 1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으로부터 예측된 제 3 프레임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240Hz로 변환하는 경우, 동일한 프레임을 3개 더 삽입하거나, 예측된 프레임을 3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별도의 변환없이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를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A frame rate converter (FRC) 355Q can convert a frame rate of an input image. For example, a frame rate of 60 Hz is converted to 120 Hz or 240 Hz. When converting the frame rate of 60 Hz to 120 Hz, it is possible to insert the same first frame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or insert the third frame predicted from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When converting a frame rate of 60 Hz to 240 Hz, it is possible to insert three more identical frames or insert three predicted frames.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o maintain the input frame rate without performing another conversion.
포맷터(360Q)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Q)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부(180Q)에 적합하도록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R,G,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G,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The
한편, 제어부(170Q)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udio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제어부(170Q)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는, MPEG-2 디코더, 또는 MPEG 4 디코더, 또는 AAC 디코더, 또는 AC-3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When a demultiplexed speech signal is a coded speech signal, the speech processor (not shown) in the
또한, 제어부(170Q)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a voice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제어부(170Q)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EPG 정보는, ATSC방식인 경우, ATSC-PSIP(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일 수 있으며, DVB 방식인 경우, DVB-SI(DVB-Service Inform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 data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ATSC-PSIP 정보 또는 DVB-SI 정보는, 상술한 스트림, 즉 MPEG-2 TS의 헤더(4 byte)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The ATSC-PSIP information or DVB-SI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bove-described stream, i.e., the header (4 bytes) of the MPEG-2 TS.
한편, 도 101에 도시된 제어부(170Q)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므로,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다른 모듈을 추가하거나, 도시된 모듈 중 일부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since the block diagram of the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erefore,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ing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0)
상기 후면기판의 배면(Rear Surface)에 부착(Sticking)되는 브라켓(Bracket);
상기 브라켓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커버(Back Cover);
상기 브라켓 상에 배치되는 보조 브라켓;
상기 후면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에 배치되는 광학층(Optical Layer);
상기 광학층과 상기 후면커버의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Frame); 및
상기 프레임에 체결되어, 상기 브라켓과 상기 보조 브라켓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
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 display panel including a front substrate and a rear substrate;
A bracket for sticking to a rear surface of the rear substrate;
A back cover disposed behind the bracket;
An auxiliary bracket disposed on the bracket;
An optical layer disposed between the rear cover and the display panel;
A frame disposed between the optical layer and the rear cover; And
A connection frame coupled to the frame and connecting the bracket to the auxiliary bracket;
.
상기 광학층은 상기 브라켓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tical layer is disposed on the bracket.
상기 후면기판과 상기 광학층은 소정 거리 이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ar substrate and the optical lay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광학층은 상기 보조 브라켓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tical layer is disposed on the auxiliary bracket.
상기 광학층은 상기 브라켓과 상기 보조 브라켓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optical layer includes a portion located between the bracket and the auxiliary bracket.
상기 브라켓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홀(Hole)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racket includes a projection project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display panel,
Wherein the frame includes a hol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상기 보조 브라켓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홀(Hole)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bracket includes a projection project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isplay panel,
Wherein the frame includes a hol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상기 브라켓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홀(Hole)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racket includes a projection project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display panel,
Wherein the connection frame includes a hol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상기 보조 브라켓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홀(Hole)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bracket includes a projection project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isplay panel,
Wherein the connection frame includes a hol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상기 광학층과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보조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에 체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frame disposed between the optical layer and the frame,
And the auxiliary frame is fastened to the frame.
상기 보조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와 두 개의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auxiliary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display panel and a depression disposed between the two protrusions.
상기 보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을 향해 체결되는 제 1 체결수단; 및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보조 프레임을 향해 체결되는 제 2 체결수단;
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4. The method of claim 13,
First fastening means fastened from the auxiliary frame toward the frame; And
Second fastening means fastened from the frame toward the subframe;
Further comprising:
상기 보조 프레임에는 엣지타입(Edge Type) 광원이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an edge type light source is disposed in the sub frame.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측면커버(Side Cover)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ide cover including a portion located on a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상기 측면커버는 고리(Hook)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커버는 상기 고리에 대응되는 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side cover includes a hook, and the rear cover includes a hole corresponding to the loop.
상기 후면기판의 배면(Rear Surface)에 부착(Sticking)되는 브라켓(Bracket);
상기 브라켓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커버(Back Cover);
상기 후면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에 배치되는 광학층(Optical Layer);
상기 광학층과 상기 후면커버의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Frame);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측면커버; 및
상기 측면커버와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커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 display panel including a front substrate and a rear substrate;
A bracket for sticking to a rear surface of the rear substrate;
A back cover disposed behind the bracket;
An optical layer disposed between the rear cover and the display panel;
A frame disposed between the optical layer and the rear cover;
A side cover including a portion located on a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A connection cover connecting the side cover and the frame;
.
상기 연결커버는 상기 프레임에 체결되고,
상기 측면커버는 고리(Hook)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커버는 상기 고리에 대응되는 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connection cover is fastened to the frame,
Wherein the side cover includes a hook, and the connection cover includes a hole corresponding to the loop.
상기 후면커버의 끝단은 상기 측면커버와 상기 연결커버의 사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9. The method of claim 18,
And an end of the rear cover is positioned between the side cover and the connection cover.
Priority Applications (2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4541A KR101836398B1 (en) | 2011-01-17 | 2011-01-17 | Display Apparatus |
DE202011108259U DE202011108259U1 (en) | 2010-10-28 | 2011-10-28 | display device |
DE202011110456.0U DE202011110456U1 (en) | 2010-10-28 | 2011-10-28 | display device |
ES14003993.4T ES2666649T3 (en) | 2010-10-28 | 2011-10-28 | Display device |
EP13003606.4A EP2653911B1 (en) | 2010-10-28 | 2011-10-28 | Display apparatus |
ES13003606.4T ES2576991T3 (en) | 2010-10-28 | 2011-10-28 | Display device |
EP14003993.4A EP2866076B1 (en) | 2010-10-28 | 2011-10-28 | Display apparatus |
EP11008667.5A EP2447762B1 (en) | 2010-10-28 | 2011-10-28 | Display apparatus |
PCT/KR2011/008166 WO2012057582A1 (en) | 2010-10-28 | 2011-10-28 | Display apparatus |
CN201310581259.5A CN103645578B (en) | 2010-10-28 | 2011-10-28 | Display device |
CN201180003652.5A CN102652277B (en) | 2010-10-28 | 2011-10-28 | Display apparatus |
DE202011110154U DE202011110154U1 (en) | 2010-10-28 | 2011-10-28 | display device |
US13/283,738 US8319912B2 (en) | 2010-10-28 | 2011-10-28 | Display apparatus |
US13/288,122 US8416361B2 (en) | 2011-01-12 | 2011-11-03 | Display apparatus |
DE202011108500U DE202011108500U1 (en) | 2011-01-12 | 2011-11-15 | display device |
EP11009073.5A EP2477060B1 (en) | 2011-01-12 | 2011-11-15 | Display device |
CN201190000212XU CN202695525U (en) | 2011-01-12 | 2011-11-25 | Display apparatus |
PCT/KR2011/009077 WO2012096440A1 (en) | 2011-01-12 | 2011-11-25 | Display apparatus |
US13/652,616 US8605230B2 (en) | 2010-10-28 | 2012-10-16 | Display apparatus |
US13/801,097 US8482696B1 (en) | 2010-10-28 | 2013-03-13 | Display apparatus |
US13/800,867 US20130208507A1 (en) | 2011-01-12 | 2013-03-13 | Display apparatus |
US14/055,036 US8797479B2 (en) | 2010-10-28 | 2013-10-16 | Display apparatus |
US14/316,588 US9433120B2 (en) | 2010-10-28 | 2014-06-26 | Display apparatus |
US15/218,849 US9980408B2 (en) | 2010-10-28 | 2016-07-25 | Display apparatus |
US15/950,748 US10524376B2 (en) | 2010-10-28 | 2018-04-11 | Display apparatus |
US16/714,085 US11229137B2 (en) | 2010-10-28 | 2019-12-13 | Display apparatus |
US17/550,105 US11627681B2 (en) | 2010-10-28 | 2021-12-14 | Display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4541A KR101836398B1 (en) | 2011-01-17 | 2011-01-17 | Display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83089A KR20120083089A (en) | 2012-07-25 |
KR101836398B1 true KR101836398B1 (en) | 2018-03-09 |
Family
ID=46714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04541A Active KR101836398B1 (en) | 2010-10-28 | 2011-01-17 | Display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3639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16526B1 (en) * | 2013-01-17 | 2019-08-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12966A (en) | 2002-12-31 | 2004-07-29 | Lg Phillips Lcd Co Ltd | Liquid crystal display |
JP2005003882A (en) | 2003-06-11 | 2005-01-06 | Kawaguchiko Seimitsu Co Ltd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backlight attached thereto |
KR100487435B1 (en) | 2002-12-24 | 2005-05-03 |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odule having a mounting frame combination structure |
-
2011
- 2011-01-17 KR KR1020110004541A patent/KR10183639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7435B1 (en) | 2002-12-24 | 2005-05-03 |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odule having a mounting frame combination structure |
JP2004212966A (en) | 2002-12-31 | 2004-07-29 | Lg Phillips Lcd Co Ltd | Liquid crystal display |
JP2005003882A (en) | 2003-06-11 | 2005-01-06 | Kawaguchiko Seimitsu Co Ltd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backlight attached thereto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83089A (en) | 2012-07-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586070B2 (en) |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a bracket including a side portion having an outer side surface entirely exposed to form an exterior side surface and a supporting portion directly adhered to a back surface of a display panel | |
US8416361B2 (en) | Display apparatus | |
KR101843913B1 (en) | Display Apparatus | |
US8599330B2 (en) | Display apparatus | |
US8851695B2 (en) | Display apparatus | |
US20120106121A1 (en) | Display apparatus | |
KR101809615B1 (en) | Display Apparatus | |
KR101836402B1 (en) | Display Apparatus | |
KR101843910B1 (en) | Display Apparatus | |
KR101836398B1 (en) | Display Apparatus | |
KR101843916B1 (en) | Display Apparatus | |
KR101191836B1 (en) | Display Apparatus | |
KR101834369B1 (en) | Display Apparatus | |
KR101198868B1 (en) | Display Apparatus | |
KR101755621B1 (en) | Display Apparatus | |
KR20120138987A (en) |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 |
KR101870327B1 (en) | Display Apparatus | |
KR101771561B1 (en) | Display Apparatus | |
KR101134924B1 (en) | Display apparatus | |
KR20120044844A (en) | Display apparatus | |
KR20150084331A (en) | Display Apparatus | |
KR20120124564A (en) | Display Apparatus | |
KR20120044129A (en) | Display device | |
KR20120044156A (en) | Display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1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12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1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7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3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3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