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351B1 - Emergency situation detecting system using a buoyancy suit - Google Patents
Emergency situation detecting system using a buoyancy su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35351B1 KR101835351B1 KR1020160138505A KR20160138505A KR101835351B1 KR 101835351 B1 KR101835351 B1 KR 101835351B1 KR 1020160138505 A KR1020160138505 A KR 1020160138505A KR 20160138505 A KR20160138505 A KR 20160138505A KR 101835351 B1 KR101835351 B1 KR 1018353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uman body
- controller
- information
- buoyant
- sens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04—Resilient su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26—Communication means, e.g. means for signalling the presence of divers
-
- B63B2730/02—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04—Resilient suits
- B63C2011/046—Wet suits, or diving vests; Equipment therefo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40—Controlling or monitoring, e.g. of flood or hurricane; Forecasting, e.g. risk assessment or ma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인체에 대한 정보를 인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와 인명사고에 대한 대비가 신속하면서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부력복을 이용한 위급 상황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위급 상황 감지 시스템은 부력재로 형성되고, 인체에 착용되며, 인체의 각 부위의 상태를 감지하여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부력복과; 상기 부력복에 착용되고, 상기 부력복에서 전송되는 감지된 정보를 입력받아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데이터수집 및 전송부가 프로그램으로 내장되는 핸드폰과; 상기 핸드폰을 통해 무선으로 전송되는 인체의 감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전송된 인체의 정보를 기준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인체가 위급한 상황인지를 판별하며, 인체의 위급 상황으로 판별된 경우에 응급구호센터에 구호 신호를 발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detection system using a buoyant garment which can recognize information of a wearer's body so that preparation for safety accidents and human accidents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accurately. The emergency detection system is formed of a buoyant material A buoyant suit that is worn on the human body and senses the state of each part of the human body and outputs it to the outside through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 mobile phone mounted on the buoyant wearer and having a built-in data acquisition and transmission program for receiving sense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uoyancy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outside through a wireless network; And a control unit for comparing the sensed information of the human body wirelessly transmitted through the mobile phone with the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d human body by comparing the sensed information with the reference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human body is in a critical state, A management server sending out relief signals to the center; .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력복을 이용한 위급 상황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인체에 대한 정보를 인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와 인명사고에 대한 대비가 신속하면서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부력복을 이용한 위급 상황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detection system using a buoyant sui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mergency detection system using a buoyant suit, which is capable of recognizing information on a human body of a wearer so as to promptly and accurately prepare for safety accidents and human accidents To a situation detection system.
일반적으로 부력복은 주로 수영장, 바다, 하천, 낚시 및 요트 등의 레저활동이나 해양공사나 선박 등의 산업활동 또는 해군 등의 군사활동시에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수면에 뜰 수 있도록 착용하는 것이다.Generally, buoyant suit is to be worn for leisure activities such as swimming pool, sea, river, fishing and yacht, industrial activity such as marine construction, ship or military operation such as naval for safety of user.
종래의 부력복은 전면부의 좌우측부와 등판부에 각각 10∼20㎜ 두께를 갖는 PE발포수지로 성형된 하나의 부력부재를 내입하여 사용되어 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의 부력복은 사용자의 활동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모든 부력복이 동일한 부력을 가지게 되고, 착용감 또한 모두 동일한 단점 등이 있다.Conventional buoyancy belts have been used by inserting one buoyancy member molded from PE foamed resin having a thickness of 10 to 20 mm i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and the back side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However, buoyancy wear of this structure is not only uncomfortable for the user, but also all the buoyant boots have the same buoyancy.
최근에는 소재 자체를 부력을 가지는 소재인 부력재로 제조된 부력복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recent years, buoyant wear made of a buoyancy material, which is a material having buoyancy as a material itself, has been developed and widely used.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종래의 부력복은 해안, 바다, 수면 또는 수중 등의 생명이 위태로운 험한 환경에서 사용되어 상대적으로 많은 안전사고와 인명사고가 발생하는데도 불구하고, 이를 착용하는 인체에 대한 정보를 전혀 알 수 없어 안전사고와 인명사고에 대한 대비를 전혀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Conventional buoyancy boots are used in harsh environment where life is dangerous such as coast, sea, water or underwater, so that even though safety accidents and human accidents are relatively occurred,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impossible to prepare for accidents and human accidents at all.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자의 인체에 대한 정보를 인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와 인명사고에 대한 대비가 신속하면서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부력복을 이용한 위급 상황 감지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mergency detection system using a buoyant wearer which can recognize information about a human body of a wearer so that safety accidents and human accidents can be prepared promptly and accuratel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부력복을 이용한 위급 상황 감지 시스템"은, 부력재로 형성되고, 인체에 착용되며, 인체의 각 부위의 상태를 감지하여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부력복과; 상기 부력복에 착용되고, 상기 부력복에서 전송되는 감지된 정보를 입력받아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데이터수집 및 전송부가 프로그램으로 내장되는 핸드폰과; 상기 핸드폰을 통해 무선으로 전송되는 인체의 감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전송된 인체의 정보를 기준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인체가 위급한 상황인지를 판별하며, 인체의 위급 상황으로 판별된 경우에 응급구호센터에 구호 신호를 발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for detecting an emergency situation using a buoyant suit, which is formed of a buoyant material, is worn on the human body, detects the state of each part of the human body, Buoyant apparel; A mobile phone mounted on the buoyant wearer and having a built-in data acquisition and transmission program for receiving sense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uoyancy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outside through a wireless network; And a control unit for comparing the sensed information of the human body wirelessly transmitted through the mobile phone with the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d human body by comparing the sensed information with the reference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human body is in a critical state, A management server sending out relief signals to the center; .
본 발명에 따른 "부력복을 이용한 위급 상황 감지 시스템"은, 부력재로 형성되고, 인체의 상부에 착용되며, 인체의 팔에 착용되도록 양측에 한 쌍의 팔착용부가 형성되고, 전면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지퍼가 부착되는 상의와; 상기 상의의 내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핸드폰이 수용되는 핸드폰포켓과; 상기 상의의 내측면에 장착되고, 무선송수신기가 내장되며, 제반 기기를 제어하면서 수신된 정보를 상기 무선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핸드폰으로 무선 전송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고 인체의 가슴 부위에 대응하여 상기 상의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인체의 심장 박동수를 측정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심박센서와,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고 상기 상의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인체의 체온을 측정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체온센서와,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고 인체의 팔목 부위에 대응하여 상기 팔착용부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인체의 맥박을 측정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맥박센서를 포함하는 인체신호감지부와;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고, 상기 상의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detecting an emergency situation using a buoyant suit, comprising: a buoyant material; a pair of arm-worn part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so as to be worn on the upper part of the human body; A top surface to which a zipper is attached; A mobile phone pocket attach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top surface and accommodating the mobile phone; A controller mount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e controller including a wireless transceiver and wirelessly transmitting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mobile phone through the wireless transceiver while controlling all the devices; A heartbeat sensor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d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corresponding to a chest area of the human body and measuring heart rate of a human body and transmitting the measured heartbeat to the controller; And a pulse sensor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d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rm-wearing portion corresponding to a cuff of the human body, for measuring a pulse of the human body and transmitting the measured pulse to the controller A human body signal sensing unit; A batter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d mount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top;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력복을 이용한 위급 상황 감지 시스템"의 상기 인체신호감지부는,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고 상기 팔착용부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인체의 혈당을 측정하여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혈당센서와,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고 상기 팔착용부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현재 위치에 대한 지피에스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지피에스센서와,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고 상기 상의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현재의 이동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가속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human body signal sensing unit of the " emergency situation detection system using buoyant 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ood glucose sensor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d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rm wearing unit, And a controller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d is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arm wearing section and receives the information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robot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And an acceleration sensor for measuring the speed and transmitting the speed to the controll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력복을 이용한 위급 상황 감지 시스템"은, 인체의 가슴 부위에 대응하여 상기 상의의 외면에 설치되고, 구조 문자를 표시하는 구조문자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detecting an emergency situation using a buoyant suit, comprising: a structural character display unit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a top of the body corresponding to a chest area of a human body, And further compris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력복을 이용한 위급 상황 감지 시스템"의 상기 구조문자표시부는, 인체의 가슴 부위에 대응하여 상기 상의의 외면에 일단이 부착되고 타단이 분리 가능하게 상기 상의의 외면에 접착되며 외면에 구조 문자가 인쇄되는 구조문자판과, 상기 구조문자판의 구조 문자에 대응하여 상기 구조문자판의 외면에 다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며 상기 구조 문자를 점등으로 표시하는 엘이디를, 포함하고, 상기 인체신호감지부는,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고 상기 팔착용부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팔착용부를 통해 침수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침수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침수센서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를 통해 상기 상의의 침수를 인지하면 상기 엘이디를 점등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structural character display unit of the " emergency presence detection system using the buoyant 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al character displa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above- And a plurality of LED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ructural dial corresponding to the structural characters of the structural dial and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d displaying the structured characters by lighting, The human body signal sens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water immersion sensor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d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arm wearing part and sensing water immersion through the arm wearing part and transmitting the water immersion sensor to the controller, The controller controls the LED to be turned on when it recognizes the flooding of the image through th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LED And a go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력복을 이용한 위급 상황 감지 시스템"의 상기 상의는, 그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고 인체의 엉덩이 부위에 착용되는 하의와, 인체의 다리에 착용되도록 상기 하의에 일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다리착용부와, 인체의 허리 부위에 대응하여 상기 상의의 하단 양측에 부착되는 한 쌍의 허리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퍼는, 상기 상의의 하단에서 상기 하의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bove-described image of the emergency situation detection system using the buoyant s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body integral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thereof and worn on the hip portion of the human body and the lower body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body to be worn on the legs of the human body And a pair of waist band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upp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waist portion of the human body, wherein the zipper extends from the lower end of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end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력복을 이용한 위급 상황 감지 시스템"은, 상기 다리착용부의 외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물이 저장되며, 상기 상의의 상단까지 공급호스가 연결되는 물주머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detecting an emergency situation using a buoyant wearer, comprising: a water bag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leg wearer, in which water is stored, and a supply hose is connected to the top of the body; And further compris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력복을 이용한 위급 상황 감지 시스템"은, 상기 핸드폰에 연결 가능하게 구비되고, 마이크가 설치되며, 상기 핸드폰으로부터 전송되는 음향을 청취하면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전송하는 음향리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lso provided a system for detecting an emergency situation using a buoyant suit, which is provided to be connectable to the mobile phone and includes a microphone, an acoustic device for transmitting sound through the microphone while listening to sound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phone, Receiver; And further comprising: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착용자의 인체에 대한 정보를 인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와 인명사고에 대한 대비가 신속하면서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안전사고와 인명사고에 대한 예방이 원활히 이루어지면서 사고 발생시에 신속한 대처로 구명 및 구조활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cognize information about the human body of a wearer so that safety accidents and human accidents can be prepared promptly and accurately, thereby preventing safety accidents and human accidents. So that life span and rescue activities can be easily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급 상황 감지 시스템을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복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복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복의 개략적인 요부 구성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mergency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buoyant s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enlarged front view of a buoyant s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buoyant bu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급 상황 감지 시스템을 보인 구성도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복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급 상황 감지 시스템은 인체에 착용되는 부력복(1)과, 상기 부력복(1)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입력받아 외부로 전송하는 핸드폰(2)과, 상기 핸드폰(2)에서 전송되는 상기 부력복(1)의 착용자의 정보를 저장하면서 응급 구호 신호를 출력하는 관리서버(3)를 포함한다.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mergency situation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to 3 are schematic views of a buoyant b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emergency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상기 부력복(1)은 부력재로 형성되고 인체에 착용되며 인체의 각 부위의 상태를 감지하는 것으로,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바다 등에 빠지는 경우에 부유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외부로 착용자의 인체 정보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The buoyant suit (1) is formed of a buoyant material and is worn on the human body and detects the state of each part of the human body. When the buoyant wearer wears it, And outputs the human body information of the wear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핸드폰(2)은 착용자가 소유하는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의 단말기로써, 상기 부력복(1)에 착용되고 데이터수집 및 전송부가 프로그램으로 내장된다. 상기 데이터수집 및 전송부는 상기 핸드폰(2)에 프로그램으로 탑재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써, 상기 부력복(1)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핸드폰(2)을 통해 외부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관리서버(3)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통상의 서버로써, 상기 핸드폰(2)을 통해 무선으로 전송되는 인체의 감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전송된 인체의 정보를 기준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인체가 위급한 상황인지를 판별하며 인체의 위급 상황으로 판별된 경우에 응급구호센터에 구호 신호를 발송하는 역할을 한다.The
예를 들어 인체의 심박이나 체온에 대한 기준 정보는 통상적인 인체의 평균 심박수나 체온을 말한다. 아울러, 상기 응급구호센터는 해양경찰, 119 구급대, 경찰 등이나 관할 응급 구호 민간기관 또는 공공기관을 말한다.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상기 핸드폰(2)을 통해 원격지로 무선통신을 할 수 있는 무선 통신망을 말한다.
For example, the reference information on the heartbeat and body temperature of a human body refers to a normal human body's average heart rate or body temperature. In addition, the emergency relief center refers to marine police, paramedics, police, etc., or emergency rescue civilian or public institutions under their jurisdiction. The wireless network refer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apable of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to a remote place through the
이하, 상기 부력복(1)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부력복(1)은 하의(13)를 가지는 상의(10)와, 상기 상의(10)에 구비되는 핸드폰포켓(20)과, 상기 상의(10)에 설치되는 컨트롤러(30)와, 상기 상의(10)에 설치되는 인체신호감지부(40)와, 상기 상의(10)에 설치되는 배터리(50)와, 상기 상의(10)의 외면에 설치되는 구조문자표시부(60)와, 상기 하의(13)에 설치되는 물주머니(70)와, 상기 상의(10)에 구비되는 음향리시버(80)를 포함한다.Hereinafter, the
상기 상의(10)는 부력재로 형성되고 인체의 상부에 착용되며 인체의 팔에 착용되도록 양측에 한 쌍의 팔착용부(11)가 형성되고 전면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지퍼(12)가 부착되는 것으로, 인체에 착용한 상태로 물에 부유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컨트롤러(30)를 포함하는 제반 기기들이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팔착용부(11)는 인체의 팔이 끼워져 착용되는 부위이고, 상기 지퍼(12)는 상기 상의(10) 전면 중앙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것이다.The arm-wearing
이와 같은 상기 상의(10)는 그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고 인체의 엉덩이 부위에 착용되는 하의(13)와, 인체의 다리에 착용되도록 상기 하의(13)에 일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다리착용부(14)와, 인체의 허리 부위에 대응하여 상기 상의(10)의 하단 양측에 부착되는 한 쌍의 허리밴드(15)를 더 포함한다.The
상기 하의(13)는 상기 상의(10)와 동일한 재질로 상기 상의(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인체의 하부에 착용한 상태로 물에 부유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다리착용부(14)는 인체의 다리가 끼워져 착용되는 부위이며, 상기 허리밴드(15)는 상기 상의(10)의 하단에 양측에 탄성 재질의 밴드를 부착하여 상기 상의(10)와 하의(13)를 착용한 상태에서 인체의 허리 부위에 탄성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것이다. 상기 지퍼(12)는 본 부력복을 입거나 벗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상의(10)의 하단에서 상기 하의(13)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핸드폰포켓(20)은 상기 상의(10)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착용자의 핸드폰(2)이 수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핸드폰(2)은 상기 컨트롤러(30)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를 근거리무선통신으로 전달받아 상기 관리서버(3)로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컨트롤러(30)는 상기 상의(10)의 내측면에 장착되고 무선송수신기가 내장되는 것으로, 제반 기기를 제어하면서 수신된 정보를 상기 무선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핸드폰(H)으로 무선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컨트롤러(30)는 시피유(CPU)를 가지는 소형 컴퓨터 혹은 마이컴을 가지는 제어회로기판일 수 있고, 하드 또는 메모리 등의 저장 공간을 가진다.The
상기 인체신호감지부(40)는 인체의 각 부위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인체의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3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The human body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인체신호감지부(40)는 상기 컨트롤러(30)에 연결되고 인체의 가슴 부위에 대응하여 상기 상의(10)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인체의 심장 박동수를 측정하여 상기 컨트롤러(30)에 전송하는 심박센서(41)와, 상기 컨트롤러(30)에 연결되고 상기 상의(10)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인체의 체온을 측정하여 상기 컨트롤러(30)에 전송하는 체온센서(42)와, 상기 컨트롤러(30)에 연결되고 인체의 팔목 부위에 대응하여 상기 팔착용부(11)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인체의 맥박을 측정하여 상기 컨트롤러(30)에 전송하는 맥박센서(43)를 포함한다.The human body
상기 심박센서(41)는 인체의 심장의 박동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심박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30)에 전송하는 것으로, 인체의 심장 박동수가 비정상적일 때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체온센서(42)는 인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로써, 측정된 온도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30)에 전송하는 것으로, 인체의 온도 즉 체온이 비정상적일 때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상기 맥박센서(43)는 인체의 맥박을 측정하고 측정된 맥박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30)에 전송하는 것으로, 인체의 맥박이 비정상적일 때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상기 인체신호감지부(40)는, 상기 컨트롤러(30)에 연결되고 상기 팔착용부(11)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인체의 혈당을 측정하여 상기 컨트롤러(30)로 전송하는 혈당센서(44)와, 상기 컨트롤러(30)에 연결되고 상기 팔착용부(11)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현재 위치에 대한 지피에스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컨트롤러(30)로 전송하는 지피에스센서(45)와, 상기 컨트롤러(30)에 연결되고 상기 상의(10)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현재의 이동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컨트롤러(30)로 전송하는 가속도센서(46)와, 상기 컨트롤러(30)에 연결되고 상기 팔착용부(11)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팔착용부(11)를 통해 침수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30)로 전송하는 침수센서(47)를 더 포함한다.The human body
상기 혈당센서(44)는 인체의 혈당을 체혈 없이 측정하고 측정된 혈당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30)에 전송하는 것으로, 인체의 혈당이 비정상적일 때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지피에스센서(45)는 지피에스(GPS : 위성 위치 측정 시스템)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30)에 전송하는 것으로, 착용자의 현재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인지하여 구조 등의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상기 가속도센서(46)는 착용자의 현재 이동 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30)에 전송하는 것으로, 착용자의 현재 이동 속도 예를 들면 바다에서 표류하고 있는 속도를 인지하여 구조 등의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침수센서(47)는 착용자가 현재 바다 등에 침수된 상태인지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30)에 전송하는 것으로, 착용자가 바다 등에 침수된 상태인지를 인지하여 구조 등의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상기 배터리(50)는 상기 컨트롤러(30)에 연결되고 상기 상의(10)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컨트롤러(30)를 포함하는 제반 전자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구조문자표시부(60)는 인체의 가슴 부위에 대응하여 상기 상의(10)의 외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비상시에 'SOS'와 같은 구조 문자를 외부로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The structural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구조문자표시부(60)는 인체의 가슴 부위에 대응하여 상기 상의(10)의 외면에 일단이 부착되고 타단이 분리 가능하게 상기 상의(10)의 외면에 접착되며 외면에 구조 문자가 인쇄되는 구조문자판(61)과, 상기 구조문자판(61)의 구조 문자에 대응하여 상기 구조문자판(61)의 외면에 다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30)와 연결되며 상기 구조 문자를 점등으로 표시하는 엘이디(62)를 포함한다.The structural
상기 구조문자판(61)은 상기 구조문자가 표시는 장소를 제공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상의(10)에 부착된 상태로 상기 지퍼(12)를 사용할 수 있도록 타단이 벨크로 테이프(B) 등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엘이디(62)는 LED(발광다이오드)로써, 상기 구조문자를 따라 다수개가 연속하여 구비되어 점등되면서 구조문자를 외부로 보다 선명하게 또는 야간에 원활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2, the
이와 같은 상기 엘이디(62)는 착용자가 스위치 등을 사용하여 직접 점등시키거나, 상기 컨트롤러(30)에 의해 제어되어 자동으로 점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컨트롤러(30)는 상기 침수센서(47)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를 통해 상기 상의(10)의 침수를 인지하면 상기 엘이디(62)를 점등시키도록 제어하게 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 물주머니(70)는 상기 다리착용부(14)의 외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물이 저장되며 상기 상의(10)의 상단까지 공급호스(71)가 연결되는 것으로, 착용자가 바다에 표류하거나 위급한 상황에 처했을 때 목숨을 연장하기 위해 상기 공급호스(71)를 통해 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 물 저장 수단이다.The
상기 음향리시버(80)는 상기 핸드폰(H)에 연결 가능하게 구비되고 마이크(81)가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핸드폰(H)으로부터 전송되는 음향을 청취하면서 상기 마이크(81)를 통해 음성을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modified and applied in the same manner. Therefore,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fined by the limitations of the following claims.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부력복
10 : 상의
11 : 팔착용부 12 : 지퍼
13 : 하의 14 : 다리착용부
15 : 허리밴드
20 : 핸드폰포켓
30 : 컨트롤러
40 : 인체신호감지부
41 : 심박센서 42 : 체온센서
43 : 맥박센서 44 : 혈당센서
45 : 지피에스센서 46 : 가속도센서
47 : 침수센서
50 : 배터리
60 : 구조문자표시부
61 : 구조문자판 62 : 엘이디
70 : 물주머니
71 : 공급호스
80 : 음향리시버
81 : 마이크
90 : 내피
91 : 팔끼움부
2 : 핸드폰
3 : 관리서버
E : 응급구호센터1: Buoyancy
10: Top
11: arm wearing part 12: zipper
13: Bottom 14: Leg Wear
15: waistband
20: Cell phone pocket
30: Controller
40: human body signal sensing unit
41: heart rate sensor 42: body temperature sensor
43: pulse sensor 44: blood sugar sensor
45: a GPS sensor 46: an acceleration sensor
47: Immersion sensor
50: Battery
60: Structure character display section
61: Rescue dial 62: LED
70: water bag
71: Supply hose
80: acoustic receiver
81: Microphone
90: endothelium
91: Arms section
2: Mobile phone
3: Management Server
E: Emergency Relief Center
Claims (8)
상기 부력복(1)에 착용되고, 상기 부력복(1)에서 전송되는 감지된 정보를 입력받아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데이터수집 및 전송부가 프로그램으로 내장되는 핸드폰(2)과;
상기 핸드폰(2)을 통해 무선으로 전송되는 인체의 감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전송된 인체의 정보를 기준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인체가 위급한 상황인지를 판별하며, 인체의 위급 상황으로 판별된 경우에 응급구호센터에 구호 신호를 발송하는 관리서버(3)를; 포함하고,
상기 부력복(1)은,
부력재로 형성되고, 인체의 상부에 착용되며, 인체의 팔에 착용되도록 양측에 한 쌍의 팔착용부(11)가 형성되고, 전면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지퍼(12)가 부착되는 상의(10)와;
상기 상의(10)의 내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핸드폰(2)이 수용되는 핸드폰포켓(20)과;
상기 상의(10)의 내측면에 장착되고, 무선송수신기가 내장되며, 제반 기기를 제어하면서 수신된 정보를 상기 무선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핸드폰으로 무선 전송하는 컨트롤러(30)와;
상기 컨트롤러(30)에 연결되고 인체의 가슴 부위에 대응하여 상기 상의(10)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인체의 심장 박동수를 측정하여 상기 컨트롤러(30)에 전송하는 심박센서(41)와, 상기 컨트롤러(30)에 연결되고 상기 상의(10)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인체의 체온을 측정하여 상기 컨트롤러(30)에 전송하는 체온센서(42)와, 상기 컨트롤러(30)에 연결되고 인체의 팔목 부위에 대응하여 상기 팔착용부(11)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인체의 맥박을 측정하여 상기 컨트롤러(30)에 전송하는 맥박센서(43)를 포함하는 인체신호감지부(40)와;
상기 컨트롤러(30)에 연결되고, 상기 상의(10)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배터리(50)와;
인체의 가슴 부위에 대응하여 상기 상의(10)의 외면에 설치되고, 구조 문자를 표시하는 구조문자표시부(60)를; 포함하며,
상기 구조문자표시부(60)는,
인체의 가슴 부위에 대응하여 상기 상의(10)의 외면에 일단이 부착되고 타단이 분리 가능하게 상기 상의(10)의 외면에 접착되며 외면에 구조 문자가 인쇄되는 구조문자판(61)과,
상기 구조문자판(61)의 구조 문자에 대응하여 상기 구조문자판(61)의 외면에 다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30)와 연결되며 상기 구조 문자를 점등으로 표시하는 엘이디(62)를, 포함하고,
상기 인체신호감지부(40)는,
상기 컨트롤러(30)에 연결되고 상기 팔착용부(11)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팔착용부(11)를 통해 침수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30)로 전송하는 침수센서(47)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30)는,
상기 침수센서(47)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를 통해 상기 상의(10)의 침수를 인지하면 상기 엘이디(62)를 점등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복을 이용한 위급 상황 감지 시스템.
A buoyant suit (1) formed of a buoyant material, which is worn on the human body and detects the state of each part of the human body and outputs it to the outside through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 mobile phone 2 worn on the buoyant complex 1 and having a built-in data collecting and transmitting part program for receiving sense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uoyant complex 1 and transmitting the sensed information to the outside via a wireless network;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human body transmitted wirelessly through the mobile phone 2 is converted into a database and the transmitted human body information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human body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A management server 3 for sending a relief signal to the emergency relief center; Including,
The buoyant clothing (1)
A pair of armrests 11 formed on both sides so as to be worn on an arm of the human body and a top 10 in which a zipper 12 is attached to the center of the front face, Wow;
A cellular phone pocket (20) attach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topsheet (10) and accommodating the cell phone (2);
A controller (30) mount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and incorporating a wireless transceiver and wirelessly transmitting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mobile phone through the wireless transceiver while controlling all the devices;
A heartbeat sensor 41 connected to the controller 30 and corresponding to a chest area of the human body and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body 10 for measuring a heart rate of a human body and transmitting the measured heart rate to the controller 30, A body temperature sensor 42 connected to the controller 30 and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0 for measuring the body temperature of the body and transmitting the measured body temperature to the controller 30; And a pulse sensor (43)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arm-wearing part (11) corresponding to the pulse signal and measuring the pulse of the human body and transmitting the pulse to the controller (30);
A battery (50) connected to the controller (30) and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op (10);
A structural character display section (60)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op surface (10) corresponding to a bust part of the human body and displaying structural characters; ≪ / RTI &
The structural character display section (60)
A structural dial plate (61) having one end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 and the other end detachab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10)
And a plurality of LEDs 62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ructural dial 61 in correspondence with the structural characters of the structural dial 61 and connected to the controller 30 to display the structured characters as lights,
The human body signal sensing unit (40)
A water immersion sensor 47 connected to the controller 30 and install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arm wearing part 11 to sense the water immersion through the arm wearing part 11 and transmit the water immersion sensor 47 to the controller 30, Including,
The controller (30)
And controls the LED (62) to light up if it recognizes the immersion of the image (10) through th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immersion sensor (47).
상기 인체신호감지부(40)는,
상기 컨트롤러(30)에 연결되고 상기 팔착용부(11)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인체의 혈당을 측정하여 상기 컨트롤러(30)로 전송하는 혈당센서(44)와,
상기 컨트롤러(30)에 연결되고 상기 팔착용부(11)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현재 위치에 대한 지피에스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컨트롤러(30)로 전송하는 지피에스센서(45)와,
상기 컨트롤러(30)에 연결되고 상기 상의(10)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현재의 이동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컨트롤러(30)로 전송하는 가속도센서(4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복을 이용한 위급 상황 감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uman body signal sensing unit (40)
A blood glucose sensor 44 connected to the controller 30 and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arm 11 to measure blood glucose of a human body and transmit the measured blood glucose to the controller 30,
A dust sensor 45 connected to the controller 30 and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arm 11 to receive the dust information on the current position and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30,
An acceleration sensor 46 connected to the controller 30 and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phase 10 for measuring a current moving speed and transmitting the measured acceleration to the controller 30,
Wherein the buoyancy detection system further comprises:
상기 상의(10)는,
그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고 인체의 엉덩이 부위에 착용되는 하의(13)와,
인체의 다리에 착용되도록 상기 하의(13)에 일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다리착용부(14)와,
인체의 허리 부위에 대응하여 상기 상의(10)의 하단 양측에 부착되는 한 쌍의 허리밴드(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퍼(12)는,
상기 상의(10)의 하단에서 상기 하의(13)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복을 이용한 위급 상황 감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hase (10)
A lower portion 13 integral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thereof and worn on the hip region of the human body,
A pair of leg-worn portions 14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portion 13 so as to be worn on the legs of the human body,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waist bands (15)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topsheet (10) corresponding to the waist region of the human body,
The zipper (12)
And extends from the lower end of the upper surface (10) to the lower end (13).
상기 부력복(1)은,
상기 다리착용부(14)의 외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물이 저장되며, 상기 상의(10)의 상단까지 공급호스(71)가 연결되는 물주머니(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복을 이용한 위급 상황 감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buoyant clothing (1)
A water bag 70 install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leg wearer 14 and storing water therein and connected to a supply hose 71 up to an upper end of the top 10;
Wherein the buoyancy detection system further comprises:
상기 부력복(1)은,
상기 핸드폰에 연결 가능하게 구비되고, 마이크(81)가 설치되며, 상기 핸드폰으로부터 전송되는 음향을 청취하면서 상기 마이크(81)를 통해 음성을 전송하는 음향리시버(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복을 이용한 위급 상황 감지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uoyant clothing (1)
An acoustic receiver 80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and having a microphone 81 and transmitting voice through the microphone 81 while listening to the sound transmitted from the mobile phone;
Wherein the buoyancy detection system further compris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8505A KR101835351B1 (en) | 2016-10-24 | 2016-10-24 | Emergency situation detecting system using a buoyancy su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8505A KR101835351B1 (en) | 2016-10-24 | 2016-10-24 | Emergency situation detecting system using a buoyancy sui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35351B1 true KR101835351B1 (en) | 2018-03-08 |
Family
ID=61725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38505A Expired - Fee Related KR101835351B1 (en) | 2016-10-24 | 2016-10-24 | Emergency situation detecting system using a buoyancy su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3535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12385A (en) * | 2019-07-25 | 2021-02-03 | 주식회사 커브로 | Smart safety life jacket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i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5148B1 (en) * | 2010-12-06 | 2012-04-16 | 주식회사 라이프가드 | An emergency position transmitter with which high floatable lifesaving clothes are equipped, and an accident rescue system using it |
KR200475404Y1 (en) * | 2013-08-09 | 2014-11-28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Smart Clothing |
-
2016
- 2016-10-24 KR KR1020160138505A patent/KR10183535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5148B1 (en) * | 2010-12-06 | 2012-04-16 | 주식회사 라이프가드 | An emergency position transmitter with which high floatable lifesaving clothes are equipped, and an accident rescue system using it |
KR200475404Y1 (en) * | 2013-08-09 | 2014-11-28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Smart Clothing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12385A (en) * | 2019-07-25 | 2021-02-03 | 주식회사 커브로 | Smart safety life jacket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it |
KR102322567B1 (en) * | 2019-07-25 | 2021-11-08 | 주식회사 커브로 | Smart safety life jacket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i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583903B2 (en) | Underwater positioning system for scuba divers | |
US8613637B2 (en) | Water survival system and a method for detecting the danger of a person drowning | |
US6486777B2 (en) | Personal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 |
KR100717595B1 (en) | Emergency rescue system by tracking marine location of lifejacket | |
US10213158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biometric sensing with sensor fusion | |
USRE42218E1 (en) | Underwater alert system | |
ES2841383T3 (en) | Improved safety in physical exercise | |
US20210403132A1 (en) | Personal aquatic safety device | |
KR101815643B1 (en) | An emergency position transmitt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102322567B1 (en) | Smart safety life jacket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it | |
US11294074B2 (en) | Tracking system and method | |
CN101953679A (en) | Wrist infrared pulse monitoring method and monitor | |
CN201798736U (en) | Wrist-type infrared pulse monitor | |
KR101835351B1 (en) | Emergency situation detecting system using a buoyancy suit | |
CN206243413U (en) | A kind of anti-drowned lifesaving appliance of intelligence | |
KR101458356B1 (en) | SOS transmitting apparatus equipped in a life vest | |
CN207817932U (en) | Detachable floating wireless alarmer in a kind of water | |
KR102007095B1 (en) | Multi-Functional Location Tracking Belt and System | |
CN207595220U (en) | Anti- drowned system with self-rescue function | |
US20220309897A1 (en) | Wearable Safety Device for Swimming | |
KR102661944B1 (en) | Smart band device for marin sports | |
US10864973B2 (en) | Self-inflating personal floatation device (“SIPFD”) | |
CN206183252U (en) | Intelligent girdle ring of physiology information monitoring during towards swimming | |
CN106985986A (en) | Floating system | |
KR101047653B1 (en) | Marine Amendment Accident Automatic Notificati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7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3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