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32989B1 - 상자 - Google Patents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989B1
KR101832989B1 KR1020160021029A KR20160021029A KR101832989B1 KR 101832989 B1 KR101832989 B1 KR 101832989B1 KR 1020160021029 A KR1020160021029 A KR 1020160021029A KR 20160021029 A KR20160021029 A KR 20160021029A KR 101832989 B1 KR101832989 B1 KR 101832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box
jaw
main body
rota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1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9090A (ko
Inventor
이동규
Original Assignee
엔피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피씨(주) filed Critical 엔피씨(주)
Priority to KR1020160021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2989B1/ko
Publication of KR20170099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98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3Nestabl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4Nestable or stackable container parts forming a receptacle when one part is inverted upo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30Hand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자에 관한 것으로,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연결되어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측면, 상기 측면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바와,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바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회전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성에 의해 자중에 의해 회전되지 않아 작업이 편리하고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 상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자{BOX}
본 발명은 상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자 위에 또 다른 상자를 올려놓기 위해 설치된 바가 자중에 의해 회전되지 않아 작업이 편리하고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물건을 수납하여 운반 및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 운반상자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운반상자는 전후좌우의 측벽에 의해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각종 물품이 수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운반상자는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32572호에 게재되어 있다. 상기 운반상자는 양측 상단의 경첩원통체를 중심으로 필요에 따라 내,외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합성수지제인 적재지지대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운반상자는 내측에 물건을 보관하고 있을 경우, 적재지지대를 내측으로 회전시켜 하부상자의 상단에 상부상자를 적재시키거나, 적재지지대를 외측으로 회전시켜 상자 내부에 또 다른 상자를 포개면 운반시 물류비가 절감됐다.
이와 같은 종래의 운반상자(20)는 진열대 및 물류창고의 받침대나 선반의 경사면(F) 등에 올려 놓았을 때, 적재지지대(30)가 자중에 의해 회전되어 상자(20)의 본체와 거리가 멀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이로 인해, 상자(20) 안에 물건을 담거나 상자를 들어 올리는 과정에서 상기 적재지지대(30)가 작업자의 신체에 걸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상자(20)의 이동시 적재지지대(30)가 흔들리면서 상자(20)의 본체 등에 부딪혀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한국 등록실용 제20-013257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바가 자중에 의해 회전되지 않아 작업이 편리하고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자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연결되어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측면, 상기 측면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바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회전방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1위치와, 상기 본체의 측면에 대향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바는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회전방지부에 의해 상기 본체의 측면에 걸려 회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방지부는 상기 바의 일측 또는 둘레에 형성된 턱과, 상기 본체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턱이 걸리는 걸림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턱이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몸체의 상측에 연결되어 내측에 상기 턱이 형성되는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삽입되는 회전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턱은 상기 바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회전할 때 상기 걸림부와 접촉하는 측면과, 상기 측면의 하단과 연결되며, 상기 바가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회전할 때 상기 걸림부와 접촉하는 하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바가 제2위치일 때, 상기 턱의 하면과 상기 걸림부의 상면은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나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손잡이의 외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의 양측에는 일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턱은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턱은 상기 바의 하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에는 복수개의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턱은 상기 복수개의 리브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자는 경사면 등에 놓이는 등의 상황으로 인해 기울어져 바가 회전되더라도 턱이 걸림부에 걸려 바가 자중에 의해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자가 경사면에 위치되어도 바가 회전되지 않아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상자 안에 물건을 담거나 상자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바가 거치적거리지 않아 작업이 편리하다.
또한, 제2실시 예의 상자는, 바가 회전축으로부터 멀리 위치된 하측이 걸림부에 걸려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바의 자중으로 인한 회전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한, 제3실시 예의 상자는, 회전방지부가 바 외측의 양끝에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바의 자중에 의한 회전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한, 제4실시 예의 상자는, 회전방지부가 바의 회전축으로부터 최대한 멀리 형성된다. 따라서 바의 자중에 의한 회전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된다.
도 1은 종래 상자의 적재지지대가 회전된 상태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상자의 바가 제2위치일 때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와 부분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를 타측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를 일측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도 2에서 바가 분해된 상태일 때의 부분사시도.
도 7은 도 2에서 바가 분해된 상태일 때의 또 다른 부분사시도.
도 8은 도 2의 상자가 여러개 적재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상자의 바가 제1위치일 때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상자가 여러개 적재된 사시도.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상자(10)는, 바닥면(202)과, 바닥면(202)에 연결되어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측면(200), 측면(200) 내부에 형성된 공간(204)을 포함하는 본체(100)와, 측면(2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바(300)와, 본체(100) 또는 바(300) 또는 본체(100)와 바(300)에 각각 형성되는 회전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300)는 탄성이 있는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300)는 플라스틱 소재인 것이 좋다.
바(300)는 본체(100)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1위치와, 본체(100)의 측면(200)에 대향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바(300)는 상기 제2위치에서 회전방지부에 의해 본체(100)의 측면(200)에 걸려 회전되지 않는다.
제2위치일 때의 바(300)는, 테두리(230) 내에 수용되어 본체(100)의 외측으로 튀어나오지 않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자(10)는, 바(300)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상자(10) 위에 다른 상자(10)를 올리면 상부상자(10)가 하부상자(10)의 양측에 위치된 바(300) 위에 적재되게 하여 사용된다.
회전방지부는 바(300)의 일측 또는 둘레에 형성된 턱(410)과, 본체(100)의 외측에 형성되어 턱(410)이 걸리는 걸림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바(300)는 본체(100)의 외측, 즉 타측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플라스틱의 특성인 탄성에 의해 턱(410)이 걸림부(420)를 하측으로 밀면서 회전되므로, 걸림부(420)에 의한 턱(410)의 걸림이 해제된다. 이 원리를 이용해 바(300)는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의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동일한 원리를 이용해 바(300)는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이 가능하다. 즉 바(300)가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이동할 때도, 턱(410)이 걸림부(420)를 하측방향으로 밀면서 회전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상자(10)는 경사면 등에 놓이는 등의 상황으로 인해 기울어져 바(300)가 회전되더라도 턱(410)이 걸림부(420)에 걸려 바(300)가 자중에 의해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자(10)가 경사면에 위치되어도 바(300)가 회전되지 않아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상자(10) 안에 물건을 담거나 상자(10)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바(300)가 거치적거리지 않아 작업이 편리하다.
회전방지부에 대해서는 이후에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자(10)의 본체(100)는 상측이 개방되고 속이 빈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면적이 줄어든다.
상자(10)의 본체(100)는 상측의 제1단(102), 제1단(102)의 하단에 연결되어 본체(100)의 중앙에 위치되는 제2단(104), 제2단(104)의 하단에 연결되어 본체(100)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3단(10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자(10)는 제1단(102)에서 제3단(106)으로 갈수록 점차 면적이 줄어든다. 즉 제2단(104)의 내측은 제1단(102)의 내측보다 더 튀어나오게 형성되고, 제3단(106)의 내측은 제2단(104)의 내측보다 더 튀어나오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자(10)를 포갤 때 상측에 위치된 상자(10)의 제2단(104)의 하단이 하측에 위치된 상자(10)의 제1단(102)의 하단, 즉 제2단(104)의 상단에 걸쳐진다.
이러한 상자(10)의 측면(200)은 서로 마주보는 장측면(210)과, 장측면(210)에 연결되어 서로 마주보는 단측면(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장측면(210)의 양단의 길이는 단측면(220)의 양단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자(10)는 상면을 똑바로 바라볼 때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다.
상자(10)의 바닥면(202) 중 상면의 외곽과, 하면의 중앙부 각각에는 리브가 격자무늬로 형성된다. 보다 자세하게 바닥면(202)의 하면의 중앙부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바닥면(202)에는 중앙부와 측면(200) 사이의 공간과, 중앙부가 돌출됨에 따라 형성된 중앙부의 하측의 공간에 리브가 형성되는 것이다.
제1단(102)은 측면(200)이 외측으로 돌출된 테두리(230)가 형성된다.
이러한 테두리(230)의 내측 공간에 바(300)가 수용된다.
한편, 제1단(102)에는 복수개의 서로 직교되는 리브들(112)이 형성되며, 리브들(112)은 제1단(102)의 외측면과 테두리(230)의 내면에는 연결된다. 즉 리브(112)는 테두리(230)의 내측 공간에 위치된다.
한편, 리브들(112)에 둘러싸여 형성된 공간에는 분류카드 등이 꽂힐 수 있다.
바(300)가 제2위치일 때에는, 리브들(112) 중 일부의 리브(112a)와 바(300)의 일측이 닿아 바(300)와 측면(200)의 거리가 유지되므로, 바(300) 또는 본체(100)가 서로 부딪히지 않아 바(300) 또는 본체(100)의 파손이 방지된다.
한편, 제1단(102)의 상단, 즉 단측면(220)의 상단에는 바(300)가 설치되는 홈(114)이 형성된다.
홈(114)은 제1단(102)의 상측 테두리(230)와, 상측 테두리(230)에 연결된 리브(112)의 일부가 파져 형성된 것이다. 즉 홈(114)은 제1단(102)이 절단되어 형성된 양측의 면(113)과 제1단(102)의 상면에 양측과 하측이 둘러싸이고, 하측의 일부와 일타측 및 상측이 외부공간과 연통된 공간이다.
홈(114)은 단측면(220)의 외측에 각각 1개씩, 외측의 홈(114)의 내측에 2개, 총 4개가 형성된다. 즉 홈(114)은 단측면(2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2개씩 형성되는 것이다.
홈(114)의 양측을 둘러싸고 있는 절단면(113)은 상측이 움푹파진 홈이 형성된다. 이때 절단면(113)의 홈에는 후술할 바(300)의 회전축(312)이 삽입되는 구멍(116)이 형성된다.
한편, 구멍(116)의 상측에는 바(300)의 회전축(312)이 구멍(116)에 삽입되기 쉽도록 단측면(220)의 절단면(113)에는 경사부(118)가 형성된다.
서로 마주보는 절단면(113)에 형성된 양측의 경사부(118)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서로간에 거리가 가깝게 형성된다. 또한 경사부(118)의 끝단은 제1단(102)의 상면과 연결된다. 따라서 바(300)가 본체(100)에 설치될 때, 바(300)의 회전축(312)은 경사부(118)를 타고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내려오는 것이 수월하지만,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올라가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구멍(116)에서 쉽게 빠지지 않는다.
한편, 제1단(102)의 상면에는 바(300)가 회전되어 안착되는 홈인 안착부(240)가 형성된다.
안착부(240)는, 장측면(210)의 양끝에 각각 형성되어 한쪽 끝이 단측면(220)의 내측면에 연결된다.
안착부(240)에는 후술할 바(300)의 돌출부(344)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된다.
안착부(240)에는 바(300)가 안착되는 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고정부(242)가 형성된다.
고정부(242)는 장측면(210)의 내면과 연장된 채 형성된다. 따라서 안착부(240)는 내측에 본체(100)의 측면(200)과 고정부(242)에 둘러싸인 공간(244)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244)은 본체(100)의 공간과 연통된다.
보다 자세하게, 공간(244)은 단측면(220)과 가까운 일측과, 일측에서 나란하며 일정간격 이격된 타측이 각각 본체(100) 내측의 공간(204)과 연통된다. 따라서 안착부(240)는 상면에서 똑바로 볼 때 'c'자 또는 'ㄷ'자 형상을 갖는다.
바(300)가 제1위치일 때, 고정부(242)는 후술할 바(300)에 형성된 홈(342)에 꽂혀 바(300)의 위치가 고정된다. 따라서 상자(10) 위에 또 다른 상자(10)를 적재할 때, 하부상자(10)의 흔들림이 거의 발생되지 않아 상자(10)의 적재 효율이 좋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상자(10)는, 제1위치의 바(300) 위에 상자(10)가 안착되어 바(300)가 하측방향으로 변형되더라도 바(300)가 본체(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바(300)는 상부에 올려진 상자(10)의 하중을 받아 변형이 되더라도, 양측 가장자리가 본체(100)에 안착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자(10)의 측면(200)에는 구멍(108)이 뚫려 있어 손잡이(108)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구멍(108)은 단측면(220)의 제1단(102)에 형성된다. 보다 자세하게 구멍(108)은 제1단(102)의 하단, 즉 테두리(230)의 하측과 연결된다.
구멍(108)은 직사각형의 면으로 둘러싸여 형성된다. 직사각형의 면 중 하면은 테두리(230), 그 외의 면은 제1단(102)으로부터 돌출된 둘레면들이다. 따라서 구멍(108)에 의해 본체(100) 내측의 공간(204)과 본체(100) 외측의 공간이 연통된다.
직사각형의 면은 테두리(230)의 일타측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이러한 직사각형의 면은 리브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바(300)는 몸체(302)와, 몸체(302)의 상측에 형성되어 본체(100)와 연결되며, 턱(410)이 형성되는 연결부(30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302)는 판 형상을 가지며, 일측과 타측에 서로 직교되는 복수개의 리브(304)가 형성된다.
리브(304)는 가로방향의 리브와, 가로방향의 리브와 직교되는 세로방향의 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로방향의 리브는 세로방향의 리브보다 폭이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몸체(302)는 일측면과 타측면이 각각 울퉁불퉁하게 형성된다.
몸체(302)의 상면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기운 형상을 갖는다.
몸체(302)의 하측 중앙부는 제2위치일 때 손잡이(108)에 닿지 않기 위해 움푹 들어간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몸체(302)는 움푹 들어간 부분의 양측이 각각 제1몸체와 제2몸체라고 한다면, 움푹 들어간 부분의 상측은 제3몸체이다. 이때 제1몸체와 제2몸체에는 연결부가 연결된다.
몸체(302) 일측면에는 돌출부(344)가 형성된다.
바(300)가 제2위치일 때, 돌출부(344)는 본체(100)의 외측과 일정간격 이격된다.
돌출부(344)는 외측면과 내측면이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줄어들도록 형성된다.
돌출부(344)의 일측면은 몸체(302)의 타측면과 평행한 면을 갖는다.
돌출부(344)는 몸체(302)의 양측에 형성된 제1돌출편(346)과, 몸체(302)의 상측에 형성되어 연결부(306)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2돌출편(34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돌출편(346)은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된다. 즉 제1돌출편(346)은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제2돌출편(348)은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며, 상단부터 하단 사이의 단면적이 항상 동일하다. 즉 제2돌출편(348)은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제2돌출편(348)은 바(300)의 일측과 수직을 이룬다.
제1돌출편(346)은 바(300)가 제1위치일 때 안착부(240)에 닿는 면의 상측에 위치된다. 즉 장측면(210)에 위치된다. 제2돌출편(348)은 바(300)가 제1위치일 때 단측면(220)에 위치된다.
제1돌출편(346)은 장측면(210)의 내측면보다 더 내측으로 튀어나와 있고, 제2돌출편(348)은 단측면(220)의 내측면보다 더 내측으로 튀어나와 있다. 그러므로, 바(300)가 제1위치일 때 상자(10)위에 또 다른 상자(10)를 적재하면 상부에 놓인 상자, 즉 상부상자(10)의 측면(200)은 제1돌출편(346)과 제2돌출편(348)에 닿고 하부상자(10)의 측면(200)과는 닿지 않는다. 따라서 상자(10) 위에 또 다른 상자(10)를 적재할 때, 하부상자(10)의 측면(200)에 상부상자(10)의 측면(200)이 닿지 않아 하부상자(10)의 파손이 방지된다.
한편, 몸체(302)의 양측에는 타측면이 움푹파진 홈(342)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 홈(342)의 일부는 돌출부(344)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바(300)가 제1위치일 때 홈(342)에 안착부(240)의 고정부(242)가 삽입된다.
연결부(306)는 바(300)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외측연결부(308)와, 외측연결부(308)의 내측에 각각 위치되는 내측연결부(309)로 구성된다.
이때 내측연결부(309)에는 턱(410)이 형성된다.
보다 자세하게 양 측의 내측연결부(309)의 내측면은 서로 마주본다. 또한 내측연결부(309)의 외측면은 외측연결부(308)의 내측면과 마주본다.
연결부(306)는 몸체(302)의 상측에 연결되어 내측에 턱(410)이 형성되는 연결편(314)과, 연결편(314)에 형성되어 본체(100)에 삽입되는 회전축(3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결부(306)의 하단은 몸체(302)의 상단과 연결된다.
연결편(314)은 바(300)의 중앙에 가까운 내측에 위치되는 연결편(314)의 내측면인 제1연결편(322)과, 제1연결편(322)으로부터 외측에 위치되는 연결편(314)의 외측면인 제2연결편(324)과, 제1연결편(322)과 제2연결편(324)을 연결하며 연결부(306)의 중앙에 위치되는 제3연결편(3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연결편(322)과 제2연결편(324)은 하면의 일부가 제2돌출편(348)과 연결된다.
제3연결편(326)은 연결부(306)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편(332)과, 상편(332)의 일단에서 연결되어 수직으로 절곡된 수직편(334)과, 수직편(334)의 하단에서 하측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면서 절곡된 경사편(3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편(332)과 수직편(334)은 일부분이 절개된다. 따라서 양측의 회전축(312)의 끝단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 수 있으므로 구멍(116)에 회전축(312)이 쉽게 삽입된다.
이러한 연결부(306)의 제1연결편(322)과 제2연결편(324)은 제3연결편(326)의 경사편(336)보다 일측으로 더 돌출되어 형성된다.
한편 내측연결부(309)는 제1연결편(322)의 돌출된 부분의 상측이 제3연결편(326)의 수직편(334)과 나란한 정도까지 돌출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턱(410)이 형성되는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 턱(410)은, 내측연결부(309)의 연결편(314) 중 내측, 즉 내측연결부(309)끼리 서로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상자(10)에서 턱(410)은 1개의 내측연결부(309)에 1개가 형성되어, 1개의 바(300)에 총 2개가 형성되는 것이다.
턱(410)은 바(300)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회전할 때 걸림부(420)와 접촉하는 측면(412)과, 측면(412)의 하단과 연결되며, 바(300)가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회전할 때 걸림부(420)와 접촉하는 하면(4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걸림부(420)는 연결부(306)가 설치되는 홈(114)의 하측 일부를 둘러싼 제1단(102)의 상측이다. 즉 걸림부(420)의 상면(422)은 홈(114)의 하측 일부를 둘러싼 제1단(102)의 상면이다.
바(300)가 제2위치일 때, 턱(410)의 하면(414)과 걸림부(420)의 상면(422)은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나란하다.
턱(410)의 하면(414)과 걸림부(420)의 상면(422)이 이격된 이유는, 바(300)가 회전될 때 턱(410)도 회전되어야 하는데 하면(414)과 상면(422)이 이격되지 않고 맞닿아 있다면, 턱(410)이 걸림부(420)를 밀어내야 하는 정도가 커지므로 턱(410)의 걸림이 해제되지 않거나, 회전방지부에 과도한 힘이 가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 제2실시 예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의 상자(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의 상자(10)는 본체(100)의 측면(200)에 손잡이(108)가 형성되며, 걸림부(420)는 손잡이(108)의 외측에 형성된다.
본체(100)의 측면(200)에 형성된 구멍, 즉 손잡이(108)는 직사각형의 면으로 둘러싸여 형성된다. 직사각형의 면 중 하면은 제1단(102)의 테두리(230), 그 외의 면은 제1단(102)으로부터 돌출된 둘레면들이다. 따라서 구멍(108)에 의해 본체(100) 내측의 공간(204)과 본체(100) 외측의 공간이 연통된다.
직사각형의 면은 테두리(230)의 일타측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본 실시 예의 걸림부(420)는 손잡이(108)를 둘러싼 직사각형의 면 중 상면의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채 형성되는 것이 좋다.
한편, 바(300)가 제2위치일 때, 턱(410)은 바(300)의 하면 중 손잡이(108)를 둘러싼 상면과 마주보는 부분에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채 형성되면 된다.
바(300)가 제2위치일 때, 걸림부(420)는 상면이 턱(410)의 하면(414)과 이격된 채 나란하도록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자(10)는 바(300)가 회전축(312)으로부터 멀리 위치된 하측이 걸림부(420)에 걸려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바(300)의 자중으로 인한 회전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된다.
이외의 구성 및 효과는 제1실시 예의 상자(10)와 동일하다.
========================= 제3실시 예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의 상자(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의 상자(10)는 바(300)의 양측에 일측으로 돌출된 돌출부(344)가 형성되며, 턱(410)은 바(300)의 돌출부(344)에 형성된다. 즉 턱(410)은 바(300)의 양측에 형성된다.
보다 자세하게 턱(410)은 돌출부(344)의 일측면, 상면, 하면, 외측면, 내측면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300)가 제2위치일 때 돌출부(344)는 본체(100)의 외측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으므로 이 공간에 턱(410)이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턱(410)이 돌출부(344)의 일측면에서 일측방향으로 돌출된 채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걸림부(420)는 바(300)가 제2위치일 때, 본체(100)에 형성되어 돌출부(344)와 마주보는 리브(112) 또는 테두리(230) 또는 본체(100)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턱(410)은 돌출부(344)의 외측 끝단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바(300)가 제2위치일 때 걸림부(420)는, 상면이 턱(410)의 하면(414)과 이격된 채 나란하도록 형성되며, 리브(112) 중 돌출부(344)의 일측면 끝단과 마주보는 부분에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3실시 예의 상자(10)는 회전방지부가 바(300) 외측의 양끝에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바(300)의 자중에 의한 회전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된다.
이외의 구성 및 효과는 제1실시 예의 상자(10)와 동일하다.
========================= 제4실시 예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의 상자(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의 상자(10)는 회전방지부의 턱(410)이 바(300)의 하측에 형성된다. 보다 자세하게 턱(410)은 바(300)의 하단에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턱(410)은 회전축(312)으로부터 최대한 먼 곳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의 상자(10)는, 바(300)가 제2위치일 때, 바(300)의 하단과 테두리(230) 사이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고, 바(300)의 일측면은 본체(100)의 외측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턱(410)은, 바(300)와 본체(100)간에 이격으로 인해 형성된 공간에 위치되도록 바(300)의 하면 또는 바(300)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턱(410)은 바(300)의 일측면에서 돌출된 채 형성된다.
턱(410)은 바(300)의 하단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바(300)가 제2위치일 때 걸림부(420)는 상면(422)이 턱(410)의 하면(414)과 이격된 채 나란하도록 본체(100)의 외측에 형성된 리브(112) 또는 테두리(230)에서 돌출된 채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4실시 예의 상자(10)는 회전방지부가 바(300)의 회전축(312)으로부터 최대한 멀리 형성된다. 따라서 바(300)의 자중에 의한 회전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된다.
이외의 구성 및 효과는 제1실시 예의 상자(10)와 동일하다.
========================= 제5실시 예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의 상자(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바(300)의 일측과 타측에는 모두 복수개의 직교되는 리브(304)가 형성된다.
본 실시 예의 상자(10)는 바(300)의 일측에는 복수개의 리브(304)가 형성되며, 턱(410)은 복수개의 리브(304)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바(300)에는 수직의 서로 나란한 리브들(304)과, 수직의 리브와 연결되며 서로 나란한 수평의 리브들(304)에 둘러싸인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직 또는 수평의 리브(304)에 턱(410)이 형성되면, 턱(410)은 바(300)의 일측의 리브들(304)에 둘러싸여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본체(100)의 외측에는 바(300)의 일측과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직교되는 리브(112)가 형성되고, 리브들(112)에 둘러싸인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바(300)가 제2위치일 때 걸림부(420)는 상면(422)이 턱(410)의 하면(414)과 이격된 채 나란하도록 본체(100)의 직교되는 리브(112) 중 일부에 형성된다.
이외의 구성 및 효과는 제1실시 예의 상자(10)와 동일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 : 상자 100 : 본체
102 : 제1단 104 : 제2단
106 : 제3단 108 : 손잡이(구멍)
112 : 리브 113 : 절단면
114 : 홈 116 : 구멍
118 : 경사부 200 : 측면
202 : 바닥면 204 : 공간
210 : 장측면 220 : 단측면
230 : 테두리 240 : 안착부
242 : 고정부 244 : 공간
300 : 바 302 : 몸체
304 : 리브 306 : 연결부
308 : 외측연결부 309 : 내측연결부
312 : 회전축 314 : 연결편
322 : 제1연결편 324 : 제2연결편
326 : 제3연결편 332 : 상편
334 : 수직편 336 : 경사편
342 : 홈 344 : 돌출부
346 : 제1돌출편 348 : 제2돌출편
410 : 턱 412 : 턱의 측면
414 : 턱의 하면 420 : 걸림부
422 : 걸림부의 상면

Claims (8)

  1.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연결되어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측면, 상기 측면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바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회전방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1위치와, 상기 본체의 측면에 대향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바는 제2위치에서 상기 회전방지부에 의해 상기 본체의 측면에 걸려 회전되지 않고,
    상기 회전방지부는 상기 바의 일측 또는 둘레에 형성된 턱과, 상기 본체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턱이 걸리는 걸림부로 구성되며,
    상기 바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턱이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몸체의 상측에 연결되어 내측에 상기 턱이 형성되는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삽입되는 회전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턱은 상기 바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회전할 때 상기 걸림부와 접촉하는 측면과, 상기 측면의 하단과 연결되고, 상기 바가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회전할 때 상기 걸림부와 접촉하는 하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바가 제2위치일 때, 상기 턱의 하면과 상기 걸림부의 상면은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나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0021029A 2016-02-23 2016-02-23 상자 Active KR101832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029A KR101832989B1 (ko) 2016-02-23 2016-02-23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029A KR101832989B1 (ko) 2016-02-23 2016-02-23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090A KR20170099090A (ko) 2017-08-31
KR101832989B1 true KR101832989B1 (ko) 2018-02-27

Family

ID=59761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1029A Active KR101832989B1 (ko) 2016-02-23 2016-02-23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298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8973A (ja) 1999-07-06 2001-01-23 Gifu Plast Ind Co Ltd 運搬用容器
JP2006096366A (ja) 2004-09-28 2006-04-13 Sekisui Plastics Co Ltd 合成樹脂製容器
KR200449586Y1 (ko) 2009-08-11 2010-07-22 이종근 수산물 운반상자
JP4931061B2 (ja) * 2007-03-03 2012-05-16 三甲株式会社 蓋付きコンテナ
KR101431496B1 (ko) * 2013-11-28 2014-08-21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지지바 고정 구조를 갖는 적층식 운반 상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8973A (ja) 1999-07-06 2001-01-23 Gifu Plast Ind Co Ltd 運搬用容器
JP2006096366A (ja) 2004-09-28 2006-04-13 Sekisui Plastics Co Ltd 合成樹脂製容器
JP4931061B2 (ja) * 2007-03-03 2012-05-16 三甲株式会社 蓋付きコンテナ
KR200449586Y1 (ko) 2009-08-11 2010-07-22 이종근 수산물 운반상자
KR101431496B1 (ko) * 2013-11-28 2014-08-21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지지바 고정 구조를 갖는 적층식 운반 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090A (ko) 2017-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9058B1 (en) Tri-fold egg carton with lid sidewall protrusions
JP5840183B2 (ja) 集合包装容器
CN107848664A (zh) 物品收纳盒
JP2020045172A (ja) ボックス、スタッキングされたボックスの組み合わせ構造、および、スタッキングされたボックスを機械的にグリップする方法
JP4361871B2 (ja) 載置用レッジ
KR101832989B1 (ko) 상자
EP2426059B1 (en) Nestable and stackable container
KR200478361Y1 (ko) 완충재가 구비된 포장상자
JP6925122B2 (ja) 引出し収納
KR101431496B1 (ko) 지지바 고정 구조를 갖는 적층식 운반 상자
JP2017071014A (ja) 工具保持具及び工具保持方法
KR101622772B1 (ko) 조립식 수납함
EP2108593B1 (en) Container for storage and transport
KR101029110B1 (ko) 상자형 파렛트
KR200493840Y1 (ko) 물품용 상자
JP6738633B2 (ja) 集合包装容器及びその積層体
JP6734170B2 (ja) 物品収納庫用棚板
JP2008174270A (ja) 通い箱
JP6840920B2 (ja) 引出し収納
JP5711051B2 (ja) 箱型容器
JP6154927B1 (ja) 梱包箱用緩衝材、梱包箱用緩衝材セット及び梱包方法
JP3175042U (ja) 部品包装材
KR20130047267A (ko) 식별이 용이한 상자
JP3180024U (ja) 積み重ね収納用のトレー
KR200260178Y1 (ko) 물류용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8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2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