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959B1 - Grip for golf club and assembly of grip and gloves - Google Patents
Grip for golf club and assembly of grip and glov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35959B1 KR101835959B1 KR1020160032224A KR20160032224A KR101835959B1 KR 101835959 B1 KR101835959 B1 KR 101835959B1 KR 1020160032224 A KR1020160032224 A KR 1020160032224A KR 20160032224 A KR20160032224 A KR 20160032224A KR 101835959 B1 KR101835959 B1 KR 1018359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ip
- display unit
- display portion
- display
- glo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10000003811 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25
- 210000004247 hand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4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936 left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63B71/141—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in the form of gloves
- A63B71/146—Golf glove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47—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 클럽의 그립 및 이러한 그립과 골프 장갑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골프 클럽의 샤프트에 끼워지는 그립은, 상기 그립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 표시부; 상기 그립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 표시부와 나란하게 반시계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 표시부; 상기 그립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 표시부와 나란하게 반시계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3 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부, 상기 제2 표시부 및 상기 제3 표시부는, 골퍼가 손으로 상기 그립을 잡을 때 상기 그립에 대한 손의 위치를 파악하는 표지로 기능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골퍼들이 그립을 잡는 위치를 정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면서 스윙 동안에 그립의 형태가 변하지 않도록 하는 골프 클럽의 그립 및 이러한 그립과 골프 장갑의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grips of golf clubs and assemblies of such grips and golf gloves. A grip fitted to the shaft of the golf club includes a first display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 and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display unit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 and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paced counterclockwise from the first display unit; A third display unit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 and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paced counterclockwise in parallel with the second display unit; Wherein the first display unit,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third display unit function as a cover for grasping the position of the hand with respect to the grip when the golfer grips the grip with the hand.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grip of a golf club and a golf glove assembly such that the golfer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position where the grip is held, while preventing the shape of the grip from changing during the sw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골프 클럽의 그립 및 이러한 그립과 골프 장갑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grips of golf clubs and assemblies of such grips and golf gloves.
골프는 골퍼가 골프 클럽을 파지한 상태로 골프공을 스윙하는 운동이다. 골프 장갑은 골퍼가 골프 클럽을 파지한 상태로 스윙할 때 미끄러짐의 방지, 손의 보호 등의 목적을 위해 사용된다.Golf is a movement in which a golfer swings a golf ball while holding a golf club. Golf gloves are us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slippage and protecting hands when the golfer swings while gripping the golf club.
골프 클럽은 공과 더불어 골프 장비의 중심을 이루는 것으로 드라이버, 아이언, 퍼터 등으로 구성되며, 이들 각각은 다시 클럽 헤드, 샤프트 및 그립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Golf clubs consist of a driver, an iron, a putter, etc., which form the center of the golf equipment along with the ball, each of which is made up of three parts: a club head, a shaft and a grip.
이 중에서 그립은 골퍼가 골프 클럽을 잡고 회전시키는 부분으로, 골퍼가 왼손과 오른손을 이용하여 그립을 안정적으로 잡는 것은 골프의 경기력 향상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Among them, the grip is a portion in which a golfer grips and revolves a golf club, and a golfer's steady grip with the left and right hands is an important factor in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golf.
일반적으로, 클럽 헤드로 공을 타격했을 때, 공이 목표 방향을 벗어나 왼쪽으로 휘어서 진행하는 것을 훅이라 하고, 공이 목표 방향을 벗어나 오른쪽으로 휘어서 진행하는 것을 슬라이스라고 한다. Generally, when a ball is hit by a club head, it is called a hook that the ball is deflected leftward beyond the target direction, and the ball is deflected to the right beyond the target direction and is called a slice.
일반적으로, 공에 충격시 클럽 헤드의 각도가 닫히면(클럽 헤드가 공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약간 회전된 상태) 훅(hook)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공에 충격시 클럽 헤드의 각도가 열리면(클럽 헤드가 공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약간 회전된 상태) 슬라이스(slice)가 발생된다.Generally, when the club head angle is closed when the ball is impacted (the club head is slightly rotated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ball), a hook is generated. Also, a slice is generated when the angle of the club head is opened (the club head is slightly rotated 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ball) when the ball is impacted.
슬라이스나 훅이 심한 골퍼는 그립을 잡는 방법을 바꿔서 효과를 볼 수 있다. 스트롱 그립(strong grip)은 왼손 엄지 손가락을 오른발 쪽으로 많이 돌려서(즉, 왼손을 시계방향으로 돌려서) 강하게 잡는 것을 말한다. 스트롱 그립을 하고, 백스윙을 했다가 다운 스윙을 하면서 두 손이 몸의 중앙에 왔을 때 멈춰 보면, 클럽 헤드의 각도가 닫힌 상태가 되고, 이 상태로 공을 충격하면 공이 왼쪽으로 휘어서 날아가게 된다. 스트롱 그립은 공을 똑바로 치는 골퍼가 사용할 경우, 훅이 나기 때문에 훅 그립법이라고도 한다. 슬라이스가 나는 골퍼가 사용할 경우, 공이 왼쪽으로 휘기 때문에 슬라이스를 교정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A golfer with a slice or hook can change the way he grips the grip. Strong grip refers to strong holding of the left thumb by turning it a lot towards the right foot (ie turning the left hand clockwise). If you hold a strong grip, swing your back, then swing down, and when both hands are in the center of the body, stop the club head angle, and if you hit the ball in this state, the ball will bend to the left and fly. Strong grips are sometimes referred to as hook grips because the hooks are used when a golfer is used to straighten the ball. When a golfer with a slice is used, it can be used to correct the slice because the ball bends to the left.
또한, 위크 그립(weak grip)은 왼손의 엄지손가락이 왼발 쪽을 향하도록 왼쪽으로 돌려서(즉, 왼손의 반시계방향으로 돌려서) 잡는 것을 말한다. 위크 그립을 하고, 백스윙을 했다가 다운 스윙을 하면서 두 손이 몸의 중앙에 왔을 때 멈춰 보면, 클럽 헤드의 각도가 열린 상태가 되고, 이 상태로 공을 충격하면 공이 오른쪽으로 휘어서 날아가게 된다. 위크 그립은 공을 똑바로 치는 골퍼가 사용할 경우, 슬라이스가 나기 때문에 슬라이스 그립법이라고도 한다. 훅이 나는 골퍼가 사용할 경우, 공이 오른쪽으로 휘기 때문에 훅을 교정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 weak grip refers to the grip of the left hand by turning it to the left (ie turning it counterclockwise in the left hand) so that the thumb of the left hand faces the left foot. If you grip the wick, play a backswing, and swing down, and when both hands come to the center of the body, the club head angle will be open, and if you hit the ball in this state, the ball will bow to the right and fly. Wick grip is sometimes referred to as slice grip method because a golfer who uses a straight ball hits a slice. When a hooked golfer is used, it can be used to correct the hook because the ball bends to the right.
또한, 초보 골퍼의 경우에는 대부분 드라이버 샷이 슬라이스가 나서 고민을 하게 된다. 그러다가, 구력이 쌓이면 다시 훅이 나서 고생을 하는 경우가 많을 ㄱ것을 볼 수 있다. 이는 골퍼 자신이 이전의 그립을 정확히 기억하지 못하고 자신도 모르게 그립이 스트롱 그립으로 변하기 때문일 수 있다. Also, in the case of a beginner golfer, most of the driver shots are sliced so that they are worried. Then, when the back-up is accumulated, you can see that there are many cases where you are suffering from a hook. This may be because the golfer can not correctly memorize the previous grip and the grip is changed into a strong grip without knowing himself.
이와 같이, 그립을 잡는 방법에 따라 공의 진행 방향이 많이 달라지지만, 종래의 골프 클럽의 그립에는 골퍼가 자신이 잡는 그립이 어떤 형태 인지를 알 수 있게 하는 표시부가 전혀 없어, 그립을 잡는 방법은 전적으로 골퍼들의 감각에 의존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In this way, the direction of the ball varies greatly depending on how the grip is gripped. However, in the conventional golf club grip, there is no display portion that allows the golfer to know the shape of the grip he / she holds, There was a problem of being totally dependent on the golfers' sense.
또한, 골퍼들은 주로 왼손에 장갑을 끼고 그립을 잡게 되지만, 그립을 잡는 힘은 전적으로 골퍼의 악력에 의존하게 되어, 스윙 동안에 자신도 모르게 그립의 형태 또는 위치가 변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golfer usually grips the glove with the glove on his left hand, the gripping force is entirely dependent on the grip strength of the golfer, and the shape or position of the grip can be changed without knowing himself during the swing.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골퍼들이 그립을 잡는 위치를 정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면서 스윙 동안에 그립의 형태가 변하지 않도록 하는 골프 클럽의 그립 및 이러한 그립과 골프 장갑의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rip of a golf club that prevents the shape of the grip from being changed during swing while allowing the golfer to accurately recognize a grip position, There is a purpose in this.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클럽의 샤프트에 끼워지는 그립은, 상기 그립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 표시부; 상기 그립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 표시부와 나란하게 반시계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 표시부; 상기 그립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 표시부와 나란하게 반시계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3 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부, 상기 제2 표시부 및 상기 제3 표시부는, 골퍼가 손으로 상기 그립을 잡을 때 상기 그립에 대한 손의 위치를 파악하는 표지로 기능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olf club comprising: a first display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display unit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 and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paced counterclockwise from the first display unit; A third display unit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 and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paced counterclockwise in parallel with the second display unit; Wherein the first display unit,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third display unit function as a cover for grasping the position of the hand with respect to the grip when the golfer grips the grip with the hand.
또한, 상기 샤프트와 상기 그립이 정렬된 상태에서, 단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표시부는 단면상에서 9시 방향에서 10시30분 방향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표시부는 7시 방향에서 9시 방향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3 표시부는 5시 방향에서 7시 방향 사이에 위치한다. Further, in a state in which the shaft and the grip are aligned, the first display portion is positioned between the 9 o'clock direction and the 10 o'clock 30 direction on the cross section, and the second display portion is positioned between the 7 o'clock direction and the 9 o'clock direction And the third display portion is located between the 5 o'clock direction and the 7 o'clock direc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 클럽의 그립과 골프 장갑의 조립체에서, 상기 그립은, 상기 그립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 표시부; 상기 그립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 표시부와 나란하게 반시계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 표시부; 상기 그립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 표시부와 나란하게 반시계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3 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골프 장갑은, 손바닥과 손가락의 경계에서 손가락 측에 인접하여 중지, 약지 및 소지에 걸쳐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장갑 표시부를 구비하고, 골퍼가 상기 골프 장갑을 끼고 상기 그립을 잡을 때, 상기 장갑 표시부와 상기 제1 표시부, 상기 제2 표시부 및 상기 제3 표시부의 상대적인 위치로부터 골퍼가 상기 그립에 대한 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In an assembly of a golf club and a golf glo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 includes a first display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rip and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display unit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 and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paced counterclockwise from the first display unit; A third display unit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 and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paced counterclockwise in parallel with the second display unit; Wherein the golf glove has an elongated display portion that is elongated along the stop, the finger, and the base adjacent to the finger side at the boundary between the palm and the finger, and when the golfer grips the grip with the golf glove, The golfer can grasp the position of the hand with respect to the grip from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glove display unit, the first display unit,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third display unit.
또한, 상기 제1 표시부, 상기 제2 표시부 및 상기 제3 표시부는 홈 또는 돌출부이고, 상기 장갑 표시부는 상기 홈 또는 돌출부와 정합되는 홈 또는 돌출부이다.The first display portion, the second display portion, and the third display portion may be grooves or protrusions, and the glove display portion may be a groove or protrusion matched with the grooves or protrusions.
본 발명에 따르면, 골퍼들이 그립을 잡는 위치를 정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면서 스윙 동안에 그립의 형태가 변하지 않도록 하는 골프 클럽의 그립 및 이러한 그립과 골프 장갑의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grip of a golf club that prevents the shape of the grip from changing during a swing while enabling the golfer to accurately recognize the position of gripping the grip, and an assembly of such grip and golf glov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왼손용 골프 장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른손용 골프 장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클럽의 그립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A'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왼손으로 골프 클럽의 그립을 잡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오른손으로 골프 클럽의 그립을 잡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그립에 형성되는 제1 표시부와 골프 장갑에 형성되는 장갑 표시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left-hand golf gl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right hand golf gl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grip of a golf clu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Fig. 6 is a view showing a grip of the golf club with the left hand. Fig.
Fig. 7 is a view showing a grip of the golf club with the right hand. Fig.
8A to 8C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a first display unit formed on the grip and a glove display unit formed on the golf glov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왼손용 골프 장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른손용 골프 장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클럽의 그립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A'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왼손으로 골프 클럽의 그립을 잡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오른손으로 골프 클럽의 그립을 잡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left-hand golf gl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right hand golf gl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grip of a golf clu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3; Fig. 6 is a view showing a grip of the golf club with the left hand. Fig. Fig. 7 is a view showing a grip of the golf club with the right hand. Fig.
일반적으로, 오른손잡이 골퍼들은 왼손에 골프 장갑을 끼고 골프 클럽의 샤프트에 끼워지는 그립(이하, 그립)을 잡게 된다. 일부 골퍼들은 양손에 모두 골프 장갑을 끼고 그립을 잡기도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오른손잡이 골퍼를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이는 왼손잡이 골퍼에게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In general, right-handed golfers wear golf gloves in their left hands and hold grips (hereinafter referred to as "grips") that fit into the shaft of a golf club. Some golfers wear golf gloves and hold grips in both hands. In this specification, a right-handed golfer is used as a reference, but this can be similarly applied to a left-handed golfer.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왼손용 골프 장갑(200)은 손바닥 부분과, 엄지(201), 검지(202), 중지(203), 약지(204) 및 소지(새끼손가락)(205) 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1, the left-
왼손용 골프 장갑(200)에서, 중지(203) 및 약지(204) 사이와, 약지(204) 및 소지(205) 사이는 손바닥과 손가락의 경계 부분에서부터 소정 길이에 걸쳐 접합된 부분(21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접합된 부분(210)의 길이는 대략 손가락 첫째 마디까지가 될 수 있다. 상기 접합된 부분(210)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은 분리되어 있다. 상기 접합된 부분(210)은 전체적으로 하나의 편평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In the left
중지(203) 및 약지(204) 사이와, 약지(204) 및 소지(205) 사이의 일정 부분이 접합되는 것은, 골퍼들이 그립(100)을 잡고 스윙을 할 때, 중지(203), 약지(204) 및 소지(205)의 일정 부분이 독립적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안정된 그립과 스윙을 가능하게 한다. It is believed that a certain portion between the
왼손용 골프 장갑(200)은 대략 손바닥과 손가락의 경계에서 손가락 측에 인접한 부분[사실상, 접합된 부분(210)]에서 중지, 약지 및 소지에 걸쳐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장갑 표시부(211)를 구비하고 있다. 장갑 표시부(211)는 대략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지만, 다른 형태도 가능하다. 장갑 표시부(211)는 골퍼가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컬러로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고, 홈, 돌출부, 홈과 돌출부의 혼합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left-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오른손용 골프 장갑(300)은 손바닥 부분과, 엄지(301), 검지(302), 중지(303), 약지(304) 및 소지(305) 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2, the right
오른손용 골프 장갑(300)에서, 중지(203)와 약지(204) 사이는 손바닥과 손가락의 경계 부분에서부터 소정 길이에 걸쳐 접합된 부분(31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접합된 부분(310)의 길이는 대략 손가락 첫째 마디까지가 된다. 상기 접합된 부분(310)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은 분리되어 있다. 상기 접합된 부분(310)은 하나의 편평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In the
중지(303)와 약지(304) 사이의 일정 부분이 접합되는 것은, 이 부분이 독립적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안정된 그립과 스윙을 가능하게 한다. The engagement of a portion between the
오른손용 골프 장갑(300)은 대략 손바닥과 손가락의 경계에서 손가락 측에 인접한 부분[사실상, 접합된 부분(310)]에서 중지 및 약지에 걸쳐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장갑 표시부(311)를 구비하고 있다. 장갑 표시부(311)는 대략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지만, 다른 형태도 가능하다. 장갑 표시부(311)는 골퍼가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컬러로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고, 홈, 돌출부, 홈과 돌출부의 혼합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right-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그립(100)은 골프 클럽의 샤프트(10)의 일측 단부에 끼워지게 된다. 샤프트(10)의 타측 단부에는 클럽 헤드가 위치하게 된다.3 and 4, the
그립(100)은 제1 표시부(111), 제2 표시부(112) 및 제3 표시부(113)를 포함한다. The
제1 표시부(111)는 그립(100)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2 표시부(112)는 그립(100)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1 표시부(111)와 나란하게 반시계 방향으로 이격된다. 제3 표시부(113)는 그립(100)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2 표시부(112)와 나란하게 반시계 방향으로 이격된다. The
제1 표시부(111), 제2 표시부(112) 및 제3 표시부(113)는 대략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표시부(111), 제2 표시부(112) 및 제3 표시부(113)는 골퍼가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컬러로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고, 홈, 돌출부, 홈과 돌출부의 혼합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제1 표시부(111), 제2 표시부(112) 및 제3 표시부(113)는 골퍼가 손(특히, 왼손)으로 그립(100)을 잡을 때 그립(100)에 대한 손의 위치를 파악하는 표지로 기능한다. 그에 따라, 제1 표시부(111), 제2 표시부(112) 및 제3 표시부(113)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는 각각 strong, square, weak의 문자가 표시될 수 있다. The
여기서, "square"는 일반적으로 골퍼들이 왼손으로 이 위치를 기준으로 그립을 잡을 때, 공이 정면으로 날아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Here, "square" generally means that when the golfer grips the grip with this position with his left hand, the ball can fly to the front.
"strong"은 스트롱 그립을 의미하고, 왼손 엄지 손가락을 오른발 쪽으로 많이 돌려서 강하게 잡는 것을 말한다. 스트롱 그립은 공을 똑바로 치는 골퍼가 사용할 경우, 훅이 나기 때문에 훅 그립법이라고도 한다. 슬라이스가 나는 골퍼가 사용할 경우, 공이 왼쪽으로 휘기 때문에 슬라이스를 교정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Strong" means Strong grip, which means holding your left thumb too hard toward your right foot. Strong grips are sometimes referred to as hook grips because the hooks are used when a golfer is used to straighten the ball. When a golfer with a slice is used, it can be used to correct the slice because the ball bends to the left.
"weak"는 위크 그립을 의미하고, 왼손의 엄지손가락이 왼발 쪽을 향하도록 왼쪽으로 돌려서 잡는 것을 말한다. 위크 그립은 공을 똑바로 치는 골퍼가 사용할 경우, 슬라이스가 나기 때문에 슬라이스 그립법이라고도 한다. 훅이 나는 골퍼가 사용할 경우, 공이 오른쪽으로 휘기 때문에 훅을 교정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weak" means wick grip and refers to gripping the left hand with the thumb of the left hand pointing toward the left foot. Wick grip is sometimes referred to as slice grip method because a golfer who uses a straight ball hits a slice. When a hooked golfer is used, it can be used to correct the hook because the ball bends to the right.
도 4는 샤프트(10)와 그립(100)이 정렬된 상태에서, 왼손 부분이 위치하는 그립(100)의 단면을 나타낸다. 여기서, 샤프트(10)와 그립(100)이 정렬된 상태는 샤프트(10)에 위치하는 클럽 헤드의 페이스가 목표 방향을 바라보는 상태에서 그립(100)의 위치를 말한다. 도면부호 101은 샤프트(10)와 그립(100)이 정렬된 상태에서 12시 방향을 나타내는 기준점이다. 이러한 기준점(101)은 그립(100)의 양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4 shows a cross section of the
단면에서 볼 때, 제1 표시부(111)는 9시 방향에서 10시30분 방향 사이에 위치하고, 제2 표시부(112)는 7시 방향에서 9시 방향 사이에 위치하고, 제3 표시부(113)는 5시 방향에서 7시 방향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내지 제3 표시부(111, 112, 113)의 위치는 공을 똑바로 치는 골퍼가 사용할 경우, 공의 진행방향을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훅이나 슬라이스가 나는 골퍼가 사용할 경우 훅이나 슬라이스를 교정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The
또한, 그립(100)은 제4 표시부(121), 제5 표시부(122) 및 제6 표시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제4 표시부(121)는 제1 표시부(111)보다 클럽 헤드 쪽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다. 제4 표시부(121)는 그립(100)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The
제5 표시부(122)는 그립(100)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4 표시부(121)와 나란하게 시계 방향으로 이격된다. The
제6 표시부(123)는 그립(100)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5 표시부(122)와 나란하게 시계 방향으로 이격된다. The
제4 표시부(121), 제5 표시부(122) 및 제6 표시부(123)는 제1 표시부(111), 제2 표시부(112) 및 제3 표시부(113)와 대체로 동일한 형태를 갖고, 골퍼들이 오른손으로 그립(100)을 잡을 때 그립(100)에 대한 손의 위치를 파악하는 표지로 기능한다. 제4 표시부(121), 제5 표시부(122) 및 제6 표시부(123)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는 각각 weak, square, strong의 문자가 표시될 수 있다. The
도 5는 샤프트(10)와 그립(100)이 정렬된 상태에서, 오른손 부분이 위치하는 그립(100)의 단면을 나타낸다. Fig. 5 shows a cross section of the
단면에서 볼 때, 제4 표시부(121)는 2시 30분 방향에서 4시 방향 사이에 위치하고, 제5 표시부(122)는 4시 방향에서 5시 방향 사이에 위치하고, 제6 표시부(123)는 5시 방향에서 6시 방향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4 내지 제6 표시부(121, 122, 123)는 제1 내지 제3 표시부(111, 112, 113)와 조합하여, 공을 똑바로 치는 골퍼가 사용할 경우 공의 진행방향을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훅이나 슬라이스가 나는 골퍼가 사용할 경우 훅이나 슬라이스를 교정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The
그립(100)을 잡는 손의 위치의 작은 차이가 실제 공이 날아갈 때는 매우 큰 차이로 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골퍼들은 스트롱 그립이나 위크 그립의 의미를 이해하지만, 단순히 눈으로 인식하는 그립(100)의 위치는 매우 부정확할 수 있다. 실제로, 골퍼들은 동일한 위치로 그립을 잡는다고 하지만, 잡을 때의 그립의 위치는 조금씩 달라질 수 있다. A small difference in the position of the hand holding the
본 실시예에서, 골퍼들은 손의 특정 부위를 제1 표시부(111), 제2 표시부(112) 또는 제3 표시부(113)에 먼저 접촉하여 그립(100)을 잡음으로써, 자신이 잡은 그립(100)의 위치를 정확히 인식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golfer first touches a specific portion of the hand to the
한편, 골퍼들이 눈으로 인식하는 손의 특정 부위는 마찬가지로 부정확할 수 있다. 더욱 정확한 그립을 위해, 골퍼가 골프 장갑(200, 300)을 끼고 그립(100)을 잡을 때, 장갑 표시부(211, 311)와 제1 표시부(111), 제2 표시부(112) 및 제3 표시부(113)의 상대적인 위치로부터 골퍼가 그립(100)에 대한 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certain parts of the hand that golfers perceive with their eyes may be similarly inaccurate. When the golfer grips th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퍼들은 왼손용 골프 장갑(200)에 표시되는 장갑 표시부(211)를 제1 표시부(111), 제2 표시부(112) 또는 제3 표시부(113)에 먼저 접촉하여 그립(100)을 잡음으로써, 자신이 잡은 그립(100)의 위치를 정확히 인식할 수 있다. 6, the golfers first touch the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퍼들은 왼손 그립을 잡은 상태에서, 오른손용 골프 장갑(300)에 표시되는 장갑 표시부(311)를 제4 표시부(121), 제5 표시부(122) 또는 제6 표시부(123)에 먼저 접촉하여 그립(100)을 잡음으로써, 자신이 잡은 그립(100)의 위치를 정확히 인식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in a state in which the golfer holds the left hand grip,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그립(100)에 표시되는 제1 내지 제6 표시부(111, 112, 113, 121, 122, 123)는 그 자체로 골퍼들이 그립(100)에 대한 손의 위치를 파악하는 표지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6 표시부(111, 112, 113, 121, 122, 123)가 왼손용 골프 장갑(200)에 표시되는 장갑 표시부(211) 또는 오른손용 골프 장갑(300)에 표시되는 장갑 표시부(311)와 조합하여 사용될 때, 골퍼들이 그립(100)에 대한 손의 위치를 더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되고 정확한 그립을 가능하게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o
도 8a 내지 도 8c는 그립(100)에 형성되는 제1 표시부(111)[제2 내지 제6 표시부(112, 113, 121, 122, 123)도 마찬가지임)와 골프 장갑(200, 300)에 형성되는 장갑 표시부(211, 311)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8A to 8C illustrate the first display portion 111 (the second to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100)에 형성되는 제1 표시부(111)는 홈의 형태를 갖고, 왼손용 골프 장갑(200)의 장갑 표시부(211)는 돌출부의 형태를 가져서, 골퍼들이 그립을 잡을 때 그립(100)의 홈에 왼손용 골프 장갑(200)의 돌출부가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골퍼들이 그립을 잡은 상태에서 스윙하는 동안, 그립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경기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8A, the
도 8b는 그립(100)에 형성되는 제1 표시부(111)가 돌출부의 형태를 갖고, 왼손용 골프 장갑(200)의 장갑 표시부(211)도 돌출부의 형태를 가져서, 2개의 돌출부의 면이 서로 접촉하는 형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서로 접촉되는 2개의 돌출부는 그립의 상태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 경우에도, 골퍼들이 스윙하는 동안 그립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경기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8B shows a state in which the
도 8c는 그립(100)에 형성되는 제1 표시부(111)가 서로 이격된 2개의 돌출부 형태를 가져서 그 사이에 홈이 형성되도록 하고, 왼손용 골프 장갑(200)의 장갑 표시부(211)도 돌출부의 형태를 가져서, 장갑 표시부(211)의 돌출부가 제1 표시부(111)의 2개의 돌출부 사이에 끼워지는 형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골퍼들이 스윙하는 동안 그립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경기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8C shows a state in which the
이와 같이, 그립(100)에 형성되는 제1 내지 제6 표시부(111, 112, 113, 121, 122, 123)와 골프 장갑(200, 300)에 형성되는 장갑 표시부(211, 311)가 서로 접촉되어 그립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면, 도시된 것 외에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그립(100)에 형성되는 제1 내지 제6 표시부(111, 112, 113, 121, 122, 123)는 홈과 돌출부가 조합된 형태를 갖고, 골프 장갑(200, 300)에 형성되는 장갑 표시부(211, 311)도 홈과 돌출부가 조합된 형태를 가져서, 서로 정합되도록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o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
10 : 샤프트
100 : 그립
111 : 제1 표시부
112 : 제2 표시부
113 : 제3 표시부
114 : 제4 표시부
115 : 제5 표시부
116 : 제6 표시부
200 : 왼손용 골프 장갑
210 : 접합된 부분
211 : 장갑 표시부
300 : 오른손용 골프 장갑
310 : 접합된 부분
311 : 장갑 표시부10: Shaft
100: grip
111: first display section
112: second display section
113: third display section
114: fourth display section
115: fifth display section
116: sixth display section
200: Left hand golf glove
210: bonded portion
211: Glove display
300: Golf Glove for Right Hand
310: bonded portion
311: Glove display
Claims (5)
상기 그립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되는 제1 표시부;
상기 그립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 표시부와 나란하게 반시계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 표시부;
상기 그립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 표시부와 나란하게 반시계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3 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부, 상기 제2 표시부 및 상기 제3 표시부는, 골퍼가 손으로 상기 그립을 잡을 때 상기 그립에 대한 손의 위치를 파악하는 표지로 기능하고,
상기 샤프트와 상기 그립이 정렬된 상태에서, 단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표시부는 단면상에서 9시 방향에서 10시30분 방향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표시부는 7시 방향에서 9시 방향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3 표시부는 5시 방향에서 7시 방향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표시부, 상기 제2 표시부 및 상기 제3 표시부는 훅이나 슬라이스를 교정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골프 클럽의 샤프트에 끼워지는 그립.In grips that fit into the shaft of a golf club,
A first display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rip and being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display unit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 and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paced counterclockwise in parallel with the first display unit;
A third display unit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 and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paced counterclockwise in parallel with the second display unit;
Lt; / RTI >
Wherein the first display portion, the second display portion, and the third display portion function as a cover for grasping the position of the hand with respect to the grip when the golfer grips the grip by hand,
The first display portion is positioned between the 9 o'clock direction and the 10 o'clock 30 direction on the cross section and the second display portion is located between the 7 o'clock direction and the 9 o'clock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shaft and the grip are aligned, , The third display portion is located between 5 o'clock and 7 o'clock, and the first display portion, the second display portion, and the third display portion are sandwiched by a shaft of a golf club which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correcting a hook or a slice Lash grip.
상기 그립은,
상기 그립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되는 제1 표시부;
상기 그립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 표시부와 나란하게 반시계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 표시부;
상기 그립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 표시부와 나란하게 반시계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3 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골프 장갑은, 손바닥과 손가락의 경계에서 손가락 측에 인접하여 중지, 약지 및 소지에 걸쳐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장갑 표시부를 구비하고,
골퍼가 상기 골프 장갑을 끼고 상기 그립을 잡을 때, 상기 장갑 표시부와 상기 제1 표시부, 상기 제2 표시부 및 상기 제3 표시부의 상대적인 위치로부터 골퍼가 상기 그립에 대한 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샤프트와 상기 그립이 정렬된 상태에서, 단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표시부는 9시 방향에서 10시30분 방향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표시부는 7시 방향에서 9시 방향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3 표시부는 5시 방향에서 7시 방향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표시부, 상기 제2 표시부 및 상기 제3 표시부는 훅이나 슬라이스를 교정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골프 클럽의 그립과 골프 장갑의 조립체.An assembly of a grip and a golf glove to be fitted to a shaft of a golf club,
The grip
A first display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rip and being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display unit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 and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paced counterclockwise in parallel with the first display unit;
A third display unit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 and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paced counterclockwise in parallel with the second display unit;
Lt; / RTI >
Wherein the golf glove includes a glove display portion extending along the stop, the finger and the ground, the glove being adjacent to the finger side at the boundary between the palm and the finger,
The golfer can grasp the position of the hand with respect to the grip from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glove display unit, the first display unit,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third display unit when the golfer holds the grip with the golf glove,
Wherein the first display portion is located between the 9 o'clock direction and the 10:30 th in the state where the shaft and the grip are aligned and the second display portion is located between the 7 o'clock direction and the 9 o'clock direction, The third display portion is located between the 5 o'clock position and the 7 o'clock position and the first display portion, the second display portion and the third display portion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correcting a hook or a slice, Assembly.
상기 제1 표시부, 상기 제2 표시부 및 상기 제3 표시부는 홈 또는 돌출부이고, 상기 장갑 표시부는 상기 홈 또는 돌출부와 정합되는 홈 또는 돌출부인 골프 클럽의 그립과 골프 장갑의 조립체.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display portion, the second display portion, and the third display portion are grooves or protrusions, and the glove display portion is a groove or protrusion matched with the grooves or protrusion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2224A KR101835959B1 (en) | 2016-03-17 | 2016-03-17 | Grip for golf club and assembly of grip and glov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2224A KR101835959B1 (en) | 2016-03-17 | 2016-03-17 | Grip for golf club and assembly of grip and glov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8397A KR20170108397A (en) | 2017-09-27 |
KR101835959B1 true KR101835959B1 (en) | 2018-03-07 |
Family
ID=60036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32224A Expired - Fee Related KR101835959B1 (en) | 2016-03-17 | 2016-03-17 | Grip for golf club and assembly of grip and glov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3595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14797B1 (en) * | 2018-06-19 | 2021-02-10 | 강연욱 | Grip of Golf Club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5109Y1 (en) | 2001-03-26 | 2001-10-10 | 전병진 | Velcro grip of golf club |
JP2009534089A (en) * | 2006-04-18 | 2009-09-24 | プログリップ エヌゼット リミテッド | Golf gloves, golf club grips and systems thereof |
KR200474806Y1 (en) | 2013-04-17 | 2014-10-22 | 김만하 | Golf grip holder and golf glove having the same |
-
2016
- 2016-03-17 KR KR1020160032224A patent/KR10183595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5109Y1 (en) | 2001-03-26 | 2001-10-10 | 전병진 | Velcro grip of golf club |
JP2009534089A (en) * | 2006-04-18 | 2009-09-24 | プログリップ エヌゼット リミテッド | Golf gloves, golf club grips and systems thereof |
KR200474806Y1 (en) | 2013-04-17 | 2014-10-22 | 김만하 | Golf grip holder and golf glove hav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8397A (en) | 2017-09-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53811B2 (en) | Grip training device | |
US7637821B2 (en) | Visual and tactile confirmation golf grip and system | |
US8012048B1 (en) | Tennis grip reference aid | |
US20110265244A1 (en) | Golf Glove | |
US20110201439A1 (en) | Golf setup and swing training aid | |
KR200284213Y1 (en) | A golf gloves | |
WO2007023693A1 (en) | Putter club and grip for putter club | |
KR101835959B1 (en) | Grip for golf club and assembly of grip and gloves | |
KR200164283Y1 (en) | Girp of golf club | |
US7086973B2 (en) | Baseball bat | |
KR200231252Y1 (en) | A grip of golf club | |
US20020187845A1 (en) | Color coding system for golf clubs | |
KR20140036526A (en) | Golf putter | |
KR20090007471U (en) | Two-handed golf gloves for improved grip | |
US8544116B2 (en) | Golf glove | |
JP5314530B2 (en) | Golf club grip | |
KR101915710B1 (en) | Ancillary apparatus for gripping | |
KR200296089Y1 (en) | Golf gloves | |
KR101534285B1 (en) | Grip for putter | |
KR200215471Y1 (en) | Golf glove | |
KR102045031B1 (en) | Grip for baseball bat | |
KR101414699B1 (en) | Glove for golf | |
KR100530741B1 (en) | Golf gloves | |
JP2019097909A (en) | Grip for golf club and golf putter comprising the same | |
KR20180129015A (en) | Finger ring for golf gri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28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