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107B1 - A Fish Detecting Drone - Google Patents
A Fish Detecting Dro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35107B1 KR101835107B1 KR1020160132808A KR20160132808A KR101835107B1 KR 101835107 B1 KR101835107 B1 KR 101835107B1 KR 1020160132808 A KR1020160132808 A KR 1020160132808A KR 20160132808 A KR20160132808 A KR 20160132808A KR 101835107 B1 KR101835107 B1 KR 1018351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oyant body
- auxiliary
- water
- main
- transceiv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6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3643 water by type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41000283153 Cet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RZVHIXYEVGDQDX-UHFFFAOYSA-N 9,10-anthraquinone Chemical compound C1=CC=C2C(=O)C3=CC=CC=C3C(=O)C2=C1 RZVHIXYEVGDQD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5/54—Floa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in aircraft; 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02—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30—Aircraft characterised by electric power plants
- B64D27/35—Arrangements for on-board electric energy production, distribution, recovery or storage
- B64D27/353—Arrangements for on-board electric energy production, distribution, recovery or storage using solar ce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64U10/13—Flying platforms
- B64U10/14—Flying platforms with four distinct rotor axes, e.g. quadcop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30—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al power
- B64U50/31—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al power generated by photovoltaic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60/00—Undercarriages
- B64U60/10—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water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96—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locating fish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1—Constructional featur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40—Mobile PV generator systems
-
- B64C2201/12—
-
- B64D2211/00—
-
- B64D2700/62184—
-
- B64F2700/6288—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중에서 이동하는 어군(魚群)이나 수중물체를 탐지하는 드론(Drone)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상에 부상(浮上)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그 하단부에 송수파기(초음파탐지기)를 장착한 주부력체를 구비하고 주부력체의 측면으로 다수개의 보조부력체를 연결 설치하되 상기 보조부력체의 상단부에는 회전익 날개를 갖는 프로펠러수단을 설치하여 비행하는 드론을 구성함으로써, 수면 상공을 비행하다가 수상으로 착수(着水)하여 수중에서 이동하는 어군이나 물체 또는 수온 등과 같은 각종 정보를 탐지하고 이를 모선이나 지상통제소로 전송하여 수중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어군 탐지용 드론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통상적으로 회전날개(rotor)를 구동수단으로 회전시켜 발생하는 양력으로 비행하는 장치를 헬리콥터(helicopter)라고 한다. 이러한 헬리콥터는 사람이 탈 수 있을 정도의 일반적인 헬리콥터와 조종기 등에 의해 비행하는 비교적 작은 크기의 헬리콥터인 드론(drone)이 있다. 최근 무선 통신 및 이동 단말기의 발전과 함께 드론에 이동 단말기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이용한 기술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Generally, a device flying by a lift generated by rotating a rotor by a driving means is called a helicopter. These helicopters are drone, a relatively small helicopter flying by a normal helicopter and a maneuverable man.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bile terminals, various technologies utilizing a function of a mobile terminal in a drone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ways.
예를 들면, 드론에 카메라나 녹음기를 설치하여 지상에서 촬영할 수 없는 장소의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을 하는 등의 기능이 있다.For example, there is a camera or recorder installed in the drones to take pictures, shoot videos, and record audio in places that can not be photographed on the ground.
이와 같은 드론은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As the functions are diversified, such drones ar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ultimedia device having multiple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video shooting, and reception of broadcasting.
특히, 드론에 카메라나 센서 등이 장착되는 경우 더 많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들이 장착된 드론은 산불 감시용이나 정찰용뿐만 아니라 인명구조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In particular, when the drones are equipped with cameras or sensors, they can perform more functions. The drones equipped with these ar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fire fighting, reconnaissance, and life saving.
종래에는 드론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고래의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초음파 수중센서를 이용한 고래 탐지 시스템장치'가 등록특허 제10-1595695호에 개시되어 있다.Conventionally, a whale detection system using an ultrasonic underwater sensor for tracking a movement path of a whale by installing a camera on a drones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Registration No. 10-1595695.
상기와 같은 종래의 드론은 고래 탐지를 위하여 수중에 마련된 센서들과, 상기 센서들의 센싱 신호들 중 가장 먼저 센싱 신호를 전달한 센서가 위치한 서브 탐지영역을 드론의 비행방향 영역으로 결정하고, 선박 운항과 관련된 경로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와, 상기 비행방향 영역 사이에서 상기 드론이 비행할 비행각도 정보를 계산하여 비행을 제어하도록 하면서 상기 드론이 전달하는 해수면의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고래의 출현 여부를 분석하는 드론 제어부, 및 상기 드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비행하며, 해당 서브 탐지영역에서는 해수면을 촬영하는 드론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발명에 따르면, 고래 탐지 확률을 향상시키며, 아울러 고래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선박을 운항시킬 수 있어 고래를 지속적으로 관람 및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conventional drones, the sub-detection region in which the sensors that are provided in the water for detection of whales and the sensor that transmits the sensing signal first is among the sensing signals of the sensors is determined as the flying direction region of the drones, A server providing related path information; and a controller for calculating flight angle information of the drone to fly between the flight direction areas, and analyzing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sea level transmitted by the drone to analyze the appearance of the whale A drone control unit, and a drone for flying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of the drone control unit and photographing the sea surface in the corresponding sub-detection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hale detection probability is improved and the whale can be opera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hale moves, so that the whale can be continuously watched and observed.
종래에는 어군을 탐지하고 이를 모선에 알려주는 드론이 개시되어 있지 않고 단순히 부력체를 수면에 띄워 놓고 그 하부면에 송수파기 등을 장착하여 수중의 어군 등을 탐색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는 수준이어서, 수중의 어군이나 물체를 드론을 통해 신속하게 탐지하고 이를 제공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Conventionally, a drone for detecting a fish and notifying it to a mother ship has not been disclosed. Instead, it is at a level where the buoyant body is simply float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a transceiver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to search for fishes in the water. There is a limit to quickly detecting and providing fish or objects through drones.
또한 종래의 드론을 이용하여 고래를 탐지하는 상기 장치는 통상적인 드론이 수상을 비행하면서 그 하부측에 구비된 촬영장비를 통해 고래의 움직임을 촬영하여 제공하는 구성으로 이는 수중의 어군탐색이나 물체를 탐색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Further, the apparatus for detecting a whale using a conventional dron is configured to photograph and provide a motion of a whale through a photographing equipment provided at a lower side thereof while a conventional drone is flying a water plane, There is a limit to search.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수상에 부상(浮上)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그 하단부에 송수파기(초음파탐지기 또는 환경센서 등)를 장착한 주부력체를 구비하고 주부력체의 측면으로 다수개의 보조부력체를 연결 설치하되 상기 보조부력체의 상단부에는 회전익 날개를 갖는 프로펠러수단을 설치하여 비행할 수 있도록 드론을 구성하여, 상기 드론이 수면 상공을 비행하다가 필요시 수상으로 착수하여 수중에서 이동하는 어군의 정보를 탐지하고 이를 모선으로 전송하여 줌으로써 모선의 고기잡이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어군 탐지용 드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d a main buoyant body having a transducer (an ultrasonic detector or an environmental sensor)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main buoyant body so as to be floated on the wat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buoyant bodies are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main buoyant body, A dron is installed so that a propeller means having a rotor blade is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dron, and when the dron is flying over the surface of the water, it is started as an aquarium if necessary and information of a fish moving in the water is detect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sh finder dron which can be efficiently utilized for fishing of a mothership.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군 이외에 수중에서 이동하는 물체나 염분의 온도 등과 같은 각종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상 정보를 보다 광범위하게 활용하도록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tilize maritime information more widely by provid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such as moving objects and temperature of salt in the water in addition to the fish.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부력에 의해 수면에서 부상(浮上)하는 주부력체와, 상기 주부력체의 측면으로 연결아암에 의해 연결 설치되면서 부력에 의해 수면으로 부상하는 보조부력체, 상기 보조부력체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면서 양력을 발생시켜 상기 주부력체 및 상기 보조부력체를 비상시키는 프로펠러수단, 상기 주부력체의 하부면에 설치되면서 수중으로 초음파를 발사하고 반사파를 받아들이는 송수파기, 및 상기 송수파기와 연결 설치되고 상기 프로펠러수단을 컨트롤하는 동시에 상기 송수파기의 탐지정보를 모선이나 관제소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xiliary buoyant body comprising: a main buoyant body floating up from a water surface by buoyancy; an auxiliary buoyant body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main buoyant body by a connecting arm, Propeller means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buoyant body and generating lift to rotate the main buoyant body and the auxiliary buoyant body while being rotated by the driving means,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transceiver for controlling the propeller means and for providing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transceiver to a bus or a control station.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어군 탐지용 드론은 수면 상공을 비행하다가 필요시 수상으로 착수하여 수중에서 이동하는 어군의 정보를 탐지하고 이를 모선으로 전송하여 줌으로써 모선의 고기잡이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fishing dro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dvantageous in that they can fly over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if necessary, start as an aquarist, detect information of a fish moving in the water and transmit it to the mother ship, .
또한 본 발명은 어군 이외에 수중에서 이동하는 물체나 염분의 온도 등과 같은 각종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상 정보를 보다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dvantage that the sea information can be utilized more widely by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he moving object and the temperature of the salt in the water in addition to the fish.
또한, 본 발명은 선박이 직접 다른 장소로 이동하지 않고 어군을 탐지할 수 있어, 고기잡이가 마무리되는 시점에서 드론을 출발시켜 어군을 탐지하여 고기잡이가 종료되면 신속하게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 고기잡이를 할 수 있으므로 고기잡이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ip can detect the fish without directly moving to another place, and when the fishing is completed, the fisher departs the drones at the time of completion of fishing, It is possible to dramatically reduce the fishing time.
아울러, 본 발명은 고기잡이 선박이 새로운 장소로 계속하여 이동하며 어군을 탐지하지 않아도 어군의 위치를 탐지할 수 있으므로 선박을 이동을 위한 연료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fuel for moving the vessel because the fishing vessel can continue to move to a new place and can detect the position of the fishery without detecting the fishery.
아울러, 본 발명은 드론이 수상에 착지하여 어군을 탐지할 수 있으므로 선박이 어군을 탐지하기 위해 소모되는 연료를 절감할 수 있고, 드론이 빠르게 다른 곳으로 이동하며 어군을 탐지할 수 있어 어군 탐지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rones can detect the fishermen by landing on the aquariums, the present invention can save the fuel consumed by the vessel to detect the fishermen, and the drones can quickly move to other places and detect the fishes. Time and cost can be saved.
아울러, 본 발명은 보조부력체가 복수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파도에 의한 드론의 뒤짐힘을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수상에서 안정적으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으며, 보조부력체의 형상이 원통으로 이루어지되 원통의 직경이 상부의 프로펠러의 길이보다 작아 비행시에 보조부력체에 의하여 양력이 방해받지 않는 효과가 있다.The auxiliary buoyant body is symmetrically formed so as to prevent backlash of the drones due to waves and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stably in the aquarium. The shape of the auxiliary buoyant body is cylindrical The diameter of the cylinder is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upper propeller, so that the lift is not disturbed by the auxiliary buoyant during flight.
또한, 본 발명은 보조부력체의 길이가 주부력체의 길이보다 길어 수상 및 모선에 착륙하였을 때에 주부력체 하부에 부착된 송수파기를 보호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auxiliary buoyant body is longer than that of the main buoyant body so that the transceiver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uoyant body can be protected when landing on the waterborne and busbars.
또한 본 발명의 드론은 파도가 심할 경우 일정 높이의 공중에서 호버링(hovering, 제자리 비행)하면서 송수파기를 수중으로 내려보내 어군을 탐지할 수 있어 활용성이 배가 되는 장점도 있다.In addition, the dron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overing in a certain height of the air when the wave is severe, and the fisher can be sent down to the fisher so that the fisher can be detected.
도 1은 본 발명의 따른 어군 탐지용 드론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따른 어군 탐지용 드론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어군 탐지용 드론이 수면상공으로 비행하는 어군을 탐지하는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따른 어군 탐지용 드론이 수면에 착수하고 수중으로 초음파를 발사하여 어군이나 물체를 탐지하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따른 어군 탐지용 드론의 시스템 구성도(a)와 조종계통도(b)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따른 어군 탐지용 드론에 호버링시에 어군을 탐지할 수 있는 제2송수파기수단이 구비된 상태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따른 어군 탐지용 드론에 호버링시에 어군을 탐지할 수 있는 제2송수파기수단이 수중으로 진입한 작동상태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ishing dro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fish finder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tate diagram in which a fish finder dr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fish flying over the surface of the water,
FIG. 4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in which a fish finder dr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aunches on the water surface and emits ultrasonic waves in water to detect a fish group or an object,
FIG. 5 is a system diagram (a) and a steering diagram (b) of a fish-finding dro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tate sectional view of a drones for fish f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econd transceiver unit capable of detecting a fish group is hovered,
FIG. 7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a fish-finding dr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econd transceiver means capable of detecting a fish-group when hovering enters into the wat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어군 탐지용 드론(100)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As shown in FIGS. 1 to 7, the
부력에 의해 수면에서 부상(浮上)하는 주부력체(110)와,A main
상기 주부력체(110)의 측면으로 연결아암(121)에 의해 연결 설치되면서 부력에 의해 수면으로 부상하는 보조부력체(120),An auxiliary
상기 보조부력체(120)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면서 양력을 발생시켜 상기 주부력체(110) 및 상기 보조부력체(120)를 비상시키는 프로펠러수단(130),Propeller means 130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상기 주부력체(110)의 하부면에 설치되면서 수중으로 초음파를 발사하고 반사파를 받아들이는 송수파기(140), 및A
상기 송수파기(140)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프로펠러수단(130)을 컨트롤하는 동시에 상기 송수파기(140)의 탐지정보를 모선이나 관제소로 제공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nd a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어군 탐지용 드론(100)은 모선이나 관제소에서 상기 제어부(150)을 컨트롤하면서 상기 프로펠러수단(130)를 조종기와 컴퓨터로 조종하여 상기 주부력체(110) 및 상기 보조부력체(120)를 비상(飛上)시켜 어군 등이 나타날 장소의 수면 상공으로 날려 보낸다.The
그리고 어군 등이 나타날 장소의 수면 상공까지 비행한 상기 어군 탐지용 드론(100)은 수면 상공에서 수면으로 착수(着水)시킨다.And the fisherman's detection drone (100) which has flown over the surface of the place where the fisherman and the like are to appear, starts to sink into the water from above the water surface.
이 경우 상기 주부력체(110) 및 상기 보조부력체(120)는 부력에 의해 일정한 깊이 이상은 수중으로 들어가지 않고 떠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main buoyant body (110) and the auxiliary buoyant body (120) are floated without going into the water by a buoyancy for a predetermined depth or mor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주부력체(110)의 하면부에 구비된 상기 송수파기(140)를 통해 수중으로 초음파를 발사하여 수중으로 이동 중인 어군 등을 탐지하여 모선으로 실시간 제공하게 된다.In this state, ultrasonic waves are emitted into the water through the
상기와 같이 상기 송수파기(140)에서 제공된 정보는 모선에서 컴퓨터 등을 통해 정밀하게 분석하여 해당 정보에 대한 필요한 조치를 취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여기서 상기 송수파기(140)에서 제공된 정보는 어군뿐만 아니라 수중에서 이동하는 물체는 모두 탐지가 가능하다. 심지어 잠수함까지 탐지할 수 있다.Here,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또한 상기 주부력체(110)의 내부에는 비행제어컴퓨터, GPS, 배터리가 들어 있어 비행체의 위치와 자동비행, 사전비행제어 경로에 따라 움직이게 한다.Also, a flight control computer, a GPS, and a battery are installed in the main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주부력체(110)의 상부측에는 상기 송수파기(140)에 설치되는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태양광패널(111)이 더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드론(100)은 상기 태양광패널(111)을 통해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터리의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In addition, a
또한 본 발명의 드론은 상기 태양광패널(111)을 통해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면상에 장시간 체류할 수 있가 있다.Further, the dron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rge the battery through the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드론(100)에 구비되는 상기 보조부력체(12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단부는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뾰족부(122)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따라서 상기 보조부력체(120)는 상기 뾰족부(122)에 의해 수면에 착수시 공기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 상기 프로펠러수단(130)의 날개 회전시에 양력이 방해받지 않아 비상(飛上)이 용이해 진다.Therefore, the auxiliary
더욱이 보조부력체(120)가 복수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경우에 있어, 수상에서 안정적으로 착수하여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Furthermore, when a plurality of
또한 본 발명은 보조부력체(120)의 형상을 원통형으로 구성하되 원통의 직경이 상부의 프로펠러의 길이보다 작게 하여 비행(비상)시에 상기 보조부력체(120)에 의하여 양력이 방해받지 않아 신속한 이륙이 가능하게 된다.Further, the auxiliary
또한 상기 보조부력체(120)는 그 길이가 중앙부에 구비되는 상기 주부력체(110)보다 길어 지상(地上)에 착지할 때에 상기 뾰족부(122)가 먼저 지면에 닿으면서 상기 주부력체(110)의 하부면에 설치된 상기 송수파기(140)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Also, the auxiliary
여기서 상기 보조부력체(120)는 상기 주부력체(110)의 외주면으로 3개 또는 4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드론의 규모에 따라 그 이상의 개수로도 설치할 수 있다.The auxiliar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주부력체(110)의 하부면에는 환경센서(미도시)가 더 설치되어 있어 수질온도나 유해성 등 다양한 수질정보도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n environmental sensor (not shown)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주부력체(110)와 상기 보조부력체(120)을 연결하는 상기 연결아암(121)에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보조송수파기(161)가 구비된 제2송수파기수단(160)과 상기 제2송수파기수단(160)을 단부에 연결하는 연결선(170), 및 상기 연결선(170)을 감거나 풀어주어 상기 제2송수파기수단(160)이 수중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하는 권취수단(180)이 더 설치 구비되어 있다.6 and 7, the connecting
또한 상기 권취수단(180)은 정역회전되면서 상기 연결선(170)을 감거나 풀어주는 권취롤러부(181)와 상기 권취롤러부(181)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모터부(미도시)로 구성되어 있다.The winding
여기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모터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해수면에 큰 파도가 일 경우, 상기 주부력체(110)와 상기 보조부력체(120)를 수면에 착수시키기가 매우 어렵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본 발명은 상기 주부력체(110)와 상기 보조부력체(120)를 수면 상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서 호버링(제자리 비행)을 유지하면서 상기 권취수단(180)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선(170)을 풀어 수면속으로 상기 제2송수파기수단(160)을 입수시킨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a surface has large waves, it becomes very difficult to start the main
이어 수면속의 적당한 깊이에 이르게 되면 상기 제2송수파기수단(160)으로부터 초음파를 발생시켜 어군을 탐지하도록 한다.When the ultrasonic wave reaches a proper depth in the water surface, ultrasonic waves are generated from the second transceiver means 160 to detect the fish.
여기서 상기 제2송수파기수단(160)에는 상기 보조송수파기(161) 이외에 상기 보조송수파기(161)가 물속에 잠긴 깊이(수심측정)를 측정하여 제공하는 압력센서(162)가 더 구비되고, 또 상기 보조송수파기(161)의 각도측정을 위한 지자계 센서(magnetometer/Compass, 미도시), 상기 보조송수파기(161)의 수중에서의 운동을 측정하기 위한 가속도계(미도시)와 각속도계(미도시) 등이 더 장착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transceiver means 160 further includes a
따라서 본 발명은 파도가 심한 해수면에서도 상기 제2송수파기수단(160)을 적당하고도 안전한 수심으로 진입시켜 초음파를 발진시킬 수 있어 어군을 신속하게 탐지할 수가 있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transceiver means 160 can be appropriately and safely penetrated into the water depth even at a sea level with a high wave, so that ultrasonic waves can be generated, and the fish can be quickly detected.
그리고 상기 연결선(170)은 상기 보조송수파기(161)의 음파 발생을 위한 전력선, 상기 보조송수파기(161)의 신호 측정을 위한 신호선 및 수중에 잠긴 상기 보조송수파기(161)의 위치 및 방향을 알기 위한 센서들의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신호선들로 구성되어 있다.The
또한 상기 권취수단(180)이 설치되는 상기 연결아암(121)의 맞은편측에 구비되는 다른 연결아암(121)에는 상기 권취수단(180)과 상기 연결선(170) 및 상기 제2송수파기수단(160)의 무게에 비례하여 호버링(제자리 비행)시에 양측의 상기 연결아암(121)이 서로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무게추(190)가 더 설치 구비될 수 있다.The other connecting
따라서 본 발명의 드론은 수면 상부측 일정 높이에서 호버링시에 상기 연결아암(121)들이 서로 균형을 이루면서 안정적인 비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horn is hover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water surface, the dr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ilize flight while the connecting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상기 드론(100)은 모선이 직접 다른 장소로 이동하지 않고 어군을 탐지할 수 있어, 1차로 고기잡이가 마무리되는 시점에서 드론을 출격시켜 어군을 탐지하도록 하고 1차 고기잡이가 종료되면 신속하게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 고기잡이를 할 수 있으므로 고기잡이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줄 수 있게 된다.The
또한 본 발명은 파도가 심하여 드론이 수면상으로 착수할 수 없는 경우에도 호버링을 하면서 수중으로 보조송수파기를 진입시킬 수가 있어 매우 편리하다.Also,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convenient because it can enter the auxiliary transceiver into the water while hovering even if the dron can not start on the surface due to severe waves.
따라서 고기잡이 선박이 새로운 장소로 계속하여 이동하며 어군을 탐지하지 않아도 어군의 위치를 탐지할 수 있으므로 선박 이동을 위한 연료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이다.Therefore, it is very efficient because it can detect the location of the fishery without the fishermen moving and continue to move to the new plac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군 탐지용 드론은 수상에 부상(浮上)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그 하단부에 송수파기(초음파탐지기 또는 환경센서 등)를 장착한 주부력체를 구비하고 주부력체의 측면으로 다수개의 보조부력체를 연결 설치하되 상기 보조부력체의 상단부에는 회전익 날개를 갖는 프로펠러수단을 설치하여 비행할 수 있도록 드론을 구성하여, 수면 상공을 비행하다가 필요시 수상으로 착수하여 수중에서 이동하는 어군의 정보를 탐지하고 이를 모선으로 실시간 전송하여 줌으로써 모선의 고기잡이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shing dro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with a main buoyant body having a transducer (an ultrasonic detector or environmental sensor, etc.) mounted on the lower end thereof so as to float on the water surface, And a propeller means having a rotor blade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buoyant body so as to constitute a drone so as to fly and fly over the surface of the water, By detecting th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it to the mother ship in real time, it can be effectively utilized for fishing of the mothership.
또한 어군 이외에 수중에서 이동하는 물체나 염분의 온도 등과 같은 각종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질 및 환경 정보를 보다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apidly provide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he moving object and the temperature of the saline in addition to the fishery, so that the water quality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can be utilized more widely.
100:어군 탐지용 드론
110:주부력체 111:태양광패널
120:보조부력체
121:연결아암 122:뾰족부
130:프로펠러수단
140:송수파기 150:제어부100: Fish finder drones
110: main buoyancy body 111: solar panel
120: auxiliary buoyant body
121: connecting arm 122: pointed
130: propeller means
140: transceiver 150:
Claims (8)
상기 주부력체의 측면으로 연결아암에 의해 연결 설치되면서 부력에 의해 수면으로 부상하는 보조부력체,
상기 보조부력체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면서 양력을 발생시켜 상기 주부력체 및 상기 보조부력체를 비상시키는 프로펠러수단,
상기 주부력체의 하부면에 설치되면서 수중으로 초음파를 발사하고 반사파를 받아들이는 송수파기, 및
상기 송수파기와 연결 설치되고 상기 프로펠러수단을 컨트롤하는 동시에 상기 송수파기의 탐지정보를 모선이나 관제소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부력체는 그 길이가 중앙부에 구비되는 상기 주부력체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모선에 착륙하였을 때에 주부력체의 하단부가 지면에서 이격되는 어군 탐지용 드론.
A main buoyant body located at a central portion floating from the water surface by buoyancy,
An auxiliary buoyant body which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main buoyant body by a connection arm and floats to the water surface by buoyancy,
A propeller mean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auxiliary buoyant body and rotated by a driving means to generate a lift force to emit the main buoyant body and the auxiliary buoyant body,
A transceiver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uoyant body to emit ultrasonic waves into water and receive reflected waves,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transceiver and controlling the propeller means and providing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transceiver to a bus or a control station,
Wherein the auxiliary buoyant body is formed longer than the main buoyant body having a length in the central portion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main buoyant body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when the boat lands on the bus.
상기 보조부력체는 상기 주부력체의 외주면으로 복수개 설치 구비되는 어군 탐지용 드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buoyant body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main buoyant body.
상기 주부력체의 상부측에는 상기 송수파기에 구비되는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태양광패널이 더 설치되는 어군 탐지용 드론.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solar panel is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uoyancy body so as to charge a battery provided in the transceiver.
상기 보조부력체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단부는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뾰족부로 형성되는 어군 탐지용 드론.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said auxiliary buoyant body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ts end portion is formed by a sharpened portion whos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상기 주부력체와 상기 보조부력체을 연결하는 상기 연결아암에는 보조송수파기가 구비된 제2송수파기수단과, 상기 제2송수파기수단을 단부에 연결하는 연결선, 및 상기 연결선을 감거나 풀어주어 상기 제2송수파기수단이 수중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하는 권취수단이 더 설치 구비되고,
상기 권취수단은 정역회전되면서 상기 연결선을 감거나 풀어주는 권취롤러부와 상기 권취롤러부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모터부로 구성되는 어군 탐지용 드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transducer means provided with an auxiliary transducer on the connecting arm connecting the main buoyant body and the auxiliary buoyant body; a connecting line connecting the second transducer means to an end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winding means for allowing the means to enter the water,
Wherein the winding means comprises a winding roller portion for winding or unscrewing the connection line while rotating forward and backward, and a motor portion for forwardly or reversely rotating the winding roller portion.
상기 권취수단이 설치되는 상기 연결아암의 맞은편측에 구비되는 다른 연결아암에는 상기 권취수단과 상기 연결선 및 상기 제2송수파기수단의 무게에 비례하여 호버링시에 양측의 상기 연결아암이 서로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무게추가 더 설치 구비되는 어군 탐지용 드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other connecting arm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onnecting arm on which the winding means is installed may balance the connecting arms on both sides when hovering in proportion to the weight of the winding means and the connecting line and the seco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Weigh-ins further equipped with additional fish detection drones.
상기 제2송수파기수단에는 상기 보조송수파기가 물속에 잠긴 깊이를 측정하여 제공하는 압력센서가 더 구비되는 어군 탐지용 드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econd transducer means further comprises a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the depth of the auxiliary transducer immersed in water.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2808A KR101835107B1 (en) | 2016-10-13 | 2016-10-13 | A Fish Detecting Drone |
PCT/KR2016/012398 WO2018070586A1 (en) | 2016-10-13 | 2016-10-31 | Drone for detecting school of fish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2808A KR101835107B1 (en) | 2016-10-13 | 2016-10-13 | A Fish Detecting Dron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35107B1 true KR101835107B1 (en) | 2018-04-19 |
Family
ID=61905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32808A Expired - Fee Related KR101835107B1 (en) | 2016-10-13 | 2016-10-13 | A Fish Detecting Dron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835107B1 (en) |
WO (1) | WO2018070586A1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1320B1 (en) | 2019-04-26 | 2019-10-11 | 한화시스템(주) | Target detecting method using drone target detecting system |
KR102031319B1 (en) | 2019-04-26 | 2019-10-11 | 한화시스템(주) | Target detecting system using drone |
KR20200108605A (en) * | 2019-03-11 | 2020-09-21 | 배원직 | Automatic catch fishing device |
KR102192769B1 (en) * | 2020-05-26 | 2020-12-21 | 하상균 | Fishing gear for using drones |
KR20220122874A (en) | 2021-02-26 | 2022-09-05 |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Underwater Objects using Unmanned Vehicles |
KR20240016502A (en) * | 2022-07-29 | 2024-02-06 |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Shrimp farm management system |
KR20240041653A (en) | 2022-09-23 | 2024-04-01 | 주식회사 한국니코 | Flying drone with underwater wireless detection function |
KR20240148501A (en) | 2023-04-04 | 2024-10-11 | 주식회사 다온에코 | Fish Group Detection System Using Water Dron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374108A (en) * | 2018-10-30 | 2019-02-22 |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〇九研究所 | An underwater acoustic measurement device suitable for large-depth open lakes |
CN110001972A (en) * | 2019-05-17 | 2019-07-12 | 南京信息工程大学 | The overboard emergent treatment system of unmanned plane |
CN110927162B (en) * | 2019-12-05 | 2022-10-25 | 中国水产科学研究院南海水产研究所 | Automatic identification and sampling system for submerged marine organisms |
DE102020210449A1 (en) * | 2020-08-18 | 2022-02-24 | Atlas Elektronik Gmbh | Using an air-to-water drone to locate and identify an underwater object |
CN115308752A (en) * | 2022-08-23 | 2022-11-08 | 福建中利科技有限公司 | A multi-rotor flight platform, detection system and detection method for water depth detection |
DE102023102820B3 (en) | 2023-02-06 | 2024-06-13 | Deutsches Zentrum für Luft- und Raumfahrt e.V. | Sonar measuring device |
CN118393475B (en) * | 2024-06-24 | 2024-09-24 | 嘉准传感科技(湖南)有限公司 | Ultrasonic cross-medium sensing devic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4475B1 (en) * | 2015-06-15 | 2016-03-17 |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 Autonomous movable buoy and method using it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01922B1 (en) * | 2003-10-08 | 2006-07-20 | 주식회사 씨스캔 | Fish detection device using personal portable terminal |
FR3015785B1 (en) * | 2013-12-20 | 2015-12-25 | Thales Sa | COMPACT OMNIDIRECTIONAL ANTENNA FOR SONAR TEMP |
KR20150140172A (en) * | 2014-06-05 | 2015-12-15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Dron flight and sea floor scanning exploration system using the same |
KR20160093242A (en) * | 2015-01-29 | 2016-08-08 | 이원영 | Handcrafted Quad Copt |
-
2016
- 2016-10-13 KR KR1020160132808A patent/KR10183510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6-10-31 WO PCT/KR2016/012398 patent/WO2018070586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4475B1 (en) * | 2015-06-15 | 2016-03-17 |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 Autonomous movable buoy and method using it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08605A (en) * | 2019-03-11 | 2020-09-21 | 배원직 | Automatic catch fishing device |
KR102275532B1 (en) | 2019-03-11 | 2021-07-09 | 배원직 | Automatic catch fishing device |
KR102031320B1 (en) | 2019-04-26 | 2019-10-11 | 한화시스템(주) | Target detecting method using drone target detecting system |
KR102031319B1 (en) | 2019-04-26 | 2019-10-11 | 한화시스템(주) | Target detecting system using drone |
KR102192769B1 (en) * | 2020-05-26 | 2020-12-21 | 하상균 | Fishing gear for using drones |
KR20220122874A (en) | 2021-02-26 | 2022-09-05 |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Underwater Objects using Unmanned Vehicles |
KR20240016502A (en) * | 2022-07-29 | 2024-02-06 |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Shrimp farm management system |
KR102735665B1 (en) * | 2022-07-29 | 2024-11-27 |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Shrimp farm management system |
KR20240041653A (en) | 2022-09-23 | 2024-04-01 | 주식회사 한국니코 | Flying drone with underwater wireless detection function |
KR102671961B1 (en) * | 2022-09-23 | 2024-06-05 | 주식회사 한국니코 | Flying drone with underwater wireless detection function |
KR20240148501A (en) | 2023-04-04 | 2024-10-11 | 주식회사 다온에코 | Fish Group Detection System Using Water Dro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8070586A1 (en) | 2018-04-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35107B1 (en) | A Fish Detecting Drone | |
US12164295B2 (en) | Unmanned vehicle control and operation in a marine environment | |
US10691993B2 (en) | System and method for autonomous tracking and imaging of a target | |
CN208360444U (en) | A kind of unmanned boat and system | |
US11573566B2 (en) | Castable sonar devices and operations in a marine environment | |
US10768299B2 (en) | Vessel-towed multiple sensor systems and related methods | |
CN106628026B (en) | Unmanned ship and unmanned ship system | |
US8418642B2 (en) | Unmanned submersible vehicles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in a body of liquid | |
CN106530660A (en) | Underwater unmanned ship control system | |
CN109633659B (en) | Tiny sonar array system and device for realizing underwater monitoring by combining unmanned ship | |
US20150183498A1 (en) | Personal Submersible Drone for Aquatic Exploration | |
CN207052081U (en) | A kind of underwater unmanned boat control system | |
JP7352418B2 (en) | Underwater survey equipment | |
CN104849717A (en) | Automatic fish-finding system | |
JP7181723B2 (en) | Maritime search system, unmanned air vehicle, and unmanned flight method | |
CN204925390U (en) | Automatic fish finding system | |
KR20170096460A (en) | A Drone Having a Converting Structure for Running Under Water | |
US20200023926A1 (en) | System for dangerous current identification, characterization, alerting and for distressed swimmer location and assistance | |
Piskura et al. | Development of a robust Line Capture, Line Recovery (LCLR) technology for autonomous docking of AUVs | |
CN116997508A (en) | Connection system of water relay and underwater navigation body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 |
CN112219801A (en) |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fishes and other aquatic animals by unmanned aerial vehicle | |
KR20180027464A (en) | A Drone Having a Converting Structure for RunningUnder Water | |
JP3209725U (en) | Floating type photographing device | |
JP2021049985A (en) | Underwater survey system and underwater survey method using unmanned flying body | |
CN115047466A (en) | Long-time sea surface watching device and method for quickly positioning and identifying underwater targe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