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125B1 -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의 전력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의 전력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35125B1 KR101835125B1 KR1020140033372A KR20140033372A KR101835125B1 KR 101835125 B1 KR101835125 B1 KR 101835125B1 KR 1020140033372 A KR1020140033372 A KR 1020140033372A KR 20140033372 A KR20140033372 A KR 20140033372A KR 101835125 B1 KR101835125 B1 KR 1018351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ad
- power
- voltage
- threshold value
- wireless pow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8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0000005674 electromagnetic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6
- 238000009499 gr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669 fiel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74 resonanc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상기 충전 관리부는, 상기 정류부에서 출력된 직류 전압을 측정한다.
상기 충전 관리부는, 상기 측정된 직류 전압이 제1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부하를 충전시키기 위해 상기 부하에 상기 직류 전력을 전달하고, 일정 시간 후 재 측정된 직류 전압이 제2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부하에 상기 직류 전력을 계속 전달하며, 상기 제1 임계치는 상기 제2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 관리부는, 상기 측정된 직류 전압이 제1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부하에 전달되는 전력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 관리부는, 상기 재 측정된 직류 전압이 상기 제2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부하에 전달되는 전력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임계치는, 상기 부하가 충전을 개시 하기 위한 최소한의 전압이고, 상기 제2 임계치는 상기 부하가 충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 관리부는, 기 설정된 시간 마다 상기 정류된 직류 전압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 관리부는, 상기 직류 전압과 상기 임계치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부하로의 상기 직류 전력의 전달 또는 차단을 스위칭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 관리부는, 상기 측정된 직류 전압과 상기 임계치의 비교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스위칭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를 단락시켜 상기 부하를 충전 상태에 진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를 개방시켜 상기 부하에 전달되는 전력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하는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 관리부로부터 전달받은 직류 전력을 조절하고, 상기 조절된 직류 전력을 상기 부하에 전달하는 배터리 관리 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신 코일은,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의 송신 공진 코일과 공진 결합되어 상기 교류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공진 코일; 및 상기 수신 공진 코일로부터 전자기 유도를 이용해 교류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유도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신 코일은,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전자기 유도를 이용해 상기 교류 전력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수신한 전력을 부하에 전달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교류 전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정류하고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직류 전압을 제1 임계치 및 제2 임계치와 비교하여 상기 부하의 충전 여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하의 충전 여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된 직류 전압을 측정한다.
상기 부하의 충전 여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직류 전압이 제1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부하를 충전시키기 위해 상기 부하에 상기 직류 전력을 전달하는 단계; 일정 시간 후 재 측정된 직류 전압이 제2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부하에 상기 직류 전력을 계속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임계치는 상기 제2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다.
상기 부하의 충전 여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직류 전압이 제1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부하에 전달되는 전력을 차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하의 충전 여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재 측정된 직류 전압이 상기 제2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부하에 전달되는 전력을 차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임계치는, 상기 부하가 충전을 개시 하기 위한 최소한의 전압이고, 상기 제2 임계치는 상기 부하가 충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하의 충전 여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직류 전압과 임계치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부하로의 상기 직류 전력의 전달 또는 차단을 스위칭 제어하는 단계이다.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은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비교기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유도 코일(210)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소스(100)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전력 전달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373) 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371)의 다양한 구성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전력 전달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200: 무선전력 송신장치
210: 송신 유도 코일
220: 송신 공진 코일
300: 무선전력 수신장치
310: 수신 공진 코일
320: 수신 유도 코일
330: 정류부
350: 직류 직류 변환기
360: 배터리 관리 소자
370: 충전 관리부
371: 스위치
373: 제어부
375: 전압 제한부
400: 부하
Claims (24)
-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수신한 전력을 부하에 전달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교류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코일;
상기 수신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정류하고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정류부; 및
상기 직류 전압을 제1 임계치 및 제2 임계치와 비교하여 상기 부하의 충전 여부를 제어하는 충전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관리부는,
상기 정류부에서 출력된 직류 전압을 측정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관리부는,
상기 측정된 직류 전압이 제1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부하를 충전시키기 위해 상기 부하에 상기 직류 전력을 전달하고,
일정 시간 후 재 측정된 직류 전압이 제2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부하에 상기 직류 전력을 계속 전달하며,
상기 제1 임계치는 상기 제2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관리부는,
상기 측정된 직류 전압이 제1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부하에 전달되는 전력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관리부는,
상기 재 측정된 직류 전압이 상기 제2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부하에 전달되는 전력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계치는,
상기 부하가 충전을 개시 하기 위한 최소한의 전압이고,
상기 제2 임계치는 상기 부하가 충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관리부는,
기 설정된 시간 마다 상기 정류된 직류 전압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관리부는,
상기 직류 전압과 상기 임계치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부하로의 상기 직류 전력의 전달 또는 차단을 스위칭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관리부는,
상기 직류 전압과 상기 임계치의 비교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스위칭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를 단락시켜 상기 부하를 충전 상태에 진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를 개방시켜 상기 부하에 전달되는 전력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는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관리부로부터 전달받은 직류 전력을 조절하고, 상기 조절된 직류 전력을 상기 부하에 전달하는 배터리 관리 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코일은,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의 송신 공진 코일과 공진 결합되어 상기 교류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공진 코일; 및
상기 수신 공진 코일로부터 전자기 유도를 이용해 교류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유도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코일은,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전자기 유도를 이용해 상기 교류 전력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수신한 전력을 부하에 전달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교류 전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정류하고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직류 전압을 제1 임계치 및 제2 임계치와 비교하여 상기 부하의 충전 여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
-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의 충전 여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된 직류 전압을 측정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
-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의 충전 여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직류 전압이 제1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부하를 충전시키기 위해 상기 부하에 상기 직류 전력을 전달하는 단계;
일정 시간 후 재 측정된 직류 전압이 제2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부하에 상기 직류 전력을 계속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임계치는 상기 제2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은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의 충전 여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직류 전압이 제1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부하에 전달되는 전력을 차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의 충전 여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재 측정된 직류 전압이 상기 제2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부하에 전달되는 전력을 차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
-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계치는,
상기 부하가 충전을 개시 하기 위한 최소한의 전압이고,
상기 제2 임계치는 상기 부하가 충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 -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의 충전 여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직류 전압과 임계치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부하로의 상기 직류 전력의 전달 또는 차단을 스위칭 제어하는 단계인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 -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비교기인 무선전력 수신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3372A KR101835125B1 (ko) | 2014-03-21 | 2014-03-21 |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의 전력 제어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3372A KR101835125B1 (ko) | 2014-03-21 | 2014-03-21 |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의 전력 제어 방법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44148A Division KR101428161B1 (ko) | 2012-04-26 | 2012-04-26 |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의 전력 제어 방법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3987A Division KR102057999B1 (ko) | 2018-02-27 | 2018-02-27 |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의 전력 제어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57503A KR20140057503A (ko) | 2014-05-13 |
KR101835125B1 true KR101835125B1 (ko) | 2018-03-08 |
Family
ID=50888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33372A Active KR101835125B1 (ko) | 2014-03-21 | 2014-03-21 |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의 전력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3512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51497A (ko) | 2014-11-03 | 2016-05-11 |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 무선 전력 전송 네트워크의 전력 전송 커버리지 제어 장치 및 방법 |
KR102329582B1 (ko) | 2015-03-24 | 2021-11-23 |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 무선 전력 전송 및 충전 시스템 |
KR102443355B1 (ko) | 2015-08-31 | 2022-09-14 |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 무선 전력 전송 및 충전 시스템 |
KR102695523B1 (ko) * | 2018-12-11 | 2024-08-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전력 수신기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3464B1 (ko) * | 2007-04-25 | 2009-06-18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는 무접점 충전 배터리 및 이를구비한 배터리 충전 세트 |
WO2010032309A1 (ja) * | 2008-09-19 | 2010-03-25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非接触受電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車両 |
-
2014
- 2014-03-21 KR KR1020140033372A patent/KR101835125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3464B1 (ko) * | 2007-04-25 | 2009-06-18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는 무접점 충전 배터리 및 이를구비한 배터리 충전 세트 |
WO2010032309A1 (ja) * | 2008-09-19 | 2010-03-25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非接触受電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車両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57503A (ko) | 2014-05-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28161B1 (ko) |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의 전력 제어 방법 | |
CN103259342B (zh) | 无线电力接收器和管理其电力的方法 | |
KR101382949B1 (ko) |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 | |
KR101835125B1 (ko) |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의 전력 제어 방법 | |
KR101371782B1 (ko) | 무선전력 수신장치,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 및 무선전력 전달 방법 | |
KR102057999B1 (ko) |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의 전력 제어 방법 | |
KR20140077800A (ko) |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방법 | |
KR101818591B1 (ko) |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 | |
KR20180008817A (ko) |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321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20426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2004414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4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4I Patent event date: 20140321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5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27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227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20426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20044148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