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1950B1 - Ultrathin shutter apparatus - Google Patents
Ultrathin shutter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31950B1 KR101831950B1 KR1020110042783A KR20110042783A KR101831950B1 KR 101831950 B1 KR101831950 B1 KR 101831950B1 KR 1020110042783 A KR1020110042783 A KR 1020110042783A KR 20110042783 A KR20110042783 A KR 20110042783A KR 101831950 B1 KR101831950 B1 KR 1018319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yoke
- magnet
- magnets
- pole
- hou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G03B9/14—Two separate members moving in opposite direc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G03B9/24—Adjusting size of aperture formed by members when fully open so as to constitute a virtual diaphragm that is adjustabl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G03B9/26—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incorporating cover blade or blad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hutters For Cameras (AREA)
Abstract
초소형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는 초박형 셔터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개시된 셔터장치는 광통과공을 구비한 하우징; 상기 광통과공의 일측 주변을 둘러싸면서 배치되는 제1 요크 및 상기 제1 요크의 일부에 권선된 제1 코일을 포함하는 제1 전자석; 상기 광통과공의 타측 주변을 둘러싸면서 상기 제1 요크에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2 요크 및 상기 제2 요크의 일부에 권선된 제2 코일을 포함하는 제2 전자석; 상기 하우징에 각각 피봇 연결되는 제1 및 제2 블레이드; 및 상기 제1 및 제2 블레이드의 피봇 연결부분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네2 전자석의 자기장에 반응하여 회전하는 제1 및 제2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ultra-thin shutter device provided in a micro camera module is disclosed. The shutter device described above includes a housing having a light passage hole; A first electromagnet including a first yoke disposed to surround one side of the light passage hole and a first coil wound around a part of the first yoke; A second yoke surrounding the other side of the light passage hole so as to face the first yoke and a second coil wound around a part of the second yoke; First and second blades respectively pivotally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first and second magnets coupled to the pivotally connecte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blades and rotating in response to the magnetic field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magnets, respectively.
Description
본 발명은 셔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초소형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는 초박형 셔터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utter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ltra-thin shutter device provided in an ultra-small camera module.
디지털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휴대용 게임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ersonal Multimedia Player), 디지털 캠코더와 같은 휴대용 디지털 기기는 카메라 기능이 결합된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portable digital devices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ortable game machine,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PMP (Personal Multimedia Player)
이와 같은 휴대용 디지털 기기에 설치되는 초소형 카메라 모듈은 일반 카메라와 마찬가지로 고해상도의 이미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셔터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점차 소형화됨에 따라 이에 맞추어 카메라 모듈도 소형화 되어가는 추세이다.The miniature camera module installed in such a portable digital device is provided with a shutter device so as to enable high-resolution image capturing like a general camera. Particularly,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becoming smaller in size, camera modules are becoming smaller in size accordingly .
이와 같은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를 위해 카메라 모듈의 전체적인 두께를 감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렌즈의 오토 포커싱(auto forcing)을 위해 렌즈 모듈을 감싸는 렌즈 구동부는 렌즈의 구동거리를 감안할 때 그 두께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었다.In order to miniaturize such a camera module, it is very important to reduce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camera module. However, the lens driving unit for wrapping the lens module for auto focusing of the lens has a limitation in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lens in consideration of the driving distance of the lens.
또한 렌즈 모듈의 전방에 배치된 셔터장치는 블레이드를 구동시키기 위해 소정 두께로 이루어지는 암 레버(arm lever)를 구비하고 있어 셔터장치의 두께를 줄이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상기 셔터장치를 생략할 경우 카메라 모듈의 전체적인 두께는 줄일 수는 있으나 고해상도 이미지 촬영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Further, the shutter device disposed in front of the lens module has an arm lever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for driving the blade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shutter device. Further, when the shutter device is omit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ntire thickness of the camera module can be reduced, but high resolution images can not be captured.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블레이드를 구동하기 위한 암 레버를 생략하고 마그네트를 블레이드에 일체화함으로써 초박형으로 이루어지는 셔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ultra-thin shutter apparatus by omitting the arm lever for driving the blades and integrating the magnets with the blad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광통과공을 구비한 하우징; 상기 광통과공의 일측 주변을 둘러싸면서 배치되는 제1 요크 및 상기 제1 요크의 일부에 권선된 제1 코일을 포함하는 제1 전자석; 상기 광통과공의 타측 주변을 둘러싸면서 상기 제1 요크에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2 요크 및 상기 제2 요크의 일부에 권선된 제2 코일을 포함하는 제2 전자석; 상기 하우징에 각각 피봇 연결되는 제1 및 제2 블레이드; 및 상기 제1 및 제2 블레이드의 피봇 연결부분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전자석의 자기장에 반응하여 회전하는 제1 및 제2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박형 셔터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 light passage hole; A first electromagnet including a first yoke disposed to surround one side of the light passage hole and a first coil wound around a part of the first yoke; A second yoke surrounding the other side of the light passage hole so as to face the first yoke and a second coil wound around a part of the second yoke; First and second blades respectively pivotally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first and second magnets coupled to the pivotally connecte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blades and rotating in response to the magnetic field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magnets, respectively.
상기 제1 요크는 일단부가 제1 마그네트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타단부가 제2 마그네트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요크는 일단부가 제2 마그네트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타단부가 제1 마그네트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yoke has one end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magnet and the other end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magnet, the second yoke has one end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magnet and the other end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magnet, As shown in FIG.
이 경우, 상기 제1 마그네트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N극 및 S극이 착자되고, 상기 제2 마그네트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N극 및 S극이 착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magnet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N pole and the S pole are magnetized, the second magnet is circular, and the N pole and the S pole are magnetized.
상기 제1 요크의 일단부와 제1 마그네트의 간격은 상기 제2 요크의 타단부와 제1 마그네트의 간격과 동일하고, 상기 제1 요크의 타단부와 제2 마그네트의 간격은 상기 제1 요크의 일단부와 제2 마그네트의 간격이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an interval between the one end of the first yoke and the first magnet is the same as a distance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yoke and the first magnet and an interval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first yoke and the second magnet is equal to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one end and the second magnet is the same.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트에 대향하는 제1 및 제2 요크의 양단부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2 마그네트의 원주에 대응하는 곡률로 이루어질 수 있다.Both en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yokes facing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may have curvatures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ces of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respectively.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트는 동일한 자극이 각각 제1 및 제2 요크의 양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are disposed so that the same magnetic poles are adjacent to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yokes, respectively.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셔터장치의 두께감소의 장애가 되는 암 레버를 생략하더라도 광투과공의 오픈 및 클로즈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암 레버의 생략에 따라 셔터장치를 초박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moothly open and close the light transmitting hole even if the arm lever, which is a hindrance to the reduction of the thickness of the shutter device, is omitted, Can be pro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셔터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셔터장치의 클로즈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셔터장치의 오픈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ltra-thin shutt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an ultra-thin shutt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an ultra-thin shutt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셔터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n ultra-thin shutt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초박형 셔터장치는 하우징(10), 제1 및 제2 전자석(30,40), 제1 및 제2 블레이드(51,52), 제1 및 제2 마그네트(71,72) 및 커버(90)를 포함한다.1, the ultra-thin shutter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하우징(10)은 대략 중앙에 광통과공(10a)이 관통 형성되며, 일면에 제1 및 제2 전자석(30,40)이 설치되는 다수의 요홈(11a,11b;13a,13b)과 제1 및 제2 마그네트(71,72)가 설치되는 요홈(15a,17a)이 각각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요홈(15a,17a)에는 각각 제1 및 제2 마그네트(71,72)의 일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돌기(15c,15d;17c,17d)가 동일한 높이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지지돌기(15c,15d;17c,17d)는 제1 및 제2 마그네트(71,72) 회동 시 제1 및 제2 마그네트(71,72)의 일면과 요홈(15a,17a)의 바닥면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마찰로 인해 제1 및 제2 블레이드(51,52)의 속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제1 전자석(30)은 대략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제1 요크(31)와, 제1 요크(31) 일부에 권선된 제1 코일(33)을 포함하며, 제2 전자석(40)도 제1 전자석(30)과 마찬가지로 “ㄱ”자 형상의 제2 요크(41)와 제2 요크(41) 일부에 권선된 제2 코일(43)을 포함한다.The
제1 및 제2 요크(31,41)는 광투과공(10a)을 사이에 두고 광투광공(10a)을 감싸는 상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제1 요크(31)는 제1 코일(33)이 권선된 측의 일단부(31a)가 제2 요크(41)의 타단부(41b)에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제1 요크(31)의 타단부(31b)가 제2 요크(41)의 제2 코일(43)이 권선된 측의 일단부(41a)에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한다.The first and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코일(33,43)에 각각 전원을 인가하면 서로 대향하는 제1 요크(31)의 일단부(31a)와 제2 요크(41)의 타단부(41b)에는 서로 다른 자극이 형성되고, 제1 요크(31)의 타단부(31b)와 제2 요크(41)의 일단부(41a)에도 서로 다른 자극이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요크(31,41)의 양단부(31a,31b;41a,41b)는 제1 및 제2 코일(33,43)에 전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N극 또는 S극이 형성된다.Accordingly,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first and
제1 및 제2 블레이드(51,52)는 일측에 각각, 하우징(10)의 요홈(15a,17a)에 돌출 형성된 힌지돌기(15b,17b)에 피봇 연결되는 힌지구멍(51a,52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 블레이드(51,52)는 힌지돌기(15b,17b)를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우징(10)의 광투과공(10a)을 오픈 또는 클로즈 시킨다.
제1 및 제2 마그네트(71,72)는 각각 제1 및 제2 블레이드(51,52)의 일면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트(71,72)는 대략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상기 힌지돌기(15b,17b)가 피봇 결합되는 관통구멍(71a,72a)이 형성된다. 즉, 제1 및 제2 마그네트(71,72)의 관통구멍(71a,72a)은 제1 및 제2 블레이드(51,52)의 힌지구멍(51a,52a)에 각각 동축으로 배치된다.The first and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제1 마그네트(71)는 양측이 N극과 S극으로 분할 착자되고, N극과 S극의 중앙부분에는 각각 자계가 가장 강한 극점(P)이 형성된다. 제2 마그네트(72)도 제1 마그네트(71)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Referring to FIG. 2, the
이와 같은 제1 및 제2 마그네트(71,72)는 제1 및 제2 전자석(30,40) 사이에 배치된다. 더 상세하게는 제1 마그네트(71)는 제1 요크(31)의 일단부(31a)와 제2 요크(41)의 타단부(41b) 사이에 배치되고, 제2 마그네트(72)는 제1 요크(31)의 타단부(31b)와 제2 요크(41)의 일단부(41a)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The first and
이 경우 제1 요크(31)의 양단부(31a,31b) 및 제2 요크(41)의 양단부(41a,41b)는 제1 및 제2 마그네트(71,72)를 대향하는 대향면(31c,31d;41c,41d)이 형성되며, 상기 대향면은 각각 제1 및 제2 마그네트(71,72)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 대향면(31c,31d;41c,41d)과 제1 및 제2 마그네트(71,72) 사이의 간격은 모두 동일한 간격으로 설정된다.Both
커버(90)는 하우징(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우징(10) 내에 설치된 제1 및 제2 전자석(30,40), 제1 및 제2 블레이드(51,52), 제1 및 제2 마그네트(71,72)를 외부 충격 또는 눌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커버(90)는 광투과공(10a)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략 상기 광투과공(10a)에 유사한 직경을 갖는 관통구멍(90a)이 형성되고, 관통구멍(90a) 주변에는 상기 힌지돌기(15b,17b)가 결합되는 결합구멍(91,93)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The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셔터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커버(90)를 제거한 상태의 셔터장치가 도시한 도면으로, 도 2는 광투과공(10a)이 클로즈 된 상태이고 도 3은 광투과공(10a)이 오픈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The operation of the ultra-thin shutt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FIG. 2 and 3 are views showing the shutter device with the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초박형 셔터장치는 제1 및 제2 코일(33,43)에 전원이 일방향으로 전가되면 광투과공(10a)이 클로즈된 초기상태로 된다. 즉, 제1 및 제2 코일(33,43)에 각각 일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고, 이에 따라 제1 요크(31)의 일단부(31a)에는 N극이 형성되고 타단부(31b)에는 S극이 형성된다. 또한 제2 요크(41)의 일단부(41a)에는 N극이 형성되고 타단부(41b)에는 S극이 형성된다.2, the ultra-thin shutte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n initial state in which the
이에 제1 마그네트(71)는 N극 극점(P)이 제2 요크(41)의 타단부(41b)에 인접하게 회동하고, 제2 마그네트(72)는 N극 극점(P)이 제1 요크 (31) 의 타단부(31b)에 인접하게 회동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블레이드(51,52)는 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여 광투과공(10a)을 클로즈 시킨다.The
이 상태에서 광투과공(10a)을 오픈하는 경우, 제1 및 제2 코일(33,43)에 각각 역방향으로 전류를 흘리면 제1 요크(31)의 일단부(31a)에는 S극이 형성되고 타단부(31b)에는 N극이 형성되며, 제2 요크(41)의 일단부(41a)에는 S극이 형성되고 타단부(41b)에는 N극이 형성된다.When the
이에 따라, 제1 마그네트(71)는 N극 극점(P)이 제1 요크(31)의 일단부(31a)에 인접하게 회동하고, 제2 마그네트(72)는 N극 극점(P)이 제2 요크(41)의 일단부(41a)에 인접하게 회동한다.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트(71,72)와 함께 회동하는 제1 및 제2 블레이드(51,52)는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여 광투과공(10a)을 오픈시킨다.Thus, th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셔터장치의 두께감소의 장애가 되는 암 레버를 생략하더라도 광투과공(10a)의 오픈 및 클로즈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암 레버의 생략에 따라 셔터장치를 초박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moothly open and close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 하우징 10a: 광투과공
11a,11b,13a,13b,15a,17a: 요홈
15b,17b: 힌지돌기 15c,15d,17c,17d: 지지돌기
30: 제1 전자석 31: 제1 요크
33:제1 코일 40: 제2 전자석
41: 제2 요크 43: 제2 코일
51: 제1 블레이드 52: 제2 블레이드
71: 제1 마그네트 72: 제2 마그네트
90: 커버10:
11a, 11b, 13a, 13b, 15a, 17a: groove
15b, 17b: Hinge
30: first electromagnet 31: first yoke
33: first coil 40: second electromagnet
41: second yoke 43: second coil
51: first blade 52: second blade
71: first magnet 72: second magnet
90: cover
Claims (6)
상기 광통과공의 일측 주변을 둘러싸면서 배치되는 제1 요크 및 상기 제1 요크의 일부에 권선된 제1 코일을 포함하는 제1 전자석;
상기 광통과공의 타측 주변을 둘러싸면서 상기 제1 요크에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2 요크 및 상기 제2 요크의 일부에 권선된 제2 코일을 포함하는 제2 전자석;
상기 하우징에 각각 피봇 연결되는 제1 및 제2 블레이드; 및
상기 제1 및 제2 블레이드의 피봇 연결부분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전자석의 자기장에 반응하여 회전하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트가 설치되는 요홈; 및
상기 요홈에 동일한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트의 일면을 지지하여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트의 회전 시에 상기 요홈의 바닥면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고,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트에 대향하는 제1 및 제2 요크의 양단부에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트의 원주에 대응하는 곡률로 이루어지는 대향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박형 셔터장치.A housing having a light passage hole;
A first electromagnet including a first yoke disposed to surround one side of the light passage hole and a first coil wound around a part of the first yoke;
A second yoke surrounding the other side of the light passage hole so as to face the first yoke and a second coil wound around a part of the second yoke;
First and second blades respectively pivotally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And first and second magnets coupled to pivotally connecte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blades,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rotating in response to the magnetic field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magnets,
The housing includes:
A groove on which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are installed; And
And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groove at the same height,
The support protrusions support one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to minimize a contact area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when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rotate,
Characterized in that opposite ends of curvatures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ces of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yokes facing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respectively.
상기 제1 요크는 일단부가 제1 마그네트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타단부가 제2 마그네트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요크는 일단부가 제2 마그네트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타단부가 제1 마그네트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박형 셔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yoke has one end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magnet and the other end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magnet,
Wherein the second yoke has one end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magnet and the other end disposed adjacent the first magnet.
상기 제1 마그네트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N극 및 S극이 착자되고,
상기 제2 마그네트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N극 및 S극이 착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박형 셔터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magnet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N pole and the S pole are magnetized,
Wherein the second magnet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N pole and the S pole are magnetized.
상기 제1 요크의 일단부와 제1 마그네트의 간격은 상기 제2 요크의 타단부와 제1 마그네트의 간격과 동일하고,
상기 제1 요크의 타단부와 제2 마그네트의 간격은 상기 제1 요크의 일단부와 제2 마그네트의 간격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박형 셔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an interval between the one end of the first yoke and the first magnet is the same as an interval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yoke and the first magnet,
Wherein an interval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first yoke and the second magnet is equal to a distance between one end of the first yoke and the second magne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2783A KR101831950B1 (en) | 2011-05-06 | 2011-05-06 | Ultrathin shutter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2783A KR101831950B1 (en) | 2011-05-06 | 2011-05-06 | Ultrathin shutter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24879A KR20120124879A (en) | 2012-11-14 |
KR101831950B1 true KR101831950B1 (en) | 2018-02-23 |
Family
ID=47510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42783A Active KR101831950B1 (en) | 2011-05-06 | 2011-05-06 | Ultrathin shutter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31950B1 (en) |
-
2011
- 2011-05-06 KR KR1020110042783A patent/KR101831950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24879A (en) | 2012-11-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304326B2 (en) | Lens actuator | |
KR101170714B1 (en) | Auto focus actuator and camera module containing the same | |
KR20180105970A (en) | Iris apparatus | |
JP2011141517A (en) | Lens actuator | |
JP2008287034A (en) | Actuato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imaging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US8360665B2 (en) | Camera shutter device and optical apparatus having the same | |
JP2008096705A (en) | Lens drive device, imaging apparatus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 | |
US8337102B2 (en) | Shutter device for camera | |
JP2009092866A (en) | Exposure condition switching unit and camera unit | |
KR101177185B1 (en) | Camera shutter device | |
KR20120090381A (en) | Voice coil motor | |
JP5146951B2 (en) | Lens drive device | |
KR101406016B1 (en) | Compact camera module | |
JP2009047935A (en) | Lens drive device | |
JP2010014920A (en) | Lens drive device | |
JP2013254014A (en) | Exposure condition switching device and camera | |
JP2009086139A (en) | Camer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 |
KR101831950B1 (en) | Ultrathin shutter apparatus | |
JP2014048320A (en) | Lens driving device | |
JP2013076900A (en) | Light adjustment device | |
JP5223059B2 (en) | Exposure condition switching unit and camera unit | |
KR100891282B1 (en) | Camera Shutter Device | |
KR101186655B1 (en) | Shutter apparatus for subminiature camera module | |
KR100901997B1 (en) | Camera Shutter Device | |
CN117761947A (en) | Blade driving device, camera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0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4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5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709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3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9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5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111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710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9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5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2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