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32559B1 - 코일 전자부품 - Google Patents

코일 전자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559B1
KR101832559B1 KR1020150075952A KR20150075952A KR101832559B1 KR 101832559 B1 KR101832559 B1 KR 101832559B1 KR 1020150075952 A KR1020150075952 A KR 1020150075952A KR 20150075952 A KR20150075952 A KR 20150075952A KR 101832559 B1 KR101832559 B1 KR 101832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oil pattern
pattern
lead
lead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5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9968A (ko
Inventor
정동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5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2559B1/ko
Priority to CN202010883274.5A priority patent/CN112002538B/zh
Priority to CN201610082105.5A priority patent/CN106205974A/zh
Priority to US15/082,539 priority patent/US10515750B2/en
Publication of KR20160139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55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33Printed inductances with the coil helically wound around a magnetic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7/292Surface mounted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41Printed circuit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41Printed circuit coils
    • H01F41/046Printed circuit coils structurally combined with ferromagnet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10Connecting leads to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2017/0073Printed inductances with a special conductive pattern, e.g. flat spi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2017/048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encapsulating core, e.g. made of resin and magnetic pow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코일 기판과, 상기 코일 기판의 제1 및 제2 주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코일 패턴과, 적어도 상기 코일 패턴의 코어 영역을 충진하도록 형성되며 자성 물질을 갖는 바디 영역 및 상기 코일 패턴의 최외곽 영역의 일부를 이루며 상기 바디 영역의 외부로 노출된 인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 패턴 중 최외곽에 형성된 것과 상기 인출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코일 패턴에서 인접한 패턴들 사이의 간격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전자부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코일 전자부품 {Coil Electronic Component}
본 발명은 코일 전자부품에 관한 것이다.
코일 전자부품에 해당하는 인덕터(inductor)는 저항, 커패시터와 더불어 전자회로를 이루어 노이즈를 제거하는 대표적인 수동소자이다.
이러한 인덕터는 적층형과 박막형 등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 중에서 박막형 인덕터의 경우 상대적으로 얇게 만들기에 적합하기 때문에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나아가, 세트 제품들이 복합화, 다기능화, 슬림화되는 경향이 지속되면서 칩의 두께를 더욱 얇게 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이에, 당 기술 분야에서는 코일 전자부품의 슬림화 추세에서도 높은 성능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코일 전자부품에 포함된 코일 패턴과 인출부의 간격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코일 패턴과 인출부의 단락 가능성을 최소화하며, 이에 따라, 부품의 신뢰성을 개선하고 고 전류 및 고 용량을 구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코일 기판과, 상기 코일 기판의 제1 및 제2 주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코일 패턴과, 적어도 상기 코일 패턴의 코어 영역을 충진하도록 형성되며 자성 물질을 갖는 바디 영역 및 상기 코일 패턴의 최외곽 영역의 일부를 이루며 상기 바디 영역의 외부로 노출된 인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 패턴 중 최외곽에 형성된 것과 상기 인출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코일 패턴에서 인접한 패턴들 사이의 간격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전자부품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코일 패턴 중 최외곽에 형성된 것과 인출부 사이의 간격을 코일 패턴의 피치, 즉, 인접한 패턴들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도금 등의 공정 시 과 성장으로 인한 코일 패턴 및 인출부의 단락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효과 중 일 효과로서, 코일 전자부품에 포함된 코일 패턴과 인출부의 간격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코일 패턴과 인출부의 단락 가능성을 최소화하며, 이에 따라, 부품의 신뢰성을 개선하고 고 전류 및 고 용량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코일 전자부품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에 따른 코일 패턴 및 인출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 예들은 다른 형태로 변형되거나 여러 실시 예가 서로 조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 예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 실시 예(one example)"라는 표현은 서로 동일한 실시 예를 의미하지 않으며, 각각 서로 다른 고유한 특징을 강조하여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그러나, 아래 설명에서 제시된 실시 예들은 다른 실시예의 특징과 결합되어 구현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특정한 실시 예에서 설명된 사항이 다른 실시 예에서 설명되어 있지 않더라도, 다른 실시 예에서 그 사항과 반대되거나 모순되는 설명이 없는 한, 다른 실시 예에 관련된 설명으로 이해될 수 있다.
코일 전자부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코일 전자부품을 설명하되, 특히 그 일 예로서 박막형 인덕터로 설명하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코일 전자부품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의 A-A'선에 의한 단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에 따른 코일 패턴 및 인출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 경우, 도 1에 나타낸 바를 기준으로 하면, 하기의 설명에서 '길이' 방향은 도 1의 'L' 방향, '폭' 방향은 'W' 방향, '두께' 방향은 'T'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 내지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코일 전자부품(100)은 코일 기판(102), 코일 패턴(103), 바디 영역(101) 및 외부전극(111, 112)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코일 기판(102)은 바디 영역(101) 내부에 배치되어 코일 패턴(103)을 지지하기 위한 기능 등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기판, 페라이트 기판 또는 금속계 연자성 기판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코일 기판(102)의 중앙 영역에는 관통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 홀에는 자성 재료가 충진되어 코어 영역(C)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코어 영역(C)은 바디 영역(101)의 일부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자성 재료로 충진된 형태로 코어 영역(C)을 형성함으로써 코어 전자부품(100)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코일 패턴(103)은 코일 기판(102)의 제1 및 제2 주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높은 수준의 인덕턴스를 얻기 위한 측면에서 제1 및 제2 주면 모두에 형성된 형태를 나타내었다. 즉, 코일 기판(102)의 제1 주면에는 제1 코일 패턴이 형성되고, 이와 대향하는 제2 주면에는 제2 코일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 2 코일 패턴들은 코일 기판(102)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비아(미 도시)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코일 패턴(103)은 나선(spiral)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나선 형상의 최외곽에는 외부전극(111, 112)과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하여 바디 영역(101)의 외부로 노출되는 인출부(T)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인출부(T)는 코일 패턴(103)의 최외곽 영역의 일부를 이루는 형태로서 코일 패턴(103)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코일 패턴(103)은 전기 전도성이 높은 금속 등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은(Ag), 팔라듐(Pd), 알루미늄(Al), 니켈(Ni), 티타늄(Ti), 금(Au), 구리(Cu), 백금(Pt) 또는 이들의 합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박막 형상으로 제조하기 위한 바람직한 공정의 예로서, 전기 도금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다만, 이와 유사한 효과를 보일 수 있는 것이라면 당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다른 공정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코일 패턴(103) 중 최외곽에 형성된 것과 인출부(T) 사이의 간격(d)은 코일 패턴(103)의 피치, 즉, 인접한 패턴들 사이의 간격(c)보다 큰 형태이다. 인덕터로서 기능하기 위하여 코일 패턴(103)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코일 패턴(103)과 일체로 형성되는 인출부(T)의 경우, 인접한 패턴들 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코일 패턴(103)과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코일 전자부품(100)을 작게 구현함과 더불어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코일 패턴의 폭(a)은 넓게 하고 코일 패턴 사이의 간격(c)은 좁게 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인접한 코일 패턴(103) 사이에 혹은 코일 패턴(103)과 인출부(T) 사이에 단락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특히, 외부로 노출된 인출부(T)의 경우, 바디 영역(101)의 내부에 위치한 코일 패턴(103)과 비교하여 큰 면적을 갖고 있어 후속되는 도금 공정 시에 과 성장에 따른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종래와 비교하여 인출부(T)의 형상을 변형하였으며, 이에 따라, 코일 패턴(103)과 인출부(T)의 간격이 커질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형태의 일 예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출부(T)에서 코일 패턴(103, 103`)을 향하는 면은 곡면으로 형성되되, 상기 곡면의 곡률 반경은 코일 패턴(103, 103`)의 곡률 반경과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곡면의 곡률 반경을 코일 패턴(103, 103`)의 곡률 반경보다 작게 할 경우 보다 용이하게 인출부(T)의 큰 이격 거리(d)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인출부(T)의 이격 거리(d)는 인접한 패턴들 사이의 간격(c)과 관계에서 적절히 정해질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코일 패턴(103)에서 인접한 패턴들 사이의 간격을 c라 하고, 코일 패턴(103) 중 최외곽에 형성된 것과 인출부(T) 사이의 간격을 d라 할 때, 1.5c < d의 조건을 만족하는 형태일 수 있으며, d가 c의 1.5배보다 큰 경우에 본 발명자들이 의도한 단락 방지에 따른 신뢰성 향상과 고 용량을 구현할 수 있었다.
또한, 인출부(T)의 폭(b)은 코일 패턴(103)의 폭(a)과의 관계에서 적절히 정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일 패턴(103)의 폭을 a라 하고, 인출부(T)의 폭을 b라 할 때, 2a/3 < b의 조건을 만족하는 형태일 수 있다. 제한된 영역 내에서 코일 패턴(103)으로부터 인출부(T)를 더 멀리 배치하기 위해서는 인출부(T)의 폭을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데, 그런 경우라도 외부 전극(111, 112)과 연결되는 인출부(T)의 전기적 성능이 큰 폭으로 저하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에, 코일 패턴(103)의 폭(a)을 기준으로 이보다 2/3 정도의 수준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것과 같이 인출부(T)는 종래와 같이 큰 폭으로 형성된 후 일부를 제거하는 방법 등으로 얻어질 수 있는데, 원하는 성능과 디자인 조건 등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완만한 형태(곡률 반경이 큰 형태)로 인출부(T)의 곡면을 형성하거나 도 4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보다 큰 경사를 갖는 형태(곡률 반경이 작은 형태)로 인출부(T)의 곡면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바디 영역(101)은 적어도 코일 패턴(103)의 코어 영역(C)이 자성 물질 등으로 충진된 형태로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코일 전자부품(100)의 외관을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바디 영역(101)의 재료로서 자기 특성을 나타내는 재료라면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페라이트 또는 금속 자성체 입자가 수지부에 충진 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질들의 구체적인 예로서, 우선, 상기 페라이트는 Mn-Zn계 페라이트, Ni-Zn계 페라이트, Ni-Zn-Cu계 페라이트, Mn-Mg계 페라이트, Ba계 페라이트 또는 Li계 페라이트 등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디 영역(101)은 이러한 페라이트 입자가 에폭시나 폴리이미드 등의 수지에 분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자성체 입자는 Fe, Si, Cr, Al 및 N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Fe-Si-B-Cr계 비정질 금속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금속 자성체 입자의 직경은 약 0.1㎛ 내지 30㎛일 수 있으며, 상술한 페라이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바디 영역(101)은 이러한 금속 자성체 입자가 에폭시나 폴리이미드 등의 수지에 분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코일 전자부품의 제조방법
이하, 상술한 구조를 갖는 코일 전자부품(100)을 제조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4를 다시 참조하면, 우선, 코일 기판(102)에 코일 패턴(103)을 형성하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 도금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코일 패턴(103)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와 연결되도록 최외곽에는 외부전극(111, 112)과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하여 바디 영역(101)의 외부로 노출되는 인출부(T)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코일 패턴(103) 중 최외곽에 형성된 것과 인출부(T) 사이의 간격(d)은 코일 패턴(103)의 피치, 즉, 인접한 패턴들 사이의 간격(c)보다 큰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인출부(T)의 일부를 적절히 제거하는 공정을 거칠 수 있다. 즉, 코일 패턴(103)의 피치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인출부(T)를 형성한 후 이 중 일부 영역을 제거함으로써 인출부(T)의 간격(d)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와 다른 방법으로, 인출부(T)를 따로 제거하는 공정을 거치지 아니하기 위하여 도금 공정 시에 원하는 형상의 인출부(T)가 형성되고 패터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따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코일 패턴(103)를 더욱 보호하기 위하여 이를 피복하는 절연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절연막은 스크린 인쇄법, 포토레지스트(Photo Resist, PR)의 노광, 현상을 통한 공정 또는 스프레이 도포 공정 등 공지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바디 영역(101)을 만드는 일 예로서, 코일 패턴(103)이 형성된 코일 기판(102)의 상부 및 하부에 자성 시트를 적층한 후 이를 압착 및 경화한다. 상기 자성 시트는 금속 자성체 분말, 바인더 및 용제 등의 유기물을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하고, 상기 슬러리를 닥터 블레이드 법으로 캐리어 필름(carrier film)상에 수십 ㎛의 두께로 도포한 후 건조하여 시트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코일 기판(102)의 중앙 영역에는 기계적 드릴, 레이저 드릴, 샌드 블래스트, 펀칭 가공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코어 영역(C)을 위한 관통 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관통 홀이 상기 자성 시트를 적층, 압착 및 경화하는 과정에서 자성 재료로 충진되어 코어 영역(C)을 형성한다.
다음 단계로서, 바디 영역(101)의 일면으로 노출되는 인출부(T)와 각각 접속하도록 바디 영역(101)의 표면에 제1 및 제2 외부전극(111, 112)을 형성한다. 외부전극(111, 112)은 전기 전도성이 뛰어난 금속을 포함하는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니켈(Ni), 구리(Cu), 주석(Sn) 또는 은(Ag) 등의 단독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을 포함하는 전도성 페이스트일 수 있다. 또한, 외부전극(111, 112) 상에 도금층(미 도시)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금층은 니켈(Ni), 구리(Cu) 및 주석(S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니켈(Ni)층과 주석(Sn)층이 순차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을 제외하고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코일 전자부품의 특징과 중복되는 설명은 여기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코일 전자부품 101: 바디 영역
102: 코일 기판 103: 코일 패턴
111, 112: 외부 전극 C: 코어 영역
T: 인출부

Claims (10)

  1. 코일 기판;
    상기 코일 기판의 제1 및 제2 주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코일 패턴;
    적어도 상기 코일 패턴의 코어 영역을 충진하도록 형성되며 자성 물질을 갖는 바디 영역; 및
    상기 코일 패턴의 최외곽 영역의 일부를 이루며 상기 바디 영역의 외부로 노출된 인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 패턴에서 상기 인출부를 제외한 영역과 상기 인출부는 서로 물리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코일 패턴에서 상기 인출부를 제외한 영역은 나선형 패턴을 이루되 인접한 패턴들 사이의 간격(제1 간격)은 균일하며, 상기 나선형 패턴에서 상기 인출부에 인접한 것과 상기 인출부 사이의 간격을 제2 간격이라 할 때, 상기 제2 간격은 상기 제1 간격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전자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는 상기 나선형 패턴을 향하는 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전자부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에서 상기 곡면의 곡률 반경은 상기 나선형 패턴의 곡률 반경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전자부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에서 상기 곡면의 곡률 반경은 상기 나선형 패턴의 곡률 반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전자부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패턴의 폭을 a라 하고, 상기 인출부의 폭을 b라 할 때, 2a/3 < b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전자부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간격을 c라 하고, 상기 제2 간격을 d라 할 때, 1.5c < d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전자부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패턴은 도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전자부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패턴은 상기 코일 기판의 제1 및 제2 주면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코일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전자부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영역의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인출부와 연결되는 외부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전자부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영역은 금속 자성체 분말 및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전자부품.
KR1020150075952A 2015-05-29 2015-05-29 코일 전자부품 Active KR101832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952A KR101832559B1 (ko) 2015-05-29 2015-05-29 코일 전자부품
CN202010883274.5A CN112002538B (zh) 2015-05-29 2016-02-05 线圈电子组件
CN201610082105.5A CN106205974A (zh) 2015-05-29 2016-02-05 线圈电子组件
US15/082,539 US10515750B2 (en) 2015-05-29 2016-03-28 Coil electronic component with distance between lead portion and coil pattern greater than distance between adjacent coil patter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952A KR101832559B1 (ko) 2015-05-29 2015-05-29 코일 전자부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968A KR20160139968A (ko) 2016-12-07
KR101832559B1 true KR101832559B1 (ko) 2018-02-26

Family

ID=57398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5952A Active KR101832559B1 (ko) 2015-05-29 2015-05-29 코일 전자부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15750B2 (ko)
KR (1) KR101832559B1 (ko)
CN (2) CN1120025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689B1 (ko) * 2014-10-14 2018-08-28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전자부품 및 칩 전자부품의 실장 기판
KR101933418B1 (ko) 2017-04-19 2018-12-28 삼성전기 주식회사 적층 칩 비드
KR102484848B1 (ko) * 2017-09-20 2023-01-05 삼성전기주식회사 박막형 칩 전자부품
KR102004814B1 (ko) * 2018-04-25 2019-10-01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KR102632370B1 (ko) * 2018-09-28 2024-02-02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전자 부품
KR102194724B1 (ko) * 2019-04-12 2020-12-23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전자부품
KR102178528B1 (ko) * 2019-06-21 2020-11-13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전자부품
JP7014859B2 (ja) * 2019-08-20 2022-02-01 サムソン エレクトロ-メカニックス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コイル部品および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KR102224308B1 (ko) * 2019-11-07 2021-03-08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KR20220032774A (ko) 2020-09-08 2022-03-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마트 ic 기판, 스마트 ic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ic 카드
KR20220080340A (ko) * 2020-12-07 2022-06-14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KR20220084661A (ko) * 2020-12-14 2022-06-21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87722A (ja) * 2009-06-11 2010-12-24 Murata Mfg Co Ltd 電子部品
KR101474166B1 (ko) * 2013-11-04 2014-12-17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9205B2 (ja) * 1995-09-12 2004-12-08 Tdk株式会社 ノイズ抑制用インダクタ素子
JP3467615B2 (ja) * 1997-09-03 2003-11-17 Necトーキン株式会社 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102217A (ja) 1999-09-30 2001-04-13 Tdk Corp コイル装置
JP3755453B2 (ja) * 2001-11-26 2006-03-1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インダクタ部品およびそのインダクタンス値調整方法
JP2005217268A (ja) * 2004-01-30 2005-08-11 Tdk Corp 電子部品
JP2008078226A (ja) * 2006-09-19 2008-04-03 Tdk Corp 積層型インダクタ
JP5644852B2 (ja) * 2010-03-31 2014-12-2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TWI466146B (zh) * 2010-11-15 2014-12-21 Inpaq Technology Co Ltd 共模濾波器及其製造方法
JP5382064B2 (ja) * 2011-05-26 2014-01-08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5929401B2 (ja) * 2012-03-26 2016-06-08 Tdk株式会社 平面コイル素子
KR101792269B1 (ko) * 2012-04-05 2017-11-01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부품 및 전자부품 제조방법
JP5958377B2 (ja) * 2013-02-14 2016-07-2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トランス
JP5741615B2 (ja) * 2013-03-14 2015-07-01 Tdk株式会社 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5737313B2 (ja) * 2013-03-28 2015-06-17 Tdk株式会社 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6393457B2 (ja) * 2013-07-31 2018-09-19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コイル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インダクタ
US9799448B2 (en) * 2013-10-03 2017-10-24 Power Gold LLC Inductor, transformer, and method
KR101642578B1 (ko) * 2013-10-16 2016-08-10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부품, 그 실장기판 및 포장체
KR101565703B1 (ko) * 2013-10-22 2015-11-03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JP6331953B2 (ja) * 2014-10-15 2018-05-3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87722A (ja) * 2009-06-11 2010-12-24 Murata Mfg Co Ltd 電子部品
KR101474166B1 (ko) * 2013-11-04 2014-12-17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002538A (zh) 2020-11-27
US20160351319A1 (en) 2016-12-01
US10515750B2 (en) 2019-12-24
CN112002538B (zh) 2025-05-06
KR20160139968A (ko) 2016-12-07
CN106205974A (zh)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559B1 (ko) 코일 전자부품
US12094649B2 (en) Coil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709841B1 (ko) 칩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751117B1 (ko) 코일 전자 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792317B1 (ko) 칩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102080660B1 (ko) 칩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US11562851B2 (en)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101832547B1 (ko) 칩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525703B1 (ko) 칩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832608B1 (ko) 코일 전자 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823191B1 (ko) 칩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19266A (ko) 칩 전자부품 및 그 실장기판
US10141099B2 (en) Electronic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60139967A (ko) 코일 전자부품
KR20170079093A (ko) 코일 전자 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57785A (ko) 칩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102105397B1 (ko) 칩 전자부품 및 그 실장기판
KR102194727B1 (ko) 인덕터
KR101813322B1 (ko) 코일 전자부품
KR101823297B1 (ko) 코일 전자 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792468B1 (ko) 칩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42151A (ko) 코일 전자 부품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9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3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5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